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674B1 - 전후진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절첩식문 - Google Patents

전후진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절첩식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674B1
KR101130674B1 KR1020100062468A KR20100062468A KR101130674B1 KR 101130674 B1 KR101130674 B1 KR 101130674B1 KR 1020100062468 A KR1020100062468 A KR 1020100062468A KR 20100062468 A KR20100062468 A KR 20100062468A KR 101130674 B1 KR101130674 B1 KR 101130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r
control
steering wheel
control body
fol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865A (ko
Inventor
김기남
Original Assignee
김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남 filed Critical 김기남
Priority to KR1020100062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6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2Doors or windows extensible when set in position
    • E06B3/928Doors or windows of the lazy 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1Power supply
    • E05Y2400/612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프레임을 접어주거나 펼쳐주기 위하여 도어프레임의 전방에 전후진 구동가능하게 제어본체부가 결합되고, 제어본체부의 저면부에 전후진 구동용 구동바퀴와 좌우 회전이 가능한 별도의 조향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절첩식문에 설치되는 직진제어장치에 있어서, 제어본체부의 전후진 경로상의 바닥면에 라인 형태로 설치되는 금속재 가이더와; 제어본체부의 저면 중앙부에 가이더를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어본체부의 주행시 가이더가 근접하여 감지되었을때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한쌍의 제 1 및 제 2 근접센서와; 조향바퀴를 좌우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제 1 또는 제 2 근접센서로 부터 가이더를 감지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근접센서가 가이더를 감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조향바퀴가 회전하도록 구동모터를 좌우로 회전 구동시키는 제어부; 로 구성된 전후진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첩식문의 전후진 경로상에 금속재 가이더를 설치하고, 제어본체부가 가이더를 따라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제어본체부에 설치하므로서, 상기 제어본체부가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바닥에 깔려 있는 돌, 얼음 등에 걸려 조향바퀴가 좌,우로 회전되더라도 제어본체부가 가이더를 따라 움직이게되어 경로이탈의 위험이 없고, 절첩식문을 곡선형태로 개폐되도록 설치할 수 있어서 보다 범용적으로 절첩식문을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후진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절첩식문{A Foldable Gate Including a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전후진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절첩식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첩식문이 정해진 경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구동제어수단을 제어본체부의 하단에 설치하여 절첩식문이 전,후진 되는 도중에 바닥에 깔려있는 돌, 얼음 등에 걸려도 항상 정해진 경로를 따라 전,후진 될 수 있고, 절첩식문이 곡선형태로로 레일없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한 절첩식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과 학교 또는 관공서 및 연구소 등과 같은 대형 시설물에는 외부와 격리하고 또는 업무와 시설의 보호를 위한 담장과 함께 차량의 왕래를 위한 대형문이 구비된다.
이러한 대형문은 차량이 왕래할 수 있도록 대형으로 구성하고 또한 격리하기 위해 커다란 문을 담장의 일측면에 일측이 경첩에 의해 힌지 결합되도록 설치시켜 필요에 따라 여닫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대형문은 크고, 무거운 중량체로 구성됨에 따라 경첩의 힌지축에 의해 대형문이 일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정문을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는 바, 대형문을 개폐하는 동작이 여간 어렵지 않다.
