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616B1 -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ual touch panel mobile terminal devic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ual touch panel mobile termin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616B1
KR101129616B1 KR1020100105514A KR20100105514A KR101129616B1 KR 101129616 B1 KR101129616 B1 KR 101129616B1 KR 1020100105514 A KR1020100105514 A KR 1020100105514A KR 20100105514 A KR20100105514 A KR 20100105514A KR 101129616 B1 KR101129616 B1 KR 101129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touch panel
input
det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46367A (en
Inventor
가츠시게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00105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616B1/en
Publication of KR2011004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3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6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Abstract

터치패널 조작방법이 개시된다. 제1터치패널에서 터치가 검출되고, 소정의 휴지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터치패널로부터의 입력의 수취가 금지된다.A touch panel operating method is disclosed. A touch is detected at the first touch panel, and reception of an input from the first touch panel is prohibited based on a predetermined pause operation.

Description

휴대단말장치 및 듀얼 터치패널 휴대단말장치의 조작방법{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UAL TOUCH PANEL MOBILE TERMINAL DEVICE}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UAL TOUCH PANEL MOBILE TERMINAL DEVICE}

본 출원은 "MOBILE TERMINAL DEVICE"라는 제목으로 2009년 10월 29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9-246098호를 35 U.S.C.§119 하에 우선권주장하고,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서 인용참조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9-246098, filed October 29, 2009, entitled "MOBILE TERMINAL DEVICE", under 35 U.S.C. §119,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휴대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터치패널을 구비한 휴대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panel.

터치패널을 구비한 휴대단말장치들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휴대단말장치가 복수의 터치패널을 구비하는 경우, 작동되고 있는 터치패널과는 다른 터치패널이 실수로 조작될 수도 있다.Portable terminal devices with a touch panel are known.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touch panels, a touch panel different from the touch panel in operation may be operated by mistake.

터치패널 조작방법이 개시된다. 제1터치패널에서 터치가 검출되고, 소정의 휴지조작(deactivating operation)에 기초하여 상기 제1터치패널로부터의 입력의 수취가 금지된다.A touch panel operating method is disclosed. A touch is detected at the first touch panel, and reception of an input from the first touch panel is prohibited based on a predetermined deactivating operation.

제1실시예에서는, 휴대단말장치가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지는 표시모듈로 이루어진다. 검출모듈은 상기 표시모듈 상에서 검출되는 터치를 검출하여 입력을 얻도록 동작가능하고, 제어처리모듈은 상기 검출되는 터치에 기초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제어처리모듈은 소정의 휴지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모듈로부터의 입력의 수취를 금지하도록 더욱 동작가능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omprises a display module made of a display panel. The detection module is operable to detect an input detected on the display module to obtain an input, and the control processing module is operable to perform control based on the detected touch. The control processing module is further operable to prohibit receipt of input from the detection module based on a predetermined pause operation.

제2실시예에서는, 듀얼 터치패널 휴대단말장치의 조작방법이, 제1터치패널 상의 터치를 검출하여 검출되는 터치입력을 얻는 단계; 및 소정의 휴지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터치패널로부터의 입력의 수취를 금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In a second embodiment, an operation method of a dual touch panel portable terminal device includes: detecting a touch on a first touch panel to obtain a touch input detected; And prohibiting receipt of an input from the first touch panel based on a predetermined pause oper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device which can prevent a user's unintended operation and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본 발명의 효과 내지 의의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단, 이하의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화할 때의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조금도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Effects and signific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shown below.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 is an illustration at the time of implementing this invention to the last, and this invention is not restrict | limited at all to what w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내는 하기 도면들과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 및 묘사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크기, 범위, 규모 또는 적용가능성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이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이 도면들이 반드시 척도에 맞게 그려진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예시적인 전개된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변환하는 제2캐비넷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예시적인 기능블럭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 및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의 수취 처리를 예시한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디스플레이 및 제2디스플레이의 표시예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의 수취 처리를 예시한 흐름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디스플레이 및 제2디스플레이의 표시예를 예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라 슬립모드 설정 시에 전화 착신으로 인한 인터럽트가 있는 경우의 처리를 예시한 흐름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동작예의 처리가 실행될 때의 표시예를 예시한 도면;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동작예의 처리가 실행될 때의 표시예를 예시한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의 수취 처리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DETAILED DESCRIP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following drawings in which lik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like elements. These drawings are provided to describe and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drawing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limiting the size, range, scale, or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1 shows an exemplary developed appearanc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2D illustrate a second cabinet for converting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show examples of display screen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ceiving process of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illustrate display examples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when the sleep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ceiving process of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illustrate display examples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when the sleep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9A and 9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processing when there is an interruption due to an incoming call when setting a sleep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illustrate display examples when the processing of the first operatio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11A to 11D illustrate display examples when the processing of the second operatio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And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ceiving process of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당업계의 당업자들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설명을 하기로 한다. 하기 상세한 설명은 본질상 예시적인 것으로, 본 명세서 또는 본 출원 및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의 용도를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전혀 없다. 특정 디바이스, 기술 및 어플리케이션들의 설명도 단지 예시로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들에 대한 변형예들은 당업계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규정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타의 예시들과 응용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앞선 기술분야, 배경기술, 요약서 또는 하기 상세한 설명에 제시된 여하한의 명시되거나 암시된 이론에 의해서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전혀 없다. 본 명세서는 청구범위와 일치하는 허용된 범위이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시된 예시들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exemplary in natur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use of the specification or the application and embodiments herein. Descriptions of specific device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only. Modifications to the examples described herei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xamples and appl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have. Furthermore, there is no intention to be bound by any express or implied theory presented in the preceding technical field, background, abstract or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specification is intended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and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용적 적용예, 즉 휴대 전화기의 문맥으로 서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휴대 전화기로 제한되지 않고, 여기서 서술된 기술들은 또한 다른 적용예들에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은 디지털 북(digital book), 디지털 카메라, 전자 게임 기계,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랩탑 컴퓨터(lap top computer), iPod, iPad, 태블릿 PC(tablet PC) 등에 적용가능할 수도 있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one non-limiting practical application, i.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such a mobile phone, and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used for other applications. For example, embodiments may include digital books, digital cameras, electronic game machines, digital music players, personal digital assistance (PDA), personal handy phone systems (PHS), lap top computers, iPods, It may be applicable to an iPad, a tablet PC, or the like.

이 명세서를 읽은 후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명백해질 것과 같이, 이것들은 단지 예시에 불과하고,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 예시들과 부합되도록 작동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구조적인 변경은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A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fter reading this specification,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se examples. Other embodiments may be utilized, and structural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휴대 전화기는, 제1캐비넷(1), 제2캐비넷(2) 및 제1캐비넷(1)과 제2캐비넷(2)을 유지하는 지지체(3)로 구성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lephone is composed of a first cabinet 1, a second cabinet 2, and a support 3 holding the first cabinet 1 and the second cabinet 2.

제1캐비넷(1)은, 가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제1캐비넷(1)에는 제1디스플레이(11)가 배치되어 있다. 제1디스플레이(11)의 표시면은 제1캐비넷(1)의 전면(前面)에 배치된다. 제1디스플레이(11)는 제1액정패널(lla) 및 제1액정패널(1la)를 조명하는 제1백라이트(11b)를 구비한다.The first cabinet 1 has a horizontally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first display 11 is arranged in the first cabinet 1. The display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11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abinet 1. The first display 11 includes a first liquid crystal panel lla and a first backlight 11b for illuminating the first liquid crystal panel 1la.

제1디스플레이(11)의 전면(前面)에는 제1터치패널(12)이 배치되어 있다. 제1터치패널(12)은 투명한 시트형상의 부재이다. 사용자는 제1터치패널(12)을 통해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을 볼 수 있다.The first touch panel 12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11. The first touch panel 12 is a transparent sheet-like member. The user may see a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11 through the first touch panel 12.

제1터치패널(12)은, 제1투명전극과 제2투명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투명전극과 제2투명전극은 매트릭스식 방식으로 배치된다. 제1터치패널(12)은, 상기 제1투명전극과 제2투명전극 사이의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검출한다. 제1터치패널(12)은, 상기 검출된 정전용량의 변화를 토대로, 사용자가 터치하는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를 검출한다. 제1터치패널(12)은 상기 검출된 위치에 따라 위치 신호를 출력한다.The first touch panel 12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re arranged in a matrix manner. The first touch panel 12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The first touch panel 12 detects a position on the display touched by the user based on the detected change in capacitance. The first touch panel 12 outputs a posi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제1캐비넷(1)의 내부에는, 중앙의 약간 후방 위치에 카메라모듈(13)이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모듈(13)은 피사체상을 취하기 위한 렌즈창(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상기 렌즈창은 제1캐비넷(1)의 후면에 설치된다. 제1캐비넷(1)의 내부에는, 전면(前面) 근방의 중앙 위치에 자석(14)이 배치되어 있다. 제1캐비넷(1)의 내부에는, 오른쪽 전방 코너에 자석(15)이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제1캐비넷(1)의 우측면과 좌측면에는 각각 돌기부(16, 17)가 설치된다.Inside the first cabinet 1, the camera module 13 is arranged at a slightly rearward position in the center. The camera module 13 has a lens window (not shown) for taking an image of a subject. The lens window i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first cabinet (1). The magnet 14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center position of the front vicinity in the inside of the 1st cabinet 1. The magnet 15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right front corner inside the 1st cabinet 1. Moreover, the protrusions 16 and 17 are provided in the right side and left side of the 1st cabinet 1, respectively.

제2캐비넷(2)은 가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즉, 제2캐비넷(2)은, 제1캐비넷(1)과 거의 같은 형상과 크기를 가진다. 제2캐비넷(2)에는 제2디스플레이(21)가 배치되어 있다. 제2디스플레이(21)의 표시면이 제2캐비넷(2)의 전면(前面)에 배치되어 있다. 제2디스플레이(21)는 제2액정패널(21a) 및 제2액정패널(21a)을 조명하는 제2백라이트(21b)를 구비한다. 제1디스플레이(11) 및 제2디스플레이(12)는 유기 EL과 같은 여타의 표시소자일 수도 있다.The second cabinet 2 has a horizontally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at is, the second cabinet 2 has a shape and siz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cabinet 1. The second display 21 is arranged in the second cabinet 2. The display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21 is arrang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abinet 2. The second display 21 has a second liquid crystal panel 21a and a second backlight 21b for illuminating the second liquid crystal panel 21a. The first display 11 and the second display 12 may be other display elements such as an organic EL.

제2디스플레이(21)의 전면(前面)에는 제2터치패널(22)이 배치되어 있다. 제2터치패널(22)의 구성은 제1터치패널(12)과 마찬가지다.The second touch panel 22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21.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touch panel 2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touch panel 12.

