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070B1 - 토출 노즐 및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노즐 - Google Patents

토출 노즐 및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070B1
KR101127070B1 KR1020100014785A KR20100014785A KR101127070B1 KR 101127070 B1 KR101127070 B1 KR 101127070B1 KR 1020100014785 A KR1020100014785 A KR 1020100014785A KR 20100014785 A KR20100014785 A KR 20100014785A KR 101127070 B1 KR101127070 B1 KR 10112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liquid discharge
liquid
reces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005A (ko
Inventor
이석한
고한서
김용재
손상욱
이수홍
안기철
최재용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4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070B1/ko
Priority to US12/713,886 priority patent/US8579411B2/en
Publication of KR20110095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6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electric or magnetic field
    • B41J2/06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electric or magnetic field involving the preliminary making of ink protuber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6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electric or magnetic field
    • B41J2002/061Ejection by electric field of ink or of toner particles contained in ink

Landscapes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 노즐 및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노즐은, 액체 토출면에 인접한 노즐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노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노즐에 의하면, 액체 토출 과정에서의 액체의 흘러넘침, 액체에 의한 젖음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장시간 구동에도 토출 성능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출 노즐 및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노즐{DISCHARGE NOZZLE AND ELECTROSTATIC FIELD INDUCED INK-JET NOZZLE}
본 발명은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출 성능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노즐에 관한 것이다.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헤드 또는 EHD(ElectroHydroDynamic) 잉크젯 헤드는 액체(즉, 잉크)가 노즐 끝부분에 맺힌 상태에서 전기장을 형성하여 액체의 일부분을 토출시키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한다.
그러나 상기 노즐을 통한 액체 토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노즐 끝부분에 맺힌 액체의 일부가 노즐의 외벽을 적시게 되면서 토출 성능(예를 들어, 토출 방향, 토출 속도, 토출 액체의 크기 등)이 불안정해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토출 성능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노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토출 과정에서 액체의 흘러넘침, 액체에 의한 젖음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노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시간 구동에도 토출 성능을 일정히 유지할 수 있는 노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체 토출면에 인접한 노즐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노즐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노즐 외주면에 환형의 띠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노즐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부의 표면에는 소수성 코팅막이 코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부의 표면은 소수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측벽부 중 상기 액체 토출면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제1 측벽부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 사이의 사이각은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측벽부 중 상기 액체 토출면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제1 측벽부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 사이의 사이각은 둔각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측벽부에 의한 상기 둔각의 경사면은 상기 액체 토출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액체 토출면의 주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오목부의 측벽 시작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극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형성된 정전기장을 이용하여 잉크를 토출시키는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잉크 토출면에 인접한 노즐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노즐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노즐 외주면에 환형의 띠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의하면, 액체 토출 과정에서의 액체의 흘러넘침, 액체에 의한 젖음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장시간 구동에도 토출 성능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헤드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노즐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 4a 및 도 4b, 도 5는 노즐 단부에서의 잉크 접촉점의 변화를 종래 기술에 따른 노즐에서와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 도 7a 및 도 7b, 도 8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토출 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수직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토출 노즐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출 노즐이 적용될 수 있는 일 응용 분야로서,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헤드의 구동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헤드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a는 전극 간 구동 전압의 인가 방식의 간단한 예를 보여주기 위한 개념적 도면이다. 즉, 도 1a는 구동 전압이 인가될 어느 하나의 전극이 노즐(110)에 직접 또는 인접하여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전극이 특정의 인쇄 대상(40)에 직접 또는 인접하여 위치한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따라서, 도 1a에서는 구동 전원(130)이 단 1개의 직류 전원으로서 구현되는 것과 같이 도시되고 있지만, 이는 테스트 전원으로서 도시된 것에 불과할 뿐, 그 이상의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님을 명확히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a를 통해 도시된 구동 회로의 연결 방식도 마찬가지로 일 예시 혹은 테스트를 위한 개념적 연결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도 1a에서는, 제2 전극이 공통 전극으로서 접지(ground)되고 제1 전극에 구동 전압이 개별적으로 인가됨으로써, 노즐별로 독립 구동되는 방식을 가정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이 또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헤드에서 상기 노즐(110)을 통한 잉크의 토출은 상기 2개의 전극 간에 유도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게 된다. 이를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 전원(130)에 의해 인가되는 구동 전압이 변화(증가)에 의해 전극 간 유도되는 정전기적 인력의 변화(증가)에 따라, 노즐(110)의 잉크 토출면에 형성되는 잉크의 메니스커스(21)도 도 1b에서와 같이 순차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즉, 전극 간의 정전기적 인력이 증가함에 따라, 잉크 토출면에 맺히는 잉크는 점점더 농축되게 된다.