따라서, 근자들어서는 대형문을 일측으로 회동시키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 대혀문의 길이를 축소하거나 또는 신장하도록 하여 정문을 개폐토록 하는 절첩식 문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절첩식문은 접철되는 'X' 형상으로 된 한 쌍의 신축프레임과, 상기 신축프레임들의 교차되는 부분과 이에 대응하는 신축프레임들의 교차부분과 횡간프레임 및 고정프레임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돔평프레임과, 상기 신축프레임의 절첩동작을 지지하고 상/하로 직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돔형프레임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돔형프레임의 저부에 구비된 롤러와, 상기 롤러가 좌/우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레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절첩식문은 돔형프레임의 저부에 구비된 롤러가 레일위를 구동하면서 다수의 돔형프레임이 퍼지거나 접혀지게 되어 출구를 개폐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절첩식문은 레일을 따라 롤러가 구동하면서 절첩식문이 개폐되기 때문에 레일이 파손되거나 또는 레일에 중량체가 떨어져 있게 되면 절접식문의 개폐가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절첩식문은 레일을 따라 이동되므로서, 절첩식문의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설치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바닥에 레일을 설치하지 않으면 절첩식문이 이동하는 도중에 바닥에 깔려 있는 돌, 얼음 등에 걸려 정해진 경로로 이동되지 않아 학교 또는 관공서 및 연구소 등의 정문을 정확하게 개,폐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렇게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되지 않은 절첩식문에 의해 절첩식문이 전,후진 방향으로 직진하는 동안 지켜봐야 하면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 직진 이동되지 않은 절첩식문을 다시 작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겨울철에는 레일에 눈이 쌓여 얼게되면 절첩식문을 사용하지 못하고, 그 레일에 쌓인 눈을 치우기 위해 별도의 장비를 구동해야 하므로서, 번거로움과 함께 눈을 치우기 위한 장비 구입으로 인하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첩식문의 전후진 경로상에 금속재 가이더를 설치하고, 제어본체부가 가이더를 따라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제어본체부에 설치하므로서, 상기 제어본체부가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바닥에 깔려 있는 돌, 얼음 등에 걸려 조향바퀴가 좌,우로 회전되더라도 제어본체부가 가이더를 따라 움직이게되어 경로이탈의 위험이 없고, 절첩식문을 곡선형태로 개폐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 절첩식문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닥에 돌, 얼음 등의 장애물이 있을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한 스팀 청소기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경로이탈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절첩식문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을 접어주거나 펼쳐주기 위하여 도어프레임의 전방에 전후진 구동가능하게 제어본체부가 결합되고, 제어본체부의 저면부에 전후진 구동용 구동바퀴와 좌우 회전이 가능한 별도의 조향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절첩식문에 설치되는 직진제어장치에 있어서,
제어본체부의 전후진 경로상의 바닥면에 라인 형태로 설치되는 금속재 가이더와;
제어본체부의 저면 중앙부에 가이더를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어본체부의 주행시 가이더가 근접하여 감지되었을때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한쌍의 제 1 및 제 2 근접센서와;
조향바퀴를 좌우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제 1 또는 제 2 근접센서로 부터 가이더를 감지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근접센서가 가이더를 감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조향바퀴가 회전하도록 구동모터를 좌우로 회전 구동시키는 제어부;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첩식문의 전후진 경로상에 금속재 가이더를 설치하고, 제어본체부가 가이더를 따라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제어본체부에 설치하므로서, 상기 제어본체부가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바닥에 깔려 있는 돌, 얼음 등에 걸려 조향바퀴가 좌,우로 회전되더라도 제어본체부가 가이더를 따라 움직이게되어 경로이탈의 위험이 없고, 절첩식문을 곡선형태로 개폐되도록 설치할 수 있어서 보다 범용적으로 절첩식문을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바닥에 돌, 얼음 등의 장애물이 있을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한 스팀 청소기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경로이탈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후진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절첩식문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전후진 구동제어장치의 정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조향각 센서가 결합 된 