제2캐비넷(2)의 내부에는, 후면 근방의 중앙 위치에 자석(23)이 배치되어 있다. 자석(23) 및 자석(14)은 제1캐비넷(1)과 제2캐비넷(2)이 열려진 상태(열린 상태)로 들어갈 때에 서로 끌어당긴다. 제1캐비넷(1) 및 제2캐비넷(2)이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 제1디스플레이(11) 및 제2디스플레이(21)가 하나의 큰 화면을 구성한다. 자석(23) 및 자석(14) 중 어느 한편의 자력이 충분히 크면, 나머지 다른 자석이 자성체일 수도 있다.Inside the second cabinet 2, a magnet 23 is disposed at a central position near the rear surface. The magnet 23 and the magnet 14 are attract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abinet 1 and the second cabinet 2 enter the open state (open state). When the first cabinet 1 and the second cabinet 2 are in the open state, the first display 11 and the second display 21 constitute one large screen. If the magnetic force of either the magnet 23 or the magnet 14 is large enough, the other magnet may be a magnetic body.

제2캐비넷(2)의 내부에는, 오른쪽 전방 코너에 폐쇄센서(24)가 배치되어 있다. 제2캐비넷(2)의 내부에는, 오른쪽 후방 코너에 개방센서(25)가 배치되어 있다. 폐쇄센서(24) 및 개방센서(25)는 예컨대 hole IC이고, 상기 자석의 자력에 반응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제1캐비넷(1)과 제2캐비넷(2)이 겹친 상태가 되면, 제1캐비넷(1)의 자석(15)이 폐쇄센서(24)에 접근한다. 이 때, 폐쇄센서(24)로부터 ON 신호가 출력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1캐비넷(1)과 제2캐비넷(2)이 차례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가 되면, 제1캐비넷(1)의 자석(15)이 개방센서(25)에 접근한다. 이때, 개방센서(25)로부터 ON 신호가 출력된다.Inside the second cabinet 2, a closing sensor 24 is disposed at the right front corner. Inside the second cabinet 2, an open sensor 25 is disposed at the right rear corner. The closing sensor 24 and the opening sensor 25 are hole ICs, for example, and output a detection signal in response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When the first cabinet 1 and the second cabinet 2 overlap, the magnet 15 of the first cabinet 1 approaches the closing sensor 24. At this time, the ON signal is output from the closing sensor 24.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cabinet 1 and the second cabinet 2 are arranged side by side, the magnet 15 of the first cabinet 1 approaches the open sensor 25. At this time, the ON signal is output from the open sensor 25.

더욱이, 제2캐비넷(2)의 우측면에는 2개의 축부(26)가 설치된다. 제2캐비넷(2)의 좌측면에는 2개의 축부(27)가 설치된다.Furthermore, two shaft portions 26 ar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abinet 2. Two shaft portions 27 ar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cabinet 2.

지지체(3)는, 바닥판모듈(31), 바닥판모듈(31)의 오른쪽 단부에 형성된 우측지지모듈(32), 및 바닥판모듈(31)의 왼쪽 단부에 형성된 좌측지지모듈(33)을 구비한다. 바닥판모듈(31), 우측지지모듈(32) 및 좌측지지모듈(33)에 둘러싸인 수용영역 R에는, 제1캐비넷(1) 및 제2캐비넷(2)이 상하 겹친 상태로 수용된다.The support 3 includes a bottom plate module 31, a right support module 32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bottom plate module 31, and a left support module 33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bottom plate module 31. Equipped. The first cabinet 1 and the second cabinet 2 are accommodated in a state where the bottom plate module 31, the right support module 32, and the left support module 33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바닥판모듈(31)에는, 3 개의 코일스프링(34)이 좌우방향으로 줄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코일스프링(34)은, 제2캐비넷(2)이 지지체(3)에 부착되는 상태로 제2캐비넷(2)의 하면에 맞닿는다. 코일스프링(34)은 맞닿는 제2캐비넷(2)을 밀어 올리는 힘을 제공한다.In the bottom plate module 31, three coil springs 34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se coil springs 34 abu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abinet 2 in a state where the second cabinet 2 is attached to the support 3. The coil spring 34 provides a force for pushing up the abutting second cabinet 2.

우측지지모듈(32)의 상면에는 마이크로폰(35) 및 전원키(3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지지모듈(32)의 바깥쪽 면에는, 조작키군(37)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키군(37)은, 예를 들면 3 개의 조작키(37a, 37b, 37c)로 이루어진다. 무음 모드 설정과 같은 일정한 기능은, 터치패널(12, 22)을 조작하지 않으면서 이들 조작키를 조작하여 실행된다. 좌측지지모듈(33)의 상면에는 통화 스피커(38)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좌측지지모듈(33)이 사용자의 귓가에 근접하게 되도록, 그리고 우측지지모듈(32)이 사용자의 입가에 오도록 휴대 전화기를 가져와 통화를 행한다.The microphone 35 and the power key 36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support module 32. Moreover, the operation key group 37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urface of the right side support module 32. As shown in FIG. The operation key group 37 consists of three operation keys 37a, 37b, 37c, for example. Certain functions such as silent mode setting are performed by operating these operation keys without operating the touch panels 12 and 22. The talk speaker 38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support module 33. The user brings a mobile phone to make a call so that the left support module 33 is close to the user's ear and the right support module 32 is at the user's mouth.

우측지지모듈(32) 및 좌측지지모듈(33)의 안쪽 면에는, 안내홈(39)(좌측지지모듈(33) 측만 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39)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홈(39a) 및 하부홈(39b)과, 상기 홈의 앞쪽에 형성되고, 상부홈(39a)과 하부홈(39b)에 연결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2개의 세로홈(39c)으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inner surfaces of the right support module 32 and the left support module 33, guide grooves 39 (only the left support module 33 side is shown) are formed. The guide groove 39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groove 39a and the lower groove 39b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extends up and down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groove 39a and the lower groove 39b. It consists of two longitudinal grooves 39c.

휴대 전화기를 조립하는 경우, 축부(26, 27)가 안내홈(39)의 하부홈(39b)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2캐비넷(2)이 지지체(3)의 수용영역 R 내에 배치되도록 한다. 더욱이, 돌기부(16, 17)가 안내홈(39)의 상부홈(39a)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1캐비넷(1)이 지지체(3)의 수용영역 R 내에, 그리고 제2캐비넷(2) 위에 배치되도록 한다.When assembling the cellular phone, the shaft portions 26 and 27 are inserted into the lower groove 39b of the guide groove 39 so that the second cabinet 2 is arranged in the receiving region R of the support 3. Furthermore, the projections 16 and 17 are inserted into the upper grooves 39a of the guide grooves 39 so that the first cabinet 1 is in the receiving region R of the support 3 and on the second cabinet 2. To be deployed.

이러한 방식으로, 제1캐비넷(1)은 상부홈(39a)에 의해 안내되어 전후로 슬라이딩가능해진다. 또한, 제2캐비넷(2)은 하부홈(39b)에 안내되어 전후로 슬라이딩가능해진다. 더욱이, 제2캐비넷(2)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축부(26, 27)가 세로홈(39c)까지 도달하면, 제2캐비넷(2)은 세로홈(39c)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해진다.In this way, the first cabinet 1 is guided by the upper groove 39a to be slidable back and forth. In addition, the second cabinet 2 is guided to the lower groove 39b so that it can slide back and forth. Moreover, when the second cabinet 2 moves forward and the shafts 26 and 27 reach the vertical grooves 39c, the second cabinet 2 is guided by the vertical grooves 39c and can slide up and down. Become.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캐비넷을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변환시키는 조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a) to 2 (d)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for converting the second cabinet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초기의 상태로, 동 도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캐비넷(2)이 제1캐비넷(1)의 배후에 숨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닫힌 상태)에서는, 제1디스플레이(11)가 외부로 노출된다. 변환 조작은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행하여진다.In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the same drawing (a), the second cabinet 2 is hidden behind the first cabinet 1. In this state (closed state), the first display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nversion operation is performed manually by the user.

우선, 사용자는 동 도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캐비넷(1)을 후방(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캐비넷(1)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동 도면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캐비넷(2)이 앞쪽으로 끌어당겨진다. 이러한 인출 조작에 의해서, 제2캐비넷(2)이 제1캐비넷(1)에 완전히 겹치지 않은 위치, 즉 제1캐비넷(1)의 전방으로 줄을 이루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때, 상술된 바와 같이, 축부(26, 27)가 세로홈(39c)까지 오기 때문에, 제2캐비넷(2)은 코일스프링(33)에 의해 밀려 상승하게 된다. 이때, 자석(14)과 자석(23)이 서로 끌어 당기는 것에 의해, 더욱 큰 상승힘이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캐비넷(2)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열린 상태)가 되면, 동 도면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캐비넷(1)와 제2캐비넷(2)이 전후로 서로 밀착하도록, 또한 서로 같은 위치가 되도록 줄을 이루게 된다. 제1디스플레이(11)와 제2디스플레이(21)가 일체화되어 화면이 큰 형태가 된다.First, the user moves the first cabinet 1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s shown in FIG. When the movement to the rear of the first cabinet 1 is completed, the second cabinet 2 is pulled forward as shown in FIG. By this withdrawal operation, the second cabinet 2 moves to a position not completely overlapping with the first cabinet 1, that is, a position lining up in front of the first cabinet 1.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aft portions 26 and 27 come to the longitudinal grooves 39c, the second cabinet 2 is pushed up by the coil spring 33. At this time, when the magnet 14 and the magnet 23 are attracted to each other, a larger lifting force acts. In this manner, when the second cabinet 2 is completely opened (opened state), as shown in the drawing (d), the first cabinet 1 and the second cabinet 2 closely adhere to each other back and forth. Also, the lines are arranged to be in the same position with each other. The first display 11 and the second display 21 are integrated to form a large scree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300)의 예시적인 기능블럭도이다. 휴대 전화기(30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기능, 재질 및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동일한 모양, 기능 및 구성요소는 불필요하게 여기서 서술되지 않을 수도 있다. 휴대 전화기는, CPU(control processing module, 100), 메모리모듈(200), 영상인코더(301), 음성인코더(302), 키입력회로(303), 통신모듈(304), 백라이트구동회로(305), 영상디코더(306), 음성디코더(307), 외부 스피커(308), 배터리(309), 전원부(310), 검출모듈(316) 및 표시모듈(3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is an exemplary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3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300 may have a similar function, material, and structur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Therefore, the same shapes, functions and components may not be unnecessarily described herein. The mobile phone includes a CPU (control processing module) 100, a memory module 200, an image encoder 301, an audio encoder 302, a key input circuit 303, a communication module 304, and a backlight driving circuit 305. , The image decoder 306, the audio decoder 307, the external speaker 308, the battery 309, the power supply unit 310, the detection module 316, and the display module 318.

검출모듈(316)은 표시모듈(318)에 검출된 접촉을 검출하여 검출된 입력을 얻는다.The detection module 316 detects the detected contact on the display module 318 and obtains the detected input.

표시모듈(318)은 터치 패널(1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한하지 않으면서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휴대 전화기(300)의 상태, 사용자 조작의 상세, 수신지의 전화번호, 이메일 컨텐츠의 표시, 게임 화면, 날짜, 시각, 베터리의 잔량, 전송의 성공과 실패, 대기 화면 등과 같은(이로써 제한하는 것은 아님) 각종 정보는 CPU(100)로부터 공급되는 이미지/비디오 신호를 통해 표시모듈(318)에 표시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318 includes a touch panel 11/22, and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the like. Restrictions such as the status of the mobile phone 300, the details of user operation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destination, the display of email contents, the game screen, the date, the time,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transfer, the standby screen, etc. Variou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318 through an image / video signal supplied from the CPU 100.

