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982B1 -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 - Google Patents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982B1
KR101131982B1 KR1020100012614A KR20100012614A KR101131982B1 KR 101131982 B1 KR101131982 B1 KR 101131982B1 KR 1020100012614 A KR1020100012614 A KR 1020100012614A KR 20100012614 A KR20100012614 A KR 20100012614A KR 101131982 B1 KR101131982 B1 KR 101131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rotection plate
wire protection
pla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911A (ko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9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65H75/141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50Storage means for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51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5H2701/512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oulded
    • B65H2701/5122Plastic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E, PP 등의 폴리머 합성수지 폐기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선보호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에 권취되는 전선을 보호하고 다수 회 재사용이 가능한 전선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고 평면형으로 제조되며, 전선이 권취되는 드럼 원통체(5)의 좌?우 원형판(1,3)에 고정되는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100)에 있어서, 상기 전선보호판(100)의 전면(110)은, 상기 좌?우 원형판(1,3)의 단부에 체결수단으로 상기 전선보호판(10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면(110)의 양측 단부근처에 다수 개로 형성되는 체결홈(111);과, 상기 양측 체결홈(111) 내측으로 전선보호판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어 수용홈(112);과, 상기 양측 와이어 수용홈(112)의 내측으로 다수 개가 정렬되어 소정형상 및 소정크기로 형성되는 보강홈(1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선보호판(100)의 배면(120)은, 상기 양측 와이어 수용홈(112)의 길이방향 내측에 인접한 모서리측 보강홈(113)에 대응되는 배면 위치에 상기 모서리측 보강홈(113)에 안착 고정되는 형상을 가진 고정돌기부(121);와, 상기 배면(120)의 양측 단부에 상기 좌?우 원형판(1,3)으로부터 해체시 납작한 레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레버 삽입홈(1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을 제공한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함으로써 환경보호에 적합하고, 사출성형방법으로 이루어지던 종래의 전선보호판을 압출성형방법으로 제조가능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내에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점을 가지며, 종래의 다수 회에 비하여 훨씬 더 많은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다량의 전선보호판의 적층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The recycled synthetic resin cable protecting plate}
본 발명은 합성수지(PE, PP, 플라스틱류 등) 폐기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선보호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에 권취되는 전선을 보호하고 다수 회 재사용이 가능한 전선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드럼에 권취되는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목재를 사용하여 왔다. 목재를 사용하는 경우 드럼에 권취된 전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목재를 제거하고 전선을 사용했으며, 사용된 전선보호판용 목재는 못을 제거한 후에 재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선을 사용하기 위해 목재로 된 전선보호판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는데, 목재로 된 전선보호판은 못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파손되어 재사용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출원인은 실용신안 20-2006-0013042호에서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한 전선보호판에 대하여 제안한바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보호판(100)은 드럼의 좌?우측 원형판(1,3)의 가장자리 외측단부 사이의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럼의 좌?우측 원형판(1,3)의 가장자리 내측단부에 각각 위치고정되도록 하부를 향해서 돌출형성된 위치설정용 한 쌍의 지지플랜지(10)와, 상기 드럼의 좌?우측 원형판(1,3)의 둘레면과 당접되도록 라운드되게 형성된 하부면(13)과, 상기 하부면(13)과 평행하게 라운드된 상부면(15)과, 체결부재(17)에 의해 상기 드럼의 좌?우측 원형판(1,3)의 둘레면 상에 체결되도록 상기 상부면(15) 및 상기 하부면(13)의 양측 단부근처에 각각 형성된 체결부재 삽입용 관통구멍(19)과, 하중을 줄이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플랜지(10)로부터 중심에 일정폭(W)의 보강돌기(21)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병렬을 이루면서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 개의 길다란 오목홈(23)과, 상기 드럼의 원통체(5) 외주면에 권취된 케이블(25)의 하중에 의해 상기 드럼의 좌?우측 원형판(1,3)의 둘레면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체결용 와이어(27)를 수용하도록 상기 관통구멍(19)과 상기 지지플랜지(10) 사이의 상기 상부면(15)에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면서 서로 평행하게 일정 거리를 두고 각각 형성된 U자 형상의 오목홈(29)과, 상기 드럼의 좌?우측 원형판(1,3)의 둘레면으로부터 해체시에 납작한 레버가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면(13)의 양측 단부에 일정한 폭과 깊이로 각각 형성된 레버 삽입용 오목홈(3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기술의 문제점은 사출성형으로만 제작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즉, 상?하부면을 라운드되게 형성한 점과, 지지플랜지(10) 및 보강돌기(2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압출성형으로 불가능하여 사출성형을 통해서만 제조되어 왔다. 따라서 전선보호판(100)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아 불안정하다는 문제점과 더불어 사출성형에 따른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고객이 원하는 일정시간 내에 다량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어렵다는 생산성 저하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상기 사출성형된 전선보호판(100)을 다량으로 적재하여 보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즉, 다량의 전선보호판을 서로 적층하는 경우 쉽게 쓰러져 적층식으로 보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제기 되었다.
