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337B1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얼웨이스-온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얼웨이스-온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337B1
KR101127337B1 KR1020107001894A KR20107001894A KR101127337B1 KR 101127337 B1 KR101127337 B1 KR 101127337B1 KR 1020107001894 A KR1020107001894 A KR 1020107001894A KR 20107001894 A KR20107001894 A KR 20107001894A KR 101127337 B1 KR101127337 B1 KR 101127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access terminal
access
traffic channel
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237A (ko
Inventor
아지쓰 티. 페이얍필리
레이 셴
파라그 아룬 아가시
레자 샤하디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2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04L67/145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avoiding end of session, e.g. keep-alive, heartbeats, resumption message or wake-up for inactive or interrupted s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7Signalling methods or messages providing extensions to protocols defined by standard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액세스 단말에 대한 얼웨이스-온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들이 기재된다. 상기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하기 위한 메시지들이 비-트래픽 채널들을 이용하여 전송되어 단지 이러한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해 트래픽 채널들을 브링 업(bring up)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일 설계로, 액세스 네트워크는 제 1 메시지(예컨대, RouteUpdateRequest 메시지)를 제 1 비-트래픽 채널(예컨대, 제어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단말은 제 2 메시지(예컨대, RouteUpdate 메시지)를 제 2 비-트래픽 채널(예컨대, 액세스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반환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는 제 3 메시지(예컨대, 에코-요청을 위한)를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의 근사적 위치를 커버하는 더 작은 지역에 걸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단말은 제 4 메시지(예컨대, 에코-응답을 위한)를 상기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반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얼웨이스-온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N ALWAYS-ON DATA SE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통신, 더 특정하게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얼웨이스-온(always-on)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이 널리 구축되어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방송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들은 가용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접속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그러한 다중-접속 네트워크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네트워크들, 시 분할 다중 접속(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네트워크들, 및 단일-반송파 FDMA(SC-FDMA)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액세스 단말은 데이터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세션을 수립할 수 있다. 데이터 세션은 액세스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의 교환을 허용하여 주는 구성(configuration) 셋업이다. 데이터 세션은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해 상이한 방식들로 수립될 수 있으며 구성 정보 및/또는 할당된 자원들에 관련될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며 데이터의 교환들을 수반하는 임의의 서비스일 수 있다. 데이터 서비스들의 일부 예들은 음성, 비디오,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 단문 서비스(SMS) 및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들, 지리적 위치-기반 서비스들 등을 포함한다.
액세스 단말은 데이터 세션 동안 단지 간헐적으로 활성일 수 있으며 전송 또는 수신할 데이터가 있을 때마다 무선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 세션이 항상(always) 온(on)이 되도록 하여, 이용가능할 때마다 데이터가 신속하게 교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가능한 적은 네트워크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얼웨이스-온(always-on)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단말에 대해 얼웨이스-온 데이터 세션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기술들에 대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수요가 존재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단말에 대해 얼웨이스-온 데이터 세션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기술들이 여기에 기재된다. 일 양상으로, 상기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alive) 유지하는 메시지들이 비-트래픽(non-traffic) 채널들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이는 단지 이러한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해 무선 접속을 셋 업하고 트래픽 채널들을 브링 업(bring up)할 필요성을 회피할 수 있다. 일 설계로, 상기 액세스 단말은 제 1 메시지를 제 1 비-트래픽 채널(예컨대, 제어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제 2 메시지를 제 2 비-트래픽 채널(예컨대, 액세스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은 비-트래픽 채널들을 이용하여 교환되어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cdma2000 에서의 고 레이트 패킷 데이터(High Rate Packet Data, HRPD)를 위해, 상기 데이터 세션은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PPP) 세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메시지는 링크 제어 프로토콜(Link Control Protocol, LCP) 에코-요청(Echo-Request) 패킷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LCP 에코-응답(Echo-Reply) 패킷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은 데이터 오버 시그널링(Data Over Signalling, DO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다른 메시지들 및 채널들도 다른 무선 기술들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의 근사적 위치가 시그널링을 상기 액세스 단말로 전송하기 전에 확정(ascertain)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시그널링을 전송할 지역을 감소시켜 무선 자원들을 보존할 수 있다. 일 설계로, 상기 액세스 단말은 제 1 메시지(예컨대, cdma2000에서의 RouteUpdateRequest 메시지)를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제 2 메시지(예컨대, cdma2000에서의 RouteUpdate 메시지)를 상기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이 교환되어 상기 액세스 단말의 근사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액세스 단말이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단말의 근사적 위치를 커버하는 지역에 걸쳐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임의의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상기 제 3 메시지가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하라는 시그널링(예컨대, LCP 에코-요청 패킷)을 포함한다면, 상기 액세스 단말은 제 4 메시지(예컨대, LCP 에코-응답 패킷에 대한)를 상기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재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다양한 엔티티들에서의 예시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도 3은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호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킵-얼라이브(keep-alive) 기능성을 위해 비-트래픽 채널들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호 흐름을 도시한다.
도 5는 킵-얼라이브 기능성을 위해 근사적 위치 발견 및 비-트래픽 채널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호 흐름을 도시한다.
도 6 및 7은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각각, 상기 액세스 단말 및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들을 도시한다.
도 8 및 9는 근사적 위치 발견을 이용하여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해, 각각, 상기 액세스 단말 및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들을 도시한다.
