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623B1 -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623B1
KR101136623B1 KR1020100042499A KR20100042499A KR101136623B1 KR 101136623 B1 KR101136623 B1 KR 101136623B1 KR 1020100042499 A KR1020100042499 A KR 1020100042499A KR 20100042499 A KR20100042499 A KR 20100042499A KR 101136623 B1 KR101136623 B1 KR 10113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ther information
power line
lin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concent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067A (ko
Inventor
김용팔
박용우
정강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42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62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가스, 수도, 전기 등의 원격검침을 위해 설치되는 원격검침용 전력선통신 집중장치(DCU)가 설치되는 복수의 변대주에서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기상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기상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시된다. 제시된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은, 변대주에 설치되어 주변 지역의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제1수집장치; 변대주와 이격된 특정지역에 설치되고, 특정지역의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제2수집장치; 및 제1수집장치 및 제2수집장치를 통해 수집된 기상정보를 기상정보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기상정보를 기상정보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전력선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집중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of smart grid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수도, 전기 등의 원격검침을 위해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상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도록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과 기후변화로 세계적 한파와 폭설, 지진 등이 중요한 글로벌 이슈가 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대규모 자연재해에 대비하고 지구온난화 가속화를 억제하기 위해 기후산업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기후산업은 "친환경녹색성장"의 핵심산업으로 기상정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는 최근에 기상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커지고, 산업분야에 기상정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민간으로 하여금 기상관련 상품이나 용역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는 "기상산업진흥법"을 제정(09.12.10) 한 바 있다.
전력산업의 측면에서는 기온, 조도, 습도 등의 기상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전력의 적정공급량과 예비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전력의 과잉생산을 막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 탄소배출권의 기회비용창출이 가능하다. 추가 발전설비의 건설에 따른 비용절감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풍력,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시 위치, 규모, 적정생산량과 예비량 등을 산출할 때도 기상정보가 활용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풍력발전량은 37만601MWh이고 생산효율성(생산 가능한 전력 중 실제 생산된 전력의 비중)은 강원도가 24%, 경북 20%, 제주 14%, 전북 14%, 경남 8%로 전국평균 16%이다. 그러나, 적정 생산효율성을 20%로 볼 때 제주, 전북, 경남은 효율성이 낮다.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고해상도 정밀 풍력자원지도가 개발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된 설비들 때문일 것이다.
아울러 우리나라 태양광 발전량은 21만 8916MWh이며 생산효율성은 전국 평균 15.5%다. 지역별로 보면 전라남북도의 효율성이 각각 16.2%와 16.8%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태양광 발전은 일조량이 발전량을 결정짓는 요소이다. 일조량은 위도와 대기오염 정도가 낮고 평야지역일수록 많은 양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최근 지구온난화 억제의 한 방편으로 에너지 분야에 자동원격검침시스템을 도입하여 에너지사용자로 하여금 자신들이 사용한 에너지 사용량과 요금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게끔 하는 체계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일명 Smart Grid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로 불리는 이 시스템은 주로 원격검침 서버로부터 변압기가 설치된 변대주까지는 기존의 통신망(광통신망 등의 간선망)을 이용하고 변대주부터 수용가까지(Last One Mile)는 전력선통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는 가정의 계량기로부터의 검침량을 수집하기 위하여 각각의 변대주에 반드시 집중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한국의 경우 전국적으로 변압기가 설치된 약 90만 개소에 집중장치가 설치될 예정이다. 90만대의 집중장치는 전국 모든 개소에서 기상정보를 정밀하게 수집할 수 있는 인프라로 볼 수 있으며 아마도 국내에서 존재하는 기상수집장치 중 가장 광범위하고 정밀한 기상수집시스템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근에는 기상정보의 중요성 및 활용성이 여러 분야에서 높아지고 있어 기상정보의 수집 개소를 늘려 정확한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스, 수도, 전기 등의 원격검침을 위해 설치되는 원격검침용 전력선통신 집중장치(DCU)가 설치되는 복수의 변대주에서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기상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기상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거리에 위치한 특정 지역의 기상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해당 지역을 직접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상정보를 수집을 위한 장치의 설치에 따른 비용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 수도, 전기 등의 원격검침을 위해 설치되는 원격검침용 전력선통신 집중장치(DCU)에 기상정보 수집장치를 설치하여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기상정보를 개인 사용자, 기상청, 전력회사, 민간기상정보제공사업자 등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은, 변대주에 설치되어 주변 지역의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제1수집장치; 변대주와 이격된 특정지역에 설치되고, 특정지역의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제2수집장치; 및 제1수집장치 및 제2수집장치를 통해 수집된 기상정보를 기상정보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기상정보를 기상정보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전력선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집중장치를 포함한다.
