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127B1 -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 Google Patents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127B1
KR101129127B1 KR1020097024455A KR20097024455A KR101129127B1 KR 101129127 B1 KR101129127 B1 KR 101129127B1 KR 1020097024455 A KR1020097024455 A KR 1020097024455A KR 20097024455 A KR20097024455 A KR 20097024455A KR 101129127 B1 KR101129127 B1 KR 101129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quisition
service
state
attempts
acquisi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1293A (ko
Inventor
랄프 아크람 골미에
안 메이 첸
마이클 데비코
사지쓰 발라제이
잉 가오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31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1Arrangements for counter-measures when a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is un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2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nditions of receiving stations, e.g. malfunction or breakdown of receiv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이 제공된다. 한 형태에서, 방법은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다면 적극적인 획득 상태 동안 적어도 한 번의 획득 시도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 시간 간격은 일정하거나 증가하고, 상기 적극적인 획득 상태는 서비스 획득이 이루어지거나 선택된 횟수의 획득 시도들이 수행되었을 때 종료한다. 장치는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로직, 및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다면 적극적인 획득 상태 동안 적어도 한 번의 획득 시도를 시작하도록 구성된 처리 로직을 포함하며,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 시간 간격은 일정하거나 증가하고, 상기 적극적인 획득 상태는 서비스 획득이 이루어지거나 선택된 횟수의 획득 시도들이 수행되었을 때 종료한다.

Description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CE ACQUISITION IN A BROADCAST SYSTEM}
본 특허 출원은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ce Requisition"이라는 명칭으로 2007년 4월 25일자 제출된 예비 출원 60/914,01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이로써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서빙(serving) 시스템으로부터 가용 신호를 수신할 수 없을 때 서비스권 이탈(OOS: out-of-service)이라 한다. 통상적으로, 서비스권 이탈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서빙 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가 개설될 수 있도록 가용 신호의 획득을 시도한다. 이러한 가용 신호의 획득 시도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쉽게 입수하지 못할 수도 있는 가용 신호들의 획득 시도에 배터리 전력을 다 써버리며, 이는 배터리가 재충전을 필요로 하기 전에 디바이스의 이용 가능한 동작 시간을 감소시킨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계속해서 가용 신호의 획득을 시도하고, 이러한 신호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현재 동작 환경에서 쉽게 입수될 수 없다면, 배터리 전력은 유리한 결과 없이 빠르게 소모될 것이다. 예를 들어, 최신 브로드캐스트 시스템들은 디바이스가 비컨 신호를 검출하거나 이를 의도로 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활성화되도록 데이터를 폭발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서비스를 탐색하고 있을 때 어떠한 타이밍 정보도 갖지 않으며, 따라서 끊임없이 활성화 상태여야 하고, 이는 서비스권 이탈 상태에서 더 높은 전력 소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서비스권 이탈 디바이스가 가용 신호를 효율적으로 획득하여 서비스를 개설하게 하는 서비스 획득 처리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하나 이상의 형태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서비스권 이탈 상태일 때 어떻게 서비스의 획득을 시도하는지를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방법 및 장치를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service acquisition) 시스템이 제공된다. 다양한 형태에서,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디바이스가 비교적 짧은 시간 간격으로 서비스의 획득을 시도하는 적극적인 상태(aggressive phase)를 포함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한 형태에서, 적극적인 상태는 다수의 획득 시도 간의 시간 간격 증가를 제공한다. 다른 형태에서, 상기 알고리즘은 적극적인 상태에 이어 확장된 획득 상태(extended acquisition phase)를 포함하도록 변형된다. 확장된 획득 상태 동안, 디바이스는 비교적 더 긴 시간 간격으로 서비스의 획득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확장된 획득 상태 동안, 디바이스에서의 전력 소비가 제어될 수 있도록 디바이스는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에 비교적 긴 일정한 듀레이션(duration)의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서비스의 획득을 시도한다. 상기 알고리즘은 또한 서비스를 보다 신속히 개설하기 위해 타이머들을 만료시키고 그리고/또는 자체적으로 리셋함으로써 획득 시도들 동안 콘텐츠에 대한 요청들에 응답한다. 따라서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적극적인 상태 동안 서비스 획득이 시도되는 적극성을 조정하는 동시에 확장된 획득 상태 동안 디바이스에서의 배터리 전력 이용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한 형태에서,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서비스 중단(loss of service)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다면 적극적인 획득 상태 동안 적어도 한 번의 획득 시도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backoff) 시간 간격은 일정하거나 증가하고, 상기 적극적인 획득 상태는 서비스 획득이 이루어지거나 선택된 횟수의 획득 시도들이 수행되었을 때 종료한다.
한 형태에서,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로직, 및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다면 적극적인 획득 상태 동안 적어도 한 번의 획득 시도를 시작하도록 구성된 처리 로직을 포함하며,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 시간 간격은 일정하거나 증가하고, 상기 적극적인 획득 상태는 서비스 획득이 이루어지거나 선택된 횟수의 획득 시도들이 수행되었을 때 종료한다.
한 형태에서,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및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다면 적극적인 획득 상태 동안 적어도 한 번의 획득 시도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 시간 간격은 일정하거나 증가하고, 상기 적극적인 획득 상태는 서비스 획득이 이루어지거나 선택된 횟수의 획득 시도들이 수행되었을 때 종료한다.
한 형태에서,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컴퓨터로 하여금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게 하기 위한 제 1 세트의 코드들,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다면 적극적인 획득 상태 동안 적어도 한 번의 획득 시도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제 2 세트의 코드들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 시간 간격은 일정하거나 증가하고, 상기 적극적인 획득 상태는 서비스 획득이 이루어지거나 선택된 횟수의 획득 시도들이 수행되었을 때 종료한다.
한 형태에서,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가 제공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는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 1 모듈, 및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다면 적극적인 획득 상태 동안 적어도 한 번의 획득 시도를 시작하도록 구성된 제 2 모듈을 포함하며,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 시간 간격은 일정하거나 증가하고, 상기 적극적인 획득 상태는 서비스 획득이 이루어지거나 선택된 횟수의 획득 시도들이 수행되었을 때 종료한다.
아래에 설명되는 도면의 간단한 설명, 실시예 및 청구범위의 검토 후 다른 형태들이 명백해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한 상기 형태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을 참조로 보다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을 설명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2는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획득 제어 로직을 나타낸다.
도 3은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 사용하기 위해 외부 루프 알고리즘의 리셋이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설명하는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 사용하기 위한 확장된 획득 알고리즘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외부 루프 알고리즘의 확장된 상태에서 콘텐츠 플로우 활성화의 영향을 설명하는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은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은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획득 제어 로직을 나타낸다.
다양한 형태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서비스권 이탈 상태일 때 어떻게 서 비스의 획득을 시도하는지를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서비스 획득 시스템이 제공된다. 서문
디바이스는 콘텐츠 플로우(flow)들을 디코딩하고 그리고/또는 디바이스에서 실행하는 디바이스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업데이트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전에 순방향 링크 전용(FLO) 신호를 성공적으로 획득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다양한 형태에서, 여기서 설명하는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알고리즘 및/또는 한 세트의 프로시저들을 제공한다.
한 형태에서, 디바이스는 분산 멀티플렉스들로 패킹(pack)되어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순방향 링크 전용 신호로서 전송되는 송신 프레임의 수신을 시도한다. 송신 프레임은 광역 및 로컬 영역 콘텐츠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역 콘텐츠는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넓은 지역에 걸쳐 배포되고, 로컬 영역 콘텐츠는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로컬 지역에 걸쳐 배포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광역 콘텐츠로 패킹된 광역 분할(partition), 및 로컬 영역 콘텐츠로 패킹된 로컬 영역 분할을 포함한다.
