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958B1 -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958B1
KR102224958B1 KR1020200162124A KR20200162124A KR102224958B1 KR 102224958 B1 KR102224958 B1 KR 102224958B1 KR 1020200162124 A KR1020200162124 A KR 1020200162124A KR 20200162124 A KR20200162124 A KR 20200162124A KR 102224958 B1 KR102224958 B1 KR 102224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support
pillar
sha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명수
Original Assignee
피앤제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앤제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앤제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2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은, 항공 스케줄 및 승무원 스케줄을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AVI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비행경로 일정에 승무원(Cockpit, Cabin) 일정을 리스크 최소화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항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항공 운항 계획 시스템 중에서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은 90년대 후반에 적용된 IT 기술을 적용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안정성을 우선시하는 항공산업 특성으로 IT 인프라(OS, DB 등) 발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6920호
본 발명은 비행경로 일정에 승무원(Cockpit, Cabin) 일정을 리스크 최소화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은, 항공 스케줄 및 승무원 스케줄을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항공 스케줄을 생성하여 상기 중앙 서버로 출력하는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은, 스케줄 내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항공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항공 경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항공기에 할당하는 항공계획부; 각 항공사의 항공 계획을 취득하여 상기 항공 경로를 할당하고, 상기 항공기의 사용률을 기반으로 하여 보수 계획을 작성하여 상기 항공계획부로 전송하는 경로배정부; 코드 셰어(Code Share) 파트너 항공사의 일정의 마케팅 항공기의 발행을 관리하는 일정관리부; 및 운용 스케줄을 유지하며 각 항공사의 긴급 또는 일상 운영을 제어하는 항공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항공계획부는, 상기 항공기의 계정, 가능한 공항 슬롯, 장비의 제약 부문, 상기 항공기의 제약, 공항 또는 상기 항공기의 제약, 최소 그라운드 타임 룰, 유지 보수 요구 사항 및 각 항공사의 선호 로테이션을 고려하여 스케쥴 및 항공 경로의 수익성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정관리부는, 상기 파트너 항공사의 일정(SSIM) 파일에서 추출한 항공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코드 셰어 운영을 제어하며, 호스트 항공사의 코드 셰어 항공기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항공관리부는, 긴급 시에 해당 항공사의 비용과 승객의 혼란을 최소화하는 지능형 스케줄링 재조정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항공기의 일정을 재조정하여 제공하고, 상기 항공기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은, 상기 승무원 스케줄을 생성하여 상기 중앙 서버로 출력하는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은, 각 항공사의 승무원 인력 요구 사항을 예측하고, 스케줄 및 상기 스케줄과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는 인력 요구 사항을 결정하는 전략관리부; 동일한 승무원이 동일한 베이스에서 시작하여 종료하도록 할당하는 항공 경로 순서를 나타내고, 법률, 산업 및 회사 내규에 따른 총 비용이 최소화된 페어링을 생성하는 페어링부; 승무원의 활동상황을 할당하고, 기 할당된 활동 상황 통합 및 할당 가능한 승무원의 명단을 산출하는 교번할당부; 및 상기 페어링부에서 생성한 페어링과 상기 교번할당부에서 산출한 명단을 기반으로 하여 승무원의 이동 기록을 추적하고, 승무원에게 항공기 또는 항공 경로의 잠재적 문제를 예측하여 변경 가능성이 있는 사항을 전달하여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추적제어부;를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략관리부는, 장기간에 대한 인력 요구를 운영하는 항공기의 예상 대수의 다양한 요소를 적용하여 인력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교번할당부는, 캘린더를 기준으로 하여 명단을 산출하되, 기 설정된 기준을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전략관리부 또는 상기 페어링부에서 생성한 스케줄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승무원의 명단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추적제어부는, 항공기 일정의 지연, 조정, 취소, 추가 또는 승무원 변경과 같은 변경 가능성이 있는 사항에 의하여 상기 교번할당부에서 할당한 교번의 승무원에게 영향을 주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해당 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상기 페어링부를 통하여 재 페어링하거나 상기 교번할당부를 통하여 교번을 재할당하여 변경된 내용을 승무원에게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은, 상기 중앙 서버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룰 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항공 스케줄 또는 상기 승무원 스케줄과 관련하여 입력된 다양한 룰의 영향과 적법성 여부를 특정 시나리오 운영을 통해 분석하는 규칙관리부; 상기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 및 상기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생성, 갱신 및 조회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관리부; 및 상기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 및 상기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의 보안과 접근 레벨을 통제하는 시스템통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항공 스케줄 및 상기 승무원 스케줄이 출력되는 상기 스크린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화재 방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재 방지 모듈은, 상단에 상기 스크린과 부착하여 고정이 가능하고, 양단에 일정한 너비를 갖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고정부;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상단고정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삽입홈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단고정부의 