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089B1 - 냄새 차단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냄새 차단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089B1
KR101128089B1 KR20100057766A KR20100057766A KR101128089B1 KR 101128089 B1 KR101128089 B1 KR 101128089B1 KR 20100057766 A KR20100057766 A KR 20100057766A KR 20100057766 A KR20100057766 A KR 20100057766A KR 101128089 B1 KR101128089 B1 KR 101128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flange
ring
reservoi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5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699A (ko
Inventor
임병준
Original Assignee
임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준 filed Critical 임병준
Priority to KR20100057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089B1/ko
Priority to PCT/KR2011/004001 priority patent/WO2011159043A2/ko
Priority to CN2011101588267A priority patent/CN102330463A/zh
Publication of KR2011013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장착된 걸름덮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배수관을 통해 배수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관에 삽입될 수 있게 하방으로 연장된 결합관부의 상부에서 확장되게 형성되어 집수공간을 제공하면서 걸름덮개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틀형성부를 갖으며, 결합관부상의 내주면을 따라 중앙부분으로 돌출된 링형 안착턱에는 배수되는 물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하방으로 인입되어 폐궤도로 된 저수골이 형성된 본체 프레임과, 링형 안착턱에 안착되는 제1플랜지와 제1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는 물이 수용될 수 있게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까지 폐쇄되어 있고,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개방된 배수창이 형성된 저수바디부분을 갖으며, 제1플랜지의 저면에는 저수골의 폭보다는 좁은 폭을 갖으며 저수골 내에 진입되어 저수골에 저수된 물에 침수될 수 있게 하방으로 연장된 링형 냄새차단 돌기가 형성된 배수 잔류통과, 제1플랜지 상면에 안착되는 제2플랜지와 제2플랜지로부터 배수 잔류통 내로 진입되며 배수잔류통의 배수창의 하단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배수를 가이드 하는 배수 유도통을 구비한다. 이러한 냄새차단 배수트랩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봉수요소인 배수잔류통의 본체 프레임과의 지지부분과의 사이에서도 수밀방식에 의해 역류되는 냄새가 차단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냄새 차단 배수트랩{drain trap}
본 발명은 냄새 차단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할한 배수를 유도하면서도 배수관으로부터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 냄새 차단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이나 욕실의 바닥에 설치된 배수트랩은 일반적으로 배수관으로의 배수를 유도하면서 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 트랩 중 배수관의 배수경로를 가능한한 최대 폭으로 확보하면서 필요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에 대해 잔류된 물이 담겨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봉수 요소가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구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수트랩은 봉수 요소가 걸쳐지도록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는 안착턱과 봉수요소 사이를 통해 냄새가 빠져나가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바닥에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봉수요소의 본체 프레임과의 밀착부분을 통한 냄새 역류까지 차단할 수 있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은 상부에 장착된 걸름덮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배수관을 통해 배수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에 삽입될 수 있게 하방으로 연장되고 중공을 갖는 결합관부와 상기 결합관부의 상부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어 집수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걸름덮개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틀형성부로 되어 있고, 상기 결합관부상의 상단으로 하방으로 이격된 내측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중앙부분으로 돌출된 링형 안착턱이 마련되되 상기 링형 안착턱에는 배수되는 물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하방으로 인입되어 폐궤도로 된 저수골이 형성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링형 안착턱에 안착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관 내로 일정깊이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되되 하부는 물이 수용될 수 있게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까지 폐쇄되어 있고,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개방된 배수창이 형성된 저수바디부분을 갖으며, 상기 제1플랜지의 저면에는 상기 저수골의 폭보다는 좁은 폭을 갖으며 상기 저수골 내에 진입되어 상기 저수골에 저수된 물에 침수될 수 있게 하방으로 연장된 링형 냄새차단 돌기가 형성된 배수 잔류통과; 상기 제1플랜지 상면에 안착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로부터 상기 배수 잔류통의 상기 저수바디부분 내로 진입될 수있게 하부가 개방되게 연장되되 상기 배수창의 하단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배수를 가이드 하는 배수 유도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 잔류통의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배수유도통의 제2플랜지 사이에 패킹용으로 설치된 링형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수 유도통의 상기 제2플랜지에는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제2플랜지의 장착위치와 대향되는 상기 결합관부 상에는 상기 걸림턱이 승하강 및 정역회전에 의해 착탈될 수 있게 'ㄴ'자 형태로 형성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 유도통의 상부면에는 상기 걸름덮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받침돌기가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봉수요소인 배수잔류통의 본체 프레임과의 지지부분과의 사이에서도 수밀방식에 의해 역류되는 냄새가 차단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이 욕실 바닥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수트랩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수트랩을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배수잔류통과 배수유도통을 해체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배수트랩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배수트랩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본체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이 욕실 바닥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수트랩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수트랩을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배수잔류통과 배수유도통을 해체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배수트랩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배수트랩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배수트랩(100)은 본체 프레임(110)과, 배수 잔류통(140) 및 배수 유도통(170)을 갖는다.
