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215B1 -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 - Google Patents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215B1
KR101135215B1 KR20090105788A KR20090105788A KR101135215B1 KR 101135215 B1 KR101135215 B1 KR 101135215B1 KR 20090105788 A KR20090105788 A KR 20090105788A KR 20090105788 A KR20090105788 A KR 20090105788A KR 101135215 B1 KR101135215 B1 KR 101135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illation column
emulsion
distillation
collecting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05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994A (ko
Inventor
최현준
Original Assignee
최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준 filed Critical 최현준
Priority to KR20090105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2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류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증기를 응결시켜 분류하는 증류탑의 내부에 유화물포집부의 설치가 쉽고 증류탑 내부의 청소가 용이한 증류탑에 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증류탑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 가능하다.
또한, 증류탑 내부에는 유화물을 포집하는 유화물포집부가 별도로 분리되어 더 설치되되, 상기 유화물포집부는 증류탑의 내부와 대응되도록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증류탑 내부의 유화물포집부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증류탑의 내벽 및 유화물포집부에 부착되는 오염물을 청소하기 위한 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A column still of device dry distillation}
본 발명은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류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증기를 응결시켜 분류하는 증류탑의 내부에 유화물포집부의 설치가 쉽고 증류탑 내부의 청소가 용이한 증류탑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에는 가공기 쉽고 녹슬지가 않으며 원가가 절감되는 합성수지재의 제품이 일상 생활의 거의 모든 제품에 사용되고 있으며, 매년 사용 후 폐기처리되는 폐합성수지재의 양도 700만톤이 넘을 정도로 사용범위가 방대하다.
그러나, 이러한 폐합성수지재는 자연분해가 되지 않는 단점으로 인해 매립을 해도 오랫동안 썩지 않아 그대로 남아 있고, 소각을 해도 완전연소가 어렵고 인체 및 자연, 동ㆍ식물 생태계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다이옥신 등의 유독가스가 발생하며, 소각 후에도 중금속의 잔재가 남기 때문에 단순 매립할 경우 토양 및 대기를 오염시켜 2차적인 환경오염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폐합성수지재를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법률이 제정 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폐합성수지재 가열 용융시켜 여기서 발생하는 가스를 냉각증류시켜 연료를 얻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가스를 냉각증류하는 증류탑에 대한 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 제10-0772959 "건류장치의 증류탑"이 있다.
도 1은 종래 증류탑이 설치된 건류유화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증류탑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종래 증류탑은(30)의 내부에는 내벽에서 중앙측으로 점차 높아지며 경사져 고깔 형상을 이루는 유화물 유도판(31)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단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화물 유도판(31)의 중앙측에는 일정 크기의 관통공(32)이 형성되어 건류된 가스가 통과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유화물 유도판(31) 상측 및 하측의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고깔 형태를 이루는 응결 유도대(33)(34)를 설치하되, 유화물 유도판(31)의 관통공(32)을 덮는 크기 정도로 형성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종래 건류장치의 증류탑(30)으로 포집되는 가스는 최하단의 하측 응결 유도대(33)에 의해 유도되어 일부는 응결되어 떨어지고, 응결되지 않은 가스는 유화물 유도판(31)의 중앙 관통공(32)을 통해 증류탑(30)의 중앙측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상측 응결 유도대(34)에 부딪치면서 응결되어 하부의 유화물 유도판(31) 위로 낙하한 후 증류탑 벽면측으로 흘러내려 유화물 포집관(35)을 통해 포집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증류탑은 증류탑을 다단으로 분리하여 제조한 후 각각의 유화물 유도판(31)과 응결 유도대(33)(34)를 다수단으로 조립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증류탑 내부에 오염물이 부착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청소하거나 수리하기 위해 증류탑 전체를 분해하여 유화물 유도판(31)과 응결 유도대(33)(34)를 분리하여 청소를 한 후 다시 조립하여야 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물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문헌정보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729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증류탑의 내부에 유화물유도판과 응결유도대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한 증류탑 내부의 청소가 쉽고 용이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증류탑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류탑 내부에는 유화물을 포집하는 유화물포집부가 별도로 분리되어 더 설치되되, 상기 유화물포집부는 증류탑의 내부와 대응되도록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화물포집부는, 상기 증류탑의 내벽에 접하는 폭으로 가장자리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유화물유도판; 상기 유화물유도판보다 작은 폭으로 가장자리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응결유도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류탑의 벽면에는 외측으로 관통 연설되는 유화물배출관을 구비하되, 상기 유화물배출관은 증류탑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증류탑 내부의 유화물포집부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증류탑의 내벽 및 유화물포집부에 부착되는 오염물을 청소하기 위한 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등을 가열하는 건류탱크(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증류탑(200)에 관한 발명으로서, 증류탑(200)의 내부에는 유화물포집부(300)가 별도로 제작되어 삽입 설치된다.