카메라모듈(13)은 CCD와 같은 촬상 소자로 구성된다. 카메라모듈(13)은,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된 촬상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그 촬상 신호에 감마 보정과 같은 각종 보정을 실시하고, 보정된 촬상 신호를 영상인코더(301)로 출력한다. 영상인코더(301)는, 카메라모듈(13)로부터의 보정된 촬상 신호에 인코딩 처리를 실시하고, 인코딩된 촬상 신호를 CPU(100)로 출력한다.The camera module 13 is composed of an imaging device such as a CCD. The camera module 13 digitizes the image pickup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performs various corrections such as gamma correction on the image pickup signal, and outputs the corrected image pickup signal to the image encoder 301. The video encoder 301 performs an encoding process on the corrected captured image signal from the camera module 13, and outputs the encoded captured image signal to the CPU 100.

마이크로폰(35)은 수집된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음성 신호를 음성인코더(302)로 출력한다. 음성인코더(302)는 마이크로폰(35)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음성 신호에 인코딩 처리를 실시하고, 인코딩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CPU(100)로 출력한다.The microphone 35 converts the collected voice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the voice encoder 302. The voice encoder 302 converts an analog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35 into a digital voice signal, performs an encoding process on the digital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encoded digital voice signal to the CPU 100.

키입력회로(303)는, 전원키(36)나 조작키군(37)의 각 키가 조작될 때, 각 키에 따른 입력신호를 CPU(100)로 출력한다.The key input circuit 303 output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key to the CPU 100 when each key of the power key 36 or the operation key group 37 is operated.

통신모듈(304)은, 기지국을 경유하여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조작가능하다. 통신모듈(304)은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도시하지 않음)을 경유하여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통신모듈(304)은, CPU(100)로부터/에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발신할 수 있도록 특정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을 지원할 수 있는 적절히 배열된 RF 안테나 배치(304a)를 가진 기지국 트랜스시버(도시하지 않음)와 협력한다. 상기 데이터 신호는, 제한하지 않으면서 예를 들면, 통화 중의 음성 데이터, 영상 신호, 이메일 중의 텍스트 데이터, 웹싸이트 접속 중의 웹 데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04 is operable to transmit and receiv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ignals including data signals via a base st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304 communicates with a wireless network via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link (not shown). The communication module 304 has a properly arranged RF antenna arrangement 304a capable of supporting a particular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and modulation scheme to receive / emit the data signal to / from the CPU 100. Cooperate with base station transceivers (not shown). The data signal may be constituted of, for example and without limitation, audio data during a call, video signal, text data in an e-mail, web data during a website connection, and the like.

백라이트구동회로(305)는, CPU(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른 전압신호를 제1백라이트(1lb) 및 제2백라이트(21b)에 공급한다. 제1백라이트(1lb)는, 백라이트구동회로(305)부터의 전압 신호에 의해 점등하여, 제1액정패널(1la)을 조명한다. 제2백라이트(21b)는, 백라이트구동회로(305)로부터의 전압 신호에 따라 점등하여, 제2액정패널(21a)을 조명한다. 한 실시예에서는, 제2백라이트(21b)는 캐비넷들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리기 시작할 때 점등될 수도 있고, 또는 캐비넷들이 열린 상태가 되었을 때, 또는 열린 상태가 되기 전(예를 들면, 도 2(c)의 상태)에 점등될 수도 있다.The backlight driving circuit 305 supplies a volt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PU 100 to the first backlight 1lb and the second backlight 21b. The first backlight 1lb is turned on by the voltage signal from the backlight driver circuit 305 to illuminate the first liquid crystal panel 1la. The second backlight 21b lights up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signal from the backlight drive circuit 305 to illuminate the second liquid crystal panel 21a.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backlight 21b may be lit when the cabinets begin to open from the closed state, or when the cabinets are open, or before they are opened (eg, FIG. 2 (c)). May be lit.

영상디코더(306)는, CPU(100)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제1액정패널(1la) 및 제2액정패널(21a)에 표시할 수 있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영상 신호를 액정패널(1la, 21a)로 출력한다. 제1액정패널(1la) 및 제2액정패널(21a)은, 영상 신호에 따른 화상(표시 화면)을 각 표시 화면 상에 표시한다.The video decoder 306 converts the video signal from the CPU 100 into an analog or digital video signal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first liquid crystal panel 1la and the second liquid crystal panel 21a, and converts the converted video signal. Is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panels 1la and 21a. The first liquid crystal panel 1la and the second liquid crystal panel 21a display an image (display screen)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on each display screen.

음성디코더(307)는, CPU(100)로부터의 음성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실시하고, 부가적으로 상기 디코딩된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통화 스피커(38)에 출력한다. 더욱이, 음성디코더(307)는, CPU(100)로부터의 착신음, 알람음 등과 같은 통지음의 음성 신호에 디코딩 처리를 실시하고, 부가적으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스피커(308)로 출력한다. 통화 스피커(38)는, 음성디코더(307)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재생한다. 외부 스피커(308)는, 예컨대 착신음으로서 음성디코더(307)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재생한다.The voice decoder 307 performs a decoding process on the voice signal from the CPU 100, and additionally converts the decoded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call speaker 38. In addition, the voice decoder 307 decodes the voice signal of the notification sound such as the ringing tone, the alarm tone, etc. from the CPU 100, and additionally converts it 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external speaker 308. . The call speaker 38 reproduces the voice signal from the voice decoder 307 as voice. The external speaker 308 reproduces the audio signal from the voice decoder 307 as an incoming call, for example.

배터리(309)는 CPU(100)나 CPU(100) 이외의 각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2차 전지이다. 배터리(309)는 전원부(310)에 접속되어 있다.The battery 309 is a secondary battery that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CPU 100 or each module other than the CPU 100. The battery 309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310.

전원부(310)는, 배터리(309)의 전압을 각 모듈에 필요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한 다음, 그것을 각 모듈에 공급한다. 전원부(310)는, 외부 전원의 입력모듈(도시되지 않음)을 거쳐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309)로 공급하여 배터리(309)를 충전하게 된다.The power supply unit 310 converts the voltage of the battery 309 into a voltage having a size required for each module, and then supplies it to each module. The power supply unit 310 charges the battery 309 by supplying power supplied through an input module (not shown) of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battery 309.

메모리모듈(200)은 휴대 전화기(300)의 조작을 지원하기 위해 구조가 갖춰진 적절한 양의 메모리를 가지는 여하한의 적절한 데이터 저장 영역일 수 있다. 메모리모듈(200)은, 이하 서술될 방식으로 휴대 전화기(300)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 유지 및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다. 실제적인 실시예들에서 메모리모듈(200)은, 제한하지 않으면서 예를 들면, 비휘발성 저장장치(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장치, 광디스크 장치 등), 랜덤 액세스 저장장치(예를 들면, SRAM, DRAM), HDD 혹은 여하한의 공지의 저장 매체의 형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모듈(200)은, 제한하지 않으면서 예를 들면, CPU(100)에 의해 실행될 컴퓨터 프로그램, 통신하는 다른 사람의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과 같은 개인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주소록(address book), 수신벨이나 알람을 연주하기 위한 오디오 파일, 대기 화면을 위한 이미지 파일, 각종 설정 데이터, 프로그램 처리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임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게다가, 카메라모듈(13)에 의해 캡쳐된 영상 데이터, 통신모듈(304)을 통해 외부에서 취해진 영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이메일 데이터) 등은 소정의 파일 형식으로 메모리모듈(200)에 저장된다. 메모리모듈(200)은 CPU(100)와 연결되어, CPU(100)가 메모리모듈(200)로부터 정보를 읽거나 메모리모듈(200)로 정보를 쓸 수 있도록 한다. 예로써, CPU(100)와 메모리모듈(200)은 그들의 각각의 ASIC에 속해있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모듈(200)은 CPU(10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는, 메모리모듈(200)이 CPU(100)에 의해 실행될 지시들의 수행 동안에 일시적인 변수들 혹은 다른 중간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캐쉬 메모리(cache memor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memory module 200 may be any suitable data storage area having an appropriate amount of memory structured to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cellular phone 300. The memory module 200 is configured to store, maintain, and supply data necessary to support the functions of the cellular phone 300 in a manner to be described below. In practical embodiments, the memory module 200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nonvolatile storage devices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hard disk devices, optical disk devices, etc.), random access storage devices (eg, SRAMs). , DRAM), HDD or any other known storage medium. The memory module 200 is,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a computer program to be executed by the CPU 100, an address book for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telephone number, an e-mail address of another person to communicate with, and a reception address. It stores audio files for playing bells and alarms, image files for idle screens, various setting data, and temporary data used in the process of program processing. In addition,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3, image data take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04, text data (e-mail data), and the like are stored in the memory module 200 in a predetermined file format. The memory 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CPU 100 to allow the CPU 100 to read information from or write information to the memory module 200. By way of example, the CPU 100 and the memory module 200 may belong to their respective ASICs. In addition, the memory module 200 may be integrated into the CPU 100. In an embodiment, the memory module 200 may comprise a cache memory for storing temporary variables or other intermediate information during the execution of instructions to be executed by the CPU 100.