송신 프레임의 시작에는 동기화에 사용되며 광역 및 로컬 영역 콘텐츠의 일부로서 운반되는 콘텐츠 및 오버헤드 정보의 위치를 정하기 위한 타이밍 및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럿 심벌들 및 오버헤드 정보 심벌들(OIS)이 있다. OIS는 광역 콘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광역 OIS 부분, 및 로컬 영역 콘텐츠에 대 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로컬 영역 OIS 부분을 포함한다.
광역 및 로컬 영역 신호들은 독립적으로 획득 및 상실될 수 있기 때문에, 로컬 영역 획득의 실패는 광역 획득의 실패 없이 일어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성립한다. 따라서 본원에 제시되는 모든 알고리즘은 광역 및 로컬 영역 신호 획득에 대해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내부 루프 획득 로직
물리층에서, 파일럿 심벌들에 동기화하고, 식별 및 오버헤드 채널들을 디코딩하며, 채널 로크 손실(loss of channel lock)로부터 복구(recover)함으로써 신호 획득이 달성된다. 광역 신호 획득의 경우, 광역 식별 및 오버헤드 심벌들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로컬 영역 신호 획득의 경우, 로컬 영역 식별 및 오버헤드 심벌들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될 필요가 있다.
내부 루프 획득 로직은 성공적이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기 전에 한 세트의 연속한 시간 동안 광역 및/또는 로컬 영역 신호 획득을 시도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송신 프레임의 일부로서 브로드캐스트되는 파일럿 심벌들을 찾을 때 내부 루프 획득 로직이 성공적이지 않다면, 디바이스는 서비스권 이탈로 간주된다.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으로부터의 타이밍 정보를 갖지 않기 때문에, 디바이스 수신기 체인은 계속해서 활성화되어 파일럿 심벌들의 검출을 시도하고, 이는 과도한 배터리 소모를 야기할 수 있다. 서비스가 존재한다면, 내부 루프 획득 로직은 시스템이 획득되었다고 선언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과 같은 임의의 다른 물리층 채널들과 오버헤드 심벌들을 검출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다양한 형태에서,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내부 루프 획득 로직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내부 루프 획득 로직이 서빙 시스템을 획득하기 위한 시도에서 언제 그리고 얼마나 오래 스캔하는지를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 임의의 적당한 타입의 내부 루프 제어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타입의 내부 루프 획득 로직이라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이해를 위해 내부 루프 획득 로직의 상세한 설명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본원에서 제공되지는 않는다. 외부 루프 알고리즘
다양한 형태에서,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단일 내부 루프 획득 시도가 복구할 수 없는 확장된 서비스권 이탈 상태들 동안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외부 루프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한 형태에서, 외부 루프 알고리즘은 서비스 획득이 적극적으로 수행되는 적극적인 상태를 포함한다. 한 형태에서, 적극적인 상태는 연속한 내부 루프 획득 시도들 간에 변화하는 시간 간격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극적인 상태는 시스템 획득이 달성되거나 내부 루프 획득 시도들의 최대 허용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적인 내부 루프 획득 시도들 간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시간 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가하는 시간 간격은 백오프(backoff) 간격으로 지칭된다. 더욱이, 내부 루프 스캔 시도의 듀레이션은 연속 한 시도들 간에 달라질 수 있다. 한 형태에서, 복구 기회가 더 적어짐에 따라 내부 루프의 듀레이션이 감소한다. 내부 루프의 듀레이션은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데이터 소스 간의 이동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가 부가될 때 더 연장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한 형태에서, 외부 루프 알고리즘의 동작 동안 콘텐츠 플로우의 디코딩 요청이 수신된다면, 외부 루프 알고리즘은 처음으로 리셋되어 획득이 가장 적극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적극적인 상태가 끝난 후 디바이스가 여전히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에 확장된 획득 상태를 추가하는 확장된 외부 루프 알고리즘이 제공된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에서, 외부 루프 알고리즘은 두 부분, 즉 적극적인 획득 상태 및 그에 이어지는 확장된 획득 상태를 포함한다.
다른 형태에서,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다음의 슬립(sleep) 타이머를 조정함으로써 더 긴 또는 더 짧은 내부 루프 스캔으로 반응한다. 슬립 타이머는 전력 소비를 제어하여 원하는 평균 전력 소비를 달성하기 위한 확장된 획득 상태에 사용된다.
다른 형태에서, 외부 루프 알고리즘은 플로우 활성화들(즉, 콘텐츠에 대한 요청들)에 다르게 응답한다. 예를 들어, 플로우 활성화에 응답하여 알고리즘을 리셋하는 대신, 알고리즘은 타이머가 현재 어떻게 설정되어 있든지 만료시키고 마치 타이머가 정상적으로 만료된 것처럼 실행을 계속한다. 따라서 상위 계층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 다운로드 요청은 리셋, 무효, 또는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타이머의 만료 중 하나를 트리거한다. 어떤 동작을 취할 지의 선택은 알고리즘의 각종 파라미터의 설정에 좌우된다.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또한 서비스가 획득되는 상태를 기초로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적극적인 상태에서, 디바이스는 서비스를 탐색하고 있고 서비스 복구 직후 중단된 동작들을 재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상에서 보고 있던 비디오 스트림으로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안 서비스가 중단되었다면, 서비스 획득 시스템에 의한 즉각적인 시스템 복구로 인해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한 비디오 스트림의 디스플레이가 재개된다. 서비스가 중단되고 서비스 획득 시스템이 확장된 상태에 진입한다면, 서비스의 확장된 중단으로 인해 사용자가 이전에 수신된 데이터에 더 이상 관심이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시스템이 복구될 때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시스템 유효성만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더욱이,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적극적인 상태에서는 사용자에게 디바이스가 서비스 복구를 시도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는 한편, 확장된 상태에서의 추후의 시도들은 사용자 통보 없이 드러나지 않게 실행될 것이다.
확장된 상태에서의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배터리 전력이 유휴 상태의 서비스중(in-service)인 시스템과 비슷한 속도로 소비되도록 서비스 획득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채널을 플레이하는 동안의 서비스 중단의 경우,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서비스 메시지에 대한 스캔을 디스플레이하고 제 1 시간 간격(즉, 20초) 동안 서비스를 스캔한다. 서비스가 복구되지 않는다면, 더 짧은 시간 간격들(즉, 5초, 5초, 그 다음 이후에는 1초) 동안 스캔이 이행되어 배터리 수명의 절약을 초래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데이터 소스와 데이터 수집 디바이스 간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후술하는 다양한 형태는 무선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 맞지만, 당업자들은 이러한 기술들을 유선 및 임의의 다른 통신 브로드캐스트 매체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을 설명하는 네트워크(100)를 나타낸다. 네트워크(100)는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102)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를 포함한다.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102)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임의의 원하는 지역을 커버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102)는 임의의 타입의 콘텐츠, 서비스들, 데이터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정보를 임의의 적당한 타입의 브로드캐스트 기술 또는 방식을 이용하여 자체 지역 내의 디바이스들에 브로드캐스트하도록 동작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102)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임의의 타입의 셀폰, PDA, 이메일 디바이스, 호출기, 컴퓨터, 또는 적절한 기술을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102)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들을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동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102)와의 서비스를 개설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가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102)에 의해 커버되는 지역 내에서 이동할 때 서비스를 유지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102)와의 서비스를 탐색하여 획득하도록 동작하는 수신기(106)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106)는 지정된 무선 주파수들로 튜닝(tune)하고 이들 주파수를 통해 브로드캐스트 네트워 크(102)로부터의 송신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102)와의 서비스를 개설하기 위한 수신기(106)의 동작은 배터리 전력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수신기(106)가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102)와의 서비스를 탐색하여 개설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수록 더 많은 배터리 전력이 이용된다.
