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056B1 -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056B1
KR101132056B1 KR1020090052847A KR20090052847A KR101132056B1 KR 101132056 B1 KR101132056 B1 KR 101132056B1 KR 1020090052847 A KR1020090052847 A KR 1020090052847A KR 20090052847 A KR20090052847 A KR 20090052847A KR 101132056 B1 KR101132056 B1 KR 101132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money
card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4300A (ko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2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05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국가 별로 상이하게 관리되는 전자화폐이력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동일 사용자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한 전자화폐에 대한 전자화폐이력을 국가 상관없이 통합적으로 정산/관리할 수 있는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은, 각 국가별 전자화폐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자화폐서버가 소정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의 변경 시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변경에 따른 정산정보를 제공하면, 각 사용자 별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소정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핑/관리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가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수신되 상기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정산정보에 따라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정산/관리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전자화폐, 국가, 정산, 이력

Description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OR INTERNATIONAL INTEGRATION ELECTRONIC MONEY}
본 발명은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국가 별로 상이하게 관리되는 전자화폐이력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동일 사용자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한 전자화폐에 대한 전자화폐이력을 국가 상관없이 통합적으로 정산/관리할 수 있는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 전자화폐서버 및 전자화폐서버의 정산/관리 요청 방법,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 및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의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화폐는 발행자에게 대가를 지불하고 발행자로부터 제공받는 일정한 화폐가치를 갖는 가상의 화폐로서, 비교적 위조나 변조 등의 위험성이 적고, 도난이나 분실했을 경우에도 안전하며, 소액 결제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화폐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전자화폐가 신용카드만큼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은, 발행자에 의한 관리의 차이점 때문에 전자화폐의 사용 호환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각 국가에서 발행되는 전자화폐카드는 해당 국가에 대응하는 자 신만의 고유한 고유번호를 갖는 전자화폐카드번호를 갖는다. 이에, 사용자가 A국가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자화폐카드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한편 동일한 사용자가 B국가에서 전자화폐를 이용하고 싶으면 B국가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자화폐 카드를 다시 구매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 현재의 전자화폐 서비스는, A국가에서 사용한 전자화폐에 대한 관리 및 B국가에서 사용한 전자화폐에 대한 관리 간에 상호 연계성을 전혀 부여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 입장에서는, 전자화폐 이용액수에 따라 제공되는 포인트 적립이나 무료주유권 증정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부가적인 서비스를 각 국가 별 전자화폐 이용액수에 적용되는 부가적인 서비스만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즉, 현재의 전자화폐 서비스는, 동일한 사용자가 여러 국가에서 전자화폐를 이용했다 하더라도, 자신이 여러 국가에서 이용한 전자화폐의 총 이용액수에 상당하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누리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각 국가별 전자화폐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자화폐서버가 소정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의 변경 시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변경에 따른 정산정보를 제공하면, 각 사용자 별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소정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핑/관리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가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수신되 상기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정산정보에 따라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정산/관리하는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을 제공하여, 동일 사용자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한 전자화폐에 대한 전자화폐이력을 국가 상관없이 통합적으로 정산/관리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해당 국가에서 사용되는 각 전자화폐카드 별로 해당 전자화폐카드에 보유된 전자화폐 잔액에 따른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저장하며, 외부로부터 소정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 시,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기 저장된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라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하고, 상기 전자화폐보유정보가 변경된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 증액 또는 차감에 따른 정산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전자화폐서버 및 전자화폐서버의 정산/관리 요청 방법을 제공하여, 동일 사용자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한 전자화폐에 대한 전자화폐이력을 국가 상관없이 통합적으로 정산/관리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각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저장하고 각 사용자 별로 부여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한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 정보테이블을 저장하며, 각기 상이한 국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를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토대로, 상기 검색된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따른 상기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정산/관리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 및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의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을 제공하여, 동일 사용자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한 전자화폐에 대한 전자화폐이력을 국가 상관없이 통합적으로 정산/관리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은 소정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의 변경 시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변경에 따른 정산정보를 제공하는 각 국가별 전자화폐서버; 및 각 사용자 별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소정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핑/관리하며,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정산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정산/관리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전자화폐서버는 해 당 국가에서 사용되는 각 전자화폐카드 별로 해당 전자화폐카드에 보유된 전자화폐 잔액에 따른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관리부; 외부로부터 소정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 시, 상기 저장/관리부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소정 상기 변경요청에 따라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하는 전자화폐충전/차감부; 및 상기 전자화폐충전/차감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 증액 또는 차감에 따른 정산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화폐충전/차감부는, 전자화폐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식별카드 형태의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는 충전신호 또는 차감신호를 상기 전자화폐카드로 제공하고, 상기 저장/관리부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화폐충전/차감부는, 선불 충전식 선불카드 형태의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관리부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의 전자화폐카드발급사로부터 충전 불가능한 형태의 고정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판매정보를 저장/관리하 는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제어부는, 상기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의 상기 판매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를 구매한 사용자정보 및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고정금액정보를 상기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는, 각 사용자 별로 부여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한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을 저장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저장부; 각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저장하는 전자화폐이력저장부; 및 각기 상이한 국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 및 상기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따른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를 토대로 정산/관리하는 관리서버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화폐이력저장부는, 각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이력과, 각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국가별 전자화폐이력을 통합한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서버제어부는,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따른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를 검색하고,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포함된 국가고유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에 따라 정산/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서버제어부는,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사용자정보 및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 중 상기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추가 등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서버제어부는,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따른 상기 고정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를 검색하고, 상기 고정카드식별정보에 포함된 국가고유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에 따라 정산/관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은 각 국가별 전자화폐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자화폐서버가 소정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의 변경 시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변경에 따른 정산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각 사용자 별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소정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핑/관리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가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정산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가 