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278B1 -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278B1
KR100898278B1 KR1020070068880A KR20070068880A KR100898278B1 KR 100898278 B1 KR100898278 B1 KR 100898278B1 KR 1020070068880 A KR1020070068880 A KR 1020070068880A KR 20070068880 A KR20070068880 A KR 20070068880A KR 100898278 B1 KR100898278 B1 KR 100898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wireless communication
band
allocation information
bit al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677A (ko
Inventor
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옴니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옴니패스 filed Critical (주)옴니패스
Priority to KR1020070068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278B1/ko
Priority to PCT/KR2007/003452 priority patent/WO2009008566A1/en
Publication of KR20090005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41Wireless systems or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54Adapter and plugs

Abstract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는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에 미리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에서 대응되는 방식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산출하는 복잡한 과정 없이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노이즈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BPL, 전력선 통신

Description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Power line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broadband over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관련 기술에 따른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IEEE 802.11a 및 IEEE 802.11b의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의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에 미리 저장되는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이다.
도 6은 도 5a 내지 도 5c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에서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채널 특성 분석부가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선 통신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을 함께 포함하되 무선 통신에 의한 잡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전력선 및 무선 통신 (BPL-WiFi) 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전력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통신 기술의 발달로, 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광대역 통신 서비스는 다양한 기술, 망 구조, 및 전송 방식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데, 대표적인 광대역 통신 기술은 DSL(Digital Subscriber Line), 광 케이블, 동축 케이블, 무선 통신 및 BPL(Broadband over Power Lines)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BPL은 전력선(power line)을 통하여 고속으로 신호(혹은 데이터라 칭하기도 함)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로서, PLC(Power Line Communication)로 통용되던 용어를 모뎀 기술의 발달과 함께 2004년부터 미국 FCC에서 공식적으로 BPL이란 용어로 통일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전력선통신은 전력 송신을 목적으로 하는 전력선의 전원파형(60Hz)에 통신신호(디지털정보, 수백kHz~수십MHz)를 실어서 전송하는 통신방식으로서, 이렇게 전송 된 통신신호는 고주파 필터를 이용해 신호만을 따로 분리해 통신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별도의 통신선 없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전력선에 BPL 중계장치를 연결하고 사용자는 전원콘센트에 접속함으로써 인터넷 접속 등, 초고속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이다. 전력선은 넓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이미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각 가정이나 건물의 방방마다 배선이 되어 있다. 따라서, 이더넷 케이블이나 위성 접속 대신 이미 집안 구석구석에 배선이 되어 있는 전력선을 이용하는 전력선 통신은, 배선이나 설정의 문제없이 쉽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어, 전력선을 이용하여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고속 전송에 대한 상용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초기의 전력선통신 기술은 성능의 한계 때문에 주로 홈 네트워킹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나 최근 200Mbps 급의 BPL 모뎀 칩이 상용화 되는 등 모뎀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전력선통신 기술을 가입자망 (Access network)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선으로 유입되는 접점 (Injecting point)에서 가입자 댁내장치까지 BPL 방식으로만 제공하는 완전 BPL 기반 가입자망 (Full BPL-based access network) 방식에서 탈피하여 BPL 방식은 고압선(Midium voltage, MV, 중전압 전력선이라 칭하기도 함) 또는 저압선 (Low voltage, LV)이 설치되어 있는 전봇대 구간에서만 적용하고 가입자 댁내장치와 연결하는 라스트 마일 (Last mile)은 무선, 전화선, 동축 케이블 등으로 구성하는 혼성 BPL 가입자망 (Hybrid BPL-based access network) 방식이 대두되었다. 물론, 전화선이나 동축 케이블에 의한 라스트 마일 구성 방식은 선로를 별도로 연결해야 한다는 문제점과 함께 완전 BPL 기반 가입자망 방식과 마찬가지로 가입자 모뎀을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어서 경제적인 방안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라스트 마일을 무선으로 구성하는 경우 별도의 선로를 구성할 필요도 없을뿐더러 상대적으로 저렴한 WiFi 어댑터만 있으면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기 때문에 BPL과 WiFi가 혼합된 BPL-WiFi 방식이 가장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전력선통신에서 극복해야할 문제점도 있는데, 이 중 하나가 잡음(Noise)이다. 특히, 전력선 통신과 무선 통신을 함께 사용하는 장치의 경우, 상호간 간섭 잡음으로 인하여 성능 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