집중장치는, 제1수집장치 및 제2수집장치로부터 지역정보 및 장치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신한다.
지역정보는 제1수집장치 및 제2수집장치가 설치된 지역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된 지역코드이다.
장치정보는 제1수집장치 및 제2수집장치에 각각 부여된 고유한 장치코드이다.
전력선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집중장치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특정지역의 기상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기상정보를 전력선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기상정보 서버를 더 포함한다.
기상정보 서버는 각 지역에 설정된 지역코드를 저장한다.
기상정보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특정지역의 지역코드에 해당하는 기상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기상정보를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집중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로 전송한다.
제2수집장치는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통신으로 기상정보를 집중장치에게로 전송한다.
제1수집장치는, 일사량, 풍향, 풍속, 강우, 강설, 지진, 습도 중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로 구성된다.
제2수집장치는, 일사량, 풍향, 풍속, 강우, 강설, 지진, 습도 중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로 구성된다.
집중장치는 전력선통신망을 통해 수용가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되, 사용자 단말은 인 홈 디스플레이(IHD; IN Home Display)로 구성된다.
제1수집장치는, 변대주에 설치된 집중장치와 전력선통신 및 시리얼 통신 중에 하나로 연결되어 수집한 기상정보를 집중장치에게로 전송한다.
제1수집장치는 변대주에 설치된 집중장치의 하단에 설치되어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제1수집장치에서 수집된 기상정보를 지상에서 1m 내지 2m의 높이에 해당하는 기상정보로 보정하는 보정장치를 더 포함한다.
제1수집장치는, 지상에서 1m 내지 2m의 높이에 설치되어 기상정보를 수집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가스, 수도, 전기 등의 원격검침을 위해 설치되는 원격검침용 전력선통신 집중장치(DCU)가 설치되는 복수의 변대주에서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기상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기상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상정보 수집을 위한 별도의 설비를 설치해야하는 종래의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에 비해 기상정보 수집을 위한 시스템 구축에 사용되는 비용을 최소화면서 광범위하고 정밀한 기상수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대주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기상정보 수집장치와 원격검침용 전력선통신 집중장치를 근거리 무선통신(Binary CDMA 등)을 통해 연결하고, 기상정보 수집장치에서 수집된 기상정보 및 변대주에서 수집된 기상정보를 변환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농촌 지역의 비닐하우스, 과수원 등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지역에 한정된 기상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수적으로, 인터넷, TV, 스마트폰 등과 같은 가정 내의 디스플레이장치(IHD)를 통해 사용자에게 원거리에 위치한 특정 지역의 기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른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제1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부지역의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은 전기, 수도, 가스 등의 원격 검침을 위한 스마트 그리드용 원격검침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기상정보를 사용자(예를 들면, 개인 사용자, 민간 기상정보 제공 사업자, 기상청 등)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즉,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은 원격검침용 전력선통신 집중장치(300; DCU : Data Concentrate Unit, 이하, "집중장치"라 함)를 이용한 기상정보제공시스템은 스마트 그리드의 핵심 장치인 집중장치(300)를 전기. 수도. 가스 등의 원격검침에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장치로도 구성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은 수용가(100)에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120)과,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과 전력선통신망(200; PLC)으로 연결되는 집중장치(300), 및 복수의 집중장치(300)와 간선망(400)으로 연결되는 기상정보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20)은 원격검침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설치되는 인 홈 디스플레이장치(IHD; In Home Display)가 사용된다. 