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706B1 - 모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706B1
KR101131706B1 KR1020090128912A KR20090128912A KR101131706B1 KR 101131706 B1 KR101131706 B1 KR 101131706B1 KR 1020090128912 A KR1020090128912 A KR 1020090128912A KR 20090128912 A KR20090128912 A KR 20090128912A KR 101131706 B1 KR101131706 B1 KR 10113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ydrolyzed
protein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109A (ko
Inventor
조인식
김호섭
이지해
현혜진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9012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706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가수분해 단백질; 및 하기 화학식 1 로 표현되는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9342974-pat00001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열로부터 모발을 보호하여 열처리에 의한 모발 손상을 감소시키며, 열처리 후에도 모발에 윤기 및 정돈감을 부여한다. 또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여 모발에 부드러움 및 윤기를 부여하며, 젖은 상태 및 마른 상태에서 빗질감이 양호하다.
가수분해 단백질,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 열처리

Description

모발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열에 의해 야기되는 모발의 손상을 감소시켜 열처리후에도 모발에 윤기 및 정돈성을 부여하고, 젖은 상태 및 마른 상태에서 모발의 빗질감을 향상시키고 모발에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등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모발은 모간(hair shaft)의 가장 바깥쪽으로부터 모소피(Cuticle), 모피질(Cortex)과 모수질(Medulla)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중 모소피는 여러 개의 세포들이 마치 석가래 모양처럼 중첩되어져 있는 형태로 모피질을 둘러싸서 보호해 주는 장벽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손상되지 않은 모소피를 갖는 모발은 표면이 매끄러우며 윤기있는 모발이 된다. 그러나, 모발은 복잡한 나노구조물질로 된 단백질 섬유로서 외부환경으로부터 쉽게 손상을 받는 특징을 갖고 있다.
최근 모발도 하나의 패션으로 인지되면서 모발의 컬러링(염색), 퍼머에 대한 시술이 증가하고 있고, 과도한 헤어드라이어, 헤어아이론 등의 사용 및 자외선 등 에 의해 모발은 많은 손상을 받고 있으며, 특히 열에 의한 손상이 심각한 실정이다. 열에 의한 모발의 손상은 모발의 장벽역할을 수행하는 모소피의 직접적인 손상을 야기시켜 보호기능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발이 건조해짐과 동시에 부드러움, 매끄러움 등도 저하되고 푸석푸석하여 스타일링이 어려워져 소비자들의 불만이 증대하고 있고, 열손상 방지용 모발보호 제품에 대한 필요성은 최근 들어 극대화되고 있다.
국내 특허출원 제2006-42220, 42221, 42222호에는 유기 디카르복실산류, 방향족 알코올 등을 사용하여 과도한 드라이어의 사용으로 손상된 모발에 윤기, 정돈감,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모발 에센스 조성물이 언급되어 있으나, 이는 모발에 주요한 성분이 침투하여 모발을 회복시키는 메커니즘으로 열에 의한 손상을 근원적으로 방지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최근 연구들은 실질적인 손상 방지보다는 모발 보수 효과쪽으로 촛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열손상 방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열에 의해 야기되는 모발의 손상을 감소시켜 열처리후에도 모발에 윤기 및 정돈성을 부여하고, 젖은 상태 및 마른 상태에서 모발의 빗질감을 향상시키고 모발에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등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수분해 단백질; 및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제공한다.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은 분자량인 1000 내지 5000 인 저분자 가수분해 단백질일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 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9342974-pat00002
(상기 화학식 1 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2 의 직쇄상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이며,
m 및 n 은 각각의 반복 단위의 수로, m 은 10 내지 200 이며, n 은 50 내지 2500 이다)
상기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는 에스테르 반복단위와 스티렌 반복단위의 질량비가 1:99 내지 99:1 일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은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는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열로부터 모발을 보호하여 열처리에 의한 모발 손상을 감소시키며, 열처리 후에도 모발에 윤기 및 정돈감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여 모발에 부드러움 및 윤기를 부여하며, 젖은 상태 및 마른 상태에서 빗질감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컨디셔닝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에센스, 스타일링제 등의 다양한 제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가수분해 단백질 및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은 단백질 자체가 아닌 단백질원을 효소, 산 또는 염기 등에 의해 가수분해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은 모발 표면에 흡착되어 열로 인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정상모의 건강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은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인 저분자 가수분해 단백질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3000 일 수 있다. 