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435B1 - 소나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나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435B1
KR101131435B1 KR1020100128664A KR20100128664A KR101131435B1 KR 101131435 B1 KR101131435 B1 KR 101131435B1 KR 1020100128664 A KR1020100128664 A KR 1020100128664A KR 20100128664 A KR20100128664 A KR 20100128664A KR 101131435 B1 KR101131435 B1 KR 101131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ar
acoustic sensors
signal
underwater acoustic
sens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종
이동훈
조치영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00128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7Combinations of sona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67Testing of combined analog and digital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01Auxiliary means for detecting or identifying sonar signals or the like, e.g. sonar jamm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를 구비하는 소나(SONAR)의 성능을 검증하는 소나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와 음향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소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영상배열센서장치, 및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발생하거나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지는 신호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는 상기 신호처리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음향신호로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는 기체로 형성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소나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SONAR TESTING APPARATUS AND SONAR TEST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중음향센서를 구비하는 소나(SONAR)의 성능을 검증하는 소나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나(SONAR, sound navigation and ranging)는 군사 및 민수 분야에서 수상 또는 수중 물체의 탐지나 표정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소나는 음파를 발생 및 수중에 방사하고, 수중의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받아들여 이를 해석함으로써, 수상 및 수중의 표적을 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소나는 수중음향센서, 빔형성장치, 음향신호처리장치 및 표적탐지장치를 포함한다. 소나의 기능 및 성능의 검증 시험은 수중음향센서와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나누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수중음향센서의 시험은 수조에서 수행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시험은 육상에 구축된 시험 장치를 통해 수행된다. 수중음향센서를 포함하는 소나 전체로서의 시험은 수중음향센서의 케이블 연결을 확인하는 정도의 범위에서 수행되고 있다.
소나는 빔형성기법, 예를 들어 빔스티어링을 사용하고 있으며, 소나의 빔형성 성능은 소나의 성능에 직결된다. 빔형성 기법을 사용하는 소나에서 수중음향센서를 분리하여 수행하는 시험은 제한적인 기능만 시험하므로, 소나의 전체적인 기능 및 성능을 검증하는 데에는 충분하지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수중음향센서를 포함하는 소나의 기능 및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소나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수중음향센서를 포함하는 소나의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소나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소나에 구비되는 수중음향센서마다 독립적으로 성능 시험이 가능한 소나 시험 장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를 구비하는 소나(SONAR)의 성능을 검증하는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와 음향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소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영상배열센서장치, 및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발생하거나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지는 신호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는 상기 신호처리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음향신호로,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는 기체로 형성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소나 시험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에 각각 서로 다른 음향신호가 전달될 수 있게 서로 다른 위상정보를 갖는 제1 및 제2신호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의 전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마다 독립적으로 음향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는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 사이에 음향신호가 각각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가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를 각각 가압하여 음향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의 가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압력제어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디지털신호를 발생하고 수신되는 디지털신호를 분석하도록 이루어지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발생되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컨버터와, 상기 신호처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컨버터, 및 상기 제1 및 제2컨버터와 연결되며 아날로그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증폭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신호분리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를 통해 수상 및 수중의 표적을 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소나(SONAR), 및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와 음향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소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영상배열센서장치 및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발생하거나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지는 신호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상기 소나 시험 장치를 포함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소나 시험 장치는 소나의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소나의 전체적인 성능 검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중음향센서를 포함한 소나의 육상 시험 환경의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나 시험 장치는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와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연결부 및 이들의 가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압력제어장치를 구비한다. 따라서 소나에 구비되는 수중음향센서마다 독립적으로 성능 시험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 시험 시스템을 보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배열센서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소나가 영상배열센서장치에 연결된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영상배열센서장치에 구비되는 영상음향센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에 소나의 수중음향센서가 대응되게 배치된 것을 보인 개념도.
도 6은 도 1의 소나 시험 장치를 이용한 소나의 시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소나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나 시험 시스템(100)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나 시험 시스템(100)은 소나(200) 및 소나 시험 장치(200)를 포함한다.