한 형태에서, 수신기(106)는 획득 제어 로직(110)에 서비스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디바이스가 현재 서비스 상태인지 서비스권 이탈 상태인지를 지시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 제어 로직(110)에 제공한다. 한 형태에서, 획득 제어 로직(110)은 사용자 또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요청들 및/또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수신된 정보 및/또는 요청들을 기초로, 획득 제어 로직(110)은 획득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시도들이 스캔 로직(108)에 의해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다양한 형태에서, 스캔 로직(108)은 수신기(106)를 제어하여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에서 서비스를 스캔하기 위한 내부 루프 획득 로직의 일부로서 동작한다. 스캔 로직(108)은 선택된 시간 듀레이션들 동안 서비스를 스캔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또한 스캔이 얼마나 자주 발생해야 하는지에 관해 제어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에서, 획득 제어 로직(110)은 서비스를 얼마나 적극적으로 스캔하는지를 제어하고 배터리 전력 소비를 제어하기 위해 스캔 로직(108)에 의해 수행되는 획득 시도들의 빈도 및 듀레이션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획득 제어 로직(110)은 적극적인 획득 상태 동안 적극적으로 스캔하도록 스캔 로직(108)을 제어하고 확장된 획득 상태 동안 배터리 전력이 얼마나 소비되어야 하는지를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도(112)는 적극적인 상태 동안 서비스 획득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시간(114)에는 디바이스(104)가 서비스권 이탈 상태인 것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4)는 단지 전원이 켜졌을 수도 있고, 또는 디바이스(104)가 서비스중이었으며 최근에 서비스가 중단되었을 수도 있다. 한 형태에서, 획득 제어 로직(110)은 스캔 로직(108)을 제어하여, 116에 지시된 것과 같이 제 1 선택된 듀레이션 동안 지속하는 제 1 획득 시도(즉, 내부 루프 획득)를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서비스 획득이 성공적이지 않다면, 획득 제어 로직(110)은 스캔 로직(108)을 제어하여 제 1 백오프 시간 간격(B1) 동안 대기한 다음, 제 1 선택된 듀레이션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는 제 2 선택된 듀레이션 동안 지속하는 제 2 획득 시도를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서비스 획득이 또 성공적이지 않다면, 획득 제어 로직(110)은 스캔 로직(108)을 제어하여 제 2 백오프 시간 간격(B2) 동안 대기한 다음, 제 2 선택된 듀레이션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는 제 3 선택된 듀레이션 동안 지속하는 제 3 획득 시도를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이 프로세스는 서비스가 획득되거나 획득 시도 횟수가 선택된 한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 프로세스 동안, 획득 제어 로직(110)은 디바이스(104)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사용자에게 상태 표시들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서비스가 획득되는 경우, 획득 제어 로직(110)은 어떤 것이든 펜딩(pending) 상태라면 콘텐츠 플로우 다운로드들을 재-설정하거나, 또는 너무 많은 시간이 지났다면 모든 다운로드를 종료하도록 동작한다. 한 형태에서, 획득 제어 로직(110)은 디바이스(104)의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여 획득 알고리즘의 동작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획득 알고리즘의 동작 동안 콘텐츠 플로우를 디코딩하라는 새로운 요청(즉, 플로우 활성화)이 수신된다면, 획득 제어 로직(110)은 획득 알고리즘의 동작을 조정하도록 동작하고, 획득 알고리즘은 스캔 로직(108)의 동작을 제어한다. 획득 알고리즘이 어떻게 조정되는지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원의 다른 섹션들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에서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다음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서비스 획득을 제공하고 배터리 전력 사용량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1. 디바이스가 언제 서비스권을 이탈하는지를 검출한다. 2. 획득 시도에 대한 시작 시간 및 듀레이션을 결정한다. 3. 시작 시간에 그리고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서비스 획득을 시도하도록 내부 루프 스캔 로직을 제어한다. 4. 서비스가 획득된다면, 임의의 펜딩 플로우 다운로드들을 재-설정한다. 5. 서비스가 획득되지 않는다면, 백오프 타이머를 기초로 다음 획득 시작 시간 및 듀레이션을 결정한다. 설정 우선순위를 기초로, 모든 플로우 다운로드를 종료하거나 플로우 다운로드들을 펜딩 상태로 한다. 한 형태에서, 플로우 다운로드들은 첫 번째 실패 스캔에서 종료된다. 다른 형태에서, 플로우 다운로드들은 적극적인 상태의 끝에 종료된다. 연속한 시작 시간들 및 듀레이션들은 서로 어떠한 타입의 관계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6. 상기 동작 3으로 돌아간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에서, 획득 시스템은 디바이스가 서비스 획득을 언제 그리고 얼마나 오래 스캔할지를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획득 시스템은 적극적인 상태를 수행하여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획득하도록 동작하며, 그 다음 확장된 상태를 수행하여 배터리 수명을 보존하면서 서비스를 획득한다.
도 2는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획득 제어 로직(200)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획득 제어 로직(200)은 도 1에 나타낸 획득 제어 로직(110)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획득 제어 로직(200)은 모두 데이터 버스(208)에 연결된 처리 로직(202), 타이밍 로직(204) 및 인터페이스(I/F) 로직(206)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로직(206)은 CPU, 프로세서, 게이트 어레이, 하드웨어 로직, 메모리 엘리먼트들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로직(206)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현재 서비스 상태를 나타내는 서비스 상태 표시자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상태 표시자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현재 서비스중인지 또는 서비스권 이탈 상태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수신기(106)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수신기로부터 서비스 상태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로직(206)은 또한 디바이스에서 내부 루프 획득을 제공하는 스캔 로직으로 획득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획득 제어 정보는 획득 시작 시간 및 듀레이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획득이 즉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획득 시작 시간들의 시퀀스는 지수 함수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두 획득 시작 시간 간의 차는 "백오프" 시간으로 지칭된다. 마찬가지로, 스캔 듀레이션들의 시퀀스는 연속한 획득 시도마다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캔 듀레이션 시간은 이전 스캔 듀레이션 시간과 같을 수도 있고, 더 짧을 수도 있고, 더 길 수도 있다.
타이머 로직(204)은 CPU, 프로세서, 게이트 어레이, 하드웨어 로직, 메모리 엘리먼트들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형태에서, 타이머 로직(204)은 디바이스의 처리 로직(202)이 내부 루프 스캔 로직에 의해 제공되는 획득 시도들의 타이밍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도록 백오프를 측정하고 듀레이션 시간 간격들을 스캔하도록 동작한다. 한 형태에서, 타이머 로직(204)은 처리 로직(202)의 제어 하에 백오프 및 획득 듀레이션 시간 간격들을 측정하도록 동작한다. 타이머 로직(204)은 또한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다양한 형태에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시간 간격들을 측정한다.
