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932B1 -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932B1
KR101130932B1 KR1020090109285A KR20090109285A KR101130932B1 KR 101130932 B1 KR101130932 B1 KR 101130932B1 KR 1020090109285 A KR1020090109285 A KR 1020090109285A KR 20090109285 A KR20090109285 A KR 20090109285A KR 101130932 B1 KR101130932 B1 KR 10113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on
air
liquid
treatment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2302A (ko
Inventor
곽영열
Original Assignee
곽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영열 filed Critical 곽영열
Priority to KR102009010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93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2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를 이용하여 에멀젼 제조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제조된 에멀젼에 에어가 포함되어 연소효율도 높으며, 분산도가 높아서 에멀젼의 안정도가 우수하고, 에멀젼 과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되므로 고순도의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는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액체와 제2액체를 이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액체가 각각 저장되는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와, 상기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로부터 제1 및 제2액체가 공급되어 에멀젼화가 이루어지는 처리탱크(30)와, 이 처리탱크(30)에 유화제를 공급하는 유화제저장탱크(40)와, 상기 처리탱크(30)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액체를 에멀젼화시키는 에멀젼믹서(50)와, 상기 처리탱크(32)에서 처리된 액체를 저장하는 에멀젼저장탱크(80)를 포함하고, 상기 에멀젼믹서(50)는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형상으로 되어 처리탱크(3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스테이터(51)와, 상기 처리탱크(30) 외부에 구비된 모터(55a)에 의해 구동되는 로터(54)와, 선단부가 이 로터(54)에 인접 설치된 에어관(57)과, 이 에어관(57)을 통해 외부의 에어를 처리탱크(30) 내부로 유입 분사시키는 펌핑부(58)로 이루어져서, 상기 두 액체가 로터(54)의 회전력과 함께 에어의 분사력에 의해 에멀젼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이 제공된다.
에멀젼, 처리탱크, 액체저장탱크, 에멀젼믹서, 에어

Description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Manufacture system for emulsion using an air}
본 발명은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를 이용하여 에멀젼 제조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제조된 에멀젼에 에어가 포함되어 연소효율도 높으며, 분산도가 높아서 에멀젼의 안정도가 우수하고, 에멀젼 과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되므로 고순도의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는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멀젼이란 어떤 액체 중에 그것과 혼화되지 않는 다른 액체가 미립자 상태로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이러한 에멀젼은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을 비롯하여 기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제품이나 자재 등을 가열할 필요가 있는 산업분야 등에서는 에멀젼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의 에멀젼 연료는 경유나 벙커C유와 같은 오일연료가 물과 혼합된 것으로서, 오일연료가 단독적으로 사용되는 것보다 에너지 및 환경적 측면에서 매우 유익하여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즉, 에멀젼 연료는 연소시에 에멀젼 중의 물이 먼저 증발되어 폭발함에 따라 유적이 한층 더 미세한 입자로 쪼개지므로 유적의 표면적이 커져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완전연소가 이루어져서 연료의 연소효율이 상승된다. 이에 따라, 연소시 발생되는 CO2, NOX, SOX 등의 유해가스의 발생량도 줄어들어 친환경적이다.
