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139B1 - 직선 운동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화기 - Google Patents

직선 운동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139B1
KR101131139B1 KR1020090129535A KR20090129535A KR101131139B1 KR 101131139 B1 KR101131139 B1 KR 101131139B1 KR 1020090129535 A KR1020090129535 A KR 1020090129535A KR 20090129535 A KR20090129535 A KR 20090129535A KR 101131139 B1 KR101131139 B1 KR 101131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r
vertical
shaft
arm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554A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139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8Frames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화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회전운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는 수직 운동자 중 일측에는 핀을 돌출 설치하고 타측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그루브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가 회전운동하는 경우 상기 핀과 그루브의 결합에 의해 상기 수직 운동자가 상하 수직 운동하도록 하는 하편 상기 수직 운동자 일측에 꽃잎을 부착하여 상기 꽃잎이 개회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종래와 달리 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는 경우에도 꽃잎을 펼쳐지게 하거나 닫히게 할 수 있어 기계 장치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개화기, 직선 운동 변환 장치, 직선 운동자

Description

직선 운동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화기{Transformation apparatus for linear motion and flowering apparatus using same}
본 발명은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화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회전운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는 수직 운동자 중 일측에는 핀을 돌출 설치하고 타측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그루브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가 회전운동하는 경우 상기 핀과 그루브의 결합에 의해 상기 수직 운동자가 상하 수직 운동하도록 하는 하편 상기 수직 운동자 일측에 꽃잎을 부착하여 상기 꽃잎이 개회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화기라고 하는 것은 꽃잎을 기계 장치에 부착한 후 상기 기계 장치의 운동에 의해 꽃잎이 벌어지거나 상호 닫히게 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꽃잎 내부에 발광체를 달아 가로등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개화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꽃잎이 벌어지거나 닫히게 하도록 하기 위해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이용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개화기의 경우 꽃잎을 펼치거나 닫히게 하는 경우 모 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등으로 회전 방향을 바꾸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상기 꽃잎을 펼치거나 닫히게 하도록 하는 기계 장치가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방향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하더라도 꽃잎을 펼치거나 닫히게 할 수 있는 직선 운동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화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샤프트(100)와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는 수직 운동자(200)와 상기 수직 운동자(200)를 수용하는 하우징(500)과 상기 수직 운동자(200) 일측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500) 외측으로 관통하는 아암(400)를 포함하여 상기 샤프트(100)의 회전 운동이 상기 아암(400)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장치(10)로서, 상기 샤프트(100)는 그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핀(P)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운동자(200)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100)를 수용하는 운동자 본체(210)와, 상기 운동자 본체(210) 내면는 상기 운동자 본체(210)의 반경 방향 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내면에서 요홈되어 상기 핀(P)이 결합되는 경사 그루브(220)를 포함하는 직선 운동 변환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반대로 상기 샤프트(100)는 그 외측면에 요홈되게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100)의 반경 방향 평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경사 그루브(11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운동자(200)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100)를 수용하는 운동자 본체(210)와, 상기 운동자 본체(210)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경사 그루브(110)에 삽입되는 핀(P)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하는 샤프트(100)와 상기 샤프트(100)와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는 수직 운동자(300)와 상기 수직 운동자(300)를 수용하는 하우징(500)과 상기 수직 운동자(200) 일측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500) 외측으로 관통하는 아암(400)를 포함하여 상기 샤프트(100)의 회전 운동이 상기 아암(400)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장치(10)로서, 상기 샤프트(100)는 그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핀(P)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운동자(300)는 상기 샤프트(10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운동자(310) 및 하부 운동자(32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운동자(310)와 하부 운동자(320)가 맞닿는 부분에는 간극(S)을 형성하여 상기 핀(p)이 삽입되되 상기 간극(S)은 상기 상부 운동자(310) 및 하부 운동자(320)의 반경방향 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반대로 상기 샤프트(10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샤프트(120) 및 하부 운동자(13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샤프트(120)와 하부 샤프트(130)가 맞닿는 부분에는 간극(S)을 형성하되 상기 간극(S)은 상기 샤프트(110)의 반경반향 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 운동자(300)는 상기 