처리 로직(202)은 CPU, 프로세서, 게이트 어레이, 하드웨어 로직, 메모리 엘리먼트들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처리 로직(202)은 디바이스가 언제 서비스를 이탈했는지를 결정하고 디바이스의 내부 루프 스캔 로직을 제어하여 서비스 획득을 시도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처리 로직(202)은 인터페이스 로직(206)으로부터 서비스 상태 표시자들을 수신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가 서비스를 이탈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디바이스가 서비스를 이탈한 것으로 결정되면, 처리 로직(202)은 디바이스의 내부 루프 스캔 로직을 제어하여 서비스 획득을 시도하도록 동작한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적극적인 획득 상태를 포함하는 획득 알고리즘을 구현하도록 동작하며, 여기서 연속적인 내부 루프 획득 시도들 간에 다양한 백오프 시간 간격이 제공된다. 다른 형태에서, 획득 알고리즘은 확장된 획득 상태를 포함하며, 여기서 전력 소비를 제어하기 위한 방식으로 주기적인 획득 시도들이 제공된다. 또 다른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새로운 플로우 활성화들(즉, 콘텐츠 플로우들에 대한 디코딩 요청)의 수신을 기초로 획득 알고리즘의 동작을 조정하도록 동작한다. 획득 제어 로직(200)의 동작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원의 다른 섹션들에서 제공된다.
한 형태에서,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예컨대 처리 로직(202)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여기서 설명하는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저장 또는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들("명령들") 또는 "코드들"의 세트들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플로피디스크, CDROM, 메모리 카드, FLASH 메모리 디바이스, RAM, ROM, 또는 획득 제어 로직(200)에 인터페이스 접속하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모리 디바이스나 기계 판독 가능 매체와 같은 기계 판독 가능 매체로부터 획득 제어 로직(200)으로 코드들의 세트들이 로딩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외부 디바이스 또는 통신 네트워크 자원으로부터 획득 제어 로직(200)으로 코드들의 세트들이 다운로드될 수 있다. 코드들의 세트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여기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획득 제어 로직(200)이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을 제공하게 한다. 획득 알고리즘 개요
다양한 형태에서, 획득 제어 로직(200)은 획득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서빙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동작한다. 후술하는 획득 알고리즘은 여기서 "외부 루프" 알고리즘으로 지칭되며, 이는 디바이스의 내부 루프 스캔 로직이 어떻게 서비스 획득을 시도하는지를 제어한다. 획득 제어 로직(200)에 의해 수행되는 외부 루프 알고리즘은 단일 내부 루프 획득 시도가 복구할 수 없는 서비스권 이탈 상태들로부터 복구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한 형태에서, 알고리즘은 획득이 달성되거나 획득 시도들의 최대 허용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 간격을 결정한다.
알고리즘은 획득이 광역 신호 획득을 타깃으로 하는지 로컬 영역 신호 획득을 타깃으로 하는지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동작한다. 다양한 형태에서, 디바이스의 내부 루프 스캔 로직을 제어하여 서비스 획득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외부 루프 획득 알고리즘이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역 서비스 획득을 위해 하나의 외부 루프가 실행될 수 있고, 로컬 영역 서비스 획득을 위해 제 2 외부 루프가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한 형태에서,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후술하는 획득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획득 알고리즘의 확장된 또는 수정된 버전은 본원의 다른 섹션들에서 제시된다. 획득 알고리즘 설명
다양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서비스 획득을 시도하기 위해 타이머 로직(204) 및 인터페이스 로직(206)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내부 루프 스캔 로직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최초 내부 루프 획득 시도가 실패한다면, 처리 로직(202)은 스캔 로직을 제어하여 총 내부 루프 서비스 획득 시도 횟수가 지정된 최대 시도 횟수(Nreacq)에 도달할 때까지 선택된 듀레이션 동안 그리고 선택된 시간 간격들로 내부 루프 서비스 획득 시도를 반복한다. 따라서 최초 내부 루프 획득 시도가 실패한 후 처리 로직(202)은 (Nreacq-1)회의 내부 루프 획득 시도가 수행되도록 디바이스의 내부 루프 스캔 로직을 제어한다.
한 형태에서, 타이머 로직(204)은 백오프 시간 간격들을 측정하도록 동작하며, 이에 따라 (0<i<Nreacq)인 내부 루프 획득 시도 횟수(i)가 실패한 후 타이머 로직(204)이 다음의 지수(exponential) 백오프 식에 따라 시간 간격 Treacq(i)를 측정한다. Treacq(i) = T1*2(alpha*(i-1))
따라서 획득 알고리즘에 따라 내부 루프 스캔 로직을 제어하기 위해 다음 3개의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1. 최초 백오프 값(T1). 2. 지수 인자(alpha). 3. 총 획득 시도 횟수(Nreacq).
파라미터 T1, alpha 및 Nreacq는 처리 로직(202)이 획득 외부 루프 알고리즘 을 수행하게 하도록 디바이스 제조중에, 디바이스 등록중에, 그리고/또는 디바이스 동작중에 다운로드 가능한 파라미터들로서 구성 가능하다.
한 형태에서, 디바이스가 이전에 커버리지 내에 있었을 때 또는 플로우 다운로드가 트리거될 때 제 1 내부 루프 획득 시도가 실행된다. 이 경우, 내부 루프 획득 시도는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에 충분히 오래 실행된다. 예를 들어, 20초 미만으로 지속하는 딥-쉐도잉(deep-shadowing) 송신 상태의 결과로 디바이스가 서비스를 상실한다면, 처리 로직(202)은 스캔 로직을 제어하여 제 1 내부 루프 획득 시도가 약 20초간 실행되도록 동작한다.
제 1 내부 루프 획득 시도중에 획득이 실패한다면, 다음 내부 루프 획득 시도들이 수행된다. 다음 내부 루프 획득 시도의 처음 몇 초에 실패한 획득은 전체 시도에 대한 획득 실패를 야기하기 쉬울 것이다. 따라서 다음 내부 루프 획득 시도들에 대해서는 더 짧은 획득 시간 듀레이션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다음 내부 루프 획득 시도들에 대해 5초의 시간 듀레이션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내부 루프 획득 시도는 "최초 획득 타이머 임계" 초의 듀레이션 동안 실행되고, 내부 루프 획득 시도 횟수(2 ~ Nreacq)는 "반복 획득 타이머 임계" 초의 듀레이션 동안 실행될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타임라인(114)은 획득 알고리즘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루프의 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총 획득 시도 횟수는 3이다. 타임라인 상에 나타낸 간격들(B1, B2)은 내부 루프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 시간 간격들이다. 예를 들어, 백오프 시간 간격들은 길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도록 처리 로직에 의 해 생성될 수 있다. 성공적인 서비스 획득은 3회의 내부 루프 획득 시도 동안 언제든 알고리즘의 실행을 중단시킬 수 있다. 획득 외부 루프 알고리즘의 리셋
한 형태에서, 획득 시스템이 전체 Nreacq회의 내부 루프 획득 시도 후 시스템이 획득되지 않았다고 결정한다면, 디바이스는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획득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이 콘텐츠 플로우의 디코딩을 요청할 때까지 서빙 시스템의 획득을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다양한 형태에서, 콘텐츠 플로우에 대한 디코딩 요청과 관련된 다음의 이벤트들은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때 처리 로직(202)으로 하여금 서비스 획득을 시도하게 할 수 있다. 1.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의 론칭(launching)은 몇몇 애플리케이션 계층 오버헤드 플로우들의 플로우 디코딩을 트리거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오버헤드 플로우들은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플로우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에서, 오버헤드 플로우들은 하나의 마스터 플로우가 다른 모든 오버헤드 플로우들에 대한 버전 정보를 운반하는 계층적인 방식으로 조직될 수 있다. 이 마스터 플로우가 처음에 디코딩되고, 다른 오버헤드 플로우들은 필요에 따라 디코딩된다. 2. 실시간 서비스의 활성화(즉, 디코딩하라는 요청)가 콘텐츠 플로우의 복조 시도를 트리거할 것이며, 이는 시스템 재획득을 트리거할 것이다. 3. 네트워크는 파일 전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파일 전달 서비스는 디바이스가 알려진 콘텐츠 플로우에 의해 운반되는 클립 다운로드를 네트워크에 의해 통보된 특정 시간 주기들로 시작하게 한다. 디바이스는 파일 전달 콘텐츠를 운반하는 플로우에 대한 디코딩 요청시 커버리지 밖에 있을 수도 있다. 클립 다운로드 시도는 강제로 처리 로직(202)이 내부 루프 재획득 시도를 하게 한다. 4. 다른 타입의 콘텐츠 플로우가 IP 멀티캐스트 서비스 데이터를 운반한다. 이 콘텐츠에 관심 있는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들은 다양한 시간에 이들 플로우의 복조를 요청할 수 있다. 플로우 콘텐츠 디코딩에 대한 요청은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에 시스템 재획득이 일어나게 한다.