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경우 모발 표면에 흡착되지 못하고 모발 내부로 흡수되어 모발의 보수 효과를 구현할 뿐 손상 방지 효과에 적합하지 않으며, 분자량이 5000 이상인 경우 모발에 흡착은 되나 끈적거림 등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할 경우 빌드업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의 단백질원으로는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케라틴(keratin), 제인(zein), 카제인(casein) 등 동물성 단백질과 밀배아단백질, 콩단백질 등의 식물성 단백질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는, 가수분해 밀단백질, 가수분해 콩단백질, 가수분해 옥수수 단백질, 가수분해 귀리단백질, 가수분해 쌀단백질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은 가수분해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는 형태라면 가수분해 단백질에 다른 고분자 등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첨가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모발 표면에 흡착되는 가수분해 단백질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열에 의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비용이 상승되며, 이취등으로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는 가수분해 단백질과 함께 모발의 표면에 흡착되어 열에 의한 모발의 손상 방지 효과를 상승시킨다.
상기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 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9342974-pat00003
상기 화학식 1 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2 의 직쇄상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이며, m 및 n 은 각각의 반복 단위(repeating unit)의 수로, m 에 해당하는 에스테르 반복단위의 평균 횟수는 1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5이며, n 에 해당하는 스티렌 설포네이트의 반복단위의 평균 횟수는 50 내지 2,5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750이다.
상기 화학식 1 에서 상기 에스테르 반복단위 및 스티렌 설포네이트 반복단위의 질량비는 1:99 내지 99:1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90:10 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60:40 일 수 있다. 상기 반복단위의 질량비가 상기 범위내인 경우 모발 화장료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상기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가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모발 표면에 흡착되는 양이 적어지므로 열처리로 인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의 상승이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첨가량에 비하여 효과의 상승이 미미하여 비효율적이며, 제형 안정성 및장기간 사용시 빌드업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열에 의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모발에 광택과 부드러움을 부여하기 위한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 로 예를 들어,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염모제, 표백제, 헤어 젤, 헤어 컨디셔너, 양모제,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왁스,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퍼머넌트 제, 헤어 에센스, 마사지 크림등 모발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스프레이나 분사타입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 제형에 따라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된 성분들, 예를 들어,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기타 다른 계면활성제, 보습제, 지방물질, 습윤물질, 실리콘, 오일, 향료, 방부제, 비타민, 단백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 및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한 상기 성분들은 물에 용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 실시예 1 내지 14> 헤어 샴푸의 제조
하기 표 1 및 표 2 의 조성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헤어 샴푸를 제조하였다. 정제수에 소듐라우레트-2 설페이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세틸알코올, 폴리쿼터늄-10 등을 가하여 70 ℃까지 가온한 후,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다음 적당량의 정제수에 미리 분산시킨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 교반시킨 후 이 혼합물에 파라옥시안식향상에스텔, 향, 시트르산, 펄 화제, 디메티콘 에멀젼, 가수분해 단백질 및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를 가하여 30분간 교반시켜 샴푸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 및 표 2 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조 성 성 분
실 시 예
1 2 3 4 5 6 7 8
소듐 라우레트-2 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펄화제 8 8 8 8 8 8 8 8
디메티콘 에멀젼 2 2 2 2 2 2 2 2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2 2 2 2 2 2 2 2
세틸알코올 0.5 0.5 0.5 0.5 0.5 0.5 0.5 0.5
가수분해식물성단백질
-피지-프로필실란트리올1 )
1.0 2.0 - - 1.0 5.0 2.0 -
가수분해밀단백질2 ) - - - 2.0 - - - 0.1
가수분해밀단백질3 ) - - 1.0 - - - - -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4 )
0.1 2.0 0.1 2.0 5.0 1.0 0.1 1.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 0.2 0.2 0.2 0.2 0.2 0.2 0.2
폴리쿼터늄-10 0.1 0.1 0.1 0.1 0.1 0.1 0.1 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시르트르산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조 성 성 분
실 시 예
9 10 11 12 13 14