구동제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제어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조향각 센서의 감지에 의한 동작을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 1 및 제 2 근접센서의 감지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제어수단을 보인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를 구비한 접철식문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태양전지(101) 및 배터리(102)를 구비한 절첩식문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본체부(1)의 바퀴에 완충 스프링(111)을 구비한 절첩식문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제어본체부(1)와 다수의 도어프레임(2)으로 분리 구성되는 절첩식문(9)의 제어본체부(1) 하단에 직진제어장치(8)를 설치하여 제어본체부(1)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전,후진 방향으로 직진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절첩식문(9)은 다수의 도어프레임(2)의 내측에 엇갈리게 한 쌍의 신축프레임(21)을 각각 내측에 결합하고, 그 신축프레임(21)을 횡간프레임(22)으로 결합하여 상기 다수의 도어프레임(2)이 제어본체부(1)의 전,후진 방향을 따라 펼쳐지거나 또는 접힐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신축프레임(21) 중 특정 위치에 한 쌍의 고정쇠(21a)가 설치되어, 신축프레임(21)이 수직방향으로 접혀 있다가 수평방향으로 펴질 때 한 쌍의 고정쇠(21a)는 자동적으로 바닥으로 내려와 바닥에 접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쇠(21a)는 바퀴를 구비하여, 절첩식문(9)의 전후진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제어본체부(1)의 하단 전,후방으로 한 쌍의 조향바퀴(11)와 구동바퀴(16)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구동바퀴(16)는 제어본체부(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미도시된 작동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어본체부(1)를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작동모터의 정,역 구동은 미도시된 스위치 또는 리모콘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조향바퀴(11)는 제어본체부(1)의 저면부의 앞쪽 양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조향바퀴(11)에 휠커버(12)를 결합하고, 그 휠커버(12)의 상단을 제어본체부(1)의 저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13)에 자유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조향바퀴(11)가 회전축(13)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본체부(1)가 지정된 경로를 따라 구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본체부(1)의 전후진 경로상의 바닥면에 라인 형태로 금속재 가이더(74)를 설치하는데, 가이더(74)는 금속재 패널을 소정길이 형성하고, 가이더(74)의 저면부에는 지면에 박히는 수직부(75)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수직부(75)가 지면에 박히는 형태로 가이더(74)가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더(74)는 금속재 패널 뿐만 아니라 금속분말이 포함되어 있는 도료를 제어본체부(1)의 전후진 경로상의 지면에 도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가이더(74)는 지면에 돌출되지 않아도 무방하고, 그 가이더(74)가 지면에 노출되어 있으면 그 기능을 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더(74)를 따라 제어본체부(1)가 전,후진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제어본체부(1)의 저면 중앙부에 하향 돌출되는 설치대(73)에 가이더(74)에 대응하도록 가이더(74)를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어본체부(1)의 주행시 가이더(74)가 근접하여 감지되었을때 제어부(7)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한쌍의 제 1 및 제 2 근접센서(71)(72)와;
조향바퀴(11)를 좌우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와;
제 1 또는 제 2 근접센서(71)(72)로 부터 가이더(74)를 감지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근접센서(71)(72)가 가이더(74)를 감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조향바퀴(11)가 회전하도록 구동모터(5)를 좌우로 회전 구동시키는 제어부(7);를 구성한다.
상기 제 1 근접센서(71)와 제 2 근접센서(72)는 설치대(73)의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데, 그 설치 간격은 가이더(74)의 폭보다 넓게 설정하여 제어본체부(1)가 좌우로 방향이 틀어졌을 때 제 1 또는 제 2 근접센서(71)(72)가 가이더(74)의 금속성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본체부(1)가 도면상의 우측으로 틀어지면 도 6a와 같이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근접센서(71)가 가이더(74)를 감지하여 제어부(7)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본체부(1)가 도면상의 좌측으로 틀어지면 도 6b와 같이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근접센서(72)가 가이더(74)를 감지하여 제어부(7)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며, 제어부(7)는 제 1 또는 제 2 