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731B1 -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3731B1 KR101133731B1 KR1020090025754A KR20090025754A KR101133731B1 KR 101133731 B1 KR101133731 B1 KR 101133731B1 KR 1020090025754 A KR1020090025754 A KR 1020090025754A KR 20090025754 A KR20090025754 A KR 20090025754A KR 101133731 B1 KR101133731 B1 KR 1011337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opening
- porcelain
- ceramic
- pill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75—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자기 몸체와,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도자기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뚜껑 몸체부와 돌출기둥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출기둥은 상기 도자기 몸체와 뚜껑의 결합 시 상기 뚜껑 몸체부의 말단 외주면과 상기 도자기 몸체의 상단부 외주면 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뚜껑 몸체부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기둥의 말단 부분은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 외주연 부분에 맞닿도록 형성됨으로써, 기존 도자기 용기의 뚜껑 몸체부에 구비된 구(球) 형상의 뚜껑 손잡이부 없이도 뚜껑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개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자기 용기, 도자기 몸체, 뚜껑, 돌출기둥, 안내기둥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도자기 용기의 뚜껑 몸체부에 구비된 구(球) 형상의 뚜껑 손잡이부 없이도 뚜껑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개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로 만들어진 용기로서, 예컨대, 주전자, 다관 등은 그 용기에 담긴 내용물 예컨대, 음용수 또는 찻물 등을 충전 및 배출하기 위하여 우리 생활에 있어서 오랜 세월을 거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자기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도자기 용기는, 크게 도자기 몸체(10)와 뚜껑(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자기 몸체(10)는 통상의 항아리 형상으로 내부에 특정 내용물이 충전 가능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상기 특정 내용물의 충전과 배출을 위하여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20)은 뚜껑 몸체부(21)와 뚜껑 손잡이부(22)를 구비한다. 전체적으로 식기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뚜껑과 유사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뚜껑(20)의 사용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球) 형상의 뚜껑 손잡이부(22)가 뚜껑 몸체부(2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20)은 도자기 몸체(10) 상단부의 개구부(12)를 덮어 도자기 몸체(10)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투입되지 못하도록 하며, 도자기 몸체(10)를 이동할 때 충전된 특정 내용물이 개구부(12)를 통하여 예기치 않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뚜껑 손잡이부(22)는 별도로 형성하여 뚜껑 몸체부(21)의 상부에 접합하는데, 그 접합 면적이 작아서 부착하기 어려우며 쉽게 떨어지거나 접합 후에 작은 힘에도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뚜껑 손잡이부(22)의 구비로 인해 뚜껑 몸체부(21)의 형상이 한정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도자기 용기의 뚜껑 몸체부에 구비된 구(球) 형상의 뚜껑 손잡이부 없이도 뚜껑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개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자기 몸체와,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도자기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뚜껑 몸체부와 돌출기둥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출기둥은 상기 도자기 몸체와 뚜껑의 결합 시 상기 뚜껑 몸체부의 말단 외주면과 상기 도자기 몸체의 상단부 외주면 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뚜껑 몸체부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기둥의 말단 부분은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 외주연 부분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돌출기둥의 평면형상은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기둥의 말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자기 몸체와 뚜 껑의 결합 시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구비된 안내기둥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자기 몸체와,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a) 점토를 이용하여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를 감싸도록 뚜껑 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점토를 이용하여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 외주연과 대응되는 평면형상의 돌출기둥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도자기 몸체와 뚜껑의 결합 시 상기 뚜껑 몸체부의 말단 외주면과 상기 도자기 몸체의 상단부 외주면 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 외주연 부분에 맞닿게 상기 단계(b)에서 형성된 돌출기둥을 상기 뚜껑 몸체부의 내측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계(b)이후에, 상기 돌출기둥의 말단에 상기 도자기 몸체와 