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615B1 -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615B1
KR101129615B1 KR1020090079066A KR20090079066A KR101129615B1 KR 101129615 B1 KR101129615 B1 KR 101129615B1 KR 1020090079066 A KR1020090079066 A KR 1020090079066A KR 20090079066 A KR20090079066 A KR 20090079066A KR 101129615 B1 KR101129615 B1 KR 101129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ase plate
portable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336A (ko
Inventor
정상진
심순섭
Original Assignee
(주)오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선텍 filed Critical (주)오선텍
Priority to KR102009007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6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01N2021/945Liquid or solid deposits of macroscopic size on surfaces, e.g. drops, films, or clustered contamin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11)이 형성된 베이스판(10); 상기 베이스판(10)의 관통공(11)에 배치되어 상하로 통공되도록 하는 스크린(20); 상기 베이스판(10)의 스크린(20) 상면에 안착되고 시료패드(5)가 투입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개방된 상방을 덮어씌우는 덮개(32)가 구비된 본체(30,50); 및 상기 베이스판(10) 저면에 스크린(20)을 덮어씌웠다가 측정시 벗겨내는 보호지(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휴대가 가능한 베이스판의 관통공에 스크린을 설치하고 이 스크린 상부에 덮개를 갖는 본체를 설치하며 본체 내부에 시료패드를 투입한 후 스크린을 통해 해당 지역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휴대가 가능하여 측정 장소의 제약을 받지 하지 않고 신속하게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갖는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 베이스판, 시료패드, 보호지, 스크린

