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989B1 - Structure for fixing pillar and method for manufcaturing thereof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fixing pillar and method for manufcatur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989B1
KR101127989B1 KR1020110121527A KR20110121527A KR101127989B1 KR 101127989 B1 KR101127989 B1 KR 101127989B1 KR 1020110121527 A KR1020110121527 A KR 1020110121527A KR 20110121527 A KR20110121527 A KR 20110121527A KR 101127989 B1 KR101127989 B1 KR 101127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ormwork
anchor bolt
open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조웅
Original Assignee
대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9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9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PURPOSE: A post fixing 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reduce a curing process of concretes and costs for manufacturing in a post fixing structure consisting of the concretes. CONSTITUTION: A post fixing structure(100) comprises a concrete body(110), an anchor bolt(120), and a conduit passage(116). The concrete body is composed of an upper body(111) and a lower body(112). The concrete body comprises a through hole(115) tapered toward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ral part. The anchor bole is buried into the concrete body along the through hole so that a part of the anchor bolt is proj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body.

Description

기둥 정착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Structure for fixing pillar and method for manufcaturing thereof}Column fix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tructure for fixing pillar and method for manufcaturing

본 발명은 도로의 교통 신호등, 가로등, 도로표지판 등 시설물의 기둥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 정착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ar fixing structure for supporting pillars of a facility, such as traffic lights, street lamps, road signs, and the lik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도로의 신호등, 가로등, 도로표지판 등의 시설물을 설치할 때는 지반에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매설하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로부터 돌출된 앵커 볼트에 지주 하단의 플랜지에 형성된 볼트공을 위치시키고 너트로 조립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Generally, when installing facilities such as traffic lights, street lights, road signs, and the like, embed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s in the ground, place bolt holes formed on the flanges of the lower end of the anchor bolts protruding from the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s, and assemble with nuts. I'm using the method.

즉, 가로등이나 도로표지판 등 시설물을 설치할 때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타설하기 위하여 터파기를 시행하고, 터파기를 한 후에 거푸집을 설치한다. 다음에, 거푸집의 양측에서 상면으로 돌출되게 전선관을 끼우고, 거푸집의 바닥면에서 상면으로 돌출되게 앵커 볼트를 설치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installing facilities such as street lamps and road signs, it is necessary to dig to install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s, and then to form the formwork after dig. Next, the conduit is insert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formwork, and anchor bolts are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ide of the formwork to the upper surface, and t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to cure.

도 1은 종래의 방법으로 설치된 가로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로등에서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가로등주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reet lamp installed by a conventional method.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reet lamp is installed in a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in the street lamp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7)에 매립된 다수개의 앵커 볼트(6)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7)을 지면까지 매립한다. 다음에, 가로등주(2)의 플랜지(5)에 형성된 볼트공(5a)이 앵커 볼트(6)에 삽입되도록 가로등주(2)를 세우고, 너트(3)로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7)과 가로등주(2)를 체결한다. 그리고, 지면에 매설된 전력선을 전선관(9) 내로 관통하여 가로등(1)과 연결하여 가로등(1)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1 and 2, the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7 is embedded to the ground so that a plurality of anchor bolts 6 embedded in the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7 protrude upward. Next, the street lamp column 2 is erected so that the bolt hole 5a formed in the flange 5 of the street lamp column 2 is inserted into the anchor bolt 6, and the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7 and the street lamp column 2 are mounted with nuts 3. ) Then, the power line embedded in the ground penetrates into the conduit tube 9 to be connected to the street lamp 1 so that the street lamp 1 can be used.

이와 같이 가로등주(2)와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7)을 앵커 볼트(6)와 너트(3)로 조립하는 것은 가로등주(2) 내부에 전선교체나 기타의 부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uch, the assembly of the street lamp column 2 and the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7 with the anchor bolts 6 and the nut 3 is to allow wire replacement or other auxiliary work inside the street lamp column 2.

또한, 일부에서는 가로등주(2)와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7)을 결합하는 앵커 볼트(6)와 너트(6)를 보호하기 위하여 베이스 커버(4)로 감싸기도 한다.In addition, in some cases it is wrapped with a base cover (4) to protect the anchor bolt (6) and the nut (6) for coupling the street light pole (2) and the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7).

종래에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7)을 제작할 때는, 거푸집으로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7)의 형상을 만들고, 이러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서 양생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Conventionally, when manufacturing the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7), to form the shape of the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7) with formwork,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se formwork is subjected to the curing process.

이러한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7)은 부피가 크고 두꺼워서 콘크리트 양생에 엄청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Such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7 is bulky and thick has a problem that takes a huge time to cure concrete.