도 1은 관련 기술에 따른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IEEE 802.11a 및 IEEE 802.11b의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표이다.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3)는 전력선(power line)에 포함된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된 무선 데이터(또는 무선 신호)를 안테나(1)를 통하여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로 전송하고, 또한 그 역에 대응하는 기능(즉,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력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3)는 BPL모듈(5)과 무선모듈(7)을 포함한다. 상기 BPL모듈(5)은 상기 전력선(power line)과 인터페이스하여, 전력선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또한 전력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변조하는 BPL 모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모듈(7)은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3)로부터 복조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무선 데이터(또는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1)를 통하여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wirelesss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미도시)로 전송하고, 또한,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무선 접속 장치(wireless AP)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BPL모듈(5)은 수백 KHz에서 수십MHz로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무선모듈(7)은 수GHz로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상기 BPL모듈(5)과 상기 무선모듈(7)이 사용하는 전송 주파수 대역은 다르지만 회로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BPL모듈(5)과 상기 무선모듈(7)은 시스템의 동작에 따라 상호 간의 회로적 잡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BPL모듈(5)과 상기 무선모듈(7)은 그라운드(ground)를 공유하므로 높은 클럭의 신호처리와 높은 파워의 신호 변환과정에서 발생하는 회로잡음은 상호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상기 무선모듈(7)이 사용하는 전송표준방식에 따라 잡음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컨대, 도 2a는 IEEE 802.11a에 규정된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표로서 상기 IEEE 802.11a 에 따른 무선통신 방식은 5GHz대의 전송주파수를 사용하며 20MHz 간격의 중심주파수를 가지고 20MHz 폭으로 분할된 12개의 비중첩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며,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도 2b는 IEEE 802.11b에 규정된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표이다. 상기 IEEE 802.11b 에 따른 무선통신 방식은 도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4GHz대의 전송주파수를 사용하며 5MHz 간격의 중심주파수를 가지며 24MHz(실제 사용되는 대역은 22MHz 폭) 폭으로 분할된 14개의 중첩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며,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변조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IEEE 802.16에 규정된 무선통신 방식은 10~66GHz의 전송주파수를 사용하며 20/25/28MHz의 대역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IEEE 802.16a에 규정된 무선통신 방식은 2~11GHz의 전송주파수를 사용하며 1.5~20MHz의 대역폭을, 802.16e는 2~6GHz의 전송주파수를 사용하며 1.5~20MHz의 대역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모듈(7)은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RF 변조주파수, 밴드별 주파수 대역, 송수신 파워, 및 신호처리 기술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적 회로잡음은 BPL 모듈(5)의 데이터 전송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대응되는 무선 통신 방식에 상응하는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변환함으로써, 무선 통신에 의한 잡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변조 또는 복조된 데이터의 신호 감쇄 또는 신호대 잡음 비율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업데이트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변환함으로써 무선 통신에 의한 잡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경로를 통하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 상기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와 상기 전력선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전력선과 상기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 간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는,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에 미리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에서 대응되는 방식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변환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통신 시스템은, 저전압 전력선을 통하여 유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력선 통신 가입자 댁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전력선 통신 가입자 댁내 장치와 상기 전력선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전력선과 상기 전력선 통신 가입자 댁내 장치 간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은,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등으로 구분되는 IEEE 802.11 계열 및 WiMax 또는 WiBro 등의 표준인 IEEE 802.16 계열, 기타 무선에 의한 통신 방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과 접속되어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 간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전력선 모뎀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 모뎀은,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에 미리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에서 대응되는 방식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모뎀은,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에 미리 저장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자신의 무선 통신 방식에 대한 방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식 정보에 대응되는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여 출력하는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저장블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무선 데이터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로 나누어 할당하여 변조하고,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변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전력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방법은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대한 무선 통신 방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무선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방식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미리 저장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는 검출단계; 상기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로 나누어 할당하여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 단계; 및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은,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등으로 구분되는 IEEE 802.11 계열 및 WiMax 또는 