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987B1 -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987B1
KR101133987B1 KR1020040018558A KR20040018558A KR101133987B1 KR 101133987 B1 KR101133987 B1 KR 101133987B1 KR 1020040018558 A KR1020040018558 A KR 1020040018558A KR 20040018558 A KR20040018558 A KR 20040018558A KR 101133987 B1 KR101133987 B1 KR 10113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ession
message
service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287A (ko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987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08Mirrors having a single reflecting lay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 통화하기 어렵고 말하기가 까다로운 상대방에게 전화 통화를 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음성 사서함에 사랑을 고백하거나, 사고의 안내, 전달할 내용 등을 남김으로써, 착신자에게 전달할 사항을 음성 메시지로 전달하며, 전달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백 서비스 시스템(200)은 발신 단말기(210), 착신 단말기(212), 무선 기지국(120), 기지국 전송기(222), 기지국 제어기(224), 이동 교환국(130), HLR(232), VLR(234), SMS 센터(236), 고백서비스 서버(240), 고백서비스 데이터베이스(250)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하기 어려운 상대방에게 전화 통화를 하지 않고 용이하게 사랑한다는 고백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고, 상대방과의 좋지 않은 관계에서도 전화 통화 없이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통화, 사랑 고백, 음성 사서함, 전달 메시지, SMS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Confess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by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종래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시스템(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통신 시스템 110 : 이동 단말기
120 : 무선 기지국 130 : 이동 교환국
140 : 음성사서함 서버 150 : 음성사서함 데이터베이스
200 : 고백 서비스 시스템 210 : 발신 단말기
212 : 착신 단말기 222 : 기지국 전송기
224 : 기지국 제어기 232 : HLR
234 : VLR 240 : 고백서비스 서버
250 : 고백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접 통화하기 어렵고 말하기가 까다로운 상대방에게 전화 통화를 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음성 사서함에 사랑을 고백하거나, 사고의 안내, 전달할 내용 등을 남김으로써, 착신자에게 전달할 사항을 음성 메시지로 전달하며, 전달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이동 단말기(110), 무선 기지국(120), 이동 교환국(130), 음성사서함 서버(140), 음성사서함 데이터베이스(150)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이동 단말기(110)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 연결이 되었을 때 전화통화를 수행하고,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아 음성 사서함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에 음성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말기이다.
무선 기지국(120)은 이동 단말기(110)에 대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과 통신 프로토콜의 변환 및 암호화/복호화 등을 실행하고, 이동 단말기(110)에 대한 통신 채 널의 할당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 교환국(130)은 무선 기지국(120)을 통한 이동 단말기(110)에서 요구하는 통화 요구를 처리한다. 즉, 이동 교환국(130)은 이동 단말기(110)의 통화 요구를 착신 이동 교환국으로 전송하거나 착신 무선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통화 접속 경로가 형성되도록 통화 접속을 스위칭한다.
음성사서함 서버(140)는 이동 교환국(130)과 연동하며, 이동 교환국(130)에서 착신 단말기로 착신 신호를 전송한 후, 착신 단말기가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에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이동 단말기(110)로 제공하여, 이동 단말기(110)에서 착신 단말기로 전달할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도록 요구하고, 녹음이 종료되면 착신 단말기에 대하여 할당된 음성 사서함에 저장함으로써, 이후에 착신 단말기가 접속하여 자신의 음성 사서함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음성사서함 데이터베이스(150)는 착신 단말기로 전달할 음성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의 할당된 저장 공간에 저장해 둔다.
