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727B1 - Apparatus for ordering chicken and the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ordering chicken and the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727B1
KR101135727B1 KR1020110010471A KR20110010471A KR101135727B1 KR 101135727 B1 KR101135727 B1 KR 101135727B1 KR 1020110010471 A KR1020110010471 A KR 1020110010471A KR 20110010471 A KR20110010471 A KR 20110010471A KR 101135727 B1 KR101135727 B1 KR 101135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group
topping
selection window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홍근
Original Assignee
윤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홍근 filed Critical 윤홍근
Priority to KR102011001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7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ordering a chicken dish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offer a recommendation set based on the popularity or the stock amount of chicken dish, thereby enabling a customer to conveniently select a dish. CONSTITUTION: A chicken selection window generating unit(210) displays a chicken group with different kinds of chicken. A topping selection window generating unit(220) a topping group which is prepared based on at least one of fruit and vegetable. A sauce selection window generating unit(230) displays a sauce group with different kinds of sauce. An order taking window generating unit(250) displays an inputted order data.

Description

닭요리 주문장치 및 주문방법{APPARATUS FOR ORDERING CHICKEN AND THE METHOD THEREFOR}Apparatus and ordering method for chicken dishes {APPARATUS FOR ORDERING CHICKEN AND THE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닭요리 주문장치 및 주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닭의 부위별 및/또는 조리 형태가 다르게 준비된 치킨군, 치킨에 부가될 수 있도록 과일류나 채소류를 기초로 준비된 토핑군, 치킨에 가미될 수 있게 준비된 소스군 중에서 소비자가 치킨, 토핑, 소스를 직접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도록 한 닭요리 주문장치 및 주문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nd ordering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chicken group prepared by different portions and / or cooking form of chicken, topping group prepared based on fruits or vegetables to be added to the chicken, chick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cken cooking ordering device and an ordering method for allowing a customer to directly select chicken, toppings and sauces from among a group of sauces prepared to be added to the sauce.

닭고기는 세계적으로 인기가 있는 주요 먹을거리들 중의 하나로서 다양한 닭요리의 원재료로 이용된다. 닭요리의 종류는 닭고기를 찌고, 굽고 또는 기름에 튀기는 등의 조리 방식의 차이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뿐만 아니라 조리 과정에서 첨가되는 부재료 등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분류된다. 또한, 각 국가별, 지역별로도 전통적인 식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닭요리의 종류는 더욱 다양하다.Chicken is one of the world's most popular foods and is used as a raw material for various chicken dishes. The types of chicken dishes are classifi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cooking methods such as steaming, grilling or frying the chicken, and also variously classified according to subsidiary materials add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In addition, because the traditional eating habits are different in each country and region, there are more varieties of chicken dishes.

한편, 치킨 프랜차이즈 체인을 통해 공급이 되는 닭요리는 엄선된 재료로 일정하게 정해진 조리 방법과 과정에 따라서 조리가 됨으로써 소비자에게 특정된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치킨 프랜차이즈 체인이 있는 곳이라면 세계 어느 곳에서든지 특정된 고유의 맛을 즐길 수 있게 됨에 따라서 프랜차이즈 치킨은 더욱 인기를 누리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chicken dishes supplied through the chicken franchise chain are carefully selected ingredients, and are cook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oking method and process so that consumers can feel a unique taste. Therefore, wherever there is a chicken franchise chain, the franchise chicken is becoming more popular as it can enjoy a specific unique taste anywhere in the world.

전술한 바와 같은 실정에 의해서 치킨 프랜차이즈 체인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음에도 본 출원인과 같은 선도 치킨 프랜차이즈 체인을 제외한 많은 수의 중소 치킨 프랜차이즈 체인에서는 새로운 메뉴의 개발보다는 선도 치킨 프랜차이즈 체인에서 개발한 메뉴를 모방하는 형태로 영업에 임하는 경우도 있다.Although the competition in the chicken franchise chain is getting more intense due to the above-mentioned circumstances, many small and medium-sized chicken franchise chains, except the leading chicken franchise chain like the applicant, mimic the menus developed by the leading chicken franchise chain rather than the development of new menus. We may work on business in form to say.

그리고 대부분의 치킨 프랜차이즈 체인의 매장에서는 미리 정해진 메뉴 범위 내에서 한정된 수의 닭요리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천차만별의 소비자 입맛을 충족시키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천차만별의 소비자의 입맛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닭요리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And most of the stores in the chicken franchise chain had to choose a limited number of chicken dishes within a predetermined menu range, so there was a limit to satisfy consumers' taste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chicken dishes that can satisfy the tastes of consumers by the thousands of stars is required.