잉크 토출면에 맺힌 잉크 중 일부가 떨어지기 직전의 임계 상태(예를 들어, 도 1b의 (a) 참조)에 있을 때까지는 도 1c에서와 같이 잉크의 토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즉, 중력(Fg)과 정전기적 인력(Fe))과 그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즉, 잉크의 표면 장력(Fst)) 간의 평형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평형 상태는 전극 간 유도되는 정전기적 인력이 더 커짐에 따라 깨지게 되며, 이에 따라 잉크는 잉크 토출면에 맺힌 잉크로부터 분리되어 인쇄 대상(40)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해 떨어지게 된다(도 1b의 (b) 참조).
일반적으로 정전 방식의 잉크젯 헤드에 있어서는, 도 1b의 참조부호 (a)와 같은 임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정도의 전압을 각각의 노즐 마다의 전극 간에 상시 인가하고 있다가, 잉크 토출이 필요한 특정 노즐에 대하여는 상기 상시 전압과는 별개로 토출 전압을 추가 인가함으로써 노즐 별로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방식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상시 전압으로서 1 ㎸의 직류 전압(혹은 바이어스 전압)을 모든 노즐의 전극 간에 인가하고 있다가, 실제 구동시킬 일부 노즐에 관해서만 그 상시 전압에 추가하여 펄스 형태의 0.5 ㎸ 교류 전압을 더 인가하는 구동 방식이 이용됨이 바로 그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전압 인가 방식이 채용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노즐은 위와 같이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헤드 이외에도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액체 토출 노즐로서 기능한다면 그 응용 분야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노즐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A 부분(즉, 노즐 단부)을 확대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110)은, 액체 토출면(112)에 인접한 노즐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오목부(1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액체 토출면(112)는 액체 토출구(112a)가 형성되어 있는 면을 지칭한다.
이때, 상기 오목부(1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의 외주면에 환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서는, 상기 오목부(113)가, 그 수직 단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사각 형상(직사각 형상, 정사각 형상, 사다리꼴 형상 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상기 오목부(113)의 형상은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수직 단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반원 형상, 2차원 곡선 형상, 부채꼴 형상, 다각형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오목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액체 토출면(112)에 인접하여 노즐 외주면 둘레를 따라 오목부(113)가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110)에 의하면, 액체 토출 과정에서의 액체의 흘러넘침 또는 액체에 의한 젖음 현상을 최소화하여, 액체 토출 성능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4a, 도 4b, 도 5에 관한 아래의 설명을 통해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a 및 도 4b, 도 5는 노즐 단부에서의 액체 접촉점의 변화를 종래 기술에 따른 노즐에서와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a, 도 4b, 도 5의 각각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목부(113)가 형성된 노즐의 경우를, 각각의 (b)는 오목부(113)가 없는 일반 노즐의 경우를 나타낸다.