소듐 라우레트-2 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펄화제 8 8 8 8 8 8
디메티콘 에멀젼 2 2 2 2 2 2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2 2 2 2 2 2
세틸알코올 0.5 0.5 0.5 0.5 0.5 0.5
가수분해 식물성단백질
-피지-프로필실란트리올1 )
0.001 6 - -
가수분해밀단백질2 ) - - 2 0.001 6 2
가수분해밀단백질3 )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체4) 0.001 6 0.001 2 2 6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0.2 0.2 0.2 0.2 0.2 0.2
폴리쿼터늄-10 0.1 0.1 0.1 0.1 0.1 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05 0.05 0.05 0.05 0.05 0.05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시르트르산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 상품명: Keravis(Maker: Croda, 분자량: 1,800D)
2) 상품명: Gluadin W20(Maker: Cognis, 분자량: 2,500~5,000D)
3) 상품명: Gluadin WLM(Maker: Cognis, 분자량: 1,000D)
4) 상품명: Mirustyl X-HV(Maker: Croda)
< 실시예 15 내지 23> 헤어 에센스의 제조
정제수에 디엠디엠하이단토인, 피이지-150 + 스테아릴알코올 + 에스엠디아이코폴리머, 폴리머 점증제, 향, 가수분해 단백질,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를 순서대로 투입하고 균일상이 될 때까지 교반시켜 하기 표 3 의 조성으로 모발용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3 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조 성 성 분
실 시 예
15 16 17 18 19 20 21 22 23
디엠디엠하이단토인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피이지-150+스테아릴알코올
+에스엠디아이코폴리머
3.0 3.0 3.0 3.0 3.0 3.0 3.0 3.0 3.0
디메치콘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가수분해식물성단백질
-피지-프로필실란트리올1 )
1.0 2.0 - - 1.0 5.0 2 0.001 6
가수분해밀단백질2 ) - - 1.0 2.0 - - - - -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3 )
0.1 2.0 0.1 2.0 5.0 1.0 0.1 0.001 6
폴리머 점증제 1.0 1.0 1.0 1.0 1.0 1.0 1.0 1.0 1.0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 상품명 : Keravis(Maker: Croda, 분자량:1,800D)
2) 상품명 : Gluadin W20(Maker: Cognis, 분자량:2,500~5,000D)
2) 상품명 : Mirustyl X-HV(Maker: Croda)
< 비교예 1 내지 3> 헤어 샴푸의 제조
하기 표 4 의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13 과 동일한 방법으로 헤어 샴푸를 제조하였다. 하기 비교예 1 에서는 통상적으로 모발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아모디메티콘 에멀젼을 사용하여 열에 의해 손상된 모발의 효과를 본 발명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하기 표 4 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조 성 성 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소듐 라우레트-2 설페이트 10 10 10
펄화제 8 8 8
디메티콘 에멀젼 2 2 2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2 2 2
세틸알코올 0.5 0.5 0.5
아모디메티콘1 ) 4 - -
가수분해 식물성단백질
-피지-프로필실란트리올2 )
- - -
가수분해밀단백질3 ) - 2 -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4 )
- - 2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0.2 0.2 0.2
폴리쿼터늄-10 0.1 0.1 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05 0.05 0.05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시르트르산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1) 상품명 : Silsoft ME-82(Maker: Crompton)
2) 상품명 : Keravis(Maker: Croda, 분자량:1,800D)
3) 상품명 : Gluadin W20(Maker: Cognis, 분자량:2,500~5,000D)
4) 상품명 : Mirustyl X-HV(Maker: Croda)
< 비교예 4 내지 6> 헤어 에센스의 제조
하기 표 5 의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4 내지 19 와 동일한 방법으로 헤어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5 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조 성 성 분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디엠디엠하이단토인 0.15 0.15 0.15
피이지-150+스테아릴알코올
+에스엠디아이코폴리머
3.0 2.6 2.6
디메치콘 10.0 10.0 10.0
아모디메티콘1 ) 4 - -
가수분해 식물성단백질
-피지-프로필실란트리올2 )
- - -
가수분해 밀단백질3 ) - 2 -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4 ) - - 2
폴리머 점증제 1.0 1.0 1.0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1) 상품명 : Silsoft ME-82(Maker: Crompton)
2) 상품명 : Keravis(Maker: Croda, 분자량:1,800D)
3) 상품명 : Gluadin W20(Maker: Cognis, 분자량:2,500~5,000D)
4) 상품명 : Mirustyl X-HV(Maker: Croda)
< 실험예 1> 열처리에 의한 모발의 손상 방지 능력 측정
먼저 미국의 De-Meo Brothers 사로부터 구입한 아시아 여성의 정상모(Virgin hair)로 모발 다발(hair tress)을 만든 다음 10% SLS (Sodium Laureth Sulfate)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충분한 물로 헹군 다음 타올과 자연바람으로 완전히 건조시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각 모발에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조성물을 미처리/처리 후 스트레이트 고데기를 이용해 모발에 열을 가했다(5회/10회). 그에 따른 변화를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관찰하여 도 1 내지 8 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8 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로 처리후, 열을 가한 모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비처리 무손상 모발
