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824B1 -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824B1
KR101132824B1 KR1020100034951A KR20100034951A KR101132824B1 KR 101132824 B1 KR101132824 B1 KR 101132824B1 KR 1020100034951 A KR1020100034951 A KR 1020100034951A KR 20100034951 A KR20100034951 A KR 20100034951A KR 101132824 B1 KR101132824 B1 KR 101132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group
mapping table
remote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448A (ko
Inventor
정광재
임인식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캐스트
Priority to KR1020100034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82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교, 기업 등에 구비된 내부통신망을 이용하여 그룹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내 그룹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그룹지정 버튼을 구비하고 방송 주체자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리모트 앰프; 상기 리모트 앰프와 연결되어 상기 방송 주체자의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아 디지털 형태의 방송 콘텐츠로 변환하고, 상기 리모트 앰프에서 입력된 버튼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방송호환 수단; 및 상기 방송호환 수단과 내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리모트 앰프의 버튼 식별정보와 그룹 식별정보가 매핑된 제1매핑테이블 및 상기 그룹 식별정보와 단말 식별정보가 매핑된 제2매핑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방송호환 수단으로부터 버튼식별 정보와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이 버튼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 식별정보를 상기 제1매핑테이블에서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그룹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다수의 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제2매핑테이블에서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한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다수의 단말로 상기 방송 콘텐츠를 송출하는 방송중계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premises group broadcasting service}
본 발명은 구내방송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 기업 등에 구비된 내부통신망을 이용하여 그룹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업 또는 학교 등의 단체에서는 구성원들에게 주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구내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메시지를 송출한다. 예를 들어, 학교 방송실은 주요 일과 통보, 화재 훈련 통보 또는 듣기평가 수행을 위하여 구내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교실에 구비된 스피커에 해당 방송을 송출한다.
이러한 구내방송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리모트 앰프(remote amplifier)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방송을 해당 장소에 구비된 스피커에 출력한다.
도 1은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모트 앰프(110)는 마이크와 다수의 그룹지정 버튼을 구비하고, 이 버튼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 단자를 구비한다. 또한, 리모트 앰프(100)의 각 출력 단자는 오디오 케이블이 연결되어 연장되고, 이렇게 연장된 각각의 오디오 케이블은 오디오 분배기(121, 128)에 각각 연결된다. 오디오 분배기(121, 128)는 리모트 앰프(110)로부터 연장된 오디오 케이블의 신호 라인을 복수의 스피커로 분기한다. 즉, 오디오 분배기(121, 128)는 하나의 입력신호를 다수의 출력 신호로 분기한다.
이러한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의 구성에서, 리모트 앰프(110)의 특정 버튼이 클릭된 후 마이크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신호는 해당 버튼과 대응되는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오디오 분배기(121, 128)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분배기(121, 128)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자신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로 송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리모트 앰프(110)에서 1번 버튼이 클릭된 경우, 리모트 앰프(11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분배기1(121)에 의해 분기되어, 스피커5,6,7,8로 송출되어 출력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리모트 앰프에 구비된 버튼별로 그룹을 지정하려면 복잡한 오디오 선로를 형성시켜야 한다. 또한,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에서 이미 형성된 그룹을 재설정하려면, 가설된 오디오 케이블의 설치 경로를 변경시켜야하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3-70942호(발명의 명칭 :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학교 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교 방송시스템이 개시되었다. 상기 특허는 학교 방송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서 교실에 배치된 단말기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런데 상기 특허는 고가 장비인 리모트 앰프(110)를 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종래의 리모트 램프(110)를 통해 방송을 송출하던 방송 관리자에게 새로운 인터페이스 적응을 요구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특허와 같이 방송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 아날로그 기반의 리모트 앰프(110)는 디지털 기반의 네트워크의 방송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없어 폐기처분되고, 더불어 방송 관리자는 리모트 앰프(110)의 버튼을 통하여 그룹을 지정한 종래의 인터페이스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숙지해야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리모트 앰프와 상기 리모트 앰프의 그룹지정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유지시킨 네트워크 