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525B1 -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525B1
KR101001525B1 KR1020090012436A KR20090012436A KR101001525B1 KR 101001525 B1 KR101001525 B1 KR 101001525B1 KR 1020090012436 A KR1020090012436 A KR 1020090012436A KR 20090012436 A KR20090012436 A KR 20090012436A KR 101001525 B1 KR101001525 B1 KR 101001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split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le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308A (ko
Inventor
장영환
Original Assignee
장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환 filed Critical 장영환
Priority to KR1020090012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5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는 상, 하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통공인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을 구비하여 형성된 소켓베이스의 발광다이오드안착면에 상측에서 발광다이오드를 결합 및 장착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이 접속되고,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 및 전기선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일체형접점단자를 구비하고, 전기선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를 포함하여 형성하거나 이와 같은 발명에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의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각종 기계장치의 계기판의 내면에 장착하며, 계기판의 식별력을 높여주는데 사용하고, 구성요소의 형상을 간단히 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채산성을 향상시킨다.
Figure R1020090012436
발광다이오드, 몰드, 리드프레임, 소켓베이스, 중앙분리벽, 보호캡,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 분할형전선접점단자, 일체형접점단자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A Lamp Assembly with LED}
본 발명은 각종 전자제품을 비롯하여 공작기계 및 차량 등의 계기판에 장착되어 계기판의 식별력을 높여 주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 하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통공인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을 구비하여 형성된 소켓베이스의 발광다이오드안착면에 상측에서 발광다이오드를 결합 및 장착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이 접속되고,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 및 전기선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일체형접점단자를 구비하고, 전기선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를 포함하여 형성하거나 이와 같은 발명에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의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형성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는 순방향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일종의 조명용구로서, 충격에 매우 강하고, 수명도 반영구적이며, 가격도 비교적 저렴한 편이므로 자동차 계기판, 오디오, 에어컨 등 각 산업분야에서 조명이 필요한 곳이라면 매우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처럼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어서, 다른 회로적인 구성요소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하나의 장착구조를 필요로 한다.
발광다이오드를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쇄회로기판에는 상, 하면을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두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발광다이오드의 다리가 끼워지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두 다리는 인쇄회로기판의 동막과 납땜에 의해 용접되어 있는 구조로서, 인쇄회로기판 중 동막 형성면의 반대쪽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통공으로 발광다이오드의 다리를 끼워 넣은 다음 인쇄회로기판의 동막 형성면 쪽에서 상기 동막과 발광다이오드의 다리 끝단을 납땜에 의해 용접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인쇄회로 기판에 고정된 상태가 되면서 장착 완료된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발광다이오드를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할 경우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다리와 인쇄회로기판의 동막을 납땜에 의해 용접 고정하여야 하므로 작업성 저하로 인해 작업시간이 길어짐과 함께 생산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발광다이오드가 인쇄회로기판에 일단 장착 완료된 상태에서는 쉽게 분리가 되지 않으므로 만약 사용과정에서 발광다이오드가 손상되었을 경우 발광다이오드의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다소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261626호 "조명용 발광다이오드의 기판 장착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는, 소켓의 장착홈에 한 쌍의 커넥터를 이격시켜 삽입하고, 커넥터의 내측에 발광다이오드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되 발광다이오드의 각 다리(리드 프레임)가 양측 커넥터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한 것이나, 소켓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한 쌍의 커넥터를 단순하게 삽입하여 장전시킴으로서,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커넥터의 장전상태가 해제되어 흔들리거나 발광다이오드가 이탈될 염려가 있고, 상기 커넥터의 내측에 결합되는 발광다이오드의 리드 프레임이 직선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휘어지게 되면 커넥터와 접촉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발광다이오드의 리드 프레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접지돌기에 용접하여 연결되는 커넥터와 직접 접촉하고 있으므로, 발광다이오드에 가해지는 외부 의 충격이 커넥터에 직접 전이되고, 커넥터에 직접 전이되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접지돌기의 용접 상태가 해제되거나 접촉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제공 및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상, 하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통공인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을 구비하여 형성된 소켓베이스의 발광다이오드안착면에 상측에서 발광다이오드를 결합 및 장착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이 접속되고,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 및 전기선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일체형접점단자를 구비하고, 전기선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를 포함하여 형성하거나 이와 같은 발명에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의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각종 기계장치의 계기판의 내면에 장착하며, 계기판의 식별력을 높여주는데 사용하고, 구성요소의 형상을 간단히 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채산성을 향상시킨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켓베이스의 내부를 양측으로 나눈 