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920B1 -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920B1
KR101126920B1 KR1020100042508A KR20100042508A KR101126920B1 KR 101126920 B1 KR101126920 B1 KR 101126920B1 KR 1020100042508 A KR1020100042508 A KR 1020100042508A KR 20100042508 A KR20100042508 A KR 20100042508A KR 101126920 B1 KR101126920 B1 KR 101126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ght
information
daily
daily sche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072A (ko
Inventor
김태영
황인웅
김갑식
이정훈
유서연
최웅식
김호겸
Original Assignee
인천국제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국제공항공사 filed Critical 인천국제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00042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920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3Traffic management of multiple aircrafts from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운항정보 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는,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daily schedule) 및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저장하는 데일리 운항정보 DB: 사용자로부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특정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입력부; 입력부를 통해 특정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데일리 스케줄에서 해당 항공편을 삭제함과 동시에 변경된 운항일자에 신규 항공편을 새로 생성하고, 삭제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신규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매핑시켜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daily schedule in FIM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FIMS)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각 항공사가 자사 항공기를 직접 투입하지 않고도 해당 지역을 운항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해 항공사 간에 특정 구간의 좌석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코드쉐어(codeshare)편을 운행한다. 여기서, 코드쉐어란 좌석공유, 편명공유를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노선을 취항하는 항공사가 좌석 일부를 다른 항공사와 나누어 운항하는 것이다. 제휴항공사가 운항하는 노선에서 직접 항공기를 띄우지 않는 항공사가 자사의 운항 편명으로 직접 운항하는 것처럼 항공권을 상호 판매하는 것을 뜻한다. 이렇게 되면 두 항공사의 운항 편수가 늘어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우리나라의 A항공사와 외국의 B항공사가 좌석공유 협정을 맺었다면 우리나라 승객은 A항공 예약을 통해 외국의 B항공의 국제 국내 노선을, 외국의 B항공 승객은 우리나라의 A항공 노선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항공사와 B항공사가 인천-파리 구간을 직항으로 운행하고 있는 경우, A항공사는 월, 수, 금요일에 운행하고, B항공사는 화, 목, 토요일에 운행한다고 가정하면, 두 항공사가 코드쉐어편을 통해 서로 50좌석씩 주고 받으면 A 항공사 또는 B 항공사를 이용하는 고객은 일주일 내내 아무 때나 인천-파리 구간의 항공편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항공정보관리시스템(FIMS:Fligh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은 항공기의 운항에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즉, 항공정보관리시스템은 항공기의 출발, 도착, 탑승구 배정 등 운항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관리한다. 이때, 항공정보관리시스템은 운항정보의 변경 및 추가에 따라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을 변경 적용하여 항공기의 운항을 분석하고 관리한다.
하지만, 종래의 항공정보관리시스템은 데일리 스케줄 변경, 코드쉐어편 신규 등록 및 변경 등과 같이 데일리 운항정보에 변경이 발생하면, 운항정보 관리자(FIMS 운용자)가 변경된 운항정보에 따라 운항정보 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운항정보를 변경한다. 이때, 운항정보 관리자는 변경된 운항정보의 입력과 함께, 변경된 운항정보 이후의 운항정보의 수정도 병행하여 진행해야 한다. 이 경우, 다양한 상황변화에 융통성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정업무 수행시(예컨대, 운항정보의 수정시) 반복적인 단순 작업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원활한 운항정보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는 코드쉐어편을 등록하는 경우 마스터편과 코드쉐어편의 데일리 스케줄을 각각 입력한 후에 마스터편과 코드쉐어편의 데일리 스케줄을 쉐어링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되어 작업시간이 증가하고 데일리 스케줄의 오류 발생이 증가하여 원활한 운항정보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 운용 및 관리시 다양한 상황변화에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Flexible) 관리 기능 및 비정상 운영 상황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는,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daily schedule) 및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저장하는 데일리 운항정보 DB: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특정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특정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서 해당 항공편을 삭제함과 동시에 변경된 운항일자에 신규 항공편을 새로 생성하고, 상기 삭제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상기 신규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매핑시켜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항공사 서버로부터 데일리 스케줄 변경 요청 및 ADM(Aircraft Disposition Message:익일 항공편 연결정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일리 스케줄 변경 요청 및 ADM 정보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처리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변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ID별 환경 설정값을 저장하는 사용자 환경설정 DB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ID에 해당하는 환경 