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342B1 -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342B1
KR101128342B1 KR1020100000782A KR20100000782A KR101128342B1 KR 101128342 B1 KR101128342 B1 KR 101128342B1 KR 1020100000782 A KR1020100000782 A KR 1020100000782A KR 20100000782 A KR20100000782 A KR 20100000782A KR 101128342 B1 KR101128342 B1 KR 10112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plate
printing
pigment
acrylate
ink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518A (ko
Inventor
박종환
박초롱
정성돈
강상수
Original Assignee
케이에스씨비 주식회사
(주)뉴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스씨비 주식회사, (주)뉴옵틱스 filed Critical 케이에스씨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3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 수지 25~35 중량%; 실리카(SiO2), 실리콘 비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광확산제 6~25 중량%; 및 용제 40~60 중량%를 포함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에 광투과율 손실없이 다양한 형태의 패턴 및 디자인을 인쇄하여 장식조명 등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PRINTING INK COMPOSITION FOR LIGHT DIFFUSION PLATE OF LIGHT DEVICE AND LIGHT DIFFUSION PLATE OF LIGHT DEVICE PREPA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에 광투과율 손실없이 다양한 형태의 패턴 및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는 광투과율 및 광확산성이 우수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실내를 밝게 비추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방법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된다.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조명방법으로는 광원에 나오는 빛을 커버를 통하여 산란시켜 일정한 장소를 직접 비추게 하는 직접조명방식과,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불투명한 갓등으로 막아 벽이나 천장으로부터 반사광만을 이용하여 비추는 간접조명방식 및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그대로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전반확산 조명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조명기구는 대부분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를 이용하며, 이러한 조명기구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일면에 광원이 배치되어 광원에서 출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판의 전면에서 빛을 발광하게 된다. 즉,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빛이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의 내부에서 안내된 후, 안내된 빛이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방출되어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광원은 주로 CCFL(냉음극 형광램프) 또는 EEFL(외부전극 형광램프)으로 적용되며, 특히 최근 들어 형광램프에 비해 빠른 응답특성 및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LED(발광다이오드)로 적용된 구성도 제안된다.
한편,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는 빛이 출사되는 전방에 위치되어 광원의 보호 및 외부로 출사되는 빛이 보다 확장된 구간에 걸쳐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는 주로 시트와 같은 플레이트 형태로 사출되어 조명등 커버 등으로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조명기구는 일정한 규모의 실내를 밝히거나,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의 빛 출사면에 특정의 모양을 인쇄 또는 전사하여 장식조명으로 적용하는 등, 실, 내외의 인테리어 조명으로 많이 적용된다.
이와 같이 조명기구에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를 적용하여 장식조명으로 적용하는 등, 실, 내외의 인테리어 조명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에 잉크 또는 칼라잉크로 다양한 디자인적 특성을 부여할 수 있으나, 종래의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에 목적하는 패턴 및 디자인을 인쇄하는 경우 광투과율이 저하됨으로써 조명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에 목적하는 패턴 및 디자인을 인쇄하여 실, 내외의 인테리어 조명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광투과율의 손실없이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에 다양한 패턴 및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광투과율의 손실없이 다양한 패턴 및 디자인이 인쇄되어 장식조명에 사용될 수 있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크릴 수지 25~35 중량%; 실리카(SiO2), 실리콘 비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광확산제 6~25 중량%; 및 용제 40~60 중량%를 포함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 수지 25~35 중량%; 실리카(SiO2), 실리콘 비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광확산제 6~25 중량%; 안료 2~10 중량%; 및 용제 40~60 중량%를 포함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확산제로 사용되는 실리카(SiO2), 실리콘 비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직경은 0.7~8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용제로는 케톤류,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탄화수소계, 글리콜에테르계 유기용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은 전체 중량 대비 1~2 중량% 함량으로 소포제, 분산제,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또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패턴 및 디자인이 인쇄되어 장식조명에 사용될 수 있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광투과율과 헤이즈값을 가지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에 광투과율이 저하되지 않고 다양한 패턴 및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크릴 수지 25~35 중량%; 실리카(SiO2), 실리콘 비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광확산제 6~25 중량%; 및 용제 40~60 중량%를 포함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투명 고분자 수지로는 빛 투과도가 높은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일부를 유기용매, 