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305B1 -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305B1
KR101129305B1 KR1020100044070A KR20100044070A KR101129305B1 KR 101129305 B1 KR101129305 B1 KR 101129305B1 KR 1020100044070 A KR1020100044070 A KR 1020100044070A KR 20100044070 A KR20100044070 A KR 20100044070A KR 101129305 B1 KR101129305 B1 KR 101129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bottom plate
emitting diode
spli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595A (ko
Inventor
장영환
Original Assignee
장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환 filed Critical 장영환
Priority to KR1020100044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30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4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전자제품을 비롯하여 공작기계 및 차량 등의 피부착물(계기판)에 장착되어 계기판의 식별력을 높여 주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 하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통공인 분할형 접점단자장착공(20)과 일체형 접점단자장착공(30)을 구비하여 형성된 소켓베이스(10)와; 상기 소켓 베이스(10)의 분할형 접점단자장착공(20)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발광다이오드(90)의 한쪽 단자를 탄성적으로 압착하여 접촉하고, 다른쪽 단부에서 과전류방지수단(70)을 압착편에 의해 압착 고정하는 분할형 리드프레임 접점단자(40)와; 상기 소켓베이스(10)의 분할형 접점단자장착공(20)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가 상기 과전류방지수단(70)을 압착편에 의해 압착하여 고정하고 다른쪽 단부는 전기선(80)과 접속되어 있는 분할형 전선접점단자(50)와; 상기 일체형 접점단자장착공(20)에 서로 간격이 좁혀지는 한쌍의 리드프레임 압착편(63a, 63b)들이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다른쪽 단자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전기선(80)과 접속되어 있는 일체형접점단자(60)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자동차의 운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과전류방지수단과 리드프레임 접점단자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선 접촉되던 접점단자와 과전류방지수단을 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LED lamp socket assembly}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점단자에 압착편을 형성하여 과전류방지수단(예를 들면, 칩저항)을 탄성적으로 압착하고, 또한 리드프레임 접점단자에 탄성력을 갖는 압착편을 형성하여 발광다이오드의 단자를 압착하여 고정하여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접촉불량을 방지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전자 제품, 공작기계, 차량, 산업기기 등의 계기판이 잘보이도록 내부에 조명수단을 장착하여, 계기판에서 빛을 발하도록 하여 계기판에 설치된 스위치 등을 주간 구별없이 용이하게 찾아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어서, 다른 회로요소(예를 들면, 과전류방지수단)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동작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되어 다른 회로요소와 연결되어 소켓내에 장착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는 상, 하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통공인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3)을 구비하여 형성된 소켓베이스(1)의 발광다이오드 안착면에 상측에서 발광다이오드(4)를 결합 및 장착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4)의 리드프레임(4a)이 접속되고, 상기 소켓베이스(1)에 장전되는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5)와 상기 발광다이오드(4)의 리드프레임(4a) 및 전기선(8)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1)에 장전되는 일체형접점단자(6)를 구비하고, 전기선(8)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1)에 장전되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7)를 포함하여 형성하거나 이와 같은 발명에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5)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7)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4)의 전류를 제한하는 과전류방지수단(9)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소켓 조립체는 과전류방지수단(9)이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5)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7) 사이에서 누름편(5a)의 누르는 힘으로 선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충격이나 조립과정의 결함 또는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쉽게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켓베이스에 일체형 접점단자를 구비하여 발광다이오드의 탈착이 용이한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점단자사이에 연결되어 선 접촉되던 과전류방지수단을 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접점단자의 압착편으로 압착하여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한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광다이오드의 단자에 형성된 엠보싱을 접점단자들의 압착편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는 상, 하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통공인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을 구비하여 형성된 소켓베이스와; 상기 소켓 베이스의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발광다이오드의 한쪽 단자를 탄성적으로 압착하여 접촉하고, 다른쪽 단부에서 과전류방지수단을 압착편에 의해 압착 고정하는 분할형 리드프레임 접점단자와; 상기 소켓 베이스의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가 