샤프트(10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그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간극(S)에 삽입되는 핀(P)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상부 운동자(310)는 중공의 원통형상인 상부 운동자 본체(311)와 상기 상부 운동자 본체(311)의 저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두께는 상기 상부 운동자 본체(311)의 두께보다 얇도록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운동자(320)는 중공의 원통형상인 하부 운동자 본체(321)와 상기 하부 운동자 본체(321)의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두께는 상기 하부 운동자 본체(321)의 두께보다 얇도록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322)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결합부(312)의 형상은 일측의 하측 방향 길이가 타측으로 갈수록 길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부(322)의 형상은 일측의 상부측 방향 길이가 타측으로 갈수록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운동자(310)와 하부 운동자(320) 결합시 상기 상부 결합부(312) 및 하부 결합부(322)가 암수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 결합부(312)와 맞닿는 하부 운동자 본체(321) 상면부의 사이 또는 하부 결합부(322)와 맞닿는 상부 운동자 본체(311) 하면부의 사이에 상기 간극(S)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종래와 달리 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는 경우에도 꽃잎을 펼쳐지게 하거나 닫히게 할 수 있어 기계 장치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일부 단면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일부 단면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일부 단면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이용한 개화기의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실시예1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직선 변환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샤프트(100)와 상기 샤프트(100)와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는 수직 운동자(200)와 상기 수직 운동자(200)를 수용하는 하우징(500)과 상기 수직 운동자(200) 일측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500) 외측으로 관통하는 아암(400)를 포함하여 상기 샤프트(100)의 회전 운동이 상기 아암(400)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100)는 그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핀(P)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 운동자(200)는 운동자 본체(210)와 경사 그루브(220)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자 본체(210)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100)를 수용한다.
상기 경사 그루브(220)는 상기 운동자 본체(210)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운동자 본체(210)의 반경 방향 평면(평면I)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평면II 방향) 상기 내면에서 요홈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 그루브(220)는 상기 운동자 본체(210) 내면에 원주방향으로 일 회전(즉 360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샤프트(100)의 회전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즉, 상기 샤프트(100)가 회전하면 상기 핀(P)이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핀(P)은 상기 경사 그루브(220)내에서 회전된다.
이때, 상기 경사 그루브(2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P)은 상하 이동하지 않고 일정 위치에서 회전만 하므로 상기 핀(P)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 운동자(200)가 상하로 수직방향 운동을 하게 된다.
즉, 만일 상기 샤프트(100)가 반시계방향(방향I)로 회전하고 상기 핀(P)이 상기 경사 그루브(220)의 최저점(220b)에서 최고점(220a)로 올라가는 경로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수직 운동자(200)는 하측 수직 방향(방향II)으로 운동한다.
만일 상기 핀(P)이 상기 최고점(220a)을 지나 최저점(220b)으로 내려가는 경로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수직 운동자(200)는 상부측 수직방향(방향III)으로 운동한다.
도 2에서는 상기 핀(P)이 상기 최저점(220b)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도 3에 나탄나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00)가 방향I로 회전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핀(P)은 상기 최고점(220a)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상기 수직 운동자(200)는 하측 수직방향(방향II)로 하강한다.
이때 상기 아암(400)은 상기 수직 운동자(200)의 하강운동에 의해 상방향(방향IV)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아암(400)에 꽃잎을 부착하여 개화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00)가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더라도 상기 직선 운동자(200)는 상측 방향(방향III)에서 하측 방향(방향II)으로 방향을 바꾸거나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종래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 운동 방향을 바꾸기 위해 샤프트의 회전 방향 자체를 역전시키는 구성을 취하고 있어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회전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우에도 상하 운동 방향을 바꿀 수 있어 구성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 그루브(220)가 최저점(220b)에서 출발하여 최고점(220a)을 경유한 후 다시 최저점(220b)으로 복귀하는 형상이 예시된다.
그러나 상기 경사 그루브(2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핀(P)이 장치되어 상기 수직 운동자(200)를 상하 방향의 수직 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경사 그루브(220)가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상기 경사 그루브(220)가 나선 형상과 같이 출발점과 종료점이 만나지 않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상기 경사 그루브(220)가 본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 그루브(220) 전체가 경사진 형상이 아니고 부분적으로 경사진 경우 예를 들어 일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II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다른 일부분은 상기 평면I과 평행하게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경사 그루브(220)를 형성하면 상기 핀(P)이 경사진 부분을 통과하는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운동자(200)가 상하 직선운동을 한다.