중앙분리벽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분리벽에 의해 나누어진 소켓베이스의 내부 일측에는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을 구비하고, 또 다른 소켓베이스의 내부 일측에는 분할형접점단자장 착공을 구비하여 형성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의 리드프레임결착편은 ㄴ자형의 형상을 띄는 금속제이기에 위에서 언급한 형상에 의하여 탄성력을 띄게 되는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과 공고한 접속을 유도하고, 또한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의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결속돌편이 역삼각형의 형상을 띔으로서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가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공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의 분할형리드프레임점접단자v자형받침편은 v자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기에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를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경우 보호수단과 밀접하게 접속을 유지하게 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할형전선접점단자의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과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은 단면이 지팡이 형상의 모양을 띈 것으로서, 한 쌍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과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의 일측면이 전기선의 외피 및 내선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에 의하여 전기선의 내선만을 억류하는 경우 인장력이 약하여 결속상태가 부실하게 되고, 따라서 전선의 이탈 및 이에 따른 단락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분할형전선접점단자의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을 포함하여 형성하며, 또한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의 분할형전선접 점단자v자형받침편은 v자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기에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를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경우 보호수단과 밀접하게 접속을 유지하게 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형접점단자에 있어서 전기선의 외피 및 내선의 공고한 결속을 위한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 및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을 구비하고,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기와 결합하는 일체형접점단자결속편을 형성하며, 상기 소켓베이스와의 공고한 결합을 위한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편을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과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은 단면이 지팡이 형상의 모양을 띈 것으로서, 한 쌍을 마주보게 형성하며,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과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의 일측면이 전기선의 외피 및 내선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에 의하여 전기선의 내선만을 억류하는 경우 인장력이 약하여 결속상태가 부실하게 되며, 따라서 전선의 이탈 및 이에 따른 단락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체형접점단자의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을 포함하여 형성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상, 하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통공인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30)을 구 비하여 형성된 소켓베이스(10)의 발광다이오드안착면(17)에 상측에서 발광다이오드(2)를 결합 및 장착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2)의 리드프레임(4)이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10)에 장전되는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와 상기 발광다이오드(2)의 리드프레임(4) 및 전기선(80)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10)에 장전되는 일체형접점단자(60)를 구비하고, 전기선(80)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10)에 장전되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를 포함하여 형성하거나 이와 같은 발명에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2)의 보호수단(70)을 포함하여 형성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 하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통공인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을 구비하여 형성된 소켓베이스의 발광다이오드안착면에 상측에서 발광다이오드를 결합 및 장착하기에 각종 기계장치의 계기판의 내면에 장착하며, 계기판의 식별력을 높여주는데 사용하고, 구성요소의 형상을 간단히 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채산성을 향상시킨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업시 또는 유지보수시 작업시간 단축시킴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보수유지에 용이하며, 구성요소의 형상을 간단히 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 써 채산성을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은,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의 리드프레임결착편은 ㄴ자형의 형상을 띄는 금속제이기에 위에서 언급한 형상에 의하여 탄성력을 띄게 되는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과 공고한 접속을 유도하고, 또한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의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결속돌편이 역삼각형의 형상을 띔으로서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가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공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의 분할형리드프레임점접단자v자형받침편은 v자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기에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를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경우 보호수단과 밀접하게 접속을 유지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분할형전선접점단자의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과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은 단면이 지팡이 형상의 모양을 띈 것으로서, 한 쌍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과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의 일측면이 전기선의 외피 및 내선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에 의하여 전기선의 내선만을 억류하는 경우 인장력이 약하여 결속상태가 부실하게 되고, 따라서 전선의 이탈 및 이에 따른 단락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분할형전선접점단자의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을 포함하여 형성하며, 또한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의 분할형전선접점단자v자형받침편은 v자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기에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를 외측에 