근접센서(71)(72)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그와 반대방향으로 제어본체부(1)가 움직이도록 구동모터(5)를 작동시켜 조향바퀴(11)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5)의 회전 동력을 조향바퀴(11)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제어본체부(1)의 하단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센터가이드(32)를 결합하고, 상기 센터가이드(32)상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랙기어(3)를 끼워 결합하며, 조향바퀴(11)의 휠커버(12)의 내측부와 상기 랙기어(3)의 전면부를 별도의 링크(4)로서 연결하여 조향바퀴(11)와 랙기어(3)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어본체부(1)의 내부에는 상기 랙기어(3)에 치합되는 구동기어(51)가 축설되어 있는 구동모터(5)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회전한 조향바퀴(11)를 원위치(직선방향)로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조향바퀴(11)의 회전을 감지하는 조향각센서(6a,6b)를 조향바퀴(11)의 내측에 근접하도록 설치하고,
제어부(7)는 상기 조향각센서(6)의 회전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5)를 정,역구동시켜 틀어진 조향바퀴(11)가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제어하여 제어본체부(1)가 가이더(74)를 따라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조향각센서(6)는 제어본체부(1)의 저면부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된 지지부(61)에 설치되어 좌,우 회전하는 조향바퀴(11)의 휠커버(12)에 접촉되어 눌려지는 것에 의해 제어부(7)로 전기신호를 조향 감지정보로 출력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7)는 조향각센서(6)로부터 전송되는 조향 감지정보를 보상할 수 있도록 조향바퀴(11)가 좌,우로 틀어진 반대방향으로 구동모터(5)를 구동시켜 랙기어(3)가 정중앙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랙기어(3)는 제어본체부(1)의 저면부에 설치된 조향바퀴(11)와 링크(4)로 연결되는 데, 상기 제어본체부(1)의 하단에 한 쌍의 지지부(33)를 하향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33)의 사이에 센터가이드부(32)를 결합하며, 상기 센터가이드부(32)의 외측에 끼움홀(31)이 구비된 랙기어(3)를 끼워 결합하여, 상기 랙기어(3)가 센터가이드부(32)를 따라 조향바퀴(11)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랙기어(3)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랙기어(3)를 센터가이드부(32)에 끼워 결합하여 상기 랙기어(3)의 기어부에 구동기어(51)가 치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향바퀴(11)의 휠커버(12) 내측에 각각 제 1 결합축(14)을 설치하고, 랙기어(3)의 전면부에 제 2 결합축(34)을 설치하며, 링크(4)의 양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41)을 상기 제 1 결합축(14)과 제 2 결합축(34)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끼워 결합하므로서, 조향바퀴(11)의 좌우 움직임이 발생할때 그 움직임력이 링크(4)를 통해 랙기어(3)로 전달되어 랙기어(3)가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상기 조향바퀴(11)에 링크(4)로 연결된 랙기어(3)와 치합되면서 조향바퀴(3)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 시 후설하는 제어부(7)의 제어 신호에 의해 조향바퀴(11)의 조향각을 보상할 수 있는 구동기어(51)가 축설된 구동모터(5)를 제어본체부(1)의 내부에 설치한다.
또한, 조향바퀴(11)의 조향각을 감지할 수 있는 2개의 조향각센서(6a,6b)를 좌우측 조향바퀴(11)의 휠커버(12)에 근접하게 설치하는 데,
상기 조향각센서(6a,6b)는 제어본체부(1)의 저면부의 양측에 각각 지지대(61)를 하향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61)의 일측면 즉, 휠커버(12)와 지지대(61)의 사이에 조향바퀴(11)가 좌,우 회전시 눌려져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조향각센서(6a,6b)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 가이더(74)의 시작부분과 끝단에 가이더(74)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정지부(76a)(76b)를 각각 형성하고,
제어부(7)는 제어본체부(1)가 전진 또는 후진 작동중에 제 1 및 제 2 근접센서(71)(72)에 의해 모두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본체부(1)를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램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어본체부(1)에 설치되어 있는 미도시된 스위치 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진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본체부(1)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모터가 구동하여 구동바퀴(16)가 전진구동하면서 제어본체부(1)가 전진하게된다.
제어본체부(1)를 초기 설치할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및 제 2 근접센서(71)(72)의 사이에 가이더(74)가 위치하도록 하여 가이더(74)가 제 1 및 제 2 근접센서(71)(72)의 사이에 위치할 때에는 어느 근접센서(71)(72)도 가이더(74)의 금속성분을 감지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근접센서(71)(72)에 의해 가이더(74)가 감지되지 않을때 제어부(7)는 조향바퀴(11)를 제어하지 않게된다.