본체 프레임(110)은 배수관(도 5참조;210)이 형성된 욕실의 바닥에 매입되게 설치되며 배수관(210)과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110)은 사각형태로 형성된 틀형성부(112)와, 튜브형태로 형성된 결합관부(120)로 되어 있다.
틀형성부(112)는 배수홀(182)이 다수 형성된 걸름덮개(180)가 안착되어 집수공간을 형성하는 안착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관부(120)는 틀형성부(112) 중앙에서 배수관(210)에 삽입될 수 있게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중공(12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링형 안착턱(125)은 결합관부(120)의 내측면 하부상에 내주면을 따라 중앙부분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배수되는 물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하방으로 인입되어 원형궤도로 된 저수골(1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110)의 결합관부(120) 상에는 후술되는 배수유도통(170) 제2플랜지(172)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174)이 승하강 및 정역회전에 의해 착탈될 수 있게 도 6을 통해 쉽게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ㄴ'자 형태로 형성된 걸림홈(126)이 180도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배수 잔류통(140)은 링형안착턱(125)에 안착되어 봉수용 물을 담수하도록 된 것으로서, 제1플랜지(142)와 저수바디부분(146)으로 되어 있다.
저수 바디부분(146)은 담수가 가능한 원형 컵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에 배수통로가 되는 배수창(147)이 다수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저수 바디부분(146)은 배수관(210) 내로 일정깊이 진입될 수 있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물이 수용될 수 있게 바닥면(146a)으로부터 일정 높이 까지 폐쇄되어 있고,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사각형태로 개방된 4개의 배수창(147)이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제1플랜지(142)는 저수 바디부분(146) 상부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링형 안착턱(125)에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저면에 저수골(127)에 진입되어 침수될 수 있게 하방으로 연장된 링형 냄새차단 돌기(14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링형 냄새차단 돌기(144)의 폭과 길이는 결합관부(120)의 내주면을 타고 역류하는 냄새를 저수골(127)에 채워진 물과 냄새차단돌기(144)에 의해 수밀될 수 있게 저수골(127)의 폭과 깊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배수 유도통(170)은 배수 잔류통(140) 상부에 안착되어 대부분의 배수를 유도하면서 배수창(147)을 배수 잔류통(140)에 잔류된 물과 함께 차폐시키는 기능을 한다.
배수 유도통(170)은 제1플랜지(142) 상면에 안착되는 제2플랜지(172)로부터 배수 잔류통(140)의 원통형 저수바디부분(146) 내로 하부가 개방되고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면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수 유도통(170)의 종단은 조립상태에서 배수창(147)의 하단보다 더 연장된 길이를 갖게 형성된다.
또한, 배수 유도통(170)의 제2플랜지(172)에는 앞서 설명된 것으로, 사각 형태로 돌출된 걸림턱(174)이 180도 위치에 두개 형성되어 있다.