여기서, 인 홈 디스플레이장치는 원격검칭정보를 화면출력하기 위한 별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거나, TV,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기상정보 서버(500)에게로 특정지역(국부지역)의 기상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기상정보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20)은 특정지역(국부지역)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집중장치(300)는 설치된 위치 주변의 기상정보를 수집한다. 집중장치(300)는 수집한 기상정보를 간선망(400)을 통해 기상정보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집중장치(300)는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수집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집장치는 기상정보센서를 부착하여 일사량, 풍향, 풍속, 강우, 강설, 지진(진동), 습도 등을 수집한다. 물론, 수집장치는 필요시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면, Binary CDMA 등)을 이용하여 근처의 다른 기상정보도 함께 취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수집장치는 집중장치(300)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특정지역(예를 들면, 비닐 하우스, 논/밭 등)의 기상정보를 수집하여 집중장치(300)로 전송한다.
기상정보 서버(500)는 복수의 집중장치(300)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를 기상청, 전력회사, 민간기상정보제공사업자 등에게 제공한다. 물론, 기상정보 서버(500)는 개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20; 즉, 개인 사용자의 스마트 그리드용 IHD)을 통해 수집한 기상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른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제1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은 집중장치(300), 제1수집장치(320), 제2수집장치(340), 기상정보 서버(500)를 포함한다.
집중장치(300)는 변대주(30)에 설치되어 수용가(100)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120; IHD)과 연결되고, 제1수집장치(320) 및 제2수집장치(340)와 연결된다. 이때, 집중장치(300)는 복수의 제2수집장치(340)와 바이너리 씨디엠에이(600; Binary CDMA)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집중장치(300)는 제1수집장치(320) 및 제2수집장치(340)에서 수집한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상정보 서버(500)에게로 전송한다.
집중장치(300)는 기상정보와 함께 지역정보 또는 장치정보를 기상정보 서버(500)에게로 전송한다. 즉, 집중장치(300)는 제1수집장치(320) 및 제2수집장치(340)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 및 지역정보, 또는 기상정보 및 장치정보를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기상정보 서버(500)에게로 전송한다. 이때, 제1수집장치(320) 및 제2수집장치(340)로부터 지역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기상정보를 수신한 경우, 집중장치(300)는 자신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역정보(즉, 지역코드) 또는 장치정보(즉, 장치코드)를 수신한 기상정보와 연계하여 기상정보 서버(500)에게로 전송할 수도 있다.
집중장치(300)는 연결된 제1수집장치(320) 및 제2수집장치(340)의 장치정보와 지역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집중장치(300)는 제1수집장치(320) 및 제2수집장치(340)로부터 장치정보와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장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정보를 검출한다. 집중장치(300)는 검출한 지역정보를 수신한 기상정보와 연계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기상정보 서버(500)에게로 전송한다.
집중장치(300)는 간선망(400)을 통해 기상정보 서버(500)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전력선통신망(200)으로 통해 수신한 기상정보를 사용자 단말(120)에게로 제공한다. 이때, 집중장치(300)는 기상정보와 함께 장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장치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120)에게로 수신한 기상정보를 전송한다.
