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101B1 -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 - Google Patents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101B1
KR101130101B1 KR1020090085041A KR20090085041A KR101130101B1 KR 101130101 B1 KR101130101 B1 KR 101130101B1 KR 1020090085041 A KR1020090085041 A KR 1020090085041A KR 20090085041 A KR20090085041 A KR 20090085041A KR 101130101 B1 KR101130101 B1 KR 101130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rubber composition
parts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7100A (ko
Inventor
이정원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5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1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25Compositions of the side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엠보싱한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 5~2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외관의 품질을 개선하고, 햇빛을 받으면 여러가지 색상으로 반짝이는 특성을 지니는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홀로그램 반짝이의 일예로서 PET 필름을 엠보싱(embossing) 후 알루미늄을 증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홀로그램 반짝이,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

Description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Tire sidewall rubber composition}
본 발명은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엠보싱한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 5~2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외관의 품질을 개선하고, 햇빛을 받으면 여러가지 색상으로 반짝이는 특성을 지니는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홀로그램 반짝이의 일예로서 PET 필름을 엠보싱(embossing) 후 알루미늄을 증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타이어는 외적인 면에서 볼때 지면과 접촉하며 차량의 지지, 이동을 하는 부위인 트레드(tread)와 상기 트레드를 지지하며 타이어에 대한 각종 정보가 기재된 사이드월(sidewall) 부분으로 크게 나뉜다.
보통의 타이어는 사이드월 부위에 검정색의 돌출 문자나 흰색의 문자 및 테를 이용하여 외관을 장식하고 있으며, 또한 안료를 첨가하여 외관은 개선하지만 단 지 색깔만 들어갈 뿐 그 이상의 효과는 없어 소비자의 취향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타이어 사이드월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의 기술로서는 스탬핑 호일 전사지를 이용하여 금박, 은박 및 알루미늄박 등의 박막형 전사지를 활용함으로써 홀로그램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기술이 있다. 이는 고온 및 고압에 적용시 박막층이 분리되어 홀로그램이 상실되고, 투명 코팅된 전사용 필름을 이용한 타이어 부착라벨의 경우 타이어 사이드월에 열융착이 가능하나 이 또한 필름형태로 타이어에 부착시 타이어의 굴신운동에 의하여 타이어로부터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안료에 의한 외관 개선이외에 반짝이는 성분의 펄(Pearl)을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첨가하여 이러한 펄에 의해 반짝이는 효과를 부여하고 있으나, 이러한 펄에 의한 반짝임 효과는 한가지 색상으로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엠보싱한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를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이러한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를 사이드월로 하는 타이어를 제공시 타이어의 굴신운동에 의해서도 반짝이는 성분의 제거를 예방할 수 있으며, 외관의 품질을 개선하고, 햇빛을 받으면 여러가지 색상으로 반짝이는 효과를 낼 수 있는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외관의 품질을 개선하고, 햇빛을 받으면 여러가지 색상으로 반짝이는 효과를 낼 수 있는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엠보싱한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를 포함하도록 하여 외관의 품질을 개선하고, 햇빛을 받으면 여러가지 색상으로 반짝이는 효과를 낼 수 있는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은 종래 사이드월 고무조성물과 대비시 동등 수준 이상의 물성을 나타내면서, 엠보싱한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로 인해 외관의 품질을 개선하고, 햇빛을 받으면 여러가지 색상으로 반짝이는 효과를 낼 수 있는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고무조성무로 이루어져 외관의 품질을 개선하고, 햇빛을 받으면 여러가지 색상으로 반짝이는 효과를 낼 수 있는 고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고무조성무로 이루어진 고무를 포함하여 외관의 품질을 개선하고, 햇빛을 받으면 여러가지 색상으로 반짝이는 효과를 낼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타이어 사이드월(sidewall) 고무조성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홀로그램 반짝이를 포함하도록 하여 외관의 품질을 개선하고, 햇빛을 받으면 여러가지 색상으로 반짝이는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엠보싱한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 5~20중량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원료고무는 천연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료고무는 합성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료고무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가 혼합된 혼합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료고무의 일예로 용액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SBR), 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E-SBR), 