도 3은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 사용하기 위해 외부 루프 알고리즘의 리셋이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설명하는 타이밍도(300)를 나타낸다. 한 형태에서, 모든 매체들의 논리 채널들의 상실 또는 오버헤드 정보 심벌들의 복조 불가능을 기초로 제 1 내부 루프 획득(302)이 시도된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인터페이스 로직(206)을 제어하여 제 1 내부 루프 획득(302) 시도를 시작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알고리즘에 따라 제 2 획득(304)이 시도되며, 제 2 획득(304) 시도는 제 1 획득 시도(302)보다 짧은 듀레이션을 갖는다.
외부 루프에서의 획득이 실행중인 동안 활성화(306)(즉,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디코딩 요청)가 일어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상호 작용 또는 프로그램 실행의 결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디코딩 요청이 수신된다. 활성화에 응답하여, 처리 로직(202)은 처음에서부터 획득 알고리즘을 리셋 또는 재시작하도록 동작하며, 또 30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새로운 제 1 내부 루프 획득이 시도된다. 서비스가 획득 되지 않는다면, 처리 로직(202)은 스캔 로직을 제어하여 308에서 제 2 내부 루프 획득 시도를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서비스가 여전히 획득되지 않는다면, 처리 로직(202)은 스캔 로직을 제어하여 310에서 제 3 내부 루프 획득 시도를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내부 루프 획득 시도들의 듀레이션 및 내부 루프 획득 시도들 간의 시간은 획득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 로직(202)에 의해 제어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획득 알고리즘의 동작중에 새로운 활성화가 수신될 때마다 외부 루프 획득 알고리즘의 리셋이 수행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확장된 획득 알고리즘 개요
다양한 형태에서, 획득 제어 로직(200)은 확장된 획득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서빙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동작한다. 확장된 획득 알고리즘의 형태들에 제공되는 외부 루프 알고리즘은 단일 내부 루프 획득 시도가 복구할 수 없는 확장된 커버리지 상실 기간들로부터 복구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우선, 획득이 달성되거나 획득 시도들의 최대 허용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에 백오프 타이머가 사용되는 적극적인 상태가 제공된다. 시스템이 여전히 획득되지 않는다면, 더 짧은 듀레이션으로 서비스 획득이 주기적으로 시도되는 확장된 획득 상태가 제공된다. 따라서 확장된 획득 알고리즘의 외부 루프는 두 부분; 적극적인 획득 상태 및 그에 이어지는 확장된 획득 상태를 포함한다.
한 형태에서, 확장된 획득 알고리즘은 현재 타이머가 어떻게 설정되어 있든지 만료시키고 그리고/또는 타이머가 마치 정상적으로 만료한 것처럼 알고리즘의 실행을 계속함으로써 플로우 활성화 시도들(즉, 콘텐츠에 대한 디코딩 요청들)에 응답한다. 콘텐츠 플로우의 디코딩 요청이 확장된 획득 알고리즘의 이미 활성화된 내부 루프 상태와 일치한다면, 현재 획득 시도는 중단 없이 계속된다.
확장된 획득 알고리즘은 획득이 광역 신호 획득을 타깃으로 하는지 로컬 영역 신호 획득을 타깃으로 하는지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동작한다. 다양한 형태에서, 디바이스의 스캔 로직을 제어하여 서비스 획득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외부 루프 획득 알고리즘이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역 서비스 획득을 위해 하나의 외부 루프가 실행될 수 있고, 로컬 영역 서비스 획득을 위해 제 2 외부 루프가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확장된 획득 알고리즘 설명
한 형태에서, 확장된 획득 알고리즘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적극적인 상태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최초 내부 루프 획득 시도가 실패한다면, 획득 제어 로직(200)은 내부 루프 획득 시도 횟수가 적극적인 상태에서 지정된 최대 시도 횟수(Nreacq)에 도달할 때까지 선택된(즉,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시간 간격들로 그리고 선택된 듀레이션들 동안 내부 루프 서비스 획득 시도들을 반복한다.
확장된 획득 알고리즘에서, 적극적인 상태는 다음에 정의된 5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한다. 1. 최초 백오프 값(T1). 2. 지수 인자(alpha). 3. 알고리즘의 적극적인 상태에서의 시도 횟수(Nreacq). 4. 적극적인 상태에서 제 1 획득 시도의 원하는 듀레이션을 정의하는 최초 획득 타이머 임계치. 5. 적극적인 상태에서 다음 획득 시도들에 대해 원하는 듀레이션을 정의하는 반복 획득 타이머 임계치.
알고리즘의 적극적인 상태에서 서비스가 획득되지 않는다면, 외부 루프 알고리즘의 확장된 상태가 실행된다. 획득 제어 로직(200)은 주기적으로 신호의 획득을 시도할 것이다. 이러한 주기적인 시도들이 실행되는 듀레이션, 및 장기 타임아웃 값은 임의의 적당한 기술을 이용하여 선택 또는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된 획득 상태에는 다음과 같은 2개 이상의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1. 확장된 상태 백오프 값(T2). 2. 확장된 상태에서 각각의 획득에 대해 원하는 듀레이션을 정의하는 확장된 상태 획득 타이머 임계치.
도 4는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 사용하기 위한 확장된 획득 알고리즘의 확장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400)를 나타낸다. 타이밍도(400)는 총 획득 시도 횟수가 3회인 적극적인 상태(402)를 나타낸다. 주기적인 시간 간격들로 다음 획득 시도들을 제공하도록 확장된 획득 상태(404)가 발생한다. 성공적인 획득은 내부 루프 획득 시도 동안 언제든 알고리즘의 실행을 중단시킬 수 있다. 확장된 획득 외부 루프 알고리즘에 대한 활성화들의 영향
한 형태에서, 서빙 신호가 획득되면 외부 루프 알고리즘이 리셋된다. 그러나 플로우 활성화(즉, 콘텐츠에 대한 디코딩 요청)는 외부 루프 알고리즘에 대해 다음의 영향을 가질 것이다. 1. 활성화가 일어날 때 디바이스가 한창 내부 루프 획득 시도중이라면, 디바이스는 현재의 획득 시도를 계속할 것이다. 2.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밖에 있고 획득 시도를 트리거하기 위한 타이머 설정을 갖는다면, 타이머가 마치 정상적으로 만료한 것처럼 알고리즘이 동작들을 계속하도록 활성화가 현재 타이머의 만료를 트리거할 것이다. 획득 시도의 듀레이션 및 만일 있다면 결과적인 타임아웃의 길이는 외부 루프 알고리즘의 맥락 내에서 현재 획득 시도 횟수에 좌우된다.