제1수집장치(320)는 변대주(30)에 설치되어 주변 지역의 기상정보를 수집한다. 제1수집장치(320)는 수집한 기상정보를 변대주(30)에 설치된 집중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수집장치(320)는 기상정보와 함께 지역정보(즉, 기상정보를 수집한 지역에 해당하는 지역코드) 또는 장치정보(즉, 수집장치별로 부여된 고유의 장치코드)를 집중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1수집장치(320)는 집중장치(300)가 설치된 변대주(30)에 설치되어 전력선통신 및 시리얼 통신을 통해 집중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집장치(320)는 집중장치(300)의 하단에 설치된다. 이 경우, 집중장치(300)는 제1수집장치(320)에서 수집한 기상정보를 사람이 실제 느끼는 기상정보로 보정하는 보정장치(3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보정장치(360)는 사람이 실제 느끼는 기상정보로 보정하기 위해서 제1수집장치(320)에서 수집한 기상정보를 지상으로부터 대략 1m 내지 2m 정도 높이에 해당하는 기상정보로 보정한다. 여기서, 보정장치(360)가 집중장치(3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거나 기상정보 서버(50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집장치(320)는 변대주(30)의 하단에서 대략 1m 내지 2m 정도의 상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집중장치(300)는 사람이 실제 느끼는 기상정보를 수집한다. 따라서, 보정장치(360)를 포함하지 않는다.
제2수집장치(340)는 변대주(30)와 이격되어 설치되어 특정지역(국부지역)의 기상정보를 수집한다. 즉, 제2수집장치(340)는 비닐 하우스, 논/밭 등과 같이 특정된 지역(국부지역)의 기상정보를 수집하여 집중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 이때, 제2수집장치(340)는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변대주(30)에 집중장치(300)에게로 수집한 기상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제2수집장치(340)는 바이너리 씨디엠에이(600; Binary CDMA) 통신을 통해 집중장치(300)와 연결된다.
제2수집장치(340)는 기상정보와 함께 지역정보(즉, 기상정보를 수집한 지역에 해당하는 지역코드) 또는 장치정보(즉, 수집장치별로 부여된 고유의 장치코드)를 집중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기상정보 서버(500)는 복수의 집중장치(300)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기상정보 서버(500)는 수신한 기상정보를 지역정보 또는 장치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기상정보 서버(500)는 네트워크(700)를 통해 민간 사업자 서버(800) 또는 기상청 서버(900)에게로 저장된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상정보 서버(500)는 집중장치(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요청되는 특정지역(국부지역)의 기상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20)에게로 제공한다. 즉, 기상정보 서버(500)는 집중장치(300)를 통해 기상정보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120)의 장치정보와 함께 지역정보(즉,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요청된 특정지역의 지역코드)를 수신한다. 기상정보 서버(500)는 수신한 지역정보에 해당하는 기상정보를 검출한다. 기상정보 서버(500)는 검출한 기상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20)이 연결된 집중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 이때, 기상정보 서버(50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지역정보 및 장치정보(사용자 단말(120)의 장치코드)를 저장하고, 수집한 기상정보를 주기적/비주기적으로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사용자 단말(120)에게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부지역의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농촌지역에서 사용자와 원거리에 위치한 비닐 하우스(10) 및 논/밭(20) 등의 국부지역의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변대주(30a)와 제2변대주(30b)에서 각각 이격되어 위치한 사용자의 비닐 하우스(10) 및 논/밭(20)에는 제2수집장치(340)가 각각 설치되어 기상정보를 수집한다.
비닐 하우스(10)에 설치된 제2수집장치(340)는 비닐 하우스(10) 주변의 기상정보를 수집하여 제1변대주(30a)에 설치된 집중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도 5의 A). 제1변대주(30a)의 집중장치(300)는 제2수집장치(340)로부터 수신한 비닐 하우스(10) 주변의 기상정보를 간선망(400)을 통해 기상정보 서버(500)에게로 전송한다(도 5의 B).
이와 함께, 논/밭(20)에 설치된 제2수집장치(340)는 논/밭(20) 주변의 기상정보를 수집하여 제2변대주(30b)에 설치된 집중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도 5의 C). 제2변대주(30b)의 집중장치(300)는 제2수집장치(340)로부터 수신한 논/밭(20) 주변의 기상정보를 간선망(400)을 통해 기상정보 서버(500)에게로 전송한다(도 5의 D).