또한, 종래 대부분의 치킨 프랜차이즈 체인에서의 닭요리 주문은 매장방문, 전화, 인터넷 등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주문의 접수 및 결제는 POS 등과 같은 주문장치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더욱 많은 소비자의 입맛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닭요리가 개발되면 그에 따른 닭요리 주문 장치의 개발이 수반되어야 한다.In addition, chicken dishes in most chicken franchise chains are visited by stores, telephones, the Internet, etc., while orders and payments are made through order devices such as POS, which can satisfy more taste buds of consumers. When a new type of chicken dish is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chicken dish ordering device must be accompanied.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이 된 것으로서, 닭의 부위별 및/또는 조리방식이 다르게 준비된 치킨군, 치킨에 부가될 수 있도록 과일류나 채소류를 기초로 준비된 토핑군, 치킨에 가미되도록 준비된 소스군에서 주문자가 치킨, 토핑, 소스를 직접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도록 한 닭요리 주문장치 및 주문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chicken group prepared by different portions and / or cooking methods of chicken, toppings prepared based on fruits or vegetables to be added to chicken The aim is to provide a chicken cooking ordering device and ordering method that allows the orderer to directly select the chicken, toppings and sauce in the sauce group prepared to be added to the group and chicke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개의 치킨으로 형성된 치킨군, M개의 토핑으로 형성된 토핑군, N개의 소스로 형성된 소스군에서 선택된 치킨, 토핑, 소스의 조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L*M*N 개의 닭요리 조합에서 인기도에 기초한 순서 또는 재고량에 기초한 순서 등에 따라서 소정의 권장세트군이 추천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편리하게 닭요리를 주문할 수 있도록 한 닭요리 주문장치 및 주문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ation of L * M * N chicken dishes made by a combination of chicken, topping, sauce selected from chicken group formed of L chickens, topping group formed of M toppings, source group formed of N sauces In order to recommend a predetermined set group according to the order based on the popularity or the order based on the amount of stock to provide a chicken cooking ordering device and ordering method so that consumers can conveniently order chicken cook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킨군, 토핑군, 소스군에서 선택된 치킨, 토핑, 소스의 조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L*M*N 개의 닭요리 조합에서 관리자가 임의로 입력하는 순서 등에 따라서 소정의 권장세트군이 추천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편리하게 닭요리를 주문할 수 있도록 한 닭요리 주문장치 및 주문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determined set group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administrator input randomly in the combination of L * M * N chicken dishes made by a combination of chicken group, topping group, source selected chicken, topping, sauce It is to provide a chicken ordering device and a method of ordering so that consumers can conveniently order chicken dishes by being recommen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킨군, 토핑군, 소스군에서 선택된 치킨, 토핑, 소스의 조합 중에서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많은 조합은 어느 것인지 쉽게 파악하여 재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닭요리 주문장치 및 주문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icken group, a topping group, a chicken selected from the source group, a chicken that is easy to grasp the combination that is popular among consumers among the combinations of the popular to prepare the ingredients to actively cope with the process To provide a cooking ordering device and ordering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는 닭의 부위 및/또는 조리 방식을 달리하여 준비된 L개의 치킨을 포함하는 치킨군을 표시하는 치킨선택창 생성부; 치킨에 부가되도록 과일 및/또는 채소를 기초로 준비된 M개의 토핑을 포함하는 토핑군을 표시하는 토핑선택창 생성부; 치킨에 가미되도록 준비된 N개의 소스를 포함하는 소스군을 표시하는 소스선택창 생성부; 치킨군, 토핑군 및 소스군에서 각각 하나씩 선택되어 조합된 L*M*N 개의 조합 중에서 추천된 권장세트군을 표시하는 권장세트선택창 생성부; 치킨선택창, 토핑선택창, 소스선택창 및 권장세트선택창에 표시된 치킨, 토핑, 소스 및 권장세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주문데이터를 표시하는 주문접수창 생성부; 치킨선택창, 토핑선택창, 소스선택창, 권장세트선택창 및 주문접수창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주문접수창에 표시된 주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를 포함한다.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icken selection window generating unit for displaying a chicken group including L chickens prepared by varying the portion and / or cooking method of the chicken; A topping selection window generating unit for displaying a topping group including M toppings prepared based on fruits and / or vegetables to be added to the chicken; A source selection window generating unit displaying a source group including N sauces prepared to be added to the chicken; A recommendation set selection window generation unit for displaying a recommended recommendation group from among L * M * N combinations selected and combined one by one from a chicken group, a topping group, and a sauce group; An input unit for receiving chicken, toppings, sauces, and recommended sets displayed in a chicken selection window, a topping selection window, a source selection window, and a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An order reception window generation unit displaying orde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icken selection window, a topping selection window, a source selection window, a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and an order reception window;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order data displayed in the order reception window. It includes.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는 저장부에 저장되는 주문데이터를 통합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 및 통합서버로부터 권장세트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권장세트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를 더 포함하되, 권장세트군은 권장세트데이터에 의해 정해진다.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rder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integrated server; And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recommended set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set group from the integrated server; In addition, the recommended set group is determined by the recommended set data.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에서 치킨선택창에는 치킨군을 이루는 L개의 치킨에 부여된 고유의 치킨번호와 함께 고유의 치킨이름이 표시되고, 토핑선택창에는 토핑군을 이루는 M개의 토핑에 부여된 고유의 토핑번호와 함께 고유의 토핑이름이 표시되며, 소스선택창에는 소스군을 이루는 N개의 소스에 부여된 고유의 소스번호와 함께 고유의 소스이름이 표시되며, 권장세트창에는 권장세트군을 이루는 권장세트번호와 함께 권장세트이름이 표시된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cken selection window is displayed with a unique chicken number along with the unique chicken number given to the L chickens constituting the chicken group, and the topping selection window is assigned to the M toppings forming the topping group. The unique topping name is displayed along with the unique topping number. The source selection window displays the unique source name along with the unique source number assigned to the N sources that make up the source group. The recommended set name is displayed along with the recommended set number.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에서 권장세트군은 권장세트데이터에 기초하여 인기도 순서 또는 재고량 순서로 정렬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통합서버의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입력된 순서로 정렬이 이루어진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mended set group is sorted in order of popularity or inventory based on the recommended set data or sorted in a randomly inputted order by the administrator of the integrated server.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는 터치스크린으로 일체로 구성된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and the input unit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touch screen.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에서 치킨군, 토핑군, 소스군 및/또는 권장세트군은 디스플레이부에서 하나의 페이지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cken group, the topping group, the sauce group and / or the recommended set group ar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one page i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는 치킨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치킨이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치킨에 맞춰 권장되는 토핑군 및/또는 소스군의 리스트가 재정렬되고, 토핑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토핑이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토핑에 맞춰 권장되는 치킨군 및/또는 소스군의 리스트가 재정렬되며, 소스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소스가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소스에 맞춰 권장되는 치킨군 및/또는 토핑군의 리스트가 재정렬된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y one of the chicken groups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recommended topping groups and / or sauce groups is rearranged according to the selected chicken, and any one of the toppings is selected first. This will rearrange the list of recommended chicken and / or sauce groups for the selected toppings, and if either source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recommended chicken and / or toppings for the selected sauce will be listed. It is rearranged.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은 닭의 부위 및/또는 조리 방식을 달리하여 준비된 L개의 치킨을 포함하는 치킨군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치킨선택창 표시단계; 치킨에 부가되도록 과일 및/또는 채소를 기초로 준비된 M개의 토핑을 포함하는 토핑군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토핑선택창 표시단계; 치킨에 가미되도록 준비된 N개의 소스를 포함하는 소스군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소스선택창 표시단계; 치킨군, 토핑군 및 소스군에서 각각 하나씩 선택되어 조합된 L*M*N 개의 조합 중에서 추천된 권장세트군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권장세트선택창 표시단계; 치킨선택창, 토핑선택창, 소스선택창 및 권장세트선택창에서 선택된 치킨, 토핑, 소스 및 권장세트를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받는 주문데이터 입력단계;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주문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주문접수창 표시단계; 주문접수창에 표시된 주문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주문데이터 저장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Chicken cooking ord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icken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a chicken group including a chicken chicken L prepared by changing the part and / or cooking method of the chicken; A topping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a group of toppings including M toppings prepared based on fruits and / or vegetables to be added to the chicken; A source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source group including N sources prepared to be added to the chicken meat on a display unit; A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of displaying, on a display, a recommended set group of L * M * N combinations selected and combined one by one from a chicken group, a topping group, and a sauce group; Order data input step of receiving a chicken, topping, sauce and recommended set selected from the chicken selection window, the topping selection window, the source selection window and the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through an input unit; An order reception window display step of displaying orde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on a display unit; An order dat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order data displayed on the order reception window in a storage unit; It is made, including.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은 주문데이터를 통합서버로 전송하는 주문데이터 전송단계; 및 통합서버로부터 권장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권장세트데이터를 수신하는 권장세트데이터 수신단계; 를 더 포함하되, 권장세트군은 권장세트데이터에 의해 정해진다.Chicken food ord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order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order data to the integrated server; And a recommended set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recommended set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set from the integrated server; In addition, the recommended set group is determined by the recommended set data.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은 치킨선택창 표시단계에서는 치킨군을 이루는 L개의 치킨에 부여된 고유의 치킨번호와 함께 고유의 치킨이름이 표시되고, 토핑선택창 표시단계에서는 토핑군을 이루는 M개의 토핑에 부여된 고유의 토핑번호와 함께 고유의 토핑이름이 표시되고, 소스선택창 표시단계에서는 소스군을 이루는 N개의 소스에 부여된 고유의 소스번호와 함께 고유의 소스이름이 표시되고, 권장세트창 표시단계에서는 권장세트군을 이루는 권장세트번호와 함께 권장세트이름이 표시된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hicken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a unique chicken name is displayed along with a unique chicken number given to L chickens constituting the chicken group, and the M topping group is displayed in the topping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The unique topping name is displayed with the unique topping number assigned to the two toppings. In the source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the unique source name is displayed with the unique source number assigned to the N sources constituting the source group. In the set window display step, the recommended set name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recommended set number constituting the recommended set group.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에서 권장세트군은 권장세트데이터에 기초하여 인기도 순서 또는 재고량 순서로 정렬이 이루어지거나 통합서버의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입력된 순서로 정렬이 이루어진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mended set group is arranged in the order of popularity or inventory based on the recommended set data or the order is arbitrarily input by the administrator of the integrated server.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에서 주문데이터 입력단계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이루어진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order data input step is made through a touch screen.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에서 치킨선택창 표시단계, 토핑선택창 표시단계, 소스선택창 표시단계의 수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치킨군, 토핑군 및 소스군은 디스플레이부의 하나의 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된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cken group, the topping group, and the source group displayed by performing the chicken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the topping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and the source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are displayed on one page of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은 치킨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치킨이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치킨에 맞춰 권장되는 토핑군 및/또는 소스군의 리스트가 재정렬이 되고, 토핑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토핑이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토핑에 맞춰 권장되는 치킨군 및/또는 소스군의 리스트가 재정렬되고, 소스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소스가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소스에 맞춰 권장되는 치킨군 및/또는 토핑군의 리스트가 재정렬된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ny one of the chicken group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recommended topping groups and / or sauce groups is rearranged according to the selected chicken, and any one of the topping groups is first When selected, the list of recommended chicken and / or sauce groups is rearranged for the selected toppings.If any source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recommended chicken and / or topping groups is selected for the selected sauce. It is rearranged.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 및 주문방법에 의하면 복수 L개의 치킨으로 형성된 치킨군, 복수 M개의 토핑으로 형성된 토핑군, 복수 N개의 소스로 형성된 소스군에서 선택된 치킨, 토핑, 소스의 조합인 L*M*N 개의 닭요리 중에서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닭요리를 선택적으로 주문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nd ord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hicken group formed of a plurality of L chickens, a topping group formed of a plurality of M toppings, a chicken selected from a source group formed of a plurality of N sauces, a topping, and a combination of sauces L * M * N chicken dishes have the advantage of selectively ordering chicken dishes to suit the taste of the consumer.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 및 주문방법에 의하면 L*M*N 개의 닭요리 중에서 인기도에 기초한 순서 또는 재고량에 기초로 한 순서 등에 따라 권장세트가 추천이 됨으로써 소비자는 편리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device and the ord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mended set is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order based on the popularity or the order based on the stock among the L * M * N chicken dishes. There is an advantage.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 및 주문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치킨으로 이루어진 치킨군, 복수의 토핑으로 이루어진 토핑군 및 복수의 소스로 이루어진 소스군에서 선택된 치킨, 토핑 및 소스의 조합에서 어느 조합이 소비자에게 인기가 많은지 등이 쉽게 분석됨으로써 재료를 준비하는 데 있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nd the ord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combination is a combination of chicken, topping and sauce selected from chicken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hicken, topping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oppings and source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auces It is easy to analyze whether it is popular with the user, so that it is possible to actively cope with preparing th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 및 주문방법에 의하면 치킨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치킨, 토핑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토핑, 소스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소스에는 고유번호와 함께 고유이름이 부여됨으로써 소비자 및 관리자는 고유번호만을 호칭함으로써 원하는 닭요리 메뉴를 표현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nd ord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chicken constituting the chicken group, each topping constituting the topping group, each source constituting the sauce group is given a unique name with a unique number to the consumer And the administrator has a convenient advantage that can express the desired chicken menu by calling only the unique number.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에서 처리부의 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치킨선택창의 한 예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토핑선택창의 한 예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소스선택창의 한 예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권장세트선택창의 한 예를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주문접수창의 한 예를 보인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한 예를 보인 도면.
도 9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를 통한 주문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변화되는 한 예를 보인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processing unit in a chicken dish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hicken selection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opping selection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ource selection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rder reception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chicken dish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that is changed in the process of making an order through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icken cooking ord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role and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or the custom.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components, functional blocks or means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sub-components, the electrical, electronic, mechanical functions performed by each component is an electronic circuit, It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known elements or mechanical elements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two or more may be integrated into one.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lso, combinations of each block in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 and each step in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instructions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not be includ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 It will cre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each step of the block diagram.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implemented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Instructions that perform processing equipment may also provide step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데,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or step may represent a portion of a module, segment or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a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For example, th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execut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functionality involv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configuration of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다.Reference numeral 100 displayed in the drawings indicates a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는 치킨 프랜차이즈 체인의 주문관리 시스템인 POS 등에 포함되거나 POS 등과 연동이 되도록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를 통한 주문은 매장을 직접 찾은 소비자의 현장 주문은 물론 전화, 인터넷,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한 원격 주문을 포함하게 된다.Chicken cuisine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POS, such as the order management system of the chicken franchise chain or linked with the POS. In addition, the order through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clude a remote order through a telephone, the Internet, a smart phone application, as well as on-site orders of consumers who find the store directly.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부(200), 디스플레이부(300), 입력부(310) 및 저장부(400)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는 치킨 프랜차이즈 체인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서버(6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전송부(500) 및 수신부(5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ocessing unit 200, a display unit 300, an input unit 310 and a storage unit 400 as shown in FIG. This is done. In additio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transmitter 500 and a receiver 510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integrated server 600 that manages the whole chicken franchise chain. Can b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에서 처리부(200)는 치킨선택창 생성부(210), 토핑선택창 생성부(220), 소스선택창 생성부(230), 권장세트선택창 생성부(240) 및 주문접수창 생성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20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부(300), 입력부(310), 저장부(400), 전송부(500) 및 수신부(51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ing unit 200 includes a chicken selection window generator 210, a topping selection window generator 220, a source selection window generator 230, and a recommended set selection. The window generating unit 240 and the order reception window generating unit 250 may be included. The processor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300, the input unit 310, the storage unit 400, the transmitter 500, the receiver 510,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에서의 디스플레이부(300)는 입력부(31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00 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at can simultaneousl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3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의 치킨선택창 생성부(210)는 닭의 부위 및/또는 조리 방식을 달리하여 준비된 L(L≥2)개의 치킨을 포함하는 치킨선택창(212)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치킨선택창(212)에는 10개의 치킨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분할되어 표시되고, 분할된 각 영역에는 각각의 치킨에 부여된 고유의 치킨번호와 함께 고유의 치킨이름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위해, 치킨선택창(212)의 각 분할영역은 치킨번호 표시부영역(212a) 및 치킨이름 표시부영역(212b)을 포함할 수 있다.Chicken selection window generating unit 210 of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icken selection window comprising L (L≥2) chicken prepared by changing the chicken part and / or cooking method A function 212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30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chicken selection window 212 is divided into regions for displaying ten chickens, and each divided region is unique with a unique chicken number assigned to each chicken. The chicken name is displayed. To this end, each divided area of the chicken selection window 212 may include a chicken number display unit 212a and a chicken name display unit 212b.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의 토핑선택창 생성부(220)는 치킨에 부가되도록 과일류 및/또는 채소류를 기초로 준비된 M(M≥2)개의 토핑을 포함하는 토핑선택창(222)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 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토핑선택창(222)에는 10개의 토핑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분할되어 표시되고, 분할된 각 영역에는 각각의 토핑에 부여된 고유의 토핑번호와 함께 고유의 토핑이름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위해, 토핑선택창(222)의 각 분할영역은 토핑번호 표시부영역(222a) 및 토핑이름 표시부영역(222b)을 포함할 수 있다.Topping selection window generation unit 220 of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ppings including M (M≥2) toppings prepared based on fruits and / or vegetables to be added to the chicken The selection window 222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the topping selection window 222 is divided into regions for displaying ten toppings, and each divided region is unique with a unique topping number assigned to each topping. The topping name is displayed. To this end, each divided area of the topping select window 222 may include a topping number display area 222a and a topping name display area 222b.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의 소스선택창 생성부(230)는 치킨에 가미되도록 준비된 N개(N≥2)의 소스를 포함하는 소스선택창(232)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 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소스선택창(232)에는 10개의 소스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분할되어 표시되고, 각 분할된 영역에는 각각의 소스에 부여된 고유의 소스번호와 함께 고유의 소스이름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위해, 소스선택창(232)의 각 분할영역은 소스이름 표시부영역(232a) 및 소스이름 표시부영역(232b)을 포함할 수 있다.The source selection window generator 230 of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source selection window 232 including N (N≥2) sources prepared to be added to the chicken. The display unit 30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in the source selection window 232, regions for displaying ten sources are divided and displayed, and each divided region is unique with a unique source number assigned to each source. The source name is displayed. To this end, each partition of the source selection window 232 may include a source name display area 232a and a source name display area 232b.