그러나 상기 핀(P)이 상기 수평방향(평면I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을 지나가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 운동자(200)가 상하 운동을 하지 않고 정지해 있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경사 그루브(200)의 형상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꽃잎의 다양한 운동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그루브(200)는 상기 핀(P)이 장치되어 상기 수직 운동자(200)를 상하 방향의 수직 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경사 그루브(220)가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500)이 중공의 원통 형상을 구비하되 상기 아암(400)이 양측면에 장치되는 것이 예시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500)의 일측면에 관통공(520)을 형성하여 상기 아암(400)이 외부로 관통되도록 한다.
상기 아암(400)은 상기 수직 운동자(200)에 의해 수직방향(방향IV)으로 운동하는 아암 본체(410)와 상기 아암 본체(410)가 상기 하우징(50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부(420)와 상기 아암 본체(410) 일측에 장치되는 링크(440)와, 상기 링크(440)가 상기 수직 운동자(200,300)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운동자 결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암 본체(410)에 꽃잎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결합부(430)는 볼 조인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볼 조인트(ball joint)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볼이 회동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링크(440)와 같은 연결부재가 장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 운동자(200)와 링크(440)사이의 상대운동이 원할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아암(400)의 구성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설명되지 않음 도면 부호M은 모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100)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직선 운동 변환 장치(10)는 실시예1과 기본적으로 유사하나 핀(P)이 샤프트(100)에 장착되는 점이 상이하다(도 4 내지 도 6참조)
즉, 회전하는 샤프트(100)와 상기 샤프트(100)와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는 수직 운동자(200)와 상기 수직 운동자(200)를 수용하는 하우징(500)과 상기 수직 운동자(200) 일측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500) 외측으로 관통하는 아암(400)를 포함하여 상기 샤프트(100)의 회전 운동이 상기 아암(400)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장치(10)임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샤프트(100)에는 그 외측면에 요홈되게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100)의 반경 방향 평면(평면I)을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평면II 방향)되는 경사 그루브(1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 운동자(200)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100)를 수용하는 운동자 본체(210)와, 상기 운동자 본체(210)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경사 그루브(110)에 삽입되는 핀(P)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핀(P)의 장착위치가 상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3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직선 운동 변환 장치(10)는 상기 실시예1과 실시예2와 유사하다.
즉, 회전하는 샤프트(100)와 상기 샤프트(100)와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는 수직 운동자(300)와 상기 수직 운동자(300)를 수용하는 하우징(500)과 상기 수직 운동자(300) 일측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500) 외측으로 관통하는 아암(400)를 포함하여 상기 샤프트(100)의 회전 운동이 상기 아암(400)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장치(10)임은 유사하나 본 실시예의 수직 운동자(300)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수직 운동자(200)와 상이하다.(도 7내지 도 10 참조)
이러한 측면에서 본 실시예의 수직 운동자의 실시예1 및 실시예2와 달리 300으로 하였다.
본 실시에에서는 상기 샤프트(10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핀(P)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 운동자(300)는 상기 샤프트(10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운동자(310) 및 하부 운동자(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운동자(310)와 하부 운동자(320)가 맞닿는 부분에는 간극(S, 도 8 참조)을 형성하여 상기 핀(P)이 삽입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경사 그루브 역할을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극(S)이 수행하며 그 형상 또한 상기 경사 그루브와 유사하다.
즉, 상기 간극(S)은 상기 상부 운동자(310) 및 하부 운동자(320)의 반경반향 평면(평면I)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평면II방향).