도 2: 열처리에 의해 손상된 모발
도 3: 실시예 2 의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
도 4: 비교예 1 의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
도 5: 실시예 7 의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
도 6: 실시예 16 의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
도 7: 비교예 4 의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
도 8: 실시예 21 의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
도 1 에 의하면 무손상 모발은 모발 큐티클이 매끄러움을 알 수 있으며, 도 2 에 의하면, 열처리에 의해 손상된 모발은 개개의 모발 섬유에서 큐티클이 탈락되고 열에 의해 큐티클 모양이 변형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3 및 도 6 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인 실시예 2 및 실시예 16 으로 처리한 후 열로 손상시킨 경우 손상된 모발을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 처리하지 않은 도 2 와 비교하여 모발의 손상도가 적어 큐티클 모양의 변형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탈락된 큐티클도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도 5 및 도 8 에 의하면, 실시예 7 및 21 의 조성물로 처리하고 열로 손상시킨 경우에도 도 2, 도 4 및 도 7 보다 손상이 적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4 및 도 7 에 의하면, 본 발명의 가수분해 단백질과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또는 비교예 4 의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 큐티클이 탈락되고 변형된 것으로 보아 열처리에 의한 모발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실시예의 조성물에 비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열처리에 의한 모발의 손상 방지 능력 측정
실시예 3, 5, 6, 8, 11, 14 및 비교예 1 내지 3 에서 제조한 샴푸로 처리한 처리한 후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미국의 De-Meo Brothers 사로부터 구입한 아시아 여성의 정상모(Virgin hair)로 모발 다발(hair tress)을 만든 다음 10% SLS (Sodium Laureth Sulfate)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충분한 물로 헹군 뒤 과량의 물은 손가락으로 쓸어내려 제거하였다. 젖은 상태의 모발 다발을 인스트론의 로드 셀 고리에 걸고 빗을 지그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다음 인스트론을 작동시켜 빗질할 때 걸리는 로드값을 측정하였다. 동일 모발을 타올과 드라이어로 완전히 건조시키고 항온 항습실에서 2시간 방치한 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헤어 샴푸를 테스트를 마친 모발 다발에 1 g 도포 후 30 초간 헹구어 헤어드라이어로 5분간 건조한 모발 가닥에서 임의적으로 샘플을 채취한 후 그들의 인장강도를 레오미터(Rheometer; CR-500DX, SUN SCIENTIFIC CO.,LTD.,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6 에 나타내었다.
평 가 항 목 실시예
3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
실시예
11
실시예
1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인장강도(g) 133 152 150 132 137 144 77 75 69
상기 인장강도의 경우 값이 클수록 모발의 손상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발의 경우 손상이 심할수록 인장강도 값이 줄어든다. 상기 표 6 에 의한면, 비교예의 샴푸로 처리한 경우보다 실시예의 샴푸로 처리한 경우 모발의 인장강도 값이 큰 것을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빗질감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품들의 컨디셔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인스트론(Universal Test Machine, Instron Model 4465 Test System)을 이용하여 젖은 모발 및 건조된 모발에 대한 빗질감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미국의 De-Meo Brothers 사로부터 구입한 아시아 여성의 정상모(Virgin hair)로 모발 다발(hair tress)을 만든 다음 10% SLS (Sodium Laureth Sulfate)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충분한 물로 헹군 뒤 과량의 물은 손가락으로 쓸어내려 제거하였다. 젖은 상태의 모발 다발을 인스트론의 로드 셀 고리에 걸고 빗을 지그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다음 인스트론을 작동시켜 빗질할 때 걸리는 로드값을 측정하였다. 동일 모발을 타올과 드라이어로 완전히 건조시키고 항온 항습실에서 2시간 방치한 다음 인스트론에 걸어 동일한 방법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2, 실시예 4 및 비교예 1, 실시예 10 에서 제조한 헤어 샴푸를 테스트를 마친 모발 다발에 1g 도포 후 30 초간 헹구어 헤어드라이어로 5분간 건조하였으며 전술한 방법으로 빗질감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16, 실시예 18 및 비교예 4, 실시예 23 에서 제조한 헤어 에센스를 테스트를 마친 모발 다발에 1g 도포 후 헤어드라이어로 5분간 건조하였으며 전술한 방법으로 빗질감 평가를 실시하였다. 모발 다발은 각 조성물에 대해 3개 이상 준비하고, 각 항복에 대해 3회 이상 테스트하여 로드값의 평균을 산출한 다음, 상기 조성물의 미처리한 후의 평균 로드값에 대한 처리한 후의 평균 로드값의 감소율로 빗질감의 우세함을 평가하였다. 평가 조건은 모발 다발의 무게는 10 g, 길이는 20 cm 로 하고 빗의 상태는 실린더형의 무광택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빗살로, 빗살 직경은 1 mm, 빗살 사이의 간격은 1 mm인 빗으로 하였다. 인스트론의 크로스 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는 500.00 mm/min 으로 하고 로드 셀(Lord Cell)은 10.0 kg/Limit Type, 이동거리(Displacement)는 200.00 mm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로 미처리/처리 후의 평균 로드값의 변화율을 백분율(%)로 비교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7 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실 시 예 비 교 예
2 3 4 16 18 10 23 1 4
모발완전건조시 평균로드값
감소율

