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103B1 -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103B1
KR101130103B1 KR1020090124182A KR20090124182A KR101130103B1 KR 101130103 B1 KR101130103 B1 KR 101130103B1 KR 1020090124182 A KR1020090124182 A KR 1020090124182A KR 20090124182 A KR20090124182 A KR 20090124182A KR 101130103 B1 KR101130103 B1 KR 101130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nail
thumbnails
area
screen
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547A (ko
Inventor
김문주
김성철
김병균
우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12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10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배경 화면에 둘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여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을 활성화 여부에 따라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여 배경 화면상에 배치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영역에 상기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배경 화면, 썸네일(thumbnail)

Description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umbnail}
본 발명은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배경 화면에 둘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여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적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휴대 기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근래의 테이프 재생 장치, CD 플레이어 등의 음향 재생 장치로 시작하여 무선 호출기가 등장하기도 하였으며, 현재는 휴대 전화 및 MP3 플레이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고, 휴대용 게임기도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휴대 전화의 경우 통신 수단으로서의 용도를 넘어서 다양한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하는데 그 중 시계,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및 MP 플레이어로서의 역할이 대표적이며, 휴대 전화간의 메시지 서비스로도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 전화의 형태도 바 형(bar type), 폴더 형(folder type) 및 슬라이드 형(slide type) 등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대부분의 휴대 전화들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데, 사용자는 휴대 전화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문자 또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 터치 스크린(touch-screen)이 구비된 휴대 전화가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휴대 전화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주요 수단이 물리적인 버튼이 아니라 터치 스크린인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존의 정적인 버튼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되는 화면을 통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휴대 전화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화면 공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각 기능으로 접근하는데 많은 조작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 전화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중 특정 기능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배경 화면에 둘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여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을 활성화 여부에 따라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여 배경 화면상에 배치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영역에 상기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을 활성화 여부에 따라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여 배경 화면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영역에 상기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벙에 따르 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휴대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배경 화면에 둘 이상의 영역을 설정하여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화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배경 화면상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 화면에 둘 이상의 영역이 설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는 휴대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하 휴대 단말기라 한다.
휴대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구비된 입력 수단에 의하여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배경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그 화면 구성은 더욱 복잡해지는데,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각 기능별 화면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과 날씨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및 인터넷 검색을 지원하는 화면 등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주 입력 수단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경우 물리적인 형태의 버튼의 개수가 한정됨에 따라 터치 스크린 표면을 통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게 되는데, 화면 공간이 제한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사용자 명령을 직접적으로 입력받는 부분과 단순히 보조적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휴대 단말기(20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배경 화면(110, 120)에 복수 개의 영역(111, 112, 121, 122)을 설정하여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영역에 특정 썸네일이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복수 개의 화면 영역(111, 112, 121, 122)은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활성화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화면 영역(111, 112, 121, 122)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것인데, 활성화된 화면 영역(111, 122)이 활성화되지 않은 화면 영역(112, 121)보다 크게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화면 영역이 크게 결정되는 경우 그 안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의 크기도 화면 영역의 크기에 비율적으로 크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은 동일한 배경 화면상에 A 영역(111, 121)과 B 영역(112, 122)이 활성화 여부에 따라 그 크기가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은 오른쪽 배경 화면(120)과 같이 A 영역(121)이 작게 형성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A 영역(121)이 선택되는 경우 왼쪽 배경 화면(110)과 같이 A 영역(111)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반면 B 영역(112)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고, 이 때 사용자에 의하여 B 영역(112)이 선택되는 경우 B 영역(122)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반면 A 영역(121)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각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썸네일이 포함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썸네일의 크기는 해당 영역이 크기에 비례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즉, 휴대 단말기(200)는 입력부(210), 저장부(220), 제어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화면 구성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 또는 썸네일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명령 또는 기타 제어 명령과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명령은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는데, 