증류탑(200)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증류탑(200)은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다단으로 분할하여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화물포집부(300)는 증류탑(200)과 별도로 제작되어 증류탑(200)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다수단의 유화물유도판(320)과 응결유도대(330)가 수직으로 되는 지지대(340)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결합된다.
유화물유도판(320)은 증류탑(200)의 내벽에 접하는 폭을 가지고, 외측 가장자리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져 고깔 형태를 이루며, 중앙에는 소정 크기의 관통공(325)이 관통 형성된다.
응결유도대(330)는 유화물유도판(320) 보다 작은 폭으로 유화물유도판(320)의 중앙부 상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마찬가지로 외측 가장자리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져 고깔 형상을 이룬다.
유화물유도판(320)과 응결유도대(330)는 한 쌍을 이루며 다수단으로 설치되며, 최상단 응결유도대(330)에서 최하단 유화물유도판(320)으로 갈수록 증류탑(200)의 내벽의 폭에 대응되도록 점차 크기가 작아진다.
한편, 최하단의 유화물유도판(320)은 증류탑(200) 내벽면에 완전 밀착 접하도록 결합되고, 그 외의 상단 유화물유도판(320)은 증류탑(200)의 내벽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폭을 가진다.
증류탑(200)의 측벽에는 포집된 유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유화물배출관(350)이 연통 설치된다. 유화물배출관(350)은 최하단 유화물유도판(320)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흘러내리는 유화물이 유화물유도판(320)의 위에 소정의 높이로 고인 후 넘쳐서 유화물배출관(35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에서 유화물포집부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 단면도이다.
다수단의 유화물유도판(320)과 응결유도대(330)가 지지대(34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유화물포집부(300)를 증류탑(200)의 덮개(210)를 열고 상측에서 삽입한다.
증류탑(200) 내부에 삽입되는 유화물포집부(300)는 별도의 고정작업을 하지 않아도 최하단 유화물유도판(320)이 증류탑(200)의 내벽에 밀착되며 더 이상 하강 하지 않고 결합된다.
건류탱크(100)에 폐합성수지류가 투입되고 고온으로 가열이 되어 용융화되면 건류탱크(100)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한 가스는 건류탱크(100) 상부의 증류탑(200)으로 상승한다.
상승하는 가스는 증류탑(200)의 최하단 유화물포집부(300)의 유화물유도판(320)에 부딪치면서 상측으로 점차 높아지는 유화물유도판(320)을 따라 상승하고, 이는 다시 유화물유도판(320)의 관통공(325)을 통해 상측으로 상승한다.
상승하는 가스는 응결유도대(330)의 저면에 부딪쳐 가스의 일부는 응결되어 유화물유도판(320) 위로 낙하하고 일부는 다시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측으로 상승하는 대부분의 증기는 유화물유도판(320)의 관통공(325)을 통과해 상측의 응결유도대(330)에 부딪치면서 와류가 발생하고, 분자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가스가 무거워져 응결되며, 이는 유화물유도판(320) 위로 낙하하여 최하단의 유화물유도판(320) 위로 고이게 된다.
이렇게 다수단의 유화물유도판(320)과 응결유도대(330)를 거치는 동안 가스는 응결되며, 응결된 응결유는 증류탑(200)과 유화물유도판(320) 사이 공간을 통해 흘러내려 최하단의 유화물유도판(320) 위에 고인다.