상기 과전류방지수단을 압착편에 의해 압착하여 고정하고 다른쪽 단부는 전기선과 접속되어 있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와;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에서 서로 간격이 좁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리드프레임 압착편들이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다른쪽 단자에 탄력적으로 압착하여 접촉되고 다른쪽 단부에서 전기선과 접속되어 있는 일체형접점단자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과전류방지수단은 과전류를 방지하는 저항, 전류를 충전 및 방전시켜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하는 콘덴서, 상기 저항과 콘덴서를 조합한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분할형 리드프레임 접점단자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한쪽 단부 좌우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과;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의 후방에 상기 바닥판의 일부가 절체되어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과전류방지수단의 조립시에 스토퍼역할을 하는 조립돌기와; 상기 바닥판의 좌우 중간에서 연장되어 세워지고 상기 바닥판의 다른쪽 단부를 향하여 서로 간격이 좁혀지고 바깥쪽으로 일정길이 휘어지는 한쌍의 리드프레임 압착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분할형 전선 접점단자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한쪽 단부 좌우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압착편과;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압착편의 후방에 상기 바닥판의 일부가 절체되어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과전류방지수단의 조립시에 스토퍼역할을 하는 조립돌기와; 상기 바닥판의 좌우 중간에서 연장되어 전선의 구리선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한쌍의 구리선 압착편과; 상기 바닥판의 다른쪽 단부 좌우에서 연장되어 전선의 피복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한쌍의 전선피복 압착편과; 상기 바닥판의 중간에서 밖으로 돌출되도록 구부러져 상기 소켓 베이스의 고정돌기에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일체형 전선 접점단자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 중간에서 연장되어 전선의 구리선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한쌍의 구리선 압착편과; 상기 바닥판의 다른쪽 상부 좌우에서 연장되어 전선의 피복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한쌍의 전선피복 압착편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 중간에서 연장되어 세워지고 상기 바닥판의 다른쪽 단부를 향하여 서로 간격이 좁혀져 붙은 상태가 되고 바깥쪽으로 일정길이 휘어지는 한쌍의 리드프레임 압착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의 끝단부와 상기 바닥판 사이의 간격 d1은 과전류방지수단의 높이 h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단자에 형성된 엠보싱 부분에 리드프레임 압착편들의 꺽여진 부분이 탄성력으로 압착하도록 하여 걸려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의 끝단부와 상기 분할형 전선 접점단자의 바닥판 사이의 간격 d2은 과전류방지수단의 높이 h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단자에 형성된 엠보싱 부분에 리드프레임 압착편들의 꺽여진 부분이 탄성력으로 압착하도록 하여 걸려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할형 리드프레임 접점단자와 분할형 전선 접점단자에 압착편을 형성하여 분할형 리드프레임 접점단자와 분할형 전선 접점단자 사이에 접촉되는 과전류방지수단을 압착편으로 눌러 접촉하고, 발광다이오드의 +단자와 -단자를 한쌍의 리드프레임 압착편에 끼워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자동차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자동차의 운행 중에 도로의 불규칙한 도로를 달림으로써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과전류방지수단과 리드프레임 접점단자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선 접촉되던 접점단자와 과전류방지수단을 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외부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을 종단 직선 A-A를 따라 자른 종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분할형 리드프레임 접점단자가 과전류방지수단과 결합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분할형 전선 접점단자가 과전류방지수단과 결합되기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전선 접점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전선 접점단자에 전선과 발광다이오드의 -단자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소켓에 발광다이오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램프소켓의 중간을 종단하여 자른 후 제거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과 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는 상, 하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통공인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30)을 구비하여 형성된 소켓베이스(10)와; 상기 소켓 베이스(10)의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발광다이오드(90)의 한쪽 단자를 탄성적으로 압착하여 접촉하고, 다른쪽 단부에서 과전류방지수단(70)을 압착편에 의해 압착 고정하는 분할형 리드프레임 접점단자(40)와; 상기 소켓 베이스(10)의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가 상기 과전류방지수단(70)을 압착편에 의해 압착하여 고정하고 다른쪽 단부는 전기선(80)과 접속되어 있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와;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20)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에서 서로 간격이 좁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리드프레임 압착편(63a, 63b)들이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다른쪽 단자에 탄력적으로 압착하여 접촉되고 다른쪽 단부에서 전기선(80)과 접속되어 있는 일체형접점단자(60)로 구성된다.
