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738B1 -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 및 그 표시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 및 그 표시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738B1
KR101130738B1 KR1020107019656A KR20107019656A KR101130738B1 KR 101130738 B1 KR101130738 B1 KR 101130738B1 KR 1020107019656 A KR1020107019656 A KR 1020107019656A KR 20107019656 A KR20107019656 A KR 20107019656A KR 101130738 B1 KR101130738 B1 KR 101130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unit
image information
displa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732A (ko
Inventor
신타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3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6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a video-frame or a video-field (P.I.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Abstract

휴대 전화기 등의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에서, 보존된 화상정보 중에서 원하는 화상정보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제 1 표시상태에서, 축소 화상(M5)에 의한 일람 화면에서 하나의 파일이 선택된 후에, 제 2 표시상태로의 변환 조작이 이루어지면, 표시 제어부(110)는, 비교 화면 모드를 실행한다. 즉, 표시 제어부(110)는, 선택된 파일과 이 파일의 전후 파일의 각각에 대응하는 중간 화상(M7, M8, M9)의 화상신호를 액정 표시기(500)로 송출하고,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이들 중간 화상(M7, M8, M9)을 표시시킨다. 이들 3개의 중간 화상(M7, M8, M9)은,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들어가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크게 표시된다.

Description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 및 그 표시제어방법{TERMINAL WITH DISPLAY FUNCTION AND DISPLAY CONTROL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단말에 사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단말에서는, 액정 표시기가 구비되어 있고, 이 액정 표시기의 디스플레이면 상에 여러가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디스플레이면이 크면, 한 번에 많은 정보(문서 등)를 표시하거나, 텔레비전 영상을 크게 비출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디스플레이면이 커지면, 기기 자체의 크기가 커져, 휴대할 때는 방해가 되기 쉽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에서, 2개의 디스플레이면을 가지고, 이들 디스플레이면이 전후로 겹치는 상태와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상태로 변환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휴대 전화기에 의하면, 2개의 디스플레이면이 겹친 상태가 되면, 기기 본체가 작아지기 때문에, 휴대할 때에 방해가 되기 어렵다. 한편, 사용 시에, 2개의 디스플레이면이 나란히 배열되는 상태가 되면, 큰 화면에서의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44202호 공보
그런데, 대부분의 휴대 전화기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은 내장 메모리나 기기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에 보존된다. 또한, 대부분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통신회선을 거쳐 각종 웹 사이트로부터 화상을 받아들일 수 있고, 이들 화상도 내장 메모리 등에 보존된다.
메모리에 보존된 화상으로부터는, 섬네일 작성처리에 의하여, 오리지널 화상의 축소 화상(섬네일)이 작성된다. 그리고, 소정의 기능 모드에서, 이 축소 화상의 일람 화면이 디스플레이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일람 화면의 축소 화상을 봄으로써, 어떠한 화상이 보존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휴대 전화기와 같이, 2개의 디스플레이면을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디스플레이면을 대화면화할 수 있으면, 일람 화면 전체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축소 화상을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보존된 화상중에서 원하는 화상을 선택할 때에도, 일람 화면을 빈번하게 스크롤 조작할 필요가 없어, 사용상 편리성이 좋아진다.
그러나, 보존된 화상 중에는, 연속 사진과 같이 유사한 복수의 화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들 유사한 화상 중에서 원하는 화상(예를 들면, 가장 잘 찍힌 사진)을 선택하는 경우, 축소 화상의 크기로는, 화상이 너무 작아, 이들 화상끼리를 상세하게 비교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원하는 화상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소하는 것으로, 휴대 전화기 등의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에서, 보존된 화상정보 중에서 원하는 화상정보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은, 제 1 표시면을 가지는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면을 가지는 제 2 표시부와, 상기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복수의 화상정보가 기억되는 기억부와, 상기 제 1 표시면만이 노출되는 제 1 표시상태와 상기 제 1 표시면 및 상기 제 2 표시면이 동일면 상에 있어서 노출되는 제 2 표시상태로 상기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를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정보를 제 1 크기로 일람 표시시키는 제 1 표시 제어를 행하고, 상기 변환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표시상태로부터 상기 제 2 표시상태로 변환되면, 당해 변환에 따라서, 한쪽의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표시 제어를 행하고, 다른쪽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일람 표시에 포함되는 화상정보를 제 1 크기보다 큰 제 2 크기로 표시시키는 제 2 표시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의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의 표시제어방법에서, 제 1 표시면을 가지는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면을 가지는 제 2 표시부와, 상기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복수의 화상정보가 기억되는 기억부와, 상기 제 1 표시면만이 노출되는 제 1 표시상태와 상기 제 1 표시면 및 상기 제 2 표시면이 동일면 상에 있어서 노출되는 제 2 표시상태로 상기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를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의 표시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정보를 제 1 크기로 일람 표시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변환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표시상태로부터 상기 제 2 표시상태로 변환되면, 당해 변환에 따라서, 한쪽의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정보를 제 1 크기로 일람 표시시키고, 다른쪽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일람 표시에 포함되는 화상정보를 제 1 크기보다 큰 제 2 크기로 표시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에 의하면, 다른쪽 표시면 상에 제 2 크기로 표시된 화상정보를 상세하게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복수의 화상정보 중에서 원하는 화상정보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에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2 표시 제어로서, 다른쪽의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일람 표시 중 선택된 화상정보와 당해 화상정보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를 상기 제 2 크기로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의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에서, 본 발명의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에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2 표시 제어로 표시하는 화상정보에 대한 확대 지시에 따라, 상기 제 2 크기보다 큰 제 3 크기의 화상정보를 표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원하는 화상정보를 더욱 확대시킬 수 있어, 그 화상정보를 더욱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에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2 표시 제어로 표시하는 화상정보에 대한 스크롤 지시에 따라, 표시하는 화상정보를 스크롤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크기로 표시된 화상정보를 스크롤시키면서, 차례로, 그것들 화상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에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제 2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 1 표시 제어로 표시하는 상기 일람 표시 중 원하는 화상정보가 선택되었을 때, 당해 선택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 제어로 표시하는 화상정보를 갱신하 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이전의 화상정보와 새로운 화상정보의 