다만 상기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경사 그루브는 수직 운동자(200)의 내측면 또는 샤프트(100)의 외측면을 음각하여 형성함에 비해 본 실시예의 간극(S)은 상하부 수직 운동자(310,320)가 맞닿는 면에 형성되는 간극(S)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S)이 상기 경사 그루브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 운동자(300)를 상부 운동자(310) 및 하부 운동자(320)로 분할하는 것은 상기 하우징(500)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상부 운동자(310)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좌우로 분할되어 있는 이는 상기 샤프트(100)를 하부 작동자(320)에 장착한 후 상기 상부 운동자(310)를 좌우에서 장착하여 상기 간극(S)에 상기 핀(P)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하부 운동자(320)는 중공의 원통형상인 하부 운동자 본체(321)와 상기 하부 운동자 본체(321)상에 상방향(방향III)으로 연장 형성되되 동일 중심을 가지는 중공의 원통형상이며 직경은 상기 하부 운동자 본체(321)보다 작은 하부 결 합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운동자(3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하부 결합부(322)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상부 운동자 본체(311)와 상기 상부 운동자 본체(311)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부 결합부(322)와 마주보는 상부 결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결합부(322)는 일측(도면상 좌측)의 높이가 타측(도면상 우측)의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그 상단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결합부(312)는 상기 하부 결합부(322)와 동일한 정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 결합부(312)와 하부 결합부(322)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간극(S)이 상기 상부 운동자(310) 및 하부 운동자(320)의 반경방향 평면(평면I)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평면II 방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간극(s)이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경사 그루브 역할을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간극(s)이 상기 상부 운동자(310) 및 하부 운동자(320)의 반경반향 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결합부(312) 및 하부 결합부(322)를 형성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운동자(310)와 하부 운동자(320)를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 운동자(310)와 하부 운동자(320)를 결합한 후 고정구(F)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샤프트(100)가 방향I로 회전하면 상기 핀(P)이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핀(P)은 상기 간극(S)내에서 회전된다.
이때, 상기 간극(S)은 상술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P)은 상하 이동하지 않고 일정 위치에서 회전만 하므로 상기 핀(P)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 운동자(300)가 상하로 수직방향 운동을 하게 된다.
즉, 만일 상기 샤프트(100)가 반시계방향(방향I)로 회전하고 상기 핀(P)이 상기 간극(S)의 최저점(320b)에서 최고점(320a)로 올라가는 경로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수직 운동자(300)는 하측 수직 방향(방향II)으로 운동한다.
만일 상기 핀(P)이 상기 최고점(320a)을 지나 최저점(320b)으로 내려가는 경로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수직 운동자(300)는 상부측 수직방향(방향III)으로 운동한다.
이때 상기 수직 운동자(300)에 장치되는 아암(400)이 상기 수직 운동자(300)의 상하 방향 직선 운동에 의해 방향IV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아암(400)에 꽃잎을 부착하여 개화기로서 사용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00)가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더라도 상기 직선 운동자(300)는 상측 방향(방향III)에서 하측 방향(방향II)으로 방향을 바꾸거나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실시예4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의 직선 운동 변환 장치(10)를 사용하는 개화기(20)이다.
이때, 상기 상기 아암(도시되지 않음)을 다수개 장치하는 한편 상기 아암에 꽃잎(R)을 부착하여 상기 아암의 운동에 따라 상기 꽃잎(R)이 펼쳐지거나 닫혀지도록 한다.
