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154B1 - Roket Pod Loading System - Google Patents

Roket Pod Load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154B1
KR101138154B1 KR1020080128961A KR20080128961A KR101138154B1 KR 101138154 B1 KR101138154 B1 KR 101138154B1 KR 1020080128961 A KR1020080128961 A KR 1020080128961A KR 20080128961 A KR20080128961 A KR 20080128961A KR 101138154 B1 KR101138154 B1 KR 101138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ocket pod
roller
intermediate beam
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70425A (en
Inventor
구자상
Original Assignee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154B1/en
Publication of KR2010007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4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34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on wheeled or endless-track vehicles
    • F41A23/42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on wheeled or endless-track vehicles for rocket thr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82Reloading or unloading of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26Mountings for transport only; Loading or unloading arrangements for guns for use with carrier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42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the launching apparatus being used also as a transport container for the r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로켓 포드(P) 탑재 시스템은, 발사대 하우징(10)과; 상기 발사대 하우징(1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빔(20)과; 상기 고정빔(20)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중간빔(30)과; 상기 중간빔(30)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중간빔 이송수단(40)과; 상기 로켓 포드(P)를 매단 상태로 상기 중간빔(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켓 포드(P)를 상기 발사대 하우징(10)의 내외로 이송시키기 위한 로켓 포드 운반대(50)와; 상기 중간빔(3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설치된 롤러(70)와; 일단부가 상기 고정빔(20)에 고정되고 상기 롤러(70)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중간빔(30) 및 그에 설치된 상기 롤러(70)가 상기 중간빔 이송수단(40)에 의해 이송되는 경우 상기 고정빔(20)에 고정된 상기 일단부가 상기 롤러(70)를 매개로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고정된 상기 타단부를 상기 중간빔(30)이 이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중간빔(30)이 이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쇄적으로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를 이송시키는 와이어(80);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빔(20)이 상기 발사대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ocket pod (P) moun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unch pad housing 10; A fixed beam 20 fixedly instal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aunch pad housing 10; An intermediate beam (30) installed in the fixed beam (20) so as to be transpor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 intermediate beam transfer means 40 for transferring the intermediate beam 3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rocket pod carriage (50) disposed inside the intermediate beam (30) with the rocket pod (P) suspended and for transporting the rocket pod (P) into and out of the launch pad housing (10); A roller 70 provided at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of the intermediate beam 30; One end is fixed to the fixed beam 2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ocket pod carriage 50 via the roller 70 so that the intermediate beam 30 and the roller 70 installed thereon are the intermediate. When transported by the beam transporting means 40, the other end fixed to the rocket pod carriage 50 through the roller 70, the one end fixed to the fixed beam 20, the intermediate beam ( Including the wire 80 for conveying the rocket pod carrier 5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beam 30 is conveyed by pull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30 is conveyed; Fixed beam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ilt-in without protruding outside the launch pad housing (10).

로켓, 포드, POD, 발사대  Rocket, Ford, POD, Launchers

Description

로켓 포드 탑재 시스템{Roket Pod Loading System}Rocket Pod Loading System

본 발명은 로켓 포드(POD) 발사대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로켓 포드(POD) 발사대 자체에 로켓 포드 하역을 수행할 수 있는 인양 장치가 마련된 로켓 포드(POD) 발사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cket pod (POD) launch 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cket pod (POD) launch pad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capable of carrying out rocket pod unloading on the rocket pod (POD) launch pad itself.

최근 다수개의 로켓이 장착된 로켓 포드(POD)를 발사대 시스템 내외로 인양하기 위해 별도의 인양 장치를 두는 대신에, 발사대 시스템 자체에 인양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로켓 포드의 인양 작업의 효율성을 꾀하고 있다.Recently, instead of having a separate lifting device to lift a plurality of rocket-mounted rocket pods (PODs) into and out of the launch pad system, a lift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launch pad system itself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rocket pod lifting operation.

예컨대, 최근 개발된 로켓 포드 전방 삽입형 발사대 체계(예: 미국의 MLRS, HIMARS, 영국의 LIMAWS 등)에 따르면, 외부에 별도의 크레인을 운용하는 대신에 시스템 자체에 내장된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로켓 포드를 탑재하고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recently developed rocket pod frontal launch pad system (e.g., MLRS, HIMARS in the United States, LIMAWS in the United Kingdom, etc.), instead of operating a separate crane externally, the rocket pods are built using a built-in lifting device. Equipped with.

그러나, 이러한 로켓 포드 전방 삽입형 발사대 체계에 따르면, 발사대 구조물 외부로 고정빔이 돌출되는 형식을 적용하고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rocket pod forward insert launcher system, the fixed beam is projected out of the launcher structure.