또한, 가로등주(2)의 플랜지(5)에 형성된 볼트공(5a)의 위치와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7)의 상면에서 돌출된 앵커 볼트(6)의 위치를 일치시켜야만 가로등주(2)의 설치가 가능한데,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앵커 볼트(6)의 위치가 조금씩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어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7) 상에 가로등주(2)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of the street lamp (2) is possible only when the position of the bolt hole (5a) formed in the flange (5) of the street lamp (2) and the anchor bolt (6)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7). In the concrete cur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ition of the anchor bolt 6 is changed little by little,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street lamp column (2) on the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도로의 신호등, 가로등, 도로표지판 등 시설물을 지지하기 위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둥 정착 구조물에서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을 단축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기둥 정착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 pillar that can shorten the curing process of concrete in a pillar fixing structure made of concrete to support a facility such as a traffic light, a street lamp, a road sign, etc. of a road and reduce a manufacturing cos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지면에 매립되어 신호등, 가로등, 도로표지판 등과 같은 시설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 정착 구조물은,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관통 개구가 형성된 콘크리트 본체; 상기 관통 개구의 주위를 따라 상기 콘크리트 본체에 매립되어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앵커 볼트;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 개구로 이어지는 전선관 통로;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illar fixing structure for supporting facilities such as traffic lights, street lamps, road signs, etc. buried in the ground, the center has a through-opening tape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in body; A plurality of anchor bolt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opening and protru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ody; A conduit passage penetrating the side of the concrete body and leading to the through opening; It includes.

또한, 상기 전선관 통로는 상기 관통 개구가 있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다.Further, the conduit passage has a shape convexly roun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rough opening is located.

또한, 상기 앵커 볼트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본체에 매립되고 상기 다수의 앵커 볼트 각각과 용접되는 앵커 볼트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nchor bolt fixing member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to be prevented from moving the anchor bolt and weld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nchor bolts; It further includes.

또한, 상기 앵커 볼트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본체에 매립되고,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앵커 볼트가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을 갖는 앵커 볼트 지지부재; 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nchor bolt support member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to prevent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anchor bol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each of which the plurality of anchor bolts are inserted; It further includes.

또한, 상기 콘크리트 본체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상부 본체보다 축소된 단면을 갖는 하부 본체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crete body includes an upper body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and a lower body having a cross sec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body and smaller than the upper bod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지면에 매립되어 신호등, 가로등, 도로표지판 등과 같은 시설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 정착 구조물의 제작 방법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형상을 갖는 중공 비임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중공 비임의 주위를 따라 다수의 앵커 볼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중공 비임 및 상기 앵커 볼트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기둥 정착 구조물의 외형을 결정하는 거푸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중공 비임으로 연결되는 전선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중공 비임의 일단을 가압 또는 견인하여 상기 거푸집에서 상기 중공 비임을 제거하는 단계;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거푸집에서 상기 전선관을 제거하는 단계;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umn fixing structure for supporting a facility, such as a traffic light, a street lamp, a road sign, embedded in the ground, has a circular, oval or polygonal cross-s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ducing a hollow beam having a shape tapered along the; Positioning a plurality of anchor bolts around the hollow beam; Forming a formwork for determining the appearance of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such that a portion of the hollow beam and the anchor bolt protrude; Installing a conduit connected to the hollow beam through the side of the formwork; Po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Pressing or pulling one end of the hollow beam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o remove the hollow beam from the formwork; Removing the conduit from the formwork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Removing the formwork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t includes.

또한, 상기 전선관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전선관의 일 단부가 상기 중공 비임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중공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tep of installing the conduit allows one end of the conduit to protrude into the hollow portion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side of the hollow beam.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지면에 매립되어 신호등, 가로등, 도로표지판 등과 같은 시설물을 지지하는 기둥 정착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을 설치하는 방법은,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관통 개구가 형성된 기둥 정착 구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기둥 정착 구조물을 매립하기 위해 땅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기둥 정착 구조물을 지면에 매립하는 단계; 상기 관통 개구를 통해 접지봉을 인입하여 매립하는 단계; 상기 기둥 정착 구조물의 상부에 상기 시설물을 위치시켜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installing the facility using a column fixing structure embedded in the ground to support the facility, such as traffic lights, street lights, road signs, etc.,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Manufacturing a column anchoring structure having a through opening tapered accordingly; Excavating land to bury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Embedding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in the ground; Burying a ground rod through the through opening and burying the ground rod; Positioning and coupling the facility on top of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It includes.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관통 개구를 갖는 기둥 정착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에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도 기둥 정착 구조물을 위해 필요한 콘크리트의 양을 줄여 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lumn anchoring structure having a through opening tape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it takes to cure the concrete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concrete required for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Done.