입력부(210)는 버튼, 휠, 조그 셔틀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210)는 그 자체만으로 하나의 장치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선 리모콘이 입력부(2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무선 리모콘에 구비된 버튼 및 휠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무선 리모콘에 관성 센서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무선 리모콘에 움직임을 가하여 해당 움직임 궤적에 대응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화면 구성부(2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을 활성화 여부에 따라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여 배경 화면상에 배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화면 영역을 배치함에 있어서 화면 구성부(25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활성화된 영역의 크기를 활성화되지 않은 영역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화면 구성부(250)는 복수 개의 화면 영역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의 화면 영역을 다른 화면 영역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복수 개의 화면 영역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의 그룹은 각 화면 영역에서 유사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인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배경 화면상에서 어떠한 화면 영역이 활성화된 것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썸네일 그룹은 다양한 형태로 화면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는데, 만일 활성화된 영역상에 복수 개의 썸네일이 일렬로 배치된 디스플레이부(240)의 표면을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도구를 이용하여 썸네일이 배치된 방향으로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드래그하면 화면 구성부(250)는 썸네일의 배치를 드래그된 방향으로 재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 스크린(touch-screen)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면 구성부(250)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면 영역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데,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의 형태뿐만 아니라 원 또는 타원과 같은 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배경 화면상의 복수 개의 화면 영역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화면 영역이 중첩되는 경우 화면 구성부(250)는 중첩된 부분을 활성화된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 영역간에 중첩된 부분을 선택하는 경우, 본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선택을 활성화된 영역을 선택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액정 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의 영상 표시 수단이 구비된 모듈로서 전달 받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40)는 화면 구성부(250)에 의하여 형성된 영역에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각 화면 영역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은 복수 개일 수 있는데, 각 썸네일별로 할당받은 계층에 따라 썸네일의 표시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상위 계층의 썸네일과 하위 계층의 썸네일이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하위 계층의 썸네일이 상위 계층의 썸네일에 의하여 가려진 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으로서, 결국 모든 인접한 썸네일이 서로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최상위 썸네일만이 완전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계층별로 썸네일의 크기가 달라질 수도 있는데, 상위 계층의 썸네일이 하위 계층의 썸네일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부(210)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240) 표면을 통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기타 도구를 디스플레이부(240)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이용한 사용자 명령은 크게 터치(touch)와 드래그(drag)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표면의 특정 지점에서 손가락 또는 도구를 접촉시키고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다른 지점까지 이동시킨 후 접촉을 해제하는 것을 의미하고, 터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표면에 손가락 또는 도구를 접촉시킨 이후에 드래그 동작 없이 그대로 접촉을 해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또는 드래그 동작을 이용하여 사용하여 사용자는 화면 구성을 전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화면 영역에 터치하는 경우 화면 구성부(250)는 해당 화면 영역을 활성화시키면서 이미 활성화되어 있던 화면 영역을 비활성화시키고, 사용자가 활성화되어 있는 영역의 썸네일 중 최상위 썸네일을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230)가 해당 썸네일에 대응되어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활성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일련의 썸네일 그룹에 대하여 드래그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해당 썸네일 그룹의 배치가 드래그 명령에 대응하여 재배치될 수도 있다.
저장부(220)는 썸네일 및 각 썸네일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상세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썸네일 및 각 썸네일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상세 정보는 자동으로 갱신된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통신 사업자의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와 통 신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정보의 수신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것이 아니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작업 없이 갱신된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저장부(220)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휴대 단말기(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입력부(210), 저장부(220), 디스플레이부(240) 및 화면 구성부(25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고, 각 모듈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썸네일에 대응되어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활성화 영역에 포함된 복수 개의 썸네일 중 최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최상위 썸네일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최상위 썸네일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부(220)에서 추출하여 재생시키거나 일시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23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터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해당 영역이 활성화 영역인지 비활성화 영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드래그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드래그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판단 결과를 화면 구성부(250)로 전달할 수 있는데, 화면 구성부(250)는 제어부(23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 화면상 영역의 활성화 여부가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왼쪽 영역(311, 321)에 제 1, 2, 3, 4, 5, 6, 7 썸네일이 포함되어 있고, 오른쪽 영역(312, 322)에 제 8, 9, 10, 11, 12, 13, 14 썸네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의 형태를 참조하여 해당 썸네일 그룹을 포함하고 있는 화면 영역의 활성화 여부 추측할 수 있게 되는데, 활성화 영역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비활성화 영역에 대한 터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도 3의 왼쪽 배경 화면(310)을 보면 오른쪽 화면 영역(312)이 비활성화되어 있고 오른쪽 배경 화면(320)을 보면 왼쪽 화면 영역(321)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왼쪽 배경 화면(310) 상태에서 오른쪽 화면 영역(312)이 선택되는 경우 오른쪽 배경 화면(320)으로 활성화 전환되고, 오른쪽 배경 화면 상태(320)에서 왼쪽 화면 영역(321)이 선택되는 경우 왼쪽 배경 화면(310)으로 활성화 전환되는 것이다.