기상정보 서버(500)는 간선망(400)을 통해 제1변대주(30a)의 집중장치(300) 및 제2변대주(30b)의 집중장치(300)로부터 수신하여(도 5의 E) 기상정보를 저장한다. 기상정보 서버(500)는 제1변대주(30a)에서 이격되어 위치한 비닐 하우스(10)의 기상정보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120)과 연결된 제3변대주(30c)의 집중장치(300)에게로 간선망(400)을 통해 비닐 하우스(10) 주변의 기상정보를 전송한다(도 5의 F 및 G). 제3변대주(30c)의 집중장치(300)는 기상정보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비닐 하우스(10) 주변의 기상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20)에게로 전송한다(도 5의 H).
상술한 예에서는 제2수집장치(340), 집중장치(300), 기상정보 서버(500)가 기상정보만을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장치정보 및 지역정보를 기상정보와 함께 송수신하여 기상정보가 수집된 위치를 파악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스, 수도, 전기 등의 원격검침을 위해 설치되는 원격검침용 전력선통신 집중장치(300)가 설치되는 복수의 변대주(30)에서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기상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기상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상정보 수집을 위한 별도의 설비를 설치해야하는 종래의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에 비해 기상정보 수집을 위한 시스템 구축에 사용되는 비용을 최소화면서 광범위하고 정밀한 기상수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대주(3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기상정보 수집장치와 원격검침용 전력선통신 집중장치(300)를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면, Binary CDMA 등)을 통해 연결하고, 기상정보 수집장치에서 수집된 기상정보 및 변대주(30)에서 수집된 기상정보를 변환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농촌 지역의 비닐 하우스, 과수원 등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지역에 한정된 기상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수적으로, 인터넷, TV, 스마트폰 등과 같은 수용가(100) 내의 디스플레이장치(IHD)를 통해 사용자에게 원거리에 위치한 특정 지역의 기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비닐 하우스 20: 논/밭
30: 변대주 100: 수용가
120: 사용자 단말 200: 전력선통신망
300: 집중장치 320: 제1수집장치
340: 제2수집장치 360: 보정장치
400: 간선망 500: 기상정보 서버
600: 바이너리 씨디엠에이 700: 네트워크
800: 민간 사업자 서버 900: 기상청 서버

Claims (14)

  1. 변대주에 설치되어 주변 지역의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제1수집장치;
    상기 변대주와 이격된 특정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특정지역의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제2수집장치; 및
    상기 제1수집장치 및 제2수집장치를 통해 수집된 기상정보를 기상정보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기상정보를 상기 기상정보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전력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집중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집중장치와 전력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인 홈 디스플레이(IHD)로 구성되고, 기상정보의 출력을 위해 상기 제2수집장치가 설치된 특정지역 중에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특정지역의 기상정보를 상기 기상정보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중장치는,
    상기 제1수집장치 및 제2수집장치로부터 지역정보 및 장치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역정보는 제1수집장치 및 제2수집장치가 설치된 지역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된 지역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치정보는 제1수집장치 및 제2수집장치에 각각 부여된 고유한 장치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력선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집중장치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특정지역의 기상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상정보를 전력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기상정보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서버는 각 지역에 설정된 지역코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특정지역의 지역코드에 해당하는 기상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상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집중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집장치는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통신으로 기상정보를 상기 집중장치에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집장치는,
    일사량, 풍향, 풍속, 강우, 강설, 지진, 습도 중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집장치는,
    일사량, 풍향, 풍속, 강우, 강설, 지진, 습도 중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집장치는,
    상기 변대주에 설치된 집중장치와 전력선통신 및 시리얼 통신 중에 하나로 연결되어 수집한 기상정보를 상기 집중장치에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집장치는 상기 변대주에 설치된 집중장치의 하단에 설치되어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1수집장치에서 수집된 기상정보를 지상에서 1m 내지 2m의 높이에 해당하는 기상정보로 보정하는 보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집장치는,
