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512B1 -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및 단속 단말기, 이를 이용한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 - Google Patents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및 단속 단말기, 이를 이용한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512B1
KR101134512B1 KR1020100105357A KR20100105357A KR101134512B1 KR 101134512 B1 KR101134512 B1 KR 101134512B1 KR 1020100105357 A KR1020100105357 A KR 1020100105357A KR 20100105357 A KR20100105357 A KR 20100105357A KR 101134512 B1 KR101134512 B1 KR 101134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gerous goods
goods transport
transport vehicle
inform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영묵
최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비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비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비더스
Priority to KR1020100105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및 단속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특정 장소에 주차되어 있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주차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특정 지역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기 지정된 주차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등록 정보가 저장된 제1데이터베이스;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이 저장된 제2데이터베이스; 및 단속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전달받고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기 지정된 주차영역의 정보와 서로 비교하여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단속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목록을 상기 단속 단말기로 전달하여 상기 단속 단말기가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현황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및 단속 단말기, 이를 이용한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A enforcement system and apparatus for a dangerous article transport ca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험물 수송차량을 단속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유, 폭발물, 특수물질 등을 수송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이 심야에 주택가 골목이나 대로변 등에서 불법으로 주차되어 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러한 위험물 수송차량의 불법 주차는 기름 유출이나 방화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불특정 다수인의 생명을 위협하고 막대한 재산상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이에 특정 지역에서의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불법 주차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자 지도상에서 파악하고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현재 주차 위치가 기 기정(등록)된 주차 영역에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특정 장소에 주차되어 있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주차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특정 지역의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기 단속 정보를 제공해주는 위험물 수송차량을 단속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기 지정된 주차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등록 정보가 저장된 제1데이터베이스;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이 저장된 제2데이터베이스; 및 단속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전달받고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기 지정된 주차영역의 정보와 서로 비교하여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단속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목록을 상기 단속 단말기로 전달하여 상기 단속 단말기가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현황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는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 사진 정보, 시각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등록 정보는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 소유주, 기 지정된 주차영역의 정보, 차량 허가 여부 정보 및 위험물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목록 또는 상기 단속 단말기로부터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아 행정 처리 기관으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는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법규 위반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단속위치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단속 단말기로부터 이동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아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함께 법규 위반 위험물 수송차량으로서 상기 행정 처리 기관으로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단말기는 전자지도가 저장된 지도 저장 모듈; 위치정보를 추적하는 위치정보 추적모듈; 단속자로부터 특정 지역에 주차되어 있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입력받는 차량정보 입력 모듈; 및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추적하며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단속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속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이 기 지정된 주차영역에 적합하게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불법 주차 여부 정보를 전달 받아 단속자에게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단속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전달받아 상기 전자지도를 통해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차량정보 입력 모듈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필기로 입력받아 인식하는 필기 인식 모듈;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인식하는 음성 인식 모듈;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영상으로 입력받아 인식하는 영상 인식 모듈; 및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버튼으로 입력받는 키패드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단속자로부터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는 키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속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키 입력 모듈은 단속자로부터 이동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법규 위반 위험물 수송차량으로서 상기 단속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은 (a) 단속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b)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기 지정된 주차위치 정보와 서로 비교하여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단속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c)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상기 단속 단말기로 전달하여 상기 단속 단말기가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d)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목록 또는 상기 단속 단말기로부터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아 행정 처리 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e) 상기 단속 단말기로부터 이동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아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함께 법규 위반 위험물 수송차량으로서 상기 행정 처리 기관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단말기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은 (a) 단속자로부터 특정 지역에 주차되어 있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추적하며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단속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속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이 기 지정된 주차영역에 적합하게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불법 주차 여부 정보를 전달 받아 단속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속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전달받아 전자지도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d) 단속자로부터 이동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 및 (e)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법규 위반 위험물 수송차량으로서 상기 단속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및 단말기는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기 지정된 주차위치 정보와 서로 비교하여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단속자에게 제공하며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를 전자지도를 통해 단속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단속자가 관내에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현황을 빠르게 파악하면서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불법 주차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및 단말기는 이동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아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함께 법규 위반 위험물 수송차량으로서 상기 행정 처리 기관으로 전달한다. 이에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뿐만 아니라 이동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의 법규 위반 사항까지도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속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속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단속 단말기의 표시 모듈의 화면 캡처도.
