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338B1 -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338B1
KR101137338B1 KR1020050083219A KR20050083219A KR101137338B1 KR 101137338 B1 KR101137338 B1 KR 101137338B1 KR 1020050083219 A KR1020050083219 A KR 1020050083219A KR 20050083219 A KR20050083219 A KR 20050083219A KR 101137338 B1 KR101137338 B1 KR 101137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temperature
amount
drum
wrinkle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056A (ko
Inventor
박석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083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338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6800003291A priority patent/CN1969080B/zh
Priority to PL06716491T priority patent/PL1861539T3/pl
Priority to JP2008502907A priority patent/JP5243238B2/ja
Priority to ES06716491.3T priority patent/ES2539396T3/es
Priority to RU2006140379/12A priority patent/RU2362847C2/ru
Priority to AU2006225458A priority patent/AU2006225458B2/en
Priority to EP06716491.3A priority patent/EP1861539B1/en
Priority to PCT/KR2006/001042 priority patent/WO2006101345A1/en
Priority to US11/628,755 priority patent/US8291536B2/en
Priority to TW095110342A priority patent/TWI329691B/zh
Publication of KR20070028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을 이용한 의류의 구김 제거 코스가 적용된 세탁장치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류등의 구김제거대상물을 투입하는 의류공급단계와; 투입된 구김제거대상물의 포량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포량선택단계; 그리고, 상기 포량선택단계에서 입력된 포량에 따라 구김제거대상물에 공급하는 스팀의 양을 제어하면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탁장치의 운전 방법에 의하면, 투입된 구김제거대상물의 포량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포량에 따라 공급되는 스팀의 양이 제어되므로, 구김제거대상물의 구김이 펴지는 효과가 더욱 뛰어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세탁장치, 구김제거코스, 스팀

Description

세탁장치의 운전방법{Operating method for laundry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방법이 적용되는 세탁장치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세탁장치의 운전방법의 구김제거코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운전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도 2의 순서도 중 포량선택단계 및 스팀공급단계의 일부를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
S10 : 의류공급단계 S20 : 포량선택단계
S30 : 스팀공급단계 S31 : 온도설정단계
S32 : 공급단계 S33 : 온도검출단계
S34 : 판단단계 S35 : 중지단계
본 발명은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을 이용한 의류의 구김 제거 코스가 적용된 세탁장치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 장치는 드럼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펄세이터형 세탁기와, 상기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드럼 세탁기와, 건조 기능을 가지는 건조겸용 세탁기와, 의류 등의 건조만을 수행하는 의류 건조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한 세탁 장치 중 건조겸용 세탁기와, 의류 건조기는 통상 고온의 공기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여 젖은 상태의 의류 등을 건조하도록 동작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건조겸용 세탁기 및 의류 건조기는 그의 운전에 의해 건조된 의류가 많은 구김이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구김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종래의 건조겸용 세탁기 및 의류 건조기는 건조된 상태의 의류 등에 대한 구김 제거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건조 완료된 의류를 별도의 다림질 기구를 이용하여 다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해당 의류를 착용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 등의 구김제거대상물의 구김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세탁장치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장치에 투입된 구김제거대상물의 포량에 따라 공급되는 스팀량을 다르게 하여 구김제거효과를 최적화 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류등의 구김제거대상물을 투입하는 의류공급단계와; 투입된 구김제거대상물의 포량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포량선택단계; 그리고, 상기 포량선택단계에서 입력된 포량에 따라 구김제거대상물에 공급하는 스팀의 양을 제어하면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포량선택단계는, 투입된 구김제거대상물의 포량의 대/소를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단계는, 상기 포량선택단계에서 선택한 포량이 '대'일 경우 공급하는 스팀의 양을 많게 하고, 상기 포량선택단계에서 선택한 포량이 '소'일 경우 공급하는 스팀의 양을 적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단계는, 스팀의 공급에 따라 가열되는 드럼내부 온도의 상한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구김제거대상물에 공급하는 스팀의 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팀공급단계는, 상기 포량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포량에 따라 스팀의 공급에 의해 가열되는 드럼내부의 온도 상한치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단계와; 드럼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드럼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단계와; 상기 온도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지 그렇지 않은지 판단하여,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지 않으면 공급단계로 회귀하는 판단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단계에서 검출된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스팀의 공급을 중지하는 