예컨대, 도 4는 종래의 로켓 포드 전방 삽입형 발사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종래의 로켓 포드 전방 삽입형 발사대에서 로켓 포드의 하역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For example, FIG. 4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rocket pod forward insert launcher, and FIG. 5 illustrates a process of unloading a rocket pod in a conventional rocket pod forward insert launcher.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로켓 포드 전방 삽입형 발사대는 발사대 하우징(1), 고정빔(2), 중간빔(3), 중간빔 이송수단(4), 로켓 포드 운반대(5), 로켓 포드 인양 수단(6), 피니언(7) 및 랙(8)으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the conventional rocket pod frontal launch pad has a launch pad housing (1), fixed beam (2), intermediate beam (3), intermediate beam transport means (4), rocket pod carrier (5), rocket pod lifting means. (6), pinion (7) and rack (8).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빔 이송수단(4)에 의해 중간빔(3)이 전방으로 이송함에 따라 고정빔(2) 내면에 마련된 랙(8)이 피니언(7)을 매개로 로켓 포드 운반대(5)의 상면에 마련된 피니언(7)을 회전시켜 로켓 포드 운반대(5)가 전방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빔(3) 및 로켓 포드 운반대(5)가 최전방으로 이송되어 발사대 하우징(1) 외부로 이탈되고 나면 로켓 포드 인양 수단(6)에 의해 로켓 포드(P)를 지상(G)으로 하역한다(도 5d).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5A and 5B, as the intermediate beam 3 is moved forward by the intermediate beam transport means 4, the rack 8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beam 2 is pinion ( The rocket pod carriage 5 is transported forward by rotating the pinion 7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cket pod carriage 5 through 7). And after the intermediate beam 3 and the rocket pod carriage 5 are transported to the forefront and out of the launch pad housing 1 as shown in FIG. 5C, the rocket pod P by the rocket pod lifting means 6. To the ground (G) (Fig. 5d).

그러나,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에는 고정빔(2)이 하우징(1)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발사대 전방부의 공간 활용에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을 해친다는 문제도 있었다.However, as shown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fixed beam 2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1,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front part of the launch pad is limited, but also damages the aesthetics.

이는 랙(7)이 전방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피니언(8)을 고정빔(2) 내부에 마련하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pinion 8 is provided inside the fixed beam 2 so that the rack 7 can move forward.

즉, 랙(7)의 충분한 전방 이송을 위해서는 피니언(8)의 길이를 확보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피니언(8)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빔(2)의 길이가 일정 거리 이상 되어야 하는 바, 결국 고정빔(2)이 발사대 하우징(1) 외부로 일정길이 이탈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That is, the length of the pinion (8) should be secured for sufficient forward transport of the rack (7). The beam 2 was forced to deviate a certain length outside the launch pad housing 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정빔이 발사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내장되어 있는 형태의 로켓 포드 탑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rocket pod mounted system of the type in which the fixed beam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launch pad housing, the technical probl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랙 피니언 구조 대신 롤러 및 와이어에 의해 로켓 포드 운반대를 이송시킴으로써 중간빔을 적게 이송시키더라도 충분한 로켓 포드 운반대의 이송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고정빔을 발사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내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porting the rocket pod carriage by rollers and wires instead of the conventional rack pinio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nsure a sufficient distance of the rocket pod carriage even if the intermediate beam is transported less. As a result, the fixed beam can be built without protruding outside the launch pad housing.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켓 포드(P) 탑재 시스템은, 발사대 하우징(10)과; 상기 발사대 하우징(1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빔(20)과; 상기 고정빔(20)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중간빔(30)과; 상기 중간빔(30)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중간빔 이송수단(40)과; 상기 로켓 포드(P)를 매단 상태로 상기 중간빔(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켓 포드(P)를 상기 발사대 하우징(10)의 내외로 이송시키기 위한 로켓 포드 운반대(50)와; 상기 중간빔(3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설치된 롤러(70)와; 일단부가 상기 고정빔(20)에 고정되고 상기 롤러(70)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고정되는 와이어(80);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빔(20)이 상기 발사대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rocket pod (P) moun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ch pad housing 10; A fixed beam 20 fixedly instal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aunch pad housing 10; An intermediate beam (30) installed in the fixed beam (20) so as to be transpor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 intermediate beam transfer means 40 for transferring the intermediate beam 3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rocket pod carriage (50) disposed inside the intermediate beam (30) with the rocket pod (P) suspended and for transporting the rocket pod (P) into and out of the launch pad housing (10); A roller 70 provided at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of the intermediate beam 30; A wire 8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xed beam 20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ocket pod carriage 50 via the roller 70. The fixed beam 20 includes the launch pad. The housing 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uilt without protruding outside.