상기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상기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정산/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전자화폐서버의 정산/관리 요청 방법은 해당 국가에서 사용되는 각 전자화폐카드 별로 해당 전자화폐카드에 보유된 전자화폐 잔액에 따른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소정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 시,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기 저장된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라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전자화폐보유정보가 변경된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 증액 또는 차감에 따른 정산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전자화폐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식별카드 형태의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는 충전신호 또는 차감신호를 상기 전자화폐카드로 제공하는 단계와, 기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선불 충전식 선불카드 형태의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관리부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의 전자화폐카드발급사로부터 충전 불가능한 형태의 고정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판매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소정의 이벤트 발생 시, 기 저장된 상기 판매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를 구매한 사용자정보 및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고정금액정보를 상기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의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은 각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저장하는 단계; 각 사용자 별로 부여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한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 각기 상이한 국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토대로, 상기 검색된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따른 상기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정산/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저장하는 단계는, 각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이력과, 각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국가별 전자화폐이력을 통합한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정산/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토대로,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포함된 국가고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된 해당 사용자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에 따라 정산/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사용자정보 및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 중 상기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카드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추가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에 의하면, 각 국가의 전자화폐서버가 해당 국가에서의 전자화폐카드 사용에 따른 해당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의 변경 시 정산/관리요청신호를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에 제공함으로써, 각 사용자 별로 소지한 적어도 하나의 국가별 전자화폐카드를 각 사용자 별 해당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칭/관리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가 각 국가의 전자화폐서버로부터의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따 라 각 사용자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정산/관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에 의하면, 동일한 사용자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한 전자화폐에 대한 전자화폐이력을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가 국가 상관없이 통합적으로 정산/관리하므로, 동일한 사용자가 여러 국가에서 전자화폐를 이용했다 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여러 국가에서 이용한 전자화폐의 총 이용액수에 상당하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관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여러 국가에서 이용한 전자화폐의 총 이용액수에 상당하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정당하게 누릴 수 있는 효과를 유도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은, 각 국가 별 전자화폐카드(15,25...35)와, 소정 전자화폐카드(예 :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의 변경 시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변경에 따른 정산정보를 제공하는 각 국가별 전자화폐서버(100,200...300)와, 각 사용자 별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소정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해 당 사용자의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핑/관리하며, 전자화폐서버(예 : 전자화폐서버A(100))로부터 상기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정산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정산/관리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는 국가 별로 상이하게 마련된 해당 국가의 전자화폐서버(100,200...300) 및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 각각이 상호 간에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연동망으로서, 무선랜망, 유/무인터넷망, 휴대인터넷망(예 : 와이브로망), 로밍망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화폐카드(15,25...35)는, 각 국가의 전자화폐카드발급사에서 발급되는 해당 전자화폐(A,B...C)를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카드로서, 각 전자화폐카드(예 : 전자화폐카드A(15))는 발급된 해당 국가의 전자화폐(예 : 전자화폐A(10))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발급된 해당 국가에서의 사용만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자화폐카드(15,25...35)는, 이동단말과 같은 단말장치에 탑재되는 스마트카드의 형태로서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와 같은 사용자식별카드일 수 있으며, 선불 충전식의 선불카드일 수 있으며, 충전이 가능하지 않은 기프트카드 형태의 고정금액 전자화폐카드일 수 있다.
이러한 각 전자화폐카드(15,25...35)는, 자신을 나타내는 카드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카드식별정보는 자신의 해당 국가에 대응하는 고유한 국가고유정보로서 해당 국가의 국가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전자화폐카드번호인 것이 바람 직하다. 즉, 각 전자화폐카드(15,25...35)는, 자신이 해당하는 국가의 고유한 국가고유정보인 국가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자신만의 카드식별정보로서, 전자화폐카드번호를 저장한다.
각 국가별 전자화폐서버(100,200...300)는, 각 국가에 마련되어 해당 국가에서 관리되는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기능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전자화폐서버(100,200...300) 각각은, 각 국가에 마련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서버로서, 전자화폐카드(15,25...35) 중 해당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전자화폐카드(예 :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결제요청, 충전요청 등을 수신하여 이에 따라 해당 전자화폐카드(예 :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업데이트/변경할 수 있다.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각 사용자 별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소정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핑/관리한다. 이에,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의 전자화폐서버(예 : 전자화폐서버A(100))로부터 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정산/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각 국가별 전자화폐서버(100,200...300) 중 전자화폐서버A(100)를 대표적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전자화폐서버A(100)는, 해당 국 가(예 : A국가)에서 사용되는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저장부(110)와, 해당 국가(예 : A국가)에서 사용되는 각 전자화폐카드 별로 해당 전자화폐카드에 보유된 전자화폐 잔액에 따른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관리부(130)와, 외부로부터 소정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 시, 저장/관리부(130)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소정 상기 변경요청에 따라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하는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와,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에 의해 변경된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 증액 또는 차감에 따른 정산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시스템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사용자정보저장부(110)는, 충전이 가능한 형태의 사용자식별카드 또는 선불카드 형태의 각 전자화폐카드A(15)에 대응하여 등록된 사용자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전자화폐카드A(15)가 이동단말에 탑재되는 사용자식별카드인 경우라면, 이동통신망(예 : 이동통신사서버)으로부터 해당 이동단말의 가입자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정보저장부(110)에는 해당 이동단말의 가입자정보가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사용자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전자화폐카드A(15)가 선불카드인 경우라면, 전자화폐카드발급사(미도시)에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 발급 시 수령자(또는 구매자)로부터 등록받은 해당 사용자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정보저장부(110)에는 전자화폐카드발급사(미도시)로부터의 사용자정보가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사용자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저장/관리부(130)는, 해당 국가(예 : A국가)에서 사용되는 각 전자화폐카드 별로 해당 전자화폐카드에 보유된 전자화폐 잔액에 따른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저장한다. 즉, 저장/관리부(130)는, 충전이 가능한 형태의 사용자식별카드 또는 선불카드 형태의 각 전자화폐카드A(15)에 대응하여 보유된 전자화폐 잔액에 따른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저장하며, 더 나아가 각 전자화폐카드A(15)에 대응하여 전자화폐의 충전 및 결제(차감)내역을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는, 외부로부터 소정 전자화폐카드(예 :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 시, 저장/관리부(130)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요청에 따라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한다. 여기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은, 소정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충전, 결제에 따른 변경요청으로서, 예를 들면 해당 전자화폐카드A(15)가 상점에서 구매한 물품의 결제를 요청함에 따라 해당 상점의 결제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결제에 따른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일 수 있고,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사용자가 계좌이체 또는 신용카드와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충전금액을 지불한 후 충전을 충전처리단말(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충전에 따른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일 수 있다.
이러한 변경요청에는,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카드식별정보, 충전 또는 결제에 따른 금액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는, 외부로부터 전자화폐A(10)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식별카드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는 충전신호 또는 차 감신호를 전자화폐카드A(15)로 제공하고, 저장/관리부(130)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한다.