소나(200, SONAR, sound navigation and ranging)는 군사 및 민수 분야에서 수상 또는 수중 물체의 탐지나 표정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소나(200)는 음향신호를 수중에 방사하고, 수중의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받아들여 이를 해석함으로써, 수상 및 수중 표적을 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소나(200)는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는 소나(20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방출하고,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각각의 수중음향센서(250)가 음향신호를 고르게 받아들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의 전면에는 이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음향윈도우(260)가 배치된다. 음향윈도우(260)는 하우징에 접착제 및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으로 수밀 구조를 형성한다. 음향윈도우(260)는 용융 후 응고되어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음향윈도우(260)와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 간의 수밀성 및 센서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음향윈도우(260)는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소나 시험 장치(200)는 신호처리장치(301) 및 영상배열센서장치(302)를 포함한다.
영상배열센서장치(302)는 소나(200)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소나(200)의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와 음향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영상배열센서장치(302)는 신호처리장치(301)와 연결되며, 신호처리장치(301)는 영상배열센서장치(302)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발생하거나 영상배열센서장치(302)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신호처리장치(301)는 신호처리부(310), 컨버터(320) 및 증폭기(330)를 포함한다.
신호처리부(310)는 디지털신호를 발생하고, 수신되는 디지털신호를 분석하도록 이루어진다. 신호처리부(310)는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에 전달되는 각각의 신호를 발생하고,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수중음향센서(250)의 정상 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신호처리부(310)가 발생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수중환경음향신호 또는 표적신호 등이 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310)에는 이와 연결되며, 신호처리부(310)로부터 발생되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컨버터(321a, 322a)와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컨버터(321b, 322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컨버터(321a, 321b, 322a, 322b)는 아날로그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증폭기(330)와 연결될 수 있다. 증폭기(330)는 영상배열센서장치(302)와 연결되며, 제1 및 제2컨버터(321a, 321b, 322a, 322b)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증폭기(331a, 331b, 332a, 33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증폭기(331a, 332a)는 신호처리부(31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신호가 제1컨버터(321a, 322a)를 통해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로 전달될 수 있도록 그 신호의 크기를 증폭한다. 반대로, 제2증폭기(331b, 332b)는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가 제2컨버터(321b, 322b)를 통해 신호처리부(310)로 도달될 수 있도록 그 신호의 크기를 증폭한다.
영상배열센서장치(302)는 영상음향센서(350) 및 신호분리기(340)를 포함한다.
영상음향센서(350)는 신호처리장치(301)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음향신호로, 수중음향센서(250)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는 기체로 형성되는 영역 내에서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된다. 기체로 형성되는 영역은, 예를 들어 공기로 이루어지는 육상의 시험 환경이 될 수 있다.
소나 시험 장치(200)는 소나(200)의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를 구비함으로써, 소나(200)의 전체적인 성능 검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물을 매개로 하는 수중의 시험 환경이 아닌, 육상의 시험 환경 하에서 수중음향센서(250)를 포함하는 소나(200) 전체로서의 시험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는 신호분리기(340)와 연결된다. 신호분리기(340)는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 및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는 신호처리장치(301)로 보내져 소나(200)의 기능 및 성능을 검사하는 데에 이용된다.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의 전면에는 제1 및 제2연결부(361, 362)가 각각 장착된다. 제1 및 제2연결부(361, 362)는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와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를 각각 연결하여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마다 독립적으로 음향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소나(200)에 구비되는 수중음향센서(250)마다 독립적으로 기능 및 성능 시험이 가능한 소나 시험 장치(2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영상배열센서장치(302)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소나(200)가 영상배열센서장치(302)에 연결된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영상배열센서장치(302)는 소나(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하우징(370)을 구비한다. 하우징(370)은 소나(200)가 영상배열센서장치(302)와 연결될 수 있도록 소나(2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370)에는 소나(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소나(200)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소나 고정 장치(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영상배열센서장치(302)는 소나(200)가 하우징(370)에 안착되었을 시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가 각각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이들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위치제어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위치제어장치는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가 각각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위치센싱부 및 이들의 위치가 어긋나 있을 경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의 위치를 회전시키는 위치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전환부는 하우징(370)을 돌려 소나(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가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는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제어장치를 통해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의 축과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의 축이 일치되도록 그 위치를 정밀하게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시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영상배열센서장치(302)에 구비되는 영상음향센서(350)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에 소나(200)의 수중음향센서(250)가 대응되게 배치된 것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영상음향센서(351)는 제2영상음향센서(352)와 특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1 수중음향센서(251)와 대응되게 배치된다. 