KR101138435B1 -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킨 하강기 - Google Patents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킨 하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435B1
KR101138435B1 KR1020100035715A KR20100035715A KR101138435B1 KR 101138435 B1 KR101138435 B1 KR 101138435B1 KR 1020100035715 A KR1020100035715 A KR 1020100035715A KR 20100035715 A KR20100035715 A KR 20100035715A KR 101138435 B1 KR101138435 B1 KR 101138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rope
hole
side portion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343A (ko
Inventor
이정빈
Original Assignee
이정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빈 filed Critical 이정빈
Priority to KR1020100035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43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강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로프용 훅을 기존의 하강기에 비해 보다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사용시 사용자의 안정된 파지가 가능하고 장착된 로프용 훅의 흔들림을 제거할 수 있는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킨 하강기에 관한 것으로,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양 측면에서 각각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로프용 훅이 1차적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측면부와, 상기 제1관통공을 통과한 로프용 훅이 2차적으로 관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측면부로 이루어진 측면부와, 그리고 상기 측면부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로프 이동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도르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로프용 훅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삽입된 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은 크기를 달리하고,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 하단에는 사용자 파지를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킨 하강기{PULLEY FOR ROPE}
본 발명은 주로 암벽등반에 사용되는 하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강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로프용 훅을 기존의 하강기에 비해 보다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사용시 사용자의 안정된 파지가 가능하고 장착된 로프용 훅의 흔들림을 제거할 수 있는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킨 하강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레저문화를 즐기고자 하는 요구가 반영되어 다양한 여가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즐거움과 건강을 모두 챙길 수 있는 활동 중 하나로 등반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암벽 등반은 수직에 가까운 바위에서 스탠스와 홀드를 잘 이용해 몸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올라가는 것으로, 몸의 발란스를 잘 유지하면서 3점 지지에 따라 리듬을 갖고 올라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암벽등반도 등산의 기본인 걷는 것과 마찬가지로 손으로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발로 올라가야 한다. 즉, 암벽등반은 평지에서 걷는 것이 아니라 수직에 가까운 바위사면에서 걸어올라 가는 것이다.
이러한 암벽등반을 위해서는 그때 필요한 여러가지의 장비를 휴대하게 되는데, 장비로는 배낭 외에 인체 외부에 매달아서 휴대하는 쟈일(로프)을 비롯한 안전벨트, 카라비너 등의 여러가지 장비를 휴대하게 된다.
장비들 중 카라비너 즉, 로프용 훅은 암벽 등반만이 아니라 각종 산업현장에서 안정을 위하여 작업자의 안전벨트 등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것인데, 통상적인 카라비너의 구조는 "O"형이나 "D"형 및 변형 "D"형으로서 갈고리형태의 본체 양단으로 직선형 및 곡선형의 로커를 가로질러 설치하되, 로커의 일단은 본체 일단에 축핀으로 설치하여 본체 내측으로 회동가능하게 하고, 로커의 타단은 본체 타단에 지지 및 걸림되게 설치하여 로커가 본체 외부로 회동되지 않도록 구성하며, 로커 내측에 로커와 본체의 양단이 지지되도로 설치하여 손으로 개방한 후 손을 놓으면 닫히는 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 카라비너 즉, 로프용 훅을 손쉽게 장착할 수 있고 사용에 따른 안정성을 높인 하강기에 관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430352호『산업용 공구걸이 하강기』를 비롯한 기존에는 단순히 로프용 훅을 장착하여 로프를 타고 사용자가 내려올 수 있는 정도의 하강기가 개시되어 있는 정도이다.