즉,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이동 단말기(110)에서 착신 단말기에 대하여 전화 통화를 요청하면,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단말기로 착신 신호를 송출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 음성 사서함 서버(140)가 착신 단말기로 전달할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도록 이동 단말기(110)에게 요청하고, 이동 단말기(110)에서 음성 메시지를 입력하면 음성사서함 데이터베이스(150)에 있는 착신 단말기의 음성 사서함에 해당 음성 메시지를 저장해 놓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발신자가 착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상대방에게 직접 통화하기를 꺼려하거나, 둘 사이에 언짢은 일로 인하여 통화하고 싶지는 않으나 전달할 내용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발신자가 착신자를 좋아하고 있으나 착신자에게 직접 전화 통화로 사랑을 고백하기 어려워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발신자가 착신 단말기로 전화를 걸어, 착신자가 전화를 받지 않을 경우에 음성 사서함 서비스가 수행되어, 착신자의 음성 사서함에 사랑 고백이나 전달할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대부분의 경우 전화를 받게 되므로, 사랑을 고백하고 싶어도 고백하지 못하거나, 전달할 내용을 말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통화하지 않고 전달할 내용이 있거나 사랑을 고백해야 할 경우에, 착신자와 통화하지 않고 전달하도록 하는 기술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접 통화하기 어렵고 말하기가 까다로운 상대방에게 전화 통화를 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음성 사서함에 사랑을 고백하거나, 사고의 안내, 전달할 내용 등을 남김으로써, 착신자에게 전달할 사항을 음성 메시지로 전달하며, 전달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직접 통화하기 어렵고 말하기가 까다로운 상대방에게 전화 통화를 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고백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고백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키입력으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고백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고백 서비스에 대한 음성 안내에 따라 상대방에게 전달할 내용을 음성으로 입력하여 상기 고백 메시지를 작성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고백 서비스의 요청에 따라 착신자에게 전달할 상기 고백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음성 메시지로 안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백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의 음성 사서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고백서비스 서버; 및 상기 고백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작성한 상기 고백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의 음성 사서함에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고백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직접 통화하기 어렵고 말하기가 까다로운 상대방에게 전화 통화를 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고백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고백 서비스 방법으로서, 이동 단말기가 특정 키입력으로 고백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1 단계; 상기 고백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음성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고백 메시지를 작성하 는 제3 단계; 상기 고백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의 음성 사서함에 저장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고백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고백 메시지의 전달 완료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리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시스템(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백 서비스 시스템(200)은 발신 단말기(210), 착신 단말기(212), 무선 기지국(120), 기지국 전송기(222), 기지국 제어기(224), 이동 교환국(130), HLR(232), VLR(234), SMS 센터(236), 고백서비스 서버(240), 고백서비스 데이터베이스(250)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발신 단말기(210) 및 착신 단말기(212)는 특정 키입력(예컨대, *45)으로 고백 서비스를 요청하고, 고백 서비스에 대한 음성 안내에 따라 상대방에게 전달할 내용을 음성으로 입력하는 데 이용하는 단말기이다. 여기서, 특정 키입력은 문자와 숫자의 조합 또는 기호와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키입력이다.
본 발명에서 발신 단말기(210) 및 착신 단말기(212)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무선 기지국(120)은 발신 단말기(210) 및 착신 단말기(212)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이동 단말기의 무선 전화 통화를 위한 통신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20)은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하고, 기지국 전송기(222) 및 기지국 제어기(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 기지국 전송기(222)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및 기지국 제어기(224)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 기지국 전송기(222)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및 기지국 제어기(224)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망 및 향후 구현될 제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전송기(222)는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 단말기(210, 212)로부터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기(210, 212)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224)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222)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기(210, 212)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224)는 기지국 전송기(222)를 제어하며, 이동 단말기(210, 212)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 단말기(210, 212) 및 기지국 전송기(222)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224)는 기지국 전송기(222)를 통하여 수신된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 교환국(130)으로 전달한다.
이동 교환국(13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IS-95 A/B/C 시스템의 이동 교환국(130)은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3세대 및 4세대를 위한 이동 교환국(130)에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는데, ATM 스위치는 셀 단위로 패킷을 처리함으로써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232)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234)로부터 이동 단말기(210, 212)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HLR(232)에는 대기, 착신 및 발신 단말기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이동 단말기(210, 212)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또는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VLR(234)은 위치 등록이 수행되는 방문 가입자의 위치 정보, 발신 단말기에서 발신의 경우, 착신 단말기로의 착신 등의 경우에 가입자 데이터를 이동 교환국(130)으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SMS 센터(236)는 고백 서비스 서버(240)로부터의 SMS 메시지 요청에 따라 고백 메시지의 전달이 완료되었다는 내용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변환하여 발신 단말기(210)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실행한다. 또한, 고백 서비스 서버(240)로부터의 SMS 메시지 요청에 따라 음성 사서함에 음성 메시지가 있음을 알리는 SMS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212)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SMS 문자 전송 기능은 이동 단말기나 고백서비스 서버(240)에서 작성된 전달 메시지가 이동 교환국(130)으로 전달되고, 수신 이동 단말기의 번호와 함께 전달 메시지를 이동 교환국(130)에서 SMS 센터(236)로 전송함으로써, SMS 센터(236)에서 전달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수신 이동 단말기를 관할하는 이동 교환국으로 전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고백서비스 서버(240)는 발신 단말기(210)의 고백 서비스의 요청에 따라 착신자에게 전달할 고백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음성 메시지로 안내하고, 발신 단말기(210)로부터 입력된 고백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212)의 음성 사서함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고백서비스 서버(240)는 음성 사서함에 고백 메시지가 있음을 알리는 SMS 메시지가 착신 단말기(212)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착신 단말기(212)가 음성 사서함에 저장되어 있는 고백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고백 메시지의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SMS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2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고백서비스 서버(240)는 이동 단말기(210)가 고백 메시지를 작성할 때, 고백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로 전달할 시간도 입력하도록 음성 메시지로 안내하고, 이동 단말기(210)로부터 입력받은 전송 시간도 고백 메시지와 함께 저장해 놓는다.