도 10은 상기 액세스 단말 및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여기에 기재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및 SC-FDMA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이용될 수 있다. 용어들 "네트워크" 및 "시스템"은 종종 상호교환적으로 이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CDMA(W-CDMA) 및 Low Chip Rate(LCR)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망라한다. TDMA 네트워크는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Evolved UTRA(E-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무선 기술들 및 표준들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UTRA, E-UTRA, 및 GSM은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3GPP)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재된다. cdma2000은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 (3GPP2)으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재된다. 3GPP 및 3GPP2 문헌들은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명확화를 위해, 상기 기술들의 어떠한 양상들은 IS-856을 구현하는 High Rate Packet Data(HRPD)에 대해 기재된다. 또한 HRPD는 CDMA2000 1xEV-DO, 1xEV-DO, 1x-DO, DO, High Data Rate(HDR) 등으로도 지칭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를 도시하며, 이는 HRPD 네트워크일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a)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액세스 네트워크(120) 및 (b)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임의의 개수의 기지국들(122) 및 임의의 개수의 기지국 제어기들/패킷 제어 부(Base Station Controller/Packet Control Function, BSC/PCF)들(124)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국이며 액세스 포인트, 기지 송수신기 국(BTS), 노드 B, evolved 노드 B(eNode B)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BSC/PCF(124)는 기지국들의 세트를 커플링하고, 그 제어 하에서 상기 기지국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하며, 이러한 기지국들에 대한 데이터를 라우팅(route)한다.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130)는 액세스 네트워크(120)와 통신하는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PDSN(130)은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데이터 세션들의 수립, 유지, 및 종료를 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액세스 단말들에 동적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들을 추가로 할당할 수 있다. PDSN(130)은 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통신할 수 있다. PDSN(130)은 데이터 네트워크(140)를 커플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인터넷,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들,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DSN(130)은 다양한 엔티티들과 데이터 네트워크(14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호 세션 제어 부(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CSCF)(132)는 보이스-오버-IP(VoIP), 멀티미디어, 인스턴트 메신저(IM), Short Message Service(SMS) over IP, 푸시-투-토크(PTT) 등과 같은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이러한 IMS 서비스들 중 일부는 3GPP IMS 및 3GPP2 멀티미디어 도메인(Multimedia Domain, MMD)에서 정의된다. CSCF(132)는 IMS 서비스들에 대한 액세스 단말들로부터의 요청들을 처리하고, IMS에 대한 등록을 수행하고, 세션 제어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세션 상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 및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은 액세스 네트워크(120)와 통신하여 무선 네트워크(100)에 의해 지원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단말(110)은 이동국, 사용자 장치, 단말, 사용자 단말, 가입자 유닛, 국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110)은 셀룰러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무선 장치, 휴대용 장치, 무선 모뎀, 랩톱 컴퓨터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순방향 및/또는 역방향 링크들 상으로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순방향 링크(즉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액세스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며, 역방향 링크(즉 업링크)는 상기 액세스 단말들로부터 상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액세스 단말(110)은 다른 단말들 및/또는 다른 엔티티들(예컨대, 서버(150))과 액세스 네트워크(120) 및 PDSN(130)을 통해 통신 또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도 2는 액세스 단말(110)과 서버(150) 간의 통신을 위한 도 1의 다양한 엔티티들에서의 예시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각 엔티티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전송 계층, 네트워크 계층, 링크 계층, 및 물리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은 서버(150)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의 다른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데이터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및/또는 상기 전송 계층에서의 다른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프로토콜들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전송 계층 데이터는 IP 패킷들에 캡슐화(encapsulate)될 수 있으며, 이는 액세스 단말(110)과 서버(150) 간에 액세스 네트워크(120), PDSN(130), 및 가능하게는 다른 엔티티들을 통해 교환될 수 있다.
단말(110)과 액세스 네트워크(120) 간의 링크 계층은 전형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이용되는 무선 기술에 따른다. HRPD에 대해, 링크 계층은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을 통해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PPP)로써 구현된다. 액세스 단말(110)은 PDSN(130)과 PPP 세션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액세스 네트워크(120)와 RLP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데이터 세션은 HRPD에서의 PPP 세션을 포함할 수 있다. RLP는 라디오/무선-링크 인터페이스의 최상부에서 동작하며, 이는 HRPD에 대해 IS-856이다.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물리 계층의 상부에서 동작하는 기술-종속적 인터페이스(예컨대, A10 및 A11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PDSN(130)과 통신할 수 있다. A10은 데이터 인터페이스이며 A11은 PCF(124) 및 PDSN(130) 간의 시그널링 인터페이스이다. PDSN(130)은 링크 계층 및 물리 계층에 걸친 IP를 통해 서버(150)와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은 VoIP, 인스턴트 메신저 등과 같은 IMS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IMS 애플리케이션들은 항상 온(always on)일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은, 예컨대 파워 업(power up)시, 무선 네트워크(100)의 IMS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IMS 등록은 무선 네트워크(100)로 하여금 IMS 서비스들을 위해 액세스 단말(110)에 도달(reach)하고 그리고 임의의 시간에 액세스 단말(110)과 데이터를 신속하게 교환하도록 하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10)은 무선 네트워크(100)가 인입 VoIP 호들 및/또는 인스턴트 메시지들을 위해 액세스 단말(110)에 어떻게 도달할 것인지를 알 수 있도록 VoIP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인스턴트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언제나 CSCF(132)에 등록할 수 있다.
도 3은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얼웨이스-온 IMS를 유지하기 위한 호 흐름(300)을 도시한다. 액세스 단말(110)은, 예컨대, 액세스 단말(110)이 파워 업(단계 1) 될 때 IMS 등록을 위해, 패킷 데이터 호를 발신하라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액세스 단말(110)은 액세스 네트워크(120)와 세션 협의(negotiation)를 수행하여, 예컨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에 대한 트래픽 채널들을 셋 업 할 수 있다(단계 1). 또한 단말 인증이 단계 2에서 수행되어 액세스 네트워크(120)에 대해 액세스 단말(110)을 인증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A11 시그널링을 PDSN(130)과 교환하여 액세스 단말(110)로의 트래픽 데이터를 반송할 A10 접속을 수립할 수 있다(단계 3).