위치가 일람표시의 화면 상에서 떨어져 있어도, 새로운 제 2 크기의 화상정보를 신속하게 표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에서, 상기 화상정보는, 동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2 표시 제어에서, 표시의 대상에 포함되는 상기 동화상 정보를 재생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면, 화상정보가 동화상 정보인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에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상태에서 상기 화상정보가 선택된 후, 상기 제 2 표시상태로 이행되면, 당해 이행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 제어와 제 2 표시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간이한 조작에 의해 화상정보의 비교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에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상태에서 상기 화상정보가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 2 표시상태로의 변환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부의 양쪽에 상기 제 1 표시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간이한 조작에 의해 화상정보의 비교동작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부의 양쪽에 상기 제 1 표시 제어를 실행한 후 하나의 화상정보가 더 선택되면, 당해 화상정보를 상기 제 2 크기보다 큰 제 3 크기로 표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일람 표시된 화상정보의 상세를 개별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내지 의의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단, 이하의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화할 때의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조금도 제한받지 않는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제 1 디스플레이면에 의한 제 1 표시상태로부터 제 1 디스플레이면과 제 2 디스플레이면에 의한 제 2 표시상태로의 변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제 1 표시상태 시에 제 1 디스플레이면에 표시되는 초기화면(모드 선택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데이터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표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데이터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표시 제어를 행하였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데이터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표시 제어를 행하였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데이터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표시 제어를 행하였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데이터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표시 제어를 행하였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10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데이터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표시 제어를 행하였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데이터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표시 제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2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데이터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표시 제어의 변형예를 실행하였을 때의, 제 2 표시상태에서의 다른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구성예 1(변경예)의 화면표시 제어를 행하였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14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구성예 1(변경예)의 화면표시 제어를 행하였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액정 표시기(400, 500)가, 각각,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표시부」,「제 2 표시부」에 상당하고, 제 1 디스플레이면(11), 제 2 디스플레이면(21)이, 각각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표시면」,「제 2 표시면」에 상당하다. 또한, 자석(14, 23), 돌기부(16, 17), 축부(26, 27), 코일 스프링(34) 및 안내홈(39)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변환부」에 상당하다. 또한, 메모리(600)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억부」에 상당하다. 또한, 축소 화상(M5)이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크기의 화상정보」에 상당하고, 중간 화상(M7, M8, M9)이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2 크기의 화상정보」에 상당하며, 확대 화상(M10)이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3 크기의 화상정보」에 상당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유사기준」이란, 선택된 화상정보에 유사하다고 상정되는 화상정보를 추출할 때의 지표가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일람표시 상에서의 위치, 촬영일시 및 촬영위치가 유사기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분해사시도)이다. 휴대 전화기는, 제 1 캐비닛(1)과, 제 2 캐비닛(2)과, 이들 제 1, 제 2 캐비닛(1, 2)을 유지하는 유지체(3)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캐비닛(1)은, 상하로 얇고 가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제 1 캐비닛(1)에는, 액정 표시기(도시 생략)가 내장되고, 그 상면에, 제 1 디스플레이면(11)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디스플레이면(11)의 위에는, 터치패널(12)이 설치된다. 터치패널(12)은, 제 1 디스플레이면(11) 상에 표시된 각종 키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졌을 때에, 눌려진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따른 신호(위치신호)를 출력한다.
제 1 캐비닛(1)의 내부에는, 중앙의 약간 뒤쪽 위치에 카메라 모듈(13)이 배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 모듈(13)에서의 피사체상을 받아들이기 위한 렌즈창(도시생략)이, 제 1 캐비닛(1)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캐비닛(1)의 내부에는, 또한, 앞면 근방의 중앙위치에 자석(14)이 배치되어 있고, 오른쪽 앞 모서리부에 자석(15)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캐비닛(1)의 우측면 및 좌측면에는, 각각 돌기부(16, 17)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캐비닛(2)은, 상하로 얇고 가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즉, 제 2 캐비닛(2)은, 제 1 캐비닛(1)과 대략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다. 제 2 캐비닛(2)에는, 액정 표시기(도시 생략)가 내장되고, 그 상면에, 제 2 디스플레이면(2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표시화면의 크기는, 제 1 디스플레이면(11)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 2 디스플레이면(21)의 위에는, 터치패널(22)이 설치된다. 터치패널(22)은, 제 2 디스플레이면(21) 상에 표시된 각종 키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졌을 때에, 눌려진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따른 신호(위치신호)를 출력한다.
제 2 캐비닛(2)의 내부에는, 뒷면 근방의 중앙위치에 자석(23)이 배치되어 있다. 이 자석(23)과 제 1 캐비닛(1)의 자석(14)은,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대화면을 구성하는 위치에 제 1 캐비닛(1)과 제 2 캐비닛(2)이 위치가 부여된 상태(제 2 표시상태)에 있을 때에, 서로 끌어 당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캐비닛(1) 및 제 2 캐비닛(2)에서, 한쪽 자석의 자력이 충분히 크면, 다른쪽 자석을 자성체에 대신하여도 된다.
제 2 캐비닛(2) 내부에서, 오른쪽 앞 모서리부에는 폐쇄센서(24)가 배치되어 있고, 오른쪽 뒤 모서리부에는 개방센서(25)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폐쇄센서(24)및 개방센서(25)는, 예를 들면, 홀 IC 등으로 구성되고, 자석(15)의 자력에 반응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캐비닛(1)과 제 2 캐비닛(2)이 겹친 상태가 되면, 제 1 캐비닛(1)의 자석(15)이, 폐쇄센서(24)에 접근하기 때문에, 폐쇄센서(24)로부터 ON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제 1 캐비닛(1)과 제 2 캐비닛(2)이 전후로 나란히 배열된 상태가 되면, 제 1 캐비닛(1)의 자석(15)이, 개방센서(25)에 접근하기 때문에, 개방센서(25)로부터 ON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제 2 캐비닛(2)의 우측면에는 2개의 축부(26)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캐비닛(2)의 좌측면에는 2개의 축부(27)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체(3)는, 바닥판부(31)와, 바닥판부(31)의 오른쪽 끝부에 형성된 오른쪽유지부(32)와, 바닥판부(31)의 왼쪽 끝부에 형성된 왼쪽 유지부(33)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판부(31), 오른쪽 유지부(32) 및 왼쪽 유지부(33)에 둘러 싸인 수용영역 (R)에, 제 1 캐비닛(1) 및 제 2 캐비닛(2)이 상하로 겹친 상태로 수용된다.