고백서비스 데이터베이스(250)는 고백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발신 단말기(210)에서 작성한 고백 메시지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다.
고백서비스 데이터베이스(250)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Element)들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관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충분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 단말기(210)는 현재 위치한 지역을 관할하는 무선 기지국(120)에 대해 위치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평상시에 전화를 걸거나 걸려온 전화에 대하여 무선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화 통화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즉, 이동 단말기(210)는 전화 통화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고, 이를 근거로 단말기의 동작을 전화 통화 모드로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210)는 전화 통화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고백서비스 서버(240)의 경우도 이동 단말기(210)에 대하여 통신 대기 상태로 있다(S302).
발신자는 착신자와의 전화 통화를 꺼려하여 고백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발신자는 이동 단말기(210)를 조작하여 고백 서비스를 요청하는 특정 키입력, 예컨대, "*45" 버튼을 입력하고,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예컨대, "010-3955-7438"을 입력한 후, 통화(Send) 버튼을 입력하여 고백 서비스를 요청한다(S304).
이동 단말기(210)로부터 발신된 고백 서비스 요청 신호는 무선 기지국(120)과 이동 교환국(130)을 경유하여 고백서비스 서버(240)로 전달된다.
고백서비스 서버(240)는 착신 단말기로 전달할 고백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210)로 제공한다(S306). 이때, 고백서비스 서버(240)는 고백 메시지를 입력한 후 착신자에게 전송할 시간도 함께 입력하도록 음성 메시지로 안내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객지에서 공부하는 자식을 격려하기 위하여 매일 아침, 점심, 저녁의 특정 시간에 고백 메시지를 보낼 때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다.
발신자는 이동 단말기(210)를 통해 착신자에게 전달할 고백 메시지를 입력한다(S308).
이동 단말기(210)로부터 고백 메시지가 전송되어 오면, 고백서비스 서버(240)는 고백 메시지를 고백서비스 데이터베이스(250)에 있는 착신 단말기의 음성 사서함에 저장해 놓는다(S310). 이때, 이동 단말기(210)에서 전송 시간을 설정해 놓은 경우, 고백 메시지를 임시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있다가 해당 설정 시간이 되면 착신 단말기의 음성 사서함으로 옮겨 저장한다.
그리고, 고백서비스 서버(240)는 SMS 센터(236)를 통하여 착신 단말기로 고백 메시지가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S312). 이때, SMS 메시지 에는 고백서비스 서버(240)로 접속하도록 하는 콜백 넘버(Callback Number)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착신자는 착신 단말기로 수신된 SMS 메시지를 확인하고, 콜백 넘버를 통하여 고백서비스 서버(240)에 접속하고, 자신의 음성 사서함에 저장되어 있는 고백 서비스를 음성 메시지로 확인한다(S312).
착신 단말기가 고백 메시지를 확인하면, 고백서비스 서버(240)는 고백 메시지의 전달 완료를 알리는 SMS 메시지를 SMS 센터(236)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210)로 전송해 준다(S314).