WiBro 등의 표준인 IEEE 802.16 계열, 기타 무선에 의한 통신 방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시스템의 망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력선 통신 시스템(9)은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 BPL-wireless Gateway),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20, 무선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전력선 통신 가입자 댁내 장치(30, BPL CPE(Broadband over Power Lines Customer Premises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는 무선 통신 기능 및 전력선 통신 기능을 함께 가지는 장치로서, 전력선(100, 200)에 접속되어 전력선(100, 200)을 통하여 타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 또는 전력선 통신 가입자 댁내 장치(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아울러,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20)와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접속 장치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는 약 4,000 내지 50,000 볼트(volts)의 중전압(MV;Medium Voltage) 전력선(100)에 접속하여 동작할 수도 있고, 또한, 약 90 내지 600 볼트의 저전압(LV: Low Voltage)의 전력선(200)에 접속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통상 60,000볼트 이상을 고전압, 약 4,000 내지 50,000 볼트를 중전압, 600 볼트 이하를 저전압으로 분류하지만, 그 범위가 달라지거나 그 지칭하는 용어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상기 중전압을 고압으로, 상기 고전압을 초고압으로 칭한다.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는 또한,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Bit-per-Bin Table)에 미리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에서 대응되는 방식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변조를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된다.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은 IEEE 802.11a(도 2a), IEEE 802.11b(도 2b), IEEE 802.16 에 의한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규정한 각종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는 광대역 백본(Broadband Backbone, 101)을 통하여 인터넷망(103)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20) 및 전력선 통신 가입자 댁내 장치(30)와 인터넷망(103)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을 인터페이스 할 수 있다. 즉,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는 인터넷망(103)과의 인터페이스 기능, 타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와의 인터페이스 기능 및 가입자 댁내 장치(20, 30)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타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은 다른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또 다른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로 전달하는 중계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광대역 백본(101)은 인터넷망(103)과 다수의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들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인터넷망(103)과 상기 다수의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들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인터넷망(103)은 무선랜을 통한 인터넷망, 휴대 전화 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동통신 데이터망, IMT-2000, 와이브로(wibro),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Wimax 등의 네트워크 망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는 BPL-WiFi Gateway로 구현되어 IEEE 802.11 계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IEEE 802.11 계열의 무선 통신 방식은 예컨대,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또는 IEEE 802.11n에 규정된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는 또한 BPL-WiMax Gateway로 구현되어 IEEE 802.16 계열에서 규정한 통신규약에 의해서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WiMax는 건물 밖으로 인터넷 사용 반경을 대폭 넓힐 수 있도록 WiFi 기술을 보완한 것으로서 약 50km 반경의 서비스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IEEE 802.16d에 규정된 방식이 이에 속한다.
또한,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는 ZigBee, Bluetooth의 규약, 또는 다른 무선 통신 규약에 의한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8을 통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20)는 무선 경로(300)를 통하여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와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20)는 고객의 댁내에 설치되어 전화기, 각종 데이터 단말 장치, 컴퓨터, 다중화기(MUX), 사설 교환기 등의 사용자 장치 및 기기를 무선통신 방식을 통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모뎀, 디지털 서비스 장치,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 종합 정보 통신망(ISDN)의 망 종단 장치(NT1, NT2, NT1, 2), 또는 고속 디지털 전용 회선의 회선 종단 장치인 채널 서비스 장치(CSU)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통신 가입자 댁내 장치(30)는 저전압 전력선(200)을 통하여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와 유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통신 가입자 댁내 장치(30)는 전기 콘센트에 꽂아 상기 유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모뎀, 디지털 서비스 장치,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 종합 정보 통신망(ISDN)의 망 종단 장치(NT1, NT2, NT1, 2), 또는 고속 디지털 전용 회선의 회선 종단 장치인 채널 서비스 장치(CSU) 등이 될 수 있다. 도 3에서 참조부호 40은 변압기(transformer)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의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에 미리 저장되는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이고, 도 6은 도 5a 내지 도 5c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에서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는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12, 또는 BPL 인터페이스 모듈), 전력선 모뎀(14, 또는 BPL 모뎀), 및 무선 통신 모듈(16, 또는 Wireless Access Point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12)은 전력선(100, 또는 200)에 접속되어, 전력선(100, 또는 200)에 정보 신호(데이터)를 실어주거나 전력선(100, 또는 200)으로부터 전력을 제외한 정보 신호(데이터)만을 분리해내는 모듈이다. 예컨대,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12)은 커플링(Coupling) 회로를 이용하여 전력선(100 또는 200)으로부터 저주파 대역의 전력은 차단하고 고주파 대역의 정보 신호만을 추출하여 전력선 모뎀(14)으로 전달한다.
