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586B1 - 복합 원심분리기 - Google Patents
복합 원심분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7586B1 KR101137586B1 KR1020120013031A KR20120013031A KR101137586B1 KR 101137586 B1 KR101137586 B1 KR 101137586B1 KR 1020120013031 A KR1020120013031 A KR 1020120013031A KR 20120013031 A KR20120013031 A KR 20120013031A KR 101137586 B1 KR101137586 B1 KR 1011375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heavy liquid
- level control
- rotating body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83—Configuration of liquid outlet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원심분리기는 스크류가 내설된 회전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면 중앙의 안치홈과 후면 중앙의 통공을 포함하는 후방돌출부와 외측의 경액배출공 및 중액배출공이 형성된 회전체플랜지와, 중앙의 관통홀과 외측에 경액배출홀과 중액배출홈이 형성된 분리격막판과, 전면 중앙에 돌출공을 포함하는 전방돌출부가 형성된 전방플랜지샤프트와, 전방에 원액투입관공을 포함하는 삽입부와 후방에는 안치홈에 수용되는 몸체부와 외주면에 경액배출로가 형성되는 편심형사이폰과, 상기 전방돌출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일측에 경액배출로와 연결되는 경액배출구가 형성되며 중앙에 원액투입관홀이 형성되는 전방베어링하우징과, 원액투입관홀, 돌출공, 원액투입관공, 통공 및 관통홀에 내입되어 원액을 주입하는 원액투입관 및 중액배출공 상에 구비되는 수위고저조절변을 포함하는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수위고저조절변은 상기 회전체플랜지의 일측에 상기 중액배출공과 연통되게 형성된 조절홈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액수위조절댐과, 상기 중액수위조절댐의 외주에 결합된 오링과, 상기 중액수위조절댐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중액수위조절댐의 조절 또는 차단에 의해 3상의 원액으로부터 중액을 분리하거나 2상의 원액을 분리함으로써 2상과 3상의 원심분리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수한 오일, 음식물, 화학분야 등 비중이 다른 두가지 물성 또는 세가지 물성인 경액, 중액, 고형물로 이루어진 슬러리 형태의 원액으로부터 일거에 각각의 성분을 2상 또는 3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복합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크류디캔터(Screw Decanter)형 원심분리기는 회전체의 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비중이 다른 두 성분인 고형물(Sludge)과 액체(Liquid)로 이루어진 원액을 2상으로 분리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원액 속에 고형물과 액체의 2상 분리에 국한되어 통상적인 상하수도 및 식품분야에는 적용 가능하나 오일 3상, 음식물 3상, 화학적 3상 분리 등 특수한 산업분야에 적용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비중이 다른 세성분인 경액, 중액, 고형물로 이루어진 슬러리 형태의 원액을 3상 분리하기 위해서는 고형물과 액체(경액과 중액이 혼합된 것)를 2상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를 행한 후, 초원심기 또는 세퍼레이터에 의해 경액과 중액을 분리하는 액액분리를 행하는 방법이 사용되어왔으나, 이러한 방식은 분리공정이 2단계로 되어있어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고액분리기와 별도로 액액분리기를 따로 배치해야하므로 추가적인 작업공간이 필요하며, 각각의 기기를 운영하고, 보수 관리해야 하므로 인력의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3상원심분리기"(선행기술)를 출원하여 특허등록번호 10-1010056(2011.1.14)와 같이 등록된 바 있다.