따라서, 주문자가 원하는 치킨, 토핑 및 소스를 주문하는 과정에서는 치킨이름, 토핑이름 및 소스이름을 각각 부르거나 입력하여 주문을 할 수도 있지만 치킨번호, 토핑번호 및 소스번호의 숫자를 차례로 붙여 읽거나 입력하는 방식으로 주문할 수도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매장을 찾은 주문자는 주문하고자 하는 치킨번호가 3이고, 토핑번호가 8이며, 소스번호가 6인 경우에 주문자는 '386으로 주세요' 또는 '368치킨으로 주세요' 등으로 주문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주문하고자 하는 치킨번호, 토핑번호 및 소스번호가 모두 7인 경우에 주문자는 '777로 주세요' 또는 '777치킨으로 주세요' 등으로 주문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주문하고자 하는 닭요리를 구성하는 치킨이름, 토핑이름 및 소스이름을 일일이 불러 주문을 할 수도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세 자리 숫자로 주문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주문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피주문자는 주문자의 주문내역을 입력부(310)를 통해서 입력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의 입력부(310)를 통해서 주문자가 직접 주문내역을 입력할 수도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order the chicken, toppings and sauce that the orderer wants, you can order by calling or entering the chicken name, topping name and source name respectively, but read or enter the chicken number, topping number and source number You can order it in the same way. For example, if an orderer finds a store, the chicken number is 3, the topping number is 8, and the source number is 6, the orderer can order with '386' or '368 chicken'. It becomes possibl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hicken number, the topping number, and the source number to be ordered are all 7, the orderer may order by '777 please' or '777 chicken please'. That is, the chicken name, the topping name and the source name constituting the chicken dish may be ordered by calling one by one, but as described above can be ordered in three digits, accurate and rapid ordering is possible.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character is to input the order of the orderer through the input unit 310. Of course, the orderer may directly input the order history through the input unit 310 of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의 권장세트선택창 생성부(240)는 치킨군, 토핑군, 소스군에서 각각 하나씩 선택하여 조합 가능한 L*M*N 개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소정 개수의 권장세트군을 포함하는 권장세트선택창(242)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 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권장세트선택창(242)에는 L*M*N 개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10개의 권장세트가 포함된다. 이때, 권장세트선택창(242)에는 고유의 권장세트이름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장세트선택창(242)에는 10개의 권장세트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분할되어 표시되고, 각 분할된 영역에는 권장세트이름을 표시하기 위한 권장세트이름 표시부영역(242a)과 L*M*N 개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조합의 치킨번호, 토핑번호 및 소스번호로 이루어진 권장세트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권장세트번호 표시부영역(242b)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킨번호가 3이고, 토핑번호가 8이며, 소스번호가 6인 경우에는 권장세트번호 표시부영역(242a)에는 386이 디스플레이된다. 또 다른 예로, 치킨번호, 토핑번호 및 소스번호가 모두 7인 경우에는 권장세트번호 표시부영역(242a)에 777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권장세트선택창(242)에 권장세트가 표시됨으로써 주문자는 치킨, 토핑, 소스를 일일이 선택하는 것이 번거로운 경우에 권장세트를 선택함으로써 편리하고 신속하게 주문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generating unit 240 of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mong the combination of L * M * N pieces can be selected by selecting each one from the chicken group, topping group, sauce group A function of generating a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242 including the selected predetermined number of recommended set groups and displaying them on the display unit 300 is performe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the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242 includes 10 recommended sets selected from L * M * N combinations. At this time, the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242 may display a unique recommended set name. That is, as shown in FIG. 6, in the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242, an area for displaying 10 recommended sets is divided and displayed, and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a recommended set name display unit area for displaying a recommended set name ( 242a) and a recommended set number display unit area 242b for displaying a recommended set number consisting of a chicken number, a topping number, and a source number of the selected combination among the L * M * N combinations may be included. For example, if the chicken number is 3, the topping number is 8, and the source number is 6, 386 is displayed in the recommended set number display portion 242a.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hicken number, the topping number, and the source number are all seven, 777 is displayed in the recommended set number display portion 242a. As the recommended set is displayed on the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242 as described above, the orderer can conveniently and quickly place an order by selecting the recommended set when it is cumbersome to select chicken, topping, and sau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의 주문접수창 생성부(250)는 입력부(310)를 통해서 입력이 되는 치킨, 토핑, 소스 및/또는 권장세트 등의 주문데이터를 포함하는 주문접수창(252)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order reception window generating unit 250 of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rder data such as chicken, toppings, sauces and / or recommended sets which ar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10. Creates an order receiving window 252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300.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의 입력부(310)는 치킨선택창(212), 토핑선택창(222), 소스선택창(232) 및/또는 권장세트선택창(242)에서 선택된 치킨, 토핑, 소스 및/또는 권장세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의 입력부(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And the input unit 310 of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icken selection window 212, topping selection window 222, source selection window 232 and / or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242 ) To receive the selected chicken, toppings, sauce and / or recommended set. In this case, the input unit 31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unit 300 as described above.