바닥판부(31)에는, 3개의 코일 스프링(34)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코일 스프링(34)은, 제 2 캐비닛(2)이 유지체(3)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 2 캐비닛(2)의 하면에 맞닿아, 제 2 캐비닛(1, 2)에 대하여 위쪽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부여한다.
오른쪽 유지부(32)의 상면에는 마이크(35) 및 전원 버튼(3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른쪽 유지부(32)의 바깥쪽 면에는, 조작 버튼군(37)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버튼군(37)은, 매너 모드의 설정 버튼 등, 복수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일정한 기능에 대해서는, 이들 조작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터치패널(12, 22)을 조작하지 않고 실행된다. 왼쪽 유지부(33)의 상면에는, 스피커(38)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왼쪽 유지부(33) 측이 귓전에, 오른쪽 유지부(32) 측이 입가에 오도록 휴대 전화기를 가지고, 통화를 행한다.
오른쪽 유지부(32) 및 왼쪽 유지부(33)의 안쪽 면에는, 안내홈(39)[왼쪽 유지부(33) 측만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39)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홈(39a) 및 하부 홈(39b)과, 홈의 앞쪽에 형성되고, 상부 홈(39a)과 하부 홈(39b)에 연결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2개의 세로홈(39c)으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를 조립할 때에는, 축부(26, 27)를 가이드홈(39)의 하부 홈(39b)에 삽입하도록 하여, 제 2 캐비닛(2)을 유지체(3)의 수용영역(R) 내에 배치하고, 또한, 돌기부(16, 17)를 가이드홈(39)의 상부 홈(39a)에 삽입하도록 하여, 제 1 캐비닛(1)을 유지체(3)의 수용영역(R) 내에서 제 2 캐비닛(2)의 위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캐비닛(1)은, 상부 홈(39a)으로 안내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2 캐비닛(2)은, 하부 홈(39b)으로 안내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2 캐비닛(2)이 앞쪽으로 이동하여, 축부(26, 27)가 세로홈(39c)까지 오면, 제 2 캐비닛(2)은, 세로홈(39c)으로 안내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제 1 디스플레이면(11)에 의한 제 1 표시상태로부터 제 1 디스플레이면(11)과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의한 제 2 표시상태로의 변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초기상태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캐비닛(2)이 제 1 캐비닛(1)의 배후에 가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면(11)만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 상태를 「제 1 표시상태」라 한다. 변환 조작은,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행하여진다.
먼저, 사용자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캐비닛(1)을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제 1 캐비닛(1)의 뒤쪽으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캐비닛(2)을 앞쪽으로 인출한다. 이 인출조작에 의해, 제 2 캐비닛(2)이 제 1 캐비닛(1)에 완전히 겹치지 않는 위치, 즉 제 1 캐비닛(1)의 앞으로 나란히 배열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축부(26, 27)가 세로홈(39c)으로 오기 때문에, 제 2 캐비닛(2)은 코일 스프링(33)에 밀려 상승한다. 이 때, 자석(14)과 자석(23)이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더욱 큰 상승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캐비닛(1)과 제 2 캐비닛(2)이, 전후로 밀착하도록, 또한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나란히 배열한다. 제 1 디스플레이면(11)과 제 2 디스플레이면(21)이 일체화되고, 대화면이 된다. 이 상태를 「제 2 표시상태」라 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휴대 전화기는, 도 1에 의해 설명한 구성부품 외에, CPU(100), TV 모듈(200),통신 처리부(300), 액정 표시기(400, 500), 메모리(600), 배터리(700), 전원부(800)를 구비한다.
TV 모듈(200)은, TV 튜너 등을 포함하고, 안테나(210)를 거쳐 수신한 지상 디지털 방송파 등의 전파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CPU(100)로 보낸다.
카메라 모듈(13)은, 촬상 렌즈(13a), 촬상 소자(13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 렌즈(13a)는, 피사체의 상을 촬상 소자(13b) 위에 결상시킨다. 촬상 소자(13b)는, 예를 들면 CCD로 이루어지고, 받아들인 화상에 따른 촬상신호를 생성하여, CPU(100)로 보낸다.
마이크(35)는, 음성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CPU(100)로 보낸다. 스피커(38)는, CPU(100)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서 재생한다.
통신 처리부(300)는, CPU(100)로부터의 음성 신호나 화상신호, 텍스트 신호 등을 무선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310)를 거쳐 기지국으로 송신함과 동시에, 안테나(310)를 거쳐 수신한 무선신호를 음성 신호나 화상신호, 텍스트 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CPU(100)로 보낸다.
액정 표시기(400)는, 제 1 디스플레이면(11)을 구성하는 액정 패널, 백라이트장치 등을 구비하고, CPU(100)[뒤에서 설명하는 표시 제어부(110)]로부터의 구동신호에 의해, 제 1 디스플레이면(11) 상에 화상을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액정 표시기(500)는, 제 2 디스플레이면(21)을 구성하는 액정 패널, 백라이트장치 등을 구비하고, CPU(100)로부터의 구동신호에 의해, 제 2 디스플레이면(21) 상에 화상을 표시한다.
메모리(600)에는, 카메라 모듈(13)로 촬영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정지 화상, 동화상)이나 통신 처리부(300)를 거쳐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화상 데이터(정지 화상, 동화상), 텍스트 데이터(메일 데이터) 등이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보존된다.
배터리(700)는, CPU(100)나 CPU(100) 이외의 휴대 전화기의 각 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2차 전지로 이루어진다. 배터리(700)는, 전원부(800)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부(800)는, 배터리(700)의 전압을 상기 각 구성부에 필요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800)는, 외부 전원의 입력부(도시 생략)를 거쳐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700)에 공급하여, 배터리(700)를 충전한다.
전원부(800)에는, 전압 검출부(810)가 설치되어 있다. 전압 검출부(810)는, 배터리(700)의 전압을 검출하여, CPU(100)로 보낸다.