또한, 상기 사출성형된 전선보호판(100)의 체결수단 관통공(19)이 하나로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 회 사용하게 되면 관통공이 헐거워지거나, 하나의 관통공만으로는 좌?우측 원형판(1,3)에 고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함으로써 환경보호에 적합한 전선보호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성형으로 이루어지던 종래의 전선보호판을 압출성형으로 제조가능한 전선보호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다수 회에 비하여 훨씬 더 많은 재사용이 가능한 전선보호판을 제공함으로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량의 전선보호판을 서로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전선보호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고 평면형으로 제조되며, 전선이 권취되는 드럼 원통체(5)의 좌?우 원형판(1,3)에 고정되는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100)에 있어서, 상기 전선보호판(100)의 전면(110)은, 상기 좌?우 원형판(1,3)의 단부에 체결수단으로 상기 전선보호판(10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면(110)의 양측 단부 근처에 다수 개로 형성되는 체결홈(111);과, 상기 양측 체결홈(111) 내측으로 전선보호판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어 수용홈(112);과, 상기 양측 와이어 수용홈(112)의 내측으로 다수 개가 정렬되어 소정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홈(113);과, 상기 전면(1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사용횟수의 표시를 위해 다수로 형성되는 사용표시 홈(116);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선보호판(100)의 배면(120)은, 상기 양측 와이어 수용홈(112)에 길이방향 내측에 인접한 모서리측 보강홈(113)에 대응되는 배면 위치에 상기 모서리측 보강홈(113)에 안착 고정되는 형상을 가진 고정돌기부(121);와, 상기 배면(120)의 양측 단부에 상기 좌?우 원형판(1,3)으로부터 해체시 납작한 레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레버 삽입홈(123);과, 상기 배면(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1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양측 와이어 수용홈(112)에 길이방향 내측에 인접한 모서리측 보강홈(113)과 상기 모서리측 보강홈(113)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돌기부(121)에는 상기 보강홈(113)과 상기 고정돌기부(121)를 관통하는 관통홀(1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양측 와이어 수용홈(112)에 길이방향 내측에 인접한 모서리측 보강홈(113)과 상기 모서리측 보강홈(113)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돌기부(121)에는 상기 보강홈(113)과 상기 고정돌기부(121)를 관통하는 관통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4)은 전선보호판을 적층하여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양측 와이어 수용홈(112)의 길이방향 내측에 인접한 모서리측 보강홈(113)과 상기 모서리측 보강홈(113)에는 상부에 적층되는 전선보호판의 고정돌기부(121)가 삽입된다. 적층시 고정돌기부(121)가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적층하기가 유리해진다. 또한, 다수 개로 적층된 전선보호판을 관통홀(114)을 이용하여 상하로 끈을 묶어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전선보호판의 배면(120)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12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 홈(122)은 압출작업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선보호판이 평면형으로 제조됨에 따라 전선보호판을 못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좌?우 원형판(1,3)에 고정시키는 경우 용이하게 라운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체결수단으로 원형판에 고정시키는 경우 원형판의 곡률면에 맞춰 용이하게 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전선보호판(100)이 상기 좌?우 원형판(1,3)에 안착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돌기부(121)의 외측 단부가 상기 좌?우 원형판(1,3)의 가장자리 내측 단부에 밀착되어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고정돌기부(121)가 좌?우 원형판(1,3)에 밀착되도록 위치를 정하여 놓음으로써, 전선보호판이 원형판(1,3)의 내측 단부에 밀착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전선보호판(100) 전면의 길이방향 양 측면 단부에는 사용횟수의 표시를 위한 다수의 사용표시 홈(11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사용표시 홈(116)은 체결수단인 못 등을 이용하여 체결홈에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표시 홈의 측면부에 페인트 등으로 사용한 횟수만큼 표시하여 두면, 재사용하는 작업자는 사용횟수를 빨리 파악할 수 있게 되어 계속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함으로써 환경보호에 적합하고, 사출성형방법으로 이루어지던 종래의 전선보호판을 압출성형방법으로 제조가능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내에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점을 가지며, 종래의 다수 회에 비하여 훨씬 더 많은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다량의 전선보호판의 적층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전선보호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선보호판을 좌?