CPU(100)는 휴대 전화기(300)의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CPU(100)는 휴대 전화기(300)의 동작들을 제어하여, 휴대 전화기(300)의 처리들이 적절히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들 조작들은, 제한하지 않으면서 예를 들면, 카메라모듈(13), 마이크로폰(35), 통신모듈(304), 액정패널(터치패널)(11a, 21a), 통화 스피커(38), 외부 스피커(308), 키입력회로(303), 제1터치패널(12) 및 제2터치패널(22)의 조작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CPU(100)가 전화 통화 기능, 이메일 기능 등과 같은 각종 기능(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한다. 또한, CPU(100)는, 제한하지 않으면서 예를 들면, 통신모듈(304)에 의한 신호의 송수신, 표시모듈(318)에 의한 영상의 표시 등을 제어한다. 실시예에서는, CPU(100)는, 메모리(200) 내에 준비된 작업 영역 내에서, 제1디스플레이(11)와 제2디스플레이(21) 각각에 표시될 표시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CPU(100)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정된, 범용 프로세서, 내용 주소화 기억 장치(content addressable memory),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특수 용도의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여하한의 적절한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이산 게이트(discrete gate) 혹은 트랜지스터 로직(transistor logic), 이산 하드웨어 콤포넨트(discrete hardware component), 또는 이들의 여하한의 조합으로 시행되거나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스테이트머신(state machine) 등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의 조합,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코어와 함께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혹은 다른 이와 같은 구성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는, CPU(100)는, 이하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될 소정의 휴지조작에 기초하여 검출된 입력의 수취를 방지하도록(비동작상태), 검출된 접촉에 기초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것과 같은, 휴대 전화기(300)의 조작과 관련된 기능들, 기술들 및 처리 태스크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는, CPU는 검출모듈(316)과 분리된 위치에 있고, 검출모듈(316)을 통한 입력의 수취의 조작의 금지를 행하고(비동작상태), 금지의 해제를 행한다(동작상태).The CPU 10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300. For example, the CPU 100 may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mobile phone 300 so that the processes of the mobile phone 300 are properly performed. These operations are, for example and without limitation, camera module 13, microphone 35, communication module 304, liquid crystal panel (touch panel) 11a, 21a, call speaker 38, external speaker ( 308, the key input circuit 303, the first touch panel 12, and the second touch panel 22. Therefore, the CPU 100 executes various functions (applications) such as a telephone call function, an email func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PU 100 controls, for exam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by the communication module 304, display of images by the display module 318, and the like without limitation. In an embodiment, the CPU 100 generates a display screen to be displayed on each of the first display 11 and the second display 21 in the work area prepared in the memory 200 to configure the display screen. To output a video signal. The CPU 100 is a general purpose processor, content addressable memory, digital signal processor,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 (field), designated to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implemented with a programmable gate array, any suit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discrete gate or transistor logic, discrete hardware component, or any combination thereof Can be realized. In this way, the processor can be realized as a microprocessor,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state machine, or the like. A processor may also be realized as a combination of computing devices, eg, a combination of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a microprocessor, a plurality of microprocessors, one or more microprocessors in conjunction with a digital signal processor core, or other such configuration. In practice, the CPU 100 performs control based on the detected contact to prevent receipt of the detected input based on a predetermined idle operation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non-operational state). Processing logic configured to perform functions, techniques, and processing task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ellular phone 300. In the embodiment, the CPU is in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detection module 316, prohibits the operation of receiving the input through the detection module 316 (non-operation state), and releases the prohibition (operation state).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 및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제2캐비넷(2)이 닫혀지는 경우(닫힌 상태), 제1디스플레이(11)에 표시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11)에는, 초기화면으로서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메뉴 화면에는,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된다. 미리 등록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다운로드에 의해 입수가능하다. 입수된 어플리케이션은, 인스톨레이션에 의해 휴대 전화기에 추가된다. 미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의 개수가 많거나, 어플리케이션의 수가 늘어난 경우에는, 그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하나의 표시화면에 표시될 수 없다. 이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캐비넷(2)이 열려 제1디스플레이(11)와 제2디스플레이(21)로 표시상태를 형성하게 되면, 제1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없었던 아이콘이 제2디스플레이(21)에 표시된다.4 (a) and 4 (b) illustrate examples of display screen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cabinet 2 is closed (closed state), the display screen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1. For example, a menu screen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1 as an initial screen. On the menu scree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icons for executing various applications are displayed. In addition to the applications registered in advance, the applications are available, for example, by downloading via the Internet. The obtained application is added to the cellular phone by installation. When the number of applications registered in advance or the number of applications increases, icons corresponding to them cannot be displayed on one display scree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b), when the second cabinet 2 is opened to form a display state with the first display 11 and the second display 21, the first display 11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1. An icon that could not be displayed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21.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11)나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원하는 아이콘을 손가락으로 터치함으로써, 제1디스플레이(11) 또는 제2디스플레이 상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가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11)의 아이콘을 조작하려고 하였을 때, 사용자가 실수로 그의 손이 제2디스플레이(21)의 아이콘에 닿아, 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도 있다.The user can execute a desired application on the first display 11 or the second display by touching a desired ico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1 or the second display with a finger. At this time, for example, when the user attempts to manipulate the icon of the first display 11, his hand accidentally touches the icon of the second display 21, an unwanted application may be executed.

그러므로, 이러한 오조작을 줄이기 위해서, 열린 상태로 된 제1디스플레이(11) 및 제2디스플레이(21)에는, 제1슬립키(40) 및 제2슬립키(41)가 소프트키(soft key)(아이콘)로서 배치된다. 슬립키(40, 41)는, 예컨대 각각의 디스플레이(11, 21)의 코너 부근에 표시된다(사용자의 조작 위치에서 볼 때 오른손 앞쪽의 위치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고 있는 디스플레이의 슬립키를 누르면, 슬립모드가 설정되어, 그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이 받아들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이러한 슬립키는 닫힌 상태로서는 표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such misoperation, in the first display 11 and the second display 21 opened, the first sleep key 40 and the second sleep key 41 are soft keys. It is arranged as (icon). The slip keys 40 and 41 are displayed near the corners of the respective displays 11 and 21 (for example, at the position in front of the right hand when viewed from the user's operation pos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slip key of the display that is not operating, the sleep mode is set, after which the operation input to the display (touch panel) is not accepted. In addition, such a slip key is configured not to be displayed as a closed stat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U(100)에 의한 조작 입력의 수취 처리(500)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6(a),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의 제1디스플레이 및 제2디스플레이의 화면표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처리(500)와 관련되어 수행되는 각종 태스크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처리 방법의 수행을 위한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지시들을 갖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혹은 이것들의 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올바르게 인식되어야 한다. 처리(500)는,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학 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가 저장된 CPU(100)와 같은 CPU에 의해 액세스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처리(500)는, 여하한의 수의 부가적이거나 대안적인 태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태스크들은 도시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가 없으며, 처리(500)는 여기서 구체적으로 서술되지 않은 부가적인 기능을 가지는 더 포괄적인 절차나 처리에 통합될 수 있다. 분명하게 보여주기 위해, 이하의 처리(500)의 서술은 도 1 내지 4와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된 구성요소를 참조한다. 실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처리(500)의 부분들이 상이한 휴대 전화기(1, 300)의 구성요소, 예를 들면 CPU(100), 메모리모듈(200), 영상 인코더(301), 음성 인코더(302), 키입력회로(303), 통신모듈(304), 백라이트구동회로(305), 영상 디코더(306), 음성 디코더(307), 외부 스피커(308), 배터리(309), 전원부(310), 제1터치패널(12), 제2터치패널(22), 제1슬립키(40), 제2슬립키(41)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처리(50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기능, 재질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ceiving process 500 of an operation input by the CPU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6 (b) illustrate screen display examples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when the sleep mode is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rrectly pointed out that various tasks performed in connection with process 500 may be performed by computer-readable media having instructions executable on a computer for performing software, hardware, firmware, or processing methods, or a combination thereof. It must be recognized. Process 500 may be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such as a semiconductor memory, a magnetic disk, an optical disk, or the like, and may be accessed or executed by a CPU, such as, for example, CPU 100 in which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s stored. have. Process 500 may include any number of additional or alternative tasks, the tasks shown in FIG. 5 need not be performed in the order shown, and process 500 is not described in detail herein. Can be integrated into more comprehensive procedures or processes with additional functionality. For clarity, the description of process 500 below refers to the components mentioned above in connection with FIGS. In practical embodiments, components of the mobile phone 1, 300 where portions of the processing 500 are different, such as the CPU 100, the memory module 200, the video encoder 301, the voice encoder 302. ), Key input circuit 303, communication module 304, backlight driver circuit 305, video decoder 306, audio decoder 307, external speaker 308, battery 309, power supply unit 310, The first touch panel 12, the second touch panel 22, the first sleep key 40, and the second sleep key 41 may be performed. Process 500 may have similar functionality, materials, and structur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처리(500)는 제1터치패널(12) 또는 제2터치패널(22)이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인쿼리 태스크 S101). 상기 터치패널 중 어느 한쪽 터치패널이 터치되면, CPU(100)는 그 터치된 터치패널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제1슬립키(40) 또는 제2슬립키(41)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인쿼리 태스크 S102)The process 500 may begin by detecting whether the first touch panel 12 or the second touch panel 22 has been touched (query task S101). When one of the touch panels is touched, the CPU 10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sleep key 40 or the second sleep key 41 has been touch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touch panel. Determine (query task S102)

제1슬립키(40) 또는 제2슬립키(41)가 터치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인쿼리 태스크 S102의 YES), CPU(100)는 터치된 슬립키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가 현재 슬립모드 중에 있는지를 판정한다(인쿼리 태스크 S103). 상기 디스플레이가 슬립모드 중에 있지 않으면(인쿼리 태스크 S103의 NO), 그 디스플레이(터치패널)가 슬립모드로 설정된다(태스크 S104). 그 후, CPU(100)는 그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에 공급하는 전류를 저감시켜 상기 백라이트의 휘도를 저하시킨다(태스크 S105).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sleep key 40 or the second sleep key 41 is touched (YES in the query task S102), the CPU 100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on which the touch key is placed is currently in sleep mode. It determines (query task S103). If the display is not in the sleep mode (NO in the query task S103), the display (touch panel) is set to the sleep mode (task S104). Thereafter, the CPU 100 reduces the current supplied to the backlight of the display to lower the brightness of the backlight (task S105).

그러나, 터치된 슬립키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가 현재 슬립모드 중에 있는 경우에는(인쿼리 태스크 S103의 YES), CPU(100)는 그 디스플레이의 슬립모드를 해제하여(태스크 S106), 그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의 휘도를 통상 상태로 되돌리게 된다(태스크 S107).However, if the display on which the touched slip key is placed is currently in the sleep mode (YES in the query task S103), the CPU 100 releases the sleep mode of the display (task S106) to determine the backlight of the display. The luminance is returned to the normal state (task S107).

통상 상태(슬립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슬립키(40)가 터치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11)(제1터치패널(12))가 슬립모드로 설정된다. 이와 동시에, 제1디스플레이(11)의 휘도가 저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어두워진다. When the sleep key 40 is touched by the user in a normal state (sleep state is released), as shown in FIG. 6A, the first display 11 (first touch panel 12). Is set to the sleep mode. At the same time, the luminance of the first display 11 is lowered and the display is dark.

한편, 사용자에 의해 슬립키(41)가 터치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디스플레이(21)가 슬립모드로 설정된다. 이와 동시에, 제2디스플레이(21)의 휘도가 저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어두워진다. 휘도가 저하된 상태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가 꺼지지 않아, 화면이 아이콘들을 계속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leep key 41 is touch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6B, the second display 21 is set to the sleep mode. At the same time, the brightness of the second display 21 is lowered and the display is dark. Even when the brightness is lowered, the display does not turn off, so that the screen continues to display icons.

터치된 키가 슬립키(40 또는 41)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태스크 S102의 NO), CPU(100)는, (디스플레이(11 또는 21)에 표시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과 같은) 대상이 활성화/조작되도록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인쿼리 태스크 S108). 상기 대상이 터치된 것으로 판정되면(인쿼리 태스크 S108의 YES), CPU(100)는 상기 터치된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캐비넷, 즉 상기 터치패널을 구성하는 캐비넷이 슬립모드에 있는지 판정한다(인쿼리 태스크 S109). 상기 대상이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인쿼리 태스크 S108의 NO), 제1터치패널(12) 또는 제2터치패널(22)이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다시 검출한다(태스크 S101).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ed key is not the sleep key 40 or 41 (NO in task S102), the CPU 100 determines that the target (such as an icon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1 or 21) is not presen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touched to be activated / operated (query query S10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has been touched (YES in query task S108), the CPU 100 determines whether the cabinet constituting the touched display, that is, the cabinet constituting the touch panel, is in the sleep mode (the query task). S109).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is not touched (NO in query task S108), it is detected again whether the first touch panel 12 or the second touch panel 22 is touched (task S101).