도 5는 확장된 획득 상태 외부 루프 알고리즘에 대한 콘텐츠 플로우 활성화의 영향을 설명하는 타이밍도(500)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타임라인(500)은 제 2 획득 타임아웃 동안 활성화가 일어날 때 확장된 재획득 외부 루프 알고리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502에서 제 2 획득 타임아웃이 발생한다. 이 시간 동안, 504에서 새로운 콘텐츠 플로우 활성화가 일어난다. 이에 응답하여, 확장된 획득 외부 루프 알고리즘은 제 2 타임아웃의 타이밍을 만료하고 제 3 획득 시도를 시작하도록 동작한다. 제 3 획득 시도 동안 서비스가 획득되지 않는다면, 확장된 획득 외부 루프 알고리즘은 50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확장된 획득 상태를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출력 표시들
다양한 형태에서, 획득 시스템은 사용자 및/또는 디바이스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다양한 표시를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처리 로직(202)은 사용자 및/또는 디바이스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다음의 표시들의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다음의 리스트가 전적인 것은 아니고 임의의 추가 표시들이 처리 로직(202)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1. 시스템 중단(Loss of System) 2. 시스템 획득중(Acquiring System) 3. 시스템이 획득되었음(System Acquired)
도 6은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600)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방법(600)은 상술한 획득 알고리즘에 따른 외부 루프 처리를 제공한다. 간결성을 위해, 하기에서 방법(600)은 도 2에 나타낸 획득 제어 로직(200)을 참조로 설명된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후술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획득 제어 로직(200)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를 실행한다.
블록(602)에서,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유휴 상태이다.
블록(604)에서, 획득 외부 루프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타이머 로직(204)은 외부 루프 타이머를 유지하며, 외부 루프 타이머가 만료했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618)으로 진행한다. 외부 루프 타이머가 만료하지 않았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606)으로 진행한다.
블록(606)에서, 플로우 활성화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플로우 활성화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처리 로직(202)은 새로운 플로우 활성화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플로우 활성화가 수신되었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614)으로 진행한다. 플로우 활성화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602)으로 진행한다.
블록(618)에서, 시스템 획득이 시도된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인터페이스 로직(206)을 제어하여 디바이스의 스캔 로직에 의한 내부 루프 획득 시도를 시작한다. 따라서 처리 로직(202)에 의해 결정된 선택된 듀레이션 동안 내부 루프 획득이 시도된다.
블록(620)에서, 진행하는 내부 루프 스캔 동안 플로우 활성화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이 이러한 결정을 한다. 플로우 활성화가 수신되었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614)으로 진행한다. 플로우 활성화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622)으로 진행한다.
블록(622)에서, 획득 시도가 실패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 형태에서, 인터페이스 로직(206)은 처리 로직(202)으로 전달되는 서비스 표시자들을 수신한다. 그 다음, 처리 로직(202)은 획득 시도가 실패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획득 시도가 실패하지 않았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608)으로 진행한다. 획득 시도가 실패했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624)으로 진행한다.
블록(608)에서, "시스템이 획득되었음" 표시가 제공된다. 한 형태에서, 처 리 로직(202)은 디바이스 사용자 및/또는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들에 표시를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블록(610)에서, 디바이스는 활성 모드이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현재 서비스중이다.
블록(612)에서, 서비스 획득이 필요한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 형태에서, 인터페이스 로직(206)은 처리 로직(202)으로 전달되는 서비스 표시자들을 수신한다. 그 다음, 처리 로직(202)은 서비스가 중단되었고 서비스 획득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서비스 획득이 필요하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610)으로 진행한다. 서비스 획득이 필요하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614)으로 진행한다.
블록(614)에서, 외부 루프 획득 알고리즘이 리셋된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외부 루프 획득 알고리즘을 리셋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스캔 듀레이션이 리셋되고 백오프 시간 간격이 리셋된다.
블록(616)에서, "시스템 획득중" 표시가 제공된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이 표시를 디바이스 사용자 및/또는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들에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블록(624)에서, 최근의 획득 실패가 제 1 내부 루프 시도였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이 이 결정을 한다. 최근의 획득 실패가 제 1 내부 루프 시도였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626)으로 진행한다. 최근의 획득 실패가 제 1 내부 루프 시도가 아니었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628)으로 진행한다.
블록(626)에서, 모든 플로우가 비활성화되고 "시스템 중단" 표시가 전송된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모든 플로우를 비활성화하여 관련된 플로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도록 동작한다. 처리 로직(202)은 또한 "시스템 중단" 표시를 디바이스 사용자 및/또는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들에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블록(628)에서, 내부 루프 시도 횟수가 선택된 한계(Nreacq) 미만인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이 이 결정을 한다. 시도 횟수가 Nreacq 미만이라면, 상기 방법은 블록(630)으로 진행한다. 시도 횟수가 Nreacq 미만이 아니라면, 상기 방법은 블록(602)으로 진행한다.
블록(630)에서, 다음 획득 시도를 위해 외부 루프 타이머가 조정된다. 한 형태에서, 타이머 로직(204)은 (T1*2[alpha*(CurrentReacqNumber-1)])과 같은 값으로 설정되는 외부 루프 타이머를 유지한다. 그 다음, 상기 방법은 블록(602)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방법(600)은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 사용하기 위한 획득 알고리즘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방법(600)은 단지 한 가지 구현이며, 방법(600)의 동작들은 다양한 형태의 범위 내에서 재정렬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수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여기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범위로 다른 구현들이 가능하다.
도 7은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700)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방법(7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확장 된 재획득 알고리즘에 따른 외부 루프 처리를 제공한다. 간결성을 위해, 하기에서 방법(700)은 도 2에 나타낸 획득 제어 로직(200)을 참고로 설명된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후술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획득 제어 로직(200)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를 실행한다.
블록(702)에서, 커버리지 이탈 상태가 존재한다. 한 형태에서, 서비스 획득 시스템은 상술한 획득 알고리즘에 따라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이탈 상태라고 결정하였다.
블록(704)에서, 외부 루프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타이머 로직(204)은 외부 루프 타이머를 유지하고, 외부 루프 타이머가 만료했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718)으로 진행한다. 외부 루프 타이머가 만료하지 않았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706)으로 진행한다.
블록(706)에서, 플로우 활성화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플로우 활성화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처리 로직(202)은 새로운 플로우 활성화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플로우 활성화가 수신되었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718)으로 진행한다. 플로우 활성화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702)으로 진행한다.
블록(718)에서, 시스템 획득이 시도된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인터페이스 로직(206)을 제어하여 디바이스의 스캔 로직에 의한 내부 루프 획득 시도를 시작한다. 따라서 처리 로직(202)에 의해 결정된 선택된 듀레이션 동안 내부 루프 획득이 시도된다. 일단 획득 시도가 시작되면, 수신된 새로운 플로우 활성화들은 처리 로직(202)에 의해 "시스템 획득중" 표시가 전송되게 한다.
블록(720)에서, 획득 시도가 실패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 형태에서, 인터페이스 로직(206)은 처리 로직(202)으로 전달되는 서비스 표시자들을 수신한다. 그 다음, 처리 로직(202)은 획득 시도가 실패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획득 시도가 실패하지 않았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708)으로 진행한다. 획득 시도가 실패했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722)으로 진행한다.
블록(708)에서, "시스템이 획득되었음" 표시가 제공된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디바이스 사용자 및/또는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들에 표시를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블록(710)에서, 디바이스는 활성 모드이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현재 서비스중이다.
블록(712)에서, 서비스 획득이 필요한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 형태에서, 인터페이스 로직(206)은 처리 로직(202)으로 전달되는 서비스 표시자들을 수신한다. 그 다음, 처리 로직(202)은 서비스가 중단되었고 서비스 획득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서비스 획득이 필요하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710)으로 진행한다. 서비스 획득이 필요하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714)으로 진행한다.