여기서, 비활성 영역(312, 321)에 대한 터치 명령은 단순히 활성화 전환만을 위한 것으로서, 해당 영역에 포함된 썸네일에 대한 명령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쪽 배경 화면(310)의 비활성 영역(312)에 포함되어 있는 제 10 썸네일에 대한 터치 명령을 수행하더라도 휴대 단말기(200)는 제 10 썸네일에 대응하는 어떠한 동작도 수행하지 않고 단순히 오른쪽 배경 화면(320)으로 활성화 전환만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활성화 영역(311, 322)에 포함된 썸네일이 선택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200)는 해당 썸네일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해당 썸네일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 및 도 8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비활성화 영역에 반하여 활성화 영역은 사용자에 의한 드래그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는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의 배치가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활성화 영역(411)에서 드래그 명령(400)을 입력하는 경우 해당 영역(411)에 배치되어 있는 썸네일의 그룹이 드래그 명령(400)에 대응하여 재배치될 수 있는데, 도 4는 이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4의 왼쪽 배경 화면(410)의 활성화 영역(411)은 제 8, 9, 10, 11, 12, 13, 14 썸네일을 포함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드래그 명령(400)을 입력하면 전체 썸네일 그룹이 한 칸씩 위로 이동하면서 그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드래그 명령(400) 이후 활성화 영역(421)에는 제 9, 10, 11, 12, 13, 14, 15 썸네일이 포함되게 된다.
드래그 명령(400)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드래그의 거리 및 속도의 조합에 따라 썸네일 그룹의 전환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즉, 드래그의 거리가 충분히 길지 않거나 드래그 속도가 빠르지 않은 경우 썸네일 그룹이 전환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썸네일 그룹이 전환되기 위한 드래그의 거리 및 속도간에는 상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드래그의 속도가 느린 경우에도 드래그 거리가 충분히 긴 경우 썸네일 그룹 전환이 수행될 수 있고, 드래그 거리가 짧은 경우에도 드래그 속도가 충분히 빠른 경우 썸네일 그룹 전환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썸네일 그룹이 전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40)는 전환 과정을 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여 썸네일 그룹의 전환 과정이 디스플레이되다가 만일 드래그 거리 또는 드래그 속도가 썸네일 그룹을 전환시킬 정도로 충분하지 않은 경우 다시 이전의 썸네일 그룹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썸네일 그룹이 전체적으로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만일 썸네일 그룹이 좌우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좌 또는 우 방향의 드래그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썸네일 그룹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 영역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간에는 계층이 존재하는데, 상위 계층의 썸네일에 인접한 하위 계층의 썸네일간에 중첩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중첩 부분은 상위 계층의 썸네일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다.