또한, 전선관 통로가 관통 개구와 이어지게 함으로써 전선관 통로 및 관통 개구를 통해 전선의 삽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duit passageway connects with the through opening to facilitate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wire through the conduit passage and through opening.

도 1은 종래의 방법으로 설치된 가로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로등에서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가로등주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정착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 정착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정착 구조물의 앵커 볼트를 고정하는 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정착 구조물의 저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정착 구조물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정착 구조물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설치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reet lamp installed by a conventional method.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reet lamp is installed in a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in the street lamp of FIG. 1.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lumn ancho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lumn ancho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means for fixing the anchor bolt of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bottom views of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umn ancho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to 15E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facilities using a column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정착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 정착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정착 구조물의 앵커 볼트를 고정하는 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정착 구조물의 저면도이다.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lumn ancho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lumn ancho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means for fixing the anchor bolt of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bottom views of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둥 정착 구조물(100)은 지면에 매립되어 신호등, 가로등, 도로표지판 등의 시설물을 지지한다. 이러한 시설물을 설치할 때는 기둥 정착 구조물을 매설하기 위해 터파기를 한 후, 굴착된 땅에 기둥 정착 구조물을 매립한다. 다음에, 매립된 기둥 정착 구조물 위로 신호등 등의 시설물을 위치시키고, 기둥 정착 구조물로부터 돌출된 앵커 볼트에 시설물 하단에 형성된 볼트 삽입공을 위치시키고 너트로 조립하여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The pillar fixing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ground to support the facility, such as traffic lights, street lights, road signs. When installing such a facility, a trench is made to bury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and then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is buried in the excavated land. Next, a facility such as a traffic light is placed on the embedded pillar fixing structure, and a bolt insertion hol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acility is positioned on an anchor bolt protruding from the pillar fixing structure, and then assembled by a nut and then coupled.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기둥 정착 구조물(100)은 콘크리트 본체(110), 앵커 볼트(120) 및 전선관 통로(11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such a column anchoring structure 100 includes a concrete body 110, an anchor bolt 120, and a conduit passage 116.

콘크리트 본체(110)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상부 본체(111)와, 상기 상부 본체(111)로부터 연장되고 상부 본체(111)보다 축소된 단면을 갖는 하부 본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본체(112)도 상부 본체(111)와 마찬가지로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진다. 콘크리트 본체(110)가 상부 본체(111)와 하부 본체(112)로 이루어짐으로써, 콘크리트 본체(110)는 지면에 매립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본체(110)에 작용하는 하중에 더욱 잘 견딜 수 있게 된다. The concrete body 110 may include an upper body 111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and a lower body 112 extending from the upper body 111 and having a reduced cross section than the upper body 111. The lower body 112 also has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similar to the upper body 111. Since the concrete body 110 is composed of the upper body 111 and the lower body 112, the concrete body 110 can be more tolerant to the load acting on the concrete body 110 in a state buried in the ground.

콘크리트 본체(110)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형상의 관통 개구(115)가 형성된다. 도 3에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형태로 테이퍼지는 관통 개구(115)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관통 개구(115)는 반대로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어지는 형태로 테이퍼질 수도 있다. In the center of the concrete body 110 is formed a through opening 115 tape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3 illustrates a through opening 115 tapered in a shape where the upper portion is wider and a lower portion is narrow, but the through opening 115 may be tapered in a form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narrow and the lower portion is widened.

콘크리트 본체(110)는 통상 거푸집을 만들어 그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상기 관통 개구(115)는 콘크리트 본체(110)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안에 중공 비임을 삽입한 후, 나중에 상기 중공 비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Concrete body 110 is usually manufactured by making a formwork and pouring concrete therein. The through opening 115 may be formed by inserting a hollow beam into a form for forming the concrete body 110 and then removing the hollow beam later.

이러한 관통 개구(115)는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 본체(110)의 양생에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준다. 이는 양생 시에 관통 개구(115)를 통해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고 관통 개구(115)로 인해 콘크리트 본체(110)의 두께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한, 관통 개구(115)로 인해 콘크리트 본체(110)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콘크리트의 양이 줄어들어 제작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관통 개구(115)는 콘크리트 본체(110)에 완충 공간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본체(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잘 흡수할 수 있게 한다. The through opening 115 significantly shortens the time taken for curing the concrete body 110 after po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This is because air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through opening 115 during curing and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body 110 is reduced due to the through opening 115. In addition, the through opening 115 reduces the amount of concrete required to manufacture the concrete body 110,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the through opening 115 forms a buffer space in the concrete body 110 to better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concrete body 110.