서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경우 보호수단과 밀접하게 접속을 유지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일체형접점단자에 있어서 전기선의 외피 및 내선의 공고한 결속을 위한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 및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을 구비하고,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기와 결합하는 일체형접점단자결속편을 형성하며, 상기 소켓베이스와의 공고한 결합을 위한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편을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과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은 단면이 지팡이 형상의 모양을 띈 것으로서, 한 쌍을 마주보게 형성하며,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과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의 일측면이 전기선의 외피 및 내선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에 의하여 전기선의 내선만을 억류하는 경우 인장력이 약하여 결속상태가 부실하게 되며, 따라서 전선의 이탈 및 이에 따른 단락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체형접점단자의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또, 본 발명은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 사이에 발광다이오드의 보호수단을 구비하여 줌으로서, 발광다이오드에 과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발광다이오드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f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분결합사시도, 종단면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 및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캡을 포함하여 형성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g는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소켓베이스를 보인 사시도, 종단면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f는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를 보인 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f는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분할형전선접점단자를 보인 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7a 내지 도 7f는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일체형접점단자를 보인 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f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는 상, 하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통공인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30)을 구비하여 형성된 소켓베이스(10)의 발광다이오드안착면(17)에 상측에서 발광다이오드(2)를 결합 및 장착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2)의 리드프레임(4)이 접속되고, 상기 소켓베이스(10)에 장전되는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와 상기 발광다이오드(2)의 리드프레임(4) 및 전기선(80)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10)에 장전되는 일체형접점단자(60)를 구비하고, 전기선(80)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10)에 장전되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를 포함하여 형성하거나 이와 같은 발명에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2)의 보호수단(70)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는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수지의 상면에 싸여있는 몰드(3)의 내부에 반도체(LED칩)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몰드(3)의 밑면의 하단에는 반도체(LED칩)에 전기를 통전시키기 위한 리드프레임(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발광다이오드(2)는 통상적으로 제조되어 사용되는 것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를 형성하는 몰드(3)의 외부에 투명으로 된 보호캡(5)을 씌워 몰드(3)를 보호하도록 하며, 상기 보호캡(5)을 성형할 때에 발광물질을 혼 합하여 성형함으로써, 발광효과 및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4a 내지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소켓베이스(1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소켓베이스(10)는 상기 소켓베이스(10)의 결속을 위하여 원판플랜지(12)의 양 측면에 원판플랜지결속홈(16)을 구비하고, 상기 원판플랜지(12)의 상면과 밑면에 일체로 소켓헤드(13)와 베이스본체(11)를 형성하며, 상기 소켓헤드(13)의 양측면에 한 쌍의 장착돌기(14)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헤드(13)의 상단면에는 발광다이오드(2)가 안착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안착면(17)을 형성하여 구비하며, 상기 소켓헤드(13)의 상단면에 있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결합하는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전단자(40)가 고정되는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공(23)과 발광다이오드(2)의 리드프레임(4)이 결합되는 발광다이오드리드프레임설치공(31) 및 에어유통공(18)의 구비하여 형성하고, 상기 소켓헤드(10)와 베이스본체(11)에 형성되는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30)의 중앙에 중앙분리벽(15)을 형성하며, 상기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은 분할형전선접점단자장착공(21), 보호수단장착공(22) 및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공(23)으로 형성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소켓베이스(10)의 내부를 양측으로 나눈 중앙분리벽(15)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분리벽(15)에 의해 나누어진 소켓베이스(10)의 내부 일측에는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30)을 구비하고, 또 다른 소켓베이스(10)의 내부 일측에는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을 구비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30)은 일체형접점단자지지면(33)과 상기 일체형접점단자(60)가 공고히 결합하도록 하는 일체형접점단자장착턱(35)을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일체형접점단자(60)를 소켓베이스(1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경우에 일체형접점단자장착턱(35) 이상 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기(34)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일체형접점단자(60)의 일체형접점단자결속편(63)이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기(34)와 맞물려 일체형접점단자(60)가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은 분할형전선접점단자장착공(21), 보호수단장착공(22) 및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공(23)으로 형성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은 분할형전선접점단자지지면(26)과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가 공고히 결합하도록 하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장착턱(28)을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를 소켓베이스(1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경우에 분할형전선접점단자장착턱(28) 이상 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돌 