우 원형판에 체결수단으로 고정한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좌?우 원형판의 일측면에서 본 전선보호판이 원형판에 고정된 상태의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판의 실시예에 대한 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판의 실시예에 대한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판의 실시예인 원형판에 고정된 상태의 절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판의 실시예를 와이어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판의 실시예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기술적 특징이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종래의 전선보호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전선보호판을 좌?우 원형판에 체결수단으로 고정한 상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좌?우 원형판의 일측면에서 본 전선보호판이 원형판에 고정된 상태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판의 실시예에 대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판의 실시예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판의 실시예인 원형판에 고정된 상태의 절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판의 실시예를 와이어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판의 실시예를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출원인이 종래에 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실용신안의 도면에 기재된 일부의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즉, 좌?우 원형판(1,3)과 전선보호판(100), 드럼 원통체(5) 및 전선(25)이 그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선보호판(100)은 좌?우 원형판(1,3)의 원주에 맞추어 라운드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실예인 전선보호판(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선보호판(100)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고 압출성형이 가능하도록 평면형 평판으로 제조된다. 상기 전선보호판(100)은, 전선(25)이 권취되는 드럼 원통체(5)와 소정길이의 원통체(5) 좌우에 설치되어 권취된 전선을 측면에서 보호하는 좌?우 원형판(1,3)의 단부에 고정된다. 즉, 전선보호판(100)의 양측 단부가 좌측 및 우측 원형판(1,3)에 체결수단(115)을 이용하여 좌?우 원형판(1,3)의 단부에 고정된다. 전선보호판(100)은 외측 표면인 전면(110)과 내측 표면인 배면(120)으로 구성된다.
전선보호판(100)의 전면(110)은, 전선보호판을 좌?우 원형판(1,3)의 단부에 체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전면(110)의 양측 단부 근처에 다수 개로 형성되는 체결홈(111)과, 상기 양측 체결홈(111) 내측으로 전선보호판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124)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어 수용홈(112)과, 상기 양측 와이어 수용홈(112)의 내측으로 다수 개가 정렬되어 소정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홈(113)으로 구성된다. 전선보호판(100)의 양측 체결홈(111)은 체결수단(115)보다 넓게 형성되어 같은 위치에 두 번 이상 체결수단인 못이나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보강홈(113)은 사각형이나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강홈(113)을 일정하게 다수 개로 배열함으로써 전선보호판(100)의 질량 관성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전선보호판의 강도가 더 강해질 수 있다. 또한, 전면(110)의 길이방향 양측면 단부에는 사용횟수의 표시를 위한 사용표시 홈(11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사용표시 홈(116)은 못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사용한 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1회 사용하는 경우 첫 번째 사용표시 홈의 측면에 페인트로 색을 칠하여 사용횟수를 표시하면 된다. 따라서, 일정한 횟수 이상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자가 전선보호판(100)을 몇 회를 사용하였는지 곧 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전선보호판(100)의 배면(120)은, 양측 와이어 수용홈(112)에 길이방향 내측에 인접한 모서리측 보강홈(113)에 대응되는 배면 위치에 상기 모서리측 보강홈(113)에 안착 고정되는 형상을 가진 다수의 고정돌기부(121)와, 상기 고정돌기부(121) 사이 전선보호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122)과, 상기 가이드 홈(122)의 양측 단부에 상기 좌?우 원형판(1,3)으로부터 해체시 납작한 레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레버 삽입홈(123)으로 구성된다. 고정돌기부(121)는 전면의 모서리측 보강홈(113)에 대응되는 배면의 위치에 형성된다. 즉, 고정돌기부(121)는 중앙부에 있는 보강홈(113)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형성되지 않고, 양측 와이어 수용홈(112)의 내측면에 위치한 모서리측 보강홈(113)에 대응되는 배면 위치에 형성된다. 고정돌기부(121)는 보강홈에 삽입되어 적층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고정돌기부(121)는 보강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부(121)와 고정돌기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보강홈은 서로 같은 형상 및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고정돌기부(121)는 배면의 평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고정돌기부(121)의 전면에 형성되는 보강홈(113)과 고정돌기부(121)를 관통하는 관통홀(114)이 더 형성된다. 