기반의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내 그룹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그룹지정 버튼을 구비하고 방송 주체자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리모트 앰프; 상기 리모트 앰프와 연결되어 상기 방송 주체자의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아 디지털 형태의 방송 콘텐츠로 변환하고, 상기 리모트 앰프에서 입력된 버튼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방송호환 수단; 및 상기 방송호환 수단과 내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리모트 앰프의 버튼 식별정보와 그룹 식별정보가 매핑된 제1매핑테이블 및 상기 그룹 식별정보와 단말 식별정보가 매핑된 제2매핑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방송호환 수단으로부터 버튼식별 정보와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이 버튼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 식별정보를 상기 제1매핑테이블에서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그룹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다수의 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제2매핑테이블에서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한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다수의 단말로 상기 방송 콘텐츠를 송출하는 방송중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송 관리자에게 익숙한 리모트 앰프의 그룹 선택 인터페이스가 그대로 유지된 네트워크 기반의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여, 상기 방송 시스템에 대한 조작의 편의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방송 시스템에서 구축된 리모트 앰프를 통해 네트워크 기반의 방송 메시지가 송출되게 함으로써, 방송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고가인 리모트 앰프의 활용성을 유지시키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방송 관리자가 구내가 아닌 외부에 위치하더라도 구내 방송을 진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방송 관리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방송을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중계 서버에서 저장하는 제1매핑테이블과 제2매핑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에서 리모트 앰프를 통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에서 전화기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에서 외부의 범용컴퓨터를 통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룹 방송 시스템은 방송제어 서버(300), 방송중계 서버(400), 리모트 앰프(remote amplifier)(500), 방송호환 장치(600), 및 복수의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을 포함한다. 상기 방송호환 장치(600), 방송제어 서버(300), 방송중계 서버(400) 및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은 내부 네트워크인 인트라넷(intranet)(700)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아울러, 인트라넷(700)은 외부 네트워크(800)와 연결된다. 상기 외부 네트워크(800)는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트라넷(700)은 방화벽 서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고, 상기 방화벽 서버는 외부 네트워크(800)로부터 유입되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체크하여 상기 인트라넷(700)에 연결된 구성요소들을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한다.
방송수신 단말(210-N, 220-N) 각각은 고유의 식별정보(즉, 방송수신 단말 ID)를 가지고 있으며, 방송중계 서버(40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은 모니터와 스피커를 탑재하거나 모니터 및 스피커와 연결되어, 수신한 방송 콘텐츠의 화면과 사운드를 모니터와 스피커에 각각 출력한다. 한편,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은 모니터를 제외한 스피커에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은 방송중계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콘텐츠에서 사운드만을 추출하여 스피커에 출력한다.
방송제어 수단인 방송제어 서버(300)는 방송중계 서버(400)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방송중계 서버(400)에서 송출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시나리오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방송제어 서버(300)는 예약 방송, 시보 방송, 그룹 방송과 관련된 시나리오를 방송중계 서버(4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방송제어 서버(300)는 외부에서 원격으로 접속하는 전화기(810) 또는 외부 범용컴퓨터(820)를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 경우, 방송제어 서버(300)는 인증 성공한 전화기(810) 또는 외부 범용컴퓨터(820)로부터 방송 콘텐츠와 그룹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방송중계 서버(400)로 전송한다. 게다가, 방송제어 서버(300)는 전화기 또는 외부의 범용컴퓨터(820)가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고유의 전화번호와 인터넷 주소를 가진다.
리모트 앰프(500)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더불어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510)를 구비한다. 상기 리모트 앰프(500)는 방송호환 장치(600)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방송호환 장치(600)로 전달한다.
방송호환 수단인 방송호환 장치(600)는 인트라넷(700)과 리모트 앰프(500)에 연결되고, 상기 리모트 앰프(500)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패킷화하여 방송중계 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방송호환 장치(600)는 리모트 앰프(500)에서 입력된 버튼입력 신호를 검출하여, 이 검출된 버튼입력 신호를 방송중계 서버(400)로 전송함으로써 방송 서비스가 개시되었음을 알린다. 또한, 방송호환 장치(600)는 카메라 연결 단자가 구비하고, 이 단자를 통하여 연결된 카메라(6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방송중계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호환 장치(600)는 리모트 앰프(50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카메라(61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하고, 상기 동기화된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중계 서버(400)로 전송한다.