CPU(100)는, 터치패널(12, 22), 조작 버튼군(37), 마이크(35), 촬상 소자(13) 등 각 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스피커(300), 액정 표시기(400, 500) 등의 각 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각종 기능 모드(전화 모드, 메일 모드, 인터넷 모드, 텔레비전 모드, 카메라 모드 등)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CPU(100)는, 전압 검출부(810)로부터의 전압신호에 의거하여, 배터리(700)의 잔량을 판단한다.
CPU(100)는 표시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표시 제어부(110)는, CPU(100) 내에 준비된 작업 영역이 되는 메모리(도시 생략) 내에서, 액정 표시기(400, 500)에 표시할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신호(RGB 신호)를 액정 표시기(400, 500)에 출력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촬상소자(13b)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 데이터, 메모리(600) 내에 보존된 화상 데이터, 통신 처리부(300)를 거쳐 수신한 화상 데이터 등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받아들인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상신호(RGB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신호를 액정 표시기(400, 500)로 출력한다. 액정 표시기(400, 500)에는, 화상신호에 따른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제 2 캐비닛(2)이 폐쇄되어 있고, 제 1 표시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 1 디스플레이면(11) 상에 화상이 표시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제 1 표시상태일 때에 제 1 디스플레이면(11)에 표시되는 초기화면(기능 모드 선택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디스플레이면(11)의 중앙부에는, 메인 표시로서, 「텔레비전」「메일」「맵」 등 11종류의 모드키(M1)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가 화면 상에서, 원하는 모드키(M1)를 누르면, 그 모드키(M1)에 따른 기능 모드가 실행된다. 제 1 디스플레이면(11)의 상부에는, 서브 표시로서, 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안테나 마크(M2), 메일이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메일 마크(M3), 전지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마크(M4)가 구비되어 있다.
이 초기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면, 「데이터」의 모드키(M1)가 눌려지면, 데이터 표시 모드로 이행한다. 사용자는, 이 데이터 표시 모드에서,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메모리(600)에 보존된 화상(사진화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화상을 단지 바라볼 목적으로 이 모드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이들 화상 중에서 원하는 화상을 골라낼 목적으로 이 모드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골라낸 화상은, 휴대 전화기의 수신 대기화면의 바탕화면 화상이 되거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다른 기기로 옮기거나, 메일에 첨부되어 타인에게 보내질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데이터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표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데이터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표시 제어를 행하였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모드키(M1)가 눌려지면, 표시 제어부(110)는, 메모리(600)로부터 축소 화상(M5)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고, 이들 축소 화상 (M5)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신호를 액정 표시기(400)로 송출한다. 이에 의하여, 제 1 디스플레이면(11)에, 축소 화상(M5)이 복수 배열된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S1 : 도 6 참조). 또한, 이 일람 화면에서, 축소 화상(M5)의 아래쪽 위치에는, 각각의 화상의 파일명이 표시된다. 또한, 화면 오른쪽 끝에는, 일람 화면을 보내기 위한 스크롤 조작부(M6)가 표시된다.
축소 화상(M5)은, 메모리(600)에 보존된 오리지널 화상(이하, 「원화상」이라 한다)의 견본(인덱스)이 되는 것이다. 축소 화상(M5)의 화상 데이터는, 원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섬네일 처리함으로써 생성되고, 메모리(600)에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하는 화상을 골라내는 경우, 일람 화면에 표시된 축소 화상(M5)을 순서대로 보아 감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골라낼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600)에 보존된 화상 중에, 연속 사진과 같이 유사한 복수의 화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들 유사한 화상 중에서 원하는 화상(예를 들면, 가장 잘 찍힌 사진)을 선택하는 경우, 축소 화상(M5)의 크기로는, 화상이 너무 작아, 이들 화상끼리를 상세하게 비교하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는 비교하고 싶은 복수의 축소 화상(M5)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그것을 손가락 등으로 터치한다. 하나의 파일(예를 들면, 「009.jpg」)이 선택되면, 그 축소 화상(M5)은, 화상의 테두리가 굵어지는 등, 다른 축소 화상(M5)과는 다른 표시형태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원하는 파일을 선택한 후,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를 제 2 표시상태로 하도록 변환 조작을 행한다.
사용자에 의해 변환 조작이 이루어지고, 제 2 표시상태가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방센서(25)로부터의 ON 신호가 CPU(100)에 입력된다. 표시 제어부(110)는, 이 ON 신호에 의해 변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한다(S2 : YES). 또한, 폐쇄센서(24)로부터의 신호가 OFF가 됨으로써, 변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되고, 폐쇄센서(24)의 ON 신호가 없어지고 또한 개방센서(25)의 ON 신호가 있으면, 변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10)는, 제 1 표시상태로 표시된 축소 화상(M5) 중 하나가 터치됨으로써 당해 축소 화상(M5)에 대응하는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 그리고, 파일이 선택되어 있다고 판단되면(S3 : YES), 표시 제어부(110)는, 이하의 단계 S4 내지 단계 S10의 동작에 의한, 비교 화면 모드를 실행한다.
즉, 표시 제어부(110)는, 선택된 파일의 원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600)로부터 읽어내고, 이것에 대응하는 중간 화상(M7)의 화상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선택된 파일의 전후 파일의 원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각각 메모리(600)로부터 읽어내어, 중간 화상(M8) 및 중간 화상(M9)의 화상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들 중간 화상(M7, M8, M9)의 화상신호를 액정 표시기(500)로 송출하고,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이들 중간 화상(M7, M8, M9)을 표시시킨다(S4 : 도 7 참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서, 선택한 파일(예를들면, 「009.jpg」)의 중간 화상(M7)은 화면 중앙에 표시된다. 또한, 그 이전 파일(예를 들면, 「008.jpg」)의 중간 화상(M8)은, 중간 화상(M7)의 왼쪽에 표시되고, 그 뒤의 파일(예를 들면, 「010.jpg」)의 중간 화상(M9)은, 중간 화상(M7)의 오른쪽에 표시된다. 이들 3개의 중간 화상(M7, M8, M9)은,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들어가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크게 표시된다. 특히, 중앙의 중간 화상(M7)은, 좌우의 중간 화상(M8, M9)보다 약간 크게 표시된다. 또한, 중간 화상(M7, M8, M9)의 아래쪽 위치에는, 각각의 화상의 파일명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는, 축소 화상(M5)에 비하여 훨씬 크기가 큰, 연속되는 3개의 중간 화상(M7, M8, M9)이 표시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이들 중간 화상(M7, M8, M9)을 상세하게 비교하여, 원하는 화상을 골라낼 수 있다.