상기 전력선 모뎀(14)은 전력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변복조를 수행한다. 또 한,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12)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16)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12)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16) 간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한다.
상기 전력선 모뎀(14)은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를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Bit-per-Bin Table)에 미리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에서 대응되는 방식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Bit-per-Bin Table)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력선 모뎀(14)은 무선 통신 모듈(16)로부터 출력된 상기 무선 통신 모듈(16) 자신의 무선 통신 방식에 대한 방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Bit-per-Bin Table)로부터 비트 할당 정보(Bit/Bin)를 검출하고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모뎀(14)은 상기 데이터 변환시 가용 주파수대역을 특정한 폭을 갖는 주파수대역으로 나누어 신호를 변조하는 DMT(Discrete Multi-tone) 방식을 사용하되, 상기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에 기초하여 데이터 변복조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는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에서 대응되는 방식에 따른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이다. 대역별 비트 할당 정 보(Bit/Bin)란, 미리 정해진 변조방식(예컨대,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또는 PSK(Phase Shift Keying))로 부호화된 비트의 수를 각 대역에 얼마씩 나누어 할당할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각 무선 통신 방식에 대하여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가 시뮬레이션, 실험 혹은 이론적인 방법을 통하여 미리 산출되어 저장된다.
그러면, 상기 전력선 모뎀(14)은 주파수를 다수의 대역(Bin)들로 분할하고, 다수의 대역(Bin)들 각각에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또는 PSK(Phase Shift Keying)로 부호화된 비트의 개수에 대한 정보인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에 기초하여 대역별 비트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모뎀(14)은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에 의해서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특정 대역에 잡음이 인가되는 경우 이를 검출하여 손상된 대역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감소시키고 잡음이 없는 양호한 대역에 데이터 전송을 증가시켜 변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모뎀(14)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전력선 모뎀(14)은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저장블록(141), 변복조부(143), 컨트롤러(144), BPL 제어 모듈(147) 및 네트워크 제어 모듈(14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저장블록(141)은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Bit-per-Bin Table)에 미리 저장하고, 무선 통신 모듈(16)로부터 출력된 상기 무선 통신 모듈(16) 자신의 무선 통신 방식에 대한 방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식정보에 대응되는 방식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 보(Bit/Bin)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Bit-per-Bin Table)로부터 검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저장블록(141)은 저장부(141-1)와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출력부(1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1-1)는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Bit-per-Bin Table, 도 5a 내지 도 5c)을 미리 저장한다.
예컨대, 도 6의 (a), (b), 및 (c)는 각각이 IEEE 802.11 계열 또는 IEEE 802.16 계열 등에서 발생되는 고유의 노이즈에 기초하여 작성된 주파수 대역에 따른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로서 상기 저장부(141-1)는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 방식들(IEEE 802.11 계열 또는 IEEE 802.16 계열 등)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를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Bit-per-Bin Table, 도 5a 내지 도 5c)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MHz 내지 26MHz의 대역폭을 각각이 100KHz의 대역폭을 가지며 정상상태에서 6bit씩 할당되는 256개의 대역(Bin)으로 분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DMT(Discrete Multi-tone) 방식에 의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Bit-per-Bin Table)의 일례를 나타낸다.