외부 네트워크(800)에 연결된 전화기(810)와 범용컴퓨터(820)는 방송제어 서버(300)로 원격으로 접속하여, 인트라넷(700)에 연결된 방송수신 단말(210-N, 220-N)로 방송 콘텐츠를 송출한다.
방송중계 수단인 방송중계 서버(400)는 방송제어 서버(300)로부터 입력받은 방송 시나리오(예를 들어, 시보 방송 시나리오, 그룹 방송 시나리오)를 근거로 방송수신 단말(210-N, 220-N)로 방송 콘텐츠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방송중계 서버(400)는 방송제어 서버(300)로부터 예약 방송 시나리오를 수신하면, 그 예약 시간을 카운트한 후에 해당 방송 콘텐츠를 방송수신 단말(210-N, 220-N)로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서, 방송중계 서버(400)는 방송제어 서버(300)로부터 그룹 방송 시나리오를 수신하면, 해당 그룹에 해당하는 방송수신 단말(210-N, 220-N)로 세션을 설정하여 방송 콘텐츠를 송출한다.
특히, 방송중계 서버(400)는 리모트 앰프(500)의 버튼 식별정보와 그룹 식별정보가 매핑된 제1매핑테이블 및 상기 그룹 식별정보와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의 식별정보가 매핑된 제2매핑테이블을 저장한다. 게다가, 방송중계 서버(400)는 상기 제1,2매핑테이블을 토대로 방송 주체가 지정한 그룹에 해당하는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을 인지하여, 해당 방송수신 단말(210-N, 220-N)로 방송 콘텐츠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중계 서버(400)에서 저장하는 제1매핑테이블과 제2매핑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중계 서버(400)는 리모트 앰프(500)에 구비된 각각의 버튼 식별정보와 대응되어 그룹 식별정보가 기록된 제1매핑테이블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제1매핑테이블의 버튼 식별정보의 필드 수는 리모트 앰프(500)에 구비된 버튼 개수와 대응되고, 이 버튼 식별정보 필드에 기록된 버튼 식별정보 각각은 그룹 식별정보와 대응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a)의 제1매핑테이블에서, 버튼 식별정보 '1'은 1학년 그룹을 나타내는 그룹 식별정보인 'first-grade'와 대응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3의 (a)의 제1매핑테이블에서, 버튼 식별정보 '11'은 복도에 설치된 복수의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을 나타내는 그룹 식별정보 'corridor'와 대응된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중계 서버(400)는 각각의 그룹 식별정보와 대응되어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된 제2매핑테이블을 저장한다. 즉, 제2매핑테이블에는 제1매핑테이블에 기록된 그룹식별정보와 대응하여 복수의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방송중계 서버(400)는 1학년 그룹에 속하는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의 식별정보 목록(즉, 1st0011, 1st0012, 1st0013, 1st0014, 1st0015, 1st0016)을 1학년 그룹을 나타내는 그룹식별정보인 'first-grade'와 대응하여 저장한다.
그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에서 리모트 앰프(500)를 통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모트 앰프(50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버튼 중에서 특정 버튼을 입력받고, 이 버튼입력 신호를 방송호환 장치(600)로 전달한다(S401). 그러면, 방송호환 장치(600)는 리모트 앰프(500)에 구비된 다수의 버튼 중에서 어떠한 버튼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된 버튼 식별정보를 방송중계 서버(400)로 전송한다(S403, S405). 예를 들어, 방송호환 장치(600)는 리모트 앰프에서 2번째 버튼입력 신호를 감지한 경우, 방송중계 서버(400)로 버튼 식별정보로서 '2button' 정보를 송출한다.