도 30은 본 발명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네트워크(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네트워크(100)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이하 '단속 시스템(10)') 및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단말기(이하 '단속 단말기(20)') 등을 포함한다.
단속 시스템(10)은 단속 단말기(20)로부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기 저장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기 지정된 주차영역의 정보와 서로 비교하여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단속 단말기(20)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단속 시스템(10)은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에서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목록을 상기 단속 단말기(20)로 전달한다.
단속 단말기(20)는 단속자로부터 특정 지역에 주차되어 있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입력받아 단속 시스템(10)으로 전달하고 상기 단속 시스템(10)으로부터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 불법 주차 여부를 전달받아 단속자에게 표시한다. 한편 단속 단말기(20)는 상기 단속 시스템(10)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전달받아 전자지도를 통해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네트워크(100)를 구성 요소별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단속 시스템(10)의 구성 -
도 2는 본 발명의 단속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속 시스템(10)은 서버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단속 단말기(20)와 기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통신한다. 이러한 단속 시스템(10)은 인증 서버(11), 제1데이터베이스(12),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13), 제2데이터베이스(14), 제어 모듈(15), 통계 처리 모듈(16) 등을 포함한다.
인증 서버(11)는 단속 단말기(20)로부터 상기 단속 단말기(20)가 단속자로부터 입력받은 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별도의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속자를 인증한다. 그리고 상기 인증 서버(11)는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인증 성공 메시지를 상기 단속 단말기(20)로 전달한다. 이후 상기 인증 서버(11)는 상기 단속자에 대해 상기 단속 시스템(10)으로의 접속을 허여한다.
제1데이터베이스(12)에는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기 지정된 주차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등록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위험물 수송차량은 석유, 폭발물 등 외부로 노출되었을 때 안전에 위해가 되거나 특정 기관으로부터 특수 용도로의 사용을 위해 지정받은 차량을 말한다.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등록 정보에는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 소유주 정보, 기 지정된 주차영역의 정보, 차량 허가 여부 정보 및 위험물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경우 차량 번호 정보는 서울 01마 1234, 소유주는 김철수, 기 지정된 주차영역의 정보는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 123-345(또는 해당 주소의 해당 주차 공간에 대응하는 GPS 좌표), 차량 허가 여부 정보는 2001년 등록, 위험물 정보(취급 품목)는 유류로 등록된다.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13)에는 전자지도가 저장된다. 상기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13)는 후술하는 단속 단말기(20)에 지도 저장 모듈(23)이 구비될 경우 생략이 가능하다.
제2데이터베이스(14)에는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 또는 법규 위반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최근 24시간 즉 2010년 10월 1일 오후 2시부터 2010년 10월 2일 오후 2시까지 영등포구 양평동 123번지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불법 주차(기 지정된 주차 구역 이탈하여 주차)되거나 법규를 위반(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위반)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목록이 후술하는 제어 모듈(15)에 의해 실시간으로 누적되며 저장된다.
제어 모듈(15)은 단속 단말기(20)로부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전달받는다. 여기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는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 위험물 수송차량의 행정처리 요청 정보, 사진 정보(차량 번호판 촬영 사진 정보), 시각정보(단속 시각) 및 위치정보(GPS 좌표 또는 구체적인 주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5)은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에 대응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등록 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기 지정된 주차위치 정보와 서로 비교하여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5)은 판단 결과를 상기 단속 단말기(20)로 전달한다. 예컨대 서울 01 1234의 차량의 기 지정된 주차영역의 정보는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 123-345(또는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 123-345의 GPS 좌표)로 등록이 되어 있는데 상기 서울 01마 1234의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가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647-15 번지일 경우 상기 서울 01마 1234의 차량은 불법 주차 차량이 된다. 이에 상기 단속 단말기(20)가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해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후속 조치 예컨대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속 시스템(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단속 단말기(20)로부터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전달받은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행정 처리 기관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단속 단말기(20)로부터 전달받은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제2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 또는 법규 위반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에 업데이트한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단속 단말기(20)로부터 이동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함께 법규 위반 위험물 수송차량으로서 상기 행정 처리 기관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단속 단말기(20)로부터 전달받은 법규 위반된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제2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 또는 법규 위반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에 업데이트한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단속 단말기(20)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 또는 법규 위반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요청받으면 해당 목록을 제2데이터베이스(14)에서 추출하여 상기 단속 단말기(2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만을 상기 단속 단말기(20)로 전달하여 상기 단속 단말기(20)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상기 단속 단말기(20)가 보유한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대응시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어 모듈(15)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상기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된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대응시킨 후 대응된 전자지도를 후술하는 단속 단말기(20)로 전달할 수도 있다.