여기서 과전류방지수단(70)은 발광다이오드(90)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과전류를 방지하는 저항, 전류를 충전 및 방전시켜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하는 콘덴서, 상기 저항과 콘덴서를 조합한 회로일 수 있다.
도 3a에 본 발명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외부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소켓(10)은 상기 소켓베이스(10)의 내부를 양측으로 나눈 중앙분리벽(15)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분리벽(15)에 의해 나누어진 소켓베이스(10)의 내부 일측에는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30)을 구비하고, 또 다른 소켓베이스(10)의 내부 일측에는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을 구비하여 형성한다.
도 3b에 본 발명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을 종단 직선 A-A를 따라 자른 종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30)은 일체형접점단자지지면(33)과 상기 일체형접점단자(60)가 견고히 결합하도록 하는 일체형접점단자장착턱(35)을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일체형접점단자(60)를 소켓베이스(1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경우에 일체형접점단자장착턱(35) 이상 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기(34)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일체형접점단자(60)의 일체형접점단자결속편(63)이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기(34)와 맞물려 일체형접점단자(60)가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은 분할형전선접점단자장착공(21), 보호수단장착공(22) 및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공(23)으로 형성한다.
상기 분할형 접점단자장착공(20)은 접점단자지지면(26)과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가 걸리도록 되어 있는 접점단자장착턱(28)을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를 소켓베이스(1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경우에 접점단자장착턱(28) 이상 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접점단자결속돌기(27)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의 접점단자 고정편(56)이 접점단자 고정돌기(27)와 맞물려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가 분할형 접점단자장착공(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은 과전류방지수단(70)의 안정적인 결합 및 적절한 위치의 결합을 유도하는 과전류방지수단 결착편(29)을 구비하여 형성하고,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의 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공(23)은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의 장착을 위한 접점단자장착턱(25)을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를 소켓베이스(1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경우에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턱(25) 이상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a 및 도 4b에 본 발명에 의한 분할형 리드프레임 접점단자가 과전류방지수단과 결합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분할형 리드프레임 접점단자(40)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41)과; 상기 바닥판(41)의 한쪽 단부 좌우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42a, 42b)과;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42a 42b)의 후방에 상기 바닥판(41)의 일부가 절체되어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과전류방지수단(70)의 조립시에 스토퍼역할을 하는 조립돌기(45)와; 상기 바닥판(41)의 좌우 중간에서 연장되어 세워지고 상기 바닥판(41)의 다른쪽 단부를 향하여 서로 간격이 좁혀지고 바깥쪽으로 일정길이 휘어지는 한쌍의 리드프레임 압착편(43a, 43b)으로 구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42a, 42b)은 상기 바닥판(41)의 한쪽 단부 좌우에서 세워지고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좌우에서 세워진 단부들을 안쪽으로 향하게 구부리고 다시 아래쪽으로 둥그렇게 휘어지도록 하여 아래쪽으로 향하게 형성된다.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42a, 42b)의 끝단부와 상기 바닥판(41) 사이의 간격 d1은 과전류방지수단(70)의 높이 h보다 낮아서 상기 한쌍의 압착편(42a, 42b)과 상기 바닥판(41) 사이에 상기 과전류방지수단(70)이 끼워지게 되면 상기 과전류방지수단(70)은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42a, 42b)을 위로 올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42a, 42b)은 원래의 높이로 돌아가려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과전류방지수단(70)에 아래로 누르는 압착력을 가하게 되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과전류방지수단(70)은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42a, 42b)과 상기 바닥판(41) 사이에 끼워져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자동차의 운행 중에 도로의 불규칙한 면위로 