Description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Portable pollutants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한 베이스판의 관통공에 스크린을 설치하고 이 스크린 상부에 덮개를 갖는 본체를 설치하며 본체 내부에 시료패드를 투입한 후 스크린을 통해 해당 지역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휴대가 가능하여 측정 장소의 제약을 받지 하지 않고 신속하게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갖는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로서 오존이나 포름알데하이드 같은 유해 화학물질들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그 중, 포름알데히드(HCHO)는 발암성 자극성 화학종으로 작업장과 실내공기오염의 중요한 오염물질이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30분 평군 농도를 0.08ppm으로 설정하고 미국 산업 위생국(ACGIH)에서는 최대 노출농도를 0.3ppm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지하생활공간에서 포름알데히드 농도를 1시간 평균 0.1ppm 이하로 정하는 등 실내공간에서 포름알데히드 농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 들어 신도시 건설붐과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에 따라 포름알데하이드와 같은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빈번히 보도되어 가정에서도 간편히 대기 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측정을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오존은 상온에서는 약간 청색을 띠는 기체로서 공기 속에 0.0002부피 %만 존재해도 냄새를 감지할 수 있으며, 불용성으로서 상온에서 자발적으로 분해되어 산소가 되고, 자외선이 풍부한 높은 산, 해안, 산림 등의 공기 중에도 존재하여 상쾌한 느낌을 주는 근원이 되고 있다.
그러나, 다량으로 존재할 때는 오히려 불쾌감을 느끼게 되며, 인체에 독성이 있어 장시간 흡입하면 호흡기관을 해치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오존은 대기 중에 다량 분포하면 인체에 피해를 주게 되므로 오존의 증가시 그 농도를 측정 발표하여 인체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포름알데히드를 측정하는 방법은 모두 현장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실험실에서 추출하여 확인하는 번거로운 작업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실험자의 경험과 능력에 따라 실험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는 단점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부대장비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 및 분석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불편함 등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고농도 및 저농도 오존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는, 일례로 오존의 동시측정센서와 관련된 고안이 등록번호 20-0230292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연산장치 및 검출장치 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이 필요하며, 또한, 연산장치 및 검출장치 등을 연결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휴대가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측정 장소의 제약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검출 후 연산장치에 의해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검출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가 가능한 베이스판의 관통공에 스크린을 설치하고 이 스크린 상부에 덮개를 갖는 본체를 설치하며 본체 내부에 시료패드를 투입한 후 스크린을 통해 해당 지역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휴대가 가능하여 측정 장소의 제약을 받지 하지 않고 신속하게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갖는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관통공에 배치되어 상하로 통공되도록 하는 스크린; 및 상기 베이스판의 스크린 상면에 안착되고 시료패드가 투입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개방된 상방을 덮어씌우는 덮개가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 저면에 스크린을 덮어씌웠다가 측정시 벗겨내는 보호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지의 일측부에 벗겨내기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공기는 유입시키고 먼지는 차단시키는 미세망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덮개에 각각 스크린을 통해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덮개의 내주면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나사 결합되도록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그 바닥면에 시료패드가 설치된 별도의 측정커버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는 휴대가 가능한 베이스판의 관통공에 스크린을 설치하고 이 스크린 상부에 덮개를 갖는 본체를 설치하며 본체 내부에 시료패드를 투입한 후 스크린을 통해 해당 지역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휴대가 가능하여 측정 장소의 제약을 받지 하지 않고 신속하게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갖는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는 중앙에 관통공(11)이 형성된 베이스판(10)과, 이 베이스판(10)의 관통공(11)에 배치되어 상하로 통공되도록 하는 스크린(20) 및 상기 베이스판(10)의 스크린(20) 상면에 안착되고 시료패드(5)가 투입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개방된 상방을 덮어씌우는 덮개(32)가 구비된 본체(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시료패드(5)는 표면이 편평한 판재(원판, 사각판 등) 형상으로, 그 표면에는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약을 도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베이스판(10)은 얇은 판재 형상으로, 테두리에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열쇠고리 등을 걸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고리(미도시)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스크린(20)은 베이스판(10)의 관통공(11) 테두리에 접착 배치되어 측정 대상 공간의 공기는 유입시키고 먼지는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모눈 크기를 갖는 미세망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30)는 스크린(20)의 상방을 덮어씌우면서 베이스판(10)의 관통공(11) 상에 배치되는 상방이 개방된 원관 형상으로, 그 외주면 일측에 별도의 연결띠(34)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커버 형상의 덮개(32)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30)와 덮개(32)에 각각 스크린(20)을 통해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통공(30a,32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통공(30a,32a)은 서로 간의 연통이 원활하게 되도록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외주면에는 테두리 전체에 걸쳐 걸림턱(30b)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덮개(32)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 상기 걸림턱(30b)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32b)가 형성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32c는 덮개(32)를 개방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나타낸 것이고, 36은 본체(30)가 베이스판(10)의 관통공(11) 테두리에 걸려 안정적으로 안착(접착)되도록 하는 플랜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10) 저면에는 스크린(20)을 덮어씌웠다가 측정시 벗 겨내는 얇은 비닐 재질의 보호지(4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지(40)의 일측부에는 이 보호지(40)를 벗겨 내기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41)가 더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체(50)의 외주면에 나사산(52)이 형성되고 이에 나사 결합되도록 그 내주면에 나사산(62)이 형성되며 그 바닥면에 시료패드(64)가 설치된 별도의 측정커버(60)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는 베이스판(10)의 관통공(11) 내주면에 스크린(20)을 접착 배치하고 그 상방으로 본체(30)를 덮어씌우며 그 저면으로는 보호지(40)를 부착하여 측정기의 조립을 완성한다.
그런 다음, 해당 오염 측정 장소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에 맞는 시료패드(5)를 본체(30)의 내부공간에 투입하고 덮개(32)를 덮어씌운 후 저면의 보호지(40)를 벗겨내면 해당 공간 내의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체(30)와 덮개(32)의 각 통공(30a,32a)이 외부로 연통되어 있어 스크린(20)을 통해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료패드(5)에는 단일 종류의 오염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한 가지 시약만을 도포할 수도 있고, 또는 여러종류의 오염물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의 시약을 구획 도포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하여, 일정시간(대략 1시간 정도) 측정 후 시료패드의 변색된 색깔과 미리 준비되어 있는 조견표의 색을 비교하여 오염물질의 종류 및 오염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오염도 측정이 완료되면 다시 본체(30)의 덮개(32)를 덮어씌우는 동시에 스크린(20) 저면으로 보호지(40)를 부착하여 또 다른 오염도의 측정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렇게 별도의 시료패드(5)를 사용하는 이외에 시료패드(64)가 그 바닥면에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있는 측정커버(60)를 본체(50)에 직접 나사 결합시켜 오염도를 측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의 시료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시료패드 10 : 베이스판
11 : 관통공 20 : 스크린
30 : 본체 30a : 통공
30b : 걸림턱 32 : 덮개
32a : 통공 32b : 걸림돌기
34 : 연결띠 36 : 플랜지부
40 : 보호지 41 : 손잡이