설정값을 상기 사용자 환경설정 DB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환경 설정값을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특정 항공편에 대한 코드쉐어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받은 코드쉐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해당 항공편의 마스터(master)편에 대한 운항정보를 변경하고, 동시에 마스터편의 변경사항에 기초하여 해당 항공편의 코드쉐어(codeshare)편에 대한 운항정보를 갱신하는 코드쉐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항공청 서버로부터 익일 데일리 스케줄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항공청 서버로부터 수신한 익일 데일리 스케줄과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을 비교하여, 설정된 결산시간 이후 미입력된 운항정보들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운항스케줄 비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항공사 서버로부터 링크(link) 정보 및 ADM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정보 및 ADM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갱신하는 운항정보 편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들의 결항, 회항, 또는 지연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현황 리포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는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높은 차순 또는 낮은 차순으로 정렬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리스트 정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 검색, 또는 변경하고, 그에 따른 결과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운항정보 편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항정보 편집부에 의해 삭제, 검색, 또는 변경된 특정 항공편에 대한 운항정보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해당 항공편의 변경내역을 리스트화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변경내역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변경내역 조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방법은, 데일리 운항정보 DB가,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daily schedule) 및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특정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특정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서 해당 항공편을 삭제함과 동시에 변경된 운항일자에 신규 항공편을 새로 생성하고, 상기 삭제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상기 신규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매핑시켜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표시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한다.
특히, 통신부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항공사 서버로부터 데일리 스케줄 변경 요청 및 ADM(Aircraft Disposition Message:익일 항공편 연결정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데일리 스케줄 변경 요청 및 ADM 정보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데일리 스케줄 변경 요청 및 ADM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변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환경설정 DB가, 사용자 ID별 환경 설정값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ID에 해당하는 환경 설정값을 상기 사용자 환경설정 DB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추출한 환경 설정값을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특정 항공편에 대한 코드쉐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해당 항공편의 마스터(master)편에 대한 운항정보를 변경하고, 동시에 마스터편의 변경사항에 기초하여 해당 항공편의 코드쉐어(codeshare)편에 대한 운항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신부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항공청 서버로부터 익일 데일리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항공청 서버로부터 수신한 익일 데일리 스케줄과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을 비교하여, 설정된 결산시간 이후 미입력된 운항정보들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신부가, 항공사 서버로부터 링크(link) 정보 및 ADM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링크 정보 및 ADM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들의 결항, 회항, 또는 지연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운항정보 편집부에 의해 삭제, 검색, 또는 변경된 특정 항공편에 대한 운항정보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해당 항공편의 변경내역을 리스트화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변경내역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 운용 및 관리시 다양한 상황변화에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고, 비정상 운영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가 구현된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에 의하면 특정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하기 위해 운항정보 관리자가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단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정보관리시스템(FIMS)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정보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항공정보관리시스템(FIMS:Fligh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은 항공기의 운항에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항공정보관리시스템은 항공사 서버(10), 조업사 서버(20), 항공청(FOIS) 서버(30), 및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를 구비하며, 항공사 서버(10), 조업사 서버(20), 및 항공청 서버(30)는 TCP/IP와 같은 인터넷망을 통해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는 운항정보 관리자(FIMS 운용자,1)에 의해 운용 또는 관리된다.