앵커 볼트(120)는 콘크리트 본체(110)에 매립되어 일부는 콘크리트 본체(110)의 상면으로 돌출된다. 앵커 볼트(120)는 관통 개구(115)의 주위를 따라 콘크리트 본체(110)에 매립된다. 콘크리트 본체(110)에 매립되는 앵커 볼트(120)의 수는 기둥 정착 구조물(100)이 지지하는 시설물의 하중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The anchor bolt 12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110, and a part of the anchor bolt 120 protrud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ody 110. The anchor bolt 12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110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opening 115. The number of anchor bolts 120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110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facility supported by the column fixing structure 100.

시설물에 형성된 볼트 삽입공에 앵커 볼트(120)가 삽입되어 너트로 체결되므로, 앵커 볼트(120)의 위치와 볼트 삽입공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해야 한다. 기둥 정착 구조물(100)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앵커 볼트(120)의 위치가 변경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Since the anchor bolt 120 is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acility and fastened with a nut, the position of the anchor bolt 120 and the position of the bolt insertion hole must be exactly the sa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osition of the anchor bolt 120 is changed in the process of placing concrete in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pillar fixing structure 100.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앵커 볼트(120)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 볼트 고정부재(130)가 제공된다. 앵커 볼트 고정부재(130)는 콘크리트 본체(110)에 매립되고 다수의 앵커 볼트(120) 각각과 용접된다. 이와 같이, 앵커 볼트(120)가 앵커 볼트 고정부재(130)와 용접됨으로써,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앵커 볼트(120)의 위치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기둥 정착 구조물(100)이 제작된 이후에도 앵커 볼트(120)를 단단히 지지하여 앵커 볼트(120)에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chor bolt fixing member 130 is provided to prevent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anchor bolt 120. The anchor bolt fixing member 13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110 and weld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nchor bolts 120. As such, the anchor bolt 120 is welded to the anchor bolt fixing member 130, thereby prevent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anchor bolt 120 in the process of po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In addition, even after the pillar fixing structure 100 is manufactured, the anchor bolt 120 may be firmly supported to absorb a load applied to the anchor bolt 120.

또한, 앵커 볼트(120)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 볼트 지지부재(140)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앵커 볼트 지지부재(140)는 콘크리트 본체(110)에 매립되고 원형(타원형 포함)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앵커 볼트(120)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한다. 이러한 삽입홈에는 앵커 볼트(1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각각의 앵커 볼트(120)는 앵커 볼트 지지부재(14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chor bolt support member 140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event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anchor bolt 120. The anchor bolt support member 14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110 a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cluding elliptical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into which a plurality of anchor bolts 120 are inserted. An end of the anchor bolt 1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each anchor bolt 120 may be firmly supported by the anchor bolt support member 140.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기둥 정착 구조물(100)에는 콘크리트 본체(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관통 개구(115)로 이어지는 전선관 통로(116)가 제공된다. 신호등과 같은 시설물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전선이 이러한 전선관 통로로 통과하게 된다. 전선관 통로(116)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3,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100 is provided with a conduit passage 116 penetrating the side of the concrete body 110 and leading to the through opening 115. Electrical wires pass through these conduit passages to supply electricity to facilities such as traffic lights. A plurality of conduit passages 116 may be formed.

전선관 통로(116)는 관통 개구(115)와 이어지므로, 전선관 통로(116)를 통해 삽입된 전선은 비교적 넓은 공간을 갖는 관통 개구(115)를 통해 콘크리트 본체(110)의 상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선관 통로(116)가 관통 개구(115)와 연결됨으로써 콘크리트 본체(110)를 통해 전선을 삽입하기 용이하게 되고, 콘크리트 본체(110)에 형성되는 전선관 통로(116)의 길이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Since the conduit passage 116 is connected with the through opening 115, the electric wire inserted through the conduit passage 116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body 110 through the through opening 115 having a relatively large space. Can be. In this way, the conduit passage 116 is connected to the through opening 115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electric wire through the concrete body 110, greatly reducing the length of the conduit passage 116 formed in the concrete body 110. It becomes possible.

도 4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 정착 구조물(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둥 정착 구조물(200)은 상부 본체(211)와 하부 본체(212)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본체(210), 앵커 볼트(220) 및 전선관 통로(216)를 포함한다. 4 shows a column anchoring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illar fixing structure 200 includes a concrete body 210 consisting of an upper body 211 and a lower body 212, an anchor bolt 220, and a conduit passage 216.

본 실시예의 기둥 정착 구조물(200)은 전선관 통로(216)의 형태를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기둥 정착 구조물(100)의 구성과 대체로 일치한다. The pillar fixing structure 200 of this embodiment is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pillar fixing structure 100 shown in FIG. 3 except for the shape of the conduit passage 216.