중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단계는, 공급하는 스팀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드럼내부의 온도 상한치를 높게 설정하고, 공급하는 스팀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드럼내부의 온도 상한치를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김제거대상물에 공급하고자 하는 스팀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 상한치를 45℃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김제거대상물에 공급하고자 하는 스팀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 상한치를 40℃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세탁장치의 운전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체(100)는 상기 세탁 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00) 내에는 수도로부터 제공받은 물(이하, 세탁수라 함)이 터브(200) 내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1급수유로(110)와, 상기 수도로부터 제공받은 물(이하, 스팀수라 함)이 상기 스팀 발생장치(400)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2급수유로(12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급수유로(110) 상에는 제1급수밸브(111)가 구비되고, 상기 제2급수유로(120) 상에는 제2급수밸브(121)가 구비된다. 상기 각 급수밸브(111,121)는 상기 각 급수유로(110,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급수유로(110)는 세탁수가 세제박스(130)를 통과하여 터브(200) 내부로 급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터브(200)는 상기 본체(100) 내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드럼(30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 발생장치(400)는 상기 본체(100) 내의 어느 한 공간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2급수유로(120)를 통해 제공받은 스팀수를 증발시켜 스팀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스팀 발생장치(400)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케이스부(410)와, 히터부(420)와, 수위센서(430)와, 증기 배출부(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410)는 상기 스팀 발생장치(400)의 외관을 이룸과 더불어 스팀 생성용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터부(420)는 상기 케이스부(410) 내에 구비되어 그 발열에 의해 상기 케이스부(410) 내에 저장된 스팀수를 증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수위센서(430)는 공통전극(431)과, 장전극(432) 및 단전극(433) 등 3개의 전극을 가지며, 케이스부(410) 내의 스팀수에 대한 수위를 센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증기 배출부(460)는 상기 케이스부(410) 내에 생성된 스팀을 드럼(300) 내부(혹은, 터브 내부)로 안내하는 관로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100) 내에 구비되며, 상기 세탁 장치를 구성하는 여타의 각종 구동부에 대한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부(420)의 발열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는 배수펌프(610) 및 배수호스(62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펌프(610)는 상기 본체(100) 내의 저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200) 내부의 세탁수를 펌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수호스(620)는 상기 배수펌프(610)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본체(100) 외부로 배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세탁 장치의 내부에는 드럼의 온도를 측정 할 수 있는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세탁장치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콘트롤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콘트롤부에는 포량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포량선택버튼(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세탁 장치의 구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 방법 중 구김 제거를 위한 운전 방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 방법 중 구김제거를 위한 운전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의류공급단계(S10)가 시행된다. 상기 의류공급단계(S10)는 세탁장치의 드럼(300)에 의류등의 구김제거대상물을 투입하는 단계이다.
세탁장치에 구김제거대상물의 투입이 완료되면, 투입된 구김제거대상물의 포량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포량선택단계(S20)가 시행된다.
상기 포량선택단계(S20)는 본체의 콘트롤부에 구비된 포량선택버튼(미도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량선택단계(S20)에서 투입된 포량을 입력하는 단계는 의류를 몇 벌을 투입하였는지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포량의 대/소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등 여러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포량의 '대' 또는 '소'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세탁장치에 투입된 구김제거대상물의 포량이 적을경우 상기 포량선택버튼(미도시)을 이용하여 '소'를 선택하여 입력하고, 세탁장치에 투입된 구김제거대상물의 포량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 포량선택버튼을 이용하여 '대'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포량선택단계(S20)에서의 '대' 및 '소'는 세탁장치의 용량 및 모델별로 달라지는 값이므로 특정할 수는 없으나, 당업자라면 해당 모델에 적합한 기준을 어렵지 않게 도출 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만약, 투입된 포량을 입력하는 단계가 의류를 몇 벌을 투입하였는지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제어부에 상기 포량의 '대' 및 '소'에 대한 기준이 미리 입력되어 있어 입력된 포량을 기 입력된 기준에 의해 '대' 및 '소'로 구분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들면, 투입된 구김제거대상물이 의류 1~3벌 범위이며 '소'에 해당되고, 의류 4~5벌 범위이면 '대'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김제거대상물의 의류는 구김에 민감한 Y-셔츠등의 셔츠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지등 구김에 민감한 다른 종류의 의류등이 대상이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포량선택단계(S20)에서 투입된 포량이 입력된 후에 스팀공급단계(S30)가 시행된다.