기존 하강기에 비해 미국특허 제6,810,818호에서는 도르래를 장착하고 카라비너(명세서에서는 스냅훅으로 표기됨)를 쉽게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하였는데 특히 플렌지 플레이트 중 하나를 짧게 함으로써 카라비너를 손쉽게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지만
이 경우 짧은 길이로 인해 카라비너의 로커의 타단이 내측으로 움직일 수 있고(잠금장치가 있다 하더라도), 이 경우 로프가 해체된다거나 내측으로 움직임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은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또한 상기 미국특허 제6,810,818호에서는 카라비너가 장착된다 하더라도 위아래 그리고 좌우로 움직임이 발생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남아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로프용 훅을 사용자가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장착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인 하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우선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강기 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로프용 훅이 풀려서 이 부위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측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앞서 언급된 로프용 훅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하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로프용 훅의 고정과 관련하여 별도의 고정용 커버를 더 구비하여 안전성을 보다 강화시킨 하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강기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양 측면에서 각각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로프용 훅이 1차적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측면부와, 상기 제1관통공을 통과한 로프용 훅이 2차적으로 관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측면부로 이루어진 측면부와, 그리고
상기 측면부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로프 이동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도르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로프용 훅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삽입된 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은 크기를 달리하고,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 하단에는 사용자 파지를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 각각에는 로프용 훅의 삽입과 인출을 용이하게 하게 위해 측면부 하단에서 상부방향으로 인입된 제1 및 제2 함물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함몰부의 함몰정도는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 크기와 각각 반비례하여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측면부 또는 제2측면부에는 로프용 훅이 장착된 상태에서 로프용 훅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용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하강기에 비해 로프용 훅의 삽입과 인출이 용이해지면서도 로프용 훅의 이동이 방지되어 사용에 따른 흔들림이 생기지 않아 편의성과 안전성 모두 증진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1 및 제2 측면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와 함몰부를 모두 구비하게 됨에 따라 로프용 훅이 안정적으로 장착되면서도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고 손가락 등이 끼이는 안전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게되었다는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로프용 훅의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시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용 커버를 더 구비하고, 측면부에 대한 고정용 커버의 장착 또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과 안정성 측면을 보다 강화시켰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강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제1측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b)는 제2측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c)는 측면도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강기를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강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제1측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b)는 제2측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c)는 측면도임.
도 4는 도 3의 하강기에 로프용 훅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장착되기 전의 상태, (b)는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 5는 도 3의 하강기에 고정용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강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하강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강기(P)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0)와 상기 상판부의 양 측면에서 연결형성된 측면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의 내면에는 한 쌍의 도르레(50)가 구비된다. 상기 도르레에 로프가 걸려 로프를 타고 본 발명의 하강기 이동이 이루어진다.
참고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암벽 등반을 하는 산악인(이하, 사용자로 통칭함)의 등반코스를 유도하기 위해 암벽에는 로프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로프를 본 발명에 구비된 도르레에 걸어 사용자는 로프를 따라 본 발명의 하강기를 잡으면서 안정되게 암벽을 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하강기(P)에는 로프용 훅(H)(일명, 카라비나)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로프용 훅(H)에는 역시 다른 로프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입고 있는 벨트 등과 연결이 되어 있다. 따라서 암벽을 탈 때 바람 등의 외부 요인으로 하강기에 장착된 로프용 훅이 흔들리게 되면 사용자의 안전에도 문제가 생기게 되는바 가능하면 장착된 로프용 훅은 흔들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프용 훅(H)의 통상적인 구조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O"형이나 "D"형 및 변형 "D"형으로 형성된 본체(H1)와, 본체의 일단에 연결되어 타단에 걸리면서 본체를 잠그게 되는 로커(H2)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하강기의 사용을 암벽 등반에서 사용되는 제품으로 한정하여 설명을 할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하강기는 암벽 등반에서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 내면에 도르레의 형성구조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제6,810,818호를 비롯한 통상적인 구조를 채용하기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상기 측면부(20)는 로프용 훅(H)이 1차적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공(212)이 형성된 제1측면부(210)와, 상기 제1관통공을 통과한 로프용 훅이 2차적으로 관통되는 제2관통공(222)이 형성된 제2측면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측면부(210)와 제2측면부(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다르게 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 삽입된 로프용 훅이 이후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즉, 로커(H2)의 일단이 접힌 상태에서 하강기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제2측면부(220)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는 로프용 훅의 로커(H2)를 접은 상태에서 로프용 훅 본체(H1)를 제1관통공(212)에 삽입시키고 다시 제2관통공(222)에 본체(H1)를 삽입시킨 후 접힌 로커(H2)를 풀어주게 되면 하강기에 대한 로프용 훅 장착이 완료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관통공(212)과 제2관통공(222)은 그 크기를 달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로프용 훅이 1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관통공(212)은 장공으로 형성하고, 2차적으로 로프용 훅이 삽입되는 제2관통공(222)은 로프용 훅의 지름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로프용 훅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삽입된 후 로프용 훅이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것과 같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관통공(212)은 로프용 훅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로프용 훅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는 장공으로 형성하고, 제2관통공(222)은 제1관통공에 삽입된 로프용 훅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로프용 훅의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을 하게 된다.