블록(714)에서, 외부 루프 획득 알고리즘이 리셋된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외부 루프 획득 알고리즘을 리셋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스캔 듀레 이션이 리셋되고 백오프 시간 간격이 리셋된다.
블록(716)에서, "시스템 획득중" 표시가 제공된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이 표시를 디바이스 사용자 및/또는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들에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블록(722)에서, 최근의 획득 실패가 제 1 내부 루프 시도 또는 새로운 활성화의 결과였는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이 이 결정을 한다. 최근의 획득 실패가 제 1 내부 루프 시도 또는 새로운 활성화의 결과였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724)으로 진행한다. 최근의 획득 실패가 제 1 내부 루프 시도 또는 새로운 활성화의 결과가 아니었다면, 상기 방법은 블록(726)으로 진행한다.
블록(724)에서, 모든 플로우가 비활성화되고 "시스템 중단" 표시가 전송된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은 모든 플로우를 비활성화하여 관련된 플로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도록 동작한다. 처리 로직(202)은 또한 "시스템 중단" 표시를 디바이스 사용자 및/또는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들에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블록(726)에서, 내부 루프 시도 횟수가 선택된 한계(Nreacq) 미만인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이 이 결정을 한다. 시도 횟수가 Nreacq 미만이라면, 상기 방법은 블록(728)으로 진행한다. 시도 횟수가 Nreacq 미만이 아니라면, 상기 방법은 블록(730)으로 진행한다.
블록(728)에서, 다음 획득 시도를 위해 외부 루프 타이머가 조정된다. 한 형태에서, 타이머 로직(204)은 (T1*2[alpha*(CurrentReacqNumber-1)])과 같은 값으로 설정되는 외부 루프 타이머를 유지한다. 그 다음, 상기 방법은 블록(702)으로 진행한다.
블록(730)에서, 외부 루프 타이머는 T2의 시간 값으로 설정된다. 한 형태에서, 타이머 로직(204)은 T2의 값으로 설정되는 외부 루프 타이머를 유지하며, 여기서 T2는 주기적인 획득 시도들에 사용되는 시간 간격이다. 그 다음, 상기 방법은 블록(702)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방법(700)은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 사용하기 위한 확장된 획득 알고리즘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방법(700)은 단지 한 가지 구현이며, 방법(700)의 동작들은 다양한 형태의 범위 내에서 재정렬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수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여기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범위로 다른 구현들이 가능하다.
도 8은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에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획득 제어 로직(800)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획득 제어 로직(800)은 도 2에 나타낸 획득 제어 로직(200)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한 형태에서, 획득 제어 로직(800)은 여기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에 의해 구현된다. 예를 들어, 한 형태에서, 각 모듈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획득 제어 로직(800)은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802)을 포함하는 제 1 모듈을 포함하며, 이 수단은 한 형태에서 인터페이스 로 직(206)을 포함한다. 획득 제어 로직(800)은 또한 서비스 중단이 발생한 경우에 적극적인 획득 상태 동안 적어도 한 번의 획득 시도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804)을 포함하는 제 2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 시간 간격은 일정하거나 증가하고, 적극적인 획득 상태는 서비스 획득이 달성되거나 선택된 횟수의 획득 시도들이 수행되었을 때 종료하며, 이 수단은 한 형태에서 처리 로직(202)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는 여기서 설명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연산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 개시된 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에 직접,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 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개시된 형태들의 설명은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제작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발명의 진의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형태들,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지 전달 서비스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무선 데이터 통신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나타낸 형태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과 새로운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르는 것이다. 여기서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예시, 실례 또는 예증이 되는 것"의 의미로만 사용된다. 여기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설명하는 어떠한 형태도 다른 형태들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여기서는 서비스 획득 시스템의 형태들이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그 진의 또는 본질적인 특징들은 벗어나지 않으며 상기 형태들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개시 및 설명은 발명의 범위의 한정이 아닌 예시를 위한 것이며, 이는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언급된다.

Claims (55)

  1.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service acquisition)을 위한 방법으로서,
    서비스 중단(loss of service)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다면 적극적 획득 상태(aggressive acquisition phase) 동안 적어도 한 번의 획득 시도를 시작하는 단계 -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backoff) 시간 간격은 일정하거나 또는 증가하고,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는 서비스 획득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 의해 미리 결정된 횟수의 획득 시도들이 수행되었을 때 종료함 -;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 이후에 확장된 획득 상태(extended acquisition phase)를 시작하는 단계 - 추가 획득 시도들 사이에 일정한 또는 변화하는 시간 간격들이 제공되고, 상기 추가 획득 시도들은 일정한 또는 변화하는 듀레이션(duration)들을 가짐 -; 및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의 획득 시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이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획득 시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보다 짧도록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와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하는 단계는 제 1 듀레이션을 갖는 제 1 획득 시도 및 상기 제 1 듀레이션보다 짧은 듀레이션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음 획득 시도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된 전력 이용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추가 획득 시도들 간의 시간 간격들 및 듀레이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이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보다 많도록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와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이 선택된 타깃을 충족하도록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깃은 서비스중(in-service)일 때 대기 모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과 동일한,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시스템 중단(loss of system) 상태, 시스템 획득중(acquiring system) 상태 및 시스템 획득되었음(system acquired) 상태 중 하나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자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 서비스가 획득된다면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flow) 다운로드를 재-설정(re-establish)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의 끝(end)까지 서비스가 획득되지 않는다면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 다운로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
  12.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로서,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로직; 및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다면 적극적 획득 상태 동안 적어도 한 번의 획득 시도를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로직을 포함하며,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 시간 간격은 일정하거나 또는 증가하고,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는 서비스 획득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 의해 미리 결정된 횟수의 획득 시도들이 수행되었을 때 종료하며,
    상기 처리 로직은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 이후에 확장된 획득 상태를 시작하도록 구성되고, 추가 획득 시도들 사이에 일정한 또는 변화하는 시간 간격들이 제공되고, 상기 추가 획득 시도들은 일정한 또는 변화하는 듀레이션들을 가지며,
    상기 처리 로직은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의 획득 시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이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획득 시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보다 짧도록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와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은 제 1 듀레이션을 갖는 제 1 획득 시도 및 상기 제 1 듀레이션보다 짧은 듀레이션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음 획득 시도를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14. 삭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은 선택된 전력 이용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추가 획득 시도들 간의 시간 간격들 및 듀레이션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16. 삭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은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이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보다 많도록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와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은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이 선택된 타깃을 충족하도록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깃은 서비스중일 때 대기 모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과 동일한,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은 시스템 중단 상태, 시스템 획득중 상태 및 시스템 획득되었음 상태 중 하나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은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 서비스가 획득된다면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 다운로드를 재-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로직은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의 끝까지 서비스가 획득되지 않는다면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 다운로드를 종료하도록 구성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23.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로서,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다면 적극적 획득 상태 동안 적어도 한 번의 획득 시도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 -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 시간 간격은 일정하거나 또는 증가하고,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는 서비스 획득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 의해 미리 결정된 횟수의 획득 시도들이 수행되었을 때 종료함 -;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 이후에 확장된 획득 상태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 - 추가 획득 시도들 사이에 일정한 또는 변화하는 시간 간격들이 제공되고, 상기 추가 획득 시도들은 일정한 또는 변화하는 듀레이션들을 가짐 -; 및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의 획득 시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이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획득 시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보다 짧도록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와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듀레이션을 갖는 제 1 획득 시도 및 상기 제 1 듀레이션보다 짧은 듀레이션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음 획득 시도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25. 삭제
  26. 제 23 항에 있어서,
    선택된 전력 이용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추가 획득 시도들 간의 시간 간격들 및 듀레이션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27. 삭제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이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보다 많도록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와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이 선택된 타깃을 충족하도록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깃은 서비스중일 때 대기 모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과 동일한,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31. 제 23 항에 있어서,
    시스템 중단 상태, 시스템 획득중 상태 및 시스템 획득되었음 상태 중 하나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자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32.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 서비스가 획득된다면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 다운로드를 재-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33.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의 끝까지 서비스가 획득되지 않는다면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 다운로드를 종료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서비스 획득을 위한 장치.