한편, 이러한 에멀젼 연료를 제조하는 종래의 장치들은 관의 중간부에 위치한 교반기를 회전시켜서 관을 통해 흘러가는 용액을 분산시킴으로써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오일연료와 물을 한 번 교반시켜서 제조된 에멀젼은 분산도가 낮아서 오일연료와 물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로 유통되는 시간적 간격이 꽤나 길며 더욱이 소비자가 최종적으로 소비하는 시점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오일연료와 물이 쉽게 분리되지 않아서 실질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반과 함께 외부의 에어를 이용하여 에멀젼 제조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제조된 에멀젼에 에어가 포함되어 연소효율도 높으며, 분산도가 높아서 에멀젼의 안정 도가 우수하므로 유통기간 등의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두 액체가 쉽게 분리되지 않아서 사용성이 뛰어나고, 에멀젼 과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되므로 고순도의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는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액체와 제2액체를 이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액체가 각각 저장되는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와, 상기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로부터 제1 및 제2액체가 공급되어 에멀젼화가 이루어지는 처리탱크(30)와, 이 처리탱크(30)에 유화제를 공급하는 유화제저장탱크(40)와, 상기 처리탱크(30)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액체를 에멀젼화시키는 에멀젼믹서(50)와, 상기 처리탱크(32)에서 처리된 액체를 저장하는 에멀젼저장탱크(80)를 포함하고, 상기 에멀젼믹서(50)는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형상으로 되어 처리탱크(3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스테이터(51)와, 상기 처리탱크(30) 외부에 구비된 모터(55a)에 의해 구동되는 로터(54)와, 선단부가 이 로터(54)에 인접 설치된 에어관(57)과, 이 에어관(57)을 통해 외부의 에어를 처리탱크(30) 내부로 유입 분사시키는 펌핑부(58)로 이루어져서, 상기 두 액체가 로터(54)의 회전력과 함께 에어의 분사력에 의해 에멀젼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로터(54)는 모터(55a)의 모터축(56) 선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관(57)은 모터축(56)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처리탱크(30)에는 처리탱크(30) 내의 액체를 순환시키는 리싸이클관(60)이 설치되고, 이 리싸이클관(60)에는 상기 순환되는 액체를 한 번 더 에멀젼 처리하는 라인믹서(7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액체는 등유, 중유, 경우 또는 벙커C유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제2액체는 물이며, 상기 처리탱크(30)에는 내부 용액을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34)가 구비되고, 처리탱크(30)의 상측에는 에멀젼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상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90)이 연결되며, 상기 배기관(90)의 선단에는 상기 기상물질을 액화시키기 위한 액화수단(9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액체가 담겨진 처리탱크(30)에 모터(55a)에 의해 로터(54)를 회전시키고, 펌핑부(58)에 의해 에어관(57)을 통해 로터(54) 측으로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멀젼믹서(50)를 제공함으로써, 교반과 함께 에어분사에 의해 두 액체가 에멀젼화되는 속도가 더욱 가속화되어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모터축(56)에 중공을 형성하여 이 중공이 에어관(57)을 이룸으로써, 에어관(57)을 통해 액체가 역류되거나 모터축(56)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로 인해 에어관(57)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상기와 같이 에멀젼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렇게 제조된 에멀젼에는 에어 중의 산소가 포함되어 있어서 연료로서 사용될 때, 연소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완전연소로 인해 일산화탄소 등의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처리탱크(30)에 리싸이클관(60)을 설치하여 내부의 용액을 순환시키면서 계속적으로 믹서하게 되므로 보다 균질하게 분산되어 분산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제1 및 제2액체가 쉽게 분리되지 않아서 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리싸이클관(60)에 라인믹서(70)를 구비하여, 상기 라인믹서(70)에 의해서도 추가적인 에멀젼화가 이루어지므로 나노사이즈 정도로 미분화된 분산도가 우수한 에멀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탱크(10, 20, 30, 80)에는 저장된 액체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14, 24, 34, 84)가 내장되는데, 이와 같이 액체가 가열됨에 따라 에멀젼화가 촉진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처리탱크(30)에서 발생된 대기오염물질인 기상물질이 배기되는 배기관(90)을 구비함으로써, 불순물이 없는 고순도의 연료를 얻을 수 있어서 불순물이 많이 함유된 연료가 사용되기 부적합한 고속엔진에도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배기관(90)에 액화수단(95)을 구비하여 기상물질을 대기중으로 방출하지 않으므로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 중 처리탱크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에멀젼 제조시스템은 제1액체와 제2액체를 에멀젼화시키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액체가 각각 저장되는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와, 상기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로부터 제1 및 제2액체가 공급되어 에멀젼화가 이루어지는 처리탱크(30)와, 이 처리탱크(30)에 유화제를 공급하는 유화제저장탱크(40)와, 상기 처리탱크(30)에 구비된 에멀젼믹서(50)와, 상기 처리탱크(30)에 설치되어 처리탱크(30) 내의 액체를 순환시키는 리싸이클관(60)과, 상기 리싸이클관(60)에 구비된 라인믹서(70)와, 상기 처리탱크(30)에서 처리된 액체를 저장하는 에멀젼저장탱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1액체는 벙커C유이고, 제2액체는 물인 것을 예시하며, 처리탱크(30)가 두 개여서 연속적으로 에멀젼화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예시하였다.