도 4를 통하여 이를 설명하면, 왼쪽 배경 화면(410)에서 제 11 썸네일(432)이 최상위 계층의 썸네일임에 따라 제 11 썸네일(432)은 그 하위 계층의 썸네일인 제 10 썸네일(431) 및 제 12 썸네일(433)의 일정 부분을 가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썸네일 그룹이 전환됨에 따라 각 썸네일의 계층도 전환될 수 있는데, 도 4의 오른쪽 배경 화면(420)은 썸네일 그룹이 전환됨에 따라 제 12 썸네일(442) 이 최상위 계층의 썸네일이 되어 제 11 썸네일(441) 및 제 13 썸네일(443)이 제 12 썸네일(442)에 의하여 가려진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4는 드래그 명령에 의하여 썸네일 그룹이 한 칸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드래그 거리 또는 속도에 의하여 이동 칸 수가 달라질 수도 있다. 즉, 드래그 거리가 길거나 속도가 빠를수록 이동 칸 수가 늘어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중 최상위 계층이 아닌 다른 계층에 존재하는 썸네일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계층을 최상위 계층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의 배치가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활성화 영역에 포함된 썸네일 중 특정 썸네일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썸네일을 최상위 썸네일로 전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왼쪽 배경 화면(510)을 보면, 활성화 영역(511)에 제 8, 9, 10, 11, 12, 13, 14 썸네일이 배치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제 13 썸네일(513)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 중 특정 부분(514)을 선택하면 휴대 단말기(200)는 도 5의 오른쪽 배경 화면(520)과 같이 제 13 썸네일(522)을 최상위 썸네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 11 썸네일(512)에서 제 13 썸네일(522)로 최상위 썸네일이 전환되는 과정은 동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40)는 두 칸 이동하는 썸네일 그룹을 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활성화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썸네일 중 최상위 썸네일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썸네일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제어가 수행될 수도 있는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 화면상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6의 활성화 영역(600)은 도 5의 왼쪽 배경 화면(510)과 마찬가지로 제 8, 9, 10, 11, 12, 13, 14 썸네일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때 최상위 썸네일인 제 11 썸네일(611)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200)는 제 11 썸네일(611)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추출하여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해당 썸네일(611)에는 재생을 나타내는 아이콘(612)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썸네일(611) 주변에 파일명, 파일 종류, 재생 시간 또는 남은 시간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정보(미도시)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최상위 썸네일이 다시 선택되면 재생 중이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일시 중지될 수 있다. 이 때,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일시 중지된 경우 해당 썸네일(621)에는 일시 중지를 나타내는 아이콘(622)이 표시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더라도 썸네일 그룹의 이동은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거나 일시 중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드래그 명령이 입력되거나 최상위 계층이 아닌 다른 계층의 썸네일이 선택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2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제어를 중단하고 썸네일 그룹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은 사용자에 의한 썸네일 선택은 터치 명령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 화면의 둘 이상의 영역이 중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 영역은 그 형태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화면 영역(711, 712, 721, 722)이 서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때, 제어부(230)는 중첩 부분(713, 723)을 활성화 영역(712, 721)의 부분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중첩 부분(713, 723)에 대한 터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비활성화 영역(711, 722)이 아닌 활성화 영역(712, 721)에 포함된 썸네일에 대한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를 도 7을 통하여 설명하면, 도 7의 왼쪽 배경 화면(710)은 비활성화 영역(711)에 제 1 썸네일이 포함되어 있고 활성화 영역(712)에 제 2 썸네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중첩 부분(713)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200)는 제 2 썸네일(712)에 대한 동작, 예를 들면 제 2 썸네일(712)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제 2 썸네일(712)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중첩 부분(713)을 제외한 제 1 썸네일의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200)는 활성화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7의 오른쪽 배경 화면(720)과 같이 제 1 썸네일을 포함하는 화면 영역(721)이 활성화되고 제 2 썸네일을 포함하는 화면 영역(722)이 비활성화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7의 오른쪽 배경 화면(720)과 같이 제 1 썸네일을 포함하는 화면 영역(721)이 활성화 영역인 경우 해당 중첩 부분(723)에 대한 선택 명령은 제 1 썸네일에 대한 명령으로 간주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활성화 영역의 썸네일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썸네일에 대한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선택에 따른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와 같이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해당 썸네일은 날씨에 대한 썸네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썸네일(810)은 오늘 날씨를 나타내고 제 2 썸네일(820)은 내일 날씨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구름 모양, 태양 모양 또는 비 모양의 이미지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썸네일 이미지를 통하여 해당 일자의 날씨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단순히 이미지만으로 해당 일자의 상세한 날씨 변화를 확인할 수 없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활성화 영역의 썸네일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썸네일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8에서와 같이 활성화되어 있는 제 2 썸네일(820)이 선택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200)는 제 2 썸네일(820)에 대한 상세 정보 즉, 내일 날씨에 대한 상세 정보(800)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일자의 상세한 날씨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세 정보(800)에는 배경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썸네일(801, 802) 및 선택된 썸네일(820)에 대응하는 텍스트(803)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8의 왼쪽 배경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 1 썸네일(810)에 대한 상세 정보(미도시)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우선 제 1 썸네일(810)에 터치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활성화 시키고 다시 터치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 화면에 둘 이상의 영역이 설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 화면상 영역의 활성화 여부가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의 배치가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의 배치가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 화면상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 화면의 둘 이상의 영역이 중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선택에 따른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 : 입력부 220 : 저장부
