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504B1 - Car stopper block for port - Google Patents

Car stopper block for 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504B1
KR101135504B1 KR1020110086226A KR20110086226A KR101135504B1 KR 101135504 B1 KR101135504 B1 KR 101135504B1 KR 1020110086226 A KR1020110086226 A KR 1020110086226A KR 20110086226 A KR20110086226 A KR 20110086226A KR 101135504 B1 KR101135504 B1 KR 101135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block body
block
support wall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2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성태
최종권
오경선
남인식
류만재
Original Assignee
인천항만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항만공사 filed Critical 인천항만공사
Priority to KR1020110086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5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6Parking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13Fluoresc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PURPOSE: A buffer stop block for a harbor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of floor concrete in installation positions due to deformation of anchors and facilitate maintenance. CONSTITUTION: A buffer stop block for a harbor comprises a base frame(10), anchors(20), nuts(30), a block body(40), a filler, and end plates(60). The base frame comprises a bottom plate, a vertical support wall(12), and a bent part(13). The bottom plate is supported on the ground and has through-holes longitudinally arranging in the cent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vertical support wall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The bent part is formed i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facing with the support wall. The anchors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of the base frame to fix the base frame on the ground. The nuts ar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anchors in the inside of the base frame to fix the anchors in the base frame. The block body is filled with the filler and the end plates are coupled to the block body and the base frame to cover the left and the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and the block body.

Description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CAR STOPPER BLOCK FOR PORT}Harbor Block Boundary Block {CAR STOPPER BLOCK FOR PORT}

본 발명은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앵커의 변형에 의해 바닥 콘크리트가 훼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bor block is a boundary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damage to the floor concrete by deformation of the anchor, and relates to a harbor block is easy for maintenance.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 및 그 설치방법은 얇은 철판을 재단 절곡하여 4각형 단면의 장방형 철제통을 제작하여 설치하여 지면에 앵커볼트로 고정시키고, 그 철제통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주입충진시켜 일정한 길이로 성형시킨 후, 그 외부에 방청 및 안전위험표시인 황색과 흑색의 페인트로 도색하여 마감하는 철제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합성블록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었다.In general, port blocking barriers and installation methods for port have been cut and bent into thin steel plates to make rectangular steel cylinders with four-sided cross sections, fixed with anchor bolts on the ground, and concrete is installed inside the steel cylinders. After injection-filled in and molded to a certain length, it was formed by using a composite block made of steel and concrete, which was finished by painting with yellow and black paints, which are rust-preventive and safety hazard signs.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은 차량의 주차시 반복적으로 경계블록에 충돌되면 경계블록이 밀리면서 훼손되는데, 이때 경계블록과 함께 경계블록을 고정하는 앵커볼트가 휘어지면서 변형되어 바닥 콘크리트가 깨지면서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harbor barrier boundary block is damaged by repeatedly pushing the boundary block when the vehicle is parked, and the anchor bolt fixing the boundary block together with the boundary block is deformed while the floor concrete is deformed. There was a problem of breaking and breaking.

또한, 경계블록의 변형이 발생되면 경계블록 및 앵커볼트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어렵고,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deformation of the boundary block occurs,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nd increase the maintenance cost because the entire boundary block and the anchor bolt must be replaced.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앵커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에 의해 설치 지점의 바닥 콘크리트가 훼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cking boundary block for a port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deformation of the anchor, such as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point, and to facilitate maintenanc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은 지면에 지지되며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된 관통공을 갖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직의 지지벽, 상기 지지벽과 마주하는 상기 바닥판의 타측에 절곡 형성된 절곡부를 형성하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지면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앵커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기 앵커를 고정하는 너트;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며 좌, 우측이 개방된 중공의 각형직육면체로 성형되고 길이 방향의 일측의 내벽이 상기 지지벽에 지지되며 길이 방향의 다른 일측이 상기 절곡부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는 블록몸체; 상기 블록몸체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 상기 블록몸체의 개방된 좌, 우측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좌, 우측을 덮도록 상기 블록몸체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는 마구리판;을 포함한다.Port barrier boundary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bottom plate having a through-hole which is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A base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for forming a vertical support wall and a bent portion bent at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facing the support wall; An anchor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fix the base frame to the ground by penetrating the ground; A nut fasten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anchor inside the base frame to fix the anchor to the base frame; It is formed into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constant length and width and left and right sides are opened, and an inner wall of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wall, and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pported by the inside of the bent portion and fastened to the base frame. Block body; Filling material filled in the inside of the block body; It includes; and the copper plate is fastened to the block body and the base frame to cover the left and right of the block body and the left and right of the base frame.