관통홀(114)은 다수의 전선보호판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면(120)에는 또한 가이드 홈(122)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22)은 전선보호판(100)의 길이방향으로 한 줄 또는 상하 두 줄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단순한 설계변경에 불과한 사항이다. 가이드 홈(122)은 전선보호판이 평면형으로 제조됨에 따라서 원형판(1,3)에 체결수단인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때 용이하게 라운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원형판의 곡률면에 맞춰 용이하게 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이드 홈(122)의 끝에는 레버 삽입홈(123)이 형성된다. 레버 삽입홈(123)은 전선보호판(100)과 원형판(1,3)을 서로 분리하기 위해 필요하다. 레버 삽입홈(123)으로 못을 제거하기 위한 납작한 레버를 삽입하여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못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좌?우 원형판(1,3)에 체결수단인 못을 체결홈(111)에 박아서 전선보호판을 원형판(1,3)에 고정시킨 상태의 절단면도이다. 전선보호판(100)은 평면이지만 전선보호판의 양측 단부 근처에 다수 개로 형성된 체결홈(111)에 못이 박히게 되고, 또한 와이어 수용홈(112)에 와이어(124)가 고정 장착되므로 전선보호판은 원형판(1,3)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와이어 수용홈(112)은 원형판(1,3)의 상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수용홈(112)이 원형판(1,3) 위에 위치하여야만 와이어(124)에 강한 힘을 주어도 전선보호판(100)이 찌그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고정돌기부(121)는 좌?우 원형판(1,3)의 가장자리 내측 단부와 밀착되도록 위치가 선정된다. 고정돌기부(121)가 구비됨에 따라서 전선보호판(100)은 원형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하게 배치된다. 즉, 고정돌기부(121)가 전선보호판을 원형판(1,3)에 안착 고정시키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홈(1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수단(115)을 이용하여 원형판에 체결하는 경우 원형판의 곡률면에 맞춰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와이어(124)를 이용하여 전선고정판을 원형판(1,3)에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처럼 전선고정판(100)은 못 등의 체결수단 이외에 와이어(124)에 의해 다시 한번 더 고정되므로 원형판(1,3)에 고정부착될 수 있다. 상기 도 7에는 와이어(124)를 전선고정판(100)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인 클램프(125)가 더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전선고정판(100)을 다수 개로 적층하여 보관 및 운반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선고정판(100)은 전면의 보강홈(113)과 배면의 상기 보강홈에 대응되어 형성된 고정돌기부(121)가 서로 끼어져 적층되고, 적층된 전선보호판(100)을 관통홀(114)을 통해 끈(W)으로 묶어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적층공간을 형성하여 많은 양의 전선보호판을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의 원통체(5) 외주면에 권취된 케이블(25)을 작업현장에서 사용한 후에는 상기 드럼과 본 고안의 전선 보호판(100)을 케이블 포장공장으로 운반하여 상기 드럼과 본 고안의 전선 보호판(100)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이 가능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도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드럼에 권취된 전선 보호판(100)은 합성수지 폐기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므로 폐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고, 드럼에 권취된 전선을 보호하도록 드럼의 좌ㆍ우측 원형판의 가장자리 상에 못이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7)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다수 회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케이블의 포장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좌측 원형판 3 : 우측 원형판
5 : 드럼 원통체 25 : 전선
100 : 전선보호판 110 : 전면
111 : 체결홈 112 : 와이어 수용홈
113 : 보강홈 114 : 관통홀
115 : 체결수단 116 : 사용표시 홈
120 : 배면 121 : 고정돌기부
122 : 가이드홈 123 : 레버 삽입홈
124 : 와이어 125 : 클램프
W : 끈

Claims (5)

  1. 폐합성수지를 이용하고 평면형으로 제조되며, 전선이 권취되는 드럼 원통체(5)의 좌?우 원형판(1,3)에 고정되는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100)에 있어서,