전술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치킨선택창(212), 토핑선택창(222), 소스선택창(232) 권장세트선택창(242) 및/또는 주문접수창(252) 등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주문자 및/또는 피주문자가 주문내역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display unit 300 includes the chicken selector 212, the topping selector 222, the source selector 232, the recommended set selector 242, and / or the order acceptance window 252. And / or allow the subject to visually check the order histor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에서 저장부(400)는 전술한 주문이 완료되면, 주문내역을 저장하고, 처리부(200)는 전송부(500)를 통해 저장된 주문내역을 통합서버(6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주문내역을 통합서버(600)로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치킨으로 이루어진 치킨군, 복수의 토핑으로 이루어진 토핑군 및 복수의 소스로 이루어진 소스군에서 선택된 치킨, 토핑 및 소스의 조합에서 어느 조합이 소비자에게 인기가 많은지 등이 쉽게 분석되어 재료를 준비하는 데 있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400 stores the order history when the above-described order is completed, and the processing unit 200 stores the order history stored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500. The integrated server 600 transmits. As such, by sending the order history to the integrated server 600, any combination in the combination of chicken, toppings and sauce selected from a chicken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hicken, a topping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oppings and a source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auces It is easily analyzed whether it is popular with consumers, and can actively cope with preparing the material.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권장세트군은 통합서버(600)로부터 권장세트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권장세트데이터에 기초한 권장세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장세트군은 통합서버(600)에서 인기도 순서 또는 재고량 순서로 선택되어 정렬될 수 있다. 통합서버(600)를 통해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치킨 프랜차이즈 체인의 판매 인기도가 높은 순으로 권장세트군이 결정되는 경우, 주문자는 인기메뉴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통합서버(600)를 통해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치킨 프랜차이즈 체인의 재고량이 높은 순으로 권장세트군이 결정되는 경우에는 재고량의 소비를 촉진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mended set group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is recommended based on the recommended set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set group from the integrated server 600 It can be a set. For example, the recommended set group may be selected and sorted in the order of popularity or inventory in the integrated server 600. When the recommended set group is determined in order of the sales popularity of the chicken franchise chain being managed through the integrated server 600, the orderer can conveniently select the popular menu. In addition, when the recommended set group is determined in order of the high inventory level of the chicken franchise chain that is managed through the integrated server 600, it is possible to promote consumption of the inventory amou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권장세트군은 매장의 관리자 또는 통합서버의 관리자가 임의로 입력하는 순서로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장세트군은 매장 관리자 또는 통합서버의 관리자가 성별, 나이, 맛, 칼로리, 다이어트, 웰빙 등의 테마에 적합하게 조합하여 권장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할인행사와 같은 이벤트 등이 있을 경우에는 이벤트 대상이 되는 조합으로 권장세트군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mended set group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may be arranged in a random input order by the manager of the store or the administrator of the integrated server. For example, in the recommended set group, the manager of the store manager or integrated server may configure the recommended set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mes such as gender, age, taste, calories, diet, and well-being. In addition, when there is an event such as a discount event, the recommended set group may be configured by a combination that is an event target.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치킨의 수(L), 토핑의 수(M) 및 소스의 수(N)가 각각 10인 경우에는 주문자가 주문가능한 경우의 수(L*M*N)는 1,000개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인기도 순서 또는 판매자가 추천하는 순서 등의 권장세트군이 제시되도록 함으로써 주문자의 선택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f the number of chicken (L), the number of toppings (M) and the number (N) of the chicken provided through the chicken dish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0 respectively, the orderer can order The number of cases (L * M * N) amounts to 1,000.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recommended set group such as the order of popularity or the order recommended by the seller may be presented, so that the selection of the orderer may be made more conveni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에서 치킨군, 토핑군, 소스군 및 권장세트군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하나의 페이지로 표시될 수 있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cken group, the topping group, the sauce group, and the recommended set group may be displayed as one page on the display uni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100)를 통해서 주문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치킨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치킨이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치킨에 어울리는 토핑군 및/또는 소스군의 리스트가 재정렬이 되도록 구성이 될 수 있다. 또한, 치킨이 먼저 선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토핑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토핑이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토핑에 어울리는 치킨군 및/또는 소스군의 리스트가 재정렬이 되도록 구성이 될 수 있다. 또한, 치킨 또는 토핑이 먼저 선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스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소스가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소스에 어울리는 치킨군 및/또는 토핑군의 리스트가 재정렬이 되도록 구성이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any one of the chicken group is first selected in the process of the order is made through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st of topping groups and / or source groups suitable for the selected chicken is It can be configured to be reordered. In addition, when the chicken is not selected first, if any one of the toppings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chicken groups and / or sauce groups suitable for the selected toppings may be rearranged. In addition, when chicken or topping is not selected first, if any one of the source groups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chicken groups and / or topping groups suitable for the selected source may be configured to be rearranged.