상기 블록몸체의 저면은 상기 블록몸체의 정면의 하단으로부터의 일정 높이의 지점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서 상기 절곡부를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면에서 상기 제1 수평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일부가 상기 지지벽에 지지되고 상기 제2 수평부의 단부가 상기 절곡부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블록몸체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며, 상기 정면의 일부에 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블록몸체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body is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at a point of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of the block body,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the bent portion in the vertical portion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toward the support por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wall and th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being supported inside the bent portion. The block body may be fastened to the base frame, and a screw may be fastened to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to fix the block body to the base frame.

상기 나사를 분리하여 상기 블록몸체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분리될 때 상기 블록몸체가 상기 절곡부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절곡부의 상부 내측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block body is separated from the base frame by removing the screw, the upper inside of the bent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so that the block body is inclined toward the bent por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블록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긴 길이로 제작하고, 상기 블록몸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보다 짧은 길이로 제작되어 복수의 블록몸체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연속 설치되는 블록몸체들의 사이에는 기밀용 패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ort barrier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he base frame is made of a long length, the block body is made of a shorter length than the base frame to the plurality of block bodies The base frame is configured to be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irtight pad is inserted between the block bodies that are continuously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에 의하면, 차량의 바퀴가 블록몸체에 반복적으로 충돌되어 블록몸체가 밀려 변형되어도 블록몸체만의 변형이 이루어질 뿐 앵커의 변형이 없으므로 앵커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에 의해 설치 지점의 바닥 콘크리트가 훼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arbor barrier boundary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wheel of the vehicle repeatedly hits the block body and the block body is pushed and deformed, only the deformation of the block body is made but there is no deformation of the anchor, so that the anchor is not bent or deformed. By doing so, the floor concrete of the installation poin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there is an effect of easy maintenanc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단면도 및 분리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1 and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arbor barrier boundary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port blocking boundary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arbor barrier boundary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harbor blocking block is installed on the grou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분배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light distribu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단면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1 and 2 are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arbor barrier boundary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nd Figure 4 is a harbor barrier bound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and perspective view which showed the installation state of a block.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은 베이스 프레임(10), 앵커(20), 너트(30), 블록몸체(40), 충진재(50), 마구리판(60)을 포함한다.Harbor barrier boundary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10, the anchor 20, the nut 30, the block body 40, the filler 50, the copper plate 60.

베이스 프레임(10)은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며, 지면에 지지되며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된 관통공(10a)을 갖는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직의 지지벽(12)과, 지지벽(12)과 마주하는 바닥판(11)의 타측에 절곡 형성된 절곡부(13)를 형성하고 있다.The base frame 10 has a constant length and width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11 and bottom plate 11 having through holes 10a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and supported on the ground. The bent part 13 bent by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wall 12 and the bottom plate 11 which faces the support wall 12 is formed.

여기서, 절곡부(13)는 후술할 블록몸체(40)가 베이스 프레임(10)에서 분리될 때 상기 블록몸체(40)가 절곡부(13)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부 내측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Here, the bent portion 13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in an upper side so that the block body 40 is inclined toward the bent portion 13 when the block body 40 to be described later is separated from the base frame 10. It is.

앵커(2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관통공(10a)에 삽입되어 지면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을 지면에 고정한다.The anchor 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0a of the base frame 10 to penetrate the ground to fix the base frame 10 to the ground.

너트(3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에서 상기 앵커(20)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앵커(20)를 고정하며, 너트(30)를 앵커(20)에 체결하기 전에 와셔(W)를 앵커(20)에 체결할 수 있다.The nut 30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nchor 20 inside the base frame 10 to fix the anchor 20 to the base frame 10, and to fasten the nut 30 to the anchor 20. The washer W may be fastened to the anchor 20 before.

블록몸체(40)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며 좌, 우측이 개방된 중공의 각형직육면체로 성형되고 길이 방향의 일측의 내벽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지지벽(12)에 지지되며 길이 방향의 다른 일측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절곡부(13)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체결된다.The block body 40 is formed of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constant length and width and left and right sides are opened, and an inner wall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wall 12 of the base frame 10 and the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side is supported inside the bent portion 13 of the base frame 10 and fastened to the base frame 10.