    상기 전선보호판(100)의 전면(110)은, 상기 좌?우 원형판(1,3)의 단부에 체결수단으로 상기 전선보호판(10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면(110)의 양측 단부 근처에 다수 개로 형성되는 체결홈(111);과, 상기 양측 체결홈(111) 내측으로 전선보호판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와이어 수용홈(112);과, 상기 양측 와이어 수용홈(112)의 내측으로 다수 개가 정렬되어 소정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홈(113);과, 상기 전면(1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사용횟수의 표시를 위해 다수로 형성되는 사용표시 홈(116);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선보호판(100)의 배면(120)은, 상기 양측 와이어 수용홈(112)에 길이방향 내측에 인접한 모서리측 보강홈(113)에 대응되는 배면 위치에 상기 모서리측 보강홈(113)에 안착 고정되는 형상을 가진 고정돌기부(121);와, 상기 배면(120)의 양측 단부에 상기 좌?우 원형판(1,3)으로부터 해체시 납작한 레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레버 삽입홈(123);과, 상기 배면(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1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양측 와이어 수용홈(112)에 길이방향 내측에 인접한 모서리측 보강홈(113)과 상기 모서리측 보강홈(113)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돌기부(121)에는 상기 보강홈(113)과 상기 고정돌기부(121)를 관통하는 관통홀(1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보호판(100)이 상기 좌?우 원형판(1,3)에 안착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돌기부(121)의 외측 단부가 상기 좌?우 원형판(1,3)의 가장자리 내측 단부에 밀착되어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
  5. 삭제
KR1020100012614A 2010-02-11 2010-02-11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 KR101131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614A KR101131982B1 (ko) 2010-02-11 2010-02-11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614A KR101131982B1 (ko) 2010-02-11 2010-02-11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11A KR20110092911A (ko) 2011-08-18
KR101131982B1 true KR101131982B1 (ko) 2012-05-30

Family

ID=4492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614A KR101131982B1 (ko) 2010-02-11 2010-02-11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618A (ko) * 2017-03-21 2018-10-01 제룡산업 주식회사 전선 포장용 전선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252B1 (ko) * 2011-12-21 2013-04-16 제룡산업 주식회사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
KR101334785B1 (ko) * 2012-10-05 2013-12-02 주식회사 신호코리아 전선 릴용 전선 보호판
KR200476067Y1 (ko) * 2013-08-08 2015-01-27 제룡산업 주식회사 전선릴용 전선보호판의 미끄럼 방지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733Y1 (ko) * 2006-05-16 2006-08-11 제룡산업 주식회사 드럼에 권취된 전선 보호판
KR200441008Y1 (ko) * 2007-05-30 2008-07-17 한국프라스틱 주식회사 케이블 권취용 드럼
KR20100104662A (ko) * 2009-03-18 2010-09-29 제룡산업 주식회사 전선릴용 전선 보호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733Y1 (ko) * 2006-05-16 2006-08-11 제룡산업 주식회사 드럼에 권취된 전선 보호판
KR200441008Y1 (ko) * 2007-05-30 2008-07-17 한국프라스틱 주식회사 케이블 권취용 드럼
KR20100104662A (ko) * 2009-03-18 2010-09-29 제룡산업 주식회사 전선릴용 전선 보호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618A (ko) * 2017-03-21 2018-10-01 제룡산업 주식회사 전선 포장용 전선릴
KR102017490B1 (ko) * 2017-03-21 2019-09-03 제룡산업 주식회사 전선 포장용 전선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11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982B1 (ko)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
US20220119166A1 (en) Container lid with surface features and connecting bridges
US9139334B2 (en) Pallet and method for using the pallet
EP3042089B1 (en) Clip for a knock-down structure
US8459916B2 (en) Bracing system and method for cargo containers
KR200423733Y1 (ko) 드럼에 권취된 전선 보호판
US20150102204A1 (en) Concrete form clip
CN103298701A (zh) 用于容纳主体外壳的壁部的护角条以及可组装和拆卸的折叠式主体外壳
KR101045961B1 (ko) 전선릴용 전선 보호판
KR101181392B1 (ko) 전선릴용 전선보호판
JP2007246141A (ja) パレット
KR101260875B1 (ko)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
SK500142018U1 (sk) Kombi box na prepravu a skladovanie tovaru
KR101253252B1 (ko) 재활용 합성수지 전선보호판
KR20120084524A (ko) 전선릴용 전선 보호판
KR20120006530U (ko) 무꺽쇠 박스
KR100614247B1 (ko) 목재파렛트용 재활용 보강구조
KR102430226B1 (ko) 연결된 타이 및 록킹 장치
JP3065500U (ja) 着脱自在な支持脚を備えた貨物保持パレット
US20230257957A1 (en) Utility cover and lightweight underground enclosure made with long fiber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0473355Y1 (ko) 전선릴용 전선보호판
KR101185586B1 (ko) 드럼용 보호덮개
CN114890238B (zh) 一种具有可回收快拆封板的线缆盘具组件及组装方法
KR101334785B1 (ko) 전선 릴용 전선 보호판
KR101379012B1 (ko) 조립형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