즉, 외부로부터 사용자식별카드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충전요청 또는 결제요청)이 수신되면,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는, 사용자정보저장부(110)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인증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처리는, 기존의 전자화폐 충전 또는 결제에 따른 충전요청 또는 차감요청 수신 시에 수행되는 일반적인 다양한 처리과정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정당한 변경요청임이 인증 처리되면,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는 변경요청의 금액정보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는 충전신호 또는 차감신호를 전자화폐카드A(15)로 제공하고, 저장/관리부(130)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요청의 금액정보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한다. 이때,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는, 충전신호 또는 차감신호를 전자화폐카드A(15)로 제공한 후 전자화폐카드A(15)로부터 충전완료신호 또는 차감완료신호가 회신되면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는, 선불 충전식 선불카드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이 수신되면, 저장/관리부(130)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 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한다.
즉, 외부로부터 선불 충전식 선불카드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충전요청 또는 결제요청)이 수신되면,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는, 사용자정보저장부(110)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인증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처리는, 기존의 전자화폐 충전 또는 결제에 따른 충전요청 또는 차감요청 수신 시에 수행되는 일반적인 다양한 처리과정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정당한 변경요청임이 인증 처리되면,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는 저장/관리부(130)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요청의 금액정보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한다. 이때,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는,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한 후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에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에 따른 결과정보를 제공하여 전자화폐카드A(15) 내의 저장된 전자화폐잔액정보를 갱신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시스템제어부(150)는,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에 의해 변경된 전자화폐카드A(15)의 카드식별정보 및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 증액 또는 차감에 따른 정산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로 제공한다.
즉, 시스템제어부(150)는, 외부로부터의 소정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충전요청 또는 결제요청)에 따라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가 저장/관리부(130)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증액 또는 차감)하는지 판단한다. 이에, 소정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 폐보유정보를 변경(증액 또는 차감)되면, 시스템제어부(150)는,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카드식별정보 및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에 의해 변경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증액 또는 차감에 따른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를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정산/관리요청신호에 포함되는 카드식별정보는, 전술하였듯이 전자화폐카드A(15)가 해당되는 국가의 고유한 국가고유정보인 국가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전자화폐카드번호일 것이며, 정산/관리요청신호에 포함되는 정산정보는,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에 의해 금번 변경된 전자화폐카드A(15)의 증액 또는 차감에 대응하는 변경정보일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화폐서버A(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이 가능한 사용자식별카드 또는 선불카드 형태의 전자화폐카드와 관련된 사용자정보 및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저장하는 것뿐 아니라, 외부의 전자화폐카드발급사(미도시)로부터 충전 불가능한 형태의 고정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판매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이 가능한 사용자식별카드 또는 선불카드 형태의 전자화폐카드가 아닌 충전이 불가능한 고정금액(예 : 5만원)에 대응하는 전자화폐가 저장된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판매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판매정보는 해당 전자화폐카드A(15)를 사용자에게 판매한 판매처(미도시)로부터 제공되거나 또는 판매처(미도시)가 해당 전자화폐카드A(15)를 발급한 전자화폐카드발급사(미도시)에 제 공함에 따라 전자화폐카드발급사(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는, 해당 전자화폐카드A(15)를 구매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 및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예 : 5만원)를 포함할 것이다.
이에, 시스템제어부(150)는,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에 저장된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소정의 이벤트 발생 시,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의 상기 판매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A(15)를 구매한 사용자정보 및 전자화폐카드A(15)의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로 제공한다.
여기서,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에 저장된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소정의 이벤트는,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에 새로운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가 저장될 때, 특정 시각에 도달하는 경우, 또는 소정의 주기적인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등 기 설정된 다양한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시스템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에 새롭게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 및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를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로 제공한다. 여기서, 고정카드식별정보는 충전이 불가능한 전자화폐카드A(15)가 해당되는 국가의 고유한 국가고유정보인 국가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전자화폐카드번호일 것이다.
그리고,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는, 충전이 불가능한 고정금액(예 : 5만원)에 대응하는 전자화폐가 저장된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이 수신되면, 변경요청 처리가 가능한 경우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차감시켜 변경한다.
즉, 외부로부터 고정금액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결제요청)이 수신되면,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는,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 예컨대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고정금액정보를 변경요청의 금액정보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차감시켜 변경할 수 있고, 전자화폐카드A(15) 내에 저장된 전자화폐잔액정보를 차감시킬 수 있다.
이에, 시스템제어부(150)는,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에 의해 변경된 고정금액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의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 차감에 따른 정산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로 제공할 것이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각 사용자 별로 부여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한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을 저장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저장부(420)와, 각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저장하는 전자화폐이 력저장부(410)와, 각기 상이한 국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서버(100,200...300)로부터 소정의 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 및 상기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따른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를 토대로 정산/관리하는 관리서버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즉,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각 사용자 별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부여함으로써,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저장부(420)는, 각 사용자의 가상통합식별정보 별로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한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을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은, 각 사용자 별로 부여된 가상통합식별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가상통합식별정보에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의 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한 형태의 테이블이다.
이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가 각 국가의 다양한 정보제공자(예 : 각 국가별 전자화폐서버(100,200...300), 또는 각 국가의 금융사(미도시) 등)로부터 전자화폐카드를 구매 또는 소지한 사용자의 사용자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카드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한다는 전제를 가져야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1이 A국가의 전자화폐카드A(15) 및 B국가의 전자화폐카드B(25)를 구매/소지함에 따라,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저장부(420)의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에는 해당 사용자1에 대응하여 부여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카드식별정보 및 전자화폐카드B(25)의 카드식별정보가 매칭되어 관리될 것이다.
전자화폐이력저장부(410)는, 각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저장하는 저장부이며, 여기서 전자화폐이력은, 전자화폐를 충전한 충전이력,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결제한 결제이력, 전자화폐를 타인에게 송금한 송금이력, 전자화폐를 차감한 차감이력, 전자화폐를 타인으로부터 송금받은 증액이력, 전자화폐를 구매한 구매이력 등 다양한 이력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전자화폐이력저장부(410)는, 각 사용자 별로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국가별 전자화폐이력은,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 별로 전자화폐가 사용된 이력으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1에 대응하여 A국가의 전자화폐이력 및 B국가의 전자화폐이력이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통합전자화폐이력은,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국가별 전자화폐이력을 국가 구분 없이 통합하여 관리하는 전체 전자화폐가 사용된 이력으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1에 대응하여 A국가의 전자화폐이력 및 B국가의 전자화폐이력을 구분없이 통합하여 저장하는 정보일 것이다.