블록몸체(4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블록몸체(40)의 저면은 블록몸체(40)의 정면(41)의 하단으로부터의 일정 높이의 지점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 수평부(42a), 제1 수평부(42a)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42b), 수직부(42b)에서 절곡부(13)를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42c)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block body 40 in more detail,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body 40,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42a) extending horizontally at a point of a certain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face 41 of the block body 40, The vertical portion 42b extends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42a,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42c extends horizontally toward the bent portion 13 from the vertical portion 42b.

그리고 정면(41)에서 제1 수평부(42a)의 하측에 위치하는 일부(41a)가 지지벽(12)에 지지되고 제2 수평부(42c)의 단부가 절곡부(13)의 내측에 지지되어 블록몸체(40)가 베이스 프레임(10)에 체결되며, 정면(41)의 일부(41a)에 나사(70)가 체결되어 블록몸체(4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된다.A portion 41a position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42a on the front surface 4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wall 12, and an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42c is supported inside the bent portion 13. The block body 40 is fastened to the base frame 10, and the screw 70 is fastened to a part 41a of the front face 41 to fix the block body 40 to the base frame 10.

또한, 블록몸체(40)의 정면(41)에는 야광스티커(43)가 부착될 수 있으며, 야광스티커(43)의 부착을 위하여 블록몸체(40)의 정면(41)에는 야광스티커(43)가 부착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luminous sticker 43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41 of the block body 40, and a luminous sticker 43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41 of the block body 40 to attach the luminous sticker 43. It is desirable to form grooves for attachment.

충진재(50)는 블록몸체(40)의 내부에 충진되는 것으로, 콘크리트가 충진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Filler 50 is to be filled in the block body 40, concrete may be used as the filler.

마구리판(60)은 블록몸체(40) 및 베이스 프레임(1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블록몸체(40)의 개방된 좌, 우측 및 베이스 프레임(10)의 좌, 우측을 덮도록 블록몸체(40) 및 베이스 프레임(10)에 체결된다.The copper plate 6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shapes of the block body 40 and the base frame 10, and cover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ock body 40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10. It is fastened to the block body 40 and the base frame 10 so tha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의 특징 및이점이 더욱 부각되도록 설치과정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process to highlight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harbor barrie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경계블록을 지면에 설치하기 위하여, 먼저 베이스 프레임(10)을 지면에 안착시킨 후 관통공(10a)에 앵커(20)를 삽입 후 지면에 관통시키고, 앵커(20)에 너트(30) 및 와셔(W)를 체결하여 베이스 프레임(10)에 앵커(20)를 고정한다.In order to install the boundary block on the ground, the base frame 10 is first seated on the ground, and then the anchor 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0a and then penetrated through the ground, and the nut 30 and washer on the anchor 20. Fix the anchor 20 to the base frame 10 by fastening (W).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에 블록몸체(40)를 결합하기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10)을 배면측으로 기울인 후 제2 수평부(42c)의 단부를 절곡부(13)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이어서 블록몸체(40)를 전방측으로 기울여서 수평으로 위치시키면 제1 수평부(42a)의 하부에 위치하는 정면(41)의 일부(41a)가 지지벽(12)에 지지된다.In order to couple the block body 40 to the base frame 10, the base frame 10 is tilted to the rear side, and th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42c is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13, and then the block body is inserted. When the 40 is inclined to the front side and positioned horizontally, a portion 41a of the front face 41 position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42a is supported by the support wall 12.

다음으로 나사(70)를 정면(41)의 일부(41a) 및 지지벽(12)에 체결하여 블록몸체(40)를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하고, 마구리판(60)을 블록몸체(40) 및 베이스 프레임(10)의 측면에 결합하여 설치를 완료한다.Next, the screw 70 is fastened to the part 41a and the support wall 12 of the front face 41 to fix the block body 40 to the base frame 10, and the copper plate 60 is fixed to the block body 40. And coupled to the side of the base frame 10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바퀴가 지속적으로 블록몸체(40)에 충돌되거나, 일시적으로 강하게 충돌되면 블록몸체(40)가 후방측으로 밀리면서 변형된다. 이때, 블록몸체(40)는 베이스 프레임(10)에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앵커(20)는 블록몸체(40)와는 상관 없이 베이스 프레임(10)만을 고정하고 있으므로 블록몸체(40)만이 변형되거나 블록몸체(40)와 함께 베이스 프레임(10)의 지지벽(12)이 변형된다. 즉, 블록몸체(40)가 변형되어도 앵커(20)는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When the wheels of the vehicle continuously collide with the block body 40 or temporarily collide with the vehicle in the installed state, the block body 40 is deformed while being pushed to the rear side. At this time, since the block body 40 is independently coupled to the base frame 10 and the anchor 20 fixes only the base frame 10 regardless of the block body 40, only the block body 40 is deformed or blocks. The support wall 12 of the base frame 10 is deformed together with the body 40. That is, even if the block body 40 is deformed, the anchor 20 does not generate deformation such as bending.