상기 롤러(70)는 상기 중간빔(30)의 전단부에 설치된 제1 롤러(71)와; 상기 상기 중간빔(30)의 후단부에 설치된 제2 롤러(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ller 70 includes a first roller 71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intermediate beam 30; And a second roller 72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intermediate beam 30.

상기 와이어(80)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빔(2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롤러(71)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의 상면 후단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81)와; 일단부가 상기 고정빔(20)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롤러(72)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의 하면 전단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 80 has a first wir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beam 20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cket pod carriage 50 via the first roller 71. 81); A second wire (82) having one e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beam (20)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cket pod carriage (50) via the second roller (72).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와이어(80)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빔(20)에 고정되고 상기 롤러(70)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중간빔(30) 및 그에 설치된 상기 롤러(70)가 상기 중간빔 이송수단(40)에 의해 이송되는 경우 상기 고정빔(20)에 고정된 상기 일단부가 상기 롤러(70)를 매개로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고정된 상기 타단부를 상기 중간빔(30)이 이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중간빔(30)이 이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쇄적으로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wire 80 is fixed to the fixed beam 2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ocket pod carriage 50 via the roller 70, the intermediate beam 30 and installed therein When the roller 70 is transported by the intermediate beam transport means 40, the one end fixed to the fixed beam 20 is fixed to the rocket pod carriage 50 via the roller 70. By pulling the other 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termediate beam 30 is conveyed to convey the rocket pod carrier 50 in a chai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termediate beam 30 is conveyed It features.

본 발명에 따르면, 로켓 포드 운반대(50)를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메커니즘으로서, 종래와 같은 랙 피니언 구조 대신 롤러(70) 및 와이어(80)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로켓 포드 운반대(50)를 동일한 거리를 이송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중간빔 이송수단(40)의 이송거리가 랙 피니언 구조 보다 적게 요구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chanism for conveying the rocket pod carriage 50 forward and backward, by employing the roller 70 and the wire 80 structure instead of the conventional rack pinion structure, the rocket pod carriage 50 is the same. The conveying distance of the intermediate beam conveying means 40 required for conveying the distance is required less than that of the rack pinion structure.

그에 따라 종래의 시스템과 달리 고정빔(20)이 발사대 하우징(10)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내부에 내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unlike the conventional system, the fixed beam 20 may be configured to be embedded therein without protruding forward of the launch pad housing 10.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켓 포드(P) 탑재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로켓 포드(P) 탑재 시스템이 후방으로 후퇴된 상태와 전방으로 이송된 상태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로켓 포드(P) 탑재 시스템이 작동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cket pod (P) moun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rocket pod (P) moun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tracted to the rear and the state transferred to the front, respectively It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that. 3A to 3D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the rocket pod (P) moun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켓 포드(P) 탑재 시스템은 발사대 하우징(10)과, 고정빔(20)과, 중간빔(30)과, 중간빔 이송수단(40)과, 로켓 포드 운반대(50)와, 로켓 포드 인양 수단(60)과, 롤러(70)와, 와이어(80)로 구성되어 있다.1 to 3, the rocket pod (P) moun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unch pad housing (10), a fixed beam (20), an intermediate beam (30), an intermediate beam transport means (40), The rocket pod carrier 50, the rocket pod lifting means 60, the roller 70, and the wire 80 are comprised.

이하 각 구성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발사대 하우징(10)은 전체 구성을 수용하고 지지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Launch pad housing 10 serves to accommodate and support the overall configuration.

고정빔(20)은 발사대 하우징(1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명확히 확인되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빔(20)이 발사대 하우징(10)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이는 고정빔이 하우징 전방으로 돌출되었던 종래의 구조(도 4 및 도 5 참조)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The fixed beam 20 is fixedly instal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aunch pad housing 10. In particular, as will be clearly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beam 20 is not built in the front of the launch pad housing 10, it is embedded therein, which is a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fixed beam protrudes in front of the housing (See FIGS. 4 and 5).

중간빔(30)은 고정빔(20)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빔(30)은 상부 구조물(31)과 하부 구조물(32)로 되어 있고 상부 구조물(31)에는 후술할 중간빔 이송수단(40)의 이송체(41)가 결합되어 있다.The intermediate beam 3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side the fixed beam 20. As shown in FIG. 3, the intermediate beam 30 includes an upper structure 31 and a lower structure 32, and a transfer body 41 of the intermediate beam transfer means 4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upper structure 31. It is.