이것은 후면부에 분리격막판이 결합되고, 중액배출구에 수위고저조절변이 삽입된 회전체플랜지의 후면부가 회전체에 결합되며, 회전체플랜지의 전면부에는 편심형사이폰이 안치되고 전방플랜지샤프트가 결합되며, 전방플랜지샤프트에는 베어링을 게재한 전방베어링하우징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여 특수한 오일, 음식물, 화학분야 등 비중이 다른 세성분인 경액(Light Liquid), 중액(Heavy Liquid), 고형물(Sludge)로 이루어진 슬러리(Slurry)형태의 원액을 일거에 각각의 성분으로 3상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은 분리격막판, 수위고저조절변, 체크엔빌, 체크볼, 안치대, 스프링, 압력조절게이지를 결합하여 비중이 다른 세가지 물성으로 이루어진 원액을 3상으로만 분리 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원액속의 경액, 중액, 슬러지로 3상 분리하는데 국한되어 오히려 통상적인 축산폐수, 상하수도 및 식품분야에 적용되는 2상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화학적 3상 분리시 수위고저조절변에 결합된 압력스프링에 외부적요인에 의한 부식, 스프링의 탄성값 물성변화 등이 문제가 되어 3상 분리의 연속운전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생산자(소비자)가 2상과 3상을 운전할때는 당초 3상 원심분리기로서는 2상을 처리하지 못하고 또 다른 2상 원심분리기를 구입하여 운전해야하므로 이것은 2상 원심분리기와 3상 원심분리기를 따로 배치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추가적인 작업공간과 기계구입비, 운영인건비, 작업의 효율성, 유지관리비 등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요인이 되어 생산 제조 원가의 상승을 가져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수위고저조절변의 구조를 이용하여 1대의 장치에서 2상 또는 3상 분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복합 원심분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공 형상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와, 상기 회전체의 일측을 덮도록 결합되되 전면 중앙에 안치홈이 형성되고 후면 중앙에는 관통된 통공을 포함하는 후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돌출부의 외측에는 경액배출공이 길이방향으로, 중액배출공이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관통 형성되는 회전체플랜지와, 상기 회전체플랜지의 후면에 결합되되 중앙에 상기 후방돌출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외측에 상기 경액배출공 및 중액배출공과 각각 연통되는 경액배출홀 및 중액배출홈이 형성된 분리격막판과, 상기 안치홈을 밀폐하도록 결합되고 전면 중앙에는 관통된 돌출공을 포함하는 전방돌출부가 형성된 전방플랜지샤프트와, 전방에 상기 돌출공에 삽입되고 내부에 원액투입관공이 형성된 삽입부와 후방에는 상기 안치홈에 수용되고 외주면에 일측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 일측으로 경액배출로가 형성되는 몸체부로 구성되는 편심형사이폰과, 상기 전방돌출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에 상기 경액배출로와 연결되는 경액배출구가 형성되며 중앙에 원액투입관홀이 형성되는 전방베어링하우징과, 상기 원액투입관홀, 돌출공, 원액투입관공, 통공 및 관통홀에 내입되어 분리하고자 하는 원액을 상기 회전체로 주입하는 원액투입관 및 상기 중액배출공 상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중액의 유동을 제어하는 수위고저조절변을 포함하는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수위고저조절변은 상기 회전체플랜지의 일측에 상기 중액배출공과 연통되게 형성된 조절홈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액수위조절댐과, 상기 중액수위조절댐의 외주에 결합된 오링과, 상기 중액수위조절댐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중액수위조절댐의 조절 또는 차단에 의해 3상의 원액으로부터 중액을 분리하거나 2상의 원액을 분리함으로써 2상과 3상의 원심분리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원심분리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액수위조절댐은 상기 조절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에는 상기 중액배출공 상에 형성된 V홈에 밀착되도록 V자 형의 앤빌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원심분리기를 이용하면, 2상과 3상의 비중이 다른 각각의 2상 또는 3상 물성을 수위고저조절변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손쉽게 2상, 3상 용도에 맞게 분리할 수 있어서 특수한 3상 오일, 음식물, 화학분야 및 2상 원심분리인 상하수, 축산폐수, 산업용 화학분야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1대의 기계로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원심분리시 2단 분리공정을 거치지 않고 1대의 기계로 교차분리함으로써 시간을 줄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별도로 액 액분리기나 고액분리기를 따로 배치하지 않아 추가적인 작업공간이 필요없다. 또한 기기를 운영하고 유지관리해야 하는 인력의 소모를 줄여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제조원가와 경쟁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따른 복합 원심분리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3, 도 4, 도 5는 도 2에서 B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수위고저조절변의 구조, 결합 및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의 분해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의 결합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3, 도 4, 도 5는 도 2에서 B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수위고저조절변의 구조, 결합 및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의 분해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의 결합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따른 복합 원심분리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3, 도 4, 도 5는 도 2에서 B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수위고저조절변의 구조, 결합 및 작동상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의 분해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의 결합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원심분리기(1)는 크게 회전체(10), 스크류(20), 회전체플랜지(60), 분리격막판(50), 전방플랜지샤프트(40), 편심형사이폰(80), 전방베어링하우징(90), 원액투입관(30), 수위고저조절변(70)을 포함해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먼저, 회전체(10)는 원통형 관과 콘형상 관이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측에 슬러지배출공(1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크류(20)가 내설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0)의 후방(도 1에서 좌측)에는 후방플랜지샤프트(49)가 결합되고, 상기 후방플랜지샤프트(49)에는 베어링(100)을 게재한 후방베어링하우징(99)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체(10)의 전방(도 1에서 우측)에는 분리격막판(50), 회전체플랜지(60), 편심형사이폰(80), 전방플랜지샤프트(40), 전방베어링하우징(90)이 차례로 결합되고 상기 각 구성의 중앙을 원액투입관(30)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회전체(10) 내부에 내입된 상태로 전체의 형상을 이룬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후방플랜지샤프트(49)에 모터(미도시)에 연결된 기어박스(미도시)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1, 2, 6 및 7을 참조하여 회전체플랜지(6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회전체플랜지(6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지면서 전면 중앙에 안치홈(64)이 형성되고, 반대편인 후면 중앙에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의 후방돌출부(6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방돌출부(65)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전후방을 관통하는 통공(61)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원액투입관(30)이 내입되어 상기 회전체(10)와 연통시킨다.