한편, 항공사 서버(10)는 여객 및 화물 항공기를 운행하는 회사(예컨대, 아시아나, 대한항공 등)가 운용하는 서버로서 링크(link) 정보 및 ADM 정보를 네트워크(50)를 통해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에 제공한다. 그리고, 항공사 서버(10)는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에 접속하여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daily schedule) 및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의 운항정보 등을 조회한 뒤, 필요에 따라 운항정보 관리자에게 특정 데일리 스케줄 및 운항정보가 변경 및 수정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조업사 서버(20)는 항공사 및 공항공사와 연계하여, ULD관리 및 정리업무 등을 수행하는 회사가 운용하는 서버로서,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에 접속하여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 및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의 운항정보 등을 조회한 뒤, 필요에 따라 운항정보 관리자에게 특정 데일리 스케줄 및 운항정보가 변경 및 수정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항공청 서버(30)는 항공기의 안전운항관리, 항공기의 안전관리 및 운항관제, 공항 및 항행안전시설 건설/관리, 공항재산관리 등을 수행하는 항공청(예컨대, 서울지방항공청, 부산지방항공청 등)이 운용하는 서버로서 익일 데일리 스케줄 등과 같은 항공운항정보를 네트워크(50)를 통해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에 제공한다. 그리고, 항공청 서버(30)는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에 접속하여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 및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의 운항정보 등을 조회한 뒤, 필요에 따라 운항정보 관리자에게 특정 데일리 스케줄 및 운항정보가 변경 및 수정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는 항공기의 출발, 도착, 탑승구 배정 등 운항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관리한다. 이때,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는 운항정보의 변경 및 추가에 따라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을 변경 적용하여 항공기의 운항을 분석하고 관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는 통해 운항정보 관리자로부터 특정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데일리 스케줄에서 해당 항공편을 삭제함과 동시에 변경된 운항일자에 신규 항공편을 새로 생성하고, 삭제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상기한 신규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매핑시켜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하고,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운항정보 관리자에게 표시한다.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의 보다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2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는 본 발명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를 위해 필요에 따라 다른 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50), 입력부(60), 표시부(70), 데이터베이스(DB,80), 및 제어부(90)를 구비한다.
통신부(50)는 인터넷망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항공청 서버, 항공사 서버, 및 조업사 서버 등과 연결되어, 항공청 서버, 항공사 서버, 및 조업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100)에서의 처리 결과 등을 항공청 서버, 항공사 서버, 또는 조업사 서버로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부(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항공사 서버로부터 데일리 스케줄 변경 요청, ADM(Aircraft Disposition Message:익일 항공편 연결정보), 및 링크(link)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항공청 서버로부터 익일 데일리 스케줄을 수신한다.
입력부(60)는 운항정보 관리자로부터 표시부(70)를 통해 표시되는 데일리 스케줄, 그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되어 있는 항공편의 운항정보 등을 편집 또는 수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입력부(60)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운항정보 관리자는 입력부(60)를 통해 표시되는 운항정보에서 특정 필드의 항목, 알람 설정, 항공사 요청에 따른 처리 결정, FOIS 메시지 처리 결정, 기타 데이터 입력 및 수정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70)는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DB(80)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데이터베이스(DB,80)는 사용자 환경설정 DB(82) 및 데일리 운항정보 DB(84)를 구비한다.
사용자 환경설정 DB(82)는 사용자(즉, 운항정보 관리자)별 환경 설정값을 저장하며, 사용자는 사용자 환경설정 DB(82)에 저장된 환경 설정값을 변경하여 자신의 작업성향에 맞도록 표시부(7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ID별 설정값으로는 Grid Filter, Grid Contents, Grid ID, Grid Font 등이 있을 수 있다.
데일리 운항정보 DB(84)는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 및 그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항공편의 운항정보에는 편명, 시간, 기종, 노선, 요일, 출발 및 도착지, 기타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상기 각 부를 제어하며,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 운용 및 관리시 다양한 상황변화에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관리 기능, 비정상 운영 상황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어부(90)는 코드쉐어 처리부(110), 운항스케줄 비교부(120), 현황 리포팅부(130), 운항정보 편집부(140), 알람 설정부(150), 링크 처리부(160), 리스트 정렬부(170), 및 변경내역 조회부(180)를 구비한다.