통계 처리 모듈(16)은 제2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에 대한 통계 처리를 수행하고 통계 처리 결과를 단속 단말기(2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속 단말기(2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단속에 대한 적발 일별 통계, 적발 시간대별 통계 등을 상기 단속 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
- 단속 단말기(20)의 구성 -
도 3은 본 발명의 단속 단말기(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단속 단말기(20)의 표시 모듈(28)의 화면 캡처도이다.
단속 단말기(20)는 단속자가 휴대 가능한 PDA, 스마트폰 등의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이루어진다. 단속 단말기(20)는 단속 시스템(10)과 기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통신한다. 이러한 단속 단말기(20)는 인증 모듈(21), 메뉴 선택 모듈(22), 지도 저장 모듈(23), 위치정보 추적모듈(24), 차량정보 입력 모듈(25), 데이터 처리모듈(26), 키 입력 모듈(27), 표시 모듈(28) 등을 포함한다.
인증 모듈(21)은 단속자에게 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란(로그인 요청 포함)을 포함하는 접속 메뉴를 제공하고(도 4 참조) 상기 단속자로부터 상기 접속 메뉴를 통해 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도 5 참조) 단속 시스템(10)으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인증 모듈(21)은 상기 단속 시스템(10)으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상기 단속자에 대해 상기 단속 시스템(10)으로의 접속을 허여한다.
메뉴 선택 모듈(22)은 단속자에게 불법 주차 단속 모드, 이동 차량 단속 모드, 관내 단속 현황 모드, 통계 모드 등을 표시하고(도 6 참조) 후술하는 키 입력 모듈(27)을 통한 상기 단속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하는 모드로 상기 단속 단말기(20)를 전환한다. 상기 불법 주차 단속 모드는 주차되어 있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주차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모드이고 상기 이동 차량 단속 모드는 이동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을 정지시키고 법규 위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모드이며 단속 현황 모드는 상기 단속 단말기(20) 또는 단속자가 속한 특정 지역에 대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단속 현황을 확인해주는 모드이다.
지도 저장 모듈(23)은 전자지도가 저장된다. 전자지도는 종래의 종이지도를 컴퓨터 등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정보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특히 전자지도로는 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지리정보 시스템(GIS)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전자지도에 지리정보 시스템을 적용하면 단속자가 위도, 경도, 주소 등의 위치정보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위치정보 추적모듈(24)은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결국 현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적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GPS 모듈, 이동통신기반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이동통신모듈 등으로 마련된다.
차량정보 입력 모듈(25)은 '불법 주차 단속 모드'에서 단속자가 특정 지역에 주차되어 있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도 7 참조). 이러한 차량정보 입력 모듈(25)은 필기 인식 모듈(도 8 참조), 음성 인식 모듈(도 9 참조), 영상 인식 모듈(도 10 참조), 키패드(도 11 참조) 등을 포함한다.
필기 인식 모듈은 단속자로부터 위험물 수송차량의 차량번호판에 기재된 차량번호를 필기로 입력받아 인식한다.
음성 인식 모듈은 단속자로부터 위험물 수송차량의 차량번호판에 기재된 차량번호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인식한다.
영상 인식 모듈은 카메라 등으로 마련되어 위험물 수송차량의 차량번호판을 영상으로 입력받아 인식한다.
키패드는 각종 문자, 숫자, 특수기호가 포함된 하드웨어 버튼 또는 소프트 버튼으로 마련되어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차량번호판에 기재된 차량번호를 상기 하드웨어 버튼 또는 소프트 버튼을 통해 입력받아 인식한다.
데이터 처리모듈(26)은 상기 단속 단말기(20)가 '불법 주차 단속 모드'로 전환되고, 차량정보 입력 모듈(25)을 통해 단속자로부터 특정 지역에 주차되어 있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위치정보 추적모듈(24)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26)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단속 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단속 시스템(10)으로부터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이 기 지정된 주차영역에 적합하게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불법 주차 여부 정보를 전달받아 별도의 표시 모듈(28)을 통해 단속자에게 표시한다(도 12, 도 13 참조). 여기서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단속 시스템(10)으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전(중복단속이 불가능한 시간 예컨대 24시간 등)에 이미 단속된 위험물 수송차량의 경우 "이미 적발된 차량입니다." 등의 메시지를 전달받아 표시 모듈(28)을 통해 단속자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키 입력 모듈(27)은 상기 단속 단말기(20)가 '불법 주차 단속 모드'인 상태에서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불법 주차 여부가 표시 모듈(28)을 통해 표시된 상태에서 단속자로부터 상기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예컨대 주차위반, 정차위반 요청 등) 즉 '처리 요청'을 입력받는다(도 14, 도 15 참조).