중간빔 이송수단(40)은 중간빔(30)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볼스크류를 채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빔 이송수단(40)의 이송체(41)는 중간빔(30)의 상부 구조물(31)에 고정되어 있고 그에 따라 중간빔 이송수단(40)의 전후방으로 이송함에 따라 그에 결합된 상부 구조물(31) 및 중간빔(30) 전체도 함께 전후 이송하게 된다.The intermediate beam transfer means 40 is a configuration for transferring the intermediate beam 3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preferably may employ a ball screw,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3, the conveying body 41 of the intermediate beam conveying means 40 is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31 of the intermediate beam 30, and thus is convey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intermediate beam conveying means 40. Accordingly, the entire upper structure 31 and the intermediate beam 30 coupled thereto are also transferred back and forth together.

로켓 포드 운반대(50)에는 로켓 포드(P)가 매달려 있으며 중간빔(30)의 내부에 배치되어 로켓 포드(P)를 발사대 하우징(10)의 내외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이다.The rocket pod P 50 is suspended from the rocket pod P and is disposed inside the intermediate beam 30 to move the rocket pod P into and out of the launch pad housing 10.

로켓 포드 인양 수단(60)은 로켓 포드 운반대(50)의 일측에 마련되어 로켓 포드(P)가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매달려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와이어와 로켓 포드(P)를 그립하기 위한 그립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로켓 포드(P)를 지상으로 하 역시키거나 하역된 로켓 포드(P)를 인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길이를 신축가능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rocket pod lifting means 6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cket pod carrier 50 to allow the rocket pod P to hang on the rocket pod carrier 50 and to grip the wire and the rocket pod P. It consists of a sieve. And the length of the rocket pod (P) can be adjusted to be stretchable so as to be able to lift the ground or to lift the unloaded rocket pod (P).

롤러(70)는 중간빔(3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와이어(80)를 가이드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롤러(70)는 중간빔(30)의 상부 구조물(31)의 전단부에 설치된 제1 롤러(71)와, 중간빔(30)의 하부 구조물(32) 후단부에 설치된 제2 롤러(72)로 구성되어 있다.The roller 70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of the intermediate beam 30 to guide and support the wire 80 to be described later. The roller 70 has a first roller 71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structure 31 of the intermediate beam 30 and a second roller 72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structure 32 of the intermediate beam 30. Consists of

와이어(80)는 그 일단부는 고정빔(20)에 고정되고 롤러(70)를 경유하여 타단부는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80)는 제1 와이어(81)와 제2 와이어(82)로 구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wire 80 is fixed to the fixed beam 2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ocket pod carriage 50 via the roller 70. Preferably, the wire 80 may be composed of a first wire 81 and a second wire 82.

제1 와이어(81)는 일단부(81-1)가 고정빔(20)의 상부(21)에 고정되고 제1 롤러(71)를 경유하여 타단부(81-2)가 로켓 포드 운반대(50)의 상면 후단에 고정된다.The first wire 81 has one end 81-1 fixed to the upper portion 21 of the fixed beam 20, and the other end 81-2 passes through the first roller 71. 50)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제2 와이어(82)는 일단부(82-1)가 고정빔(20)의 하부(22)에 고정되고 제2 롤러(72)를 경유하여 타단부(82-2)가 로켓 포드 운반대(50)의 하면 전단에 고정된다.The second wire 82 has one end 82-1 fixed to the lower portion 22 of the fixed beam 20, and the other end 82-2 passes through the second roller 72. 50) is fixed to the front end.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와이어(80)는 중간빔(30)이 이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로켓 포드 운반대(50)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중간빔(30)이 이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쇄적으로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를 이송시키게 된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wire 80 is continuously connec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beam 30 is transported by pulling the rocket pod carriage 5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beam 30 is transported. The rocket pod carrier 50 will be transported.

더 구체적으로, 중간빔(30) 및 그에 설치된 제1 및 제2 롤러(70)가 중간빔 이송수단(4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고정빔(20)에 고정된 제1 및 제2 와이어(81, 82)의 일단부(81-1, 82-1)가 제1 및 제2 롤러(71, 72)를 매개로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고정된 제1 및 제2 와이어 타단부(81-2, 82-2)를 전방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연쇄적으로 로켓 포드 운반대(50)도 전방으로 이송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intermediate beam 30 and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70 installed thereon are transported forward by the intermediate beam transport means 40, the first and second fixed to the fixed beam 20. One end 81-1, 82-1 of the wires 81, 82 is secured to the rocket pod carriage 50 via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71, 72. By pulling the ends 81-2 and 82-2 forward, the rocket pod carriage 50 is also conveyed forward.