받침돌기(177)는 배수 유도통(170)의 상부면에 걸름덮개(18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90간격으로 4개가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87은 배수 잔류통(140)의 제1플랜지(142)와 배수유도통(170)의 제2플랜지(172) 사이에 패킹용으로 설치된 링형 패킹부재이다. 링형 패킹부재(187)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배수 유도통(170)과 배수 잔류통(140)이 본체 프레임(110)에 록킹되게 장착된 상태에서 저수골(127)로의 배수량을 늘리기 위해 걸림홈(126)을 통해 유입된 물을 링형 안착턱(125)의 저수골(127)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걸림홈(126)의 'ㄴ'구조에서 수직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의 결합관부(12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을 부분적으로 저수골(127)의 바닥깊이 정도까지 절단한 형태로 링형 안착턱(125)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흐름 유도홈(128)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배수 잔류통(140)의 링형 안착턱(125)과 밀착되는 부분의 밀착영역을 줄이고 배수량을 증가시키도록 제1플랜지(142)의 저면의 링형 안착턱(125)과 대향되는 부분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지지돌기(143)를 형성시켜 링형 안착턱(125)에 안착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지지돌기(143) 사이의 이격공간들이 물의 유통경로가 더욱 증가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배수트랩(100)은 배수과정에서 대부분의 물은 배수 유도통(170)의 내부를 거쳐 낙하되어 배수 잔류통(140)으로 집수되고, 오버플로우되는 물은 배수창(147)을 통해 배수관(210)내로 배수되며, 일부 걸림홈(126)을 통해 유입되어 저수골(127)을 통해 유입된 물은 오버플로우시 배수 잔류통(140)의 외주면과 링형 안착턱(125)의 내측면 사이로 배출된다.
이러한 배수트랩(100)은 저수골에 잔류된 물에 의해 배수 잔류통(140)의 외주면과 링형 안착턱(125)의 내측면 사이로 역류하는 냄새가 차단되고, 배수창(147)으로 역류되는 냄새는 배수잔류통(140)에 잔류된 물에 의해 냄새가 차단된다.
110: 본체 프레임 127: 저수골
140: 배수잔류통 170: 배수 유도통

Claims (3)

  1. 상부에 장착된 걸름덮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배수관을 통해 배수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에 삽입될 수 있게 하방으로 연장되고 중공을 갖는 결합관부와 상기 결합관부의 상부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어 집수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걸름덮개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틀형성부로 되어 있고, 상기 결합관부상의 상단으로 하방으로 이격된 내측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중앙부분으로 돌출된 링형 안착턱이 마련되되 상기 링형 안착턱에는 배수되는 물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하방으로 인입되어 폐궤도로 된 저수골이 형성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링형 안착턱에 안착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관 내로 일정깊이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되되 하부는 물이 수용될 수 있게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까지 폐쇄되어 있고,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개방된 배수창이 형성된 저수바디부분을 갖으며, 상기 제1플랜지의 저면에는 상기 저수골의 폭보다는 좁은 폭을 갖으며 상기 저수골 내에 진입되어 상기 저수골에 저수된 물에 침수될 수 있게 하방으로 연장된 링형 냄새차단 돌기가 형성된 배수 잔류통과;
    상기 제1플랜지 상면에 안착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로부터 상기 배수 잔류통의 상기 저수바디부분 내로 진입될 수있게 하부가 개방되게 연장되되 상기 배수창의 하단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배수를 가이드 하는 배수 유도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잔류통의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배수유도통의 제2플랜지 사이에 패킹용으로 설치된 링형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수 유도통의 상기 제2플랜지에는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제2플랜지의 장착위치와 대향되는 상기 결합관부 상에는 상기 걸림턱이 승하강 및 정역회전에 의해 착탈될 수 있게 'ㄴ'자 형태로 형성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 유도통의 상부면에는 상기 걸름덮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받침돌기가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을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링형 안착턱의 상기 저수골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링형 안착턱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흐름 유도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