그리고 상기 후방돌출부(65)의 외측 둘레에는 경액배출공(63)과 중액배출공(62)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데, 상기 경액배출공(63)이 내측, 중액배출공(62)이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한다. 또 상기 경액배출공(63)은 상기 후방돌출부(65)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관통되지만, 상기 중액배출공(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플랜지(60)의 후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다가 절곡되어 측면 다시 말해, 반경방향으로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회전체플랜지(60)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회전체(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턱(66)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6 및 7을 참조하여 분리격막판(5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분리격막판(50)은 상기 회전체(10)와 회전체플랜지(6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체플랜지(60)의 후면에 안착된다.
대략 일측으로 움푹 들어간 원형 디스크 형상을 가지면서 중앙에 상기 후방돌출부(65)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관통홀(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51)의 둘레 외측에 경액배출홀(53)과 중액배출홈(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액배출홀(53)은 상기 관통홀(5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체플랜지(60)의 경액배출공(63)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중액배출홈(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경사지게 전면으로 유로가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물론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6 및 7을 참조하여 전방플랜지샤프트(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전방플랜지샤프트(40)는 상기 안치홈(64)을 덮어 밀폐하는 원판 부분과 전면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전방돌출부(4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방돌출부(45)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전후방 관통된 돌출공(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돌출부(45)는 후술하는 전방베어링하우징(90)에 일부 삽입되며, 상기 돌출공(41)에는 후술하는 편심형사이폰(80)의 삽입부(85)가 삽입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전방플랜지샤프트(40)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회전체플랜지(60)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턱(46)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6 및 7을 참조하여 편심형사이폰(8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편심형사이폰(80)은 상기 전방플랜지샤프트(4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데, 원판 형상의 몸체부(86)와 돌출된 형상의 삽입부(8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86)와 삽입부(85)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전후방 관통된 원액투입관공(8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86)는 상기 안치홈(64)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삽입부(85)는 상기 돌출공(41)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몸체부(86)와 삽입부(85)의 일측내부에는 경액배출로(83)가 형성된다. 상기 경액배출로(83)는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상기 몸체부(86)의 측면에서 관통 형성되어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삽입부(85)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단부에서 후술하는 전방베어링하우징(90)의 경액배출구(93)와 연통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6 및 7을 참조해서 전방베어링하우징(90)을 설명한다.
상기 전방베어링하우징(90)은 상기 전방플랜지샤프트(4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전방돌출부(45)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내부에 결합홈(96)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돌출부(45)가 삽입되고, 베어링(100)에 의해 지지된다.