이와 마찬가지로, 중간빔(30) 및 그에 설치된 제1 및 제2 롤러(70)가 중간빔 이송수단(4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고정빔(20)에 고정된 제1 및 제2 와이어(81, 82)의 일단부(81-1, 82-1)가 제1 및 제2 롤러(71, 72)를 매개로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고정된 제1 및 제2 와이어 타단부(81-2, 82-2)를 후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연쇄적으로 로켓 포드 운반대(50)도 후방으로 이송된다.Similarly, when the intermediate beam 30 and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70 installed thereon are transported backward by the intermediate beam transport means 40, the first and second wires fixed to the fixed beam 20. One end 81-1, 82-1 of (81, 82),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fixed to the rocket pod carriage 50 via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71, 72 By pulling back 81-2 and 82-2, the rocket pod carriage 50 is also conveyed backward.

이상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도 3a은 초기 상태로서 중간빔 이송수단(40)이 중간빔(30)을 최후방으로 위치시킨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로켓 포드 운반대(50)가 발사대 하우징(10) 내에 삽입되어 있고,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매달린 로켓 포드(P) 또한 발사대 하우징(10) 내에 위치하고 있다.First, FIG. 3A is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beam transfer means 40 positions the intermediate beam 30 rearmost. In this state, the rocket pod carriage 50 is inserted into the launch pad housing 10, and the rocket pod P suspended from the rocket pod carriage 50 is also located in the launch pad housing 10.

이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빔 이송수단(40)을 작동시켜 중간빔(30)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면 중간빔(30) 전방의 제1 롤러(71)와 중간빔(30) 후방의 제2 롤러(72)도 함께 전방으로 이송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3B, when the intermediate beam transfer means 40 is operated to transfer the intermediate beam 30 to the front, the first roller 71 and the intermediate beam 30 in front of the intermediate beam 30 are moved. The rear second roller 72 is also conveyed forward.

그에 따라 제1 및 제2 롤러(71, 72)에 가이드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81, 82)는 로켓 포드 운반대(50)를 연쇄적으로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wires 81, 82 guided to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71, 72 pull the rocket pod carriage 50 in series.

중간빔(30)이 전방으로 이송함에 따라 로켓 포드 운반대(50)도 연쇄적으로 전방으로 이송되는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As the intermediate beam 30 is moved forward, the rocket pod carriage 50 is also chained forward as follows.

제1 와이어(81)의 일단부(81-1)는 고정빔(20)에 결합되어 이동이 불가한 반 면, 제1 와이어(81)의 타단부(81-2)는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후로 이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 와이어(81)의 길이, 즉 제1 와이어(81)의 일단부(81-1)와 타단부(81-2)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81) 길이는 고정되어 있다.One end 81-1 of the first wire 81 is coupled to the fixed beam 20 and cannot move, while the other end 81-2 of the first wire 81 is a rocket pod carrier ( 50) can be transported back and forth. The length of the first wire 81, that is, the length of the first wire 81 connecting the one end 81-1 and the other end 81-2 of the first wire 81 is fixed.

따라서, 제1 롤러(71)가 전방으로 이송하면, 제1 와이어(81)의 일단부(81-1)와 제1 롤러(71)와의 거리는 증가하는 반면, 그 거리 증가분만큼 제1 와이어(81)의 타단부(81-2)와 제1 롤러(71)와의 거리는 줄어들어야 한다. 이와 같이, 제1 와이어(81)의 타단부(81-2)는 제1 롤러(71)와의 거리를 줄이기 위해 제1 롤러(71)로 근접하게 되며, 이는 곧 제1 와이어(81)의 타단부(81-2)가 전방으로 이송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와이어(81)의 타단부(81-2)가 전방으로 이송함에 따라 그에 결합된 로켓 포드 운반대(50)도 함께 전방으로 끌려 오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first roller 71 is moved forward, the distance between the one end 81-1 of the first wire 81 and the first roller 71 increases, while the first wire 81 increases by the distance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portion 81-2 and the first roller 71 should be reduced. As such, the other end 81-2 of the first wire 81 is brought closer to the first roller 71 to reduce the distance from the first roller 71,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81. It means that the end portion 81-2 moves forward. And as the other end portion 81-2 of the first wire 81 is moved forward, the rocket pod carriage 50 coupled thereto is also drawn forward.

또한, 중간빔(30)이 후방으로 이송함에 따라 로켓 포드 운반대(50)도 연쇄적으로 후방으로 이송되는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In addition, as the intermediate beam 30 is moved rearward, the mechanism in which the rocket pod carriage 50 is also sequentially transported backward is as follows.

제1 와이어(81)의 일단부(81-1)는 고정빔(20)에 결합되어 이동이 불가한 반면, 제1 와이어(81)의 타단부(81-2)는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후로 이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 와이어(81)의 길이, 즉 제1 와이어(81)의 일단부(81-1)와 타단부(81-2)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81) 길이는 고정되어 있다.One end 81-1 of the first wire 81 is coupled to the fixed beam 20 and cannot be moved, while the other end 81-2 of the first wire 81 is a rocket pod carriage 50. It is coupled to) so it can be transported back and forth. The length of the first wire 81, that is, the length of the first wire 81 connecting the one end 81-1 and the other end 81-2 of the first wire 81 is fixed.