천연고무(NR), 부타디엔 고무(BR), 변성 부타디엔 고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고무,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고무, 불소고무, 실리콘고무, 니트릴고무, 수소화된 니트릴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변성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클로린네이티드 폴리에틸렌고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고무, 하이팔론고무, 클로로프렌고무, 에틸렌비닐아세티에트고무, 아크릴고무, 히드린고무, 비닐벤질클로라이드스티렌부타디엔고무, 브로모메틸스티렌부틸고무, 말레인산스티렌부타디엔고무, 카르복실산스티렌부타디엔고무, 에폭시이소프렌고무, 말레인산에틸렌프로필렌고무, 카르복실산니트릴부타디엔고무 및 BIMS(brominated polyisobutyl isoprene-co-paramethyl styrene)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원료고무는 2종이 혼합된 혼합고무를 사용시 각각 1~9:9~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원료고무는 3종이 혼합된 혼합고무를 사용시 각각 1~8:1~8:1~8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원료고무는 4종이 혼합된 혼합고무를 사용시 각각 1~7:1~7:1~7:1~7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은 엠보싱한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를 포함하고 있어 고무속에 햇빛을 받으면 여러가지 색을 발현할 수 있는 고반짝이 입자가 존재하게 되어 햇빛에 비취었을 때 밝게 빛나게 되므로 이러한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를 타이어 사이드월에 적용시 소비자의 외관품질 및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엠보싱한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는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엠보싱한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를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미만 사용하면 홀로그램 반짝이에 의해 반짝이는 효과가 크지 않으며, 2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홀로그램 반짝이의 분산성이 좋지 않아 고무조성물의 물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상기에서 엠보싱한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는 PET 필름(polyethylen terephthalate film)을 엠보싱(embossing) 후 금속을 증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PET 필름을 엠보싱 후 증착하는 금속은 알루미늄(Al), 티타늄(Ti), 아연(Zn), 구리(Cu), 은(Ag), 금(Au), 백금(Pt), 텅스텐(W)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엠보싱한 PET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에 있어서 PET 필름의 엠보싱 공정은 미세홀로그램 요철 무늬를 열과 압력을 가하여 필름에 이미지를 얻어내는 공정으로 100~200℃에서 4~5kg/cm2의 압력을 가하는 공정으로 얻을 수 있으며, 상기의 엠보싱한 PET 필름에 금속을 0.01~0.08마이크로미터(㎛)로 증착하여 홀로그램 광택을 발현시키는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엠보싱한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의 일예로서 PET 필름(polyethylen terephthalate film)을 100~200℃에서 4~5kg/cm2의 압력을 가하여 엠보싱(embossing) 후 알루미늄을 0.01~0.08마이크로미터(㎛)로 증착하여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엠보싱한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 이외에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의 물성향상을 위해 보강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은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carbon black), 실리카(silica), 산화티탄(titanium dioxide), 클레이(clay), 층상실리케이트(layered silicate), 중석(tungsten), 탈크(Talc), 신디오탁틱-1,2-폴리부타디엔(syndiotactic-1,2-polybutadiene, SPB)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보강충진제 30~8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보강충진제를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30중량부 미만을 사용하면 고무조성물의 마모특성, 인장물성 등의 물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으며, 8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량의 보강충진제의 사용에 따른 물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어, 보강충진제는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30~8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카본블랙은 BET 값이 80~150m2/g이고, 디부틸프탈레이트(DBP) 흡착가가 120~200ml/100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카본블랙은 BET 값이 120±5m2/g이고, 디부틸프탈레이트(DBP) 흡착가가 150±5ml/100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실리카는 BET 값이 100~200m2/g이고, 디부틸프탈레이트(DBP) 흡착가가 150~300ml/100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실리카는 BET 값이 150±5m2/g이고, 디부틸프탈레이트(DBP) 흡착가가 200±5ml/100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보강충진제로 실리카를 사용하는 경우, 고무조성물 내에서 실리카의 분산성 향상을 위해 커플링제(coupling agent)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커플링제는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3~1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커플링제의 일예로서 감마 머캅토 프로필 다이 펜타에톡시 트리데카옥시 에톡시 실란(gamma mercapto propyl di-penta-ethoxy tridecaoxy ethoxy silane)과 TESPT(bis trisilyl propyl tetrasulfide)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층상실리케이트는 