달림으로써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과전류방지수단(70)과 리드프레임 접점단자(40)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본 발명에 의한 분할형 전선 접점단자가 과전류방지수단과 결합되기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분할형 전선 접점단자(50)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51)과; 상기 바닥판(51)의 한쪽 단부 좌우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압착편(52a, 52b)과;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압착편(52a 52b)의 후방에 상기 바닥판(51)의 일부가 절체되어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과전류방지수단(70)의 조립시에 스토퍼역할을 하는 조립돌기(53)와; 상기 바닥판(51)의 좌우 중간에서 연장되어 세워지고 다시 아래로 구부러져 전선(80)의 구리선(80a)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한쌍의 구리선 압착편(54a, 54b)과; 상기 바닥판(51)의 다른쪽 단부 좌우에서 연장되어 세워지고 다시 아래로 구부러져 전선(80)의 피복(80b)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한쌍의 전선피복 압착편(55a, 55b)과; 상기 바닥판(51)의 중간에서 "ㄷ"자 모양으로 절개되어 밖으로 돌출되도록 구부러져 상기 소켓 베이스(10)의 고정돌기에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편(56)으로 구성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압착편(52a, 52b)은 상기 바닥판(51)의 끝단부 좌우에서 세워지고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좌우에서 세워진 단부들을 안쪽으로 향하게 구부리고 다시 아래쪽으로 둥그렇게 휘어지도록 하여 아래쪽으로 향하게 형성된다.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압착편(52a, 52b)의 끝단부와 상기 바닥판(51) 사이의 간격 d2는 과전류방지수단(70)의 높이 h보다 낮아서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압착편(52a, 52b)과 상기 바닥판(41) 사이에 상기 과전류방지수단(70)이 끼워지게 되면 상기 과전류방지수단(70)은 상기 한쌍의 압착편(52a, 52b)의 아래로 누르는 힘에 눌려져 상기 한쌍의 압착편(52a, 52b)과 상기 바닥판(41) 사이에 물려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압착편(52a, 52b)은 원래의 높이로 돌아가려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과전류방지수단(70)에 아래로 누르는 압착력을 가하게 되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과전류방지수단(70)은 상기 한쌍의 압착편(52a, 52b)과 상기 바닥판(51)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 6a에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전선 접점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6b에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전선 접점단자에 전선과 발광다이오드의 -단자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전선 접점단자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61)과; 상기 바닥판(61)의 좌우 중간에서 연장되어 세워지고 다시 아래로 구부러져 전선(80)의 구리선(80a)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한쌍의 구리선 압착편(64a, 64b)과; 상기 바닥판(61)의 다른쪽 상부 좌우에서 연장되어 세워지고 다시 아래로 구부러져 전선(80)의 피복(80b)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한쌍의 전선피복 압착편(65a, 65b)과; 상기 바닥판(61)의 좌우 중간에서 연장되어 세워지고 상기 바닥판(61)의 다른쪽 단부를 향하여 서로 간격이 좁혀져 붙은 상태가 되고 바깥쪽으로 일정길이 휘어지는 한쌍의 리드프레임 압착편(63a, 63b)으로 구성된다.
일체형 전선 접점단자(60)의 바닥판(61)은 도전성이 좋은 얇은 구리판으로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강철,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등 금속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쌍의 구리선 압착편(64a, 64b)은 상기 바닥판(61) 좌우 중간에서 연장되어 세워지고 다시 아래로 구부러져 대략 서로 마주보는 고리형상으로 되어 바닥판(61)과 고리 끝 사이에 끼워지는 구리선(80a)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의 탄성력으로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한쌍의 전선피복 압착편(65a, 65b)은 상기 바닥판(61)의 좌우 상부에서 위로 연장되어 세워지고 다시 아래로 구부러져 대략 서로 마주보는 고리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그 크기는 한쌍의 구리선 압착편(64a, 64b)보다 1.5배정도 커서 전선(80)의 피복을 둘러싸서 압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바닥판(61)과 고리 끝 사이에 끼워지는 전선(80)을 금속재질의 탄성력으로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한쌍의 리드프레임 압착편(63a, 63b)은 상기 바닥판(61)의 좌우 중간부에서 위로 연장되어 세워지고, 그 후 상기 바닥판(61)에서 분리되어 상기 바닥판(61)의 다른쪽 단부를 향하여 서로 간격이 좁혀지면서 연장되어 붙은 상태가 되고 바깥쪽으로 일정길이 휘어지도록 구성된다.
한쌍의 리드프레임 압착편(63a, 63b)은 서로 간격이 좁혀지는 부분에 발광다이오드의 -단자(93)가 끼워져서 리드프레임 압착편(63a, 63b)의 좁혀지려는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도 7에 본 발명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소켓에 발광다이오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램프소켓의 중간을 종단하여 자른 후 제거한 종단면도가 도시된다.