그리고 나서 액세스 단말(110)은 PPP 수립을 위해 PDSN(130)과 시그널링을 교환할 수 있다(단계 4). PPP 수립은 다음의 3개의 단계들로 구성된다:
1. 링크 수립 단계 - 액세스 단말(110)과 PDSN(130) 간의 데이터-링크 접속을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을 이용하여 수립, 구성(configure), 및 테스트한다;
2. 인증 단계 - 액세스 단말(110)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그리고
3.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단계 -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예컨대, IP 버전 4(IPv4) 또는 IP 버전 6(IPv6)을, IP 제어 프로토콜(IP Control Protocol, IPCP)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PPP 수립을 위한 상기 3개의 단계들은 "The Point-to-Point Protocol (PPP)"로 명명된, Request for Comments(RFC)에 기재되며, 이는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하다.
PPP 수립을 완료한 후, 액세스 단말(110)은 PDSN(130)과 PPP 세션을 갖는다. 상기 PPP 세션은 액세스 단말(110) 또는 PDSN(130)에 의해 폐쇄(close)될 때까지 임의의 시간 듀레이션(duration) 동안 개방(open)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액세스 단말(110)은 IMS 등록을 위해 CSCF(132)와 시그널링을 교환할 수 있다(단계 5). 그리고 나서 액세스 단말(110)은 IMS를 위해 PDSN(130)을 통해 CSCF(132)와 IP 패킷들을 교환할 수 있다. IMS에 대해 등록한 후, 액세스 단말(110)은 도달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해 항상 PPP 세션을 온(on)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데이터 서비스에 활성으로 관여되거나 관여되지 않을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에 대한 무선 접속은 액세스 단말(110)에서의 비활성(inactivity) 때문에 내려(bring down)질 수 있다(단계 6).
몇가지 이유들로 액세스 단말(110)과 PDSN(130) 간의 얼웨이스-온 PPP 세션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첫 째로, 데이터가 액세스 단말(110)에 의해 또는 액세스 단말(110)로 PPP를 재-수립할 필요없이 더 신속하게 전송될 수 있다. 시작부터 PPP를 셋 업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일 수 있다. 둘 째로, PPP 수립은 단지 HRPD에서 액세스 단말(110)에 의해 개시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100)는 액세스 단말(110)로의 인입 데이터가 조재할 때 PPP 수립을 개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액세스 단말(110)에 대한 얼웨이스-온 IMS가 상기 얼웨이스-온 PPP 세션을 이용하여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얼웨이스-온 PPP 세션은 무선 네트워크(100)로 하여금 SIP INVITE 메시지를 액세스 단말(110)로 전송하여 인입 VoIP 호를 셋 업하도록 하여 줄 것이다. SIP은 VoIP와 같은 IP-기반 인터랙티브(interactive) 사용자 세션들을 개시, 수정, 및 종료시키기 위한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다.
상기 PPP 세션이 항상 온일 수 있을지라도,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트래픽 채널들 상에 활동(activity)이 없을 때, 예컨대, 순방향 또는 역방향에서 데이터 전송이 없을 때, 액세스 단말(110)에 대한 데이터 세션은 휴지(dormant)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세션이 휴지일 때, 무선 계층(radio layer)에서의 무선 접속(예컨대, 트래픽 채널들)은 무선 자원들을 보존하기 위해 내려질(bring down) 수 있지만, PPP 계층 및 상단은 전술한 이유들로 인하여 여전히 업(up)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에 의해 또는 액세스 단말(110)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때마다, 무선 접속이 PPP를 재-수립할 필요없이 신속하게 올려질(bring up) 수 있다.
얼웨이스-온 PPP 세션 동안, PDSN(130)은 주기적으로 액세스 단말(110)을 "핑(ping)"하여 상기 PPP 세션이 액세스 단말에서 여전히 활성(alive)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PPP 세션이 임의의 이유로(예컨대, 액세스 단말이 사용자에 의해 파워 다운되는 것에 기인하여) 조용히 액세스 단말(110)에서 종료되었다면, PDSN(130)이 상기 PPP 세션을 폐쇄하고 임의의 계류중인(dangling) 자원들을 재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은 LCP 에코-요청 및 에코-응답 패킷들을 이용한 얼웨이스-온 PPP 세션에 대한 킵-얼라이브(keep-alive) 기능성을 도시하며, 이들은 앞서 언급한 RFC 1661에 기재된다. PDSN(130)은 액세스 단말(110)에 대한 LCP 에코-요청 패킷을 액세스 네트워크(12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7).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상기 LCP-에코 요청 패킷을 PDSN(13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액세스 단말(110)에 대한 무선 접속을 올릴(bring up) 수 있다(단계 8). 그리고 나서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상기 LCP 에코-요청 패킷을 순방향 트래픽 채널 상으로 액세스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9). 액세스 단말(110)은 상기 LCP 에코-요청 패킷을 수신하여 LCP 에코-응답 패킷을 역방향 트래픽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120)에 반환할 수 있다(단계 10).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상기 LCP 에코-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PDSN(130)으로 포워딩할 수 있다(단계 11). 상기 LCP 에코-응답 패킷을 수신 시, PDSN(130)은 PPP 세션이 액세스 단말(110)에서 아직 업(up)임을 인지할 수 있다.
LCP 에코-요청 및 에코-응답 패킷들은 상기 얼웨이스-온 PPP 세션 동안 주기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PDSN(130)은 타이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적절한 값으로 세팅될 수 있다. PDSN(130)은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 상기 LCP 에코-요청 및 에코-응답 패킷들을 개시할 수 있다.
킵-얼라이브(keep-alive) 기능성은 PPP 세션이 액세스 단말(110)에서 여전히 업(up)일 것을 보장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접속이 올려(bring up)져 단지 LCP 에코-요청 및 에코-응답 패킷들을 교환할 수 있으며, 다른 유용한 데이터가 상기 무선 접속을 통해 교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무선 접속을 올려(bring up) 단지 상기 킵-얼라이브 기능성을 위해 LCP 에코-요청 및 에코-응답 패킷들을 교환하는 것은 무선 자원들을 낭비할 수 있다.