반응개시제와 함께 반응탱크에 투입후 일정온도 승온하고 일정시간 동안 나머지 아크릴레이크계 모노머를 적하하여 중합시키는 용액중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데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 개시제로는 벤질 퍼옥사이드, 디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퍼벤조에이트,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35~44.8 중량%, 벤질 퍼옥사이드 0.2~0.6 중량% 및 톨루엔 55~64.8 중량%를 혼합하여 합성된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합성된 아크릴 수지를 본 발명의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단독 사용시 광투과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은 실리카(SiO2), 실리콘 비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광확산제 6~25 중량%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확산제로서 사용되는 실리카(SiO2), 실리콘 비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직경은 0.7~8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SiO2), 실리콘 비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직경이 0.7 ㎛ 미만인 경우 가시광선 파장(0.4~0.7 micron)에서 광산란 특성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실리카(SiO2), 실리콘 비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직경이 8 ㎛을 초과하는 경우 스크린 인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판두께를 12㎛ 이상으로 설정하여야 함으로 인쇄도막 두께 증가로 인한 광손실과 광확산제의 적층에 의한 광손실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제로는 케톤류,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탄화수소계, 글리콜에테르계 등의 유기용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은 소포제, 분산제, 레벨링제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에 첨가제로서 소포제, 분산제, 레벨링제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1~2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 수지 25~35 중량%; 실리카(SiO2), 실리콘 비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광확산제 6~25 중량%; 안료 2~10 중량%; 및 용제 40~60 중량%를 포함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안료로는 C.I. Pigment Red 48:1, 48:2,48:3, 48:4, C.I. Pigment Red 53:1, 53:2, C.I. Pigment Red 57:1, Pigment Yellow 1, C.I. Pigment Yellow 3, C.I. Pigment Yellow 83, C.I. Pigment Orange 16, C.I. Pigment Orange 13, C.I. Pigment Red 3, C.I. Pigment Red 5 등과 같은 아조계 안료; C.I. Pigment Blue 15, C.I. Pigment Blue 17, C.I. Pigment Green 7 등과 같은 프탈로시아닌 안료; 축합다환계 유기안료로 Indanthrene Blue C.I. Pigment Blue 60의 안트라퀴논계 안료; ThioindigoMagenta C.I. Pigment Vilot38 등의 티오인디고계 안료; PerinoneOrange C.I. Pigment Orange 43의 페린온계 안료; PeryleneMaroon C.I. Pigment Red 179의 페릴렌계 안료; Quninacridone Red C.I. Pigment Violet 19의 퀴나크리돈계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조명용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투명성이 우수한 CI Pigment R 177(red), CI Pigment G36(green), CI pigment B15:6(blue), CI Pigment Y139(yellow), CI Pigment V23(violet) 안료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잉크 조성물의 구성성분인 아크릴 수지, 광확산제 및 용제의 종류 및 함량은 상술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또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패턴 및 디자인이 인쇄되어 장식조명에 사용될 수 있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를 조명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종래의 잉크 조성물로 인쇄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광투과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 실시예 >
아크릴 수지의 합성
톨루엔 15 중량 %,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11.89 중량%를 반응탱크(Kettle)투입후 110℃로 승온하였다. 승온된 반응 탱크에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28.06 중량%와 벤질 퍼옥사이드 0.07 중량% 및 톨루엔 5.04 중량% 의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후 2 시간 경과 후에 벤질 퍼옥사이드 0.27 중량% 및 톨루엔 15 중량%의 혼합물을 2 시간동안 적하하였다. 1시간 유지 후 벤질 퍼옥사이드 0.07 중량% 및 톨루엔 2 중량% 혼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2시간 유지 후 톨루엔 22.6%를 투입하고 냉각하였다. 상술한 과정에 따른 합성을 통해 광투과율이 우수한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고형분 40%의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제조를 위한 아크릴수지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1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된 아크릴수지를 이용하여 케톤류 및 탄화석유계 용제 64 중량%에 아크릴 수지 25 중량, 2 ㎛의 실리카 10 중량%, 소포제, 분산제 및 레벨링제 1 중량%를 교반기에 넣고 65℃ 이하에서 500 rpm으로 1 시간동안 교반하여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된 아크릴수지를 이용하여 케톤류 및 탄화석유계 용제 64 중량%에 아크릴 수지 25 중량, 4.5 ㎛의 실리카 10 중량%, 소포제, 분산제 및 레벨링제 1 중량%를 교반기에 넣고 65℃ 이하에서 500 rpm으로 1 시간동안 교반하여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된 아크릴수지를 이용하여 케톤류 및 탄화석유계 용제 54 중량%에 아크릴 수지 25 중량, 4㎛의 실리콘비드 20 중량%, 소포제, 분산제 및 레벨링제 첨가제 1 중량%를 교반기에 넣고 65℃ 이하에서 500 rpm으로 1 시간동안 교반하여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된 아크릴수지를 이용하여 케톤류 및 탄화석유계 용제 54 중량%에 아크릴 수지 25 중량, 6㎛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20 중량%, 소포제, 분산제 및 레벨링제 1 중량%를 교반기에 넣고 65℃ 이하에서 500 rpm으로 1 시간동안 교반하여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인쇄용 잉크를 투과율 90% 엠보 type PC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바이엘 엠보 type, 571mm× 571mm× 2 mm)에 300 메쉬 스크린 인쇄방법으로 12 ㎛ 두께로 인쇄한 후 하기 방법에 따라 광특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광특성 측정방법