그러면, 방송중계 서버(400)는 상기 버튼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정보를 제1매핑테이블(도 3의 (a) 참조)에서 추출한다(S407). 이어서, 방송중계 서버(400)는 상기 추출한 각 그룹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다수의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의 식별정보를 제2매핑테이블(도 3의 (b) 참조)에서 추출한다(S409). 다음으로, 방송중계 서버(400)는 추출한 다수의 방송수신 단말 식별정보가 포함된 방송시작 알림 메시지를 인트라넷(700)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한다(S411).
그러면, 각각의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은 자신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단말식별 정보가 방송시작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포함된 경우 방송중계 서버(400)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413). 다음으로, 방송중계 서버(400)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각각의 방송수신 단말(210-N, 220-N)과 방송 콘텐츠를 송출하기 위한 세션을 각각 설정하고, 더불어 방송호환 장치(600)와도 세션을 설정한다(S415). 다시 말하면, 방송호환 장치(600)와 지정된 그룹에 속하는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은 방송중계 서버(400)를 통해 서로 세션이 형성된다.
이렇게 방송호환 장치(600)와 방송수신 단말(210-N, 220-N) 사이에 세션이 형성된 상태에서, 리모트 앰프(5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호환 장치(600)로 전달한다(S417). 그러면, 방송호환 장치(600)는 상기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카메라(61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화시킨다(S419). 즉, 방송호환 장치(600)는 리모트 앰프(500)의 마이크(510)에서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와 카메라(61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시킨다. 다음으로, 방송호환 장치(600)는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가 동기화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중계 서버(400)로 전송하고, 방송중계 서버(400)는 상기 방송 콘텐츠를 S415 단계에서 세션 설정한 특정 그룹의 방송수신 단말(210-N, 220-N)로 전송한다(S421).
도 4의 방법과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리모트 앰프(500)를 그대로 사용하는 동시에 종래의 그룹지정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방송호환 장치(600)에 웹캠과 같은 비교적 저가의 카메라(610)를 구비시키고, 상기 카메라(610)의 영상 데이터와 리모트 앰프(500)의 마이크(510)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화시켜 멀티미디어 방송을 송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송제어 서버(300)는 관리자로부터 방송예약시각과 그룹 식별정보가 기록된 방송 시나리오 정보 및 방송 콘텐츠를 수신한다(S501). 바람직하게, 방송제어 서버(300)는 방송 시나리오를 입력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모니터에 출력하고,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방송 시나리오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한다. 다음으로, 방송제어 서버(300)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방송 시나리오와 방송 콘텐츠를 방송중계 서버(400)로 전송한다(S503).
그러면, 방송중계 서버(400)는 방송제어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고, 방송 시나리오 정보에 방송예약시각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5). 이어서, 방송중계 서버(400)는 방송 시나리오 정보에 방송 예약 시각이 포함된 경우,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방송예약 시간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7). 다음으로, 방송중계 서버(400)는 상기 방송예약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방송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그룹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다수의 방송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제2매핑테이블에서 추출한다(S509).
이어서, 방송중계 서버(400)는 추출한 다수의 단말 식별정보가 포함된 방송시작 알림 메시지를 인트라넷(700)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한다(S513). 그러면, 각각의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은 자신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단말식별 정보가 상기 방송시작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포함된 경우 방송중계 서버(400)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515). 다음으로, 방송중계 서버(400)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각각의 방송수신 단말(210-N, 220-N)과 방송 콘텐츠를 송출하기 위한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세션을 통하여 S505 단계에서 저장한 방송 콘텐츠를 지정된 그룹에 속하는 방송수신 단말(210-N, 220-N)로 송출한다(S517, S519).
도 5와 같은 방법을 통해, 관리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에 특정 그룹으로 방송 콘텐츠를 송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에서 전화기(810)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자는 이동통신단말, 일반공중 전화기, 인터넷 전화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방송제어 서버(300)의 전화번호로 호를 시도한다(S601). 그러면, 방송제어 서버(300)는 이에 응답하고 상기 전화기(810)와 음성 통화로 또는 영상 통화로를 설정한다(S603, S605). 다음으로, 방송제어 서버(300)는 전화기(810)를 통하여 접속한 관리자의 인증을 수행한다. 즉, 방송제어 서버(300)는 전화기(810)로 인증 비밀번호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상기 인증 비밀번호가 사전에 저장된 인증번호와 일치하면 설정된 통화로를 유지하고, 인증 비밀번호가 불일치하면 설정된 통화로를 해제시킨다.