일 양상으로, LCP 에코-요청 및 에코-응답 패킷들은 항상 이용가능할 수 있는 비-트래픽 채널들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는 단지 이러한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해 무선 접속을 셋 업 하고 트래픽 채널들을 올릴(bring up) 필요성을 회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래픽 채널은 트래픽/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채널일 수 있으며 비-트래픽 채널은 트래픽 채널이 아닌 임의의 채널일 수 있다. 상이한 비-트래픽 채널들이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이용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비-트래픽 채널들이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에 대해 이용가능할 수 있다.
테이블 1은 HRPD에서의 일부 트래픽 및 비-트래픽 채널들을 열거한다. 액세스 단말(110)은 무선 접속이 개방될 때 순방향 트래픽 채널 및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할당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트래픽 채널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은 상기 무선 접속이 폐쇄될 때 트래픽 채널들을 할당받지 않을 수 있으며 제어 채널 및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12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테이블 1
채널 링크 설명
트래픽
채널

링크
트래픽 데이터를 반송할 필요가 있을 때 및 반송할 필요에 따라 올려질(bring up) 수 있으며 무선 자원들을 보존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을 때 내려(bring down)질 수 있음
제어
채널
순방향
링크
시그널링 및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순방향 링크 상에서 항상 이용가능함
액세스
채널
역방향
링크
시그널링 및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역방향 링크 상에서 항상 이용가능함
제어 채널 및 액세스 채널은, 각각,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에서 언제나 이용가능한 저 데이터 레이트(low data rate) 채널들이다. 상기 제어 채널 및 액세스 채널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트래픽 채널들을 올리는(bring up) 것을 회피하기 위해 적은 양 그리고 작은 패킷 크기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데이터는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한, 2006년 6월, "cdma2000 High Rate Packet Data Air Interface Specification"으로 명명된, 3GPP2 C.S0024-A에서 정의되는 Data Over Signaling (DOS)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제어 채널 및 액세스 채널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채널은 순방향 링크 상에서 모든 액세스 단말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은 상기 제어 채널 상으로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특정(specific) 타임 슬롯(time slot)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은 상기 액세스 단말로 전송되는 임의의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상기 할당된 타임 슬롯들 동안 상기 제어 채널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채널은 역방향 링크 상의 모든 액세스 단말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은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때마다 상기 액세스 채널 상으로 액세스 채널 캡슐(capsule)들을 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은 C.S0024-A에 정의된 액세스 절차에 따라 상기 액세스 채널 캡슐들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얼웨이스-온 PPP 세션을 위한 킵-얼라이브 기능성을 위해 비-트래픽 채널들을 이용하여 얼웨이스-온 IMS를 유지하기 위한 호 흐름(400)의 설계를 도시한다. 액세스 단말(110)은 도 3에 대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단계 1 내지 6을 통해 PPP 세션을 수립하고 IMS에 등록할 수 있다.
킵-얼라이브 기능성을 위해, PDSN(130)은 액세스 단말(110)에 대한 LCP 에코-요청 패킷을 액세스 네트워크(120)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7).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상기 LCP 에코-요청 패킷을 수신하고, 무선 접속을 셋 업 하지 않고, 이 패킷을 모바일-착신(mobile-terminated) DOS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채널 상으로 액세스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8). 액세스 단말(110)은 상기 LCP 에코-요청 패킷을 수신하고 모바일-발신(mobile-originated) DOS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120)에 LCP 에코-응답 패킷을 반환할 수 있다(단계 9).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상기 LCP 에코-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PDSN(130)에 포워딩할 수 있다(단계 1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접속 셋업이, HRPD의 DOS를 이용하여, 각각, 제어 채널 및 액세스 채널 상으로 LCP 에코-요청 및 에코-응답 패킷들을 전송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은 휴지(dormant)일 수 있으며 휴지인 동안 주변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액세스 단말(110)의 현재 위치를 알지 못할 수 있다. 그러면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액세스 단말(110)이 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상기 LCP 에코-요청 패킷을 포함하는 DOS 메시지를 넓은 지역에 걸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DOS 메시지를 넓은 지역에 걸쳐 전송하는 것은 더 많은 네트워크 자원들을 소모하고 네트워크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양상으로, LCP 에코-요청 패킷이 킵-얼라이브 기능성을 위해 전송되어야 할 때마다 액세스 단말(110)의 근사적 위치가 먼저 확정(ascertain)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상기 LCP 에코-요청 패킷을 액세스 단말(110)의 근사적 위치를 커버하는 더 작은 영역에 걸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얼웨이스-온 PPP 세션을 위한 킵-얼라이브 기능성을 위해 비-트래픽 채널들 및 근사적 위치 발견을 이용하여 얼웨이스-온 IMS를 유지하기 위한 호 흐름(500)의 설계를 도시한다. 액세스 단말(110)은 도 3에 대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단계들 1 내지 6을 통해 PPP 세션을 수립하고 IMS에 등록할 수 있다.