상기 삽입홈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상단고정부에 고정되고, 하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지지부;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의 일정한 길이는 양단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상기 고정지지부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제1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지지부에 의해 상기 상단고정부의 하단에 서로 수평하게 마련되는 하단고정부; 및 상단이 상기 하단고정부의 하단 중앙에 고정 연결되어 있고, 하단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단 방향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단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재 방지 모듈은, 상기 하단보호부의 비어 있는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화재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상단고정부의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는 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은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삽입부; 상단이 상기 하단고정부의 상기 제1 관통홈으로 관통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삽입부; 양단이 중앙부보다 좁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지지대; 양단이 중앙부분보다 좁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지지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되어 비어 있는 내부에 상기 중앙지지대가 마련되는 외부지지대; 상기 중앙지지대의 내부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에 상기 제1 삽입부의 하단이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고정홈이 마련되어 있는 제1 내부지지대; 상기 중앙지지대의 내부 중앙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에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의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으로 상기 제2 삽입부의 상단이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내부지지대; 상기 중앙지지대의 내부 타단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에 상기 제2 삽입부의 상단이 내부로 관통하도록 상기 제2 삽입부의 상단 너비에 맞추어 제2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3 내부지지대; 상기 중앙지지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내부지지대와 상기 제2 내부지지대의 사이에 존재하고,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제1 스프링부; 및 상기 중앙지지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내부지지대와 상기 제3 내부지지대의 사이에 존재하고,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제2 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삽입부는, 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볼;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볼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단보다 상단의 두께가 더 두꺼운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고, 하단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단기둥부; 및 상기 상단기둥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기둥부 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제3 내부지지대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상단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삽입부는, 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단볼;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단볼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 내측에는 일정한 길이 및 너비를 갖는 내부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하단기둥부; 상기 제1 하단기둥부의 상기 내부홈에 고정 연결되어 있고,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하단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하단기둥부; 상기 제1 하단기둥부의 너비와 같은 너비로 형성되고, 내부로 상기 제2 하단기둥부의 너비와 같은 너비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하단기둥부가 내부로 관통하여 상기 제2 하단기둥부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1 하단보호부; 및 상기 제2 내부지지대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내부로 상기 제2 하단기둥부의 너비와 같은 너비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하단기둥부가 내부로 관통하여 상기 제2 하단기둥부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2 하단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비행경로 일정에 승무원(Cockpit, Cabin) 일정을 다수의 제약 변수 (항공기, 경로, 승무원, 휴가, 자격, 교육, 피로관리 규정)간의 제약조건과 상관관계를 룰베이스로 검증하여 운영상의 리스크 최소화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의 스케줄 조정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의 실시 화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의 기본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화재 방지 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중앙 서버를 통하여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110),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130) 및 룰 관리 시스템(150)을 관리할 수 있다.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110)은 항공 스케줄을 생성하여 중앙 서버로 출력할 수 있고,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130)은 승무원 스케줄을 생성하여 중앙 서버로 출력할 수 있고, 룰 관리 시스템(150)은 중앙 서버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110)은 항공계획부(111), 경로배정부(117), 일정관리부(113) 및 항공관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항공계획부(111)는 스케줄 내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항공 경로를 생성할 수 있고, 항공 경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항공기에 할당할 수 있다.