뚜껑의 결합 시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안내기둥을 연장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뚜껑 몸체부와 돌출기둥의 결합은 흙물을 사용하여 접합한 후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 이 형성된 도자기 몸체와,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a') 점토를 이용하여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를 감싸도록 뚜껑 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점토를 이용하여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 외주연과 대응되는 평면형상의 돌출기둥을 형성하기 위한 1차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1차 성형물의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단턱지게 내측 방향으로 절개하여, 상측에 돌출기둥과 그 일단에 일체로 연장 돌출된 안내기둥을 구비한 2차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도자기 몸체와 뚜껑의 결합 시 상기 뚜껑 몸체부의 말단 외주면과 상기 도자기 몸체의 상단부 외주면 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 외주연 부분에 맞닿게 상기 단계(c')에서 형성된 상기 2차 성형물의 돌출기둥 타단을 상기 뚜껑 몸체부의 내측면에 접합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기존 도자기 용기의 뚜껑 몸체부에 구비된 구(球) 형상의 뚜껑 손잡이부 없이도 뚜껑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개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을 쉽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미려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뚜껑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는, 크게 도자기 몸체(100)와 뚜껑(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자기 몸체(100)는 통상의 항아리 형상으로 내부에 특정 내용물(예컨대, 음용수 또는 찻물 등)이 충전 가능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상기 특정 내용물의 충전과 배출을 위하여 개구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자기 몸체(100)는 통상의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특정 내용물을 충전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공간(110)과 개구부(120)만 있으면 어떠한 모양이든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도자기 몸체(100)의 외주면 부분에 손잡이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구부(120)의 형상은 통상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 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뚜껑(200)은 도자기 몸체(100)의 개구부(12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크게, 뚜껑 몸체부(210)와 돌출기둥(2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 몸체부(210)는 통상의 삿갓 모양으로 도자기 몸체(100)의 개구부(120)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기둥(220)은 도자기 몸체(100)의 개구부(12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뚜껑(200)의 내측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기둥(220)은 도자기 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 시 뚜껑 몸체부(210)의 말단부 외주면(A)과 도자기 몸체(100)의 상단부 외주면(B) 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간부(C)가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돌출기둥(220)의 말단 부분은 도자기 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 시 도자기 몸체(100)의 개구부(120) 외주연 부분에 맞닿아 있으며, 돌출기둥(220)의 평면형상은 도자기 몸체(100)의 개구부(120)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돌출기둥(220)의 말단에 안내기둥(230)이 더 연장되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기둥(230)은 도자기 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 시 도자기 몸체(100)의 개구부(120)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외부의 힘 등에 의해 뚜껑 몸체부(210)가 도자기 몸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뚜껑(200)은 돌출기둥(220)의 구비로 인해 형 성된 공간부(C)에 손가락 등을 넣어 뚜껑 몸체부(210)의 말단 부분을 잡아 들어올리면 기존의 구(球) 형상의 뚜껑 손잡이부(22, 도 1 참조) 없이도 뚜껑(200)의 개폐 동작을 손쉽게 사용하여 도자기 몸체(100)의 개구부(120)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돌출기둥(220)의 구비로 인해 기존 뚜껑 몸체부(21, 도 1 참조)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球) 형상의 뚜껑 손잡이부(22)가 없어도 되기 때문에, 뚜껑 몸체부(210)의 형상은 종래의 뚜껑 손잡이부(22)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예컨대, 점토를 이용하여 상단에 원형의 개구부(120)가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도자기 몸체(100)를 마련한 후, 점토를 이용하여 도자기 몸체(100)의 개구부(120)를 감싸도록 삿갓 형상의 뚜껑 몸체부(210)를 형성한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점토를 이용하여 돌출기둥(220)을 형성하기 위한 원통형의 1차 성형물(220a)을 형성한다. 이때, 1차 성형물(220a)은 도자기 몸체(100)의 개구부(120)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1차 성형물(220a)의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단턱지게 내측 방향으로 절개함으로써, 상측에 돌출기둥(220)과 그 일단에 일체로 연장 돌출된 안내기둥(230)을 구비한 2차 성형물(220b)을 형성한다.