각각의 영상음향센서(350)가 수중음향센서(250)에 대응되게 배치됨으로써, 이들 간에 독립적인 음향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의 전면에는 각각의 영상음향센서(350)와 수중음향센서(250) 간에 독립적인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연결부(361, 362)가 장착된다. 제1 및 제2연결부(361, 362)는 소나(200)의 음향윈도우(260)에 동일한 압력을 가하며 접촉될 수 있도록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앞선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제1 및 제2연결부(361, 362)는 소나(200)의 음향윈도우(260)에 접촉되며, 각각의 영상음향센서(350)는 수중음향센서(250)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제1 및 제2연결부(361, 362)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연결부(361, 362)는 각각의 영상음향센서(350)와 수중음향센서(250) 사이의 독립적인 음향신호의 전달을 가이드한다. 제1 및 제2연결부(361, 362)는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공을 통하여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와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 사이에 음향신호가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제1 및 제2연결부(361, 362)는 압력제어장치를 통해 음향윈도우(260), 즉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를 가압하는 정도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결부(361)의 가압력을 증가시키는 경우, 제1수중음향센서(251)로 전달되는 음향신호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압력제어장치를 통해 각각의 연결부(360)의 가압력을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영상음향센서(350)와 수중음향센서(250) 간에 주고받는 신호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소나 시험 장치(200)는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와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연결부(361, 362) 및 이들의 가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압력제어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따라서 소나(200)에 구비되는 수중음향센서(250)마다 독립적으로 기능 및 성능 시험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소나 시험 장치(200)는 수중음향센서(250)를 포함한 HILS(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시험 및 어뢰 정비 등을 목적으로 하는 시험 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소나 시험 장치(200)를 이용한 소나(200)의 시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소나 시험 장치(200)를 이용한 소나(200)의 시험 방법은 영상배열센서장치(302)에 소나(200)를 연결하는 단계, 소나(200)에 전달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소나(2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소나(200)를 영상배열센서장치(302)의 하우징(370)에 안착시키고,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에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를 각각 대응되게 배치한다(S100). 제1 및 제2연결부(361, 362)는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가 위치하는 부분에 일대일로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영상배열센서장치(302)에 소나(200)를 연결한 후, 신호처리장치(301)의 신호처리부(310)는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로부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로 각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독립적인 위상정보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킨다(S200).
상기 과정에서 압력제어장치를 통해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와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 사이의 압력을 제어하여 이들 간에 전달되는 음향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S300).
신호처리장치(301)는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소나(200)의 기능 및 성능을 검사한다(S400). 이 과정에서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351, 352), 제1 및 제2연결부(361, 362) 및 압력제어장치를 통해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251, 252)의 독립적인 성능 검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소나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를 구비하는 소나(SONAR)의 성능을 검증하는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와 음향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소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영상배열센서장치; 및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발생하거나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지는 신호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는 상기 신호처리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음향신호로,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는 기체로 형성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 시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에 각각 서로 다른 음향신호가 전달될 수 있게 서로 다른 위상정보를 갖는 제1 및 제2신호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음향센서의 시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의 전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마다 독립적으로 음향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 시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는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 사이에 음향신호가 각각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 시험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 시험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가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를 각각 가압하여 음향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의 가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압력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 시험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디지털신호를 발생하고, 수신되는 디지털신호를 분석하도록 이루어지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발생되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컨버터;
    상기 신호처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컨버터; 및
    상기 제1 및 제2컨버터와 연결되며, 아날로그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 시험 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 및 상기 제1 및 제2영상음향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신호분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 시험 장치.