기(27)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의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편(53)이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돌기(27)와 맞물려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가 분할형전선접점단자장착공(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의 보호수단장착공(22)은 보호수단(70)의 안정적인 결합 및 적절한 위치의 결합을 유도하는 보호수단결착편(29)을 구비하여 형성하고,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20)의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공(23)은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의 장착을 위한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턱(25)을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를 소켓베이스(1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경우에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턱(25) 이상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고 있다.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는 저면에서 볼 때 ㄷ자형 형상을 띄는 금속제로서, 상기 발광다이오드(2)의 리드프레임(4)과 공고히 접속하게 하기 위해 ㄴ자형의 리드프레임결착편(42)과 상기 소켓베이스(10)와의 공고한 결합을 위한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결속돌편(43)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과 이와 같은 발명에 상 기 보호수단(70)의 결속을 위한 분할형리드프레임v자형받침편(51)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의 리드프레임결착편(42)은 ㄴ자형의 형상을 띄는 금속제이기에 위에서 언급한 형상에 의하여 탄성력을 띄게 되는바, 상기 발광다이오드(2)의 리드프레임(4)과 공고한 접속을 유도하고, 또한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의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결속돌편(43)이 역삼각형의 형상을 띄므로서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가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공(2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의 분할형리드프레임점접단자v자형받침편(41)은 v자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기에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를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경우 보호수단(70)과 밀접하게 접속을 유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6a 내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고 있다.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는 전기선(80)의 외피 및 내선의 공고한 결속을 위한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55) 및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54) 을 구비하고,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돌기(27)와 결합하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편(53)을 형성하며, 상기 소켓베이스(10)와의 공고한 결합을 위한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돌편(52)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과 이와 같은 발명에 상기 보호수단(70)의 결속을 위한 분할형전선접점v자형받침편(51)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의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55)과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54)은 단면이 지팡이 형상의 모양을 띈 것으로서, 한 쌍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55)과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54)의 일측면이 전기선(80)의 외피 및 내선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54)에 의하여 전기선(80)의 내선만을 억류하는 경우 인장력이 약하여 결속상태가 부실하게 되고, 따라서 전선의 이탈 및 이에 따른 단락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의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55)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의 분할형전선접점단자v자형받침편(51)은 v자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기에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를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경우 보호수단(70)과 밀접하게 접속을 유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7a 내지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다 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일체형접점단자(6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고 있다.
상기 일체형접점단자(60)는 전기선(80)의 외피 및 내선의 공고한 결속을 위한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65) 및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64)을 구비하고,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기(34)와 결합하는 일체형접점단자결속편(63)을 형성하며, 상기 소켓베이스(10)와의 공고한 결합을 위한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편(62)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65)과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64)은 단면이 지팡이 형상의 모양을 띈 것으로서, 한 쌍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65)과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64)의 일측면이 전기선(80)의 외피 및 내선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64)에 의하여 전기선(80)의 내선만을 억류하는 경우 인장력이 약하여 결속상태가 부실하게 되고, 따라서 전선의 이탈 및 이에 따른 단락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체형접점단자(50)의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65)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2)의 보호수단(70)은 수직형 또는 수평형으로 결합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 체의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40)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50)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2)의 보호수단(70)은 과전류를 방지하는 저항, 전류를 충전 및 방전시켜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하는 콘덴서, 상기 저항과 콘덴서를 조합한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기선(80)은 전원에 연결되거나 또는 전원커넥터를 이용하여 전원에 연결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결합사시도, 종단면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 및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캡을 포함하여 형성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g는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소켓베이스를 보인 사시도, 종단면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f는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를 보인 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f는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분할형전선접점단자를 보인 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f는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의 일체형접점단자를 보인 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2 : 발광다이오드