한편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26)은 상기 단속 단말기(20)가 '이동 차량 단속 모드'로 전환되면(도 16 참조), 단속자에게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단속 메뉴를 제공한다(도 17 참조).
여기서 상기 키 입력 모듈(27)은 상기 단속 단말기(20)가 '이동 차량 단속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단속자로부터 이동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26)로 전달한다. 이에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26)이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차량정보 입력 모듈(25)을 통해 입력받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도 18 참조)를 법규 위반 위험물 수송차량으로서 상기 단속 시스템(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26)은 상기 단속 단말기(20)가 '관내 단속 현황 모드'로 전환되면(도 19 참조), 상기 단속 시스템(10)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전달받는다(도 20 참조). 그리고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26)은 상기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지도 저장 모듈(23)에 저장된 전자지도와 대응시킨다(도 21(하나의 위험물 수송차량 정보 선택), 도 22(복수개의 위험물 수송차량 정보 선택) 참조). 그리고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26)은 상기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을 별도의 차량 모양의 아이콘 또는 그림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지도 상의 해당 위치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26)은 키 입력 모듈(27)을 통해 상기 전자지도 상에 표시된 위험물 수송차량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으면 단속자에게 선택받은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정보를 표시해줄 수도 있다(도 23, 도 24, 도 25 참조). 이에 단속자가 전자지도상에 표시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을 확인하면서 불법 주차되거나 이동 중인 차량에 대해 단속할 수 있다. 이에 특정 차량이 어떤 위치에서 불법 주차된 후 이동 중에 다시 단속되었거나 이미 단속이 된 차량임을 확인할 수 있어서 중복 단속을 방지하며 특정 차량의 시간별 위반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26)은 상기 단속 단말기(20)가 '통계 모드'로 전환되면 단속 시스템(10)으로부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단속에 대한 적발 일별 통계(도 26 참조), 적발 시간대별 통계(도 27 참조), 적발 지역별 통계(도 28 참조), 적발 유형별 통계(도 29 참조) 등을 전달받아 별도의 표시 모듈(28)을 통해 단속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표시 모듈(28)은 LCD, 유기 EL 등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을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단속 단말기(20)의 인증 모듈(21)은 단속자가 단속 단말기(20)를 최초 동작시키면 통상의 로그인 아이디 및 패스워드 입력 메뉴를 표시 모듈(28)을 통해 제공하고 단속자로부터 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단속 시스템(10)으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한다(S100).
이어서 단속 시스템(10)의 인증 서버(11)는 상기 단속 단말기(20)로부터 상기 단속자의 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별도의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속자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인증 성공 메시지를 상기 단속 단말기(20)로 전달한다(S102).
이어서 상기 단속 단말기(20)의 메뉴 선택 모듈(22)은 단속자에게 불법 주차 단속 모드, 이동 차량 단속 모드, 관내 단속 현황 모드, 통계 모드 등을 표시한다(S104).
이어서 상기 단속 단말기(20)의 키 입력 모듈(27)은 단속자로부터 불법 주차 단속 모드, 이동 차량 단속 모드, 관내 단속 현황 모드 또는 통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
여기서 상기 단속 단말기(20)의 데이터 처리모듈(26)은 상기 메뉴 선택 모듈(22)이 단속자로부터 '불법 주차 단속 모드'를 선택받으면(S106-1) 차량정보 입력 모듈(25)을 활성화시킨다(S108).
이어서 상기 단속 단말기(20)의 차량정보 입력 모듈(25)은 단속자로부터 특정 지역에 주차되어 있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위치정보 추적모듈(24)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단속 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S110).
이어서 상기 단속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에 대응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등록 정보와 서로 비교하여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단속 단말기(20)로 전달한다(S112).
이어서 상기 단속 단말기(20)의 데이터 처리모듈(26)은 불법 주차 여부를 별도의 표시 모듈(28)을 통해 단속자에게 표시한다(S114).