항공계획부(111)는 항공기의 계정, 가능한 공항 슬롯, 장비의 제약 부문, 항공기의 제약, 공항 또는 항공기의 제약, 최소 그라운드 타임 룰, 유지 보수 요구 사항 및 각 항공사의 선호 로테이션을 고려하여 스케쥴 및 항공 경로의 수익성을 계산할 수 있다.
경로배정부(117)는 각 항공사의 항공 계획을 취득하여 상기 항공 경로를 할당할 수 있고, 항공기의 사용률을 기반으로 하여 보수 계획을 작성하여 항공계획부(111)로 전송할 수 있다.
일정관리부(113)는 코드 셰어(Code Share) 파트너 항공사의 일정의 마케팅 항공기의 발행을 관리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일정관리부(113)는 파트너 항공사의 일정(SSIM) 파일에서 추출한 항공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코드 셰어 운영을 제어할 수 있으며, 호스트 항공사의 코드 셰어 항공기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수 있다.
항공관리부(115)는 운용 스케줄을 유지하며 각 항공사의 긴급 또는 일상 운영을 제어할 수 있다.
항공관리부(115)는 긴급 시에 해당 항공사의 비용과 승객의 혼란을 최소화하는 지능형 스케줄링 재조정 기능을 사용하여 항공기의 일정을 재조정하여 제공할 수 있고, 항공기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130)은 전략관리부(137), 페어링부(131), 교번할당부(133) 및 추적제어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략관리부(137)는 각 항공사의 승무원 인력 요구 사항을 예측하고, 스케줄 및 상기 스케줄과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는 인력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략관리부(137)는 장기간에 대한 인력 요구를 운영하는 항공기의 예상 대수의 다양한 요소를 적용하여 인력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페어링부(131)는 동일한 승무원이 동일한 베이스에서 시작하여 종료하도록 할당하는 항공 경로 순서를 나타낼 수 있고, 법률, 산업 및 회사 내규에 따른 총 비용이 최소화된 페어링을 생성할 수 있다.
교번할당부(133)는 승무원의 활동상황을 할당할 수 있고, 기 할당된 활동 상황 통합 및 할당 가능한 승무원의 명단을 산출할 수 있다.
교번할당부(133)는 캘린더를 기준으로 하여 명단을 산출하되, 기 설정된 기준을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략관리부(137) 또는 페어링부(131)에서 생성한 스케줄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승무원의 명단을 산출할 수 있다.
추적제어부(135)는 페어링부(131)에서 생성한 페어링과 교번할당부(133)에서 산출한 명단을 기반으로 하여 승무원의 이동 기록을 추적할 수 있고, 승무원에게 항공기 또는 항공 경로의 잠재적 문제를 예측하여 변경 가능성이 있는 사항을 전달하여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추적제어부(135)는 항공기 일정의 지연, 조정, 취소, 추가 또는 승무원 변경과 같은 변경 가능성이 있는 사항에 의하여 교번할당부(133)에서 할당한 교번의 승무원에게 영향을 주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해당 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페어링부(131)를 통하여 재 페어링하거나 교번할당부(133)를 통하여 교번을 재할당하여 변경된 내용을 승무원에게 공유할 수 있다.