슬립모드 중인 터치패널이 터치된 경우에는, 처리(500)는, 사용자가 터치패널을 실수로 터치하였다고 간주한다. 상기 터치된 터치패널이 슬립모드 중에 있으면(인쿼리 태스크 S109의 YES), CPU(100)는 상기 대상이 활성화 입력을 수취하지 못하도록 금지하여(태스크 S110), 대상에 의하여 대응되는 조작의 활성화가 금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500)는 소정의 휴지조작을 수행한다.When the touch panel in the sleep mode is touched, the process 500 considers that the user touched the touch panel by mistake. If the touch panel is in the sleep mode (YES in query task S109), the CPU 100 prohibits the target from receiving an activation input (task S110), thereby prohibiting activation of a corresponding operation by the target. do. In this way, the process 500 performs some rest operation.

슬립모드 중인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CPU(100)가, 슬립모드 중이 아닌 디스플레이에, 다른 디스플레이에 대한 조작의 수취가 금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표시와 함께, 또는 대안적으로, 진동이나 소리(삐소리, 알람음, 음성 등)에 의한 수취 금지의 통지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다른 디스플레이가 슬립모드 중에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When a touch on the touch panel in the sleep mode is detected, the CPU 100 may indicate that reception of an operation on another display is prohibited on the display that is not in the sleep mode. Moreover, with this indication, or alternatively, notification of prohibition of receipt by vibration or sound (beep, alarm sound, voice, etc.) may be made. In this way,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another display is in sleep mode.

한편, 상기 터치된 터치패널이 슬립모드 중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인쿼리 태스크 S109의 NO), CPU(100)는 상기 터치된 대상의 활성화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태스크 S111).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panel that has been touched is not in the sleep mode (NO in query task S109), the CPU 100 executes a process corresponding to activation of the touched object (task S111).

사용자는 슬립키(40, 41)를 터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터치패널)를 슬립모드로 설정함으로써, 슬립모드에 있는 디스플레이에 소정의 휴지조작을 수행하는 조작 입력이 받아들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른 디스플레이를 통상 모드로 조작할 때, 슬립모드 중인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경우에도, 휴대 전화기가 오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그것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한 오조작의 가능성이 저감되는 한편, 편의성이 사용자에 제공된다.The user can set the display (touch panel) to the sleep mode by touching the slip keys 40 and 41 so that an operation input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idle operation is not accepted on the display in the sleep mode. Therefore, even when the user touches the display in the sleep mode when the user operates the other display in the normal mode, the cellular phone does not malfunction. This reduces the possibility of misoperation by the user, while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슬립모드로 설정된 디스플레이의 휘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배터리의 수명이 연장되어, 휴대 전화기(300)의 사용시간을 길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이 디스플레이가 슬립모드 중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 인식시킬 수 있다. 나아가, 슬립키(40, 41)가 각각 디스플레이(11, 21) 상에 소프트키로서 배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디스플레이(11, 12)와 슬립키(40, 41) 간의 대응관계가 명확해져, 슬립키(40, 41)의 조작을 하기 쉽게 된다. 또한, 하드 슬립키를, 디스플레이와의 대응관계가 명확한 장소에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휴대 전화기(300)의 구조가 간소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set to the sleep mode is lowere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life of the battery can be extended, and the usage time of the mobile phone 300 can be extended. Furthermore, by lower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the user can be recognized that the display is in the sleep mode. Furthermore, since the slip keys 40 and 41 are arranged as soft keys on the displays 11 and 21, respectively,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respective displays 11 and 12 and the slip keys 40 and 41 becomes clear, and the slip It is easy to operate the keys 40 and 41.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stall the hard sleep key in a place where the correspondence with the display is clear.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mobile phone 300 is simplifi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U(100)에 의한 조작 입력의 수취 처리(700)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모드가 설정될 때의 제1디스플레이(11) 및 제2디스플레이(21)의 화면표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처리(700)와 관련되어 수행되는 각종 태스크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처리 방법의 수행을 위한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지시들을 갖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혹은 이것들의 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처리(700)는,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학 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가 저장된 CPU(100)와 같은 CPU에 의해 액세스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처리(700)는, 여하한의 수의 부가적이거나 대안적인 태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태스크들은 도시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가 없으며, 처리(700)는 여기서 구체적으로 서술되지 않은 부가적인 기능을 가지는 더 포괄적인 절차나 처리에 통합될 수 있다는 점이 올바르게 인식되어야 한다. 분명하게 보여주기 위해, 이하의 처리(700)의 서술은 도 1 내지 6과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된 구성요소를 참조한다. 실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처리(700)의 부분들이 상이한 휴대 전화기(1, 300)의 구성요소, 예를 들면 CPU(100), 메모리모듈(200), 영상 인코더(301), 음성 인코더(302), 키입력회로(303), 통신모듈(304), 백라이트구동회로(305), 영상 디코더(306), 음성 디코더(307), 외부 스피커(308), 배터리(309), 전원부(310), 제1터치패널(12), 제2터치패널(22), 제1슬립키(40), 제2슬립키(41)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처리(700)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기능, 재질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동일한 특징들, 기능들 및 구성요소들은 여기서 장황하게 서술되지 않을 수 있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ceiving process 700 of an operation input by the CPU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and 8 (b) illustrate screen display examples of the first display 11 and the second display 21 when the sleep mode is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asks performed in connection with process 700 may be performed by computer-readable media having instructions executable on a computer for performing software, hardware, firmware, and processing methods, or a combination thereof. Process 700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such as a semiconductor memory, a magnetic disk, an optical disk, or the like, and may be accessed or executed by a CPU, such as, for example, CPU 100 in which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s stored. have. Process 700 may include any number of additional or alternative tasks, and the tasks shown in FIG. 7 need not be performed in the order shown, and process 700 is not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should be correctly recognized that it can be integrated into more comprehensive procedures or processes with additional functions that do not. For clarity, the description of process 700 below refers to the components mentioned above in connection with FIGS. In practical embodiments, components of the cellular phone 1, 300 where portions of the process 700 are different, such as the CPU 100, the memory module 200, the video encoder 301, the voice encoder 302. ), Key input circuit 303, communication module 304, backlight driver circuit 305, video decoder 306, audio decoder 307, external speaker 308, battery 309, power supply unit 310, The first touch panel 12, the second touch panel 22, the first sleep key 40, and the second sleep key 41 may be performed. Process 700 may have similar functionality, materials, and structur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Therefore, the same features, functions, and components may not be described in length here.

일 실시예에서, 슬립키(40, 41)를 각각 디스플레이(11, 21) 상에 소프트키로서 배치하고 있다. 대안적으로, 제1슬립키(42)는 제1캐비넷(1) 상의 제1디스플레이(11)의 아래쪽 우측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슬립키(43)는 제2캐비넷(2) 상의 제2디스플레이(21)의 아래쪽 우측에 배치된다. 이들 슬립키(42, 43)는,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근방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슬립키(42, 43)가 각각 디스플레이(11, 21)에 대응하는 것을 명확히 알게 되므로, 사용자에 의한 조작성이 향상되게 된다.In one embodiment, slip keys 40 and 41 are disposed as softkeys on displays 11 and 21, respectively. Alternatively, the first sleep key 42 is dispos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first display 11 on the first cabinet 1. Similarly, the second sleep key 43 is dispos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second display 21 on the second cabinet 2. These slip keys 42 and 43 ar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In this way, since the slip keys 42 and 43 clearly correspond to the displays 11 and 21, respectively, the operability by the user is improved.

처리(700)는 제1슬립키(42) 또는 제2슬립키(43)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태스크 S201). 상기 슬립키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면(인쿼리 태스크 S201의 YES), CPU(100)는 상기 조작된 슬립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가 현재 슬립모드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태스크 S202).The process 700 may begin by detecting whether the first sleep key 42 or the second sleep key 43 has been touched (task S201). If any one of the sleep keys is operated (YES in query task S201), the CPU 100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sleep key is currently in sleep mode (task S202).

상기 디스플레이가 슬립모드 중에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인쿼리 태스크 S202의 NO), CPU(100)는 그 디스플레이(터치패널)를 슬립모드로 설정한 다음(태스크 S203), 그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의 휘도를 저하시킨다(태스크 S204). 더욱이, 상기 CPU는 그 디스플레이에 배치된 터치패널을 턴오프시킨다(태스크 S205).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is not in the sleep mode (NO in query task S202), the CPU 100 sets the display (touch panel) to the sleep mode (task S203), and then lowers the brightness of the backlight of the display. (Task S204). Moreover, the CPU turns off the touch panel disposed on the display (task S205).

한편, 상기 조작된 슬립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가 현재 슬립모드 중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인쿼리 태스크 S202의 YES), CPU(100)는 그 디스플레이의 슬립모드를 해제하여(태스크 S206), 그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의 휘도를 통상 상태로 되돌리게 된다(태스크 S207). 더욱이, 상기 CPU는 그 디스플레이에 배치된 터치패널을 턴온시켜, 그 기능을 복귀시키게 된다(태스크 S208).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sleep key is currently in the sleep mode (YES in query task S202), the CPU 100 releases the sleep mode of the display (task S206), The brightness of the backlight is returned to the normal state (task S207). Further, the CPU turns on the touch panel disposed on the display to restore its function (task S208).

통상 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슬립키(42)가 조작되는 경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11)가 슬립모드로 설정된다. 이와 동시에, 제1디스플레이(11)의 휘도가 저하되어 디스플레이가 어두워진다. 또한, 제1터치패널(12)이 기능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슬립키(43)가 조작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디스플레이(21)가 슬립모드로 설정된다. 이와 동시에, 제2디스플레이(21)의 휘도가 저하되어 디스플레이가 어두워진다. 또한, 제2터치패널(22)이 기능하지 않게 된다. 휘도가 저하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가 턴오프되지 않아, 아이콘과 같은 대상들은 계속 디스플레이에 나타낼 수 있다.In the normal state, when the slip key 42 is opera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8A, the first display 11 is set to the sleep mode. At the same time, the brightness of the first display 11 is lowered and the display is dark. In addition, the first touch panel 12 does not fun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sleep key 43 is opera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8B, the second display 21 is set to the sleep mode. At the same time, the brightness of the second display 21 is lowered and the display is dark. In addition, the second touch panel 22 does not function. Even when the brightness is lowered, the display is not turned off, so objects such as icons can still appear on the display.

태스크 S201에서 슬립키(42, 43)가 조작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인쿼리 태스크 S201의 NO), CPU(100)는 제1터치패널(12) 또는 제2터치패널(22)이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태스크 S209). 이때, 어느 한쪽 디스플레이가 슬립모드로 설정되면, 그 대응하는 터치패널이 턴오프되어 기능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터치패널이 터치되더라도, 위치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in task S201 that the slip keys 42 and 43 are not operated (NO in query task S201), the CPU 10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touch panel 12 or the second touch panel 22 has been touched. It is detected whether or not it is (task S209). At this time, if either display is set to the sleep mode, since the corresponding touch panel is turned off and does not function, even if the touch panel is touched, the position signal is not output.