상기 전선관 통로(216)는 콘크리트 본체(210)의 측면을 관통하여 관통 개구(215)로 이어진다. 전선관 통로(216)는 관통 개구(215)가 있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형태를 갖는다. The conduit passage 216 penetrates the side of the concrete body 210 and leads to the through opening 215. The conduit passage 216 is shaped convexly roun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rough opening 215 is located.

이는 콘크리트 본체(210)의 양측에서 전선관 통로(216)를 통해 전선을 삽입할 때, 관통 개구(215)에서 전선끼리 서로 만나서 각각의 전선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전선이 콘크리트 본체(210) 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is is because when the wires are inserted through the conduit passage 216 on both sides of the concrete body 210, the wires meet each other in the through opening 215 to naturally prevent the wires from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respective wires. To be discharged.

도 6a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본체(310)는 사각 형상의 상부 본체(311)와, 상부 본체(311)보다 축소된 단면을 갖는 육각형 형태의 하부 본체(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면도 상에서, 하부 본체(312)는 대체로 상부 본체(311)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는 콘크리트 본체(310)에 대해 사방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설치되는 형태가 된다. Referring to FIG. 6A, the concrete body 310 may include a square upper body 311 and a lower body 312 having a hexagonal shape having a smaller cross section than the upper body 311. On the bottom view, the lower body 312 is generally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body 311. This form becomes a form which is installed when a load acts on the concrete body 310 in all directions.

도 6b를 참조하면, 사각 형상의 상부 본체(411)와, 상부 본체(411)보다 축소된 단면을 갖는 사각 형상의 하부 본체(4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면도 상에서, 하부 본체(412)는 대체로 상부 본체(411)의 중앙에 위치하지만, 가로 방향의 단면 축소폭은 큰 반면에 세로 방향의 단면 축소폭은 비교적 작다. 이러한 형태는 콘크리트 본체(210)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크고 세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설치되는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가로 또는 세로의 어느 한쪽으로 주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하중이 적게 작용하는 방향의 콘크리트 본체(210)의 단면을 줄임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B, an upper main body 411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lower main body 412 having a reduced cross section than the upper main body 41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view, the lower body 412 is generally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body 411, but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large while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latively small. This form becomes a form that is installed when the load act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crete body 210 and the load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latively small. As such, when the main load is applied to either the horizontal or the vertical,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body 2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ad is small.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정착 구조물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7 to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umn ancho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형상을 갖는 중공 비임(501)을 제작한다. 이러한 중공 비임(501)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공 비임(501)은 금속판을 다각형 형태로 절곡한 후, 연결부를 용접하여 제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first, a hollow beam 501 having a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cross section and having a tapered shap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is manufactured. This hollow beam 501 may be made of metal or plastic. For example, the hollow beam 501 may be manufactured by bending a metal plate in a polygonal shape and then welding the connecting portion.

다음에, 도 8을 참조하면, 중공 비임(501)의 주위를 따라 다수의 앵커 볼트(520)를 위치시킨다. 앵커 볼트(520)는 중공 비임(501)의 주위를 원형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앵커 볼트(520)는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위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다수의 앵커 볼트(520) 각각과 용접되는 앵커 볼트 고정부재(5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앵커 볼트(52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앵커 볼트 지지부재(140)에 의해 추가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앵커 볼트 고정부재(53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둥 정착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제공되는 철근 등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8, a number of anchor bolts 520 are positioned along the hollow beam 501. The anchor bolt 52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hollow beam 501 in a circular manner. The anchor bolt 520 may be fixed by the anchor bolt fixing member 530 weld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nchor bolts 520 to prevent the position movement in the concrete curing process. In addition, the anchor bolt 520 may be further supported by an anchor bolt support member 14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anchor bolt fixing member 530 may be fixed in combination with a rebar provide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olumn fixing structure.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 기둥 정착 구조물의 외형을 결정하는 거푸집(550)을 형성한다. 그에 따라, 중공 비임(501), 앵커 볼트(520)는 거푸집(550) 안에 위치하게 된다. 거푸집(55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둥 정착 구조물(100)을 형성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9, formwork 550 is formed to determine the external shape of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Accordingly, the hollow beam 501, anchor bolt 520 is located in the formwork 550. Formwork 550 may be fabricated to form a column anchoring structure 100 as shown in FIG. 3.

앵커 볼트(520)의 단부는 이후에 신호등 등과 같은 시설물과 체결되기 위해 거푸집(550)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중공 비임(501)도 이후에 거푸집(55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단부가 거푸집(550)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nds of the anchor bolts 520 protrude out of the formwork 550 for later engagement with facilities such as traffic lights. In addition, the hollow beam 501 also preferably protrudes out of the formwork 550 so that it can later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ormwork 550.