즉, 도 5a 내지 도 5c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Bit-per-Bin Table)에 저장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에는 노이즈가 발생되는 중심 대역의 비트수를 2bit 또는 4bit로 감소시키고 대신 그 주변의 상기 노이즈 영향이 적은 대역(Bin)에는 더 많은 비트가 할당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는 무선 통신 방식(IEEE 802.11 계열 또는 IEEE 802.16 계열 등)에 따라 고유한 형태의 노이즈에 기초한 비트 할당 정보(Bit/Bin)를 미리 저장하고 무선 통신 모듈(16)이 사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IEEE 802.11 계열 또는 IEEE 802.16 계열 등)에 따라 대응되는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에 기초하여 별도의 노이즈 분석과정 없이 신속하게 대역별 비트 할당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출력부(141-3)는 무선 통신 모듈(16)로부터 출력된 무선 통신 방식 정보((IEEE 802.11 계열 또는 IEEE 802.16 계열 등)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방식에서 대응되는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를 상기 저장부(141-1)로부터 출력한다.
또는,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출력부(141-3)는 무선 통신 모듈(16)로부터 출력된 무선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방식 정보(IEEE 802.11 계열 또는 IEEE 802.16 계열 등)를 검출하여 무선 통신 모듈(16)의 무선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를 상기 저장부(141-1)로부터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변복조부(143, 또는 DMT Modulator/ Demodulator)는 무선 통신 모듈(16)로부터 수신된 무선 데이터를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저장블록(143)에서 출력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에 기초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로 나누어 할당하여 변조한다. BPL 제어 모듈(147)은 상기 변복조부(143)에서 변조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신 데이터를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12)에서 전력선(100 또는 200)으로 커플링시킬 수 있도록 변환한다.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12)은 BPL 제어 모듈(147)에 의해 변환된 송신 데이터를 전력선(100 또는 200)으로 커플링시킴으로써, 전력선((100 또는 200)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BPL 제어 모듈(147)은 또한,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12)에 의해 커플링된 신호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 변복조부(143)는 상기 BPL 제어 모듈(147)에 의해 추출된 수신 데이터를 복조한다.
일반적으로 IEEE 802.11a에 의한 무선 통신 방식(도 2a)은 5GHz대의 전송주파수를 사용하며 20MHz 간격의 중심주파수를 가지며 20MHz 폭으로 분할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프로세서(미도시)는 20MHz 대역폭의 변복조 신호처리 과정에 많은 계산을 수행하게 되며, 따라서, 계산을 위해 사용되는 클럭에 의해 강한 회로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IEEE 802.11b에 의한 무선 통신 방식(도 2b)은 2.4GHz대의 전송주파수를 사용하며 5MHz 간격의 중심주파수를 가지며 약 22MHz 폭으로 분할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5MHz와 22MHz 대역폭의 변복조 신호처리 과정에 많은 계산을 수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계산을 위해 사용되는 클럭에 의해 강한 회로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IEEE 802.16에 의한 무선 통신 방식은 10 내지 66GHz대의 전송주파수를 사용하며 20, 25 또는 28MHz의 대역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변복조 신호처리를 하는 대역폭에 따라서 20, 25 또는 28MHz 대역에서 강한 회로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변복조부(143)는 무선 통신방식 들 중에서 대응되는 무선 통신방식에 대하여 노이즈가 발생되는 주파수 영역에는 비트 할당(Bit Allocation)을 줄이고 그 주위에 있는 노이즈 영향이 적은 대역에 비트할당을 증가시키는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에 기초하여 변복조를 수행하므로 무선 통신 장치(10)에 의한 노이즈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6)은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무선 데이터(또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컨대, 상기 무선 통신 모듈(16)은 상기 변복조부(143)에서 복조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변환(예컨대, 변조)하여 안테나(18)를 통하여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20)에서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 변환(예컨대, 복조)하여 상기 변복조부(143)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6)과 상기 변복조부(143)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네트워크 제어 모듈(149)이 삽입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 모듈(149)은 변복조부(143)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를 네트웍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또한, 무선 통신 모듈(16)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변복조부(143)에서 변조할 수 있도록 변환할 수 있다. 컨트롤러(144)는 변복조부(143), BPL 제어 모듈(147) 및 네트워크 제어 모듈(149)은 동작을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의 채널 특성 분석부가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는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12), 전력선 모뎀(14'), 및 무선 통신 모듈(16)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는 도 3의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와 비교하여 채널 특성 분석부(14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채널 특성 분석부(145)는 변복조부(143)에서 변조 또는 복조된 데이터의 신호 감쇄 또는 신호대 잡음 비율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산하고 계산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채널 특성 분석부(145)는 도 7과 같이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의해서 변조 또는 복조된 데이터의 신호대 잡음 비율(SNR)을 계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저장블록(141')은 상기 계산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저장블록(141')은 도 7과 같이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에 의해서 변조 또는 복조된 데이터의 신호대 잡음 비율(SNR)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대 잡음 비율(SNR)이 작은 주파수 영역(NR)을 검출하고, 상기 신호대 잡음 비율(SNR)이 작은 주파수 영역(NR)에는 비트 할당(Bit Allocation)을 줄이고 그 주위에 있는 노이즈 영향이 적은 대역에 비트할당을 증가시켜 기존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저장블록(141')은 대역별 비트 할당부(141-5)를 더 구비하여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업데이트된 대 역별 비트 할당 정보는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출력부(141-3)를 통하여 변복조부(143)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143)는 상기 업데이트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선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로 나누어 할당하여 변조하고,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12) 및 BPL 제어 모듈(147)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10')는 미리 저장된 무선 통신 방식별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Bit-per-Bin Table, 도 5a 내지 도 5c)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를 신호 감쇄 또는 신호대 잡음 비율에 기초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으므로, 외부기기, 내부 회로 또는 전송로에 의해서 발생되는 노이즈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와 도 9를 참조하면,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저장블록(141)은 무선 통신 모듈(16)로부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대한 무선 통신 방식 정보를 수신한다(S101).