최하단 유화물유도판(320) 위에 고인 응결유는 점차 높이가 높아지고, 이는 건류탱크(100) 측면에 연통 형성된 유화물배출관(350)으로 넘쳐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장시간 가동으로 인해 본 발명의 증류탑(200) 내벽과 유화물포집부(300)에 가스와 함께 상승하는 오염물이 부착되어 증류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증류탑(200) 내부를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 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증류탑(200)의 덮개를 열고 유화물포집부(300)를 상측으로 당겨 인출한다. 증류탑(200)과 유화물포집부(300)는 간단하게 분리가 이루어지며, 증류탑(200) 내벽과 인출된 유화물포집부(300)를 청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증류탑(200) 및 유화물포집부(300)의 청소가 용이하고 청소를 위한 시간과 인건비가 절감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증류탑이 설치된 건류유화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증류탑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 일부 절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에서 유화물포집부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건류탱크 200 : 증류탑
300 : 유화물포집부 320 : 유화물유도판
330 : 응결유도대 340 : 지지대
350 : 유화물배출관

Claims (4)

  1. 건류탱크에 설치되는 증류탑에 있어서,
    상기 증류탑 내부에는 유화물을 포집하는 유화물포집부가 별도로 분리되어 더 설치되되, 상기 유화물포집부는 증류탑의 내부와 대응되도록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물포집부는,
    상기 증류탑의 내벽에 접하는 폭으로 가장자리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유화물유도판;
    상기 유화물유도판보다 작은 폭으로 가장자리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응결유도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탑의 벽면에는 외측으로 관통 연설되는 유화물배출관을 구비하되, 상기 유화물배출관은 증류탑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
KR20090105788A 2009-11-04 2009-11-04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 KR101135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5788A KR101135215B1 (ko) 2009-11-04 2009-11-04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5788A KR101135215B1 (ko) 2009-11-04 2009-11-04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994A KR20110048994A (ko) 2011-05-12
KR101135215B1 true KR101135215B1 (ko) 2012-04-16

Family

ID=4436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05788A KR101135215B1 (ko) 2009-11-04 2009-11-04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2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3241B2 (ja) 1988-09-27 1999-03-24 クルツプ・コツパース・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塔底液内で2相形成傾向を示す装入物質の蒸留塔
JP2001179001A (ja) 1999-12-22 2001-07-03 Tokyo Gas Co Ltd 異径充填カラム型蒸留塔
KR100772959B1 (ko) * 2006-05-17 2007-11-02 서창열 건류장치의 증류탑
KR100882569B1 (ko) 2008-10-30 2009-02-12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 식물성 원유 증발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3241B2 (ja) 1988-09-27 1999-03-24 クルツプ・コツパース・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塔底液内で2相形成傾向を示す装入物質の蒸留塔
JP2001179001A (ja) 1999-12-22 2001-07-03 Tokyo Gas Co Ltd 異径充填カラム型蒸留塔
KR100772959B1 (ko) * 2006-05-17 2007-11-02 서창열 건류장치의 증류탑
KR100882569B1 (ko) 2008-10-30 2009-02-12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 식물성 원유 증발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994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7006B2 (en) Storm water filtration apparatus
US20130068679A1 (e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stormwater and waste fluids
US20090019822A1 (en) Filter arrangement for a range hood
NO20141544A1 (no) Dråpeutskiller, fremgangsmåte for å modifisere en eksisterende våtgassvasker og våtgassvasker
KR101135215B1 (ko) 건류유화장치의 증류탑
US8266945B2 (en) Device for removing air dispersed contaminants
KR100536654B1 (ko) 도로용 집수구의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SE509047C2 (sv) Oljeavstängningsanordning för golvbrunnar
KR101024401B1 (ko) 효과적으로 분진을 흡착시키고 배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이중 깔때기 구조의 세정탑
CN110180318A (zh) 一种油烟分离装置
KR100772959B1 (ko) 건류장치의 증류탑
KR100829592B1 (ko) 증기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0858538B1 (ko) 유수 분리기
CN211913178U (zh) 一种铁粉尘收集用回收吸尘装置
RU160448U1 (ru) Барабанная решетка шнекового тип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RU2321442C1 (ru) Сепаратор
KR101665314B1 (ko) 오토 크로스 코일 필터가 구비된 우수 처리장치
CA2849940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inning oil from a vapor gas mixture
CN212767830U (zh) 垃圾仓的渗沥液箅子及垃圾仓
EP1127199B1 (en) Water purification arrangement for drain water catch basins
KR101720788B1 (ko) 초기 우수 재활용을 위한 처리 장치
SE465813B (sv) Cyklonkammare med droppavskiljare
CN219885753U (zh) 一种油污处理装置
CN219110854U (zh) 一种油水分离装置
CN219091532U (zh) 一种新型的润滑油站油雾风机的油雾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