관리서버제어부(430)는, 각기 상이한 국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서버(100,200...300)로부터 소정의 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이에,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관리서버제어부(430)는 가상통합식별 정보테이블저장부(420)의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해당 가상통합식별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이력저장부(410)의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정산정보를 토대로 정산/관리한다.
즉, 관리서버제어부(43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 국가(예 : A국가)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서버A(100)로부터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카드식별정보인 전자화폐카드번호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예 : 사용자1)의 전자화폐이력을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정산정보(A국가에서 사용된 전자화폐카드A(15)의 증액 또는 차감에 대응하는 변경정보)를 토대로 정산/관리한다.
이때, 관리서버제어부(430)는,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해당 가상통합식별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수신된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예 : 사용자1)를 검색하면,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카드식별정보에 포함된 국가고유정보 즉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전자화폐카드번호에 포함되는 국가코드번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예 : 사용자1)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구분하여 정산/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카드식별정보에 포함된 국가고유정보 즉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전자화폐카드번호에 포함되는 국가코드번호가 A국가를 나타내는 경우를 가정하면, 관리서버제어부(430)는, 검색된 해당 사용자(예 : 사용자1)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에서 A국가의 전자화폐이력을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정산정보(A국가에서 사용된 전자화폐카드A(15)의 증액 또는 차감에 대응하는 변경정보)에 따라 정산/관리하며, 또한 검색된 해당 사용자(예 : 사용자1)의 통합전자화폐이력에서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정산정보(A국가에서 사용된 전자화폐카드A(15)의 증액 또는 차감에 대응하는 변경정보)에 따라 정산/관리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제어부(430)는, 각기 상이한 국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서버(100,200...300)로부터 소정의 사용자정보 및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 중 상기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추가 등록할 수 있다.
즉, 해당 국가(예 : A국가)에서 충전이 불가능한 고정금액(예 : 5만원)에 대응하는 전자화폐A(10)가 저장된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가 사용자에게 판매됨에 따라, 해당 국가의 전자화폐서버A(100)로부터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관리서버제어부(430)는, 고정금액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 역시 해당 사용자(예 : 사용자1)에 대응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칭시켜 등록할 수 있다.
이에, 관리서버제어부(43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 국가(예 : A국가)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서버A(100)로부터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정산/관리요청신호의 고정카드식별정보인 전자화폐카드번호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예 : 사용자1)의 전자화폐이력을 전자화폐이력저장부(410)에서 검 색하여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정산정보(A국가에서 사용된 전자화폐카드A(15)의 차감에 대응하는 변경정보)를 토대로 정산/관리한다.
이때, 관리서버제어부(430)는, 정산/관리요청신호의 고정카드식별정보에 포함된 국가고유정보 즉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전자화폐카드번호에 포함되는 국가코드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에 따라 정산/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사용자정보(예 : 사용자2)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자화폐이력이 전자화폐이력저장부(410)에 존재하지 않으면, 관리서버제어부(430)는 금번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사용자정보(예 : 사용자2)를 이용하여 전자화폐이력저장부(410)에 사용자2 전자화폐이력을 생성하고 사용자2에 대응하여 가상통합식별정보를 할당/금번 고정카드등록요청의 고정카드식별정보를 매칭함으로써, 전자화폐서버A(100)로부터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토대로 정산/관리하기를 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를 포함하는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은, 각 국가의 전자화폐서버(100,200...300)가 해당 국가에서의 전자화폐카드 사용에 따른 해당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의 변경 시 정산/관리요청신호를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에 제공함으로써, 각 사용자 별로 소지한 국가별 전자화폐카드를 각 사용자 별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칭/관리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가 각 국가의 전자화폐서버(100,200...300)로부터의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따라 각 사용자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정산/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를 포함하는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은, 동일한 사용자1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한 전자화폐에 대한 전자화폐이력을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가 국가 상관없이 통합적으로 정산/관리하므로, 동일한 사용자1이 여러 국가에서 전자화폐를 이용했다 하더라도, 사용자1에게 여러 국가에서 이용한 전자화폐의 총 이용액수에 상당하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관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1이 여러 국가에서 이용한 전자화폐의 총 이용액수에 상당하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정당하게 누릴 수 있는 효과를 유도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의 제어 흐름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에 따르면, 각 국가에 마련된 전자화폐서버(100,200...300) 각각은, 전자화폐카드(15,25...35) 중 해당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전자화폐카드(예 :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결제요청, 충전요청 등을 수신하여 이에 따라 해당 전자화폐카드(예 :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업데이트/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전자화폐카드A(15)가 이동단말에 탑재되는 사용자식별카드 형태인 경우, 전자화폐카드A(15)가 해당 A국가의 전자화폐서버A(100)로 소정 충전금액에 대한 충전을 요청하면(S10), 전자화폐서버A(100)는 충전요청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여 정당한 경우 충전결제를 처리하고(S20), 이에 전자화폐서버A(100)는 충전신호를 전자화폐카드A(15)로 제공할 수 있다(S30). 이에 전자화폐카드A(15)는 내부에 저장된 전자화폐를 충전신호에 따라 증액한 후 충전완료신호를 전자화폐서버A(100)로 제공하면(S35), 전자화폐서버A(100)는 해당 충전금액 만큼 전자화폐카드A(15)에 대응하는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증액하여 변경할 것이다(S40).
물론, 전자화폐카드A(15)가 직접 전자화폐서버A(100)로 충전을 요청하지 않고, 전자화폐카드A(15)의 사용자가 계좌이체 또는 신용카드와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충전금액을 지불함에 따라 전자화폐카드A(15)의 충전을 별도의 충전처리단말(미도시)이 전자화폐서버A(100)로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충전을 요청하는 등 충전을 요청하는 방식은 다양할 것이다.
여기서,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충전 요청은 전자화폐서버A(100)의 입장에서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에 해당하므로, 전자화폐서버A(100)는 충전 요청에 따라 S40단계에서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한 후 변경된 전자화폐카드A(15)의 카드식별정보 및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 증액에 따른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를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로 제공한다(S50).