킵-얼라이브 기능성을 위해, PDSN(130)은 액세스 단말(110)에 대한 LCP 에코-요청을 액세스 네트워크(12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7).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상기 LCP 에코-요청 패킷을 수신하고 액세스 단말(110)에 대한 RouteUpdateRequest 메시지를 상기 제어 채널 상으로 넓은 지역에 걸쳐 전송함으로써 액세스 단말(110)의 근사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8). RouteUpdateRequest 메시지는 임의의 데이터 페이로드를 갖지 않으며 따라서 LCP 에코-요청 패킷에 대한 페이로드를 갖는 DOS 메시지보다 훨씬 적은 무선 자원들을 소모한다. 액세스 단말(110)은 상기 RouteUpdate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고 RouteUpdate 메시지를 액세스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120)에 반환할 수 있다(단계 9). 상기 RouteUpdate 메시지는 액세스 단말(110)에 대한 활성 세트 및 후보 세트 내의 섹터들에 대한 파일럿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의 근사적 위치는 RouteUpdate 메시지를 수신하는 섹터 및/또는 상기 메시지의 파일럿 정보에 기초하여 확정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무선 접속을 셋 업하지 않고, 상기 LCP 에코-요청 패킷을 모바일-착신 DOS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채널 상으로 더 작은 지역에 걸쳐 액세스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10). 액세스 단말(110)은 상기 LCP 에코-요청 패킷을 수신하고 LCP 에코-응답 패킷을 모바일-발신 DOS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120)에 반환할 수 있다(단계 11).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상기 에코-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PDSN(130)으로 포워딩할 수 있다(단계 1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접속 셋업은 (a) 상기 RouteUpdateRequest 메시지 및 상기 LCP 에코-요청 패킷을 상기 제어 채널 상으로 액세스 단말(110)에 전송함으로써 그리고 (b) 상기 RouteUpdate 메시지 및 상기 LCP 에코-응답 패킷을 액세스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120)에 전송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두 개의 메시지들이 순방향 링크 상으로 전송될지라도, 이러한 메시지들은 더 적은 무선 자원들을 이용하여 전송되는데 이는 (a) RouteUpdateRequest 메시지가 훨씬 작을 수 있고 따라서 LCP 에코-요청 패킷을 갖는 DOS 메시지 보다 훨씬 적은 무선 자원들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b) 상기 DOS 메시지가 더 적은 지역에 걸쳐 전송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RouteUpdate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대신 상기 액세스 단말을 페이징함으로써 액세스 단말(110)의 근사적 위치를 결정하려고 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지는 통상 이뤄지는 바와 같이 무선 접속을 올리는(bring up) 대신, 상기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페이지에 응답하도록 액세스 단말(110)에 지시할 수 있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SN9130)은 LCP 에코-요청 패킷을 액세스 네트워크(12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킵-얼라이브 기능성을 개시할 수 있다. PDSN(130)은 Generic Routing Encapsulation (GR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120)의 PCF(124)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링크 계층/네트워크 계층 데이터는 GRE 패킷들로 캡슐화(encapsulate)될 수 있으며, 이는 PDSN(130)과 PCF(124) 간에 교환될 수 있다. GRE 패킷은 GRE 패킷에서 반송되는 데이터가 DOS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음을 지시하는 1로 세팅될 수 있는 SDI/DOS 필드를 포함한다. PDSN(130)은 LCP 에코-요청 패킷을 반송하는 GRE 패킷에 대해 이 필드를 세팅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120)는 상기 GRE 패킷의 본 필드를 조사할 수 있으며 상기 필드가 세팅될 때 DOS를 이용하여 LCP 에코-요청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PDSN(130)과 액세스 네트워크(120) 간의 GRE 및 데이터 교환들은, 2006년 10월자이고,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한, 모두 "Interoprability Specification (IOS) for High Rate Packet Data (HRPD) Radio Access Network Interfaces with Session Control in the Access Network"로 명명된, 3GPP2 A.S0008-B 및 A.S0009.B에 기재된다.
명확화를 위해, 얼웨이스-온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들은 특히 HRPD에 대해 기재되었다. 또한 상기 기술들은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및, 예컨대, IS-2000 릴리즈 0 및 A(이들은 공통적으로 CDMA2000 1X, 또는 간단히, 1X로 지칭된다), IS-95, W-CDMA, GSM 등과 같은 다른 무선 기술들에도 이용될 수 있다. 1X는 페이징 채널(PCH), 순방향 공통 제어 채널(F-CCCH), 역방향 액세스 채널(R-ACH), 역방향 인핸스드 액세스 채널(reverse enhanced access channel, R-EACH) 등 상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 (Data Burst Message)에서의 쇼트 데이터 버스트(Short Data Burst)의 송신을 지원한다. 상기 쇼트 데이터 버스트는 HRPD의 DOS 메시지와 유사한 방식으로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alive)으로 유지하기 위해 메시지들을 교환하기 위한 프로세스(600)의 설계를 도시한다. 프로세스(600)는 액세스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 1 메시지가 제 1 비-트래픽 채널(예컨대, 제어 채널 또는 다른 어떠한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블록(612)). 제 2 메시지가 제 2 비-트래픽 채널(예컨대, 액세스 채널 또는 어떠한 다른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에 전송될 수 있다(블록(614)).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이 교환되어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단말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을 교환하기 무선 접속을 셋 업하는 것과 위해 트래픽 채널을 올리는(bring up)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세션은 PPP 세션 및/또는 어떠한 다른 세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해 액세스 단말을 핑(ping)하기 위한 LCP 에코-요청 패킷 또는 어떠한 다른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핑에 응답하기 위해 LCP 에코-응답 패킷 또는 어떠한 다른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HRPD에 대해,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모바일-착신 DOS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해 모바일-발신 DOS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은 다른 무선 기술들을 위해 다른 방식들(예컨대, 쇼트 데이터 버스트를 이용하는)로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메시지들을 교환하기 위한 프로세스(700)의 설계를 도시한다. 프로세스(700)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패킷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는 것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엔티티(예컨대, PDSN)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블록(712)). 이용할 제 1 비-트래픽 채널이 상기 패킷의 필드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제 1 메시지는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예컨대, 제어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블록(716)). 제 2 메시지는 제 2 비-트래픽 채널(예컨대, 액세스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블록(718)).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이 교환되어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메시지는 LCP 에코-요청 패킷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HRPD의 모바일-착신 DOS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2 메시지는 LCP 에코-응답 패킷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해 HRPD의 모바일-발신 DOS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8은 액세스 단말에 의해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스(800)의 설계를 도시한다. 제 1 메시지가 제 1 비-트래픽 채널(예컨대, 제어 채널 또는 어떠한 다른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블록(812)). 제 2 메시지가 제 2 비-트래픽 채널(예컨대, 액세스 채널 또는 어떠한 다른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에 전송될 수 있다(블록(814)).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이 교환되어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단말에 질의(query)하는 RouteUpdateRequest 메시지 또는 다른 어떠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질의에 응답하는 RouteUpdate 메시지 또는 어떠한 다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메시지가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단말의 근사적 위치를 커버하는 지역에 걸쳐 전송된다(블록(816)). 일반적으로,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임의의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시그널링이 교환되어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한다면, 제 4 메시지가 상기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전송될 수 있다(블록(818)).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단말을 핑(ping)할 LCP 에코-요청 패킷 또는 어떠한 다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메시지는 상기 핑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는 LCP 에코-응답 패킷 또는 어떠한 다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들은 DOS, 쇼트 데이터 버스트 등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단말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와 메시지들을 교환하기 위해 무선 접속을 셋 업하고 트래픽 채널들을 올리는(bring up)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9는 액세스 단말에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900)의 설계를 도시한다. 프로세스(900)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 1 메시지가 제 1 비-트래픽 채널(예컨대, 제어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블록(912)). 제 2 메시지가 제 2 비-트래픽 채널(예컨대, 액세스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블록(914)). 상기 제 1 메시지는 RouteUpdateRequest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메시지는 RouteUpdate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단말의 근사적 위치가 상기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블록(916)).