이어서 상기 단속 단말기(20)의 데이터 처리모듈(26)은 단속자로부터 키 입력 모듈(27)을 통해 상기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아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함께 불법 주차 위험물 수송차량으로서 상기 단속 시스템(10)으로 전달한다(S116).
이어서 상기 단속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행정 처리 기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제2데이터베이스(14)의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에 반영한다(S117).
한편 S106에서 상기 단속 단말기(20)의 데이터 처리모듈(26)은 상기 메뉴 선택 모듈(22)이 단속자로부터 '이동 차량 단속 모드'를 선택받으면(S106-2) 단속자에게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단속 메뉴를 표시 모듈(28)을 통해 표시한다(S118).
이어서 상기 단속 단말기(20)의 데이터 처리모듈(26)은 키 입력 모듈(27)을 통해 단속자로부터 이동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아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함께 법규 위반 위험물 수송차량으로서 상기 단속 시스템(10)으로 전달한다(S120).
이어서 상기 단속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행정 처리 기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제2데이터베이스(14)의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 또는 법규 위반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법규 위반 차량의 경우 단속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에 반영한다(S122).
한편 S106에서 상기 단속 단말기(20)의 데이터 처리모듈(26)은 상기 메뉴 선택 모듈(22)이 단속자로부터 '관내 단속 현황 모드'를 선택받으면(S106-3)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 또는 법규 위반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단속 시스템(10)으로 요청한다(S124).
이어서 상기 단속 시스템(10)의 제어 모듈(15)은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 또는 법규 위반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제2데이터베이스(14)에서 추출하여 상기 단속 단말기(20)로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단속 단말기(20)의 데이터 처리모듈(26)은 표시 모듈(28)을 통해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 또는 법규 위반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표시한다(S126).
한편 S106에서 상기 단속 단말기(20)의 데이터 처리모듈(26)은 상기 메뉴 선택 모듈(22)이 단속자로부터 '통계 모드'를 선택받으면(S106-4) 단속 시스템(10)으로부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단속에 대한 적발 일별 통계, 적발 시간대별 통계, 적발 지역별 통계, 적발 유형별 통계 등을 전달받아 별도의 표시 모듈(28)을 통해 단속자에게 표시한다(S128).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네트워크: 100
단속 시스템: 10
단속 단말기: 20

Claims (13)

  1.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으로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기 지정된 주차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등록 정보가 저장된 제1데이터베이스;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이 저장된 제2데이터베이스; 및
    단속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전달받고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기 지정된 주차영역의 정보와 서로 비교하여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단속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목록을 상기 단속 단말기로 전달하여 상기 단속 단말기가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현황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는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 사진 정보, 시각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등록 정보는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 소유주, 기 지정된 주차영역의 정보, 차량 허가 여부 정보 및 위험물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목록 또는 상기 단속 단말기로부터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아 행정 처리 기관으로 전송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는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법규 위반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단속위치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단속 단말기로부터 이동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아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함께 법규 위반 위험물 수송차량으로서 행정 처리 기관으로 전달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5.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단말기로서,
    전자지도가 저장된 지도 저장 모듈;
    위치정보를 추적하는 위치정보 추적모듈;
    단속자로부터 특정 지역에 주차되어 있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입력받는 차량정보 입력 모듈; 및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추적하며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단속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속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이 기 지정된 주차영역에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불법 주차 여부 정보를 전달 받아 단속자에게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단속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전달받아 상기 전자지도를 통해 표시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단말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 입력 모듈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필기로 입력받아 인식하는 필기 인식 모듈;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인식하는 음성 인식 모듈;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영상으로 입력받아 인식하는 영상 인식 모듈; 및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버튼으로 입력받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단말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단속자로부터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는 키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속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단말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모듈은 단속자로부터 이동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법규 위반 위험물 수송차량으로서 상기 단속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단말기.