따라서, 제1 롤러(71)가 후방으로 이송하면, 제1 와이어(81)의 일단부(81-1)와 제1 롤러(71)와의 거리는 감소하는 반면, 그 거리 감소분만큼 제1 와이어(81)의 타단부(81-2)와 제1 롤러(71)와의 거리는 늘어나야 한다. 이와 같이, 제1 와이어(81)의 타단부(81-2)는 제1 롤러(71)와의 거리를 늘이기 위해 제1 롤러(71)로부 터 멀어지게 되며, 이는 곧 제1 와이어(81)의 타단부(81-2)가 후방으로 이송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와이어(81)의 타단부(81-2)가 후방으로 이송함에 따라 그에 결합된 로켓 포드 운반대(50)도 함께 후방으로 끌려 오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first roller 71 is moved backward, the distance between the one end 81-1 of the first wire 81 and the first roller 71 is reduced, while the first wire 81 by the distance de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81-2 and the first roller 71 should be increased. As such, the other end 81-2 of the first wire 81 is moved away from the first roller 71 to increase the distance from the first roller 71, which is the first wire 81 of the first wire 81. It means that the other end 81-2 is conveyed to the rear. And as the other end portion 81-2 of the first wire 81 is moved backward, the rocket pod carriage 50 coupled thereto is also drawn to the rear.

한편, 제2 롤러(72)와 제2 와이어(82) 사이의 메커니즘도 이상 설명한 제1 롤러(71)와 제1 와이어(81) 사이의 메커니즘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mechanism between the 2nd roller 72 and the 2nd wire 82 is also the same as the mechanism between the 1st roller 71 and the 1st wire 81 demonstrat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러한 방식으로 중간빔 이송수단(40)에 의해 중간빔(30)이 전방으로 이송되고, 롤러(70) 및 와이어(80)에 의해 연쇄적으로 로켓 포드 운반대(50)도 전방으로 이송되다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빔(30)이 이송가능한 최전방까지 전진하면 로켓 포드 운반대(50)도 최전방까지 이송되어 결국 중간빔(30) 외측으로 돌출되고 발사대 하우징(10) 외부로 완전히 이탈된다.In this way, the intermediate beam 30 is forwarded by the intermediate beam transport means 40, and the rocket pod carriage 50 is also transported forward by the roller 70 and the wire 80, As shown in FIG. 3C, when the intermediate beam 30 is advanced to the forefront of the transport, the rocket pod carriage 50 is also transported to the forefront and eventually protrudes out of the intermediate beam 30 and completely exits from the outside of the launch pad housing 10. do.

그리고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매달린 로켓 포드(P)도 발사대 하우징(10)의 외부로 완전히 이탈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the rocket pod P suspended from the rocket pod carrier 50 is also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launch pad housing 10.

이와 같이 로켓 포드 운반대(50) 및 그에 매달린 로켓 포드(P)가 발사대 하우징(10)의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면, 도 3d와 같이 로켓 포드 인양 수단(60)의 길이를 신장시켜 로켓 포드(P)를 지면(G)으로 하역시킴으로써 발사대 차량(V)으로부터 로켓 포드(P) 하역 작업이 완료된다.When the rocket pod carrier 50 and the rocket pod P suspended therefrom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launch pad housing 10, the rocket pod lifting means 60 is extende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rocket pod P as shown in FIG. 3D. ), The loading and unloading work of the rocket pod P from the launcher vehicle V is completed.

한편, 지상에 하역되어 있는 로켓 포드(P)를 발사대 차량(V)으로 장착하기 위해서는 이상의 과정과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ount the rocket pod P loaded on the ground as the launch pad vehicle V, the above procedure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구성상 특징은 종래의 시스템과 달리 고정빔(20)이 발사대 하우징(10)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는 점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ost important configuration feature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unlike the conventional system, the fixed beam 20 does not protrude forward of the launch pad housing 10 but is embedded therein.

이는 로켓 포드 운반대(50)를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메커니즘으로서, 종래와 같은 랙 피니언 구조 대신 롤러(70) 및 와이어(80) 구조를 채용하였기 때문이다. 즉, 롤러(70) 및 와이어(80) 구조에 의해 로켓 포드 운반대(50)을 동일한 거리를 이송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중간빔 이송수단(40)의 이송거리가 랙 피니언 구조 보다 적게 요구된다.This is because the roller 70 and the wire 80 structure are adopted as a mechanism for transferring the rocket pod carriage 50 forward and backwar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rack pinion structure. That is, the transport distance of the intermediate beam transport means 40 required to transport the rocket pod carriage 50 the same distance by the roller 70 and the wire 80 structure requires less than the rack pinion structure.