코드쉐어 처리부(110)는 기존에 코드쉐어 정보를 마스터(master)편에 생성한 후 쉐어링하였던 이중절차를 한 번의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코드쉐어 처리부(110)는 입력부(60)를 통해 입력받은 특정 항공편에 대한 코드쉐어 정보를 이용하여, 데일리 운항정보 DB(84)에 저장된 해당 항공편의 마스터편에 대한 운항정보를 변경하고, 동시에 마스터편의 변경사항에 기초하여 해당 항공편의 코드쉐어(codeshare)편에 대한 운항정보를 갱신한다.
여기서, 코드쉐어란 좌석공유, 편명공유를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노선을 취항하는 항공사가 좌석 일부를 다른 항공사와 나누어 운항하는 것이다. 제휴항공사가 운항하는 노선에서 직접 항공기를 띄우지 않는 항공사가 자사의 운항 편명으로 직접 운항하는 것처럼 항공권을 상호 판매하는 것을 뜻한다. 상기한 코드쉐어편은 '슬래이브편'이라 지칭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현재 인천-파리 구간에는 대한항공과 에어프랑스 두 개 항공사가 직항으로 운항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월/수/금 요일에만 운항한다고 가정하고 에어프랑스의 경우 화/목/토 요일에만 운항한다고 가정할 때, 두 항공사가 코드쉐어를 통해 서로 50좌석씩 주고 받으면 대한항공을 이용하는 고객은 일주일 내내 아무때나 출발할 수 있고, 에어프랑스 고객도 마찬가지다. 일 예로, 대한항공 코드쉐어 KE5901편은 인천->파리 구간을 운행하는 편으로 실제 비행기는 에어프랑스인 것이다. 다만, 대한항공 과 동일한 요금과 동일한 서비스를 받고 비행기만 에어프랑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운항스케줄 비교부(120)는 하루 전(D-1)에 타 시스템(예컨대, 항공청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익일 데일리 스케줄과 비교하는 기능과, 운항일 종료 후 미입력된 사항에 대하여 운항정보 관리자가 체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5는 운항스케줄 비교부(120)에서 외부 시스템(예컨대, 항공청)과의 데일리 스케줄 비교를 통해 상이내역을 리스트로 표시한 일예이다.
즉, 운항스케줄 비교부(120)는 하루 전에 항공청 서버로부터 수신한 익일 데일리 스케줄과 데일리 운항정보 DB(84)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을 비교하여, 설정된 결산시간(예를 들어, 0시) 이후 미입력된 운항정보들이 표시부(7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도 8은 운항스케줄 비교부(120)에 의해 표시부(70)를 통해 표시되는 미입력된 운항정보들의 일예를 나타낸다.
현황 리포팅부(130)는 공항의 비정상 운영 현황을 리포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현황 리포팅부(130)는 데일리 운항정보 DB(84)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들의 결항, 회항, 또는 지연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부(70)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도 9참조).
운항정보 편집부(140)는 운항정보 관리자가 특정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삭제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리스트로 표시되는 운항정보에서 특정 열 또는 행을 추가/삭제하거나, 해당 열 또는 행에 세부사항 들을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운항정보 편집부(140)는 운항정보 관리자가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되어 있는 운항정보의 특정 필드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운항정보 편집부(140)는 항공사 서버로부터 통신부(50)를 통해 데일리 스케줄 변경 요청 및 ADM(Aircraft Disposition Message:익일 항공편 연결정보) 스케줄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변경 요청 내역을 표시부(70)를 통해 운항정보 관리자에게 표시하고, 그에 따라 입력부(60)를 통해 운항정보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변경정보를 이용하여 데일리 운항정보 DB(84)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운항정보 편집부(140)는 특정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데일리 스케줄에서 해당 항공편을 삭제함과 동시에 변경된 운항일자에 신규 항공편을 새로 생성하고, 삭제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신규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매핑시켜 데일리 운항정보 DB(84)에 저장한다.