예를 들어,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7번의 치킨이 먼저 선택이 된 상태에서는 7번 치킨에 어울리는 순으로 토핑 및/또는 소스의 리스트가 새로 정렬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번의 토핑이 먼저 선택이 된 상태에서는 3번 치킨에 어울리는 순으로 치킨 및/또는 소스의 리스트가 새로 정렬이 되도록 구성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번의 소스가 먼저 선택이 된 상태에서는 5번 소스에 어울리는 순으로 치킨 및/또는 토핑의 리스트가 새로 정렬이 되도록 구성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when seven chickens are selected first, the list of toppings and / or sauces may be newly sorted in the order of the seven chickens.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when three toppings are selected first, the list of chickens and / or sauces may be newly sorted in order of being suitable for chicken # 3.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when the fifth source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chickens and / or toppings may be newly sorted in order of matching the fifth sour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 chicken cooking ord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킨선택창 표시단계(S110), 토핑선택창 표시단계(S120), 소스선택창 표시단계(S130), 권장세트선택창 표시단계(S140), 주문데이터 입력단계(S200), 주문접수창 표시단계(S300), 주문데이터 저장단계(S4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Chicken cooking 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 12 chicken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S110), topping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S120), source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S130),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It includes a display step (S140), order data input step (S200), order receiving window display step (S300), order data storage step (S400)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은 치킨 프랜차이즈 체인을 관리하는 통합서버(600)로 주문내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통합서버(600)로부터 권장세트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권장세트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hicken cooking order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order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order history to the integrated server 600 for managing the chicken franchise chain and recommended set from the integrated server 600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recommended set data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group.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에서 주문데이터 입력단계(S200)는 터치스크린 등의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the order data input step (S200) in the chicken cooking ord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through the display unit 300, such as a touch scree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에서 치킨선택창 표시단계(S110), 토핑선택창 표시단계(S120), 소스선택창 표시단계(S130)의 수행을 통해 표시되는 치킨군, 토핑군 및 소스군은 디스플레이부(300)에 하나의 페이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치킨선택창 표시단계(S110), 토핑선택창 표시단계(S120), 소스선택창 표시단계(S130)는 메뉴표시단계(S100)로써 3개의 단계가 동시에 수행이 될 수도 있지만 순차적으로 수행이 될 수도 있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cken group, the topping group and the chicken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S110), the topping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S120), and the source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S130) are performed. The source group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as one page on the display 300. In addition, the chicken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S110), the topping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S120), the source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S130) as the menu display step (S100)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but the three steps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May be