노즐에 의한 액체 토출이 반복됨에 따라, 액체의 메니스커스는 액체 토출면(112)의 양 끝 경계(즉, 도 4a의 (a)의 식별부호 l 또는 도 4a의 (b)의 식별부호 l' 참조)를 벗어나는 빈도가 잦아진다. 이는 상기 액체 액체에 의해 노즐의 액체 토출면이 젖는 현상에 의해 발생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액체의 메니스커스가 액체 토출면(112)의 양 끝 경계에 걸쳐 형성된 상태를 제1 메니스커스 상태(도 4a의 (a)의 식별번호 21_1 또는 도 4a의 (b)의 식별번호 22_1 참조)라 명명한다. 또한, 상기 액체의 메니스커스가 액체 토출면(112)의 상기 양 끝 경계를 벗어난 노즐 외주면의 일 지점(도 4a의 (a)의 식별부호 m 또는 도 4a의 (b)의 m')에까지 형성된 상태를 제2 메니스커스 상태(도 4a의 (a)의 식별번호 21_2 또는 도 4a의 (b)의 식별번호 22_2 참조)라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액체가 액체 토출면(112)의 양 끝 경계를 벗어나는 빈도가 잦아짐에 따라, 액체의 접촉점은 상기 제1 접촉점(l 또는 l')으로부터 제2 접촉점(m 또는 m')으로 변동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목부(113)를 가지는 노즐의 경우, 액체가 흘러넘치는 경우에도 그 접촉점이 상기 오목부(113)가 시작되는 지점(도 4a의 (a)의 m 참조)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후, 흘러넘치는 액체의 양이 더욱 많아져 그 메니스커스가 더욱 커지는 경우(도 4b의 (a)의 제3 메니스커스 상태(21_3) 참조)에도, 일정 한계 수준 이내에서는 상기 접촉점은 더 이상 변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오목부(113)가 없는 일반 노즐의 경우, 액체가 액체 토출면(도 4a의 (b)의 112' 참조)을 흘러넘치게 되면, 그 접촉점이 임의의 지점에서 형성되고 수시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액체의 메니스커스가 커질수록(도 4b의 22_3 참조), 그 접촉점은 노즐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점점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4b의 n' 참조).
상기와 같은 차이는, 오목부(113)의 존재 여부에 따라 액체의 흘러넘침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즉, 상기 접촉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한계 능력)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서 비롯된다.
상기와 같이 특정 접촉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한계 능력은 접촉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 접촉각은 노즐을 구성하는 재질의 차이, 액체의 종류, 노즐 주변의 기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접촉점을 유지할 수 있는 임계 각도(도 4a의 θ 참조)가 존재한다. 따라서, 액체의 메니스커스가 상기 임계 각도를 벗어날 정도로 커지는 경우, 상기 접촉점에 변화(이동)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오목부(113)가 없는 노즐의 경우, 노즐 외주면을 기준으로 상기 임계 각도가 형성되므로, 도 4a의 (b) 및 도 4b의 (b)에서와 같이, 액체 증가에 의해 메니스커스가 커질 때마다 위의 임계 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점이 점점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목부(113)가 형성된 노즐의 경우, 상기 오목부(113)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임계 각도가 형성되므로, 도 4a의 (a) 및 도 4b의 (a)에서와 같이, 위 임계 각도를 벗어나기 전까지는 접촉점이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b의 (a)와 (b)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경우, 상기 임계 각도가 일반 노즐에 비해 더욱 커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4b의 (a)의 θ + α 참조). 만일, 도 4b의 (a)에서, 오목부(113)의 측벽부가 노즐 외주면과 정확히 수직을 이룬다면, 상기 임계 각도는 일반 노즐에 비해 90도까지 커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경우, 상기와 같이 노즐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113)에 의해 상기 임계 각도가 일반 노즐에 비해 크게 확대될 수 있고, 이에 의하면 상기 접촉점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액체가 흘러넘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접촉점이 고정되게 되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액체의 메니스커스가 형성되게 되므로, 일반 노즐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액체 토출 성능(토출 속도, 크기, 방향 등)을 확보할 수 있고, 장시간 구동시에도 액체 토출 성능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노즐의 경우, 액체가 흘러넘쳤을 때 형성되는 접촉점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비대칭이 됨으로써(도 5의 (b)의 m1' 및 m2' 참조), 액체의 토출 방향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경되는 문제점이 발생(도 5의 22a 참조)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경우, 상기 접촉점이 상기 오목부(113)에 좌우 대칭인 상태로 고정 위치하게 되므로, 액체의 토출 방향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음(도 5의 (a)의 21a 참조)이 바로 그것이다.