따라서, 차량의 바퀴가 블록몸체(40)에 충돌되어도 앵커(20)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지면에 관통된 앵커(20)의 변형으로 인해 지면, 즉 바닥 콘크리트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wheels of the vehicle collide with the block body 40, since the deformation of the anchor 20 does not occur, the ground, ie, floor concrete,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anchor 20 penetrated to the ground.

블록몸체(40)가 변형되어 교체가 필요할 때에는 상술한 설치 순서의 역순의 과정을 거쳐서 블록몸체(40)를 베이스 프레임(10)에서 분리한다. 여기서, 블록몸체(40)를 베이스 프레임(10)에서 분리할 때 베이스 프레임(10)의 절곡부(13) 상부의 내측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블록몸체(40)의 제2 수평부(42c)의 단부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블록몸체(40)가 쉽게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록몸체(40)를 베이스 프레임(1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When the block body 40 is deformed and needs to be replaced, the block body 40 is separated from the base frame 10 through a reverse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installation procedure. Here, when the block body 40 is separated from the base frame 10, since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13 of the base frame 10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42c of the block body 40 is formed. The end of the space is secured so that the block body 40 can be easily flipped back, so that the block body 4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se frame 10.

또한, 블록몸체(140), 베이스 프레임(110)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되는 형태이므로 블록몸체(140)를 제작하여 충진재(50) 즉, 콘크리트를 블록몸체(140) 내부에 충진하여 경화시키는 과정이 제작공장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제작 시간이 단축되고, 현장에서 즉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block body 140 and the base frame 110 are manufactured and assembled separately, the block body 140 is manufactured to cure the filler 50, that is, the concrete is filled into the block body 140 and cured. As it takes place at the manufacturing plant, manufacturing time is shortened and can be immediately installed and used on si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을 도 5 및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Hereinafter, a port blocking boundary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and FIG. 6 based on the difference from the harbor blocking boundary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arbor barrier boundary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harbor barrier boundary block is installed on the grou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긴 길이로 제작하고, 상기 블록몸체(14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보다 짧은 길이로 제작되어 복수의 블록몸체(140)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 설치하도록 구성되고, 연속 설치되는 블록몸체(140)들의 사이에는 기밀용 패드(200)가 삽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1)과 동일하다.Port barrier boundary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and 6 the base frame 110 is made of a long length, the block body 140 is shorter than the base frame 110 Produced in a length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install a plurality of block bodies 1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base frame 110, except that the airtight pad 200 is inserted between the block bodies 140 are continuously installed And it is the same as the harbor barrier blo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2)은 항만의 지면에 설치시 도 6과 같이 긴 길이의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짧은 길이로 제작된 블록몸체(140)가 연속 배열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하나의 차막이 경계블록(2)을 형성한다.Port barrier block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is configuration is a block body 140 made of a short length on the base frame 110 of a long length as shown in Figure 6 when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port ) Are installed in a continuous arrangement so that one shield forms a boundary block (2).

이때, 마구리판(16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단에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블록몸체(14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블록몸체(140)의 측면에 결합되며, 기밀용 패드(200)는 실질적으로 마구리판(160)들 사이에 삽입되어 연속 배열된 블록몸체(140)들 사이에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copper plate 160 is manufactur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shape of the block body 140, except that it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10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block body 140, The pad 200 is substantially inserted between the copper plates 160 and coupled between the block bodies 140 arranged in series.

이에 의해, 차량에 의한 충격 또는 항만에 선박의 저반시 화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화물의 낙하되는 경우 낙하되는 화물이 연속 나열되어 있는 블록몸체(140)들 중 어느 하나에 부딪혀 파손이 발생하게되면, 파열된 블록몸체(140)만을 교체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cargo is dropped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cargo at the time of shipboarding to the harbor or the impact of the vehicle, the falling cargo hits any one of the block bodies 140 in which the falling cargoes are continuously arranged, Only the ruptured block body 140 can be replaced.