다음에, 거푸집(550)의 측면을 관통하여 중공 비임(501)으로 연결되는 전선관(560)을 설치한다. Next, a conduit 560 is installed which penetrates the side of the formwork 550 and is connected to the hollow beam 501.

도 10은 거푸집(550)을 정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다. 앵커 볼트(520)와 중공 비임(501)은 일부가 거푸집(550)의 외부로 돌출된다. 10 shows the form 550 viewed from the front. A portion of the anchor bolt 520 and the hollow beam 501 protrude out of the formwork 550.

또한, 중공 비임(501)과 연결되는 전선관(560)의 단부도 중공 비임(501)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중공 비임(501)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는 이후에 전선관(560)을 거푸집(55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conduit 560 connected to the hollow beam 501 may also protrude into the hollow beam 501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 side of the hollow beam 501. This allows the conduit 560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ormwork 550 afterwards.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면, 거푸집(550) 내로 콘크리트(570)를 타설한다. Next, referring to FIG. 11, concrete 570 is poured into formwork 550.

다음에, 도 12를 참조하면, 소정 시간, 예를 들어, 거푸집(550)에 타설된 콘크리트(570)가 어느 정도 굳는 2~3일 경과 후에, 거푸집(550)으로부터 전선관(560)을 제거한다. 전선관(560)이 제거된 자리에는 전선관 통로가 형성된다. Next, referring to FIG. 12, the conduit 560 is removed from the formwork 550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wo to three days after the concrete 570 placed in the formwork 550 hardens to some extent. . The conduit passage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duit 560 is removed.

다음에, 도 13을 참조하면, 소정 시간, 예를 들어, 거푸집(550)에 타설된 콘크리트(570)가 어느 정도 굳는 2~3일 경과 후에, 거푸집(550)으로부터 중공 비임(501)을 가압 또는 견인하여 제거한다. 거푸집(550)에서 전선관(560)이 먼저 제거되고 중공 비임(501)은 후에 제거된다. Next, referring to FIG. 13, the hollow beam 501 is pressed from the formwork 550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wo to three days after the concrete 570 poured into the formwork 550 hardens to some extent. Or by towing. In formwork 550 conduit 560 is first removed and hollow beam 501 is later removed.

다음에, 도 14를 참조하면, 거푸집(550)에 타설된 콘크리트(570)가 완전히 경화된 후, 거푸집(550)을 제거하여 기둥 정착 구조물(500)을 완성한다. Next, referring to FIG. 14, after the concrete 570 placed on the formwork 550 is completely cured, the formwork 550 is removed to complete the column fixing structure 500.

이러한 기둥 정착 구조물(500)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기둥 정착 구조물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기둥 정착 구조물(500)은 상부 본체(511)와 하부 본체(512)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본체(510), 관통 개구(515), 전선관 통로(516) 및 앵커 볼트(520)를 포함하게 된다. The pillar fixing structure 5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illar fixing structure shown in FIG. 3 or 4. Thus,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500 includes a concrete body 510 consisting of an upper body 511 and a lower body 512, a through opening 515, a conduit passage 516, and an anchor bolt 520.

이와 같이, 거푸집(550)에 중공 비임(501)을 삽입하고,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굳은 후 중공 비임(501)을 제거하여 콘크리트를 경화시키게 되면, 콘크리트의 두께가 1/2이상 줄어들어 경화에 걸리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As such, when the hollow beam 501 is inserted into the formwork 550, and the concrete is hardened to some extent, and the hollow beam 501 is removed to cure the concrete,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decreases by 1/2 or more, which takes time to cure. This has the advantage of dramatically decreasing.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정착 구조물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설치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15A to 15E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facilities using a column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관통 개구(115)가 형성된 기둥 정착 구조물(100)을 제작한다. First, as illustrated in FIG. 2 or 3, a pillar fixing structure 100 having a through opening 115 taper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thereof is manufactured.

다음에, 도 15a를 참조하면, 지면(10)에 기둥 정착 구조물을 매립하기 위해 땅을 굴착하여 굴착공(11)을 형성한다. Next, referring to FIG. 15A, the ground is excavated to form the excavation hole 11 in order to embed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in the ground 10.

다음에, 도 15b를 참조하면, 기중기 등을 이용하여 굴착공(11) 속에 기둥 정착 구조물(100)을 매립한다. 기둥 정착 구조물(100)에는 관통 개구(115)와 연결되는 전선관 통로(116)가 형성되고, 시설물과 결합하기 위한 앵커 볼트(120)가 형성된다. Next, referring to FIG. 15B, the pillar fixing structure 100 is embedded in the excavation hole 11 using a crane or the like. The pillar fixing structure 100 is formed with a conduit passage 116 connected to the through opening 115, and an anchor bolt 120 is formed to couple with the facility.