제 3 메시지가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에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단말의 근사적 위치를 커버하는 지역에 걸쳐 전송된다(블록(918)). 상기 제 1 메시지는 제 1 지역에 걸쳐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제 1 지역보다 작은 제 2 지역에 걸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메시지는 (a)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무선 접속이 다운(down)이며 그리고 (b) 상기 제 3 메시지가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고 결정하는데 대한 응답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임의의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시그널링이 교환되어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한다면, 제 4 메시지가 상기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블록(920)).
도 10은 도 1의 액세스 단말(110), 기지국(122), BSC/PCF(124), 및 PDSN(130)의 설계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역방향 링크 상으로, 액세스 단말(110)에서, 제어기/처리기(1010)는 무선 기술(예컨대, HRPD)에 따라 액세스 네트워크(120)로 전송될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처리(예컨대, 포맷, 인코딩, 및 변조)하여 출력 칩(chip)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기(TMTR)(1016)는 상기 출력 칩들을 컨디셔닝(예컨대, 아날로그로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상향변환)하여 역방향 링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기지국(122)으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122)에서, 액세스 단말(110) 및 다른 액세스 단말들로부터의 역방향 링크 신호들이 수신기(RCVR)(1026)에 의해 수신되고 컨디셔닝(예컨대, 필터링, 증폭, 주파수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되어 샘플들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기/처리기(1020)는 상기 샘플들을 처리(예컨대, 복조 및 디코딩)하여 액세스 단말(110) 및 다른 액세스 단말들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획득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 상으로, 기지국(122)에서, 액세스 단말들로 전송될 데이터 및 시그널링이 처리기(1020)에 의해 처리되고 송신기(1026)에 의해 추가로 컨디셔닝되어 순방향 링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액세스 단말들로 송신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에서, 기지국(122)으로부터의 상기 순방향 링크 신호가 수신기(1016)에 의해 수신 및 컨디셔닝되고 처리기(1010)에 의해 추가로 처리되어 기지국(122)에 의해 액세스 단말(110)로 전송되는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기들/처리기들(1010 및 1020)은, 각각, 액세스 단말(110) 및 기지국(122)에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처리기(1010)는 도 6의 프로세스(600), 도 8의 프로세스(800), 및/또는 시그널링을 교환하는 다른 프로세스들을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들(1012 및 1022)은, 각각, 액세스 단말(110) 및 기지국(122)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Comm) 유닛(1024)은 기지국(122)으로 하여금 BSC/PCF(124)와 통신하도록 하여줄 수 있다.
BCF/PCF(124)는 제어기/처리기(1030), 메모리(1032), 및 통신 유닛(1034)을 포함한다. PDSN(130)은 제어기/처리기(1040), 메모리(1042), 및 통신 유닛(1044)을 포함한다. 각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해, 제어기/처리기는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관련된 프로세승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통신 유닛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기지국(122)의 처리기(1020) 및/또는 BSC/PCF(124)의 처리기(1030)는 도 7의 프로세스(700), 도 9의 프로세스(900), 및/또는 상기 액세스 단말들과 시그널링을 교환하는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액세스 단말(1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간소화된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단말(110) 및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들은 각각 임의의 개수의 처리기들, 제어기들, 메모리들, 통신 유닛들, 송신기들, 수신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 기재된 기술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을 위해, 상기 기술들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들,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D)들,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처리기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장치들, 여기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해, 상기 기술들은 여기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컨대, 절차들, 함수들 등)로써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은 메모리(예컨대, 도 10의 메모리(1012, 1022, 1032 또는 1042))에 저장되고 처리기(예컨대, 처리기(1010, 1020, 1030 또는 104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처리기 내부에서 또는 상기 처리기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읽기-전용 메모리(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EEPROM), FLASH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D), 자기 또는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과 같은 다른 처리기-판독가능 매체(processo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 기재된 기술들을 구현하는 장치는 스탠드-얼론(stand-alone) 유닛일 수 있거나 또는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장치는 (i) 스탠드-얼론 집적 회로(IC), (ii) 데이터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IC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IC들의 세트, (iii) 이동국 모뎀(MSM)과 같은 ASIC, (iv) 다른 장치들 내부에 내장될 수 있는 모듈, (v) 셀룰러 전화, 무선 장치, 핸드셋, 또는 모바일 유닛, (vi) 기타일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이전 기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임의의 자로 하여금 본 개시물을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항 제공된다. 본 개시물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본 개시물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물은 여기에 기재된 예시들 및 설계들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에 따라 최광범위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6)

  1. 제 1 비-트래픽(non-traffic)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 ?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은 데이터 세션을 활성(alive)으로 유지하기 위해 교환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핑(ping)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핑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메시지의 상기 핑은 주기적으로 송신되고 PPP 세션이 액세스 단말에서 여전히 활성인지를 결정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에 커플링(couple)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을 교환하기 위해 무선 접속(radio connection)을 셋 업하고 트래픽 채널들을 올리(bring up)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는 제어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액세스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상기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세션은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 PPP) 세션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링크 제어 프로토콜(Link Control Protocol, LCP) 에코-요청(Echo-Request) 패킷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메시지는 LCP 에코-응답(Echo-Reply) 패킷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는 하이 레이트 패킷 데이터(High Rate Packet Data, HRPD)의 모바일-착신(mobile-terminated) 데이터 오버 시그널링(Data Over Signaling, DOS)을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HRPD의 모바일-발신(mobile-originated) DOS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은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교환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핑(ping)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핑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메시지의 상기 핑은 주기적으로 송신되고 PPP 세션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서 여전히 활성인지를 결정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은 순방향 링크에 대한 제어 채널이고, 상기 제 2 비-트래픽 채널은 역방향 링크에 대한 액세스 채널인, 방법.