따라서, 발신자는 SMS 메시지를 통하여 자신이 전달하고자 했던 고백 메시지가 무사히 착신자에게 전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직접 통화하기 어렵고 말하기가 까다로운 상대방에게 전화 통화를 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음성 사서함에 사랑을 고백하거나, 사고의 안내, 전달할 내용 등을 남김으로써, 착신자에게 전달할 사항을 음성 메시지로 전달하며, 전달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하기 어려운 상대방에게 전화 통화를 하지 않고 용이하게 고백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대방과의 좋지 않은 관계에서도 전화 통화 없이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Claims (19)

  1. 상대방에게 고백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고백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키입력으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고백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고백 서비스에 대한 음성 안내에 따라 상대방에게 전달할 내용을 음성으로 입력하여 상기 고백 메시지를 작성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고백 서비스의 요청에 따라 착신자에게 전달할 상기 고백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음성 메시지로 안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백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의 음성 사서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고백서비스 서버; 및
    상기 고백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작성한 상기 고백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의 음성 사서함에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고백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백서비스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고백 메시지를 작성할 때, 상기 고백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달할 시간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백 서비스 서버로부터의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요청에 따라 상기 고백 메시지의 전달이 완료되었다는 내용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SMS 센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백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음성 사서함에 상기 고백 메시지가 있음을 알리는 SMS 메시지가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음성 사서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고백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고백 메시지의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MS 센터는, 상기 고백 서비스 서버로부터의 SMS 메시지 요청에 따라 상기 음성 사서함에 상기 고백 메시지가 있음을 알리는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백서비스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를 포함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를 포함하는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를 포함하는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망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무선 전화 통화를 위한 통신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무선 기지국;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교환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통화 요청 신호를 상기 이동 교환국으로 전송하기 위해 송출하며,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기지국 전송기; 및
    상기 기지국 전송기를 제어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기지국 전송기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무선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시스템.
  9. 삭제
  10. 상대방에게 고백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고백 서비스 방법으로서,
    이동 단말기가 특정 키입력으로 고백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1 단계;
    상기 고백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음성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고백 메시지를 작성하는 제3 단계;
    상기 고백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의 음성 사서함에 저장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고백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고백 메시지의 전달 완료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알리는 제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고백 메시지를 전송할 시간도 함께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 상기 음성 사서함에 상기 고백 메시지가 있음을 상기 착신 단말기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고백 메시지의 전달 완료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사서함에 상기 고백 메시지가 있음을 SMS 메시지로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고백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고백 메시지를 확인할 때, 콜백 넘버(Callback Number)를 통하여 상기 음성 사서함에 접속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SMS 메시지에는 상기 음성 사서함으로 접속하기 위한 콜백 넘버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백 메시지의 전송할 시간이 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작성한 상기 고백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기 음성사서함으로 옮겨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특정 키입력은 문자와 숫자의 조합 또는 기호와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키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KR1020040018558A 2004-03-18 2004-03-18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133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558A KR101133987B1 (ko) 2004-03-18 2004-03-18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558A KR101133987B1 (ko) 2004-03-18 2004-03-18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287A KR20050093287A (ko) 2005-09-23
KR101133987B1 true KR101133987B1 (ko) 2012-04-05

Family

ID=3727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558A KR101133987B1 (ko) 2004-03-18 2004-03-18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9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678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이동망 가입자의 음성사서함서비스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678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이동망 가입자의 음성사서함서비스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287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5139A (zh) 一种留言提醒系统和方法
KR1007544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설정된 기간 동안 부가 서비스를변경하는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관리 서버 및시스템
KR101133987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고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041314B1 (ko) 긴급 알림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8588760B2 (en) Push-to-talk PSTN back-to-back user agent for connecting a PTT system to the PSTN/ISDN world
KR101212179B1 (ko) 특정 코드를 활용한 콜렉트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KR100599980B1 (ko) 양방향 sms 메시지 전송을 통한 자동 통화 연결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20050013848A (ko) 착신자 통화 중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62250B1 (ko) 발신자 선택형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6280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사랑의 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194668B1 (ko) Sms 센터에서 sms 메시지의 미전송 내역을 통보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573491B1 (ko) 국제전화 착신지 현지 시각 안내 및 연결 서비스 방법
KR100695205B1 (ko) 제3자 간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5470A (ko) 단문 메시지 발신자 위치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08973B1 (ko) 음성사서함 모드 전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착신호 확인 방법
KR10049230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음성메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70104009A (ko) 발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 단문메시지를 삭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343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성/문자 메시지 관리시스템 및그 방법
KR100806199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감시하는 방법및 시스템
KR20070044729A (ko) 발신 메시지 취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553541B1 (ko) 통화 요청시 문자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95092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예약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70011982A (ko) 발신번호 별 선택적 착신 전환 및 자동 연결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019630B1 (ko) 직접 통화 방식을 이용한 sms 메시지 전송 방법 및시스템
KR20070111764A (ko) 착신단말이 통화중인 경우의 대화형 문자메시지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