터치 중인 터치패널을 통해 터치가 검출되면(인쿼리 태스크 S209의 YES), CPU(100)는 조작 대상이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태스크 S210). 그 후, 조작 대상이 터치된 것으로 판정되면(인쿼리 태스크 S210의 YES), 상기 CPU는 그 조작 대상을 토대로 처리를 실행한다(태스크 S211). 한편, 온(on) 중인 터치패널이 터치되지 않아 터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인쿼리 태스크 S209의 NO), CPU(100)가 다시 제1슬립키(42) 또는 제2슬립키(43)가 조작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태스크 S201).When a touch is detected through the touch panel being touched (YES in query task S209), the CPU 100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target is touched (task S210). After tha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target is touched (YES in query task S210), the CPU executes the processing based on the operation target (task S211). On the other hand, if the touch panel that is on is not touched and no touch is detected (NO in the query task S209), the CPU 100 again returns the first sleep key 42 or the second sleep key 43. It is determined whether is operated or not (task S201).

또한, 턴 온되는 터치 중인 터치패널을 통해 터치가 검출되더라도(인쿼리 태스크 S209의 YES), 조작 대상이 터치되는 것으로 판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CPU(100)가 다시 제1슬립키(42) 또는 제2슬립키(43)가 조작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태스크 S201).Further, even if a touch is detected through the touch panel being turned on (YES in query task S209), if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target is touched, the CPU 100 again returns to the first sleep key 42 or the lik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cond sleep key 43 is operated (task S201).

일 실시예에서, 터치패널(12, 22) 상에 슬립키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되지 않는 터치패널이 턴오프될 수 있다. 그러므로, 터치 패널로의 전력 공급이 필요없게 되어, 소비전력을 더욱 저감할 수가 있고, 휴대 전화기의 사용시간을 길게 할 수가 있게 된다.In one embodiment, since no slip key is provided on the touch panels 12 and 22, the touch panel which is not operated can be turned off. Therefore, the power supply to the touch panel is not require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 use time of the portable telephone can be extended.

지지체(3)에 설치한 조작키군(37)의 2개의 조작키를 슬립키로서 겸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가장 뒷쪽의 조작키(37a)가 제1디스플레이(11)용 슬립키로서 겸용되고, 가장 앞쪽의 조작키(37c)가 제2디스플레이(21)용 슬립키로서 겸용된다. 이 경우, 특수 조작이 이들 두 조작키에 수행될 때 이들 2개의 조작키(37a, 37c)가 슬립키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조작키(37a, 37c)가 수 초 동안 계속하여 눌러지는 조작(소위 누름지속) 등이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그것이 슬립키로서 기능하게 된다.Two operation keys of the operation key group 37 provided on the support 3 can also be used as slip keys. For example, the rearmost operation key 37a serves as a slip key for the first display 11, and the frontmost operation key 37c serves as a slip key for the second display 21. In this case, when the spe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se two operation keys, these two operation keys 37a and 37c function as slip keys. For example, when an operation (so-called pressing sustain) or the like in which the operation keys 37a and 37c are continuously pressed for several seconds is performed, it functions as a slip key.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모드 설정 시에 전화의 착신으로 인하여 인터럽트가 있는 경우의 처리(900A, 900B)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9(a)는 제1동작예를 나타내고, 도 9(b)는 제2동작예를 나타낸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동작예의 처리가 실행될 때의 화면표시예를 보여준다. 도 11(a) 내지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동작예의 처리가 실행될 때의 화면표시예를 보여준다. 이들 제1동작예 및 제2동작예의 처리는, CPU(100)에 의하여 상기 도 5 및 도 7의 수취 처리에 병행하여 실행된다. 처리(900A, 900B)와 관련되어 수행되는 각종 태스크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처리 방법의 수행을 위한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지시들을 갖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혹은 이것들의 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처리(900A, 900B)는,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학 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가 저장된 CPU(100)와 같은 CPU에 의해 액세스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처리(900A, 900B)는, 여하한의 수의 부가적이거나 대안적인 태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고, 도 9(a) 및 9(b)에 도시된 태스크들은 도시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가 없으며, 처리(900A, 900B)는 여기서 구체적으로 서술되지 않은 부가적인 기능을 가지는 더 포괄적인 절차나 처리에 통합될 수 있다는 점이 올바르게 인식되어야 한다. 분명하게 보여주기 위해, 이하의 처리(900A, 900B)의 서술은 도 1 내지 8과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된 구성요소를 참조한다. 실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처리(900A, 900B)의 부분들이 상이한 휴대 전화기(1, 300)의 구성요소, 예를 들면 CPU(100), 메모리모듈(200), 영상 인코더(301), 음성 인코더(302), 키입력회로(303), 통신모듈(304), 백라이트구동회로(305), 영상 디코더(306), 음성 디코더(307), 외부 스피커(308), 배터리(309), 전원부(310), 제1터치패널(12), 제2터치패널(22), 제1슬립키(40), 제2슬립키(41)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처리(900A, 900B)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기능, 재질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동일한 특징들, 기능들 및 구성요소들은 여기서 장황하게 서술되지 않을 수 있다.9 (a) and 9 (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processes 900A and 900B when there is an interruption due to an incoming call when setting a sleep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shows a first operation example and Fig. 9B shows a second operation example. 10 (a) and 10 (b) show screen display examples when the processing of the first operation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11A to 11D show screen display examples when the processing of the second operation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The processing of these first operation example and the second operation example is executed by the CPU 100 in parallel with the reception processing of FIGS. 5 and 7. The various tasks per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processes 900A, 900B may be performed by computer-readable media having instructions executable on a computer for performing software, hardware, firmware, and processing methods, or a combination thereof. . Processes 900A, 900B may be stored on computer-readable media, such as semiconductor memory, magnetic disks, optical disks, etc., and may be accessed by a CPU, such as CPU 100, for example, on which computer-readable media are stored. Can be executed. Processes 900A and 900B may include any number of additional or alternative tasks, and the tasks shown in FIGS. 9A and 9B do not need to be performed in the order shown, It should be properly appreciated that the processes 900A, 900B can be incorporated into more comprehensive procedures or processes with additional functions not specifically described herein. For clarity, the descriptions of the processes 900A and 900B below refer to the components mentioned above in connection with FIGS. In practical embodiments, components of the cellular phone 1, 300 where portions of the processing 900A, 900B are different, such as the CPU 100, the memory module 200, the video encoder 301, the voice encoder 302, key input circuit 303, communication module 304, backlight driver circuit 305, video decoder 306, audio decoder 307, external speaker 308, battery 309, power supply unit 310 ), The first touch panel 12, the second touch panel 22, the first sleep key 40, and the second sleep key 41. Processes 900A and 900B may have similar functions, materials, and structures as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Therefore, the same features, functions, and components may not be described in length here.

도 9(a)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1동작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1동작예에서는, 전화의 착신화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제1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A first operation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A and 10. In the first operation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incoming call screen of the telephon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1 exposed to the outside.

CPU(100)는, 전화의 착신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태스크 S301). 그 후, 전화의 착신이 있으면(인쿼리 태스크 S301의 YES), 상기 CPU는 제1디스플레이(11)가 슬립모드 중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태스크 S302). 전화의 착신이 없으면(인쿼리 태스크 S301의 NO), 전화의 착신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것을 재개한다(태스크 S302).The CPU 100 monitors whether there is an incoming call (task S301). After that, if there is an incoming call (YES in query task S301), the CPU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isplay 11 is in the sleep mode (task S302). If there is no incoming call (NO in query task S301), monitoring whether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is resumed (task S302).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11)가 슬립모드 중에 있으면서 전화의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인쿼리 태스크 S302의 YES), CPU(100)가 슬립모드를 해제한 뒤(태스크 S303), 제1디스플레이(11)에 착신화면을 표시한다(태스크 S304).As shown in Fig. 10 (a),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while the first display 11 is in the sleep mode (YES in the query task S302), the CPU 100 releases the sleep mode ( Task S303), the incoming call screen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1 (task S304).

제1디스플레이(11)가 슬립모드 중에 있지 않으면서 전화의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인쿼리 태스크 S302: NO), CPU(100)가 제1디스플레이(11)에 착신화면을 표시한다(태스크 S304).If there is an incoming call while the first display 11 is not in the sleep mode (query task S302: NO), the CPU 100 displays the incoming screen on the first display 11 (task S304). .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화면에는 발신지의 정보(발신자의 성명, 사진, 전화번호 등)이 표시된다. 또한, 통화를 개시하는 오프훅키(off-hook key; 45)와 통화를 종료하는 온훅키(on-hook key; 46)가 소프트키로서 착신화면에 배치된다. 이때, 제1디스플레이(11)의 슬립모드는 이미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또는 슬립모드 중에 있지 않기 때문에, 오프훅키(45) 및 온훅키(46)의 조작이 CPU(100)에 의해 수취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10 (b), the information on the destination (caller's name, photo, telephone number, etc.) is displayed on the incoming screen. In addition, an off-hook key 45 for starting a call and an on-hook key 46 for ending a call are arranged on the incoming screen as a soft key. At this time, since the sleep mode of the first display 11 is already released or not in the sleep mode, the operation of the off-hook key 45 and the on-hook key 46 can be received by the CPU 100. .

그러므로, 전화의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슬립키(40)를 조작하지 않고도 즉시 오프훅키(45)를 조작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the user can make a telephone call by operating the off-hook key 45 immediately without operating the sleep key 40.

다음으로, 도 9(b) 및 도 11을 참조하여 제2동작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동작예에서는, 전화의 착신화면이 제1디스플레이(11)에 표시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Next, a second example of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B and 11. In this operation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incoming call screen of the telephon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1.

CPU(100)는 전화의 착신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태스크 S311). 그 후, 전화의 착신이 있으면(인쿼리 태스크 S311의 YES), 상기 CPU는 제1디스플레이(11)가 슬립모드 중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태스크 S312). 전화의 착신이 없으면(인쿼리 태스크 S311의 NO), 전화의 착신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계속 감시한다(태스크 S311).The CPU 100 monitors whether or not an incoming call has been received (task S311). After that, if there is an incoming call (YES in query task S311), the CPU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isplay 11 is in the sleep mode (task S312). If there is no incoming call (NO in query task S311), it continues to monitor whether or not there has been incoming call (task S311).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11)가 슬립모드 중에 있으면서, 그리고 제2디스플레이(21)가 슬립모드 중에 있지 않으면서 전화의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CPU(100)는 제1디스플레이(11)가 슬립모드 중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인쿼리 태스크 S312의 YES),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디스플레이(21)에 착신화면을 표시한다(태스크 S313).As shown in Fig. 11A,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while the first display 11 is in the sleep mode and the second display 21 is not in the sleep mode, the CPU 100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display 11 is in the sleep mode (YES in the query task S312), and the incoming screen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21 as shown in Fig. 11B (task S313). .

한편,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디스플레이(21)가 슬립모드 중에 있으면서, 그리고 제1디스플레이(11)가 슬립모드 중에 있지 않으면서 전화의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CPU(100)는 제1디스플레이(11)가 슬립모드 중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여(인쿼리 태스크 S312의 NO),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11)에 착신화면을 표시한다(태스크 S314).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C,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while the second display 21 is in the sleep mode and the first display 11 is not in the sleep mode, the CPU 100 Determines that the first display 11 is not in the sleep mode (NO in query task S312), and displays the incoming call screen on the first display 11 as shown in FIG. Task S314).