상기 처리탱크(30)는 제1 및 제2액체가 유입되어 에멀젼화가 이루어지는 탱크로서, 제1 및 제2처리탱크(31, 32)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각각 에멀젼믹서(50)가 구비된다.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와 제1처리탱크(31)는 원료이송관(12, 22)으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액체가 제1처리탱크(31)로 공급된다. 상기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의 배출구에 구비된 밸브는 외부 입력값에 따라 원료를 배출하도록 제어되며, 원료이송관(12, 22)에는 유량계가 장착되어 제1처리탱크(31)로 공급되는 액체들의 양을 체크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처리탱크(31)에는 제2처리탱크(32)가 이송관(39)으로 연결된다. 제1처리탱크(31)에서 처리된 액체는 상기 이송관(39)을 통해 제2처리탱크(32)로 공급되며, 제2처리탱크(32)로 공급된 용액은 상기 에멀젼믹서(50)에 의해 추가적으로 에멀젼화된다. 도 1에는 상기 이송관(39)이 리싸이클관(60)에서 분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배관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에멀젼믹서(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개구된 케이스형상인 스테이터(51)와, 이 스테이터(51)의 내부에 위치된 로터(54)와, 이 로터(54)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5)와, 에어관(57)과, 이 에어관(57)을 통해 외부의 에어를 로터(54) 측으로 유입 분사시키는 펌핑부(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51)는 처리탱크(30)의 상면 중앙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재(52)에 의해 처리탱크(3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로터(54)는 이 스테이터(51) 내부에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구동부(55)는 모터(55a)와 모터축(56)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모터축(56)은 모터(55a)에 축결합된 회전축(56a)과, 이 회전축(56a)과 동력전달수단(56c)에 의한 축결합된 구동축(56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동력전달수단(56c)은 밸트 또는 기어가 될 수 있으며, 구 동축(56b)의 선단부에는 상기 로터(54)의 중심부가 축결합되어 모터(55a)의 구동에 의해 로터(54)가 회전되는데, 회전되는 로터(54)에 의해 벙커C유와 물이 교반되면서 분산되어 에멀젼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56b)에는 중공이 구동축(56b)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이 중공이 에어관(57)을 형성하며 그 선단부는 처리탱크(30)와 연통되고 기단부에는 외부의 에어를 처리탱크(30) 내부로 주입 분사시키는 펌핑부(58)가 구비된다. 이때, 구동축(56b)이 모터(55a)에 직접 축결합될 때에는 구동축(56b)의 기단부에서 측방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펌핑부(58)와 직접 또는 별도의 관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54)의 회전에 의해 벙커C유와 물이 교반되는 과정에서 에어관(57)을 통해 에어가 분사되므로, 로터(54)의 회전과 에어의 분사에 의해 교반이 더욱 더 신속하게 진행되어 에멀젼화가 이루어지는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스테이터(51)의 측방으로 별도의 에어관(57)을 설치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되면 이 에어관(57)을 통해 액체가 역류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56b)과 평행하게 에어관(57)을 설치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되면 구동축(56b)의 고속회전에 의한 와류로 인해 에어관(57)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에어관(57)을 구동축(56b)의 내부에 형성하는 것이 상기와 같은 점을 방지할 수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51)의 둘레면에는 관통공(53)이 형성되는데, 로터(54)의 회전력에 의해 스테이터(51) 내부에 발생되는 구심력으로 인 해 처리탱크(30) 내부의 벙커C유와 물이 스테이터(52)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스테이터(51) 내부로 유입되어 스테이터(51)의 관통공(53)을 통과하는 흐름이 형성된다. 이 경우 용액이 스테이터(51)에 부딪치거나 관통공(5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물과 벙커C유의 미분화가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59은 에멀젼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축(56a)에 장착된 교반날개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1처리탱크(31)에는 상기 유화제저장탱크(40)가 연결되어 유화제가 공급된다.