-78

-75

-81

-97

-96

-59

-67

-34

-56
상기 표 7 에서, 마이너스(-) 값이 클수록 빗질감이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 7 에 의하면, 실시예의 조성물로 처리하여 열을 가한 경에는 마이너스 값이 커 빗질감이 양호함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10 및 실시예 23 의 경우 가수분해 단백질과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과다하여 모발이 끈적거려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실시예 2, 3, 4, 16 및 18 에 비해서는 빗질감이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경우도 본 발명의 아모디메티콘 에멀젼을 사용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4 의 헤어 에센스로 처리한 것보다는 빗질감이 양호하였다.
< 실험예 4>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6, 실시예 23 및 비교예 4 에서 제조한 헤어 에센스를 25~40세의 여성 90명으로 구성된 품평군에 배포하고, 모발 건조전 배포된 제품을 도포한 후 반드시 헤어드라이어로 5분간 건조하게 하였다. 테스트 제품을 1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하기 표 8 에 나타낸 평가 항복에 대하여 비교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가장 낮은 점수는 1점으로 하고, 가장 높은 점수는 5점으로 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8 에 나타내었다.
평 가 항 목 실시예
16
실시예
23
비교예
4
도포 시 부드러움 4.4 2.5 2.8
모발이 끈적이지 않는다 4.5 2.1 3.8
도포 후 모발의 정돈감 4.3 4.0 3.4
도포 후 모발을 보호해준다. 4.6 3.3 3.1
도포 후 푸석거림을 없애준다. 4.3 3.5 3.0
도포 후 시간이 지나도 부드러움이 유지됨 4.5 3.1 3.2
전반적 만족도 4.5 3.5 2.1
상기 표 8 에 의하면, 실시예 15 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부드러움, 정돈감, 건강해짐 느낌, 시간이 지난 후 부드러움, 전반적 만족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실시예 23 의 조성물도 비교예보다는 전반적인 만족도는 우수하였으나과도한 함량에 의해 끈적임이 발생하며 부드러움 역시 문제가 발생되었다. 비교예 4 는 아모디메티콘에 의한 컨디셔닝 효과가 미세 관찰되었으나 실시예 15 보다 전체적 속성에서 열세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표면에 흡착되어 열처리 등으로 인한 모발의 손상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하여 열처리 후에도 모발에 윤기 및 정돈감을 부여한다. 또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여 젖은 상태 및 마른 상태에서 빗질감이 양호하며, 모발에 부드러움 및 윤기를 부여한다.
도 1 은 손상되지 않은 모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은 스트레이트 고데기로 열손상된 모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모발을 실시예 2 의 조성물로 처리한 후 스트레이트 고데기 처리를 한 모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은 모발을 비교예 1 의 조성물로 처리한 후 스트레이트 고데기 처리를 한 모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은 모발을 실시예 7 의 조성물로 처리한 후 스트레이트 고데기 처리를 한 모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은 모발을 실시예 16 의 조성물로 처리한 후 스트레이트 고데기 처리를 한 모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은 모발을 비교예 4 의 조성물로 처리한 후 스트레이트 고데기 처리를 한 모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은 모발을 실시예 21 의 조성물로 처리한 후 스트레이트 고데기 처리를 한 모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6)