3 : 몰드 4 : 리드프레임
5 : 보호캡 10 : 소켓베이스
11 : 베이스본체 12 : 원판플렌지
13 : 소켓헤드 14 : 장착돌기
15 : 중앙분리벽 16 : 원판플랜지결속홈
17 : 발광다이오드안착면 18 : 에어유통공
20 :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 21 : 분할형전선접점단자장착공
22 : 보호수단장착공 23 :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공
24 : 발광다이오드리드프레임설치홈 25 :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턱
26 : 분할형전선접점단자지지면 27 :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돌기
28 : 분할형전선접점단자장착턱 30 :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
31 : 발광다이오드리드프레임설치공 33 : 일체형접점단자지지면
34 :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기 35 : 일체형접점단자장착턱
40 :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 41 :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v자형받침편
42, 61 : 리드프레임결착편 43 :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결속돌편
50 : 분할형전선접점단자 51 : 분할형전선접점단자v자형받침편
52 :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돌편 53 :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편
54 :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 55 :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
60 : 일체형접점단자 62 :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편
63 : 일체형접점단자결속편 64 :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
65 :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 70 : 보호수단
80 : 전기선

Claims (19)

  1. 소켓베이스의 발광다이오드안착면에 상측에서 결합하여 장착한 발광다이오드와;
    상, 하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통공인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을 구비하여 형성된 소켓베이스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이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 및 전기선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일체형접점단자와;
    상기 전기선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2. 소켓베이스의 발광다이오드안착면에 상측에서 결합하여 장착한 발광다이오드와;
    상, 하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통공인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을 구비하여 형성된 소켓베이스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이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 및 전기선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일체형접점단자와;
    상기 전기선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와;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의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3. 소켓베이스의 발광다이오드안착면에 상측에서 결합하여 장착한 발광다이오드와;
    상, 하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통공인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을 구비하여 형성된 소켓베이스와;
    상기 소켓베이스의 내부를 양측으로 나눈 중앙분리벽과;
    상기 중앙분리벽에 의해 나누어진 소켓베이스의 내부 일측에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이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상기 중앙분리벽에 의해 나누어진 소켓베이스의 내부 일측에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 및 전기선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일체형접점단자와;
    상기 중앙분리벽에 의해 나누어진 소켓베이스의 내부 일측에 전기선과 접속되며, 상기 소켓베이스에 장전되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와;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의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 드 램프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소켓베이스의 발광다이오드안착면에 상측에서 결합하여 장착한 발광다이오드의 몰드의 외부에 보호캡을 씌워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의 보호수단은;
    수직형 또는 수평형으로 결합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의 보호수단은;
    과전류를 방지하는 저항, 전류를 충전 및 방전시켜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하는 콘덴서, 상기 저항과 콘덴서를 조합한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베이스는
    상기 소켓베이스의 결속을 위하여 원판플랜지의 양 측면에 원판플랜지결속홈을 구비한 것과;
    상기 원판플랜지의 상면과 밑면에 일체로 소켓헤드와 베이스본체를 형성한 것과;
    상기 소켓헤드의 양측면에 한 쌍의 장착돌기를 구비한 것과;
    상기 소켓헤드의 상단면에는 발광다이오드가 안착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안착면을 형성한 것과;
    상기 소켓헤드의 상단면에 있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결합하는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전단자가 고정되는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공과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이 결합되는 발광다이오드리드프레임설치공 및 에어유통공의 구비하여 형성한 것과;
    상기 소켓헤드와 베이스본체에 형성되는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과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의 중앙에 중앙분리벽을 형성한 것과;
    상기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은 분할형전선접점단자장착공, 보호수단장착공 및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공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장착공은 일체형접점단자지지면과;
    상기 일체형접점단자가 공고히 결합하도록 하는 일체형접점단자장착턱 및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기;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접점단자장착공은 분할형전선접점단자지지면과;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가 공고히 결합하도록 하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장착턱 및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돌기와;
    상기 보호수단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하는 보호수단결착편과;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의 장착을 위한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장착턱;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는 저면에서 볼 때 ㄷ자형 형상을 띄는 금속제로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과 공고히 접속하게 하기 위해 ㄴ자형의 리드프레임결착편과;