그런데, 제 2 디스플레이면(21) 상의, 3개의 중간 화상(M7, M8, M9)이 표시된 화면(이하, 「비교용 화면」이라 한다)에서, 중앙의 중간 화상(M7)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표시 제어부(110)는, 중앙의 파일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하고(S5 : YES), 선택된 파일의 원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600)로부터 읽어내어 확대 화상(M10)의 화상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확대 화상(M10)의 화상신호를 액정 표시기(500)로 송출하고,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확대 화상(M10)을 표시시킨다(S6 : 도 8 참조). 확대 화상(M10)은,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들어가는 최대한의 크기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선택한 파일의 화상을, 더욱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110)가, 제 2 디스플레이면(21)이 아닌, 제 1 디스플레이면(11)에 확대 화상을 표시시키는 구성이 되어도 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10)가, 제 1 디스플레이면(11)과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의한 대화면에, 이 대화면에 들어가는 최대한의 크기로, 확대 화상을 표시시키는 구성이 되어도 된다.
한편, 상기 비교용 화면에서, 중앙의 중간 화상(M7)이 아닌, 좌우의 중간 화상(M8, M9)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표시 제어부(110)는, 왼쪽 또는 오른쪽의 파일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하고(S7 : YES), 상기 단계 S4와 동일한 처리를 행하여, 선택된 파일의 중간 화상(M7')을 제 2 디스플레이면(21)의 중앙에 표시시키고, 그 파일 전후의 파일의 중간 화상(M8', M9')을 중간 화상(M7')의 좌우에 표시시킨다(S8). 예를 들면, 도 7에서, 「010.jpg」의 파일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파일의 중간 화상(M7')이 화면 중앙에 표시되고, 「009.jpg」 및 「011.jpg」의 파일의 중간 화상(M8', M9')이 그 좌우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제 2 디스플레이면(21) 상의 비교용 화면을 전후로 스크롤할 수 있고, 스크롤에 의해 새롭게 표시된 3개의 중간 화상(M7', M8', M9')의 사이에서 화상의 비교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용 화면에서, 현재 표시되어 있는 파일(예를 들면,「008.jpg」~「010.jpg」)이란 일람화면 상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는 파일(예를 들면,「001.jpg」~「003.jpg」)의 중간 화상을 표시시키고 싶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술한 스크롤 조작에 의해 제 2 디스플레이면(21) 상에서 그 파일의 중간 화상이 나타날 때까지 비교용 화면을 스크롤할 수도 있으나, 이것으로는 시간이 길게 걸린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제 1 디스플레이면(11) 상의 일람 화면에서, 원하는 파일(예를 들면, 「002.jpg」)의 축소 화상(M5)을 터치한다. 표시 제어부(110)는, 일람 화면에서 파일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S9 : YES), 상기 단계 S4와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이에 의하여, 선택된 파일의 중간 화상과 그 전후 파일의 중간 화상의 3개의 화상이,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표시된다(S10).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파일과는 떨어진 위치에 있는 파일의 중간 화상을, 신속하게 제 2 디스플레이(21)면에 표시시킬 수 있다.
그런데, 연속 사진 등 유사한 화상으로부터 원하는 화상을 골라내는 일이 없으면, 사용자는 화상끼리를 비교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제 1 표시상태에서 축소 화상(M5)의 일람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6 참조), 파일을 선택하지 않고, 제 2 표시상태로의 변환 조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면, 이전 단계 S3에서, 표시 제어부(110)는, 파일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S3 : NO), 이하의 단계 S11 내지 단계 S13의 동작에 의한, 일람 화면 모드를 실행한다.
즉, 표시 제어부(110)는, 제 1 디스플레이면(11)에 표시한 축소 화상(M5)에 계속되는 축소 화상(M5)의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600)로부터 읽어내고, 이들 축소 화상(M5)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신호를 액정 표시기(500)로 송출한다. 이에 의하여,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는, 제 1 디스플레이면(11)에 계속되는 축소 화상(M5)에 의한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S11 : 도 10 참조), 또한, 이 경우에는, 제 1 디스플레이면(11)의 일람 화면과 제 2 디스플레이면(21)의 일람 화면이 일체적인 화면이 된다. 따라서, 스크롤 조작부(M6)가 조작되었을 때에는, 일체가 된 일람 화면이 스크롤하게 된다.