발광다이오드의 +단자(짧은 단자)는 분할형 리드프레임접점단자(40)의 리드프레임 압착편(43a, 43b) 사이에 끼워져 리드프레임 압착편(43a, 43b)의 탄셩력에 의해 좌우 양쪽에서 눌려져 고정되어 장착된다.
특히 발광다이오드의 +단자(92)에 형성된 엠보싱(92a) 부분에 맞추어 리드프레임 압착편(43a, 43b)의 꺽여진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여 엠보싱(92a)과 리드프레임 압착편(43a, 43b)의 꺽여진 부분이 만나서 일정부분 들어가도록 하여 접속 후 유동이 없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발광다이오드의 -단자(93, 긴 단자)도 발광다이오드의 +단자(92, 짧은 단자)보다 더 먼거리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으며, 엠보싱(93a) 부분에 맞추어 리드프레임 압착편(63a, 63b)의 꺽여진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여 엠보싱(93a)과 리드프레임 압착편(63a, 63b)의 꺽여진 부분이 만나서 일정부분 들어가도록 하여 접속 후 유동이 없도록 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의 두단자에 형성된 엠보싱 부분(92a, 93a)에 리드프레임 압착편(43a, 43b, 63a, 63b)들의 꺽여진 부분이 탄성력으로 압착하도록 하여 걸려있게 함으로써 종래의 접촉보다 더 견고하게 접촉되어서 차체의 진동으로 인하여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소켓베이스 20 :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
25 :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턱 26 : 분할형전선접점단자지지면 27 : 분할형전선접점단자고정돌기 28 : 분할형전선접점단자장착턱
30 :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 33 : 일체형접점단자지지면
34 : 일체형접점단자고정돌기 35 : 일체형접점단자장착턱
40 :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 41, 51 : 바닥판
42a, 42b, 52a 52b: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
43a, 43b, 63a, 63b: 리드프레임 압착편
45, 53 : 조립돌기 50 : 분할형전선접점단자
54a, 54b, 64a, 64b : 구리선 압착편
55a, 55b, 65a, 65b: 전선피복 압착편
60 : 일체형접점단자 70 : 과전류방지수단
80 : 전선 90 : 발광다이오드
91 : 몰드 92 : +단자
92a, 93a : 엠보싱 93 : -단자

Claims (9)

  1. 상, 하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통공인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30)을 구비하여 형성된 소켓베이스(10)와;
    상기 소켓 베이스(10)의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발광다이오드(90)의 한쪽 단자를 탄성적으로 압착하여 접촉하고, 다른쪽 단부에서 과전류방지수단(70)을 압착편에 의해 압착 고정하는 분할형 리드프레임 접점단자(40)와;
    상기 소켓 베이스(10)의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가 상기 과전류방지수단(70)을 압착편에 의해 압착하여 고정하고 다른쪽 단부는 전기선(80)과 접속되어 있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와;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20)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에서 서로 간격이 좁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리드프레임 압착편(63a, 63b)들이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다른쪽 단자에 탄력적으로 압착하여 접촉되고 다른쪽 단부에서 전기선(80)과 접속되어 있는 일체형접점단자(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과전류방지수단(70)은 과전류를 방지하는 저항, 전류를 충전 및 방전시켜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하는 콘덴서, 상기 저항과 콘덴서를 조합한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리드프레임 접점단자(40)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41)과; 상기 바닥판(41)의 한쪽 단부 좌우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42a, 42b)과;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42a 42b)의 후방에 상기 바닥판(41)의 일부가 절체되어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과전류방지수단(70)의 조립시에 스토퍼역할을 하는 조립돌기(45)와; 상기 바닥판(41)의 좌우 중간에서 연장되어 세워지고 상기 바닥판(41)의 다른쪽 단부를 향하여 서로 간격이 좁혀지고 바깥쪽으로 일정길이 휘어지는 한쌍의 리드프레임 압착편(43a, 43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전선 접점단자(50)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51)과; 상기 바닥판(51)의 한쪽 단부 좌우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압착편(52a, 52b)과;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압착편(52a 52b)의 후방에 상기 바닥판(51)의 일부가 절체되어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과전류방지수단(70)의 조립시에 스토퍼역할을 하는 조립돌기(53)와; 상기 바닥판(51)의 좌우 중간에서 연장되어 전선(80)의 구리선(80a)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한쌍의 구리선 압착편(54a, 54b)과; 상기 바닥판(51)의 다른쪽 단부 좌우에서 연장되어 전선(80)의 피복(80b)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한쌍의 전선피복 압착편(55a, 55b)과; 상기 바닥판(51)의 중간에서 밖으로 