제어본체부(1)가 전진하는 도중 바닥면에 돌멩이가 존재하여 조향바퀴(11)가 돌멩이를 타고 넘어가면서 방향이 틀어지거나 또는 가이더(74)가 유선형으로 휘어지게 설치되어 있어서 제어본체부(1)의 경로가 가이더(74)로 부터 틀어지게되면,
제어본체부(1)의 주행방향이 틀어진 만큼 가이더(74)를 중심으로 제어본체부(1)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움직이게되므로 도 6a 또는 도6b와 같이 제 1 또는 제 2 근접센서(71)(72)가 가이더(74)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제어부(7)로 출력하며, 제어부(7)는 제 1 또는 제 2 근접센서(71)(72)로 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본체부(1)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모터(5)를 작동시키게 된다.
구동모터(5)가 작동함에 따라 구동기어(51)가 정,역회전하면서 랙기어(3)를 좌우로 구동시키므로서, 랙기어(3)와 링크(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조향바퀴(11)가 좌,우로 움직여 제 1 또는 제 2 근접센서(71)(72)가 가이더(74)를 감지하지 못하는 방향으로 제어본체부(1)가 움직이게되며, 제어본체부(1)의 움직임에 의해 제 1 또는 제 2 근접센서(71)(72)로 부터 가이더(74)감지신호가 제어부(7)로 공급되지 않으면 제어부(7)는 구동모터(5)의 제어를 중지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7)의 제어에 의해 조향바퀴(11)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되면, 조향바퀴(11)의 회전을 조향각센서(6a,6b)가 감지하여 제어부(7)로 전기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7)는 조향각센서(6a,6b)로 부터 전기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그 반대방향으로 조향바퀴(11)를 회전시켜 조향바퀴(11)가 원위치(직진방향)로 복귀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구동모터(5)로 출력하여 조향바퀴(11)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 1 또는 제 2 근접센서(71)(72)에 의해 가이더(74)가 감지되면 제어부(7)는 근접센서(71)(72)가 가이더(74)를 감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조향바퀴(11)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동작을 조향각센서(6a,6b)가 감지하면 조향바퀴(11)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에 따라 제어본체부(1)는 지속적으로 가이더(74)를 따라 전진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동작으로 제어본체부(1)가 곡선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가이더(74)를 따라서도 전,후진 동작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근접센서(71)(72)와 조향각센서(6a)(6b)의 감지동작으로 제어본체부(1)가 가이더(74)를 따라 끝위치가지 전진하면, 가이더(74)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정지부(76b)를 제 1 및 제 2 근접센서(71)(72)가 동시에 감지하여 제어부(7)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되고, 제어부(7)는 제 1 및 제 2 근접센서(71)(72)로 부터 동시에 감지신호가 입력되었으므로 작동모터를 정지시켜 제어본체부(1)가 더이상 정지하지 않도록 하므로서 절첩식문이 정상적으로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절첩식문의 개방동작은 상기 설명된 닫혀짐 동작과 동일한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를 구비한 접철식문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팀청소기는 도 9의 91 내지 98의 요소들로 구성되며, 제어본체부(1) 내에 설치된다. 도 9에는 고압의 수증기를 배출관(97)을 통해 자동으로 배출하는 자동식 스팀청소기와 배출 호스(98)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배출하는 수동식 스팀청소기가 모두 도시된다. 한편, 당업자라면 도 9와 달리 이 둘 중 어느 하나만의 택일적인 배치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스팀청소기는 스위치 패널(92)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스위치 패널(92)의 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후방으로 고압의 수증기를 배출관(97)을 통해 자동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배출 호스(98)를 통해 수동으로 배출시켜 바닥에 존재하는 돌, 눈, 얼음과 같은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팀청소기는 고정판(95) 위에 수조(93) 및 이에 연결된 수증기 챔버(94)를 구비한다. 일단 스위치 패널(92)의 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스팀청소기의 운용이 개시되면 수조(93)에 저장된 물이 수조(93)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수증기로 변하여 수증기 챔버(94)로 전달된다. 이에 응하여 수증기 챔버(94)는 전달된 수증기를 배출관(97) 또는 배출 호스(98)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며, 이에 따라 바닥에 존재하는 돌, 눈, 얼음과 같은 장애물을 제거하여 절첩식문의 전후진 이동을 원활하게 도울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태양전지(101) 및 배터리(102)를 구비한 절첩식문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태양전지(101)는 제어본체부(1) 상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태양전지(101)로부터 생산된 전력은 절첩식문의 개폐를 위한 구동 에너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102)가 제어본체부(1)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102)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절첩식문의 개폐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102)는 태양전지(101)와 연결되어 태양전지(101)로부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본체부(1)의 바퀴에 완충 스프링(111)을 구비한 절첩식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식문의 제어본체부(1)를 지탱하는 바퀴에는 완충용 스프링(11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바닥에 장애물이 있거나 굴곡면이 있더라도 보다 부드럽게 전후진이 가능하다.