다음에, 제 1 디스플레이면(11) 및 제 2 디스플레이면(21)의 양쪽의 일람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파일이 선택되면(S12 : YES), 표시 제어부(110)는, 상기 단계 S6과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하여, 선택된 파일의 확대 화상(M10)이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표시된다(S13). 이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화면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화상을, 큰 크기로 볼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면(11)과 제 2 디스플레이면(21)이 외부를 향하는 제 2 표시상태에서, 비교 화면모드가 실행된다. 그리고, 이 비교 화면모드에서, 제 1 디스플레이면(11) 상의 축소 화상(M5)에 의해 선택된 파일과, 그 파일의 전후 파일에 대하여, 축소 화상(M5)보다 큰 크기의 중간 화상 (M7, M8, M9)이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표시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제 2 디스플레이면(21) 상에서, 이들 중간 화상을 상세하게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에 보존된 화상 중에, 연속 사진과 같은 유사한 화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이들 복수의 화상 중에서 원하는 화상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중간 화상(M7, M8, M9)이 표시된 비교용 화면에서 파일을 더 선택하여, 그 파일의 확대 화상(M10)을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원하는 화상을 더욱 확대시킴으로써, 그 화상을 더욱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 비교용 화면이 전후로 스크롤되어, 새로운 중간 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중간화상을 차례로 보내면서 화상을 비교하여 갈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좋아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면(11) 상의 일람 화면으로부터 파일을 새롭게 선택하면, 그 파일과 전후 파일의 중간 화상이, 새롭게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파일과는 떨어진 위치에 있는 파일의 중간 화상을 제 2 디스플레이(21)면에 표시시키는 경우에, 이들 중간 화상을 신속하게 표시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좋아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표시상태로의 변환 조작을 행하기 전에 파일을 선택한다, 라는 소정의 이행조작에 의해 비교 화면 모드가 실행되고, 소정의 이행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으면, 일람 화면 모드가 실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사한 화상을 비교할 필요가 없을 때, 소정의 이행 조작을 행하지 않도록 하면, 일람 화면에서 축소 화상(M5)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그 축소 화상(M5)에 대응하는 확대 화상(M10)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화상을, 더욱 큰 크기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비교 화면 모드로의 소정의 이행 조작이, 제 2 표시상태로의 변환 조작을 행하기 전에 파일을 선택한다는 조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키 등을 설치하지 않고, 이행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도, 적절하게,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은, 데이터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표시 제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플로우차트이다. 도 11(a)는 변형예 1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고, 도 11(b)는 변형예 2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변형예 1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단계 3의 동작 대신, 단계 S14 내지 단계 S16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즉, 변형예 1의 구성에서는, 제 2 표시형태로 이행하였을 때에, 제 1 디스플레이면(11)과 제 2 디스플레이면(21)의 양쪽에, 도 10에 나타내는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원하는 파일이 선택되면, 도 9 또는 도 10의 표시형태로 변환된다. 도 9 또는 도 10의 표시형태의 어느 것으로 변환할지는, 미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여기서는, 도 9의 표시형태로 변환되는 모드를 "비교 모드"라 하고, 도 10의 표시형태로 변환되는 모드를 "확대 모드"라 한다. 이들 모드의 설정은,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초기화면의 「설정」 모드키(M1)를 조작함으로써 행하여진다.
표시 제어부(110)는, 단계 S2에서, 제 2 표시상태로의 변환 조작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변환 후의 표시 모드가 비교 모드로 설정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4). 그리고, 비교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표시 제어부(110)는, 상기 단계 S11과 동일한 처리를 행하고,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제 1 디스플레이면(11)에 계속되는 축소 화상(M5)의 일람 화면을 표시시킨다(S15). 이에 의하여, 도 10과 동일한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 1 디스플레이면(11) 및 제 2 디스플레이면(21)의 양쪽의 일람 화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이 선택되면(S16 : YES), 표시 제어부(110)는, 상기 단계 S4의 동작을 행한다. 이에 의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된 파일의 중간 화상(M7)과 그 전후 파일의 중간 화상(M8, M9)의 3개의 화상이,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표시된다.
한편, 표시 제어부(110)는, 단계 S14에서, 비교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확대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도 5의 단계 S11의 처리로 이행한다. 즉,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제 1 디스플레이면(11)에 이어지는 축소 화상(M5)의 일람 화면을 표시시킨다(S11). 이것에 의하여, 도 10과 동일한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 1 디스플레이면(11) 및 제 2 디스플레이면(21)의 양쪽의 일람 화면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파일이 선택되면(S12 : YES), 표시 제어부(110)는, 상기 단계 S13의 동작을 행한다. 이에 의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된 파일의 확대 화상(M10)이 표시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10)는, 단계 S15의 동작에 의해,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일람 화면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고, 이것 대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 선택을 재촉하는 메시지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에, 변형예 2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단계 S4의 동작과 단계 S5의 동작 사이에 단계 S17 및 단계 S18의 동작이 부가된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지화상 파일의 축소 화상만이 일람 화면에 배열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이 변형예 2의 구성에서는, 메모리(600)에 동화상 파일과 정지화상 파일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 일람 화면에서, 이들 파일의 축소 화상이 혼재하여 배열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서, 비교 화면 모드로 이행하면, 표시 제어부(110)는, 선택된 파일과 그 전후 파일 속에 동화상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7). 동화상이 포함되어 있으면(S17 : YES), 표시 제어부(110)는, 동화상을 재생하도록 화상신호를 액정 표시기(500)로 송출한다. 이에 의하여, 도 7에 나타내는 화면 형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표시되는 비교용 화면의 3개의 중간 화상 중, 동화상 파일의 중간 화상에 대해서는 동화상의 상태로 표시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사용자는, 중간 화상을 보았을 때에, 원화상이 동화상인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화상의 중간 화상이 복수있는 경우에는, 그 동화상끼리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정지화상만의 일람 화면과는 별도로, 동화상만의 일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동화상의 일람 화면으로부터 비교 화면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중간 화상을 동화상의 상태로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일람 화면에서 하나의 파일이 선택되면, 이 파일의 중간 화상(M7)과, 이것에 인접하는 파일의 중간 화상(M8, M9)이 표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연속 사진 등 유사한 화상은, 연속된 파일명으로 기억되는 것이 많고, 일람 화면에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많다고 상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파일명이 바뀌는 등으로 한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람 화면에서, 유사한 화상이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에 대처하도록,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구성예 1>
이 구성예에서는, 시간정보에 관련지어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600) 내에 기억되고, 화상을 확대 표시할 때에는, 정보시간이 서로 접근하는 화상끼리 서로 유사한 화상으로서 선택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시간정보는, 취사(取捨)선택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초 단위 또는 그것보다 작은 단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시간정보를 분 단위로 하면, 동일 시간(분)을 시간정보로서 가지는 화상이 다수 존재하고, 이 중에 유사하지 않은 화상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시간정보는, 초 단위, 또는 이것보다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3의 구성예에서 카메라 모듈(13)로 촬영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촬영개시 시의 시간정보가 내부 시계로부터 취득되고, 이 시간정보에 관련지어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600)에 저장된다. 그 때, 시간정보는, 초 단위, 바람직하게는 이것보다 짧은 단위가 된다. 이 경우, 시간이 접근하는 화상이 선택되면, 이들은 통상, 서로 유사한 화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메모리(600) 내에는, 다른 기기로부터 통신으로 취득된 화상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도, 통상, 화상 데이터에 시간정보(촬영시간 등)가 관련지어지나, 이 시간정보는, 다른 기기의 설정에 의하여, 초 단위보다 긴 단위(예를 들면, 날짜만)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시간이 접근하는 화상을 선택하면, 다수의 화상이 선택되고, 이들 중에는, 서로 유사하지 않은 화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선택된 다수의 화상을 더욱 골라낼 필요가 있다. 그 때의 선택 기준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파일명(파일번호) 등을 사용하여, 파일명(파일번호)이 접근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각 화상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한 위치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위치정보가 접근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시간정보를 기초로 화상을 골라내는 경우, 표시 제어부(110)는, 도 13에 나타내는 일람 화면으로부터, 원하는 파일, 예를 들면, 「009.jpg」의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실시형태에서 실행되는 비교 화면 모드의 단계 S4의 동작 대신, 다음과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즉, 표시 제어부(110)는, 선택된 파일의 촬영 일시에 가까운 순서대로 2개의 파일을 메모리(600)로부터 읽어내어, 이들 2개의 파일의 중간 화상(M8, M9)을, 선택된 파일의 중간 화상(M7)과 함께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표시시킨다. 촬영 일시가 가까운 파일이 3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파일명(파일번호)이나 위치정보를 기초로, 2개의 파일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람 화면에서의 배치에 관계없이, 선택된 화상과, 그것에 유사한 화상(예를 들면, 「008.jpg」,「어린이 1.jpg」)이 표시된다.