1) 전체광투과량(Tt) : 확산플레이트에 상기 실시예로 제조된 잉크를 12㎛ 으로 인쇄후 디지털 헤이즈 미터(Digital Haze Meter, SUGA , Japan)를 사용하여 광투과량 측정
2) HAZE : 확산플레이트에 상기 실시예로 제조된 잉크를 12㎛ 으로 인쇄후 디지털 헤이즈 미터(Digital Haze Meter, SUGA , Japan)를 사용하여 광투과량 측정
3) 조도 : 확산플레이트에 상기 실시예로 제조된 잉크를 12㎛ 으로 인쇄후 색도 조도계(Konica minolta CL-200, Konica minolta , Japan)를 사용하여 1m 거리에서 조도 측정
4) 색온도 : 확산플레이트에 상기 실시예로 제조된 잉크를 12㎛ 으로 인쇄후 색도 조도계(Konica minolta CL-200, Konica minolta , Japan)를 사용하여 1m 거리에서 색온도 측정
5) 평균휘도 : 확산플레이트에 상기 실시예로 제조된 잉크를 12㎛ 으로 인쇄후 스펙트로라디오미터(Spectroradiometers PR-650, Photo Research inc. , USA)를 사용하여 평균휘도 측정
광투과량
(Tt)
HAZE 조도(lx) 색온도(K) 색좌표 평균휘도
(cd/㎡)
X Y
실시예 1 - - 1818 5940 0.3225 0.3518 7735
실시예 2 63 91.8 1727 5875 0.3239 0.3536 7703
실시예 3 90 90.2 1851 5954 0.3222 0.3515 7424
실시예 4 91 86.1 1859 5982 0.3216 0.3504 9144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에 인쇄하는 경우 광투과율을 높임으로써 조도 및 휘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HAZE를 조절하여 이미지 부분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일반 조명의 확산 플레이트에 이미지를 첨가하여 본래의 조명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고 장식적 효과와 미관을 높이기 위한 인테리어의 분야로 적합한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9)

  1.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유기용매 및 반응개시제를 혼합하여 용액중합법으로 합성되는 아크릴 수지 25~35 중량%;
    실리카(SiO2), 실리콘 비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광확산제 6~25 중량%; 및
    용제 40~60 중량%
    를 포함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데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및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개시제로는 벤질 퍼옥사이드, 디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퍼벤조에이트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유기용매는 톨루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35~44.8 중량%, 벤질 퍼옥사이드 0.2~0.6 중량% 및 톨루엔 55~64.8 중량%를 혼합하여 용액중합법으로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SiO2), 실리콘 비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직경은 0.7~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케톤류,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탄화수소계 및 글리콜에테르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기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은 1~2 중량%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소포제, 분산제, 레벨링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9. 아크릴 수지 25~35 중량%;
    실리카(SiO2), 실리콘 비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광확산제 6~25 중량%;
    안료 2~10 중량%; 및
    용제 40~60 중량%
    를 포함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잉크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유기용매 및 반응개시제를 혼합하여 용액중합법으로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잉크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데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및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잉크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개시제로는 벤질 퍼옥사이드, 디터셔리부틸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퍼벤조에이트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유기용매는 톨루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잉크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35~44.8 중량%, 벤질 퍼옥사이드 0.2~0.6 중량% 및 톨루엔 55~64.8 중량%를 혼합하여 용액중합법으로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잉크 조성물.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SiO2), 실리콘 비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의 직경은 0.7~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잉크 조성물.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케톤류,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탄화수소계 및 글리콜에테르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기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잉크 조성물.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로는 C.I. Pigment Red 48:1, 48:2,48:3, 48:4, C.I. Pigment Red 53:1, 53:2, C.I. Pigment Red 57:1, Pigment Yellow 1, C.I. Pigment Yellow 3, C.I. Pigment Yellow 83, C.I. Pigment Orange 16, C.I. Pigment Orange 13, C.I. Pigment Red 3 및 C.I. Pigment Red 5를 포함하는 아조계 안료; C.I. Pigment Blue 15, C.I. Pigment Blue 17 및 C.I. Pigment Green 7를 포함하는 프탈로시아닌 안료; Indanthrene Blue C.I. Pigment Blue 60의 안트라퀴논계 안료; ThioindigoMagenta C.I. Pigment Vilot38의 티오인디고계 안료; PerinoneOrange C.I. Pigment Orange 43의 페린온계 안료; PeryleneMaroon C.I. Pigment Red 179의 페릴렌계 안료; Quninacridone Red C.I. Pigment Violet 19의 퀴나크리돈계 안료; CI Pigment R 177(red), CI Pigment G36(green), CI pigment B15:6(blue), CI Pigment Y139(yellow) 및 CI Pigment V23(viole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안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잉크 조성물.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은 1~2 중량%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소포제, 분산제, 레벨링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 잉크 조성물.