특히, 1차적으로 로프용 훅이 삽입되면 제2관통공으로 관통되는 것은 용이하기 때문에 제2관통공은 로프용 훅의 움직임을 잡아주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제1측면부(210)와 제2측면부(220)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30)가 연결 형성되는데, 이는 사용자를 위한 파지부로 기능하기 위함이다. 즉, 제1측면부에 형성된 걸림부는 제1걸림부(310)라 하고, 제2측면부에 형성된 걸림부는 제2걸림부(320)라 칭한다.
특히,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제1측면부(210)에 비해 제2측면부(220)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경우 파지상태에 따라 사용자는 로프용 훅의 로커(H2)를 건들기 쉬우며, 로커(H2)를 잘못 건들게 되는 경우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잠금이 해제되어 로커(H2)가 안쪽으로 접히게 되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한 안쪽으로 이동되어 로프용 훅에 끼이는 문제가 발생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파지부분을 충분히 주기 위하여 길게 형성되는 제1 측면부(210)는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킨 후 제1걸림부(310)를 형성하고, 제2측면부(220)의 경우 측면부 하단에 제2걸림부(320)를 형성하되, 돌출된 정도를 부각시킨다.
특히, 제1측면부의 경사구조와 제1걸림부로 인해 장착된 로프용 훅(H)은 제1측면부(210)로 편향되게 위치하게되고 로프용 훅 장착시 로프용 훅의 로커(H2) 위치보다 제2걸림부(320)가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취하게 되어 사용자가 로커를 건들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상기 제1측면부(210)와 제2측면부(220) 각각에는 측면부 하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인입된 제1 함몰부(214)와 제2함몰부(224)가 형성되어 있어, 로프용 훅의 삽입과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제1함몰부(214)가 형성되면, 장착된 로프용 훅은 제1함몰부에 삽입되어 흔들림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다음으로 도르레가 장착되는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내주면을 살펴보면, 장착되는 도르레(50)의 회전시 측면부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도르레가 장착되는 접면에는 돌출부(21)를 형성하는데, 상기 돌출부는 완만한 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측면부의 형성 길이와 제1 및 제2 함몰부의 함몰 정도 차이를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된 하강기 구조와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된 측면부의 제1측면부(210)와 제2측면부(220)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측면부 하단에서 형성된 제1함몰부(214)와 제2함몰부(224)는 함몰 정도가 다르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측면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212)은 장공형태이고, 제2측면부에 형성된 제2함몰부(224)는 장공형태로 함몰된 형상인 반면,
이와 반비례하여 제1측면부에 형성된 제1함몰부(214)와 제2측면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222)은 앞선 제2함몰부와 제1관통공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특히, 제2함몰부(224)의 경우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야 로프용 훅의 로커 접힘이 용이하고, 제2측면부(220) 또한 제1측면부(2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기에 사용자의 파지 또한 용이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편의성과 안정성 효과 모두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관통공과 제1 및 제2 함몰부를 통해 장착된 로프용 훅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를 보강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고정용 커버(40)를 더 구비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용 커버(40)는 제1측면부 또는 제2측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 5에서는 제1측면부(210)에 장착을 시켰다.