각 사용자 별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소정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핑/관리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S50단계로 인해 정산/관리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사용자 전자화폐이력을 검색하고(S60), 검색된 해당 사용자 전자화폐이력을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정산/관리할 수 있다(S65).
한편, B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전자화폐카드B(25)가 선불식 충전 형태의 선불카드인 경우를 설명하면, 전자화폐카드B(25)가 해당 B국가의 전자화폐서버B(200)로 구매한 물품에 대응하는 소정 금액의 결제를 요청하면(S70), 전자화폐서버B(200)는 금융사(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전자화폐카드B(25)의 결제를 처리하고(S75), 전자화폐카드B(2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결제요청의 금액정보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차감시켜 변경한다(S80). 이때, 전자화폐서버B(200)는, 전자화폐카드B(2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한 후 해당 전자화폐카드B(25)에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에 따른 결과정보를 제공하여 전자화폐카드B(25) 내의 저장된 전자화폐잔액정보를 갱신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물론, 전자화폐카드B(25)가 직접 전자화폐서버B(200)로 결제를 요청하지 않고, 전자화폐카드B(25)의 사용자가 상점에서 구매한 물품의 결제를 요청함에 따라 해당 상점의 결제단말장치(미도시)가 전자화폐서버B(200)로 전자화폐카드B(25)에 대한 결제을 요청하는 등 결제을 요청하는 방식은 다양할 것이다.
여기서, 전자화폐카드B(25)에 대한 결제 요청은 전자화폐서버B(200)의 입장에서 전자화폐카드B(2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에 해당하므로, 전자화폐서버B(200)는 충전 요청에 따라 S80단계에서 전자화폐카드B(2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한 후 변경된 전자화폐카드B(25)의 카드식별정보 및 전자화폐카드B(25)의 전자화폐보유정보 차감에 따른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를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로 제공한다(85).
이에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S85단계로 인해 정산/관리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사용자 전자화폐이력을 검색하고(S90), 검색된 해당 사용자 전자화폐이력을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정산/관리할 수 있다(S95).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서버(100,200...300)의 정산/관리 요청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화폐서버A(10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전자화폐서버A(100)는 해당 국가(예 : A국가)에서 사용되는 각 전자화폐카드 별로 해당 전자화폐카드에 보유된 전자화폐 잔액에 따른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저장한다(S100). 즉, 전자화폐서버A(100)의 저장/관리부(130)는, 충전이 가능한 형태의 사용자식별카드 또는 선불카드 형태의 각 전자화폐카드A(15)에 대응하여 보유된 전자화폐 잔액에 따른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저장하며, 더 나아가 각 전자화폐카드A(15)에 대응하여 전자화폐의 충전 및 결제(차감)내역을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자화폐서버A(100)는 외부로부터 소정 전자화폐카드(예 :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110). 이에,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 수신 시, 전자화폐서버A(100)는 저장/관리부(130)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요청에 따라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한다.
여기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은, 소정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충전, 결제에 따른 변경요청으로서, 예를 들면 해당 전자화폐카드A(15)가 상점에서 구매한 물품의 결제를 요청함에 따라 해당 상점의 결제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결제에 따른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일 수 있고,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사용자가 계좌이체 또는 신용카드와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충전금액을 지불한 후 충전을 충전처리단말(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충전에 따른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일 수 있다. 변경요청에는,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카드식별정보, 충전 또는 결제에 따른 금액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화폐서버A(100)는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 수신 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가 사용자식별카드 형태인지 또는 선불 충전식 선불카드 형태인지 판단한다(S120). 이러한 판단은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에 포함된 카드식별정보를 토대로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 요청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가 전자화폐 A(10)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식별카드 형태인 경우, 전자화폐서버A(100)는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는 충전신호 또는 차감신호를 전자화폐카드A(15)로 제공한다(S130) 그리고, 전자화폐서버A(100)는 저장/관리부(130)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한다(S140).
여기서, 전자화폐서버A(100)는 사용자식별카드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충전요청 또는 결제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인증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증처리는, 기존의 전자화폐 충전 또는 결제에 따른 충전요청 또는 차감요청 수신 시에 수행되는 일반적인 다양한 처리과정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자화폐서버A(100)는 충전신호 또는 차감신호를 전자화폐카드A(15)로 제공한 후 전자화폐카드A(15)로부터 충전완료신호 또는 차감완료신호가 회신되면 S140단계를 수행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S120단계에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 요청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가 선불 충전식 선불카드 형태인 경우, 전자화폐서버A(100)는 저장/관리부(130)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한다(S140).
여기서, 외부로부터 선불 충전식 선불카드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충전요청 또는 결제요청)이 수신되면, 전자화폐서버A(100)는 사용자정보저장부(110)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증처리는, 기존의 전자화폐 충전 또는 결제에 따른 충전요청 또는 차감요청 수신 시에 수행되는 일반적인 다양한 처리과정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자화폐서버A(100)는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한 후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에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에 따른 결과정보를 제공하여 전자화폐카드A(15) 내의 저장된 전자화폐잔액정보를 갱신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화폐서버A(100)는 금번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에 따라 변경된 전자화폐카드A(15)의 카드식별정보 및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 증액 또는 차감에 따른 정산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로 제공한다.
즉, 전자화폐서버A(100)는, 외부로부터의 소정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충전요청 또는 결제요청)에 따라 저장/관리부(130)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증액 또는 차감)하면,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카드식별정보 및 변경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증액 또는 차감에 따른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를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로 제공한다(S150).
여기서, 정산/관리요청신호에 포함되는 카드식별정보는, 전술하였듯이 전자화폐카드A(15)가 해당되는 국가의 고유한 국가고유정보인 국가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전자화폐카드번호일 것이며, 정산/관리요청신호에 포함되는 정산정보는, 전자화폐충전/차감부(140)에 의해 금번 변경된 전자화폐카드A(15)의 증액 또는 차감에 대응 하는 변경정보일 것이다.