층간 간격이 0.1~10n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층상실리케이트는 두께(d)에 대한 평면폭(l)의 비를 나타낸 편평비(aspect ratio, l/d)가 5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층상실리케이트는 편평비가 5~1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층상실리케이트는 양이온 교환반응 및/또는 음이온 교환반응이 가능한 천연 층상실리케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층상실리케이트는 양이온 교환반응 및/또는 음이온 교환반응이 가능한 합성 층상실리케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층상실리케이트는 양이온기를 갖는 물질 및/또는 음이온기를 갖는 물질로 유기화 처리된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층상실리케이트는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사포나이트(sap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렉토나이트(rector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마이카(mica), 일라이트(illite), 카올린나이트(kaolinite), 소디움 몬모릴로나이트(sodium montmorillonite, Na-MMT) 및 클로이지트 15A(Cloisite 15A)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신디오탁틱-1,2-폴리부타디엔(syndiotactic-1,2-polybutadiene, SPB)은 직경이 0.01~0.1㎛이고 비표면적이 80~90m2/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신디오탁틱-1,2-폴리부타디엔(SPB)은 직경이 1~10㎛이고 비표면적이 100~120m2/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은 고무배합물의 배합성 향상을 위해 전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은 고무배합물의 배합성 향상을 위해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전분 5~20중량부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분은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쌀전분 또는 밀전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이들 전분은 표면적이 BET 측정값으로 2~100m2/g, 바람직 하게는 15~75m2/g,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m2/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다양한 성분, 함량 등의 조건에 의해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을 적용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의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원료고무, 엠보싱한 필름에 금속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 이외에 종래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사용되는 보강충진제, 활성제, 노화방지제, 공정유, 가류제, 가류촉진제와 같은 각종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적의 선택하여 소정의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종래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성분으로서 본원발명의 필수 구성성분이 아니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고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고무를 함유하는 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고무 를 사이드월로 함유하는 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타이어는 자동차용 타이어, 버스용 타이어, 트럭용 타이어, 항공기용 타이어, 오토바이용 타이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천연고무 61중량부, EPDM고무 19중량부, 부틸고무 20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제로 신디오탁틱-1,2-폴리부타디엔(SPB) 45중량부, 가류활성제로서 산화아연(ZnO) 2.5중량부, 스테아린산(Stearic acid) 2.5중량부, 점착제 3중량부, 연화제로서 공정오일 5중량부, 노화방지제로서 N-페닐-N'-(1,3-디메틸부틸)-P-페닐렌디아민(N-phenyl-N'-(1,3-dimethylbutyl)-P-phenylenediamine, 6PPD) 3중량부, 홀로그램 반짝이 10중량부를 밴버리 믹서에 첨가하고 배합하여 고무배합물을 얻었다.
상기의 고무배합물에 가류제로서 유황 2.4중량부, 가류촉진제로서 N-t-부틸벤조티아졸 설펜아미드(N-t-butylbenzothiazole sulfenamide, NS)0.8중량부를 첨가한 후 16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가류 후 방출시켜 고무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신디오탁틱-1,2-폴리부타디엔(SPB)는 직경이 0.05±0.01㎛이고 비 표면적이 85±1m2/g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홀로그램 반짝이는 PET 필름을 150℃에서 4.5kg/cm2의 압력을 가하여 엠보싱(Embossing) 후 알루미늄을 0.05㎛로 증착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고무 조성 성분비를 다음의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PET 필름을 엠보싱(Embossing) 후 알루미늄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를 5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고무 조성 성분비를 다음의 표 1-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PET 필름을 엠보싱(Embossing) 후 알루미늄을 증착한 홀로그램 반짝이를 20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고무 조성 성분비를 다음의 표 1-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표면적이 BET 측정값으로 45±2m2/g인 옥수수 전분 10중량부를 추가로 더 사 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고무 조성 성분비를 다음의 표 1-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천연고무 61중량부, EPDM고무 19중량부, 부틸고무 20중량부로 이루어진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제로 카본블랙 45중량부, 가류활성제로서 산화아연(ZnO) 2.5중량부, 스테아린산(Stearic acid) 2.5중량부, 점착제 3중량부, 연화제로서 공정오일 5중량부, 노화방지제(6PPD) 3중량부를 밴버리 믹서에 첨가하고 배합하여 고무배합물을 얻었다.