이상에서는 도 2, 도 3 그리고 도 4a의 (a), 도 4b의 (a), 도 5의 (a)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노즐에 관하여 도 6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 도 7a 및 도 7b, 도 8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토출 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수직 단면도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오목부(113)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측벽부(31, 32) 중 액체 토출면(112)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제1 측벽부(31)와 상기 오목부(113)의 바닥부(33) 사이의 사이각은 예각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측벽부(31)에 의한 예각의 경사면을 기준으로 상술한 임계 각도가 형성되므로, 앞서 설명한 도 2 및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보다 그 임계 각도가 더 확대될 수 있다(도 6a의 β 참조).
위와 달리, 도 6b에서는, 상기 오목부(113)에서 제1 측벽부(31')와 바닥부(33') 사이의 사이각이 둔각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b의 경우, 앞서 설명한 도 2 및 도 3의 경우보다 그 임계 각도가 축소되기는 하지만(도 6b의 β 참조), 이에 의하더라도 일반 노즐에 비해서는 큰 임계 각도를 갖게 된다.
또한, 도 7a의 경우에는, 제1 측벽부(31")와 바닥부(33") 사이의 사이각이 둔각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측벽부(31')에 의한 둔각의 경사면이 액체 토출면(112)에까지 연장되고 있다. 상기 도 7a의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도 2 및 도 3의 경우보다 그 임계 각도가 축소된다(도 7a의 β 참조). 그러나, 도 7a의 경우에는 접촉점이 처음부터 l3 지점에 형성되도록 유도되기 때문에, 토출 안정성은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도 7b의 경우, 액체 토출면(112)의 주변에 경사면(112-1)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112-1)은 오목부(113)의 제1 측벽부(31)의 시작점(l4)까지 연장되고 있다. 도 7b의 경우에는, 도 6a에서와 유사하게 임계 각도도 증가함과 함께, 도 7a에서와 유사하게 그 접촉점도 처음부터 상기 l4 지점에 형성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도 8의 경우, 오목부가 노즐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113-1, 113-2 참조)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접촉점이 제1 오목부(113-1)에 의한 첫 번째 한계점(도 8의 m5 참조)를 넘었을 때에도 제2 오목부(113-2)에 의한 두 번째 한계점(도 8의 n5 참조)에서 다시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 오목부(113-2)가 완충 지대의 역할을 함으로써, 액체 토출 성능의 안정화에 기여할수 있다.
도 9의 경우, 오목부(113)의 표면에 소수성 코팅막(114)이 코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수성 코팅막(114)을 코팅하면, 상기 임계 각도의 확대에 기여할수 있다.
도 9의 경우에는, 오목부(113)의 표면에 소수성 코팅막(114)이 코팅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오목부(113)의 표면이 소수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동일 기대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노즐
112 : 액체 토출면
112a : 액체 토출구
113 : 오목부
114 : 소수성 코팅막

Claims (10)

  1. 토출 노즐에 있어서,
    액체 토출면을 통한 액체 토출 성능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상기 액체 토출면에 인접한 노즐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노즐 외주면에 환형의 띠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노즐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표면에는 소수성 코팅막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노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표면은 소수성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노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측벽부 중 상기 액체 토출면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제1 측벽부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 사이의 사이각은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노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측벽부 중 상기 액체 토출면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제1 측벽부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 사이의 사이각은 둔각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측벽부에 의한 상기 둔각의 경사면은 상기 액체 토출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노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토출면의 주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오목부의 측벽 시작점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노즐.
  9. 전극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형성된 정전기장을 이용하여 잉크를 토출시키는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액체 토출면을 통한 액체 토출 성능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상기 액체 토출면에 인접한 노즐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노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노즐 외주면에 환형의 띠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노즐.