이때, 안내기둥(230)은 도자기 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 시 도자기 몸체(100)의 개구부(120)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외부의 힘 등에 의해 뚜껑 몸체부(210)가 도자기 몸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예컨대, 흙물 등을 이용하여 2차 성형물(220b)의 돌출기둥(220) 타단을 뚜껑 몸체부(210)의 내측면에 접합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자기 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 시 뚜껑 몸체부(210)의 말단 외주면(A)과 도자기 몸체(100)의 상단부 외주면(B) 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간부(C)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자기 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 시 2차 성형물(220b)의 하측에 단턱진 돌출기둥(220)의 일단 부분이 도자기 몸체(100)의 개구부(120) 외주연 부분에 맞닿도록 결합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도자기 용기를 제작하기 위한 기타 공정들(예컨대, 성형, 건조, 초벌구이, 재벌구이, 유약 등)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 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자기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Claims (7)
- 삭제
- 삭제
- 삭제
-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자기 몸체와,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상기 뚜껑은,(a) 점토를 이용하여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를 감싸도록 뚜껑 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b) 점토를 이용하여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 외주연과 대응되는 평면형상의 돌출기둥을 형성하는 단계; 및(c) 상기 도자기 몸체와 뚜껑의 결합 시 상기 뚜껑 몸체부의 말단 외주면과 상기 도자기 몸체의 상단부 외주면 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 외주연 부분에 맞닿게 상기 단계(b)에서 형성된 돌출기둥을 상기 뚜껑 몸체부의 내측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 제4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b)이후에, 상기 돌출기둥의 말단에 상기 도자기 몸체와 뚜껑의 결합 시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안내기둥을 연장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 제4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c)에서, 상기 뚜껑 몸체부와 돌출기둥의 결합은 흙물을 사용하여 접합한 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자기 몸체와,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상기 뚜껑은,(a') 점토를 이용하여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를 감싸도록 뚜껑 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b') 점토를 이용하여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 외주연과 대응되는 평면형상의 돌출기둥을 형성하기 위한 1차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c') 상기 1차 성형물의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단턱지게 내측 방향으로 절개 하여, 상측에 돌출기둥과 그 일단에 일체로 연장 돌출된 안내기둥을 구비한 2차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d') 상기 도자기 몸체와 뚜껑의 결합 시 상기 뚜껑 몸체부의 말단 외주면과 상기 도자기 몸체의 상단부 외주면 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도자기 몸체의 개구부 외주연 부분에 맞닿게 상기 단계(c')에서 형성된 상기 2차 성형물의 돌출기둥 타단을 상기 뚜껑 몸체부의 내측면에 접합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5754A KR101133731B1 (ko) | 2009-03-26 | 2009-03-26 |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5754A KR101133731B1 (ko) | 2009-03-26 | 2009-03-26 |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7607A KR20100107607A (ko) | 2010-10-06 |
KR101133731B1 true KR101133731B1 (ko) | 2012-04-09 |
Family
ID=4312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5754A KR101133731B1 (ko) | 2009-03-26 | 2009-03-26 |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373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3509Y1 (ko) * | 1986-11-14 | 1989-05-27 | 손경식 | 보온 김치 항아리 |
KR100753622B1 (ko) | 2005-07-13 | 2007-08-30 | 문인술 | 이중 항아리 가마솥 |
-
2009
- 2009-03-26 KR KR1020090025754A patent/KR10113373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3509Y1 (ko) * | 1986-11-14 | 1989-05-27 | 손경식 | 보온 김치 항아리 |
KR100753622B1 (ko) | 2005-07-13 | 2007-08-30 | 문인술 | 이중 항아리 가마솥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7607A (ko) | 2010-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50056611A1 (en) | Baby bottles with sealing icons, integral handles and/or protective skirts | |
US20170253363A1 (en) | Silicone Cup with Metal Ring and Openings for Inserting Metal Ring | |
JP2013509207A (ja) | 閉鎖可能な注ぎ開口部を備えたティー・メーカー | |
KR200494894Y1 (ko) | 화장품 용기 | |
KR101133731B1 (ko) |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
KR200450919Y1 (ko) | 고밀폐패킹이 구비된 도자기용기 | |
CN102687971B (zh) | 一种盖子 | |
KR101107726B1 (ko) | 결합식 손잡이 구조를 갖는 페트병 | |
KR20100012828U (ko) | 용기 커버 | |
KR102207403B1 (ko) | 덮개의 회전 개폐 구조를 갖는 공도배 | |
KR200426306Y1 (ko) | 일정량을 저장할 수 있는 대나무 용기 | |
KR20050090112A (ko) |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의 구조 | |
KR102110847B1 (ko) | 이종 재질의 혼합을 위한 이중 용기조립체 | |
KR100526153B1 (ko) | 액체 용기용 마개 | |
CN209499374U (zh) | 一种双杯盖的茶杯 | |
CN204737207U (zh) | 一种包装盒 | |
CN202445697U (zh) | 一种陶瓷茶壶 | |
CN203220187U (zh) | 一种泡茶壶 | |
KR200347208Y1 (ko) | 액체 용기용 마개 | |
CN213429474U (zh) | 一种二合一水杯 | |
KR200481323Y1 (ko) | 보관 용기 | |
CN210902476U (zh) | 一种杯盖及包含其的杯子 | |
CN219645461U (zh) | 一种便携滤壶 | |
CN217013470U (zh) | 一种茶杯配套杯盖 | |
CN209315463U (zh) | 一种茶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