이에, 각 국가에 마련된 전자화폐서버(100,200...300)는 자신의 국가에서 사용되는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 시 해당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정산/관리요청신호를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물론, 각 국가에 마련된 전자화폐서버(100,200...300)는 소정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 시마다 해당 정산/관리요청신호를 제공할 수 있지만, 소정 주기마다 누적된 정산/관리요청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고, 특정 시각에 누적된 정산/관리요청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자화폐서버A(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이 가능한 사용자식별카드 또는 선불카드 형태의 전자화폐카드와 관련된 사용자정보 및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저장하는 것뿐 아니라, 외부의 전자화폐카드발급사(미도시)로부터 충전 불가능한 형태의 고정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판매정보를 저장/관리할 수도 있다.
즉, 전자화폐서버A(100)는, S110단계에서 소정 전자화폐카드(예 :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이 수신되는 경우가 아니면, 외부의 전자화폐카드발급사(미도시)로부터 고정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가 제공되는지 판단한다(S160). 이에, 외부의 전자화폐카드발급사(미도시)로부터 고정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가 제공되면, 전자화폐서버A(100)는, 제공되는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를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에 저장/관리한다(S170).
이러한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판매정보는, 해당 전자화폐카드A(15)를 사용자에게 판매한 판매처(미도시)로부터 제공되거나 또는 판매처(미도시)가 해당 전자화폐카드A(15)를 발급한 전자화폐카드발급사(미도시)에 제공함으로써 전자화폐카드발급사(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는, 해당 전자화폐카드A(15)를 구매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 및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예 : 5만원)를 포함할 것이다.
이에, 전자화폐서버A(100)는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에 저장된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여(S180), 이벤트 발생 시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의 상기 판매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A(15)를 구매한 사용자정보 및 전자화폐카드A(15)의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를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로 제공한다(S190).
여기서,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에 저장된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소정의 이벤트는,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에 새로운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가 저장될 때, 특정 시각에 도달하는 경우, 또는 소정의 주기적인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등 기 설정된 다양한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전자화폐서버A(100)는 기 설정된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에 새롭게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 및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를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로 제공한다. 여기서, 고정카드식별정보는 충전이 불가능한 전자화폐카드A(15)가 해당되는 국가의 고유한 국가고유정보인 국가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전자화폐카드번호일 것이다.
이에, 시스템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에 새롭게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 및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를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로 제공한다. 여기서, 고정카드식별정보는 충전이 불가능한 전자화폐카드A(15)가 해당되는 국가의 고유한 국가고유정보인 국가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전자화폐카드번호일 것이다.
따라서, 전자화폐서버A(100)는 S120단계에서 충전이 불가능한 고정금액(예 : 5만원)에 대응하는 전자화폐가 저장된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이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변경요청 처리가 가능한 경우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차감시켜 변경한다.
즉, 외부로부터 고정금액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결제요청)이 수신되면, 전자화폐서버A(100)는 S130단계에서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는 차감신호를 전자화폐카드A(15)로 제공하여 전자화폐카드A(15) 내에 저장된 전자화폐잔액정보를 차감시키고, S140단계에서 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120)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 예 컨대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고정금액정보를 변경요청의 금액정보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차감시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S150단계에서는 전자화폐서버A(100)가 고정금액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의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전자화폐카드A(15)의 전자화폐보유정보 차감에 따른 정산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로 제공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의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각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전자화폐이력저장부(410)에 저장한다(S200). 각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은,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를 충전한 충전이력,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결제한 결제이력, 전자화폐를 타인에게 송금한 송금이력, 전자화폐를 차감한 차감이력, 전자화폐를 타인으로부터 송금받은 증액이력, 전자화폐를 구매한 구매이력 등 다양한 이력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각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은 각 사용자 별로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국가별 전자화폐이력은,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 별로 전자화폐가 사용된 이력으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1에 대응하여 A국가의 전자화폐이력 및 B국가의 전자화폐이력이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고, 통합전자화폐이력은,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국가별 전자화폐이력을 국가 구분 없이 통합하여 관리하는 전체 전자화폐가 사용된 이력으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1에 대응하여 A국가의 전자화폐이력 및 B국가의 전자 화폐이력을 구분 없이 통합하여 저장하는 정보일 것이다.
그리고,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각 사용자 별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부여하고, 각 사용자의 가상통합식별정보 별로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한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을 저장한다(S210).
여기서,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은, 각 사용자 별로 부여된 가상통합식별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가상통합식별정보에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의 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한 형태의 테이블이다.
이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가 각 국가의 다양한 정보제공자(예 : 각 국가별 전자화폐서버(100,200...300), 또는 각 국가의 금융사(미도시) 등)로부터 전자화폐카드를 구매 또는 소지한 사용자의 사용자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카드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한다는 전제를 가져야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1이 A국가의 전자화폐카드A(15) 및 B국가의 전자화폐카드B(25)를 구매/소지함에 따라,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저장부(420)의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에는 해당 사용자1에 대응하여 부여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해당 전자화폐카드A(15)의 카드식별정보 및 전자화폐카드B(25)의 카드식별정보가 매칭되어 관리될 것이다.
이에,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각기 상이한 국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서버(100,200...300)로부터 소정의 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220).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해당 가상통합식별정보를 검색하여 대응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S230),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에서 검색된 가상통합식별정보의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검색한다(S240). 즉,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소정 국가(예 : A국가)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서버A(100)로부터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카드식별정보인 전자화폐카드번호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예 : 사용자1)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예 : 사용자1)에 해당하는 사용자 전자화폐이력을 검색한다.
이에,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검색된 사용자 전자화폐이력을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정산정보를 토대로 정산/관리한다.
이때,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S230단계에서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해당 가상통합식별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수신된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예 : 사용자1)를 검색하고, S240단계에서 해당 사용자(예 : 사용자1)의 사용자 전자화폐이력을 검색하면,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카드식별정보에 포함된 국가고유정보 즉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전자화폐카드번호에 포함되는 국가코드번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예 : 사용자1)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구분하여 정산/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50). 이에,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카드식별정보에 포함된 국가고유정보 즉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전자화폐카드번호에 포함되는 국가코드번호 가 A국가를 나타내는 경우를 가정하면,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검색된 해당 사용자(예 : 사용자1)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에서 A국가의 전자화폐이력을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정산정보(A국가에서 사용된 전자화폐카드A(15)의 증액 또는 차감에 대응하는 변경정보)에 따라 정산/관리하며, 또한 검색된 해당 사용자(예 : 사용자1)의 통합전자화폐이력에서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정산정보(A국가에서 사용된 전자화폐카드A(15)의 증액 또는 차감에 대응하는 변경정보)에 따라 정산/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각기 상이한 국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서버(100,200...300)로부터 소정의 사용자정보 및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220).