  9.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를 통해 수상 및 수중의 표적을 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소나(SONAR); 및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와 음향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소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영상배열센서장치 및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발생하거나 상기 영상배열센서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지는 신호처리장치를 구비하며,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소나 시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중음향센서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
KR1020100128664A 2010-12-15 2010-12-15 소나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 KR101131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664A KR101131435B1 (ko) 2010-12-15 2010-12-15 소나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664A KR101131435B1 (ko) 2010-12-15 2010-12-15 소나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435B1 true KR101131435B1 (ko) 2012-03-29

Family

ID=4614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664A KR101131435B1 (ko) 2010-12-15 2010-12-15 소나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4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466B1 (ko) 2013-08-21 2014-11-21 국방과학연구소 축소표적 실험을 위한 음향신호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1837845B1 (ko) 2016-07-14 2018-03-12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표적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KR101950424B1 (ko) * 2017-08-21 2019-02-20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영상 소나 검증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37407A (ko) * 2019-09-27 2021-04-0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빅데이터 기반의 소나 성능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04775A (ko) * 2019-12-23 2022-01-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센서 검사장치 및 방법
KR20220036504A (ko) * 2020-09-16 2022-03-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음향 센서 검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센서 검증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0638A (ja) 1996-12-09 1998-06-26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水中音響模擬装置
JP2007049416A (ja) 2005-08-10 2007-02-22 Technic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Ministry Of Defence 水中受波アレイ用受波素子の感度比試験装置又は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0638A (ja) 1996-12-09 1998-06-26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水中音響模擬装置
JP2007049416A (ja) 2005-08-10 2007-02-22 Technic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Ministry Of Defence 水中受波アレイ用受波素子の感度比試験装置又は試験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466B1 (ko) 2013-08-21 2014-11-21 국방과학연구소 축소표적 실험을 위한 음향신호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1837845B1 (ko) 2016-07-14 2018-03-12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표적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KR101950424B1 (ko) * 2017-08-21 2019-02-20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영상 소나 검증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37407A (ko) * 2019-09-27 2021-04-0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빅데이터 기반의 소나 성능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7198B1 (ko) * 2019-09-27 2021-05-28 엘아이지넥스원(주) 빅데이터 기반의 소나 성능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04775A (ko) * 2019-12-23 2022-01-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센서 검사장치 및 방법
KR102361774B1 (ko) * 2019-12-23 2022-02-1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센서 검사장치 및 방법
KR20220036504A (ko) * 2020-09-16 2022-03-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음향 센서 검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센서 검증 조립체
KR102403940B1 (ko) * 2020-09-16 2022-05-3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음향 센서 검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센서 검증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435B1 (ko) 소나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나 시험 시스템
KR101064976B1 (ko) 음원위치추정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음원에 반응하는 로봇
CN109143208B (zh) 一种船舶声纳平台自噪声试验测试系统及水平测试方法
CN108139461A (zh) 超声波气体泄漏定位系统和方法
CN106814360B (zh) 一种基于线性调频信号的多波束测深系统
KR101036286B1 (ko) 수중 표적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03926934A (zh) 一种用于水下机器人与水下工作平台对接的声纳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04019974A (zh) 一种卫星整流罩减振降噪简易实验装置
CN104330480A (zh) 一种用于超声相控阵成像检测仪的故障诊断方法
US5530678A (en) Real-time calibration acoustic array
CN105629249A (zh) 一种多波束侧扫声纳装置
KR102234484B1 (ko) 소나 시스템 및 소나 시스템을 이용한 탐지 방법
CN111220969B (zh) 水下通讯声纳的陆上组网训练和性能测试一体化装置
EP3268773B1 (e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o check the position of a pipeline in a bed of a body of water
Movahed et al. Air ultrasonic signal localization with a beamforming microphone array
USH1171H (en) Cardioid beamformer with noise reduction
US7450474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transducers
US7228236B2 (en) Subarray matching beamformer apparatus and method
US5220537A (en) Statistically calibrated transducer
US6934217B2 (en) Countermeasure threat emulator and method
Pallayil et al. A digital thin line towed array for small autonomous underwater platforms
CN114137542A (zh) 一种水下机器人定位系统及方法
KR101246732B1 (ko) 수중 초음파 카메라 오작동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N112119642B (zh) 用于探测和定位低强度和低频声源的声学系统及相关定位方法
US8750077B2 (en) Acoustic ranging system for multi-line towed acoustic arr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