그리고 한편, 이러한 처리탱크(30)에는 리싸이클관(60)이 연결된다. 이 리싸이클관(60)은 처리탱크(30)의 저면과 측면에 각각 형성된 배출구와 유입구를 연결시키며 라인믹서(70)가 장착된다. 따라서 처리탱크(30) 내의 액체는 상기 리싸이클관(6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 후 재유입되는 순환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라인믹서(70)에 의해 추가적인 에멀젼화가 이루어지므로 에멀젼 제조시간이 단축된다. 이때, 이 라인믹서(70) 역시 로터와, 이 로터 둘레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터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처리탱크(30)에는 액체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34, 35)가 장착된다. 이 히터(34, 35)에 의해 액체가 가열됨에 따라 액체의 에멀젼화가 촉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탱크(30)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 및 에멀젼저장탱크(80)에도 히터(34, 35, 14, 24, 84)가 장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액체가 가열된 상태로 처리탱크(30)로 공급되고, 처리탱크(30)에서 에멀젼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액체가 가열되므로 에멀젼화가 촉진된다. 또한, 에멀젼저장탱크(80)가 가온됨에 따라 제조된 에멀젼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처리탱크(30)에서 액체가 가열됨에 따라 처리탱크(30)에서는 제1액체, 즉, 벙커C유에 함유된 황산화물이나 질산화물 등이 기화된다. 이를 위해 처리탱크(30)는 약 60~110℃ 정도로 가열된다. 따라서, 처리탱크(30)에는 상기 기화된 황산화물이나 질산화물 등의 기상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90)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90)의 선단에 액화장치(95)를 구비하여 상기 기상물질을 액화시켜 회수함으로써 기상물질의 방출에 의한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탱크(30)에서의 처리과정에서 원료에 포함된 불순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고순도의 에멀젼연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순도의 에멀젼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안으로, 물이 저장되는 제2액체저장탱크(20)에 정수수단(29)을 연결하여 정수수단(29)을 거쳐 정수된 물이 제2액체저장탱크(20)로 유입되어 처리탱크(3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수수단(29)은 제2액체저장탱크(20)로 유입되는 물에 함유된 불용성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와, 물에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미네랄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이온교환수지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행 초기에 외부 입력값에 따른 양만큼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에 저장된 제1 및 제2액체와 유화제저장탱크(40)에 저장된 유화제가 제1처리탱크(31)로 공급되어 에멀젼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제1처리탱크(31) 내의 액체는 리싸이클관(60)을 통해 리싸이클되면서 라인믹서(70)에 의해 추가적으로 에멀젼화된다. 이 때, 상기 제1처리탱크(31)에서는 용액이 에멀젼믹서(50)에 의해서 에멀젼화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모터축(56)의 에어관(57)을 통해 유입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서도 에멀젼화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처리탱크(31)에서 소정 수준으로 에멀젼화가 이루어지면, 상기 이송관(39)을 개방하여 제1처리탱크(31) 내의 용액을 제2처리탱크(32)로 이송시킨다. 제2처리탱크(32)로 이송된 용액은 제2처리탱크(32)에서 추가적으로 에멀젼화되고 최종적으로 에멀젼저장탱크(8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제1처리탱크(31)의 용액이 제2처리탱크(32)로 이송된 다음에는 제2처리탱크(32)에서의 처리와 관계없이 제1처리탱크(31)에 제1 및 제2용액과 유화제가 재유입되어 제1처리탱크(31)에서 에멀젼화가 이루어진다. 즉, 제2처리탱크(32)에서 용액이 처리되는 과정이나, 제2처리탱크(32)의 용액이 에멀젼저장탱크(80)로 배출되는 동안에도 상기 제1처리탱크(31)는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운행되어 연속적으로 에멀젼이 제조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코스트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조된 에멀젼에는 에어 중의 산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소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완전연소가 가능하여 오염물질의 생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미 설명부호 16, 26은 각각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에 장착된 교반날개이며, 미 설명부호 62 및 98은 이송관(39)과 배기관(90)에 설치된 필터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에는 각각 보조저장탱크(18, 28)가 연결되어 이 보조저장탱크(18, 28)를 통해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로 액체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이와 같이 저장탱크(10, 18, 20, 28)를 다단으로 구성 하는 것은 제1 및 제2액체가 가열 등의 예비처리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상기 실시예 중 처리탱크를 도시한 개략도

Claims (4)