방송제어 서버(300)는 상기 관리자의 인증에 성공하면, 전화기(810)로 그룹선택 정보를 요청하는 음성 안내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따른 그룹선택 숫자정보를 상기 전화기(810)로부터 수신한다(S607, S609). 예를 들어, 방송제어 서버(300)는 "방송하고자 하는 그룹에 대한 번호를 입력하시고, 별표를 입력하여 주십시오."와 같은 그룹선택 안내 메시지를 전화기(810)로 송출하고, 전화기(810)로부터 특정 그룹에 대한 그룹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전화기(810)에서 입력된 그룹 선택정보는 숫자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숫자정보는 리모트 앰프의 버튼 정보와 대응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기(810)를 통해 그룹 선택정보로서 '11'을 입력한 경우, 이 그룹 선택정보 '11'은 리모트 앰프(500)에 구비된 11번째 버튼을 클릭되는 것과 동일한 그룹이 지정된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전화기(810)에서 '11' 숫자를 입력함으로써 지정한 그룹과 리모트 앰프(500)를 이용하여 11번째 버튼을 클릭하여 지정한 그룹은 동일하다.
이어서, 방송제어 서버(300)는 그룹선택 숫자정보를 방송중계 서버(400)로 전송하여 방송 서비스의 개시를 요청한다(S611). 그러면, 방송중계 서버(400)는 상기 수신한 그룹선택 숫자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그룹 식별정보를 제1매핑테이블(도 3의 (a) 참조)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각 그룹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다수의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의 식별정보를 제2매핑테이블(도 3의 (b) 참조)에서 추출한다(S613, S615). 다음으로, 방송중계 서버(400)는 추출한 다수의 단말 식별정보가 포함된 방송시작 알림 메시지를 인트라넷(700)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한다(S617).
그러면, 각각의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은 방송시작 알림 메시지에 자신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단말식별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포함된 경우 방송중계 서버(400)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619). 다음으로, 방송중계 서버(400)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방송수신 단말(210-N, 220-N)들과 방송 콘텐츠를 송출하기 위한 세션을 각각 설정하고, 더불어 방송호환 장치(600)와도 세션을 설정한다(S621). 다시 말하면, 전화기(810)는 방송제어 서버(300)와 방송중계 서버(400)를 통하여 방송수신 단말(210-N, 220-N)과 연결된다.
다음으로, 전화기(81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S605 단계에서 설정된 통화로를 통해 방송제어 서버(300)로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S623). 그러면, 방송제어 서버(300)는 방송중계 서버(400)를 경유하여, S621 단계에서 세션 설정한 다수의 방송수신 단말(210-N, 220-N)로 상기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S625). 그러면,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은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에 출력하고,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러한 도 6의 절차를 통해, 관리자는 외부에 위치에 있더라고, 전화기(810)를 이용하여 방송제어 서버(300)에 접근하여, 특정 그룹에 속하는 방송수신 단말(210-N, 220-N)로 실시간으로 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에 위치한 교장 선생님이 1학년 학생 모두에게 특정 방송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방송제어 서버(300)와 통화로를 설정하고 숫자버튼 1번을 입력하여 1학년 그룹을 지정한 후, 전화상으로 자신의 목소리와 영상을 송출하여 1학년 학생들에게 방송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에서 외부의 범용컴퓨터(820)를 통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네트워크(800)에 연결된 범용컴퓨터(820)는 방송제어 서버(300)로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701). 이때, 외부의 범용컴퓨터(820)는 상기 방송제어 서버(300)의 IP 주소 또는 인터넷 주소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방송제어 서버(300)로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방송제어 서버(300)는 상기 범용컴퓨터(820)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여, 상기 범용컴퓨터(82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수신한다(S703, S705). 상기 인증정보는 아이디와 패스워드이거나 공인 인증서가 채택될 수 있다.