1: 제어본체부, 2: 고정프레임,
3: 랙기어, 4: 링크,
5: 구동모터, 6a,6b: 조향각센서,
7: 제어부, 8: 직진제어장치,
9: 절첩식문, 11: 조향바퀴,
12: 휠커버, 13: 회전축,
14: 제 1 결합축, 15: 관통홀,
16: 구동바퀴, 21: 신축프레임,
22: 횡간프레임, 31: 끼움홀,
32: 센터가이드, 33: 지지부,
41: 고정브라켓, 51: 구동기어,
61: 지지부, 34: 제 2 결합축,
71,72: 근접센서, 73: 설치대,
74: 가이더, 75; 수직부,
76a,76b: 정지부, 97: 배출관
98: 배출 호스 101: 태양전지
102: 배터리

Claims (10)

  1. 도어프레임(2)을 접어주거나 펼쳐주기 위하여 도어프레임(2)의 전방에 전후진 구동가능하게 제어본체부(1)가 결합되고, 제어본체부(1)의 저면부에 전후진 구동용 구동바퀴(16)와 좌우 회전이 가능한 별도의 조향바퀴(1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절첩식문에 있어서,
    제어본체부(1)의 전후진 경로상의 바닥면에 라인 형태로 설치되는 금속재 가이더(74)와;
    제어본체부(1)의 저면 중앙부에 가이더(74)를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어본체부(1)의 주행시 가이더(74)가 근접하여 감지되었을 때 제어부(7)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한쌍의 제 1 및 제 2 근접센서(71)(72)와;
    조향바퀴(11)를 좌우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와;
    제 1 또는 제 2 근접센서(71)(72)로 부터 가이더(74)를 감지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근접센서(71)(72)가 가이더(74)를 감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조향바퀴(11)가 회전하도록 구동모터(5)를 좌우로 회전 구동시키는 제어부(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문.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모터(5)의 회전 동력을 조향바퀴(11)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제어본체부(1)의 하단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센터가이드(32)를 결합하고, 상기 센터가이드(32)상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랙기어(3)를 끼워 결합하며, 조향바퀴(11)의 휠커버(12)의 내측부와 상기 랙기어(3)의 전면부를 별도의 링크(4)로서 연결하여 조향바퀴(11)와 랙기어(3)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어본체부(1)의 내부에는 상기 랙기어(3)에 치합되는 구동기어(51)가 축설되어 있는 구동모터(5)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바퀴(11)의 회전을 감지하는 조향각센서(6a,6b)를 조향바퀴(11)의 내측에 근접하도록 설치하고,
    제어부(7)는 상기 조향각센서(6)의 회전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5)를 정,역구동시켜 틀어진 조향바퀴(11)가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제어하여 제어본체부(1)가 가이더(74)를 따라 구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각센서(6)는 제어본체부(1)의 저면부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된 지지부(61)에 설치되어 좌,우 회전하는 조향바퀴(11)의 휠커버(12)에 접촉되어 눌려지는 것에 의해 제어부(7)로 전기신호를 조향 감지정보로 출력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7)는 조향각센서(6)로부터 전송되는 조향 감지정보를 보상할 수 있도록 조향바퀴(11)가 좌,우로 틀어진 반대방향으로 구동모터(5)를 구동시켜 랙기어(3)가 정중앙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74)는 금속재 패널을 소정길이 형성하고, 가이더(74)의 저면부에는 지면에 박히는 수직부(75)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74)는 금속분말이 포함되어 있는 도료를 제어본체부(1)의 전후진 경로상의 지면에 도포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74)의 시작부분과 끝단에 가이더(74)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정지부(76a)(76b)를 각각 형성하고,
    제어부(7)는 제어본체부(1)가 전진 또는 후진 작동중에 제 1 및 제 2 근접센서(71)(72)에 의해 모두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본체부(1)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본체부(1)가 전후진할 때 바닥의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본체부(1)의 내부에 스팀청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본체부(1)의 상부에 태양전지(101)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에서 발생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본체부(1)의 내부에 배터리(10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102)에서 발생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문.