돌출되도록 구부러져 상기 소켓 베이스(10)의 고정돌기(27)에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편(5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전선 접점단자(60)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61)과; 상기 바닥판(61)의 좌우 중간에서 연장되어 전선(80)의 구리선(80a)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한쌍의 구리선 압착편(64a, 64b)과; 상기 바닥판(61)의 다른쪽 상부 좌우에서 연장되어 전선(80)의 피복(80b)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한쌍의 전선피복 압착편(65a, 65b)과; 상기 바닥판(61)의 좌우 중간에서 연장되어 세워지고 상기 바닥판(61)의 다른쪽 단부를 향하여 서로 간격이 좁혀져 붙은 상태가 되고 바깥쪽으로 일정길이 휘어지는 한쌍의 리드프레임 압착편(63a, 63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42a, 42b)의 끝단부와 상기 바닥판(41) 사이의 간격 d1은 과전류방지수단(70)의 높이 h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단자(92)에 형성된 엠보싱 부분(92a)에 리드프레임 압착편(43a, 43b)들의 꺽여진 부분이 탄성력으로 압착하도록 하여 걸려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과전류방지수단 압착편(52a, 52b)의 끝단부와 상기 분할형 전선 접점단자(50)의 바닥판(51) 사이의 간격 d2은 과전류방지수단(70)의 높이 h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단자에 형성된 엠보싱 부분(93a)에 리드프레임 압착편(63a, 63b)들의 꺽여진 부분이 탄성력으로 압착하도록 하여 걸려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KR1020100044070A 2010-05-11 2010-05-11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KR101129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070A KR101129305B1 (ko) 2010-05-11 2010-05-11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070A KR101129305B1 (ko) 2010-05-11 2010-05-11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595A KR20110124595A (ko) 2011-11-17
KR101129305B1 true KR101129305B1 (ko) 2012-03-26

Family

ID=4539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070A KR101129305B1 (ko) 2010-05-11 2010-05-11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3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186A (ko) * 1999-12-08 2001-07-07 가노 다다오 고압 방전램프, 고압 방전램프 점등장치 및 조명장치
JP2009032523A (ja) 2007-07-26 2009-02-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ランプソケット装置、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186A (ko) * 1999-12-08 2001-07-07 가노 다다오 고압 방전램프, 고압 방전램프 점등장치 및 조명장치
JP2009032523A (ja) 2007-07-26 2009-02-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ランプソケット装置、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595A (ko)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9152B2 (en) LED holder
TWI482380B (zh) 同軸連接器插頭
US7553167B2 (en) Cable connector
US7775806B2 (en) Electronic housing with a conductive plate
JP2010184648A (ja) 発光装置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2005004292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hielding plates
JP2002117940A (ja) 光伝送モジュール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EP3273157A1 (en) Led lamp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US7927159B2 (en) Contact carrier having contact terminals arranged alternatively along sides
US7186141B2 (en) Power connector with fastening member
JP2013105652A (ja) 車載用ledウエッジ電球
US9385487B2 (en) Active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106500064B (zh) 电连接件及led照明装置
US8632364B2 (en) Socket for wedge bulb
KR101479078B1 (ko) 커넥터
EP2665130A1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same
KR100558454B1 (ko) 탈착 가능한 차량용 발광 다이오드 및 그 모듈
US20200403338A1 (en) Plug connector
KR101129305B1 (ko) 발광다이오드 램프소켓의 조립체
US7866989B1 (en) Electrical connector seated in printed circuit board
US6626700B2 (en) Stacked connector with grounding conductors
EP2802812B1 (en) Illumina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209812A (ja) 発光素子ユニット
KR101001525B1 (ko)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JP2008041419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