또 전방 중앙에 원액투입관(30)이 통과하도록 원액투입관홀(91)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경액배출로(83)와 연결되는 경액배출구(93)가 형성되어 분리된 경액을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경액배출구(93)는 상기 경액배출로(83)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원액투입관(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액투입관홀(91), 돌출공(41), 원액투입관공(81), 통공(61) 및 관통홀(51)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회전체(10) 내부에 내입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원액을 상기 회전체(10) 내부로 주입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핵심에 해당하는 수위고저조절변(70)에 대해 도 2, 3, 4 , 5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위고저조절변(70)은 상기 회전체플랜지(60)의 중액배출공(62)의 유로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중액의 유동을 제어한다. 즉 댐과 같이 수위를 조절하여 유동량, 유속 혹은 유동압을 조절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위고저조절변(70)은 중액수위조절댐(72)과 오링(73) 및 고정너트(71)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중액수위조절댐(72)은 원형봉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플랜지(60)의 일측면에서 상기 중액배출공(62)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조절홈(67)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중액수위조절댐(72)은 상기 조절홈(67) 내에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중액수위조절댐(72)은 슬라이딩부(72a)와 나사부(72b)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슬라이딩부(72a)는 상기 조절홈(67)에 단순히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나사부(72b)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홈(67)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중액수위조절댐(7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중액수위조절댐(72)은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액수위조절댐(72)의 외주 다시 말하면, 상기 슬라이딩부(72a)의 외주에는 오링(73)이 더 구비되어 누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나사부(72b)의 상단에는 고정너트(71)가 체결되어 상기 중액수위조절댐(7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바람한 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액배출공(62) 상에 V홈(62c)이 형성되고, 상기 V홈(62c)에 밀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72a)의 하단에 V자 형상의 앤빌(72c)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먼저, 생산물성이 2상 또는 3상 원액의 물성에 맞추어 상기 수위고저조절변(70)의 중액수위조절댐(72)을 조작하여 2상 또는 3상 운전을 지정하고 상기 후방플랜지샤프트(49)에 동력원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체(10)를 회전시킨다.
즉, 원액이 2상일 경우 상기 중액수위조절댐(72)을 완전히 하강시켜 상기 앤빌(72c)이 상기 V홈(62c)에 밀착되게 하여 상기 중액배출공(62)을 완전히 차단하면 되고, 3상일 경우 상기 중액수위조절댐(72)을 적절하게 승강시켜 상기 중액배출공(62)을 통해 배출되는 중액의 유동을 조절한다.
참고로 상기 나사부의 1피치 진행에 약2mm 정도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체(1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3상 운전의 경우는, 상기 원액투입관(30)을 통해 원액(200)을 투입하면 상기 회전체(10)의 원심력에 의해 원액(200)은 도 1, 2와 같이 비중이 큰 슬러지(210), 중액(220), 경액(230) 순서로 상기 회전체(10) 내부면에 층을 형성하게 되면서 비중이 큰 슬러지(210)는 상기 스크류(20)에 의해 상기 슬러지배출공(11)으로 배출되고, 슬러지(210)보다 비중이 작은 중액(220)은 상기 분리격막판(50)의 중액배출홈(52)과 상기 회전체플랜지(60)의 중액배출공(62)을 통해 상기 수위고저조절변(70)의 중액수위조절댐(72)을 통과하면서 배출되며, 중액(220)보다 비중이 작은 경액(230)은 상기 분리격막판(50)의 경액배출홀(53)과 상기 회전체플랜지(60)의 경액배출공(63)을 통해 상기 안치홈(64)에 도달하고 이어 상기 편심형사이폰(80)의 경액배출로(83) 및 상기 전방베어링하우징(90)의 경액배출구(9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2상 운전의 경우는, 도 1 및 5와 같이 상기 중액수위조절댐(72)을 완전히 차단하면 상기 중액배출공(62)은 폐쇄되어 중액(220)의 배출은 차단된다. 따라서, 2상에서 원심분리된 액상은 상기 분리격막판(50)의 경액배출홀(53)과 회전체플랜지(60)의 경액배출공(63)을 통해 상기 안치홈(64)에서 상기 경액배출로(83)와 경액배출구(93)를 통해 배출되고, 슬러지(210)는 동일하게 스크류(20)에 의해 상기 슬러지배출공(11)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복합 원심분리기