디스플레이(11, 21) 양자 모두가 슬립모드 중에 있지 않으면, 제1디스플레이(11)에 착신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11, 21) 양자 모두가 슬립모드 중에 있으면, 어느 한쪽의 디스플레이의 슬립모드를 해제한 다음, 그 디스플레이에 착신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동작예의 경우에도, 사용자는 전화의 착신이 있을 때 신속하게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If both of the displays 11 and 21 are not in the sleep mode, the incoming call screen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1. If both of the displays 11 and 21 are in the sleep mode, it is preferable to cancel the sleep mode of either display and then display the incoming call screen on the display. In this manner, even in the second operation example, the user can quickly make a phone call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전화의 착신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의 인터럽트 처리가 있는 경우에도, 도 9와 유사한 방식으로 CPU(100)는 그 인터럽트 처리에 관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의 등의 시각을 위해 알람을 설정한 경우, 그 시각이 되면 알람 통지의 인터럽트가 있어, 상기 알람과 동시에 예컨대 회의의 내용 등을 나타내는 통지화면을 CPU(100)가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 통지화면에 관한 키, 예컨대 회의의 상세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키가 화면 상에 소프트키로서 배치되어, 그 키가 조작가능하게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case where there is an incoming call is described. However, even when there is other interrupt processing, the CPU 100 can display a screen related to the interrupt processing in a manner similar to that of FIG. For example, when an alarm is set for a time such as a meeting, the alarm notification may be interrupted at that time, and the CPU 100 may display a notification scree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meeting, for example, at the same time as the alarm. . In this case, a key relating to the notification screen, for example, a key for displaying the details of the conference is arranged as a soft key on the screen, and the key becomes operable.

상기 실시예들에서의 CPU(100)에 있어서는, CPU(100)가 제1디스플레이(11) 및 제2디스플레이(21)에 배치된 소프트키로서 슬립키(40, 41)의 동작에 따라 슬립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한다. 하지만, CPU(100)는, 소프트키(아이콘으로서 슬립키(40, 41))의 조작에 따라서가 아니라, 예컨대 디스플레이(11, 21)로의 터치, 즉 터치패널(12, 22)로의 터치(예컨대, 짧은 시간 이내의 3회 이상의 터치, 수 초 동안의 연속 터치 등)의 검출에 따라 슬립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시킬 수도 있다.In the CPU 100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CPU 100 is a soft key disposed in the first display 11 and the second display 21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leep keys 40 and 41 in the sleep mode. Turn on or off. However, the CPU 100 does not depend on the operation of the softkeys (slip keys 40, 41 as icons), for example, touches on the displays 11, 21, i.e. touches on the touch panels 12, 22 (e.g., , The sleep mode may be set or released according to detection of three or more touches within a short time, continuous touch for several seconds, and the like.

또한, 소프트키인 슬립키(40, 41)와 하드키인 슬립키(42, 43)가 각각의 캐비넷(1, 2)에 모두 배치되어, 슬립키(40, 41)가 조작될 때 슬립모드가 설정되고, 슬립키(42, 43)가 조작될 때 슬립모드가 해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슬립모드가 설정되면, 대상이 되는 터치패널이 턴오프된다. 이와 같이, 슬립키(42, 43)를 해제 조작에 사용하더라도, 터치패널(11, 22)이 턴오프될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의 저감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soft keys slip keys 40 and 41 and the hard keys slip keys 42 and 43 are arranged in the respective cabinets 1 and 2, so that the slip modes 40 and 41 are operated when the slip keys 40 and 41 are operated. Is set, and it is possible that the sleep mode is released when the slip keys 42 and 43 are operated. In this case, when the sleep mode is set, the target touch panel is turned off. In this way, even when the slip keys 42 and 43 are used for the release operation, the touch panels 11 and 22 can be turned off,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슬립키(42, 43)가 한번 조작될 때 슬립모드가 설정되고, 슬립키(42, 43)가 다시 한번 조작되면, 슬립모드가 해제된다. 대안적으로, 도 12의 흐름도에서와 같이, 슬립키가 눌러지고 있는 동안만 슬립모드가 설정될 수도 있고, 여타의 시간 동안 슬립모드가 해제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sleep mode is set when the slip keys 42 and 43 are operated once, and the sleep mode is released when the slip keys 42 and 43 are operated once again. Alternatively, as in the flowchart of FIG. 12, the sleep mode may be set only while the sleep key is being pressed, and the sleep mode may be released for another tim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의 수취 처리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키가 눌려지고 있는 중에는(인쿼리 태스크 S221의 YES), CPU(100)가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를 슬립모드가 설정된 상태로 바꾸고(태스크 S222), 그 백라이트를 저휘도로 점등시킨다(태스크 S223). 그 후, 대응하는 터치패널을 오프 상태로 바꾼다(태스크 S224).12 is an exemplary flowchart showing a receiving process of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while the sleep key is being pressed (YES in query task S221), the CPU 100 changes the corresponding display to the set sleep mode (task S222), and turns the backlight to low brightness. Lights up (Task S223). Thereafter, the corresponding touch panel is turned off (task S224).

한편, 슬립키가 눌러져 있지 않으면서, 또는 슬립키의 누름이 해제된 경우에는(인쿼리 태스크 S221의 NO), CPU(100)가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를 슬립모드가 해제된 상태로 바꾸고(태스크 S225), 그 백라이트를 통상 휘도로 점등시킨다(태스크 S226). 후속해서, 대응하는 터치 패널을 온 상태로 바꾼다(태스크 S227).On the other hand, when the slip key is not pressed or the slip key is released (NO in query task S221), the CPU 100 changes the corresponding display to the state in which the sleep mode is released (task S225). The backlight is turned on with normal brightness (task S226). Subsequently, the corresponding touch panel is turned on (task S227).

다음으로, 슬립모드 중에 있지 않는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면(인쿼리 태스크 S228의 YES), CPU(100)는, 그것이 아이콘과 같은 조작 대상이라면(인쿼리 태스크 S229의 YES), 그 조작 대상에 기초한 처리가 실행된다(태스크 S230).Next, when a touch to a touch panel that is not in the sleep mode is detected (YES in query task S228), the CPU 100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target is the same as if it is an operation target such as an icon (YES in query task S229). The processing based on this is executed (task S230).

한편, 슬립모드 중에 있지 않는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지 않으면(인쿼리 태스크 S229의 No), CPU(100)는 슬립키가 눌려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다시 판정한다.On the other hand, if a touch to a touch panel that is not in the sleep mode is not detected (No in query task S229), the CPU 100 determines again whether or not the sleep key is pressed.

또한, 슬립모드 중에 있지 않는 터치패널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는 경우에도(인쿼리 태스크 S228의 YES), 아이콘과 같은 조작 대상이 아니라면(인쿼리 태스크 S229의 YES), CPU(100)는 슬립키가 눌려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다시 판정한다.In addition, even when a touch to a touch panel that is not in the sleep mode is detected (YES in query task S228), and if it is not an operation target such as an icon (YES in query task S229), the CPU 100 has a sleep key. It is determined again whether or not it is pressed.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소비전력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hieve a reduction in power consumption in a manner similar to the above embodiment.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제1디스플레이(11)에 배치된 슬립키(40)가 터치된 경우에 제1디스플레이(11)가 슬립모드로 설정 또는 슬립모드로부터 해제되었고, 제2디스플레이(21)에 배치된 슬립키(41)가 터치된 경우에는 제2디스플레이(21)가 슬립모드로 설정 또는 슬립모드로부터 해제되었다. 하지만, 제1디스플레이(11)에 배치된 슬립키(40)가 터치되면 반대측에 있는 제2디스플레이(21)가 슬립모드로 설정 또는 슬립모드로부터 해제될 수도 있고, 제2디스플레이(21)에 배치된 슬립키(41)가 터치되면 반대측에 있는 제1디스플레이(11)가 슬립모드로 설정 또는 슬립모드로부터 해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슬립모드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측의 터치패널이 턴오프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의 저감이 가능해진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s, when the slip key 40 disposed on the first display 11 is touched, the first display 11 is set to the sleep mode or released from the sleep mode, and the second display 21 In the case where the slip key 41 disposed on the touch panel is touched, the second display 21 is set to the sleep mode or released from the sleep mode. However, when the slip key 40 disposed on the first display 11 is touched, the second display 21 on the opposite side may be set to the sleep mode or released from the sleep mode, or disposed on the second display 21. When the slip key 41 is touched, the first display 11 on the opposite side may be set to the sleep mode or released from the sleep mode. In this case, since the touch panel on the display side set to the sleep mode is turned off,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용량식의 터치패널을 사용하였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저항식 터치패널(resistive touch panel), 감압식 터치패널(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정전용량식의 터치패널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감도가 높으면, 패널에 접촉하지 않고 손가락이 패널면에 근접하여 있더라도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오조작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므로, 정전용량식의 터치패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중요성은 더욱 명백하다.However, although the capacitive touch panel i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resistive touch panel, a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or the like may be used. However, in the case where a capacitive touch panel is used, if the sensitivity is high, misoperation is likely to occur because detection can be made even if the finger is close to the panel surface without contacting the panel.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a capacitive touch panel, the impor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obvious.

더욱이, 제1검출부 및 제2검출부는 터치패널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터치패널 대신에, 디스플레이 부분에 닿지 않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된 아이콘 등의 조작 대상을 전파나 영상을 통해 검출하는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Moreover, the first detection unit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are not limited to the touch panel. For example, instead of the touch panel, a sensor that detects an operation target such as an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through radio waves or an image may be used even if the display portion is not touched.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제1디스플레이(11)와 제2디스플레이(21)에 아이콘이 표시되는 경우가 예시되었지만, 각각의 디스플레이에는 여하한의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디스플레이(11)에 이메일용 화면이 표시되고, 제2디스플레이(21)에는 동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또는 양쪽의 디스플레이에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case in which the icon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1 and the second display 21 is illustrated, but any screen may be displayed on each display.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an e-mail screen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1, a video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21, or a different application screen is displayed on both displays. have.

더욱이,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제1디스플레이(11)와 제2디스플레이(21)가 상하로 줄지어 서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제1디스플레이(11)와 제2디스플레이(21)가 좌우로 줄지어 서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first display 11 and the second display 21 are configured to line up and down, but the first display 11 and the second display 21 line up to the left and right. May be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서 소위 슬라이드형 휴대 전화기에 적용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소위 폴더형 휴대 전화기에도 적용가능하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o-called slide type mobile telephone in the above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so-called foldable cellular phone.

이것들 이외에도 여러가지 변형들이, 필요하다면, 청구범위에 나타내어진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o thes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shown in the claims.