즉, 종래에는 랙이 전방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피니언을 고정체 내부에 마련하였는 바, 랙의 충분한 전방 이송을 위해 피니언의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정체의 길이가 일정 거리 이상 되어야 하고 결국 고정체가 발사대 하우징 외부로 일정길이 이탈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That is, conventionally, the pinion is provided inside the fixture to allow the rack to move forward. To ensure the length of the pinion for sufficient forward transfer of the rack, the length of the fixture must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distance. Had to deviate a certain length outside the launch pad housing.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e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켓 포드(P) 탑재 시스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cket pod (P) moun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로켓 포드(P) 탑재 시스템이 후방으로 후퇴된 상태와 전방으로 이송된 상태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Figure 2a and Figure 2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rocket pod (P) moun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tracted backward and forwarded, respectively.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로켓 포드(P) 탑재 시스템이 작동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3a to 3d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p-by-step process of operating the rocket pod (P) moun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종래의 로켓 포드 전방 삽입형 발사대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rocket pod frontal launch pad.

도 5는 종래의 로켓 포드 전방 삽입형 발사대에서 로켓 포드의 하역 과정을 설명한 도면.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for unloading a rocket pod in a conventional rocket pod front insertion pa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P: 로켓 포드 G: 지면P: Rocket Ford G: Ground

V: 발사대 차량 1, 10: 발사대 하우징V: launch pad vehicle 1, 10: launch pad housing

2, 20: 고정빔 3, 30: 중간빔2, 20: fixed beam 3, 30: intermediate beam

4, 40: 중간빔 이송수단 5, 50: 로켓 포드 운반대4, 40: medium beam transport means 5, 50: rocket pod carrier

6, 60: 로켓 포드 인양수단 7: 피니언6, 60: Rocket Pod Lifting Means 7: Pinion

70: 롤러 71: 제1 롤러 70: roller 71: first roller

72: 제2 롤러 8: 랙72: second roller 8: rack

80: 와이어 81: 제1 와이어80: wire 81: first wire

82: 제2 와이어 81-1, 82-1: 와이어 일단부82: second wire 81-1, 82-1: wire end

81-2, 82-2: 와이어 타단부81-2, 82-2: Wire other end

Claims (4)

다수개의 로켓을 수용하는 로켓 포드(P) 탑재 시스템으로서,A rocket pod-mounting system that accommodates multiple rockets, 발사대 하우징(10)과;A launch pad housing 10; 상기 발사대 하우징(1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빔(20)과;A fixed beam 20 fixedly instal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aunch pad housing 10; 상기 고정빔(20)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송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중간빔(30)과;An intermediate beam (30) installed in the fixed beam (20) so as to be transpor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상기 중간빔(30)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중간빔 이송수단(40)과;An intermediate beam transfer means 40 for transferring the intermediate beam 30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로켓 포드(P)를 매단 상태로 상기 중간빔(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켓 포드(P)를 상기 발사대 하우징(10)의 내외로 이송시키기 위한 로켓 포드 운반대(50)와;A rocket pod carriage (50) disposed inside the intermediate beam (30) with the rocket pod (P) suspended and for transporting the rocket pod (P) into and out of the launch pad housing (10); 상기 중간빔(3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설치된 롤러(70)와;A roller 70 provided at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of the intermediate beam 30; 일단부가 상기 고정빔(20)에 고정되고 상기 롤러(70)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고정되는 와이어(80);A wire 8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xed beam 20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ocket pod carriage 50 via the roller 70; 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빔(20)이 상기 발사대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 포드(P) 탑재 시스템.Including the fixed beam (20) is a rocket pod (P) moun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uilt-in without protruding outside the launch pad housing (1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롤러(70)는 상기 중간빔(30)의 전단부에 설치된 제1 롤러(71)와; 상기 상기 중간빔(30)의 후단부에 설치된 제2 롤러(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 포드(P) 탑재 시스템.The roller 70 includes a first roller 71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intermediate beam 30; And a second roller (72)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intermediate beam (30).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와이어(80)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빔(2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롤러(71)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의 상면 후단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81)와; 일단부가 상기 고정빔(20)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롤러(72)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의 하면 전단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 포드(P) 탑재 시스템.The wire 80 has a first wir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beam 20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cket pod carriage 50 via the first roller 71. 81); A second wire (82) having one e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beam (20)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cket pod carriage (50) via the second roller (72). Rocket pod (P) moun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와이어(80)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빔(20)에 고정되고 상기 롤러(70)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중간빔(30) 및 그에 설치된 상기 롤러(70)가 상기 중간빔 이송수단(40)에 의해 이송되는 경우 상기 고정빔(20)에 고정된 상기 일단부가 상기 롤러(70)를 매개로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에 고정된 상기 타단부를 상기 중간빔(30)이 이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중간빔(30)이 이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쇄적으로 상기 로켓 포드 운반대(50)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 포드(P) 탑재 시스템.One end of the wire 80 is fixed to the fixed beam 20,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80 is fixed to the rocket pod carriage 50 by way of the roller 70, thereby providing the intermediate beam 30 and the roller installed thereon. When the 70 is conveyed by the intermediate beam conveying means 40, the other end fixed to the fixed beam 20 is fixed to the rocket pod carriage 50 via the roller 70. Pulling an end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beam 30 is transported to transport the rocket pod carriage 5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beam 30 is transported. Rocket Pod (P) mounting system.
KR1020080128961A 2008-12-18 2008-12-18 Roket Pod Loading System KR1011381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961A KR101138154B1 (en) 2008-12-18 2008-12-18 Roket Pod Load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961A KR101138154B1 (en) 2008-12-18 2008-12-18 Roket Pod Load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425A KR20100070425A (en) 2010-06-28
KR101138154B1 true KR101138154B1 (en) 2012-04-23