Claims (5)

  1. 중앙에 관통공(11)이 형성된 베이스판(10);
    상기 베이스판(10)의 관통공(11)에 배치되어 상하로 통공되도록 하는 스크린(20); 및
    상기 베이스판(10)의 스크린(20) 상면에 안착되고 시료패드(5)가 투입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개방된 상방을 덮어씌우는 덮개(32)가 구비된 본체(30,50);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10) 저면에 스크린(20)을 덮어씌웠다가 측정시 벗겨내는 보호지(4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30)와 덮개(32)에 각각 스크린(20)을 통해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통공(30a,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0)의 외주면에 걸림턱(30b)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덮개(32)의 내주면에 상기 걸림턱(30b)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32b)가 형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0)의 외주면에 나사산(52)이 형성되고 이에 나사 결합되도록 그 내주면에 나사산(62)이 형성되며 그 바닥면에 시료패드(64)가 설치된 별도의 측정커버(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
KR1020090079066A 2009-08-26 2009-08-26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 KR101129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066A KR101129615B1 (ko) 2009-08-26 2009-08-26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066A KR101129615B1 (ko) 2009-08-26 2009-08-26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336A KR20110021336A (ko) 2011-03-04
KR101129615B1 true KR101129615B1 (ko) 2012-03-28

Family

ID=4393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066A KR101129615B1 (ko) 2009-08-26 2009-08-26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6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5234A (ja) * 2003-04-24 2004-11-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ホルムアルデヒド検知ラベル
JP2005164575A (ja) * 2003-11-13 2005-06-23 Riken Keiki Co Ltd ガス検知材、及びこれに適したガス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5234A (ja) * 2003-04-24 2004-11-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ホルムアルデヒド検知ラベル
JP2005164575A (ja) * 2003-11-13 2005-06-23 Riken Keiki Co Ltd ガス検知材、及びこれに適したガス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336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3215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analysing breath samples
WO2006083457A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aminant detection
KR101258547B1 (ko) 악취 관능 평가용 공기 희석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TE355529T1 (de) Probenanalysegerät und eine vorrichtung zur detektion von nukleinsäuren
US8333124B2 (en) Diffusive sampling device
CN205280683U (zh) 医院病房空气质量监测系统
KR101129615B1 (ko) 휴대용 오염물질 측정기
CN101493383B (zh) 挥发性物质的发生与采集系统
US20090071230A1 (en) Method for reliable, individualized measurement and warning of air pollution, and associated device
KR102061138B1 (ko) 냄새 강도 평가용 후각 강도 인지장치
ATE349014T1 (de) Vorrichtung zur analyse von proben und bakterien
CN107209162A (zh) 水中有机物的光致电离检测器系统
JP2020034436A (ja) 微量なカビ臭物質等を検知する臭い検出装置
ATE473775T1 (de) Vorrichtung zur analyse von atemgasen
JP2001264224A (ja) 空気中の有害物質のサンプリング用容器
KR100525515B1 (ko) 건축자재 유해물질 측정용 시험기
KR20050075954A (ko) 건축자재로부터 방출되는 유해물질 측정을 위한 시험실 장치
JP4849546B2 (ja) パッシブ型放散量測定装置
JP4856866B2 (ja) ガス中の被検物質検出器及びそのためのホルダー
JP2007064872A (ja) 分析装置
JP2002162322A (ja) アルデヒド類、voc等の有害化学物質の部位別放散量測定器
CN216979089U (zh) 气体收集装置
JP2014119357A (ja) 油汚染土壌用定量測定システム
KR100446943B1 (ko) 휴대용 측정장치
KR101128900B1 (ko) 가스포집 챔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