  34.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다면 적극적 획득 상태 동안 적어도 한 번의 획득 시도를 시작하게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며,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 시간 간격은 일정하거나 또는 증가하고,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는 서비스 획득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 의해 미리 결정된 횟수의 획득 시도들이 수행되었을 때 종료하며,
    상기 코드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 이후에 확장된 획득 상태를 시작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추가 획득 시도들 사이에 일정한 또는 변화하는 시간 간격들이 제공되고, 상기 추가 획득 시도들은 일정한 또는 변화하는 듀레이션들을 가지며,
    상기 코드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의 획득 시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이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획득 시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보다 짧도록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와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듀레이션을 갖는 제 1 획득 시도 및 상기 제 1 듀레이션보다 짧은 듀레이션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음 획득 시도를 시작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6. 삭제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선택된 전력 이용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추가 획득 시도들 간의 시간 간격들 및 듀레이션들을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8. 삭제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이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보다 많도록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와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이 선택된 타깃을 충족하도록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깃은 서비스중일 때 대기 모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과 동일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2.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시스템 중단 상태, 시스템 획득중 상태 및 시스템 획득되었음 상태 중 하나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자를 제공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3.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 서비스가 획득된다면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 다운로드를 재-설정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4.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의 끝까지 서비스가 획득되지 않는다면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 다운로드를 종료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5.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로서,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모듈; 및
    서비스 중단이 발생했다면 적극적 획득 상태 동안 적어도 한 번의 획득 시도를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모듈을 포함하며, 연속적인 획득 시도들 간의 백오프 시간 간격은 일정하거나 또는 증가하고,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는 서비스 획득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 의해 미리 결정된 횟수의 획득 시도들이 수행되었을 때 종료하며,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 이후에 확장된 획득 상태를 시작하도록 구성되고, 추가 획득 시도들 사이에 일정한 또는 변화하는 시간 간격들이 제공되고, 상기 추가 획득 시도들은 일정한 또는 변화하는 듀레이션들을 가지며,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의 획득 시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이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획득 시도들 간의 평균 시간 간격보다 짧도록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와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은 제 1 듀레이션을 갖는 제 1 획득 시도 및 상기 제 1 듀레이션보다 짧은 듀레이션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음 획득 시도를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47. 삭제
  48.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은 선택된 전력 이용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추가 획득 시도들 간의 시간 간격들 및 듀레이션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49. 삭제
  50.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이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보다 많도록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와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51.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이 선택된 타깃을 충족하도록 상기 확장된 획득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타깃은 서비스중일 때 대기 모드에서의 평균 전력 이용과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53.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은 시스템 중단 상태, 시스템 획득중 상태 및 시스템 획득되었음 상태 중 하나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자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54.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에서 서비스가 획득된다면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 다운로드를 재-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55.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적극적 획득 상태의 끝까지 서비스가 획득되지 않는다면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 다운로드를 종료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KR1020097024455A 2007-04-25 2008-04-24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1129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1401607P 2007-04-25 2007-04-25
US60/914,016 2007-04-25
US12/107,684 2008-04-22
US12/107,684 US8331969B2 (en) 2007-04-25 2008-04-22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ce acquisition in a broadcast system
PCT/US2008/061449 WO2008134447A2 (en) 2007-04-25 2008-04-24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ce acquisition in a broadcas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293A KR20090131293A (ko) 2009-12-28
KR101129127B1 true KR101129127B1 (ko) 2012-04-12

Family

ID=3988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455A KR101129127B1 (ko) 2007-04-25 2008-04-24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31969B2 (ko)
EP (1) EP2153558A2 (ko)
JP (1) JP2010527182A (ko)
KR (1) KR101129127B1 (ko)
CN (1) CN101663848B (ko)
WO (1) WO20081344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9542B2 (ja) * 2011-04-07 2016-03-2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及び操作システム
US8798089B2 (en) * 2011-06-17 2014-08-05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3132135A1 (en) * 2012-03-08 2013-09-12 Nokia Corporation Improving efficiency in wireless network
US9603182B2 (en) * 2013-03-14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reliable always-on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s
US11039395B1 (en) * 2019-11-22 2021-06-15 Qualcomm Incorporated Out of service notification and deactivation of radio frequency compon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2475A (ko) * 2002-11-04 2005-07-11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무선 데이터 접속을 유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07044918A2 (en) * 2005-10-12 2007-04-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dverse channel conditions and conserving pow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1073A (en) 1989-02-27 1990-10-02 Motorola, Inc. Battery saving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optimum synchronization codeword detection
US5109530A (en) 1990-10-24 1992-04-28 Motorola, Inc. Receiver with battery saver
JP3556456B2 (ja) 1998-02-19 2004-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6236850B1 (en) 1999-01-08 2001-05-22 Trw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venience function control with increased effective receiver seek time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AU2004200486B2 (en) * 2003-02-12 2007-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lex wireless service apparatus us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 thereof
JP2005167749A (ja) 2003-12-04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および制御用データ検索方法
US7102565B2 (en) 2004-03-12 2006-09-05 Transport International Pool, Inc. Power saving operation in a GPS-based asset tracking unit
US8516323B2 (en) * 2004-04-05 2013-08-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pair function for a broadcast service
US7564799B2 (en) 2004-04-23 2009-07-21 Intermec Ip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roaming
US7555319B2 (en) * 2006-03-21 2009-06-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aptive power efficient radio environment measurements
US8064444B2 (en) * 2007-01-12 2011-11-22 Wi-Lan Inc.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US8019340B2 (en) * 2007-03-07 2011-09-13 Motorola Mobility, Inc. Reduced scanning within a uniform period in out-of-service condi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2475A (ko) * 2002-11-04 2005-07-11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무선 데이터 접속을 유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07044918A2 (en) * 2005-10-12 2007-04-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dverse channel conditions and conserving 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3848B (zh) 2012-11-21
CN101663848A (zh) 2010-03-03
JP2010527182A (ja) 2010-08-05
US8331969B2 (en) 2012-12-11
EP2153558A2 (en) 2010-02-17
KR20090131293A (ko) 2009-12-28
WO2008134447A2 (en) 2008-11-06
WO2008134447A3 (en) 2009-04-30
US20080268787A1 (en)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127B1 (ko)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획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EP2728948B1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adjusting wake-up period of terminal
JP5209484B2 (ja) ブロードキャストofdmシステムにおけるrfチャネル交換
US82952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evice power savings class
US7773992B2 (en) Timing transitions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WI487344B (zh) 用於抑制行動台裝置的應用處理器喚醒直至滿足工作中條件的方法、系統、及其産品
KR101171563B1 (ko) 페이징 성능에 기초한 셋업 시간의 동적인 조정
JP4870772B2 (ja) 悪いチャネル状況を検出し、電力を節約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CN109474975B (zh) 一种联网的方法及终端、物联网平台
US11044624B2 (en) Method for cellular network based controlling of measurements by a low-capability wireless terminal
JP4620414B2 (ja)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527084B2 (ja) 無線基地局、無線ノード、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15119339A (zh)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JP4646938B2 (ja) 無線通信端末装置の制御方法
WO2018084756A1 (en) Autonomous validation of stored connectivity information
KR2007000802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그단말
JP2000253431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