다음에, 도 15c를 참조하면, 관통 개구(115)를 통해 접지봉(170)을 인입한다. 접지봉(170)은 전기가 공급되는 신호등과 같은 시설물의 접지를 위한 것으로, 시설물에 반드시 설치되는 것이다. Next, referring to FIG. 15C, the ground rod 170 is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opening 115. The grounding rod 170 is for grounding a facility such as a signal lamp to which electricity is supplied and is necessarily installed in the facility.

다음에, 도 15d 및 도 15e를 참조하면, 접지봉(170)을 더 깊이 인입하여 기둥 정착 구조물(100)의 하부에 매립한다.Next, referring to FIGS. 15D and 15E, the ground rod 170 is inserted deeper and embed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llar fixing structure 100.

종래에는 이러한 접지봉은 기둥 정착 구조물의 옆의 지면에 매립하고, 전선관 통로를 통해 시설물과 연결되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기둥 정착 구조물(100)의 관통 개구(115)를 통해 접지봉(170)을 삽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접지봉(170)을 설치하기 위한 공정이 훨씬 간단해지고 접지력은 향상된다. In the past, such ground rods were buried in the ground next to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and connected to the facility through conduit passages. On the contrar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ound rod 170 is only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opening 115 of the pillar fixing structure 100, the process for installing the ground rod 170 is much simpler and the grounding force is improved.

다음에, 기둥 정착 구조물(100) 위에 시설물을 위치시키고, 시설물에 형성된 볼트 삽입공을 앵커 볼트(520)에 삽입하여 너트로 시설물을 기둥 정착 구조물(100)에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Next, the facility is placed on the column fixing structure 100, and the bol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acility is inserted into the anchor bolt 520 to couple the facility to the column fixing structure 100 with a nut to fix the facility.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100 : 기둥 정착 구조물
110 : 콘크리트 본체
111 : 상부 본체
112 : 하부 본체
115 : 관통 개구
116 : 전선관 통로
120 : 앵커 볼트
130 : 앵커 볼트 고정부재
140 : 앵커 볼트 지지부재
170 : 접지봉
500 : 기둥 정착 구조물
501 : 중공 비임
560 : 전선관
570 : 콘크리트
100: column anchoring structure
110: concrete body
111: upper body
112: lower body
115: through opening
116: conduit passage
120: anchor bolt
130: anchor bolt fixing member
140: anchor bolt support member
170: ground rod
500: column anchoring structure
501 hollow beam
560: conduit
570: concrete

Claims (8)

지면에 매립되어 신호등, 가로등, 도로표지판 등과 같은 시설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 정착 구조물에 있어서,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관통 개구가 형성된 콘크리트 본체;
상기 관통 개구의 주위를 따라 상기 콘크리트 본체에 매립되어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앵커 볼트;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 개구로 이어지는 전선관 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콘크리트 본체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상부 본체보다 축소된 단면을 갖는 하부 본체를 포함하는 기둥 정착 구조물.
In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embedded in the ground to support the facilities such as traffic lights, street lights, road signs, etc.,
A concrete body having a through opening taper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thereof;
A plurality of anchor bolt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opening and protru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ody;
And a conduit passage penetrating through a side of the concrete body and leading to the through opening.
The concrete body includes a top body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and a lower body having a lower body extending from the upper body and smaller than the uppe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 통로는 상기 관통 개구가 있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기둥 정착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duit passage has a convex rounded shap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hrough opening is loc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볼트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본체에 매립되고 상기 다수의 앵커 볼트 각각과 용접되는 앵커 볼트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기둥 정착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2,
An anchor bolt fixing member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and weld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nchor bolts to prevent the anchor bolt from moving in position;
Pillar fixing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볼트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본체에 매립되고,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앵커 볼트가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을 갖는 앵커 볼트 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기둥 정착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2,
An anchor bolt support member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to prevent the anchor bolt from moving in position and having a circular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into which the plurality of anchor bolts are inserted;
Pillar fixing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지면에 매립되어 신호등, 가로등, 도로표지판 등과 같은 시설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 정착 구조물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형상을 갖는 중공 비임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중공 비임의 주위를 따라 다수의 앵커 볼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중공 비임 및 상기 앵커 볼트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기둥 정착 구조물의 외형을 결정하는 거푸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중공 비임으로 연결되는 전선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거푸집에서 상기 전선관을 제거하는 단계;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중공 비임의 일단을 가압 또는 견인하여 상기 거푸집에서 상기 중공 비임을 제거하는 단계;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둥 정착 구조물의 제작 방법.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umn anchoring structure embedded in the ground to support facilities such as traffic lights, street lights, road signs, etc.,
Manufacturing a hollow beam having a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cross section and having a tapere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ositioning a plurality of anchor bolts around the hollow beam;
Forming a formwork for determining the appearance of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such that a portion of the hollow beam and the anchor bolt protrude;
Installing a conduit connected to the hollow beam through the side of the formwork;
Po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Removing the conduit from the formwork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Pressing or pulling one end of the hollow beam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o remove the hollow beam from the formwork;
Removing the formwork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Method of producing a column fixing structur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전선관의 일 단부가 상기 중공 비임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중공 비임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기둥 정착 구조물의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installing the conduit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umn anchoring structure so that one end of the conduit protrudes into the hollow beam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side of the hollow beam.
지면에 매립되어 신호등, 가로등, 도로표지판 등과 같은 시설물을 지지하는 기둥 정착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상부 본체보다 축소된 단면을 갖는 하부 본체를 갖는 콘크리트 본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관통 개구가 형성된 기둥 정착 구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기둥 정착 구조물을 매립하기 위해 땅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기둥 정착 구조물을 지면에 매립하는 단계;
상기 관통 개구를 통해 접지봉을 인입하여 매립하는 단계;
상기 기둥 정착 구조물의 상부에 상기 시설물을 위치시켜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둥 정착 구조물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설치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facility using a column fixing structure embedded in the ground to support the facility, such as traffic lights, street lights, road signs, etc.,
A pillar fixing structure is formed in which a through opening taper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a center of a concrete body having an upper body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and a lower body extending from the upper body and having a reduced cross section than the upper body. step;
Excavating land to bury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Embedding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in the ground;
Burying a ground rod through said through opening and burying it;
Positioning and coupling the facility on top of the column anchoring structure;
How to install the facility using a column fixing structure comprising a.
KR1020110121527A 2011-11-21 2011-11-21 Structure for fixing pillar and method for manufcaturing thereof KR1011279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527A KR101127989B1 (en) 2011-11-21 2011-11-21 Structure for fixing pillar and method for manufcatu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527A KR101127989B1 (en) 2011-11-21 2011-11-21 Structure for fixing pillar and method for manufcatur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989B1 true KR101127989B1 (en) 2012-03-28