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저장블록(141)은 수신된 무선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방식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Bit/Bin)를 미리 저장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Bit-per-Bin Table, 도 5a 내지 도 5c)로부터 검출한다(S103).
변복조부(143)는 상기 검출단계(S103)에서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 보(Bit/Bin)에 기초하여 데이터 변환을 수행한다(S105).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대응되는 무선 통신 방식에 상응하는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변환하므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산출하는 복잡한 과정 없이 무선 데이터에 영향을 주는 노이즈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저장된 무선 통신 방식별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신호 감쇄 또는 신호대 잡음 비율에 기초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으므로 외부기기, 내부 회로 또는 전송로에 의해서 발생되는 노이즈 영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격한 외부 노이즈에 대응하여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기능 및 전력선 통신 기능을 함께 포함하는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
    전력선에 접속되어,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과 접속되어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 간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전력선 모뎀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 모뎀은,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에 미리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에서 대응되는 방식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은,
    IEEE 802.11 계열 무선통신 규약 및 IEEE 802.16 계열 무선통신 규약에 의한 무선 통신 방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모뎀은,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에 미리 저장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자신의 무선 통신 방식에 대한 방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식 정보에 대응되는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여 출력하는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저장블록;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무선 데이터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로 나누어 할당하여 변조하고,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변복조부를 포함하는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저장블록은,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방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에서 대응되는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출력하는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모뎀은,
    상기 변복조부에서 변조 또는 복조된 데이터의 신호 감쇄 또는 신호대 잡음 비율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산하고 계산결과를 출력하는 채널 특성 분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저장블록은 상기 계산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변복조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를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로 나누어 할당하여 변조하고,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모뎀은,
    상기 변복조부와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변복조부에서 변조된 데이터를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상기 전력선으로 커플링시킬 수 있도록 변환하고,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커플링한 신호를 상기 변복조부에서 복조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전력선 제어 모듈;
    상기 변복조부와 상기 무선 통신 모듈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변복조부와 상기 무선 통신 모듈 간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제어 모듈; 및
    상기 변복조부, 상기 전력선 제어 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 제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7. 전력 분배를 위한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경로를 통하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 및
    상기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와 상기 전력선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전력선과 상기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 간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는,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에 미리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에서 대응되는 방식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무선 경로를 통하여 변환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 시스템은,
    저전압 전력선을 통하여 유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력선 통신 가입자 댁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전력선 통신 가입자 댁내 장치와 상기 전력선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전력선과 상기 전력선 통신 가입자 댁내 장치 간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가입자 댁내 장치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과 접속되어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 간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전력선 모뎀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 모뎀은,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에 미리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에서 대응되는 방식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모뎀은,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각각에 대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에 미리 저장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자신 의 무선 통신 방식에 대한 방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식 정보에 대응되는 비트 할당 정보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여 출력하는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저장블록;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무선 데이터를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로 나누어 할당하여 변조하고, 상기 전력선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변복조부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11.