따라서, 차막이 경계블록(2)에 외부 충격이 가해져서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 연속 배열된 블록몸체(140)들 중 파손이 발생된 블록몸체(140)만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보수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Therefore, when damage is generated due to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boundary block 2, the barrier block 140 may be replaced with only the block body 140 in which the breakage is continuously arranged. Can be.

또한, 기밀용 패드(200)에 의해 블록몸체(140)가 연속 배열되어도 블록몸체(140)들의 측면이 접하는 공간으로 이물질이나 바닷물에 포함된 염분이 투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블록몸체(14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block body 140 is continuously arranged by the airtight pad 200, the side surfaces of the block bodies 140 are prevented from entering salts contained in foreign matter or seawater, thereby preventing corrosion of the block body 140. Can be prevented.

10, 110 : 베이스 프레임 11 : 바닥판
12 : 지지벽 13 : 절곡부
20 : 앵커 30 : 너트
40, 140 : 블록몸체 41 : 정면
42a : 제1 수평부 42b : 수직부
42c : 제2 수평부 43 : 야광스티커
50 : 충진재 60, 160 : 마구리판
200 : 기밀용 패드
10, 110: base frame 11: bottom plate
12 support wall 13 bent portion
20: anchor 30: nut
40, 140: block body 41: front
42a: first horizontal portion 42b: vertical portion
42c: second horizontal portion 43: luminous sticker
50: filler 60, 160: copper plate
200: airtight pad

Claims (4)

삭제delete 지면에 지지되며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된 관통공(10a)을 갖는 바닥판(11), 상기 바닥판(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직의 지지벽(12), 상기 지지벽(12)과 마주하는 상기 바닥판(11)의 타측에 절곡 형성된 절곡부(13)를 형성하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10, 110);
상기 관통공(10a)에 삽입되어 지면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내측에서 상기 앵커(20)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상기 앵커(20)를 고정하는 너트(30);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며 좌, 우측이 개방된 중공의 각형직육면체로 성형되고 길이 방향의 일측의 내벽이 상기 지지벽(12)에 지지되며 길이 방향의 다른 일측이 상기 절곡부(13)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체결되는 블록몸체(40, 140);
상기 블록몸체(40)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50);
상기 블록몸체(40)의 개방된 좌, 우측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좌, 우측을 덮도록 상기 블록몸체(4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체결되는 마구리판(60);을 포함하되,
상기 블록몸체(40)의 저면은 상기 블록몸체(40)의 정면(41)의 하단으로부터의 일정 높이의 지점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 수평부(42a), 상기 제1 수평부(42a)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42b), 상기 수직부(42b)에서 상기 절곡부(13)를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42c)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면(41)에서 상기 제1 수평부(42a)의 하측에 위치하는 일부(41a)가 상기 지지벽(12)에 지지되고 상기 제2 수평부(42c)의 단부가 상기 절곡부(13)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블록몸체(4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체결되며, 상기 정면(41)의 일부(41a)에 나사(70)가 체결되어 상기 블록몸체(4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
A bottom plate 11 having through-holes 10a which ar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thereof, a vertical support wall 12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11, and the support wall 12 A base frame (10, 1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to form a bent portion (13) bent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11) facing the);
An anchor 2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0a to penetrate the ground to fix the base frame 10 to the ground;
A nut (30) fasten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anchor (20) inside the base frame (10) to fix the anchor (20) to the base frame (10);
It is formed into a hollow rectangular cuboid having a constant length and width and left and right sides are opened, and an inner wall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wall 12, and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ide the bent portion 13. Block bodies 40 and 140 supported and fastened to the base frame 10;
Filler 50 is filled in the block body 40;
And a curling plate 60 fastened to the block body 40 and the base frame 10 to cove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ock body 40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10. ,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body 40 is formed of a first horizontal portion 42a extending horizontally at a point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41 of the block body 40, an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42a. It consists of a vertical portion 42b extending from one side to the lower side, a second horizontal portion 42c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vertical portion 42b toward the bent portion 13,
A portion 41a position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42a at the front surface 4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wall 12,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42c is bent 13. It is supported on the inside of the block body 40 is fastened to the base frame 10, the screw 70 is fastened to a portion 41a of the front 41, so that the block body 40 is the base frame Port boundary barrier block,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70)를 분리하여 상기 블록몸체(4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서 분리될 때 상기 블록몸체(40)가 상기 절곡부(13)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절곡부(13)의 상부 내측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block body 40 is separated from the base frame 10 by removing the screw 70, the bent part 13 is inclined toward the bent part 13 so that the block body 40 is detachable. The upper inner side of the barrier block for harb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clined upw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긴 길이로 제작하고, 상기 블록몸체(14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보다 짧은 길이로 제작되어 복수의 블록몸체(140)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 설치하도록 구성되고,
연속 설치되는 블록몸체(140)들의 사이에는 기밀용 패드(200)가 삽입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
The method of claim 3,
The base frame 110 is made of a long length, the block body 140 is made of a shorter length than the base frame 110 is a plurality of block bodies 1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base frame 110 Configured for continuous installation,
The barrier block for harb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tight pad 200 is inserted between the block body 140 is installed continuously.
KR1020110086226A 2011-08-29 2011-08-29 Car stopper block for port KR101135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226A KR101135504B1 (en) 2011-08-29 2011-08-29 Car stopper block for 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226A KR101135504B1 (en) 2011-08-29 2011-08-29 Car stopper block for 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504B1 true KR101135504B1 (en) 2012-04-13