상기 고정용 커버(40)는 커버본체(41)와, 커버본체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로프용 훅을 수용하면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42)와, 커버본체에서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제1관통공에 걸리는 걸림훅(43)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고정용 커버가 제2측면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걸림훅은 제2관통공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걸림훅(43)을 제1관통공 상단쪽에 집어넣어 고정용 커버로 로프용 훅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본체(41) 내부에는 체결부(44)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1측면부에는 체결공(20a)이 형성되어 있어, 로프용 훅에 고정용 커버를 덮은 후 체결볼트로 조여 이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판부와 측면부에 중량 감소를 위한 살빼기공(20b)을 다수 형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조를 갖는 하강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될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 하강기
10: 상판부 20: 측면부
20a: 체결공 20b: 살빼기 공 21: 돌출부
210: 제1측면부 212: 제1관통공 214: 제1함몰부
220: 제2측면부 222: 제2관통공 224: 제2함몰부
30: 걸림부 310: 제1걸림부 320: 제2걸림부
40: 고정용커버 50: 도르레
41: 커버본체 42: 가이드부 43: 걸림훅 44: 체결부
H: 로프용 훅 H1: 본체 H2: 로커

Claims (4)

  1.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양 측면에서 각각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로프용 훅이 1차적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측면부와, 상기 제1관통공을 통과한 로프용 훅이 2차적으로 관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측면부로 이루어진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로프 이동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도르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로프용 훅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삽입된 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은 크기를 달리하고,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 하단에는 사용자 파지를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측면부 각각에는 로프용 훅의 삽입과 인출을 용이하게 하게 위해 측면부 하단에서 상부방향으로 인입된 제1 및 제2 함물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함몰부의 함몰정도는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 크기와 각각 반비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킨 하강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 또는 제2측면부에는 로프용 훅이 장착된 상태에서 로프용 훅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용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킨 하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커버는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로프용 훅을 수용하면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와,
    상기 커버본체에서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제1관통공 또는 제2관통공에 걸리기 위한 걸림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킨 하강기.
KR1020100035715A 2010-04-19 2010-04-19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킨 하강기 KR101138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715A KR101138435B1 (ko) 2010-04-19 2010-04-19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킨 하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715A KR101138435B1 (ko) 2010-04-19 2010-04-19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킨 하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343A KR20110116343A (ko) 2011-10-26
KR101138435B1 true KR101138435B1 (ko) 2012-04-26

Family

ID=45030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715A KR101138435B1 (ko) 2010-04-19 2010-04-19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킨 하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401340D0 (en) * 2014-01-24 2014-03-12 Internat Safety Component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zipwire trolley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9124A (ja) 1996-12-27 1999-11-24 Komet Sa 垂直ケーブル上の落下防止装置
US6810818B2 (en) * 2002-08-02 2004-11-02 Zedel Double pulley device for use for zip-line traversing on a rope or cable
US20070261915A1 (en) 2003-12-13 2007-11-15 Checkmate Uk Limited New Road Lifeline Trolley
US20090026011A1 (en) 2006-01-12 2009-01-29 Zedel Belay and Abseiling Apparatus For Single or Double Ro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9124A (ja) 1996-12-27 1999-11-24 Komet Sa 垂直ケーブル上の落下防止装置
US6810818B2 (en) * 2002-08-02 2004-11-02 Zedel Double pulley device for use for zip-line traversing on a rope or cable
US20070261915A1 (en) 2003-12-13 2007-11-15 Checkmate Uk Limited New Road Lifeline Trolley
US20090026011A1 (en) 2006-01-12 2009-01-29 Zedel Belay and Abseiling Apparatus For Single or Double R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343A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9609A (en) Brake apparatus for use in rappelling
US20050255976A1 (en) Retained impinger handgrip assembly
US20060192066A1 (en) Artificial rock with protective recess
KR20120001218A (ko) 헬멧의 벨트 걸이구
KR101138435B1 (ko)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킨 하강기
US20110011671A1 (en) Belaying apparatus with friction claw for climbing
KR101749054B1 (ko) 추락 방지용 안전사다리
US20160194196A1 (en) Retractable stirrup extension
TWM564661U (zh) 360度旋轉運動扣
KR200219067Y1 (ko) 완구용 그네의 로프 안전 지지구
KR101210722B1 (ko)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KR200461831Y1 (ko) 벨트 연결구
CN207445431U (zh) 兰布达悬挂式训练带
JP6997487B1 (ja) スキー板担持具及びスキー板担持方法
US6808094B1 (en) Apparatus to aid placement of boots on user's foot
KR200195861Y1 (ko) 버클
KR20110003172U (ko) 신발끈 걸이구
CN210355890U (zh) 一种攀岩安全道轨
US3032141A (en) Lineman's climbers
JP3020152U (ja) 高所からのロープ下降器
KR20030009552A (ko) 암벽등반용 자기확보기구
JP2006006713A (ja) ランドセル
JP3062285U (ja) ボトル容器用吊り下げ具
CN217139023U (zh) 一种新型缓冲式双大钩安全带
KR101691472B1 (ko) 배낭에 탈착이 용이한 스틱 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