  18.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을 인쇄하여 제조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19. 제9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칼라잉크 조성물을 인쇄하여 제조한 조명용 칼라 확산 플레이트.
KR1020100000782A 2010-01-06 2010-01-06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KR101128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782A KR101128342B1 (ko) 2010-01-06 2010-01-06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782A KR101128342B1 (ko) 2010-01-06 2010-01-06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518A KR20110080518A (ko) 2011-07-13
KR101128342B1 true KR101128342B1 (ko) 2012-03-23

Family

ID=4491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782A KR101128342B1 (ko) 2010-01-06 2010-01-06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608B1 (ko) * 2014-09-24 2015-04-22 건설화학공업주식회사 메타스티렌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용 미세패턴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0669B1 (ko) * 2016-05-19 2016-12-28 조욱현 광확산 코팅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광확산 코팅막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893B1 (ko) * 2010-11-25 2014-02-19 케이에스씨비 주식회사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KR101230235B1 (ko) * 2011-09-08 2013-02-06 (주)에이티엠코리아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 패턴 형성용 확산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162106A1 (ko) * 2012-04-27 2013-10-31 케이에스씨비 주식회사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CN117866346A (zh) * 2024-01-15 2024-04-12 广东左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调节标志灯光通量的扩散材料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380A (ja) 1999-03-15 2000-09-26 Kyoeisha Che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インク受容組成物
JP2003003101A (ja) 2000-11-02 2003-01-08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組成物
KR100649608B1 (ko) 2004-12-16 2006-11-28 한국조폐공사 고속 인쇄용 수성잉크 조성물
KR100943233B1 (ko) * 2009-06-03 2010-02-18 주식회사 우즈필 확산잉크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380A (ja) 1999-03-15 2000-09-26 Kyoeisha Che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インク受容組成物
JP2003003101A (ja) 2000-11-02 2003-01-08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組成物
KR100649608B1 (ko) 2004-12-16 2006-11-28 한국조폐공사 고속 인쇄용 수성잉크 조성물
KR100943233B1 (ko) * 2009-06-03 2010-02-18 주식회사 우즈필 확산잉크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608B1 (ko) * 2014-09-24 2015-04-22 건설화학공업주식회사 메타스티렌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라이트 가이드 플레이트용 미세패턴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0669B1 (ko) * 2016-05-19 2016-12-28 조욱현 광확산 코팅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광확산 코팅막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518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342B1 (ko)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명용 확산 플레이트
KR101802053B1 (ko) 색변환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5259598B (zh) 一种量子点光学膜及背光模组
CN108051953A (zh) 一种低混光高度的高色域直下式背光模组
KR20160094892A (ko) 색변환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7110446B (zh) 背光单元和包括其的显示装置
CN207799289U (zh) 一种低混光高度的高色域直下式背光模组
KR101309011B1 (ko)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TW200615582A (en) Color conversion filter substrate and a multicolor light emitting device employing the substrate
KR20080074125A (ko) 청색, 녹색, 황색 또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기구
WO2010030100A2 (ko) 튜브 타입 엘이디 조명등
KR201900869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5974497B (zh) 一种用于彩色显示设备的増彩膜及其制备方法
CN105404054A (zh) 液晶显示面板
KR20130098244A (ko)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KR101753012B1 (ko) 색온도 조절 가능한 확산시트판이 구비된 led 조명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226788A (ja) 装飾材
CN106873061B (zh) 一种印刷油墨型反射膜及其制备方法
CN101747681A (zh) 油墨及其制备方法和制备膜材的方法
CN108073039A (zh) 蓝色色阻、彩膜基板、液晶显示器及应用
KR20160094885A (ko)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360893B1 (ko)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KR20180115643A (ko) 함질소 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
KR20180013589A (ko)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2374437A (zh) 具有多种光源的光源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