이에,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 중 상기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를 검색하여(S270), 검색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고정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추가 등록할 수 있다(S280).
즉, 해당 국가(예 : A국가)에서 충전이 불가능한 고정금액(예 : 5만원)에 대응하는 전자화폐A(10)가 저장된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가 사용자에게 판매됨에 따라, 해당 국가의 전자화폐서버A(100)로부터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고정금액 형태의 전자화폐카드A(15) 역시 해당 사용 자(예 : 사용자1)에 대응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칭시켜 등록할 수 있다.
이에,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S220단계의 판단 결과 소정 국가(예 : A국가)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서버A(100)로부터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S230단계에서 정산/관리요청신호의 고정카드식별정보인 전자화폐카드번호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검색하고, S240단계에서는 검색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예 : 사용자1)의 전자화폐이력을 전자화폐이력저장부(410)에서 검색하고, S250단계에서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정산정보(A국가에서 사용된 전자화폐카드A(15)의 차감에 대응하는 변경정보)를 토대로 정산/관리할 것이다.
이때, S250단계에서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정산/관리요청신호의 고정카드식별정보에 포함된 국가고유정보 즉 정산/관리요청신호의 전자화폐카드번호에 포함되는 국가코드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에 따라 정산/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사용자정보(예 : 사용자2)에 대응하는 사용자 전자화폐이력이 전자화폐이력저장부(410)에 존재하지 않으면,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는 금번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사용자정보(예 : 사용자2)를 이용하여 전자화폐이력저장부(410)에 사용자2 전자화폐이력을 생성하고 사용자2에 대응하여 가상통합식별정보를 할당/금번 고정카드등록요청의 고정카드식별정보를 매칭함으로써, 전자화폐서버A(100)로부터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토대로 정산/관리하기를 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를 포함하는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은, 각 국가의 전자화폐서버(100,200...300)가 해당 국가에서의 전자화폐카드 사용에 따른 해당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의 변경 시 정산/관리요청신호를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에 제공함으로써, 각 사용자 별로 소지한 국가별 전자화폐카드를 각 사용자 별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칭/관리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가 각 국가의 전자화폐서버(100,200...300)로부터의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따라 각 사용자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정산/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은, 동일한 사용자1이 여러 국가에서 사용한 전자화폐에 대한 전자화폐이력을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400)가 국가 상관없이 통합적으로 정산/관리하므로, 동일한 사용자1이 여러 국가에서 전자화폐를 이용했다 하더라도, 사용자1에게 여러 국가에서 이용한 전자화폐의 총 이용액수에 상당하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관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1이 여러 국가에서 이용한 전자화폐의 총 이용액수에 상당하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정당하게 누릴 수 있는 효과를 유도할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 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각 사용자 별로 소지한 적어도 하나의 국가별 전자화폐카드를 각 사용자 별 해당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칭/관리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가 각 국가의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각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정산/관리함으로써, 동일한 사용자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한 전자화폐에 대한 전자화폐이력을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가 국가 상관없이 통합적으로 정산/관리할 있는 본 발명의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적용할 경우, 전자화폐의 국제적 연동 및 전자화폐 서비스 개선, 전자화폐 사용 유도, 사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각 국가의 전자화폐서버 및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서버의 정산/관리 요청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의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네트워크 10 : 사용자단말
500 : 전자화폐서비스센터
100 : 정산/관리서버 200 : 통신사서버
300 : 전자화폐서버 400 : 서비스제공서버

Claims (19)

  1. 소정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의 변경 시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변경에 따른 정산정보를 제공하는 각 국가별 전자화폐서버; 및
    각 사용자 별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소정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핑/관리하며,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정산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정산/관리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사용자정보 및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 중 상기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추가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2. 전자화폐서버로서,
    해당 국가에서 사용되는 각 전자화폐카드 별로 해당 전자화폐카드에 보유된 전자화폐 잔액에 따른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관리부;
    외부로부터 소정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 시, 상기 저장/관리부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소정 상기 변경요청에 따라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하는 전자화폐충전/차감부; 및
    상기 전자화폐충전/차감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 증액 또는 차감에 따른 정산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사용자정보 및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 중 상기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추가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충전/차감부는,
    전자화폐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식별카드 형태의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는 충전신호 또는 차감신호를 상기 전자화폐카드로 제공하고, 상기 저장/관리부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충전/차감부는,
    선불 충전식 선불카드 형태의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관리부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버.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화폐카드발급사로부터 충전 불가능한 형태의 고정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판매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제어부는,
    상기 고정금액전자화폐카드관리부의 상기 판매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를 구매한 사용자정보 및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상기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버.
  6. 각 사용자 별로 부여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한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을 저장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저장부;
    각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저장하는 전자화폐이력저장부; 및
    각기 상이한 국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 및 상기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따른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를 토대로 정산/관리하는 관리서버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제어부는,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사용자정보 및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 중 상기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추가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이력저장부는,
    각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이력과, 각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국가별 전자화폐이력을 통합한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제어부는,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따른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를 검색하고,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포함된 국가고유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에 따라 정산/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제어부는,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따른 상기 고정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를 검색하고, 상기 고정카드식별정보에 포함된 국가고유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에 따라 정산/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
  11. 각 국가별 전자화폐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자화폐서버가 소정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의 변경 시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변경에 따른 정산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각 사용자 별로 가상통합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소정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매핑/관리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가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상기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정산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가 상기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상기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정산/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사용자정보 및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 중 상기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카드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추가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
  12. 전자화폐서버의 정산/관리 요청 방법으로서,
    해당 국가에서 사용되는 각 전자화폐카드 별로 해당 전자화폐카드에 보유된 전자화폐 잔액에 따른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소정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 시,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기 저장된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라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전자화폐보유정보가 변경된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 증액 또는 차감에 따른 정산정보를 외부의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사용자정보 및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 중 상기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카드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추가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버의 정산/관리 요청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전자화폐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식별카드 형태의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는 충전신호 또는 차감신호를 상기 전자화폐카드로 제공하는 단계와,
    기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버의 정산/관리 요청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보유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선불 충전식 선불카드 형태의 상기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전자화폐보유정보 변경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화폐서버에 저장된 해당 전자화폐카드의 전자화폐보유정보를 상기 변경요청에 따른 소정 금액에 대응하여 증액 또는 차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버의 정산/관리 요청 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화폐카드발급사로부터 충전 불가능한 형태의 고정금액에 대응하는 전자화폐카드 판매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판매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소정의 이벤트 발생 시 기 저장된 상기 판매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화폐카드를 구매한 사용자정보 및 상기 전자화폐카드의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상기 고정금액정보를 상기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서버의 정산/관리 요청 방법.