상기 스팀공급단계(S30)는 상기 포량선택단계에서 입력된 포량의 '대' 및 '소'에 따라 드럼내부에 공급하는 스팀의 양을 제어하면서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포량선택단계(S20)에서 입력된 구김제거대상물의 포량이 '대'일 경우 드럼내부에 많은 양의 스팀을 공급하고, 포량이 '소'일 때에는 적은 양의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드럼내부에 공급되는 스팀량의 제어는 스팀의 공급에 따라 가열되는 드럼내부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내부에 스팀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드럼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드럼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지 않도록 스팀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단계(S30)는, 상기 포량선택단계(S20)에서 선택된 포량에 따라 스팀의 공급에 의해 가열되는 드럼내부의 온도 상한치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단계(S31)와; 드럼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공급단계(S32)와; 드럼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단계(S33)와; 상기 온도검출단계(S33)에서 검출된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단계(S31)에서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지 그렇지 않은지 판단하여,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지 않으면 공급단계로 회귀하는 판단단계(S34); 그리고, 상기 판단단계(S34)에서 검출된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단계(S31)에서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스팀의 공급을 중지하는 중지단계(S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내부에 스팀이 공급되면 드럼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상기 온도설정단계(S31)에서는 스팀의 공급에 의해 가열되는 드럼내부의 온도 상한치(Hs)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포량선택단계(S20)에서 입력된 포량이 '대'여서 필요한 스팀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가열되는 드럼내부의 온도의 상한치(Hs)를 높게 설정하고, 감지한 포량이 '소'여서 필요한 스팀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드럼내부의 온도의 상한치(Hs)를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에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포량감지단계에서 입력된 포량이 '대'여서 필요한 스팀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드럼내부의 온도의 상한치(Hs)를 45℃로 설정하고, 입력된 포량이 '소'여서 필요한 스팀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드럼내부의 온도 상한치(Hs)를 40℃로 설정하는 것을 예로 든다.
한편, 상기 드럼내부가 가열되는 온도의 상한치(Hs)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세탁장치의 용량 또는 모델에 따라서 그 수치가 달라지는 값이므로 특정할 수는 없으나 당업자는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수치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온도설정단계(S31) 후에는 구김제거대상물이 있는 드럼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공급단계(S32)가 시행된다.
스팀이 드럼내부의 구김제거대상물에 공급되면 공급된 스팀이 의류의 구김을 펴는 작용을 하게 된다.
공급단계(S32)가 시행되면서 온도검출단계(S33)가 시행된다. 상기 온도검출단계(S33)는 스팀이 공급되는 드럼내부의 온도(Hh)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드럼내부의 온도를 검출한 후에는 판단단계(S34)가 시행된다.
상기 판단단계(S34)는 상기 온도검출단계(S33)에서 검출한 드럼내부의 온도(Hh)가 상기 온도설정단계(S31)에서 설정한 온도(Hs)보다 높은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판단단계(S34)에서 상기 드럼내부의 온도(Hh)가 온도설정단계(S31)에서 설정된 온도(Hs)보다 높지 않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드럼내부로 스팀이 공급되는 공급단계(S32)로 회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드럼내부의 온도는 스팀이 공급됨에 따라 상승하게 되는데, 입력된 포량이 '소'에 해당되어 드럼내부의 온도 상한치(Hs)가 낮게(40℃) 설정되면 드럼내부의 온도(Hh)가 상기 설정된 온도 상한치(Hs)에 빨리 도달하게 되므로 스팀의 공급량이 적고, 입력된 포량이 '대'에 해당되어 드럼내부의 온도 상한치(Hs)가 높게(45℃)설정되게 되면 스팀의 공급에 따라 가열되는 드럼내부의 온도(Hh)가 설정된 온도 상한치(Hs)에 도달하는 시점이 그만큼 늦어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스팀 의 공급량이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판단단계(S34)에서 상기 드럼내부의 온도(Hh)가 온도설정단계(S31)에서 설정된 온도(Hs)보다 높다고 판단하게 되면 중지단계(S35)가 시행되어 스팀의 공급이 중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탁장치의 운전 방법에 의하면, 투입된 구김제거대상물의 포량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포량에 따라 공급되는 스팀의 양이 제어되므로, 구김제거대상물의 구김이 펴지는 효과가 더욱 뛰어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의 세탁장치의 운전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투입된 구김제거대상물의 포량에 따라 공급되는 스팀의 양이 제어되므로 구김제거대상물의 구김이 펴지는 효과가 더욱 뛰어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구김제거대상물이 투입된 드럼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으므로 의류등의 열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없다.