KR20100057766A 2010-06-17 2010-06-17 냄새 차단 배수트랩 KR101128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7766A KR101128089B1 (ko) 2010-06-17 2010-06-17 냄새 차단 배수트랩
PCT/KR2011/004001 WO2011159043A2 (ko) 2010-06-17 2011-06-01 냄새 차단 배수트랩
CN2011101588267A CN102330463A (zh) 2010-06-17 2011-06-14 除臭存水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7766A KR101128089B1 (ko) 2010-06-17 2010-06-17 냄새 차단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699A KR20110137699A (ko) 2011-12-23
KR101128089B1 true KR101128089B1 (ko) 2012-03-29

Family

ID=4534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57766A KR101128089B1 (ko) 2010-06-17 2010-06-17 냄새 차단 배수트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28089B1 (ko)
CN (1) CN102330463A (ko)
WO (1) WO201115904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61480A (zh) * 2012-02-16 2012-07-11 全球概念解决方案(澳大利亚)有限公司 用于排水系统的隔离装置
KR200473815Y1 (ko) * 2012-03-16 2014-08-13 주재한 악취 및 역류차단 기능을 갖춘 배수장치
CN102677765A (zh) * 2012-05-28 2012-09-19 张德利 一种地漏
KR101415952B1 (ko) * 2012-07-26 2014-07-04 주식회사 대하기업 배수트랩
RU2560832C1 (ru) * 2014-04-21 2015-08-20 Людмила Ивановна Смыкова Трап канализационный
KR101970604B1 (ko) * 2018-02-15 2019-04-19 문면곤 배수트랩
KR102242669B1 (ko) * 2020-05-26 2021-04-21 양정석 층간 병원체 전파 차단 구조형 배수트랩
KR20220142056A (ko) * 2021-04-14 2022-10-21 양정석 층간 병원체 전파 차단 구조형 배수트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702Y2 (ja) * 1993-04-02 1997-05-28 有限会社カガミ 排水トラップ装置
CN2168021Y (zh) * 1993-08-28 1994-06-08 杨春亮 双水封隔臭防堵地漏
CN2510551Y (zh) * 2001-10-18 2002-09-11 苏忠信 防虫兼防臭的落水头
KR20050095067A (ko) * 2004-03-24 2005-09-29 조웅규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EP1674629B1 (de) * 2004-12-23 2015-07-22 Dallmer GmbH & Co. KG Ablaufvorrichtung für die Anordnung an einer Bodenplatte mit einer Öffnung für Abwasser sowie Anordnung einer derartigen Ablaufvorrichtung an einer Bodenplatte
WO2007033949A1 (de) * 2005-09-19 2007-03-29 Illbruck Sanitärtechnik GmbH Duschbodenelement aus einem hartschaumstoff
CN101008185A (zh) * 2007-01-19 2007-08-01 衡阳大也置业发展有限公司 环保型地漏
KR20090036931A (ko) * 2007-10-10 2009-04-15 홍덕화 배수트랩
KR101147044B1 (ko) * 2009-10-09 2012-05-17 주식회사 기연써프라이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9043A3 (ko) 2012-05-03
WO2011159043A2 (ko) 2011-12-22
CN102330463A (zh) 2012-01-25
KR20110137699A (ko) 201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089B1 (ko) 냄새 차단 배수트랩
US20170314252A1 (en) Drain Assembly, Drain Body for Use in Such an Assembly and Odor Trap of Use in Such an Assembly
KR101970604B1 (ko) 배수트랩
KR200490309Y1 (ko) 2중 배수구가 구비된 배수 조립체
EP2674537B1 (en) Drain with siphon
KR20130090655A (ko) 배수 트랩
ES2381807T3 (es) Desagüe, especialmente para dispositivos sanitarios
KR101281612B1 (ko) 배수 트랩
KR20048252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0899798B1 (ko) 오수받이장치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JP5319900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200327344Y1 (ko) 착탈식 배수트랩
KR200262197Y1 (ko) 하수구트랩
KR20090006487U (ko) 트랜치형 배수구
KR100698773B1 (ko)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JP3112329U (ja) 洗濯機用防水パン
KR20170003206U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ES2652178T3 (es) Drenaje con sifón
JP2007120022A (ja) 排水トラップ
KR200468665Y1 (ko) 싱크대의 배수구조
JP5270881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102294410B1 (ko) 기능성 주방가구
KR200463719Y1 (ko) 배수구 자동개폐 장치
KR200445154Y1 (ko) 싱크대 개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