  1. 가수분해 밀단백질, 가수분해 콩단백질, 가수분해 옥수수 단백질, 가수분해 귀리단백질 및 가수분해 쌀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가수분해 단백질; 및
    하기 화학식 1 로 표현되는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2000285619-pat00013
    (상기 화학식 1 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2 의 직쇄상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이며,
    m 및 n 은 각각의 반복 단위의 수로, m 은 10 내지 200이며, n 은 50 내지 2500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이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인 저분자 가수분해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에서 에스테르 반복단위와 스티렌-설포네이트 반복단위의 중량비가 1:99 내지 99: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이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스티렌 설포네이트 공중합체가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128912A 2009-12-22 2009-12-22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131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912A KR101131706B1 (ko) 2009-12-22 2009-12-22 모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912A KR101131706B1 (ko) 2009-12-22 2009-12-22 모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109A KR20110072109A (ko) 2011-06-29
KR101131706B1 true KR101131706B1 (ko) 2012-04-03

Family

ID=4440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912A KR101131706B1 (ko) 2009-12-22 2009-12-22 모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037B1 (ko) * 2017-05-24 2023-01-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열에 의한 모발 보호용 조성물
KR102375767B1 (ko) * 2021-10-18 2022-03-18 주식회사 제이에스엔랩 큐티클층, 모발 부드러움, 모발 윤기 및 모발 볼륨 개선을 위한 모발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7634A (ko) * 2004-06-28 2007-03-09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단백질 가수분해산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090035681A (ko) * 2006-07-19 2009-04-10 크로다 인터내셔날 피엘씨 헤어 스타일링 적용예에서의 공중합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7634A (ko) * 2004-06-28 2007-03-09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단백질 가수분해산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090035681A (ko) * 2006-07-19 2009-04-10 크로다 인터내셔날 피엘씨 헤어 스타일링 적용예에서의 공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109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8092B2 (ja) 毛髪繊維の構造を強化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JP4783060B2 (ja) カチオン変性トラガントガム及び該物質を含む化粧料組成物
CN109562042B (zh) 一种用于角蛋白基质的包含调理、护色和定型聚合物的个人护理组合物
EP291423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onditioning and/or styling polymer
EP3197937B1 (en) Silicone compounds and composition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amino acid based substrates
AU2018229799A1 (en) Chemical composition
KR20190037191A (ko) 케라틴 기질을 처리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20190037193A (ko) 케라틴 기질을 처리하기 위한 폴리카보다이이미드를 함유하는 조성물
EP3383498A1 (en) A hair care composition,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131706B1 (ko) 모발 화장료 조성물
US5591425A (en) Two-package pretreatment and hair relaxer compositions
WO2017042048A1 (en) Use of silk proteins for hair care
JP2001139429A (ja) 毛髪化粧料
US6444196B1 (en) Hair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JP7294642B2 (ja) 毛髪化粧料
WO2021083616A1 (en) Hair care composition
JPH07501559A (ja) 毛髪処理剤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11938213B2 (en) Hair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cationic polymers, acrylate-based polymers, gums, and polyols
JP7169623B2 (ja) アルギニンエステルを含有する化粧料
US11135151B2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oxazoline functionalized polymers and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nucleophilic site capable of reacting with the at least one oxazoline functionalized compounds
JP2024057124A (ja) 2剤式毛髪化粧料及びそれを用いた毛髪処理方法
CN117481999A (zh) 一种用于修复受损发质的护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22550595A (ja) キトサンおよびヒドロキシプロピルメチルセルロースを含む化粧品組成物ならびに毛髪強度および関連特性を向上させるためのそれらの使用
JPS59157011A (ja) 毛髪化粧料
KR20230137716A (ko)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 미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