또한, 메뉴표시단계(S100)의 한 단계인 권장세트선택창 표시단계(S140)는 위 3개의 단계와 함께 수행이 되거나 뒤에서 설명하겠지만 3개의 단계와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S140, which is one step of the menu display step S100,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above three steps or may be performed separately from the three steps, as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에서 치킨군, 토핑군, 소스군 중에서 반드시 치킨이 먼저 선택이 될 필요는 없다. 즉, L개의 치킨군, M개의 토핑군 및 N개의 소스군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L*M*N 개의 조합에서 치킨번호가 먼저 선택이 될 수도 있고, 토핑번호가 먼저 선택이 될 수도 있으며, 소스번호가 먼저 선택이 될 수 있다.In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cken group, the topping group, the sauce group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selected first. That is, the chicken number may be selected first, the topping number may be selected first, the L * M * N combination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L chicken groups, M topping groups, and N source groups. May be the first choic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요리 주문방법은 치킨군에서 어느 하나의 치킨이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치킨에 맞춰 권장되는 토핑군 및/또는 소스군의 리스트가 재정렬이 되고, 토핑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토핑이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토핑에 맞춰 권장되는 치킨군 및/또는 소스군의 리스트가 재정렬이 되며, 소스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소스가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소스에 맞춰 권장되는 치킨군 및/또는 토핑군의 리스트가 재정렬되도록 처리부(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hicken cooking ord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ny one of the chicken in the chicken group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recommended topping group and / or source group according to the selected chicken is rearranged, any of the topping group If one topping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recommended chicken and / or sauce groups will be rearranged for the selected topping.If any of the sauces is selected first, the recommended chicken and / or chicken will be selected for the selected sauce. Alternatively, the processor 200 may be controlled to rearrange the list of the topping groups.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치킨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치킨이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치킨에 맞춰 토핑군 및/또는 소스군의 리스트가 재정렬이 되도록 처리부(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7번의 치킨이 먼저 선택이 된 상태에서는 7번 치킨에 어울리는 순으로 토핑 및/또는 소스의 리스트가 새로 정렬이 된다. 도 9 를 참조하면, 7번의 치킨에 가장 잘 어울리는 토핑은 3번, 9번, 6번, 1번의 순인 것을 알 수 있게 되며, 7번 치킨에 가장 잘 어울리는 소스는 7번, 3번, 1번, 2번의 순인 것을 알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9, when any one of the chicken group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is first selected, the list of the topping groups and / or the source groups is re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ed chicken. Can be controlled. That is, when seven chickens are selected first, the list of toppings and / or sources is newly sorted in the order of the seven chickens. Referring to Figure 9, the best toppings for seven chickens can be seen that the order of the three times, nine, six times, one, the best sauce for chicken seven times, seven times, three times, one It turns out that, in order of 2 times.

또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토핑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토핑이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토핑에 맞춰 치킨군 및/또는 소스군의 리스트가 재정렬이 되도록 처리부(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3번의 토핑이 먼저 선택이 된 상태에서는 3번 치킨에 어울리는 순으로 치킨 및/또는 소스의 리스트가 새로 정렬이 되도록 구성이 될 수 있다. 도 10 을 참조하면, 3번 토핑에 가장 잘 어울리는 치킨은 4번, 7번, 1번, 6번의 순인 것을 알 수 있게 되며, 3번 토핑에 가장 잘 어울리는 소스는 1번, 4번, 2번, 8번의 순인 것을 알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when any one of the toppings among the topping group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is selected first, the processor 200 may rearrange the list of the chicken group and / or the source group according to the selected topping. Can be controlled by That is, when three toppings are selected first, the list of chickens and / or sauces may be newly sorted in order of being suitable for chicken # 3. Referring to FIG. 10, the chicken best suited to topping 3 can be found in the order of 4, 7, 1 and 6, and the best suited to 3 toppings are 1, 4 and 2 times. , You can see that it is 8 times.

아울러,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소스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소스가 먼저 선택이 되면, 선택된 소스에 맞춰 치킨군 및/또는 토핑군의 리스트가 재정렬이 되도록 처리부(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5번의 소스가 먼저 선택이 된 상태에서는 5번 소스에 어울리는 순으로 치킨 및/또는 토핑의 리스트가 새로 정렬이 되도록 구성이 될 수 있다. 도 11 을 참조하면, 5번 소스에 가장 잘 어울리는 치킨은 3번, 6번, 4번, 9번이며, 5번 소스에 가장 잘 어울리는 토핑은 5번, 1번, 9번, 4번의 순인 것을 알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when any one source is selected first from the source group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the processor 200 may rearrange the list of chicken groups and / or topping groups according to the selected source. Can be controlled by That is, when the fifth source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chickens and / or toppings may be newly sorted in order of matching the fifth source. Referring to FIG. 11, the best chickens for sauce 5 are 3, 6, 4 and 9, and the best toppings for sauce 5 are 5, 1, 9 and 4. You will know.

전술한 예와 같이 치킨군, 토핑군 및/또는 소스군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먼저 선택이 되면, 그 선택된 구성요소에 맞춰 나머지 군의 리스트가 재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저장부(400)에는 미리 각 구성요소에 어울리는 다른 군의 구성요소 리스트가 저장된다. 이때, 리스트의 순서가 재정렬이 되게 하는 기준은 관리자가 입력한 순서 또는 판매 인기도에 따른 순서 또는 통합서버로부터 수신한 권장세트데이터에 기초한 순서 등이 될 수 있다.As in the above example, if any on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hicken group, the topping group, and / or the source group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the remaining groups may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selected component. The storage unit 400 stores a component list of another group suitable for each component in advance. In this case, a criterion for reordering the list may be an order input by an administrator, an order according to sales popularity, or an order based on recommended set data received from an integrated server.

도 9 내지 도 11 에서는 치킨군, 토핑군, 소스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군이 먼저 선택된 상태에서 나머지 군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순서가 재정렬이 되는 상태만을 보이고 있으나, 위 3개의 군 중에서 2개의 군이 먼저 선택이 된 상태에서 나머지 1개의 군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순서도 재정렬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FIGS. 9 to 11, only one of the chicken group, the topping group, and the sauce group is selected first, but only the order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emaining group is rearranged. In the first selected state, the order of the components of the remaining one group may be configured to be rearranged.