    지상에서 1m 내지 2m의 높이에 설치되어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00042499A 2010-05-06 2010-05-06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KR101136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499A KR101136623B1 (ko) 2010-05-06 2010-05-06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499A KR101136623B1 (ko) 2010-05-06 2010-05-06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067A KR20110123067A (ko) 2011-11-14
KR101136623B1 true KR101136623B1 (ko) 2012-04-18

Family

ID=4539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499A KR101136623B1 (ko) 2010-05-06 2010-05-06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3018497T (pt) * 2014-11-10 2022-05-17 Schreder Método para detetar sismos e localizar epicentros por meio de uma rede de lâmpadas
KR101886805B1 (ko) * 2016-11-28 2018-08-08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지진정보를 제공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252047B1 (ko) * 2019-10-10 2021-05-17 한국전력공사 Dcu 설비를 이용한 대기오염 정보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401A (ko) * 2007-07-19 2007-11-21 (주)아이파이 하천, 기상 정보 원격 측정 및 표출 시스템
KR20090032384A (ko) * 2007-09-27 2009-04-01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통신 기반 전력 사용량 원격검침시스템
KR100898278B1 (ko) 2007-07-09 2009-05-19 (주)옴니패스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39576A (ko) * 2008-10-08 2010-04-16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기상정보 중계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278B1 (ko) 2007-07-09 2009-05-19 (주)옴니패스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11401A (ko) * 2007-07-19 2007-11-21 (주)아이파이 하천, 기상 정보 원격 측정 및 표출 시스템
KR20090032384A (ko) * 2007-09-27 2009-04-01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통신 기반 전력 사용량 원격검침시스템
KR20100039576A (ko) * 2008-10-08 2010-04-16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기상정보 중계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067A (ko) 201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inzer et al. A high-resolution determination of the technical potential for residential-roof-mounted photovoltaic systems in Germany
US8600572B2 (en) Smarter-grid: method to forecast electric energy production and utilization subject to uncertain environmental variables
EP28563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ecasting solar radiation and solar power production using synthetic irradiance imaging
US20100263660A1 (en) Solar Power Production and Metering
Killinger et al. A regional optimisation of renewable energy supply from wind and photovoltaics with respect to three key energy-political objectives
WO2017203610A1 (ja) 発電量推定装置、配電系統システムおよび発電量推定方法
Jayakumar Solar energy: Resource assessment handbook
KR101136623B1 (ko)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Guerrero-Lemus et al. A simple big data methodology and analysis of the specific yield of all PV power plants in a power system over a long time period
KR101949957B1 (ko) 소규모 분산자원 전력거래 활성화를 위한 중개시스템
JP6132994B1 (ja) 配電系統状態推定装置および配電系統状態推定方法
Ugirimbabazi Analysis of power system options for rural electrification in Rwanda
US20160125557A1 (en) System for Continuous Computation of Renewable Energy Power Production
JP5985871B2 (ja) 電力管理装置、管理サーバ、局所気象情報生成システム、および局所気象情報生成方法
KR102310197B1 (ko)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 및 방법
Matthews et 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evaluation of residential fixed solar photovoltaic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Adigüzel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data acquisition system (DAS) for panel characterization in PV energy systems
JP2003149350A (ja) 太陽光発電を利用した地域情報配信システム
Ibrik Techno-economic analysis of wind energy resources based on real measurements in West Bank-Palestine
Ayana et al. A compendious approach for renewable energy assessment based on satellite and ground truth data: Bilate catchment, Rift Valley Basin, Ethiopia
Slann An innovative microgrid solution for a large housing development in South Africa
Jayakumar Resource assessment handbook
Nyman First Experience of Water Pumping System in Yemen
López-Franca et al. Spatial complementary of offshore wind farm Iberian Peninsula sites based on COSMO-REA6 high-resolution reanalysis.
Makhbal et al. Techno-economic assessment of future perspectives of the concentrated solar power plant in Mongol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