또한, 선택한 파일의 촬영시간에 대하여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파일에 대해서는, 동시기에 촬영된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고, 선택한 파일에 유사하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선택한 파일의 촬영시간에 가까운 2개의 파일이 추출되었을 때에, 그것들 중에서, 촬영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경과하고 있는 것이 있으면, 그 파일의 중간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구성예 2>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위치의 데이터(촬영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유사한 화상을 골라낼 수도 있다. 이 경우 촬영위치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에 관련지어 메모리(600)에 기억된다.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는, GPS 기능이 부가된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 GPS 안테나와 GPS 통신 처리부가 더 부가된다. GPS 통신처리부는, GPS 안테나를 거쳐, GPS 위성과 통신하여, 위치정보를 취득한다. 촬영 시에 취득된 위치정보가, 촬영위치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와 함께 메모리(600)에 기억된다.
그리고, 이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일람 화면으로부터, 원하는 파일이 선택되면, 표시 제어부(110)는, 선택된 파일의 촬영위치에 가까운 순서대로 2개의 파일을 메모리(600)로부터 읽어내고, 이들 2개의 파일의 중간 화상(M8, M9)을, 선택된 파일의 중간 화상(M7)과 함께 제 2 디스플레이면(21)에 표시시킨다(도 14 참조).
또한, GPS 통신 처리부의 위치 검출 정밀도에 따라서는, 약간의 위치 차이를 판별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복수의 파일의 촬영위치가 동일해지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촬영위치의 정보에 더하여 촬영시간의 정보를 가미하여 파일이 추출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나 상기 구성예에서는, 일람 화면으로부터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동화상, 정지화상 등 그 파일의 파일형식에 관계없이, 그 파일의 화상과 유사하다고 생각되는 파일의 중간 화상이 표시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유사한 화상 중에 동화상과 정지화상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유사한 정지화상만 또는 유사한 동화상만을 비교하고 싶은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한 파일과 동일한 파일형식의 것 중에서, 유사하다고 생각되는 화상이 추출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밖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비교용 화면에서, 중앙의 중간 화상(M7)이 터치되면, 확대 화면(M10)이 표시되고, 좌우의 중간 화상(M8, M9)이 터치되면, 중간 화상이 전후로 스크롤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3개의 중간 화상(M7, M8, M9)의 어느 것이 터치되어도, 터치된 파일의 확대 화상이 표시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비교용 화면 중에 스크롤 조작부가 배치되고, 이 스크롤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중간 화상이 전후로 스크롤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비교용 화면에서, 3개의 중간 화상이 표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2개 또는 4개 이상의 중간 화상이 표시되어도 된다. 단, 중간 화상의 수가 많아지면, 그 만큼,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면의 크기와의 관계로, 중간 화상이 지나치게 작아지지 않는 수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사하다고 상정되는 화상이 추출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추출된 화상이 반드시 유사할 필요는 없고,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파일명, 시간, 위치와 같은, 미리 설정된 유사 기준을 충족시키는 화상이 추출되면좋다.
그외,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나타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8)

  1.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에 있어서,
    제 1 표시면을 가지는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면을 가지는 제 2 표시부와,
    상기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복수의 화상정보가 기억되는 기억부와,
    상기 제 1 표시면만이 노출되는 제 1 표시상태와 상기 제 1 표시면 및 상기 제 2 표시면이 동일면 상에 있어서 노출되는 제 2 표시상태로 상기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를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정보를 제 1 크기로 일람 표시시키는 제 1 표시 제어를 행하고, 상기 변환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표시상태로부터 상기 제 2 표시상태로 변환되면, 당해 변환에 따라서, 한쪽의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표시 제어를 행하고, 다른쪽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일람 표시에 포함되는 화상정보를 제 1 크기보다 큰 제 2 크기로 표시시키는 제 2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2 표시 제어로서, 다른쪽의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일람 표시 중 선택된 화상정보와 당해 화상정보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를 상기 제 2 크기로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2 표시 제어로 표시하는 화상정보에 대한 확대지시에 따라, 상기 제 2 크기보다 큰 제 3 크기의 화상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제 2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 1 표시 제어로 표시하는 상기 일람 표시 중 원하는 화상정보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 2 표시 제어로 표시하는 화상정보를 당해 선택에 따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정보는, 동화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2 표시 제어에서, 표시의 대상에 포함되는 상기 동화상 정보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1 표시상태에서 상기 화상정보가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 2 표시상태로의 변환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부의 양쪽에 상기 제 1 표시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부의 양쪽에 상기 제 1 표시 제어를 실행한 후 하나의 화상정보가 선택되면, 당해 화상정보를 상기 제 2 크기보다도 큰 제 3 크기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
  8. 제 1 표시면을 가지는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면을 가지는 제 2 표시부와,
    상기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복수의 화상정보가 기억되는 기억부와,
    상기 제 1 표시면만이 노출되는 제 1 표시상태와 상기 제 1 표시면 및 상기 제 2 표시면이 동일면 상에 있어서 노출되는 제 2 표시상태로 상기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를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의 표시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상태에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정보를 제 1 크기로 일람 표시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변환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표시상태로부터 상기 제 2 표시상태로 변환되면, 당해 변환에 따라서, 한쪽의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정보를 제 1 크기로 일람 표시시키고, 다른쪽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일람 표시에 포함되는 화상정보를 제 1 크기보다 큰 제 2 크기로 표시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제어방법.