KR1020100014785A 2010-02-18 2010-02-18 토출 노즐 및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노즐 KR101127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785A KR101127070B1 (ko) 2010-02-18 2010-02-18 토출 노즐 및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노즐
US12/713,886 US8579411B2 (en) 2010-02-18 2010-02-26 Discharging nozzle and electrostatic field induction ink-jet nozz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785A KR101127070B1 (ko) 2010-02-18 2010-02-18 토출 노즐 및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005A KR20110095005A (ko) 2011-08-24
KR101127070B1 true KR101127070B1 (ko) 2012-03-22

Family

ID=4436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785A KR101127070B1 (ko) 2010-02-18 2010-02-18 토출 노즐 및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노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79411B2 (ko)
KR (1) KR101127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5591B2 (en) 2014-03-06 2016-08-16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Apparatuses and methods for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US10507652B2 (en) 2018-03-14 2019-12-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Rapidly-wetted pin-style electro-hydrodynamic jet print head
US10940689B1 (en) 2019-09-05 2021-03-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ulti-nozzle print head assembly with ink retraction mechanis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075A (ja) 1997-06-16 1999-01-12 Yokogawa Electric Corp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製造方法
KR20060123282A (ko) * 2003-12-19 2006-12-0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부품 장착 헤드, 흡착 노즐, 및 흡착 노즐의 제조 방법
KR20090055200A (ko) * 2007-11-28 2009-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잉크 토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8392A (en) * 1984-04-20 1988-03-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k jet print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nozzle member
SE0202141D0 (sv) * 2002-07-04 2002-07-04 Sandvik Ab Styrnippel
JP2004268359A (ja) * 2003-03-07 2004-09-30 Hitachi Printing Solutions Ltd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76256A (ja) * 2006-04-06 2007-10-25 Fuji Xerox Co Ltd 液滴吐出ヘッド、液滴吐出装置及び液滴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075A (ja) 1997-06-16 1999-01-12 Yokogawa Electric Corp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製造方法
KR20060123282A (ko) * 2003-12-19 2006-12-0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부품 장착 헤드, 흡착 노즐, 및 흡착 노즐의 제조 방법
KR20090055200A (ko) * 2007-11-28 2009-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잉크 토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79411B2 (en) 2013-11-12
KR20110095005A (ko) 2011-08-24
US20110199433A1 (en)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070B1 (ko) 토출 노즐 및 정전기장 유도 방식의 잉크젯 노즐
US9908339B2 (en) Liquid jet head and liquid jet apparatus
US9365054B2 (en) Recording medium transport device and recording device
US20190100002A1 (en) Inkjet printer using oil-based ink
JP200902311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ワイピング方法
JP2011084041A (ja) 画像形成装置
CN107443904B (zh) 喷墨头及喷墨打印机
US9469110B1 (en) Liquid ejecting head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JP6417592B2 (ja) 液体吐出装置、ヘッドユニット及び制御回路
JP2012232574A (ja) 液体吐出ヘッドの駆動方法および液体吐出装置
US20110102507A1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US8573744B2 (en) Continuous type liquid ejection head and liquid ejection device
US10507654B2 (en) Print element substrate and liquid ejection head
US20090135228A1 (en) Inkjet printhead and method of ejecting ink using the same
US20100321432A1 (en) Ink jet printing systems and methods with pre-fill and dimple design
EP3393811B1 (en) Droplet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driving thereof
US20080106570A1 (en) Liquid guiding device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JP2018065287A (ja) 液滴吐出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183881A (ja) 液体吐出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EP3335881B1 (en) Liquid jet head, liquid jet recording device, method for driving liquid jet head, and program for driving liquid jet head
WO2006070557A1 (ja) 液体吐出ヘッド、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吐出方法
US20130027473A1 (en) Charge transfer from a movable object
US20100182361A1 (en) Liquid Ejection Head and Liquid Ejection Method
JP2009196355A (ja) 液体吐出ヘッド及び記録装置
KR102379015B1 (ko) 토출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