Family

ID=4614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226A KR101135504B1 (en) 2011-08-29 2011-08-29 Car stopper block for 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5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460A (en) * 2014-08-26 2016-03-07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shock absorbing type car stopper blo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006A (en) * 1990-05-26 1992-02-03 Hayashi Bussan:Kk Wooden edge block
KR200245240Y1 (en) * 2001-05-22 2001-10-29 양충식 Boundary stone for road
KR200401213Y1 (en) 2005-09-02 2005-11-15 (주)한국해외기술공사 Boundary Stone Structure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JP2007107279A (en) 2005-10-13 2007-04-26 Kimiya Hayashi Vehicle stop member for ground cover protecting base pl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006A (en) * 1990-05-26 1992-02-03 Hayashi Bussan:Kk Wooden edge block
KR200245240Y1 (en) * 2001-05-22 2001-10-29 양충식 Boundary stone for road
KR200401213Y1 (en) 2005-09-02 2005-11-15 (주)한국해외기술공사 Boundary Stone Structure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JP2007107279A (en) 2005-10-13 2007-04-26 Kimiya Hayashi Vehicle stop member for ground cover protecting base pl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460A (en) * 2014-08-26 2016-03-07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shock absorbing type car stopper block
KR101602052B1 (en) * 2014-08-26 2016-03-09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shock absorbing type car stopper b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90118A (en) Bollard assembly for preventing vehicular access
KR102279079B1 (en)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nd transparent soundproof panel of partially removable maintenance type
KR100932035B1 (en) Sectional Concrete Composite Prefabricated Lightweight Double Penetration Plate
KR101135504B1 (en) Car stopper block for port
KR20170079867A (en) Fence
JP6480791B2 (en) Collision shock absorber
KR100986232B1 (en) A Multipurpose deck plate
KR101135489B1 (en) Car stopper block for port
KR101759781B1 (en) Cover plate capable of being locked each other
RU2541993C2 (en) Georeinforcing system based on tyres
JP6178269B2 (en) Wall railing
JP5558979B2 (en) Roadside structure in tun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261973B1 (en) Rock bolt linking reinforcement equipment for base rock collapse prevention and fixing method thereof
KR101906278B1 (en) Easy-to-replace pin-hook type soundproof wall
KR101841493B1 (en) Cover structure for vehicle passage using deck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of it
JP6929727B2 (en) Multi-stage resin mount block and lane division fence
CN114901910A (en) Curb guardrail
KR101647956B1 (en) Road signs with high flatness and shock absorbing function
KR100889350B1 (en) The Pillar Fixation Device
JP2017214713A (en) Vehicle riding-up prevention structure of bridge wheel guard
JP3469869B2 (en) Tunnel repair method and tunnel repair block
JP3032180B2 (en) Support structure of protective block for energy absorption
JP3160379U (en) Detachable temporary pavement in the cover of buried box
KR200245240Y1 (en) Boundary stone for road
JP7318867B2 (en) Protective fenc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