  10. 삭제
  11.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제 2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은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교환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핑(ping)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핑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메시지의 상기 핑은 주기적으로 송신되고 PPP 세션이 액세스 단말에서 여전히 활성인지를 결정함,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은 순방향 링크에 대한 제어 채널이고, 상기 제 2 비-트래픽 채널은 역방향 링크에 대한 액세스 채널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 삭제
  14.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제 2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processor-readable media)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은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교환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핑(ping)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핑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메시지의 상기 핑은 주기적으로 송신되고 PPP 세션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서 여전히 활성인지를 결정함,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
  15.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액세스 단말에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리고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로부터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 ?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은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교환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핑(ping)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핑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메시지의 상기 핑은 주기적으로 송신되고 PPP 세션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서 여전히 활성인지를 결정함 ?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에 커플링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는 제어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에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액세스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 에코-요청(Echo-Request) 패킷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메시지는 LCP 에코-응답 패킷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는 하이 레이트 패킷 데이터(HRPD)의 모바일-착신 데이터 오버 시그널링(DOS)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리고 HRPD의 모바일-발신 DOS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는 상기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는 것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데이터를 반송하는 패킷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패킷의 필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제 2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 3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제 4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 ?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은 액세스 단말의 근사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교환되며, 상기 제 3 및 제 4 메시지들은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교환되며,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단말의 상기 근사적 위치를 커버(cover)하는 지역에 걸쳐 전송되고,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핑(ping)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메시지는 상기 핑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메시지의 상기 핑은 주기적으로 송신되고 PPP 세션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서 여전히 활성인지를 결정함 ?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에 커플링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메시지들을 교환하기 위해, 무선 접속을 셋 업하고 트래픽 채널들을 올리(bring up)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2. 삭제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는 제어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3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액세스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상기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RouteUpdateRequest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메시지는 RouteUpdate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은 액세스 단말의 근사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교환됨 ? ;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 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제 4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메시지들은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교환되며,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단말의 상기 근사적 위치를 커버하는 지역에 걸쳐 전송되고,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핑(ping)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메시지는 상기 핑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메시지의 상기 핑은 주기적으로 송신되고 PPP 세션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서 여전히 활성인지를 결정하는, 방법.
  26. 삭제
  27.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제 2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은 액세스 단말의 근사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교환됨 ? ;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 3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단말의 상기 근사적 위치를 커버하는 지역에 걸쳐 전송됨 ?; 및
    상기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제 4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3 및 제 4 메시지들은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교환됨 ?
    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핑(ping)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메시지는 상기 핑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메시지의 상기 핑은 주기적으로 송신되고 PPP 세션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서 여전히 활성인지를 결정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8. 삭제
  29.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제 2 메시지를 전송하고 ? 상기 제 1 및 제 2 메시지들은 액세스 단말의 근사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교환됨 ? ;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 3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단말의 상기 근사적 위치를 커버하는 지역에 걸쳐 전송됨 ?; 그리고
    상기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제 4 메시지를 전송 ? 상기 제 3 및 제 4 메시지들은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교환됨 ? 하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처리기-판독가능 매체들(processor-readable media)로서,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핑(ping)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메시지는 상기 핑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메시지의 상기 핑은 주기적으로 송신되고 PPP 세션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서 여전히 활성인지를 결정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
  30. 삭제
  31.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액세스 단말에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로부터 제 2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단말의 근사적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에 제 3 메시지를 전송하고 ?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액세스 단말의 근사적 위치를 커버하는 지역에 걸쳐 전송됨 ? , 그리고 상기 제 2 비-트래픽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제 4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 ? 상기 제 3 및 제 4 메시지들은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데이터 세션을 활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교환되고, 상기 제 3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 세션에 대한 핑(ping)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메시지는 상기 핑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메시지의 상기 핑은 주기적으로 송신되고 PPP 세션이 상기 액세스 단말에서 여전히 활성인지를 결정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에 커플링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는 제 1 지역에 걸쳐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지역보다 작은 제 2 지역에 걸쳐 상기 제 3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는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무선 접속이 다운(down)이면 상기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4. 삭제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기는 제어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에 상기 제 1 및 제 3 메시지들을 전송하고, 그리고 액세스 채널 상으로 상기 액세스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RouteUpdateRequest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메시지는 RouteUpdate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107001894A 2007-06-28 2008-06-2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얼웨이스-온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127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691307P 2007-06-28 2007-06-28