상기의 고무배합물에 가류제로서 유황 2.4중량부, 가류촉진제로서 N-t-부틸벤조티아졸 설펜아미드(NS)0.8중량부를 첨가한 후 16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가류 후 방출시켜 고무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카본블랙은 BET 값이 120±5m2/g이고, 디부틸프탈레이트(DBP) 흡착가가 150±5ml/100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교예 1의 고무 조성 성분비를 다음의 표 1-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반짝임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유리를 코어로 하고, 상기 유리를 코팅한 코팅제로서 TiO2와 Fe2O3으로 이중코팅된 펄(Pearl)을 10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를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2의 고무 조성 성분비를 다음의 표 1-1에 나타내었다.
표 1-1. 고무조성물의 성분비(단위 : 중량부)
구 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천연고무 61 61 61
EPDM 19 19 19
부틸고무 20 20 20
보강제 45 45 45
산화아연 2.5 2.5 2.5
스테아린란 2.5 2.5 2.5
점착제 3 3 3
연화제 5 5 5
가류제 2.4 2.4 2.4
가류촉진제 0.8 0.8 0.8
노화방지제 3 3 3
Pearl - 10 -
홀로그램 반짝이 - - 10
전분 - - -
표 1-2. 고무조성물의 성분비(단위 : 중량부)
구 분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천연고무 61 61 61
EPDM 19 19 19
부틸고무 20 20 20
보강제 45 45 45
산화아연 2.5 2.5 2.5
스테아린산 2.5 2.5 2.5
점착제 3 3 3
연화제 5 5 5
가류제 2.4 2.4 2.4
가류촉진제 0.8 0.8 0.8
노화방지제 3 3 3
Pearl - - -
홀로그램 반짝이 5 20 10
전분 - - 10
<시험예 1>
상기의 비교예 1-2 및 실시예 1-4에서 얻은 고무시편 중에서 각각 비교예 및 실시예를 대표하여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무시편에 대하여 ASTM 관련 규정에 의해 각각의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비교예 2 및 실시예 1의 고무시편의 물성
구 분 비교예 2 실시예 1
Rheo Test Temp(℃) 160 160
Torque(Max) 26.9 28.3
Torque(Min) 10.9 10.5
T40 5.07 5.07
T90 8.54 8.41
End Cure 9.39 9.25
Mooney
Viscosity
점도(125℃) 24.66 23.64
T05 19.73 20.67
T35 26.67 26.80
점도(100℃) 39.10 39.40
Tensile 초기 경도 51.0 50.0
100% 모듈러스 18.3 18.4
300% 모듈러스 40.0 39.6
인장강도 131.5 130.1
신장율 556.1 558.1
노화
(24hr, 185℃)
경도 52.0 53.0
100% 모듈러스 20.2 19.0
300% 모듈러스 48.4 47.7
인장강도 91.9 90.9
신장율 444.9 440.5
<시험예 2>
상기의 비교예 1-2 및 실시예 1-4에서 얻은 고무 중에서 각각 비교예 및 실시예를 대표하여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무를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로 하고,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고무를 사이드월로 적용한 타이어 및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무를 사이드월로 적용한 타이어를 각각 햇빛에 비추었을때의 반짝임 정도를 육안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정리하였다.