Family

ID=4614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527A KR101127989B1 (en) 2011-11-21 2011-11-21 Structure for fixing pillar and method for manufcatur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98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541U (en) * 1993-12-17 1995-07-04 株式会社オーイケ Concrete foundation block
JP2000096581A (en) 1998-09-25 2000-04-04 Tsutomu Nagasaka Foundation block for support
KR200421903Y1 (en) 2006-05-09 2006-07-19 이종국 Supporting block for street light
KR101048868B1 (en) 2011-02-15 2011-07-13 안종복 A concrete grounding sto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541U (en) * 1993-12-17 1995-07-04 株式会社オーイケ Concrete foundation block
JP2000096581A (en) 1998-09-25 2000-04-04 Tsutomu Nagasaka Foundation block for support
KR200421903Y1 (en) 2006-05-09 2006-07-19 이종국 Supporting block for street light
KR101048868B1 (en) 2011-02-15 2011-07-13 안종복 A concrete grounding sto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816B1 (en) Support of streetlights which has a easy assembling system
KR100907078B1 (en) Fixing structure for light pole in outdoor lighting
KR100947852B1 (en) Joint Structure Betweeen Street Lighting Pole and Base
KR101137974B1 (en) Method for foundation construction structure of pedestal
KR100719950B1 (en) Fabricated baseplate for post
US77214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 base for a roadside utility pole
KR100828657B1 (en) Form structure for providing basic streetlight construction
KR20190010947A (en) Base plate upside buried integral concrete foundation block
KR20200061555A (en) anchor block for a street lamp
KR101127989B1 (en) Structure for fixing pillar and method for manufcaturing thereof
KR100881863B1 (en) Concrete supporting pole for mounting anchor bo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07855B1 (en) The street lamp fundamental unit
KR101077971B1 (en) Elementary Block for Supporting of Steel Pipe
KR101021935B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street light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2123666B1 (en) Implant pile installer in architecture foundation system and a universal implant pile method
KR100597530B1 (en) A railing install method
KR10179923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grounding stone for pillar fixed and grounding stone for pillar fixed produced by the same
KR20120110851A (en) Base block for fixing street light pole
KR20090084038A (en) A fabric of pillar and method for executing thereof
WO2011059240A2 (en) Fixing structure of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839746B1 (en) One body pillar for pole structure
KR100823348B1 (en) Installation method of a retaining wall
KR20100003432U (en) Anchor bolt spacer of base concrete mold for post
KR200263919Y1 (en) Base for fixing support of road facilities
KR20130142443A (en) Foundation construction of bus stop using concrete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onn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