그러면, 방송제어 서버(300)는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외부의 범용컴퓨터(820)의 사용자가 정당한 접근 권한을 가진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여, 인증에 성공한 경우 인증 성공 메시지를 상기 외부의 범용컴퓨터(820)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외부의 범용컴퓨터(820)와 세션을 설정한다(S707, S709). 이어서, 방송제어 서버(300)는 방송그룹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즉, 웹 페이지)를 상기 외부의 범용컴퓨터(820)로 전송한다. 상기 인터페이스에는 그룹 식별정보와 해당 그룹을 설명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의 그룹선택 목록에는 그룹 선택정보로서 'first-grade'가 기록되고, 상기 'first-grade'와 바로 옆의 설명란에 '1학년 그룹'이라는 정보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외부 범용컴퓨터(82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송그룹 선택정보를 입력받으면 해당 그룹 식별정보를 방송제어 서버(300)로 전송하고, 방송제어 서버(300)는 상기 그룹 식별정보를 방송중계 서버(400)로 전송한다(S711, S713).
그러면, 방송중계 서버(400)는 수신한 그룹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다수의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의 식별정보를 제2매핑테이블(도 3의 (b) 참조)에서 추출한다(S715). 다음으로, 방송중계 서버(400)는 추출한 다수의 방송수신 단말 식별정보가 포함된 방송시작 알림 메시지를 인트라넷(700)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한다(S717). 이어서, 각각의 방송수신 단말(210-N, 220-N)은 방송시작 알림 메시지에 자신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단말식별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포함된 경우 방송중계 서버(400)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719). 다음으로, 방송중계 서버(400)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방송수신 단말(210-N, 220-N)과 방송 콘텐츠를 송출하기 위한 세션을 각각 설정하고, 더불어 방송호환 장치(600)와도 세션을 설정한다(S721). 이에 따라, 외부 범용컴퓨터(820)는 방송제어 서버(300)와 방송중계 서버(400)를 통하여 해당 그룹에 속하는 방송수신 단말(210-N, 220-N)과 세션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외부 범용컴퓨터(820)는 사용자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입력받고, 세션 설정된 방송제어 서버(300)와 방송중계 서버(400)를 경유하여 해당 그룹에 속하는 방송수신 단말(210-N, 220-N)로 상기 방송 콘텐츠를 송출한다(S723). 이때, 외부 범용컴퓨터(820)는 마이크(510) 또는 카메라(610)와 같은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방송 콘텐츠로서 방송수신 단말(210-N, 220-N)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외부 범용컴퓨터(820)는 내부에 저장된 특정 동영상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을 방송 콘텐츠로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송 주체자가 외부에 위치하더라도 원격으로 방송제어 서버(300)에 접속하여 방송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방송중계 서버(400)에 저장된 제1매핑테이블과 제2매핑테이블을 토대로 방송그룹을 지정하기 때문에, 관리자가 그룹을 재설정하기 원하는 경우,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없이 상기 제1,2매핑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만을 변경하면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비용과 노동력을 절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방송제어 서버(300)와 방송중계 서버(400)는 서로 독립되어 구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두 서버(300, 400)가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해 둔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210-N, 220-N : 방송수신 단말 300 : 방송제어 서버
400 : 방송중계 서버 500 : 리모트 앰프
510 : 마이크 600 : 방송호환 장치
610 : 카메라 810 : 전화기
820 : 범용 컴퓨터

Claims (5)

  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내 그룹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그룹지정 버튼을 구비하고 방송 주체자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리모트 앰프;
    상기 리모트 앰프와 연결되어 상기 방송 주체자의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아 디지털 형태의 방송 콘텐츠로 변환하고, 상기 리모트 앰프에서 입력된 버튼의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방송호환 수단; 및
    상기 방송호환 수단과 내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리모트 앰프의 버튼 식별정보와 그룹 식별정보가 매핑된 제1매핑테이블 및 상기 그룹 식별정보와 단말 식별정보가 매핑된 제2매핑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방송호환 수단으로부터 버튼 식별정보와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이 버튼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그룹 식별정보를 상기 제1매핑테이블에서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그룹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다수의 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제2매핑테이블에서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한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다수의 단말로 상기 방송 콘텐츠를 송출하는 방송중계 수단; 및
    통화 시도한 전화기와 통화로를 설정하고, 상기 전화기로부터 그룹선택을 위한 버튼입력 정보와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중계 수단으로 전달하는 방송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중계 수단은,
    상기 버튼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 식별정보를 상기 제1매핑테이블에서 추출한 후, 이 그룹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다수의 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제2매핑테이블에서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단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다수의 단말로 상기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방송 콘텐츠로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호환 수단은,