기존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의 경우, 운항정보 관리자가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현행 항공편의 운항일자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일단 현행 항공편을 데일리 스케줄에서 삭제한 다음, 변경된 운항일자에 신규 항공편을 새로 생성하여 주어야만 했다. 그리고, 신규 항공편에 대응되는 기존 운항정보 및 실적 등을 따로 입력해주어야만 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운항정보 편집부(1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부(60)를 통해 현행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데일리 스케줄에서 해당 항공편을 삭제함과 동시에 변경된 운항일자에 신규 항공편을 새로 생성하고, 삭제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신규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매핑시켜 데일리 운항정보 DB(84)에 저장해줌으로써, 운항정보 관리자가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단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운항정보 편집부(140)는 입력부(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ID에 해당하는 환경 설정값을 사용자 환경설정 DB(82)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환경 설정값을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적용하여 표시부(70)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운항정보 관리자는 자신의 작업성향에 따라 환경 설정값을 변경하여 표시부(70)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운항정보 편집부(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항공사 서버로부터 링크 정보 및 ADM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한 링크 정보 및 ADM 정보를 이용하여 데일리 운항정보 DB(84)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갱신하고, ADM 정보에 포함된 항공편들을 등록기호별로 리스트화하여 표시부(7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도 3참조), 그에 따라 입력부(60)를 통해 운항정보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변경정보를 이용하여 데일리 운항정보 DB(84)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운항정보 편집부(140)는 운항정보 관리자가 운항정보 리스트 상에서 리스트상의 편명을 선택한 상태에서 별도의 창을 열 필요없이 ATA 및 실적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운항정보 관리자는 운항정보 리스트 상에서 리스트상의 편명을 선택한 다음,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메뉴목록(ATA, On block 등)을 통해 별도의 창을 띄우지 않고, 바로 ATA 및 실적을 입력할 수가 있다. 또한, 운항정보 편집부(140)는 특정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VIP 승객들에 대한 상세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VIP 승객을 개별적으로 관리 및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알람 설정부(150)는 운항정보 관리자가 조기도착알람(Early Arrival Alarm), 도착시간알람(Arr. Time Alarm), 출발시간알람(Dep. Time Alarm), 온 블록 시간 딜레이(램프 인)[On Block Time Delay(Ramp In)], 온 블록 시간 시간 딜레이(터치 다운) [On Block Time Delay(Touch Down)], 보딩 시간 딜레이(출발)[Boarding Time Delay(Departure)] 등에 대해 알람을 설정(setting)할 수 있게 하고, 알람을 설정한 시간이 도래하면 소리와 화면을 통해 운항정보 관리자에게 경고한다. 도 6은 알람 설정부(15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링크 처리부(160)는 데일리 운항정보 DB(84)에 저장되어 있는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포함된 시간, 기종, 편명 등과 같이 링크(link) 가능한 대상 리스트 정보에 대해 링크를 설정한다. 또한, 링크 처리부(160)는 데일리 운항정보 DB(84)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상의 하루 전체 도착편과 출발편 리스트에서 링크와 언링크(unlink)를 설정한다. 도 4는 등록기호별로 링크된 항공편들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리스트 정렬부(170)는 데일리 운항정보 DB(84)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운항정보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높은 차순, 낮은 차순, 또는 복합 정렬하여 표시부(7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처리한다(도 7참조).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운항정보 리스트에서, 편명(FLT)을 한번 클릭하면 편명이 높은 차순으로 리스트가 정렬되고, 다시 한번 클릭하면 낮은 차순으로 리스트가 정렬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열(column)의 명칭(예컨대, STT)를 한번 클릭하면 늦은 시간 순서로 리스트가 정렬되고, 다시 한번 클릭하면 빠른 시간 순서로 리스트가 정렬된다. 이때, 키보드의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른 열의 명칭을 클릭하면 복합 정렬도 가능하다.