이때,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L)은 광원을 뜻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일부 단면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일부 단면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일부 단면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이용한 개화기의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직선 운동 변환 장치 100 : 샤프트
200,300 : 직선 운동자 220 : 경사 그루브
S : 간극 400 : 아암
500 : 하우징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회전하는 샤프트(100)와 상기 샤프트(100)와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는 수직 운동자(300)와 상기 수직 운동자(300)를 수용하는 하우징(500)과 상기 수직 운동자(300) 일측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500) 외측으로 관통하는 아암(400)를 포함하여 상기 샤프트(100)의 회전 운동이 상기 아암(400)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장치(10)로서,
    상기 샤프트(100)는 그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핀(P)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운동자(300)는 상기 샤프트(10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운동자(310) 및 하부 운동자(32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운동자(310)와 하부 운동자(320)가 맞닿는 부분에는 간극(S)을 형성하여 상기 핀(p)이 삽입되되 상기 간극(S)은 상기 상부 운동자(310) 및 하부 운동자(320)의 반경반향 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운동 변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운동자(320)는 중공의 원통형상인 하부 운동자 본체(321)와 상기 하부 운동자 본체(321)상에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동일 중심을 가지는 중공의 원통형상이며 직경은 상기 하부 운동자 본체(321)보다 작은 하부 결합부(32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운동자(3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하부 결합부(322)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상부 운동자 본체(311)와 상기 상부 운동자 본체(311)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부 결합부(322)와 마주보는 상부 결합부(312)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결합부(322)는 일측의 높이가 타측의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그 상단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312)는 상기 하부 결합부(322)와 동일한 정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 결합부(312)와 하부 결합부(322)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간극(S)이 상기 상부 운동자(310) 및 하부 운동자(320)의 반경방향 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운동 변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운동자(310)와 하부 운동자(320)를 결합한 후 고정구(F)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운동 변환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400)은 상기 수직 운동자(200,30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는 아암 본체(410)와 상기 아암 본체(410)가 상기 하우징(50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부(420)와 상기 아암 본체(410) 일측에 장치되는 링크(440)와, 상기 링크(440)가 상기 수직 운동자(200,300)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운동자 결합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운동 변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결합부(430)는 볼 조인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운동 변환 장치.
  8. 제3항에 기재된 직선 운동 변환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아암(400)을 다수개 장치하는 한편 상기 아암(400)에 꽃잎(R)을 부착하여
    상기 아암(400)의 운동에 따라 상기 꽃잎(R)이 펼쳐지거나 닫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운동 변환 장치를 구비한 개화기.
KR1020090129535A 2009-12-23 2009-12-23 직선 운동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화기 KR101131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535A KR101131139B1 (ko) 2009-12-23 2009-12-23 직선 운동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535A KR101131139B1 (ko) 2009-12-23 2009-12-23 직선 운동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554A KR20110072554A (ko) 2011-06-29
KR101131139B1 true KR101131139B1 (ko) 2012-04-03

Family

ID=44403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535A KR101131139B1 (ko) 2009-12-23 2009-12-23 직선 운동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411A (ko) 2011-07-21 2013-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SE542936C2 (en) * 2018-11-07 2020-09-15 Inter Ikea Systems B V [Nl] Ligth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means for altering its appearance and light dispersion patter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589Y1 (ko) * 2005-07-21 2005-10-05 주식회사 태평양 립스틱 용기
KR100921915B1 (ko) * 2008-03-11 2009-10-16 (주)크리에이티브하우스 꽃잎형 개폐방식을 갖는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589Y1 (ko) * 2005-07-21 2005-10-05 주식회사 태평양 립스틱 용기
KR100921915B1 (ko) * 2008-03-11 2009-10-16 (주)크리에이티브하우스 꽃잎형 개폐방식을 갖는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554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139B1 (ko) 직선 운동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화기
JP2017086606A (ja) 首振り式剃刀の支持構造
KR20110111871A (ko) 로봇 손가락 기구
TWI555928B (zh) 動力導引鏈條
WO2006064603A1 (ja) ロボットハンド装置
US20170145611A1 (en) Clutch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KR20130129880A (ko) 유아용 모빌
KR20220082052A (ko) 2단 포스를 구비하는 도어 힌지
JP2007278505A (ja) 遊びなしの等速ジョイント
WO2023243284A1 (ja) 玩具の可動構造
JP5357306B2 (ja) 折畳み傘の閉傘定位構造
US7194806B2 (en) Nail clipper for pets with curved cutting edges
CN202380859U (zh) 用于平开上翻窗的滑撑组件、五金组件以及平开上翻窗
RU2394747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захват родовикова
CN107081710B (zh) 部件组装夹具
JP2014083465A (ja) 玩具体における連結機構、玩具体および人形体
KR101360171B1 (ko) 멀티 축이음 허브
JP2020508416A (ja) レール機構およびそれを有するドラム洗濯機
JP3182118U (ja) ミシンのクラッチ装置
JP2009144741A (ja) カム装置
CN109252343A (zh) 熨衣台
CN212822876U (zh) 新型旋转翻孔装置
JP2008133950A (ja) Vベルト式自動変速装置の従動側プーリ
JP2015532139A5 (ko)
JP6359291B2 (ja) 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