    상기 소켓베이스와의 공고한 결합을 위한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결속돌편;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는 저면에서 볼 때 ㄷ자형 형상을 띄는 금속제로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리드프레임과 공고히 접속하게 하기 위해 ㄴ자형의 리드프레임결착편과;
    상기 소켓베이스와의 공고한 결합을 위한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결속돌편과;
    상기 보호수단의 결속을 위한 분할형리드프레임v자형받침편;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의 보호수단은;
    과전류를 방지하는 저항, 전류를 충전 및 방전시켜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하는 콘덴서, 상기 저항과 콘덴서를 조합한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는;
    전기선의 외피 및 내선의 공고한 결속을 위한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 및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과;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돌기와 결합하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편과;
    상기 소켓베이스와의 공고한 결합을 위한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돌편;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과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은;
    단면이 지팡이 형상의 모양을 띈 것으로서, 한 쌍을 마주보게 형성한 것과;
    일측면이 전기선의 외피 및 내선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1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는;
    전기선의 외피 및 내선의 공고한 결속을 위한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 및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과;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돌기와 결합하는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편과;
    상기 소켓베이스와의 공고한 결합을 위한 분할형전선접점단자결속돌편과;
    상기 보호수단의 결속을 위한 분할형전선접점v자형받침편;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과 분할형전선접점단자전선억류편은;
    단면이 지팡이 형상의 모양을 띈 것으로서, 한 쌍을 마주보게 형성한 것과;
    일측면이 전기선의 외피 및 내선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리드프레임접점단자와 분할형전선접점단자 사이에 접속하여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 보호수단은;
    과전류를 방지하는 저항, 전류를 충전 및 방전시켜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하는 콘덴서, 상기 저항과 콘덴서를 조합한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접점단자는;
    전기선의 외피 및 내선의 공고한 결속을 위한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 및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과;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기와 결합하는 일체형접점단자결속편과;
    상기 소켓베이스와의 공고한 결합을 위한 일체형접점단자결속돌편;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접점단자전선외피억류편과 일체형접점단자전선억류편은;
    단면이 지팡이 형상의 모양을 띈 것으로서, 한 쌍을 마주보게 형성한 것과;
    일측면이 전기선의 외피 및 내선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KR1020090012436A 2009-02-16 2009-02-16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KR101001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36A KR101001525B1 (ko) 2009-02-16 2009-02-16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36A KR101001525B1 (ko) 2009-02-16 2009-02-16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308A KR20100093308A (ko) 2010-08-25
KR101001525B1 true KR101001525B1 (ko) 2010-12-16

Family

ID=4275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436A KR101001525B1 (ko) 2009-02-16 2009-02-16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113B1 (ko) 2012-02-16 2012-10-19 권미숙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83Y1 (ko) * 2010-12-02 2014-01-27 주식회사보림전자 Led소켓단자
KR101226673B1 (ko) * 2011-01-17 2013-02-07 장영환 퓨즈타입의 엘이디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210A (ja) * 1999-07-23 2001-02-09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のled固定構造
KR200261626Y1 (ko) * 2001-11-02 2002-01-23 박정식 조명용 발광다이오드의 기판 장착구조
JP2002184531A (ja) * 2000-12-11 2002-06-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0436677Y1 (ko) * 2006-10-16 2007-09-20 정동군 플러그를 구비한 발광다이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210A (ja) * 1999-07-23 2001-02-09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のled固定構造
JP2002184531A (ja) * 2000-12-11 2002-06-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0261626Y1 (ko) * 2001-11-02 2002-01-23 박정식 조명용 발광다이오드의 기판 장착구조
KR200436677Y1 (ko) * 2006-10-16 2007-09-20 정동군 플러그를 구비한 발광다이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113B1 (ko) 2012-02-16 2012-10-19 권미숙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308A (ko)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256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US8827486B2 (en) Lamp tube structure and assembly thereof
JP5669188B2 (ja) Led照明組立体
US7621752B2 (en) LED interconnection integrated connector holder package
US20070171667A1 (en) Vehicular lamp
US20110058387A1 (en) Vehicular lamp
EP2802811B1 (en) Solid state lighting assembly
KR101193113B1 (ko)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CN111473292B (zh) 车辆用灯具
KR101001525B1 (ko)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KR20160082834A (ko) 차량용 램프
US7772959B2 (en) Fuse seat having light-emitting module of hidden type
KR20090003437A (ko) 착탈식 led 모듈을 갖는 발광장치
WO2013168333A1 (ja) 端子台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20130140179A (ko) 차량용 실내 조명 장치
KR100684656B1 (ko) 천장매입형 등기구
KR20080088941A (ko) 웨지벌브용 소켓
KR101059468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베이스램프조립체
KR101035951B1 (ko) 엘이디 램프용 커넥터
KR101214117B1 (ko)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CN207555495U (zh) 用于机动车辆的发光装置以及机动车辆
KR100605299B1 (ko) 천장매입형 등기구
KR101214118B1 (ko)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JP2014104918A (ja) 車載用発光デバイスモジュール
KR20110109007A (ko)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