표 3. 비교예 2 및 실시예 1의 고무의 반짝임 정도
항목 비교예 2 실시예 1
반짝임 정도 반짝임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무를 적용한 것에 비해 약함 반짝임이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고무를 적용한 것에 비해 강함
특징 단색의 반짝임만 보임 햇빛이 비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반짝임이 보임
상기 시험예 1의 결과에서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홀로그램 반짝이를 포함하는 고무조성물로 만든 고무는 비교예 2에서 펄을 포함하는 고무조성물로 만든 고무와 비교시 동등 수준 이상의 물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바인 반짝임 정도 면에서는 상기 표 3에서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홀로그램 반짝이를 포함하는 고무조성물로 만든 고무는 비교예 2에서 펄을 포함하는 고무조성물로 만든 고무와 비교시 반짝임 정도가 더 강하고, 또한 햇빛이 비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반짝임을 보여 단색의 반짝임만을 보인 비교예 2에 비해 반짝임 면에서 보다 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PET 필름에 미세홀로그램 요철 무늬를 100~200℃에서 4~5kg/cm2의 압력을 가하여 이미지를 얻어낸 엠보싱한 PET 필름에 알루미늄(Al), 티타늄(Ti), 아연(Zn), 구리(Cu), 은(Ag), 금(Au), 백금(Pt), 텅스텐(W)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을 0.01~0.08마이크로미터(㎛)로 증착하여 홀로그램 광택을 발현시키는 홀로그램 반짝이 5~20중량부; 층상실리케이트(layered silicate), 중석(tungsten), 탈크(Talc), 직경이 0.01~0.1㎛이고 비표면적이 80~90m2/g인 신디오탁틱-1,2-폴리부타디엔(syndiotactic-1,2-polybutadiene, SPB), 직경이 1~10㎛이고 비표면적이 100~120m2 /g인 신디오탁틱-1,2-폴리부타디엔(SPB)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보강충진제 30~80중량부; 전분 5~20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분은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쌀전분 또는 밀전분이며, 표면적이 BET 측정값으로 2~100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는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제1항의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
  4. 청구항 제1항의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무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20090085041A 2009-09-09 2009-09-09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 KR101130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041A KR101130101B1 (ko) 2009-09-09 2009-09-09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041A KR101130101B1 (ko) 2009-09-09 2009-09-09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100A KR20110027100A (ko) 2011-03-16
KR101130101B1 true KR101130101B1 (ko) 2012-03-28

Family

ID=4393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041A KR101130101B1 (ko) 2009-09-09 2009-09-09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1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0917A (ko) * 1997-04-01 1998-11-25 리차드제이콥슨 만족스러운 외관을 갖는 엘라스토머 개질된 폴리올레핀 물질의외부 자동차 구성부품
KR100480352B1 (ko) 2003-07-14 2005-04-06 (주)성경 전사용 소프트 엠보싱 부분 칼라 홀로그램의 제조 공정
KR100788042B1 (ko) * 2006-10-18 2007-12-2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펄 안료를 포함하는 고무조성물
KR20080003919A (ko) * 2005-04-26 2008-01-08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엠보싱된 금속 플레이크의 제조 방법 및 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0917A (ko) * 1997-04-01 1998-11-25 리차드제이콥슨 만족스러운 외관을 갖는 엘라스토머 개질된 폴리올레핀 물질의외부 자동차 구성부품
KR100480352B1 (ko) 2003-07-14 2005-04-06 (주)성경 전사용 소프트 엠보싱 부분 칼라 홀로그램의 제조 공정
KR20080003919A (ko) * 2005-04-26 2008-01-08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엠보싱된 금속 플레이크의 제조 방법 및 제품
KR100788042B1 (ko) * 2006-10-18 2007-12-2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펄 안료를 포함하는 고무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100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8182B1 (en) tire with a multi-layered tread
CN105985540B (zh) 橡胶组合物和轮胎
CN101688029B (zh) 轮胎用橡胶组合物以及使用了它的充气轮胎
CN103009927B (zh) 充气轮胎
EP2231759B1 (en) Tire and crosslinkable elastomeric composition comprising diatomite particles
JP6896574B2 (ja) ゴム成分に耐摩耗性及び制動特性を付与するための添加剤、ゴム組成物、並びにタイヤ
JP2000086826A (ja) ゴム混合物
CN112074421B (zh) 含来自稻壳灰的特定二氧化硅的车辆用轮胎和轮胎用弹性体组合物
KR20160057069A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EP3549977B1 (en) Rubber composition for tire tread, method for producing the composition, and tire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ion
CN103180128A (zh) 轮胎的着色部的形成方法及通过该方法获得的轮胎
KR101130101B1 (ko)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
WO2019017449A1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023759B1 (ko)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20100099517A (ko) 튜브 구조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CN104387623A (zh) 脚轮轮体外包层专用彩色橡胶组合物及其制备工艺
JP3811548B2 (ja)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KR100692565B1 (ko)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1122193B1 (ko) 타이어용 고무조성물
CN109081961A (zh) 轮胎胎面橡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370564B1 (ko) 다공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1370562B1 (ko)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
KR20090111200A (ko)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1016370B1 (ko)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885079B1 (ko) 펄을 포함하는 타이어 고무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