KR1020100062468A 2010-06-30 2010-06-30 전후진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절첩식문 KR101130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468A KR101130674B1 (ko) 2010-06-30 2010-06-30 전후진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절첩식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468A KR101130674B1 (ko) 2010-06-30 2010-06-30 전후진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절첩식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865A KR20120001865A (ko) 2012-01-05
KR101130674B1 true KR101130674B1 (ko) 2012-03-28

Family

ID=4560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468A KR101130674B1 (ko) 2010-06-30 2010-06-30 전후진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절첩식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814A (ko) *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세한기업 태양광패널이 구비된 전동형 절첩식 출입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450A (ko) * 2004-01-28 2005-08-02 김태식 자동 및 수동 가변 대차
KR100598703B1 (ko) 2005-03-29 2006-07-11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무인 자동운반대차
KR100797552B1 (ko) 2007-09-27 2008-01-24 주정환 무인운반카트
KR100818932B1 (ko) 2007-07-18 2008-04-04 김기남 원격제어형 절첩식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450A (ko) * 2004-01-28 2005-08-02 김태식 자동 및 수동 가변 대차
KR100598703B1 (ko) 2005-03-29 2006-07-11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무인 자동운반대차
KR100818932B1 (ko) 2007-07-18 2008-04-04 김기남 원격제어형 절첩식문
KR100797552B1 (ko) 2007-09-27 2008-01-24 주정환 무인운반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814A (ko) *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세한기업 태양광패널이 구비된 전동형 절첩식 출입문
KR102071380B1 (ko) * 2018-07-11 2020-01-30 주식회사 세한기업 태양광패널이 구비된 전동형 절첩식 출입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865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9549B2 (en) Vehicle attached photovoltaic charging systems
CA2321943C (en) Rollover pressure car wash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WO2014013767A1 (ja) 太陽光発電パネル洗浄装置
RU2410510C2 (ru) Крышка вихревой ванны
US3299570A (en) Canopy
CA2502339A1 (en) Remotely controlled automatic vehicle cover
US20080202708A1 (en) Retractable door assembly for portable shelter
KR100818932B1 (ko) 원격제어형 절첩식문
KR101130674B1 (ko) 전후진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절첩식문
CN108487682B (zh) 一种连杆机构折叠方仓的使用方法
KR100667347B1 (ko)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KR101829283B1 (ko) 태양광 패널 청소로봇의 흡착장치
KR100957523B1 (ko) 펜스 개폐 구조체
CN206102550U (zh) 一种多功能家居窗户清洗装置
JP3782018B2 (ja) 自動開閉伸縮門扉における給電方法
KR20100078101A (ko) 직진성을 보장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된 절첩식문
KR20130003241U (ko) 지하철 외부 출입구용 캐노피
KR100873175B1 (ko) 주차장치
JP2008283938A (ja) 作物栽培ハウス
JP5240898B2 (ja) 建築用開閉装置
CN108209755B (zh) 一种室内智能清洁机器人
KR200378596Y1 (ko)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KR200302946Y1 (ko) 자동 대문
CN114476414B (zh) 一种可伸缩顶棚式垃圾池及其工作方法
CN220014236U (zh) 一种模块化滑移启闭智能天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