Claims (8)

  1. 의류등의 구김제거대상물을 투입하는 의류공급단계;
    투입된 구김제거대상물의 포량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포량선택단계; 그리고,
    상기 포량선택단계에서 입력된 포량에 따라 구김제거대상물에 공급하는 스팀의 양을 제어하면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량선택단계는,
    투입된 구김제거대상물의 포량의 대/소를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단계는,
    상기 포량선택단계에서 선택한 포량이 '대'일 경우 공급하는 스팀의 양을 많게 하고, 상기 포량선택단계에서 선택한 포량이 '소'일 경우 공급하는 스팀의 양을 적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단계는,
    스팀의 공급에 따라 가열되는 드럼내부 온도의 상한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구김제거대상물에 공급하는 스팀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단계는,
    상기 포량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포량에 따라 스팀의 공급에 의해 가열되는 드럼내부의 온도 상한치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단계;
    드럼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공급단계;
    드럼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단계;
    상기 온도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지 그렇지 않은지 판단하여,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지 않으면 공급단계로 회귀하는 판단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단계에서 검출된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스팀의 공급을 중지하는 중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단계는
    공급하는 스팀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드럼내부의 온도 상한치를 높게 설정하고, 공급하는 스팀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드럼내부의 온도 상한치를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김제거대상물에 공급하고자 하는 스팀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 상한치를 45℃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김제거대상물에 공급하고자 하는 스팀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 상한치를 4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KR1020050083219A 2005-03-25 2005-09-07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KR101137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219A KR101137338B1 (ko) 2005-09-07 2005-09-07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PL06716491T PL1861539T3 (pl) 2005-03-25 2006-03-22 Maszyna pralnicza oraz sposób jej sterowania
JP2008502907A JP5243238B2 (ja) 2005-03-25 2006-03-22 洗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S06716491.3T ES2539396T3 (es) 2005-03-25 2006-03-22 Máquina de lavar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la misma
CN2006800003291A CN1969080B (zh) 2005-03-25 2006-03-22 洗衣机及其控制方法
RU2006140379/12A RU2362847C2 (ru) 2005-03-25 2006-03-22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AU2006225458A AU2006225458B2 (en) 2005-03-25 2006-03-22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06716491.3A EP1861539B1 (en) 2005-03-25 2006-03-22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06/001042 WO2006101345A1 (en) 2005-03-25 2006-03-22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628,755 US8291536B2 (en) 2005-03-25 2006-03-22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095110342A TWI329691B (en) 2005-03-25 2006-03-24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219A KR101137338B1 (ko) 2005-09-07 2005-09-07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056A KR20070028056A (ko) 2007-03-12
KR101137338B1 true KR101137338B1 (ko) 2012-04-19

Family

ID=3810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219A KR101137338B1 (ko) 2005-03-25 2005-09-07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6114B4 (de) 2007-06-08 2020-08-06 Lg Electronics Inc. Steuerungsverfahren für einen Dampfgenerator sowie Bekleidungsbehandlungsmaschine mit diesem
KR100934663B1 (ko) * 2007-06-08 2009-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에서 스팀발생기 히터의 제어방법 및 그 세탁장치
KR101448619B1 (ko) * 2007-07-06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세탁장치의 컨트롤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0702A2 (de) * 1984-02-01 1985-08-07 Teufelberger Gesellschaft m.b.H. Seil aus Fäden, Garnen oder Litzen aus textilem Fasermateri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0702A2 (de) * 1984-02-01 1985-08-07 Teufelberger Gesellschaft m.b.H. Seil aus Fäden, Garnen oder Litzen aus textilem Faser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056A (ko) 200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874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137335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KR100964695B1 (ko) 건조기
US8549770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drying laundry with drying uniformity determination
US10260194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sensor
KR102127385B1 (ko)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KR101137338B1 (ko)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KR20080081471A (ko) 세탁기 및 그 탈수제어방법
KR101521918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738409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sensor
KR101137337B1 (ko)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KR101157612B1 (ko) 세탁기의 스팀세탁 방법
KR101137334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KR100658842B1 (ko) 의류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10215764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99362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KR100565252B1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주름저감방법
KR100648175B1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건조시간 단축 방법
KR100774167B1 (ko)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KR101147754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KR20130080105A (ko) 건조장치를 갖춘 세탁기 및 그 탈수 제어방법
KR101054126B1 (ko) 리프레쉬 기능이 구비된 세탁기
KR100804108B1 (ko) 건조기용 스팀발생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37336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KR10148752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