230 : 제어부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화면 구성부

Claims (1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을 활성화 여부에 따라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여 배경 화면상에 배치하는 화면 구성부;
    상기 영역에 상기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활성화된 영역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 1 썸네일 중 최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최상위 썸네일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최상위 썸네일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복수 개의 제 1 썸네일들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최상위 썸네일 영역에서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썸네일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활성화된 영역의 크기를 활성화되지 않은 영역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영역상에 복수 개의 제 1 썸네일이 일렬로 배치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을 손가락 또는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썸네일이 배치된 방향으로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제 1 썸네일의 배치가 드래그된 방향으로 재배치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선택된 하나의 영역이 활성화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간에 중첩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첩된 부분은 활성화된 영역으로 결정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활성화된 영역의 썸네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8. 적어도 하나 이상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을 활성화 여부에 따라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여 배경 화면상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영역에 상기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활성화된 영역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 1 썸네일 중 최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최상위 썸네일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최상위 썸네일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복수 개의 제 1 썸네일들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최상위 썸네일 영역에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활성화된 영역의 크기를 활성화되지 않은 영역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영역상에 복수 개의 제 1 썸네일이 일렬로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을 손가락 또는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썸네일이 배치된 방향으로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제 1 썸네일의 배치가 드래그된 방향으로 재배치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1. 삭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선택된 하나의 영역이 활성화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간에 중첩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첩된 부분은 활성화된 영역으로 결정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활성화된 영역의 썸네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20090124182A 2009-12-14 2009-12-14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130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182A KR101130103B1 (ko) 2009-12-14 2009-12-14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182A KR101130103B1 (ko) 2009-12-14 2009-12-14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547A KR20110067547A (ko) 2011-06-22
KR101130103B1 true KR101130103B1 (ko) 2012-03-28

Family

ID=4439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182A KR101130103B1 (ko) 2009-12-14 2009-12-14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1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097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표시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155A (ko) * 2001-04-23 2003-03-1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장치 제어 방법
KR20050005142A (ko) * 2003-07-03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과 상기 방법을기록한 기록 매체
KR20080079716A (ko) * 2007-02-26 2008-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룹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장치 및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155A (ko) * 2001-04-23 2003-03-1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장치 제어 방법
KR20050005142A (ko) * 2003-07-03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과 상기 방법을기록한 기록 매체
KR20080079716A (ko) * 2007-02-26 2008-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룹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547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2010B2 (en) Layer-based user interface
EP2433210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pages used for a home screen
CN103164157B (zh) 在便携式终端中用于提供多点触摸交互的方法和设备
KR102089447B1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ES2796599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configurar una pantalla inactiva en un terminal portátil
KR101720849B1 (ko) 터치 스크린 호버 입력 핸들링
US9535600B2 (e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based folder control method thereof
CN108351706A (zh) 具有可卷动的显示器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03336646A (zh) 用于移动装置中的内容视图显示的方法和设备
US20110201388A1 (en) Prominent selection cues for icons
US107056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keypad in a portable terminal
KR201601287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JP2015508357A (ja) 携帯デバイス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4100953A1 (en)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JP2013084233A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365536A (zh) 便携式终端中管理屏幕的方法和装置
CN105378597A (zh) 用于显示的方法及其电子装置
KR102280474B1 (ko)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 및 장치
EP221417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of multimedia item
CN103294392A (zh) 用于在移动装置中编辑内容视图的方法和设备
KR20110085189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101966708B1 (ko)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2013084237A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30103B1 (ko)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24035B1 (ko)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