    카메라를 탑재하거나 외장형 카메라와 연결되고 이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리모트 앰프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화시켜 디지털 형태의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어 수단은, 방송 콘텐츠, 그룹 지정 정보 및 방송 예약시각 정보가 포함된 방송수행 시나리오를 상기 방송중계 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방송중계 수단은, 상기 방송수행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해당 방송 콘텐츠를 그룹 지정된 다수의 단말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어 수단은, 외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로부터 방송그룹 식별정보와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중계 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방송중계 수단은, 상기 방송제어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그룹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다수의 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제2매핑테이블에서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단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다수의 단말로 전달받은 방송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
KR1020100034951A 2010-04-15 2010-04-15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 KR101132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951A KR101132824B1 (ko) 2010-04-15 2010-04-15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951A KR101132824B1 (ko) 2010-04-15 2010-04-15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448A KR20110115448A (ko) 2011-10-21
KR101132824B1 true KR101132824B1 (ko) 2012-04-02

Family

ID=4503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951A KR101132824B1 (ko) 2010-04-15 2010-04-15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278B1 (ko) 2011-11-07 2020-01-15 애플 인크. 참조신호 전송 방법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채널 추정 방법 및 장치
KR102177131B1 (ko) * 2020-05-18 2020-11-11 아카데미정보통신(주)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540A (ko) * 2000-05-29 2001-12-12 구자홍 전화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0070942A (ko) * 2002-02-27 2003-09-03 정지원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학교 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17806A (ko) * 2003-08-09 2005-02-23 한국스프라이트 주식회사 통합 스피커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540A (ko) * 2000-05-29 2001-12-12 구자홍 전화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0070942A (ko) * 2002-02-27 2003-09-03 정지원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학교 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17806A (ko) * 2003-08-09 2005-02-23 한국스프라이트 주식회사 통합 스피커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448A (ko) 201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26917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EP2003819B1 (en) Network system, message processing method, service server, direct access management server, network home appliance, and computer program
JP3848725B2 (ja) 双方向通信システム
JPWO2004030328A1 (ja) テレビ電話通訳システムおよびテレビ電話通訳方法
WO2007150021A2 (en) Dynamic triggering of media signal capture
EP2216991A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server,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content distribution program
JP2009170953A (ja) コールセンタ装置
KR101132824B1 (ko)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
JP2000500956A (ja) 情報分配システム
CN101815020B (zh) 传输信息的方法、设备和系统
CN108024306A (zh) 一种tcp连接管理方法及网关设备
KR102510107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오피스 좌석점유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87629B1 (ko) 카메라 내장형 ip 스피커 및 이를 이용한 ip 네트워크 기반 방송시스템
WO2015034174A1 (ko) 발신측 제어 착신 벨소리 전환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EP3160107B1 (en) Intercom system, server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9600183B (zh) 一种广播管理平台
JP5737006B2 (ja) 代理アクセスを許可するサーバ,そのプログラム,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WO2022237353A1 (zh) 在耳机收纳盒中配置耳机的方法、装置、设备及程序产品
JP5861088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13038061B (zh) 虚拟会议控制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84478B1 (ko)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비상방송 제어기
KR102389905B1 (ko)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
KR102244150B1 (ko) 블록체인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온라인 노래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으로 노래하는 방법
US8023625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voice mail apparatus
KR101948284B1 (ko) 다이렉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