따라서 주문자가 치킨군, 토핑군, 소스군에서 어느 한 구성요소를 먼저 선택한 후에 소비자가 선택한 그 구성요소에 어울리는 다른 구성요소를 선택하기가 수월해지게 된다.Therefore, it is easier for an orderer to select a component from the chicken group, the topping group, and the source group first, and then select another component that matches the component selected by the consum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닭요리 주문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L*M*N 개의 조합 중에서 소비자에게 인기가 많은 조합이 어느 조합인지를 컴퓨터의 분석을 통해서 자동으로 알 수 있게 됨으로써 재료 준비 과정 등에 있어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icken cooking orde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ation of the most popular among L * M * N combinations that can be known automatically through a computer analysis of the combination in the material preparation process, etc. Active coping is possible.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carried out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the material, size, etc.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field, or combine or replace the disclosed embodiments in a form that is not clearly disclo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too It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at thes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닭요리 주문장치 200 : 처리부
210 : 치킨선택창 생성부 212 : 치킨선택창
212a : 치킨번호 표시부영역 212b : 치킨이름 표시부영역
220 : 토핑선택창 생성부 222 : 토핑선택창
222a : 토핑번호 표시부영역 222b : 토핑이름 표시부영역
230 : 소스선택창 생성부 232 : 소스선택창
232a : 소스번호 표시부영역 232b : 소스이름 표시부영역
240 : 권장세트선택창 생성부 242 : 권장세트선택창
242a : 권장세트번호 표시부영역 242b : 권장세트이름 표시부영역
250 : 주문접수창 생성부 252 : 주문접수창
300 : 디스플레이부 310 : 입력부
400 : 저장부 500 : 전송부
510 : 수신부 600 : 통합서버
100: chicken cooking order device 200: processing unit
210: chicken selection window generator 212: chicken selection window
212a: Chicken number display area 212b: Chicken name display area
220: topping select window generating unit 222: topping select window
222a: topping number display area 222b: topping name display area
230: source selection window generator 232: source selection window
232a: source number display area 232b: source name display area
240: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generator 242: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242a: Recommended set number display area 242b: Recommended set name display area
250: order receiving window generating unit 252: order receiving window
300: display unit 310: input unit
400: storage unit 500: transmission unit
510: receiver 600: integrated server

Claims (14)