10 : 회전체 11 : 슬러리배출공
20 : 스크류
30 : 원액투입관 31 : 원액투입구
32 : 원액배출구
40 : 전방플랜지샤프트 41 : 돌출공
45 : 전방돌출부 46 : 결합턱
49 : 후방플랜지샤프트
50 : 분리격막판 51 : 관통홀
52 : 중액배출홈 53 : 경액배출홀
54 : 오링
60 : 회전체플랜지 61 : 통공
62 : 중액배출공 62a : 유입구
62b : 유출구 62c : V홈
63 : 경액배출공 64 : 안치홈
65 : 후방돌출부 66 : 결합턱
67 : 조절홈
70 : 수위고저조절변 71 : 고정너트
72 : 중액수위조절댐 72a : 슬라이딩부
72b : 나사부 72c : 앤빌
73 : 오링
80 : 편심형사이폰 81 : 원액투입관공
83 : 경액배출로 85 : 삽입부
86 : 몸체부
90 : 전방베어링하우징 91 : 원액투입관홀
93 : 경액배출구 96 : 결합홈
99 : 후방베어링하우징
100 : 베어링 101 : 삽입홀
200 : 원액 210 : 슬러지
220 : 중액 230 : 경액
10 : 회전체 11 : 슬러리배출공
20 : 스크류
30 : 원액투입관 31 : 원액투입구
32 : 원액배출구
40 : 전방플랜지샤프트 41 : 돌출공
45 : 전방돌출부 46 : 결합턱
49 : 후방플랜지샤프트
50 : 분리격막판 51 : 관통홀
52 : 중액배출홈 53 : 경액배출홀
54 : 오링
60 : 회전체플랜지 61 : 통공
62 : 중액배출공 62a : 유입구
62b : 유출구 62c : V홈
63 : 경액배출공 64 : 안치홈
65 : 후방돌출부 66 : 결합턱
67 : 조절홈
70 : 수위고저조절변 71 : 고정너트
72 : 중액수위조절댐 72a : 슬라이딩부
72b : 나사부 72c : 앤빌
73 : 오링
80 : 편심형사이폰 81 : 원액투입관공
83 : 경액배출로 85 : 삽입부
86 : 몸체부
90 : 전방베어링하우징 91 : 원액투입관홀
93 : 경액배출구 96 : 결합홈
99 : 후방베어링하우징
100 : 베어링 101 : 삽입홀
200 : 원액 210 : 슬러지
220 : 중액 230 : 경액
Claims (3)
- 중공 형상의 회전체(10)와, 상기 회전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20)와, 상기 회전체(10)의 일측을 덮도록 결합되되 전면 중앙에 안치홈(64)이 형성되고 후면 중앙에는 관통된 통공(61)을 포함하는 후방돌출부(65)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돌출부(65)의 외측에는 경액배출공(63)이 길이방향으로, 중액배출공(62)이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관통 형성되는 회전체플랜지(60)와, 상기 회전체플랜지(60)의 후면에 결합되되 중앙에 상기 후방돌출부(65)가 삽입되는 관통홀(5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51)의 외측에 상기 경액배출공(63) 및 중액배출공(62)과 각각 연통되는 경액배출홀(53) 및 중액배출홈(52)이 형성된 분리격막판(50)과, 상기 안치홈(64)을 밀폐하도록 결합되고 전면 중앙에는 관통된 돌출공(41)을 포함하는 전방돌출부(45)가 형성된 전방플랜지샤프트(40)와, 전방에 상기 돌출공(41)에 삽입되고 내부에 원액투입관공(81)이 형성된 삽입부(85)와 후방에는 상기 안치홈(64)에 수용되고 외주면에 일측으로부터 상기 삽입부(85)의 외주면 일측으로 경액배출로(83)가 형성되는 몸체부(86)로 구성되는 편심형사이폰(80)과, 상기 전방돌출부(45)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에 상기 경액배출로(83)와 연결되는 경액배출구(93)가 형성되며 중앙에 원액투입관홀(91)이 형성되는 전방베어링하우징(90)과, 상기 원액투입관홀(91), 돌출공(41), 원액투입관공(81), 통공(61) 및 관통홀(51)에 내입되어 분리하고자 하는 원액을 상기 회전체(10)로 주입하는 원액투입관(30) 및 상기 중액배출공(62) 상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중액의 유동을 제어하는 수위고저조절변(70)을 포함하는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수위고저조절변(70)은 상기 회전체플랜지(60)의 일측에 상기 중액배출공(62)과 연통되게 형성된 조절홈(67)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액수위조절댐(72)과, 상기 중액수위조절댐(72)의 외주에 결합된 오링(73)과, 상기 중액수위조절댐(72)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너트(7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중액수위조절댐(72)의 조절 또는 차단에 의해 3상의 원액으로부터 중액을 분리하거나 2상의 원액을 분리함으로써 2상과 3상의 원심분리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복합 원심분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액수위조절댐(72)은 상기 조절홈(67)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72a)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72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원심분리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72a)의 하단에는 상기 중액배출공(62) 상에 형성된 V홈(62c)에 밀착되도록 V자 형의 앤빌(72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원심분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3031A KR101137586B1 (ko) | 2012-02-08 | 2012-02-08 | 복합 원심분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3031A KR101137586B1 (ko) | 2012-02-08 | 2012-02-08 | 복합 원심분리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7586B1 true KR101137586B1 (ko) | 2012-04-20 |