KR1020107019656A 2008-02-05 2009-02-03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 및 그 표시제어방법 KR101130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25471A JP4680273B2 (ja) 2008-02-05 2008-02-05 表示機能付き端末
JPJP-P-2008-025471 2008-02-05
PCT/JP2009/051767 WO2009099053A1 (ja) 2008-02-05 2009-02-03 表示機能付き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732A KR20100103732A (ko) 2010-09-27
KR101130738B1 true KR101130738B1 (ko) 2012-03-29

Family

ID=4095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656A KR101130738B1 (ko) 2008-02-05 2009-02-03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 및 그 표시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01203B2 (ko)
JP (1) JP4680273B2 (ko)
KR (1) KR101130738B1 (ko)
WO (1) WO2009099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09699B (en) 1998-09-24 2002-11-11 Chugau Pharmaceutical Co Ltd Ethylamine derivatives
JP5334832B2 (ja) * 2009-12-24 2013-11-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9154592B2 (en) 2010-02-05 2015-10-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veable hou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1354648B1 (ko) * 2010-04-09 2014-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 절감형 액자 겸용 텔레비전
JP2012093955A (ja) * 2010-10-27 2012-05-17 Kyocera Corp 携帯型電子機器
US9323250B2 (en) 2011-01-28 2016-04-26 Intouch Technologies, Inc. Time-dependent navigation of telepresence robots
JP5249369B2 (ja) * 2011-02-02 2013-07-31 京セラ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端末
JP5709603B2 (ja) * 2011-03-28 2015-04-3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US9098611B2 (en) * 2012-11-26 2015-08-04 Intouch Technologies, Inc. Enhanced video interaction for a user interface of a telepresence network
US9131192B2 (en) 2012-03-06 2015-09-08 Apple Inc. Unified slider control for modifying multiple image properties
US8971623B2 (en) 2012-03-06 2015-03-03 Apple Inc. Overlaid user interface tools for applying effects to image
US10282055B2 (en) 2012-03-06 2019-05-07 Apple Inc. Ordered processing of edits for a media editing application
US8963962B2 (en) * 2012-03-06 2015-02-24 Apple Inc. Display of multiple images
WO2013176758A1 (en) 2012-05-22 2013-11-28 Intouch Technologies, Inc. Clinical workflows utilizing autonomous and semi-autonomous telemedicine devices
US9361021B2 (en) 2012-05-22 2016-06-07 Irobot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s including touchpad driving interfaces for telemedicine devices
US9785240B2 (en) * 2013-03-18 2017-10-10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aware selection
EP3190479A4 (en) * 2014-09-03 2018-03-07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15015765A (ja) * 2014-10-06 2015-01-22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情報表示機器
TW201621558A (zh) * 2014-12-05 2016-06-16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輸入裝置
JP6657771B2 (ja) * 2015-10-23 2020-03-04 富士通株式会社 選択肢情報の提示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12062B2 (ja) * 2015-10-23 2019-05-15 富士通株式会社 選択肢情報の提示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600428B (zh) * 2018-04-02 2021-03-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CN110213437B (zh) * 2019-05-27 2020-10-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编辑方法及移动终端
CN110321449B (zh) * 2019-06-28 2021-07-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片显示方法及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450Y1 (ko) * 2004-11-12 2005-01-2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폰
KR100697410B1 (ko) * 2003-12-30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앨범의 이미지 탐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8192B2 (ja) * 1999-08-20 2003-12-15 日本電気株式会社 画面重畳表示型情報入出力装置
JP2002044202A (ja) 2000-07-24 2002-02-08 Tookado:Kk 携帯電話機の画像表示装置
KR20040091106A (ko) * 2002-03-08 2004-10-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체 통신장치와, 이동체 통신장치의 표시제어방법
US7292235B2 (en) * 2003-06-03 2007-11-06 Nec Electronics Corporation Controller driv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4343628B2 (ja) * 2003-09-04 2009-10-14 Hoya株式会社 電子カメラ
KR101124151B1 (ko) * 2003-11-26 2012-03-2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통신 기기 및 휴대 통신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JP4926416B2 (ja) * 2005-06-15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5170961B2 (ja) * 2006-02-01 2013-03-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20070255115A1 (en) * 2006-04-27 2007-11-01 Anglin Richard L Jr Remote diagnostic & treatment system
JP2007334651A (ja) * 2006-06-15 2007-12-27 Fujifilm Corp 画像検索方法およびその画像検索方法で画像検索を実行する画像検索装置が搭載されている撮像装置
JP5094727B2 (ja) * 2006-09-20 2012-1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4740971B2 (ja) * 2008-03-14 2011-08-03 京セラ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410B1 (ko) * 2003-12-30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앨범의 이미지 탐색방법
KR200374450Y1 (ko) * 2004-11-12 2005-01-2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01203B2 (en) 2012-10-30
JP2009187215A (ja) 2009-08-20
WO2009099053A1 (ja) 2009-08-13
KR20100103732A (ko) 2010-09-27
US20100331052A1 (en) 2010-12-30
JP4680273B2 (ja)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738B1 (ko)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 및 그 표시제어방법
KR101166092B1 (ko)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
KR101107670B1 (ko) 정보 처리장치
JP5334832B2 (ja) 携帯端末装置
US2006021145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20120272128A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JP5709603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JP2012155536A (ja) 携帯端末装置
WO201101946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JP2009176020A (ja) 映像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JP5125979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88496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JP5467064B2 (ja) 携帯端末装置
JP5749115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文書作成方法
JP5249369B2 (ja) 表示機能付き端末
JP5249371B2 (ja) 表示機能付き端末装置
KR10162268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이미지 처리 방법
JP5253536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5277737A (ja) カメラ付き携帯電子機器
KR20060035828A (ko) 카메라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촬영 영상의 관리및 검색 방법
KR20110051260A (ko) 통신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