닭의 부위 및 조리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준비된 L개 종류의 치킨을 포함하는 치킨군을 표시하는 치킨선택창 생성부;
치킨에 부가되도록 과일 및 채소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준비된 M개 종류의 토핑을 포함하는 토핑군을 표시하는 토핑선택창 생성부;
치킨에 가미되도록 준비된 N개 종류의 소스를 포함하는 소스군을 표시하는 소스선택창 생성부;
상기 치킨군, 토핑군 및 소스군에서 각각 하나씩 선택되어 조합된 L*M*N 개의 조합 중에서 추천된 권장세트군을 표시하는 권장세트선택창 생성부;
상기 치킨선택창, 토핑선택창, 소스선택창 및 권장세트선택창에 표시된 치킨, 토핑, 소스 및 권장세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주문데이터를 표시하는 주문접수창 생성부;
상기 치킨선택창, 토핑선택창, 소스선택창, 권장세트선택창 및 주문접수창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주문접수창에 표시된 주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를 포함하는
닭요리 주문장치.
Chicken selection window generation unit for displaying a chicken group including L chickens prepared by changing at least one of a chicken part and a cooking method;
A topping selection window generating unit for displaying a topping group including M kinds of toppings prepared based on at least one of fruits and vegetables to be added to the chicken;
A source selection window generation unit displaying a source group including N kinds of sauces prepared to be added to the chicken;
A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generation unit for displaying a recommended set group among L * M * N combinations selected by combining each selected from the chicken group, the topping group, and the source group;
An input unit for receiving chicken, toppings, sauces, and recommended sets displayed in the chicken selection window, topping selection window, source selection window, and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An order reception window generation unit displaying orde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hicken selection window, topping selection window, source selection window,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and order reception window;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order data displayed in the order reception window; Containing
Chicken dishes order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킨선택창에는 상기 치킨군을 이루는 상기 L개 종류의 치킨에 부여된 고유의 치킨번호와 함께 고유의 치킨이름이 표시되고,
상기 토핑선택창에는 상기 토핑군을 이루는 상기 M개 종류의 토핑에 부여된 고유의 토핑번호와 함께 고유의 토핑이름이 표시되며,
상기 소스선택창에는 상기 소스군을 이루는 상기 N개 종류의 소스에 부여된 고유의 소스번호와 함께 고유의 소스이름이 표시되며,
상기 권장세트선택창에는 상기 권장세트군을 이루는 권장세트번호와 함께 권장세트이름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요리 주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hicken selection window is displayed with a unique chicken name along with the unique chicken number given to the L kinds of chicken constituting the chicken group,
The topping selection window displays a unique topping name along with a unique topping number assigned to the M kinds of toppings forming the topping group.
The source selection window displays a unique source name along with a unique source number assigned to the N kinds of sources constituting the source group.
The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mmended set name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recommended set number constituting the recommended set group.
Chicken cook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주문데이터를 통합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 및
상기 통합서버로부터 상기 권장세트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권장세트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권장세트군은 권장세트데이터에 의해 정해지는
닭요리 주문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rder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integrated server; And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recommended set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set group from the integrated server; Further comprising:
The recommended set group is determined by the recommended set data.
Chicken cook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장세트군은 상기 권장세트데이터에 기초하여 인기도 순서 또는 재고량 순서로 정렬이 이루어지는
닭요리 주문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commended set group is arranged in order of popularity or inventory based on the recommended set data.
Chicken cooker.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부는 터치스크린으로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요리 주문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display unit and the inpu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rated configuration with a touch screen
Chicken cook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치킨군, 토핑군, 소스군 및 권장세트군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부에서 하나의 페이지에 표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요리 주문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hicken group, topping group, sauce group and recommended set group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one page in the display unit
Chicken cook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치킨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치킨이 먼저 선택이 되면 상기 선택된 치킨에 맞춰 권장되는 토핑군 및 소스군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재정렬되고,
상기 토핑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토핑이 먼저 선택이 되면 상기 선택된 토핑에 맞춰 권장되는 치킨군 및 소스군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재정렬되며,
상기 소스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소스가 먼저 선택이 되면, 상기 선택된 소스에 맞춰 권장되는 치킨군 및 토핑군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재정렬되는
닭요리 주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f any one of the chicken group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at least one of the topping group and the source group recommended for the selected chicken is rearranged,
If any one of the toppings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at least one of the recommended chicken group and sauce group is rearranged according to the selected topping,
If any one of the source group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at least one of the chicken group and the topping group recommended for the selected source is rearranged.
Chicken cooker.
닭의 부위 및 조리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준비된 L개 종류의 치킨을 포함하는 치킨군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치킨선택창 표시단계;
치킨에 부가되도록 과일 및 채소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준비된 M개 종류의 토핑을 포함하는 토핑군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토핑선택창 표시단계;
치킨에 가미되도록 준비된 N개 종류의 소스를 포함하는 소스군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소스선택창 표시단계;
상기 치킨군, 토핑군 및 소스군에서 각각 하나씩 선택되어 조합된 L*M*N 개의 조합 중에서 추천된 권장세트군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권장세트선택창 표시단계;
상기 치킨선택창, 토핑선택창, 소스선택창 및 권장세트선택창에서 선택된 치킨, 토핑, 소스 및 권장세트를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받는 주문데이터 입력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주문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주문접수창 표시단계;
상기 주문접수창에 표시된 주문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주문데이터 저장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요리 주문방법.
A chicken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chicken group including L chickens prepared by changing at least one of a chicken part and a cooking method on a display unit;
A topping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topping group including M kinds of toppings prepared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of fruits and vegetables to be added to the chicken on the display unit;
A source selection window displaying step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a source group including N kinds of sauces prepared to be added to the chicken;
Displaying a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for displaying a recommended set group among L * M * N combinations selected from each of the chicken group, the topping group, and the source group and combined;
Order data input step of receiving the chicken, toppings, sauces and recommended sets selected from the chicken selection window, topping selection window, source selection window and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An order reception window display step of displaying orde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on a display unit;
An order dat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order data displayed on the order reception window in a storage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How to order chicken dish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치킨선택창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치킨군을 이루는 상기 L개 종류의 치킨에 부여된 고유의 치킨번호와 함께 고유의 치킨이름이 표시되고,
상기 토핑선택창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토핑군을 이루는 상기 M개 종류의 토핑에 부여된 고유의 토핑번호와 함께 고유의 토핑이름이 표시되고,
상기 소스선택창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소스군을 이루는 상기 N개 종류의 소스에 부여된 고유의 소스번호와 함께 고유의 소스이름이 표시되고,
상기 권장세트선택창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권장세트군을 이루는 권장세트번호와 함께 권장세트이름이 표시되는
닭요리 주문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chicken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a unique chicken name is displayed along with a unique chicken number given to the L kinds of chickens constituting the chicken group,
In the displaying of the topping selection window, a unique topping name is displayed together with a unique topping number assigned to the M kinds of toppings forming the topping group,
In the source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a unique source name is displayed together with a unique source number assigned to the N kinds of sources constituting the source group.
In the displaying of the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the recommended set name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recommended set number constituting the recommended set group.
How to order chicken dish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데이터를 통합서버로 전송하는 주문데이터 전송단계; 및
상기 통합서버로부터 상기 권장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권장세트데이터를 수신하는 권장세트데이터 수신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권장세트군은 상기 권장세트데이터에 의해 정해지는
닭요리 주문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n order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order data to an integrated server; And
A recommended set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recommended set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set from the integrated server; Further comprising:
The recommended set group is determined by the recommended set data.
How to order chicken dish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권장세트군은 상기 권장세트데이터에 기초하여 인기도 순서 또는 재고량 순서로 정렬이 이루어지는
닭요리 주문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commended set group is arranged in order of popularity or inventory based on the recommended set data.
How to order chicken dishes.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데이터 입력단계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요리 주문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The order data input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via a touch screen
How to order chicken dishe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치킨선택창 표시단계, 토핑선택창 표시단계, 소스선택창 및 권장세트선택창 표시단계의 수행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치킨군, 토핑군, 소스군 및 권장세트군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부의 하나의 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되는
닭요리 주문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At least one of the chicken group, the topping group, the source group, and the recommended set group displayed by performing the chicken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the topping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the source selection window, and the recommended set selection window display step is one of a display unit. Displayed on the page
How to order chicken dishe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치킨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치킨이 먼저 선택이 되면 상기 선택된 치킨에 맞춰 권장되는 토핑군 및 소스군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재정렬이 되고,
상기 토핑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토핑이 먼저 선택이 되면 상기 선택된 토핑에 맞춰 권장되는 치킨군 및 소스군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재정렬되고,
상기 소스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소스가 먼저 선택이 되면 상기 선택된 소스에 맞춰 권장되는 치킨군 및 토핑군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재정렬되는
닭요리 주문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If any one of the chicken group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at least one of the topping group and the source group recommended for the selected chicken is rearranged,
If any one of the toppings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at least one of the recommended chicken group and sauce group is rearranged according to the selected topping,
If any one of the source group is selected first, the list of at least one of the chicken group and the topping group recommended for the selected source is rearranged.
How to order chicken dishes.
KR1020110010471A 2011-02-07 2011-02-07 Apparatus for ordering chicken and the method therefor KR101135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471A KR101135727B1 (en) 2011-02-07 2011-02-07 Apparatus for ordering chicken and the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471A KR101135727B1 (en) 2011-02-07 2011-02-07 Apparatus for ordering chicken and the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727B1 true KR101135727B1 (en) 2012-04-19

Family

ID=4614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471A KR101135727B1 (en) 2011-02-07 2011-02-07 Apparatus for ordering chicken and the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72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618A (en) * 2001-04-23 2001-07-25 임호설 Food an order system
KR20030033805A (en) * 2001-10-25 2003-05-01 이관종 An ordering method of cooking food on the internet using a feedback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618A (en) * 2001-04-23 2001-07-25 임호설 Food an order system
KR20030033805A (en) * 2001-10-25 2003-05-01 이관종 An ordering method of cooking food on the internet using a feedback inform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60829B (en) Cooking recipe providing method and cooking recipe providing system
JP6568382B2 (en) Method to classify the cooking process of multiple recipes into preparatory process and finishing process
JP6608772B2 (en) Cooking recipe provision method
KR102013775B1 (en) Food order system for ordering customized side dish,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254436B2 (en) Regular visitor to friend board in viral game
CN104994747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lavor advisement and enhancement
US20180267683A1 (en) Cooking system
CN106504033A (en) Information-pushing method and device
CN109214955A (en) Th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of food product set meal
JP6410069B1 (en) Recip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recip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recipe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KR20160116449A (en) Application System providing Cuisine Recipes
JP6422173B1 (en) SEARCH DEVICE, SEARCH METHOD, AND SEARCH PROGRAM
US20190251202A1 (en) Smart recipe recommendation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automatic cooking apparatus
JP2019133624A (en) Recipe information provision apparatus, recip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recipe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CN109541946A (en) The control method of server, cook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server
KR101135727B1 (en) Apparatus for ordering chicken and the method therefor
JP7090441B2 (en) Menu planning system, method, program
CN115062194A (en) Menu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JP7248928B2 (en) SYSTEM, TERMINAL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COOKING INFORMATION
JP716490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7392527A (en) Article distribution method and article allocative decision determining device
JP7248346B2 (en) Menu proposal system
WO2021070648A1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CN116523595A (en) Commodity ordering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meta universe
JP2013117775A (en) System,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providing cooking rec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