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대한 무선 통신 방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무선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방식의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미리 저장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출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로 나누어 할당하여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 단계; 및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들은,
    IEEE 802.11 계열 무선통신 규약 및 IEEE 802.16 계열 무선통신 규약에 의한 무선 통신 방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방법은
    상기 변조 또는 복조된 데이터의 신호 감쇄 또는 신호 대 잡음 비율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산하고 계산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대역별 비트 할당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KR1020070068880A 2007-07-09 2007-07-09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8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80A KR100898278B1 (ko) 2007-07-09 2007-07-09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07/003452 WO2009008566A1 (en) 2007-07-09 2007-07-16 Power lin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broadband over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80A KR100898278B1 (ko) 2007-07-09 2007-07-09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77A KR20090005677A (ko) 2009-01-14
KR100898278B1 true KR100898278B1 (ko) 2009-05-19

Family

ID=4022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880A KR100898278B1 (ko) 2007-07-09 2007-07-09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98278B1 (ko)
WO (1) WO200900856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623B1 (ko) 2010-05-06 2012-04-18 한국전력공사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CN104318750A (zh) * 2014-10-20 2015-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抄表的方法、装置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064A (ko) * 2001-06-11 2001-08-22 하경호 전력선 통신망을 연계한 rf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40088610A (ko) * 2003-04-10 2004-10-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파수 대역분할을 이용한 키 송수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571B1 (en) * 1998-09-21 2001-06-05 Phone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wireless signals for increased wireless coverage using power lines
KR20040019672A (ko) * 2002-08-29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전력선망 데이터 통신장치
KR20050000051A (ko) * 2003-06-23 2005-01-03 주식회사 우성엠피아이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피엘시
KR20050031713A (ko) * 2003-09-30 2005-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속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랜 중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064A (ko) * 2001-06-11 2001-08-22 하경호 전력선 통신망을 연계한 rf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40088610A (ko) * 2003-04-10 2004-10-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파수 대역분할을 이용한 키 송수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623B1 (ko) 2010-05-06 2012-04-18 한국전력공사 스마트 그리드 전력선 통신망과 융합한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CN104318750A (zh) * 2014-10-20 2015-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抄表的方法、装置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08566A1 (en) 2009-01-15
KR20090005677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2656B2 (en) Communications in OFDMA-based wireless radio networks
JP4633790B2 (ja) 配線による無線用信号の搬送システムおよび搬送方法
US8189454B2 (en) Multi-band OFDM communications system
EP2206271B1 (en) Power line multicarrie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EP1762013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EP1465372A2 (en) Providing link quality intelligence from physical layer to higher protocol layers
US8958464B2 (en) PHY payload over multiple tone masks using single tone mask PHY header information
JP2017519393A (ja) 共有された伝送媒体上での全二重通信
KR100872418B1 (ko) 셀롤라 환경에서 인접한 두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수신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385256A (zh) 基于网络操作条件选择性地使用高层功能的物理层中继器
KR100898278B1 (ko)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 상기 전력선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8123876A4 (en) Broadband data and voice communications over wireless and powerline hybrid networks
JP6393831B2 (ja) 共有伝送媒体を介した全二重通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Liu et al. On (power-) line defined PLC system
JP3795768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7017963B (zh) 节点之间的通信方法、节点和包括多个节点的系统
Awad Communication In Smart Grid-Part2
Rao et al. Powerline communication system with alternative technology based on new modulation schemes
Sarijari et al. Reconfiguring software defined radio platform for dynamic spectrum access
Mehrnia et al. A 3-152 Mbps scalable OFDM-based wireless transceiver
Chai Rethinking Wireless: Building Next-Generation Networks
WO2004112289A2 (en) Multi-band-ofdm communications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