변경내역 조회부(180)는 운항정보 편집부(140)에 의해 삭제, 검색, 또는 변경된 특정 항공편에 대한 운항정보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해당 항공편의 변경내역을 리스트화하여 데일리 운항정보 DB(84)에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한 변경내역이 표시부(70)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 운용 및 관리시 다양한 상황변화에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고, 비정상 운영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가 구현된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에 의하면 특정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하기 위해 운항정보 관리자가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단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단계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CD-RW,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HDD, 광 디스크, 광자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50:통신부
60:입력부 70:표시부
80:DB 82:사용자 환경설정 DB
84:데일리 운항정보 DB 90:제어부
110:코드쉐어 처리부 120:운항스케줄 관리부
130:현황 리포팅부 140:운항정보 편집부
150:알람 설정부 160:링크 처리부
170:리스트 정렬부 180:변경내역 조회부

Claims (18)

  1.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daily schedule) 및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저장하는 데일리 운항정보 DB: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특정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특정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서 해당 항공편을 삭제함과 동시에 변경된 운항일자에 신규 항공편을 새로 생성하고, 상기 삭제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상기 신규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매핑시켜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항공사 서버로부터 데일리 스케줄 변경 요청 및 ADM(Aircraft Disposition Message)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일리 스케줄 변경 요청 및 ADM 정보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처리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변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 ID별 환경 설정값을 저장하는 사용자 환경설정 DB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ID에 해당하는 환경 설정값을 상기 사용자 환경설정 DB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환경 설정값을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특정 항공편에 대한 코드쉐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해당 항공편의 마스터(master)편에 대한 운항정보를 갱신하고, 동시에 해당 항공편의 코드쉐어(codeshare)편에 대한 운항정보를 갱신하는 코드쉐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항공청 서버로부터 익일 데일리 스케줄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항공청 서버로부터 수신한 익일 데일리 스케줄과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을 비교하여, 설정된 결산시간 이후 미입력된 운항정보들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운항스케줄 비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항공사 서버로부터 링크(link) 정보 및 ADM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정보 및 ADM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갱신하는 운항정보 편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들의 결항, 회항, 또는 지연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현황 리포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는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높은 차순 또는 낮은 차순으로 정렬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리스트 정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 검색, 또는 변경하고, 그에 따른 결과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운항정보 편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항정보 편집부에 의해 삭제, 검색, 또는 변경된 특정 항공편에 대한 운항정보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해당 항공편의 변경내역을 리스트화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변경내역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변경내역 조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11. 데일리 운항정보 DB가, 공항의 데일리 스케줄(daily schedule) 및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특정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특정 항공편의 운항일자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서 해당 항공편을 삭제함과 동시에 변경된 운항일자에 신규 항공편을 새로 생성하고, 상기 삭제된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상기 신규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매핑시켜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표시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통신부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항공사 서버로부터 데일리 스케줄 변경 요청 및 ADM(Aircraft Disposition Message)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데일리 스케줄 변경 요청 및 ADM 정보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데일리 스케줄 변경 요청 및 ADM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변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사용자 환경설정 DB가, 사용자 ID별 환경 설정값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ID에 해당하는 환경 설정값을 상기 사용자 환경설정 DB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추출한 환경 설정값을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특정 항공편에 대한 코드쉐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해당 항공편의 마스터(master)편에 대한 운항정보를 갱신하고, 동시에 해당 항공편의 코드쉐어(codeshare)편에 대한 운항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통신부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항공청 서버로부터 익일 데일리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항공청 서버로부터 수신한 익일 데일리 스케줄과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을 비교하여, 설정된 결산시간 이후 미입력된 운항정보들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통신부가, 항공사 서버로부터 링크(link) 정보 및 ADM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링크 정보 및 ADM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일리 스케줄 및 항공편의 운항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데일리 스케줄에 포함된 항공편들의 결항, 회항, 또는 지연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운항정보 편집부에 의해 삭제, 검색, 또는 변경된 특정 항공편에 대한 운항정보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해당 항공편의 변경내역을 리스트화하여 상기 데일리 운항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변경내역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방법.