  9.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으로서,
    (a) 단속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b)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기 지정된 주차위치 정보와 서로 비교하여 상기 특정 위험물 수송차량의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단속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c)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상기 단속 단말기로 전달하여 상기 단속 단말기가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d)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목록 또는 상기 단속 단말기로부터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행정처리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아 행정 처리 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e) 상기 단속 단말기로부터 이동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아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와 함께 법규 위반 위험물 수송차량으로서 행정 처리 기관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
  12.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단말기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으로서,
    (a) 단속자로부터 특정 지역에 주차되어 있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추적하며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단속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속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이 기 지정된 주차영역에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불법 주차 여부 정보를 전달 받아 단속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속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지역의 불법 주차된 위험물 수송차량들의 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전달받아 전자지도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단말기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d) 단속자로부터 이동 중인 위험물 수송차량에 대한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 및
    (e)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운송 자격증 소지, 소화기 비치여부, 허가 여부, 안전카드 비치 여부, 허가품 여부, 적재량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위험물 수송차량의 정보를 법규 위반 위험물 수송차량으로서 상기 단속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단말기의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

KR1020100105357A 2010-10-27 2010-10-27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및 단속 단말기, 이를 이용한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 KR101134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357A KR101134512B1 (ko) 2010-10-27 2010-10-27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및 단속 단말기, 이를 이용한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357A KR101134512B1 (ko) 2010-10-27 2010-10-27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및 단속 단말기, 이를 이용한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512B1 true KR101134512B1 (ko) 2012-04-13

Family

ID=4614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357A KR101134512B1 (ko) 2010-10-27 2010-10-27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및 단속 단말기, 이를 이용한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5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097A (ko) * 2015-06-04 2016-12-14 렉스젠(주) 주정차 위반 단속 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102178120B1 (ko) 2020-03-26 2020-11-12 이용석 도로 및 유휴지를 활용한 탄력적 주차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698B1 (ko) 2003-09-04 2006-05-03 김황배 불법 주차단속 관리시스템
KR20100031350A (ko) * 2008-09-12 2010-03-22 박정용 환경오염물질 관리서버의 환경오염물질 운송수단 감시방법
KR100963143B1 (ko) 2008-01-16 2010-06-15 (주)위니텍 위험물 수송차량의 관제를 위한 위험관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698B1 (ko) 2003-09-04 2006-05-03 김황배 불법 주차단속 관리시스템
KR100963143B1 (ko) 2008-01-16 2010-06-15 (주)위니텍 위험물 수송차량의 관제를 위한 위험관제시스템
KR20100031350A (ko) * 2008-09-12 2010-03-22 박정용 환경오염물질 관리서버의 환경오염물질 운송수단 감시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097A (ko) * 2015-06-04 2016-12-14 렉스젠(주) 주정차 위반 단속 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101720528B1 (ko) * 2015-06-04 2017-03-28 렉스젠(주) 주정차 위반 단속 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102178120B1 (ko) 2020-03-26 2020-11-12 이용석 도로 및 유휴지를 활용한 탄력적 주차관리 시스템
KR20210120784A (ko) 2020-03-26 2021-10-07 이용석 도로 및 유휴지를 활용한 탄력적 주차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8050B1 (en) Onboard vehicle digital identification transmission
US7280042B2 (en) Standoff security and real-time vendor verification system and apparatus
US2014036642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firearm safety enhancement
US20160266733A1 (en) Event and staff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7382248B2 (en) Tracking system
US20040210757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unauthorized vehicle control
US20090100168A1 (en) Automatic location detection in a computing environment
US201302902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the legitimacy of a transportation provider
US201202379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managing use of mobile electronic devices
US11398121B2 (en) Method for provisioning a device with an information element allowing to identify unauthorized users in a restricted area
AU2021282382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Securing and Controlling Mobile Phones Which are Lost (Misplaced\Stolen)
KR100868257B1 (ko) 위치 기반의 범죄 지리정보 시스템
CA28513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managing use of mobile electronic devices
KR101134512B1 (ko)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시스템 및 단속 단말기, 이를 이용한 위험물 수송차량의 단속 방법
Towns et al. Notes on: GPS technology; employee monitoring enters a new era
KR20160005275A (ko) 지도 단속 처리 과정의 자동 안내가 가능한 영상촬영용 통신기기
KR101751294B1 (ko) 폐기물 처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GB2471995A (en) Monitoring the presence and identity of users at a location
KR101101221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라커 시스템
JP3594928B2 (ja) 盗難車発見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サーバ
US20170132735A1 (en) Enforcement services techniques
JP2004310204A (ja) 車両管理システム及び車両管理方法
Denef et al. ICT trends in European policing
CN110634039A (zh) 共享车辆后备箱的方法、系统、服务器和车辆
KR102541315B1 (ko) 건설중장비 사용자의 근태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