Family

ID=4236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961A KR101138154B1 (en) 2008-12-18 2008-12-18 Roket Pod Load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15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490B1 (en) 2017-11-23 2019-08-28 주식회사 한화 Cable shielding structure of rocket pod and rocket pod having the same
WO2020093115A1 (en) * 2018-11-09 2020-05-14 Mac Jee Indústria De Defesa Ltda. Replenishment system for a rocket launcher vehicle
IT201900001627A1 (en) * 2019-02-05 2020-08-05 Mbda italia spa Missile launch group and missile launcher comprising said launch grou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9595U (en) * 1988-02-23 1989-09-04
JPH0717605A (en) * 1993-06-30 1995-01-20 Kongo Kk Load transfer device
KR20020003641A (en) * 2000-06-22 2002-01-15 이중구 Telescopic conveyor system
KR20020069522A (en) * 2001-02-26 2002-09-0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Device for loading sho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9595U (en) * 1988-02-23 1989-09-04
JPH0717605A (en) * 1993-06-30 1995-01-20 Kongo Kk Load transfer device
KR20020003641A (en) * 2000-06-22 2002-01-15 이중구 Telescopic conveyor system
KR20020069522A (en) * 2001-02-26 2002-09-0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Device for loading sho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490B1 (en) 2017-11-23 2019-08-28 주식회사 한화 Cable shielding structure of rocket pod and rocket pod having the same
WO2020093115A1 (en) * 2018-11-09 2020-05-14 Mac Jee Indústria De Defesa Ltda. Replenishment system for a rocket launcher vehicle
IT201900001627A1 (en) * 2019-02-05 2020-08-05 Mbda italia spa Missile launch group and missile launcher comprising said launch group
EP3693691A1 (en) * 2019-02-05 2020-08-12 MBDA ITALIA S.p.A. Missile launching assembly and missile launcher comprising said launching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425A (en)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154B1 (en) Roket Pod Loading System
JP2020508272A5 (en)
CA2838313A1 (en) Multi-tier automated warehouse
KR101374920B1 (en) Automatic loading apparatus
KR20100056819A (en)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vehicle and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comprising the device
KR100733846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test tray for handler
JP6621279B2 (en) Work transfer device
KR101495324B1 (en) System for Unloading PCB with Buffer Member
KR102050875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charge
RU2010133166A (en) COMMISSION TROLLEY FOR TRANSPORTATION OF COMMISSIONED PRODUCTS
KR101405303B1 (en) Carrier board transfer apparatus for test handler
KR101138058B1 (en) Carrier transfer apparatus using conveyor belt
KR20130024001A (en) Transfer unit and the method which use a buffering
KR102402383B1 (en) Test handler
US5050477A (en) Helicopter including missile transporting and launching apparatus
KR101782922B1 (en) Automatic bending system of pipe
JP5472180B2 (en) Roll body storage equipment
JP5030516B2 (en) Ammunition loading device
CN107680746B (en) Full-automatic single-pressure single-penetrating plastic shell sleeving machine
JP2001155399A (en) Magnetic tape library device
CN111077403A (en) Processo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CN216583116U (en) Product transfer assembly
JP2007137600A (en) Conveying device
JPS60153306A (en) Device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print circuit board
KR100457818B1 (en) A shot automatic transf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