  16. 각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저장하는 단계;
    각 사용자 별로 부여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카드에 대한 카드식별정보를 매핑한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
    각기 상이한 국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카드식별정보 및 정산정보를 포함하는 정산/관리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토대로, 상기 검색된 해당 사용자의 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관리요청신호에 따른 상기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정산/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화폐서버로부터 소정의 사용자정보 및 고정카드식별정보 및 고정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별 가상통합식별정보테이블 중 상기 고정카드등록요청신호의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통합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카드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추가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의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저장하는 단계는,
    각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각 국가별 전자화폐이력과, 각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국가별 전자화폐이력을 통합한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의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정보에 기초하여 정산/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별 전자화폐이력을 토대로, 상기 카드식별정보에 포함된 국가고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된 해당 사용자의 국가별 전자화폐이력 및 통합전자화폐이력을 상기 정산정보에 따라 정산/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통합관리서버의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
  19. 삭제
KR1020090052847A 2009-06-15 2009-06-15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 KR101132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47A KR101132056B1 (ko) 2009-06-15 2009-06-15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47A KR101132056B1 (ko) 2009-06-15 2009-06-15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300A KR20100134300A (ko) 2010-12-23
KR101132056B1 true KR101132056B1 (ko) 2012-04-02

Family

ID=4350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847A KR101132056B1 (ko) 2009-06-15 2009-06-15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0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9281A1 (ko) * 2013-05-22 2014-11-27 주식회사 제로원시스템 데이터로 관리되는 무형화폐인 비트머니의 생성 방법과 제공서비스 시스템
KR20190084620A (ko) *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골든블로코 이중 코인을 이용한 금융 거래 처리 시스템
KR20210079910A (ko) 2019-12-20 2021-06-30 유동수 금 코드화를 이용한 금 거래 운용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990A (ko) * 2017-03-14 2018-09-27 주식회사 하나은행 가상 화폐를 이용한 통합 관리 시스템, 국내 관리 시스템 및 통합 관리 방법
KR101978812B1 (ko) * 2017-08-09 2019-05-15 주식회사 센스톤 가상카드번호 기반의 금융거래제공시스템, 가상카드번호생성장치, 가상카드번호검증장치, 가상카드번호 기반의 금융거래제공방법 및 가상카드번호 기반의 금융거래제공프로그램
WO2019031644A1 (ko) * 2017-08-09 2019-02-14 주식회사 센스톤 가상카드번호 기반의 금융거래제공시스템, 가상카드번호생성장치, 가상카드번호검증장치, 가상카드번호 기반의 금융거래제공방법 및 가상카드번호 기반의 금융거래제공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561A (ko) * 2000-12-15 2002-06-21 이승목 인터넷상에서 금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화폐의 유통방법 및그 전자화폐의 형성구조
KR20030020189A (ko) * 2001-09-03 2003-03-08 윤학범 통합 전자화폐 시스템
KR20060099957A (ko) * 2005-03-15 2006-09-20 미래시티닷컴(주) 국제 전자 화폐 시스템
KR20090012041A (ko) * 2007-07-26 2009-02-02 이형운 포인트 거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561A (ko) * 2000-12-15 2002-06-21 이승목 인터넷상에서 금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화폐의 유통방법 및그 전자화폐의 형성구조
KR20030020189A (ko) * 2001-09-03 2003-03-08 윤학범 통합 전자화폐 시스템
KR20060099957A (ko) * 2005-03-15 2006-09-20 미래시티닷컴(주) 국제 전자 화폐 시스템
KR20090012041A (ko) * 2007-07-26 2009-02-02 이형운 포인트 거래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9281A1 (ko) * 2013-05-22 2014-11-27 주식회사 제로원시스템 데이터로 관리되는 무형화폐인 비트머니의 생성 방법과 제공서비스 시스템
KR101534146B1 (ko) * 2013-05-22 2015-07-14 박복태 데이터로 관리되는 무형화폐인 비트머니의 생성 방법과 제공서비스 시스템
KR20190084620A (ko) *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골든블로코 이중 코인을 이용한 금융 거래 처리 시스템
KR102031716B1 (ko) * 2018-01-09 2019-10-14 주식회사 골든블로코 이중 코인을 이용한 금융 거래 처리 시스템
KR20210079910A (ko) 2019-12-20 2021-06-30 유동수 금 코드화를 이용한 금 거래 운용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300A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056B1 (ko) 통합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국가 통합 전자화폐 관리 방법
EP1396805A1 (en) Electronic money system
US20110125633A1 (en) Transaction processing
KR101426520B1 (ko) 외국인 부가세 환급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1200A (ko) 휴대 단말기 번호를 가상 계좌로 이용한 결제 방법 및시스템
JP4326165B2 (ja) Icカード及び電子マネー入金システム
CN109155033B (zh) 手机预付卡服务系统、及其克隆卡存储装置及服务方法
KR101258831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709438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20030000447A (ko) 결제 정보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버추얼카드 발급 방법
JP7274651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36775B1 (ko) 자녀의 소비 관리를 위한 선불 충전 결제 방법 및 시스템
JP6971533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KR101851325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572860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JP5018057B2 (ja) 販売システム
KR101986219B1 (ko) 포인트 관리 방법
JP2006228105A (ja) アミューズメント施設運営システム
KR20090120129A (ko) 가상지갑의 충전 및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36290A (ko) 인터넷판매 방법 및 시스템
CA2507064A1 (en) Free-call certificate service system
KR101502799B1 (ko) 선불 모바일 카드의 후불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13360B1 (ko) 전자결제수단을 이용한 현금 활용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25377A (ko) 전자화폐기능의 스마트카드가 내장된 이동통신단말을이용한 결제 시스템
KR101005308B1 (ko) 전자지불수단을 이용한 전자지불금액 이전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