US60/946,913 2007-06-28
US11/830,710 US9414429B2 (en) 2007-06-28 2007-07-30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n always-on data se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830,710 2007-07-30
PCT/US2008/067943 WO2009006080A2 (en) 2007-06-28 2008-06-23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n always-on data se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237A KR20100027237A (ko) 2010-03-10
KR101127337B1 true KR101127337B1 (ko) 2012-03-30

Family

ID=4016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894A KR101127337B1 (ko) 2007-06-28 2008-06-2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얼웨이스-온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414429B2 (ko)
EP (1) EP2171986B1 (ko)
JP (3) JP2010533395A (ko)
KR (1) KR101127337B1 (ko)
CN (1) CN101690127A (ko)
CA (1) CA2893289A1 (ko)
TW (1) TW200910879A (ko)
WO (1) WO200900608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7811B2 (en) * 2008-02-02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Radio access network (RAN) level keep alive signaling
KR101722925B1 (ko) * 2009-01-20 201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통신망에서 제어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US9313800B2 (en) * 2009-06-23 2016-04-1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energy consumption for wireless connectivity
US20120110115A1 (en) * 2010-04-30 2012-05-03 Qualcomm Incorporated Exchanging Data Associated With A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1102558B1 (ko) * 2010-05-18 2012-01-04 주식회사 앰투앰넷 올웨이즈 온 서비스 제공을 위한 무선 모뎀, 이를 이용한 올웨이즈 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US8762450B2 (en) * 2010-07-27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frequent server messages
CN102802254B (zh) * 2011-05-24 2018-1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利用寻呼信道传输业务数据的方法及系统、用户设备
US8594105B1 (en) * 2011-07-12 2013-11-26 Sprint Spectrum L.P. Base-station provided access to IMS services
US8971885B2 (en) 2011-11-02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access terminal registrations
US10271274B2 (en) 2012-02-03 2019-04-23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xtended time periods for maintaining PPP sessions
WO2013185307A1 (zh) * 2012-06-13 2013-12-19 华为技术有限公司 消息发送方法和装置
KR102070727B1 (ko) * 2013-02-13 202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 제어 프로토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9921973A (zh) 2013-07-10 2019-06-21 华为技术有限公司 Gre隧道实现方法、接入点和网关
ES2757505T3 (es) 2013-07-12 2020-04-29 Huawei Tech Co Ltd Método para implementar túnel de GRE, dispositivo de acceso y puerta de agregación
US20150181592A1 (en) * 2013-12-20 2015-06-25 Cisco Technology, Inc. Telecommunications Networks
JP2017069442A (ja) * 2015-09-30 2017-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TWI612820B (zh) * 2016-02-03 2018-01-21 元鼎音訊股份有限公司 助聽器通訊系統及其助聽器通訊之方法
CN110858779B (zh) * 2018-08-24 2022-03-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Onu通道处理方法、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7945A1 (en) * 2002-02-21 2003-08-21 Chen An Mei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server-originated information during a dormant packet data session
US20060002358A1 (en) * 2004-07-01 2006-01-05 Dipankar Ray PPP connection during simple IP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5647B2 (en) 2002-02-07 2006-04-25 Openwave Systems Inc. Efficient location determination for mobile units
CN1294729C (zh) * 2001-05-08 2007-01-10 北方电讯网络有限公司 分组数据网中未用资源的识别
JP2003078947A (ja) * 2001-06-18 2003-03-14 Nec Corp 移動局位置検出方式
JP2004207878A (ja) 2002-12-24 2004-07-22 Fujitsu Ltd 通信装置
US7406317B2 (en) * 2003-06-26 2008-07-29 Nortel Networks Limited Maintaining a communications session with a mobile station
US7796995B2 (en) * 2004-06-21 2010-09-14 Qualcomm Incorporated Asynchronous signaling and data deli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50288041A1 (en) * 2004-06-21 2005-12-29 Gill Harleen K Method for rapidly locating and transmitting data to a mobile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060005671A (ko) * 2004-07-13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4652008B2 (ja) 2004-09-30 2011-03-16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チャネル使用制御方法
KR100949970B1 (ko) 2005-09-21 2010-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무선 시스템에서 부가적인 역방향 링크반송파들을 설정하는 방법.
RU2420042C2 (ru) 2005-09-22 2011-05-27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Рандомизация проб доступа для системы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JP4719798B2 (ja) 2005-11-02 2011-07-0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シグナリングメッセージのオーバーヘッド低減方法及び装置
US8005471B2 (en) * 2006-07-31 2011-08-23 Alcatel Lucent Access network broadcast control-signaling chan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7945A1 (en) * 2002-02-21 2003-08-21 Chen An Mei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server-originated information during a dormant packet data session
US20060002358A1 (en) * 2004-07-01 2006-01-05 Dipankar Ray PPP connection during simple 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90051B2 (ja) 2016-03-22
JP2010533395A (ja) 2010-10-21
CN101690127A (zh) 2010-03-31
JP2013059063A (ja) 2013-03-28
JP2015159565A (ja) 2015-09-03
WO2009006080A2 (en) 2009-01-08
US9414429B2 (en) 2016-08-09
EP2171986B1 (en) 2014-02-12
KR20100027237A (ko) 2010-03-10
CA2893289A1 (en) 2009-12-23
EP2171986A2 (en) 2010-04-07
TW200910879A (en) 2009-03-01
US20090003208A1 (en) 2009-01-01
WO2009006080A3 (en) 200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337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얼웨이스-온 데이터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556717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nection establishm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385350B2 (en) Detection for end of service using dynamic inactivity timer thresholds
JP5743252B2 (ja) ユーザ機器と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との間でデータを交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3155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packet transport in CDMA2000 networks
US83406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short messages on do and 1x networks
US84777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P configuration after handoff in WLAN
US200803045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dio connection based on inputs from applications
WO2018202351A1 (en) Paging policy differentiation in 5g system
US20190149583A1 (en) Initial IMS Registration
KR20130028739A (ko) 네트워크 존 인식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지원
US77782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packet transport in CDMA2000 networks
WO2009059644A1 (en) Setting up connect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