  1. 제1액체와 제2액체를 이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액체가 각각 저장되는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와, 상기 제1 및 제2액체저장탱크(10, 20)로부터 제1 및 제2액체가 공급되어 에멀젼화가 이루어지는 처리탱크(30)와, 이 처리탱크(30)에 유화제를 공급하는 유화제저장탱크(40)와, 상기 처리탱크(30)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액체를 에멀젼화시키는 에멀젼믹서(50)와, 상기 처리탱크(30)에서 처리된 액체를 저장하는 에멀젼저장탱크(80)를 포함하고, 상기 에멀젼믹서(50)는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형상으로 되어 처리탱크(3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스테이터(51)와, 상기 처리탱크(30) 외부에 구비된 모터(55a)에 의해 구동되는 로터(54)와, 선단부가 이 로터(54)에 인접 설치된 에어관(57)과, 이 에어관(57)을 통해 외부의 에어를 처리탱크(30) 내부로 유입 분사시키는 펌핑부(58)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및 제2액체가 로터(54)의 회전력과 함께 에어의 분사력에 의해 에멀젼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54)는 모터(55a)의 모터축(56) 선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관(57)은 모터축(56)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탱크(30)에는 처리탱크(30) 내의 액체를 순환시키는 리싸이클관(60)이 설치되고, 이 리싸이클관(60)에는 상기 순환되는 액체를 한 번 더 에멀젼 처리하는 라인믹서(7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체는 등유, 중유, 경우 또는 벙커C유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제2액체는 물이며, 상기 처리탱크(30)에는 내부 용액을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34)가 구비되고, 처리탱크(30)의 상측에는 에멀젼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상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90)이 연결되며, 상기 배기관(90)의 선단에는 상기 기상물질을 액화시키기 위한 액화수단(9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
KR1020090109285A 2009-11-12 2009-11-12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 KR10113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285A KR101130932B1 (ko) 2009-11-12 2009-11-12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285A KR101130932B1 (ko) 2009-11-12 2009-11-12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302A KR20110052302A (ko) 2011-05-18
KR101130932B1 true KR101130932B1 (ko) 2012-03-29

Family

ID=4436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285A KR101130932B1 (ko) 2009-11-12 2009-11-12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8107B2 (en) 2015-08-06 2021-10-19 Meiji Co., Ltd. Atomiz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duct with fluidity using said device
KR102034984B1 (ko) * 2019-04-18 2019-10-21 김명선 오일 혼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504A (ja) 1997-02-10 1998-08-18 Reika Kogyo Kk エマルション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2538947A (ja) 1999-03-17 2002-11-19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トング マイクロミキサーを使用する化粧用又は薬剤用の調合物の調製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504A (ja) 1997-02-10 1998-08-18 Reika Kogyo Kk エマルション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2538947A (ja) 1999-03-17 2002-11-19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トング マイクロミキサーを使用する化粧用又は薬剤用の調合物の調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302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701B2 (en) Bio-diesel fuel engine system and bio-diesel fuel engine operating method
EP1980326B1 (en) Method for removal of unburned carbon from fly ash
KR20110082161A (ko) 가연성 고체 분말이 포함된 혼합 연료 및 혼합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엔진
CN111302602A (zh) 连续热水解的方法和装置
KR101130932B1 (ko)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
KR20080093812A (ko) 중질유 및 폐유를 이용한 유화연료 제조장치
CN112807837B (zh) 一种立式石油过滤器
RU24981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ого эмульгирования жидкого топлива
KR100752762B1 (ko) 벙커씨유를 이용한 혼합유 제조장치
CN205528806U (zh) 发酵罐
CN209034332U (zh) 一种废矿物油与含矿物油废物的化学热洗反应系统
CN209468368U (zh) 一种煤焦油脱水设备
JP2010149089A (ja) エマルジョンオイルの連続生成方法およびエマルジョンオイルの連続生成装置
CN102182587A (zh) 一种可实现燃油、水、空气三项混合雾化的节油装置
KR20110045780A (ko) 연속식 에멀젼 제조시스템
KR100696558B1 (ko) 중질유와 수분 및 폐유를 이용한 연료유 처리장치
KR20220064009A (ko) 임펠러가 구비된 캐비테이션 발생기
CN208482371U (zh) 一种碳酸锂生产用速溶乳化机
CN207963668U (zh) 一种乳化炸药基质及废旧乳化炸药的销毁及回收装置
CN1095314A (zh) 组合式乳化机
KR100470980B1 (ko) 에멀젼 연료유의 연소방법
RU55938U1 (ru)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й кавитацион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жидкости
RU2239493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водотопливных эмульсий и ее варианты
KR200335545Y1 (ko) 고 성능 유화기
RU20501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готовки к сжиганию водотопливной смеси с органическими компонент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