지금까지 상술된 상세한 설명에는 1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가 상술된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계의 당업자에게는 변형예들이 자명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 시, 상술된 실시예의 요소들이 본 명세서의 기술적인 범위 또는 그 균등론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상기 요소들과 관련하여 각종 변형, 조합, 하위-조합 및 변경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예시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 적용가능성 또는 구성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상술된 설명은 당업계의 당업자에게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견본을 제공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 적법한 등가물로 설명된 본 명세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요소들의 기능과 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변경 및 변형들이 당업계의 당업자에게 명백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변경 및 변형들은 청구범위로 한정되는 본 명세서의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one or more exemplary embodiments have been presented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the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r embodiments. Modifications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practice of this specification,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sub-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may occur in connection with the above elements as long as the elem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the equivalents thereof. The above exemplary embodiments or exemplary embodiments are exemplary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applicability, o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Rather, the foregoing description will provide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examples or implementations for implementing the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may be made in the function and form of ele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specifica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legal equivalents. Furthermore, whi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to be understoo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as defined by the claims.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어구와 그 변형예들은,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제한되는 것이 아닌 개방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의 일례로서: "포함하는"이란 용어는 "포함하되,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음" 등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고; "예시"라는 용어는 그 배타적이거나 제한적인 목록이 아니라 논의 중인 항목의 예시적인 경우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며; "종래의", "전통적인", "통상적인", "표준", "공지된"과 같은 형용사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들은 소정의 기간으로 기술된 항목 또는 소정의 기간대에 이용가능한 항목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그 대신 현재 또는 미래의 여하한의 기간대에 이용가능할 수도 있는 종래의, 전통적인, 통상적인 또는 표준 기술들을 내포하는 것으로 판독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접속사 "및"과 연결된 항목들의 그룹은 상기 항목들 각각 그리고 그들 중 어느 하나가 그룹핑에 존재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독되어서는 안되고, 오히려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및/또는"으로 판독되어야만 한다. 이와 유사하게, 접속사 "또는"과 연결된 항목들의 그룹도 상기 그룹 가운데 상호 배타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독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및/또는"으로 판독되어야 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항목, 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은 단수인 것으로 기술되거나 청구될 수도 있지만, 단수인 것으로 제한한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그 범위 내에서 복수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1 이상", "적어도", "이것으로 제한하지 않음"과 같은 광범위한 용어와 어구들 또는 기타 유사한 어구들은 이러한 광범위한 어구들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에 보다 협소한 경우가 의도되거나 요구된다는 것으로 판독되어서는 안된다. 수치값 또는 범위를 언급하는 경우에 "대략"이란 용어는 측정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실험 오차에 기인하는 값들을 포괄하고자 의도되어 있다.The terms and phrases and variations thereof us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being open and not limited, unless specifically noted. As an example of the above: the term "comprising" should be interpreted to mean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term “example” is used to provide exemplary instances of the item under discussion rather than an exclusive or limited list thereof; Adjectives such as "conventional", "traditional", "traditional", "standard", "announced" and terms of similar meaning are limited to the items described in a given period or available in a given period.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one that should, but instead be read as incorporating conventional, traditional, conventional or standard techniques that may be available for any period of time now or in the future. Likewise, the group of items associated with the conjunction "and" should not be read as requiring each of the items and any one of them to be present in the grouping, but rather should be read as "and / or"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 Similarly, groups of items associated with the conjunction "or" should not be read as requiring mutual exclusion among the groups, but rather should be read as "and / or" unless stated otherwise. Furthermore, although an item, element, or component herein may be described or claimed to be in the singular, it is to be considered in the plural unless it is expressly stated to be a singular. In some cases, a wide range of terms and phrases or other similar phrases such as "one or more", "at least", "but not limited to" are intended to be narrower where such broad phrases may not be present or It should not be read as required. When referring to numerical values or ranges, the term "approximately" is intended to encompass values due to experimental errors that may occur in the measurement.

Claims (20)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 상에서 검출터치(detected touch)를 검출하여 검출입력(detected input)을 얻도록 동작가능한 검출모듈; 및
상기 검출터치에 기초한 제어를 수행하고, 휴지조작(deactivation operation)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입력의 수취를 금지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처리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장치.
A display module comprising a display panel;
A detection module operable to detect a detected touch on the display module to obtain a detected input; And
And a control processing module operable to perform control based on the detection touch and to prohibit receipt of the detection input based on a deactivation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처리모듈은, 상기 휴지조작을 기초로 하여 상기 표시모듈의 휘도를 저감시키도록 더욱 동작가능한 휴대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 processing module is further operable to reduce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odule based on the rest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처리모듈은, 상기 휴지조작이 상기 표시모듈로부터의 검출입력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검출모듈로부터의 검출입력의 수취를 금지하는 휴대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control processing module prohibits receipt of a detection input from said detection module when said rest operation is made of a detection input from said display module.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모듈과 검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처리모듈은, 각 검출모듈에 대하여 상기 휴지조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검출모듈로부터의 입력의 수취를 금지하도록 더욱 동작가능한 휴대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 and detection module,
And the control processing module is further operable to prohibit receipt of an input from each detection module when the rest operation is performed for each detection modu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처리모듈은, 상기 검출모듈들 가운데 하나의 검출모듈로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2검출모듈로부터의 입력의 수취를 금지하도록 더욱 동작가능한 휴대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control processing module is further operable to prohibit receipt of an input from a second detection module based on an input to one of the detection modul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처리모듈은, 상기 하나의 검출모듈로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검출모듈로부터의 입력의 수취를 허락하도록 추가로 동작가능한 휴대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control processing module is further operable to permit receipt of an input from the second detection module based on an input to the one detec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처리모듈은,
상기 검출모듈로부터의 검출입력의 수취의 금지를 해제하는 동작상태(operating state)로 상기 검출모듈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동작가능하고,
상기 휴지조작에 기초하여, 비동작상태(non-operating state)로 상기 검출모듈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동작가능한 휴대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processing module,
Is further operable to set the detection module to an operating state for releasing prohibition of receipt of detection input from the detection module,
And further operable to set the detection module to a non-operating state based on the idle oper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처리모듈은, 상기 검출모듈과 이격된 위치에 있는 휴대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processing module is a portable terminal device spaced apart from the detec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처리모듈은, 특정한 인터럽트 처리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모듈을 통한 상기 검출입력의 수취의 금지를 해제하도록 더욱 동작가능한 휴대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 processing module is further operable to cancel prohibition of receipt of the detection input through the detection module based on the detection of a specific interrupt proces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인터럽트 처리는, 전화의 착신 인터럽트 처리로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pecific interrupt processing is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comprising incoming call interrupt processing of a telephone.
제1터치패널 상의 터치를 검출하여 검출입력을 얻는 단계; 및
휴지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터치패널로부터의 상기 검출입력의 수취를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듀얼 터치패널 휴대단말장치의 조작방법.
Detecting a touch on the first touch panel to obtain a detection input; And
And prohibiting receipt of the detection input from the first touch panel based on the pause oper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조작을 기초로 하여 표시모듈의 휘도를 저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터치패널 휴대단말장치의 조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reduc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odule based on the pause oper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조작이 상기 제1터치패널로의 입력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터치패널로부터의 검출입력의 수취를 금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터치패널 휴대단말장치의 조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Prohibiting receipt of the detection input from the first touch panel when the pause operation is performed as an input to the first touch pane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조작이 제3터치패널에 대해 수행되는 경우, 복수의 터치패널 중 상기 제3터치패널로부터의 검출입력의 수취를 금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터치패널 휴대단말장치의 조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Prohibiting receipt of a detection input from the third touch panel among a plurality of touch panels when the pause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third touch panel.
제14항에 있어서,
터치패널 중 제4터치패널로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2터치패널로부터의 입력의 수취를 금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터치패널 휴대단말장치의 조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Prohibiting receipt of an input from the second touch panel based on an input to a fourth touch panel among the touch panel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터치패널을 통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터치패널로부터의 입력의 수취를 금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터치패널 휴대단말장치의 조작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Prohibiting receiving of the input from the second touch panel based on the input through the fourth touch pane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터치패널로부터의 입력의 수취를 금지하는 비동작상태(non-operating state)를 설정하는 단계; 및
해제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1터치패널로부터의 입력의 수취를 허용하는 동작상태(operating state)로 되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터치패널 휴대단말장치의 조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Setting a non-operating state that prohibits receipt of an input from the first touch panel based on the rest operation; And
And returning to an operating state allowing reception of an input from the first touch panel based on the release operation.
제11항에 있어서,
특정 인터럽트 처리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1터치패널로부터의 입력의 수취의 금지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터치패널 휴대단말장치의 조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canceling the prohibition of receiving the input from the first touch panel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a specific interrupt proces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인터럽트 처리는, 전화의 착신 인터럽트 처리로 이루어지는 듀얼 터치패널 휴대단말장치의 조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specific interrupt processing is a method for operating a dual touch panel portable terminal device, which is an incoming interrupt processing of a telepho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조작은 슬립키(sleep key)의 활성화로 이루어지는 듀얼 터치패널 휴대단말장치의 조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pause operation is a control method of a dual touch panel portable terminal device consisting of activation of a sleep key.
KR1020100105514A 2009-10-27 2010-10-27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ual touch panel mobile terminal device KR101129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514A KR101129616B1 (en) 2009-10-27 2010-10-27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ual touch panel mobile termi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6098 2009-10-27
KR1020100105514A KR101129616B1 (en) 2009-10-27 2010-10-27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ual touch panel mobile termin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367A KR20110046367A (en) 2011-05-04
KR101129616B1 true KR101129616B1 (en) 2012-03-28

Family

ID=4424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514A KR101129616B1 (en) 2009-10-27 2010-10-27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ual touch panel mobile termin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61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271A (en) * 2006-03-28 2007-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pad
KR100856239B1 (en) 2007-04-06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on in a wireless terminal with 1st display and 2nd display
KR20090008748A (en) * 2007-07-18 2009-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ing screen size of touch screen and locking control operation, and terminal applied to the same
KR20100023326A (en) * 2008-08-21 2010-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oh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271A (en) * 2006-03-28 2007-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pad
KR100856239B1 (en) 2007-04-06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on in a wireless terminal with 1st display and 2nd display
KR20090008748A (en) * 2007-07-18 2009-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ing screen size of touch screen and locking control operation, and terminal applied to the same
KR20100023326A (en) * 2008-08-21 2010-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oh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367A (en)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8147B2 (en) Mobile terminal device
US8934944B2 (en) Mobile terminal device
JP4824805B2 (en) Mobile terminal device
US2010018227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input assembly
US20150253953A1 (en) Mobile terminal device, storage medium and lock cancellation method
US20140189397A1 (en) State control device, stat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7074716A (en) Mobile handset comprising touch pad
US20130069896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a
US8917251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102608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sensing of a portable terminal
US9223427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keylock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device
US8972887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00029328A1 (en) Handheld device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US20160262097A1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1790503B1 (en) Cover for smart devic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ver and smart device
JP5693696B2 (en) Mobile terminal device
JP499058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9144308B (en) Display screen driving method, display screen,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JP4980338B2 (en) Image display device
US20120212436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129616B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ual touch panel mobile terminal device
JP2011253567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1829325B1 (en) Cover for smart devic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ver and smart device
KR101790504B1 (en) Cover for smart devic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ver and smart device
JP2011182072A (en) Portable terminal and restoration control method from display power saving state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