Family
ID=4614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3031A KR101137586B1 (ko) | 2012-02-08 | 2012-02-08 | 복합 원심분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758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1556B1 (ko) * | 2017-05-11 | 2018-02-22 | 허승우 | 폐기물의 오일추출이 가능한 원심분리기 |
KR102707664B1 (ko) * | 2024-04-05 | 2024-09-19 | 주식회사 센텍기술 | 유분 분리 효율이 향상된 복합 원심분리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35846A (en) | 1981-01-15 | 1982-06-22 | Pennwalt Corporation | Three-phase decanter |
JP2006255555A (ja) | 2005-03-16 | 2006-09-28 | Daishowa Seiki Co Ltd | 遠心分離機及びこれを用いた液体分離装置 |
JP2007167759A (ja) | 2005-12-21 | 2007-07-05 | Daishowa Seiki Co Ltd | 遠心分離機及びこれを用いた液体分離装置 |
KR101010056B1 (ko) | 2009-07-08 | 2011-01-21 | 박정숙 | 3상원심분리기 |
-
2012
- 2012-02-08 KR KR1020120013031A patent/KR1011375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35846A (en) | 1981-01-15 | 1982-06-22 | Pennwalt Corporation | Three-phase decanter |
JP2006255555A (ja) | 2005-03-16 | 2006-09-28 | Daishowa Seiki Co Ltd | 遠心分離機及びこれを用いた液体分離装置 |
JP2007167759A (ja) | 2005-12-21 | 2007-07-05 | Daishowa Seiki Co Ltd | 遠心分離機及びこれを用いた液体分離装置 |
KR101010056B1 (ko) | 2009-07-08 | 2011-01-21 | 박정숙 | 3상원심분리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1556B1 (ko) * | 2017-05-11 | 2018-02-22 | 허승우 | 폐기물의 오일추출이 가능한 원심분리기 |
KR102707664B1 (ko) * | 2024-04-05 | 2024-09-19 | 주식회사 센텍기술 | 유분 분리 효율이 향상된 복합 원심분리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0056B1 (ko) | 3상원심분리기 | |
KR101137586B1 (ko) | 복합 원심분리기 | |
US20170144086A1 (en) | Vertical separator for the treatment of slurry | |
US20100273628A1 (en) | Horizontal centrifugal separator | |
KR20160078415A (ko) | 유기성 오니의 탈수 시스템 | |
KR200384169Y1 (ko) | 배수 스크류가 장착된 디켄터 원심분리기 | |
CN204933746U (zh) | 卧式螺旋沉降离心机出渣口清洗结构 | |
KR101827501B1 (ko) | 고진공 및 내마모성 더블커팅 로타리 펌프 | |
CN103480507A (zh) | 离心式分离过滤机 | |
US10408212B2 (en) | Gear pump having through-shaft bearing weepage control | |
CN103967773B (zh) | 具有滑动性圆锥轴承和滚珠推力轴承的抽水装置 | |
RU2732650C1 (ru) | Скважинная насосная установка | |
KR102707664B1 (ko) | 유분 분리 효율이 향상된 복합 원심분리기 | |
RU2653197C1 (ru) | Газосепаратор | |
CN101190388A (zh) | 三足式自动排渣油水分离过滤机 | |
RU2458744C2 (ru) | Шнековая центрифуга | |
CN103056038B (zh) | 一种自动连续下料过滤离心机 | |
CN203648731U (zh) | 高效沉降离心机 | |
CN204386467U (zh) | 动力扩孔装置 | |
CN204162559U (zh) | 一种永磁式污水固液分离装置 | |
CN106837883B (zh) | 多级离心泵 | |
RU2479354C2 (ru) | Способ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от осадка загрязнений из центробежного очистителя жидк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CN202983903U (zh) | 离心式分离过滤机 | |
CN106348394B (zh) | 一种包含一体化六通阀的新型反渗透海水淡化系统及方法 | |
CN207893125U (zh) | 端部密封连接结构以及腐蚀性液体反渗透处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