KR1020100042508A 2010-05-06 2010-05-06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126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508A KR101126920B1 (ko) 2010-05-06 2010-05-06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508A KR101126920B1 (ko) 2010-05-06 2010-05-06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072A KR20110123072A (ko) 2011-11-14
KR101126920B1 true KR101126920B1 (ko) 2012-03-20

Family

ID=4539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508A KR101126920B1 (ko) 2010-05-06 2010-05-06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9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13B1 (ko) 2020-11-27 2021-03-02 제명수 룰 관리 시스템
KR102224957B1 (ko) 2020-11-27 2021-03-08 피앤제이시스템 주식회사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
KR102224958B1 (ko) 2020-11-27 2021-03-08 피앤제이시스템 주식회사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
WO2023068550A1 (ko) * 2021-10-21 2023-04-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항공기 운행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698A (ko) * 1997-06-06 1999-01-25 사와무라 시꼬 항공기 운항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20030004307A (ko) * 1999-12-09 2003-01-14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비행 관리 시스템의 계층화된 서브시스템 아키텍처
KR20050010936A (ko) * 2002-06-18 2005-01-28 아마데우스 에스.에이.에스. 비행 스케줄 변경을 로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698A (ko) * 1997-06-06 1999-01-25 사와무라 시꼬 항공기 운항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20030004307A (ko) * 1999-12-09 2003-01-14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비행 관리 시스템의 계층화된 서브시스템 아키텍처
KR20050010936A (ko) * 2002-06-18 2005-01-28 아마데우스 에스.에이.에스. 비행 스케줄 변경을 로딩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1019990006698 A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13B1 (ko) 2020-11-27 2021-03-02 제명수 룰 관리 시스템
KR102224957B1 (ko) 2020-11-27 2021-03-08 피앤제이시스템 주식회사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
KR102224958B1 (ko) 2020-11-27 2021-03-08 피앤제이시스템 주식회사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
WO2023068550A1 (ko) * 2021-10-21 2023-04-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항공기 운행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KR20230057048A (ko) * 2021-10-21 2023-04-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항공기 운행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KR102621144B1 (ko) 2021-10-21 2024-01-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항공기 운행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072A (ko) 201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8527C (en) Flight object communications system
US9697737B2 (en) Automatic real-time flight plan updates
US10121384B2 (en) Aircraft performance predictions
US9424755B2 (en) Flight analogous and projection system
US9443434B2 (en) Flight path discontinuities
AU2008223213B2 (en) Resource scheduling with rule violation feedback
AU2008221285B2 (en) Mulitiple user resource scheduling
US11475719B1 (en) Automated flight operations system
US7069121B1 (en) Computerized method for integration and facilitating single source access to user community messaging transport vehicle location status, vehicle maintenance requirement and service procedures
Burgstaller et al. AIRM-based, fine-grained semantic filtering of notices to airmen
KR101126920B1 (ko)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10614392B1 (en) Graphical flight dashboard display and method
Smith et al. Dealing with the challenges of distributed planning in a stochastic environment: Coordinated contingency planning
Simons A functional analysis of integrated arrival, departure, and surface operations in NextGen
Brinton et al. The surface operations data analysis and adaptation tool: Innovations and applications
US20240151552A1 (en) Flight constraints service
Freedman et al. ATD-2 Integrated Arrival/Departure/Surface (IADS) System Software Version 5. x Releases and Notes
Robinson et al. Forecast and Real-time Status of Airspace Closures in the National Airspace System (NAS)
Freedman et al. ATD-2 Integrated Arrival/Departure/Surface (IADS) System Software Version 5. x Releases and Notes Version 2
Monroe Surface Management System Departure Event Data Analysis
Wampler et al. 10th International Command and Control Research and Technology Symposium The Future of C2 Title: Cognitive Work Aids for C2 Planning: Actionable Information to Support Operational Decision Making Topic: Decisionmaking and Cognitive Science
Diana Can Tarmac Delays Be Minimized? An Application of Multiple-Stage Stochastic Linear Programming with Recourse
Hermes et al. Adapting Information Engineering for the National Airspace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Flight Planning
Rhodes et al. CRCT Capabilities Detailed Functional
Zhao A decision support tool for unplanned maintenance at ramp time including aviation regulations and scheduling disru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