룰 관리 시스템(150)은 규칙관리부(179), 통합관리부(171) 및 시스템통제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규칙관리부(179)는 항공 스케줄 또는 승무원 스케줄과 관련하여 입력된 다양한 룰의 영향과 적법성 여부를 특정 시나리오 운영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통합관리부(171)는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110) 및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130)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생성, 갱신 및 조회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시스템통제부(175)은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110) 및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130)의 보안과 접근 레벨을 통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의 스케줄 조정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순서도를 따라,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110)을 이용하여 항공 스케줄을 생성하고,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130)을 이용하여 승무원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의 실시 화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중앙 서버를 이용하여 항공 스케줄 및 승무원 스케줄을 관리하는 실시 화면을 확인할 수 있고, 룰 관리가 가능한 화면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항공운항 계획 수립(항공운항 노선, 항공기 수, 승무원 수) 정보를 근거로 노선에 투입되는 승무원의 스케줄을 제약조건을 반영하여 계획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승무원 수와 일수, 패턴 수 등 다양한 항목이 관련될 수 있으며 메모리의 증가 및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개발 표준화와 제약기능 설계 및 구현이 가능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량 데이터 처리 계산 산출 기준은 '(운항경로*승무원 수) * 일수 * 패턴 수 * 속성수'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110)이 적용된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100)을 활용하여, 항공기 일정(Flight scheduling) 편집화면 상에서 업무규칙 체크와 편집이 용이하고 완료된 스케줄을 관련 시스템에 자동 배포 기능과 자동생성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130)이 적용된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100)을 활용하여, 승무원 일정(Crew scheduling) 편집화면 상에서 항공패턴(승무원 편조 작성 패턴)에 맞는 자동생성과 업무규칙 체크와 다양한 편집 기능과 자동생성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100)을 활용하여 운영(항공기/승무원)에서 일별 스케줄을 조정하고 변경내역을 배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항공운항 계획 시스템 이외 타 시스템과 데이터를 연동 시에 메시지 Q에서 데이터를 Mapping이 용이하고, 해당 정보로 신속하게 데이터를 연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의 기본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의 기본 시스템을 확인할 수 있다.
개발 시스템은 크게 2가지로 영역을 나뉠 수 있고, 5가지의 Module과 서브 Module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시스템은 전체 Module을 포함하는 "Suite" 형과 항공기 스케줄 Module, 승무원 스케줄 Module로 구성되는 "Product" 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Linux 계열로 2년~5년 주기로 진화하는 OS 사이클 지원하는 멀티 운영체제 지원 구조를 활용할 수 있고, 전세계적으로 이미 구축된 항공 운항계획시스템은 5년~ 10년 인프라에 종속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3rd 라이브러리(Lib) 적용이 유연한 구조로서, UNICODE, GUI, DB Connect Link Lib를 발전 주기와 개발사 지원 정책을 영향을 최소화하는 내부 표준화 설계를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 메모리 관리 및 모니터링 기능을 부가하여 계획 또는 편집 시에 대량이 데이터를 화면상에서 사용할 경우 메모리의 증가를 제어할 수 있고, 모니터링 하는 컨테이너기술 적용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화재 방지 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 모듈(200)은 상단고정부(270), 고정지지부(250), 하단고정부(230) 및 하단보호부(210)를 포함할 수 있고, 화재방지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단고정부(270)는 상단에 스크린과 부착하여 고정이 될 수 있고, 양단에 일정한 너비를 갖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지지부(250)는 상단 및 하단이 상단고정부(27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미도시)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고정부(270)의 삽입홈(미도시)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단고정부(270)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지지부(250)는 제1 삽입부(257), 제2 삽입부(258), 중앙지지대(251), 외부지지대(2511), 제1 내부지지대(255), 제2 내부지지대(252), 제3 내부지지대(256), 제1 스프링부(253) 및 제2 스프링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부(257)는 상단이 상단고정부(270)의 삽입홈(미도시)으로 삽입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는 구의 형상으로 형성된 삽입볼(2572)을 포함할 수 있고, 하단은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 상단기둥부(2571)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단기둥부(2571)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볼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단보다 상단의 두께가 더 두꺼운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단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 삽입부(257)는 상단기둥부(2571)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기둥부(257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제3 내부지지대(256)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상단보호부(25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삽입부(258)는 상단이 하단고정부(230)의 제1 관통홈(미도시)으로 관통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제2 하단기둥부(2581)를 포함할 수 있고, 하단은 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볼(258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삽입부(258)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볼(2582)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하단 내측에는 일정한 길이 및 너비를 갖는 내부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 제1 하단기둥부(25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단기둥부(2581)는 제1 하단기둥부(2584)의 내부홈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단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2 삽입부(258)는 제1 하단기둥부(2584)의 너비와 같은 너비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로 제2 하단기둥부(2581)의 너비와 같은 너비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제2 하단기둥부(2581)가 내부로 관통하여 제2 하단기둥부(2581)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1 하단보호부(25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삽입부(258)는 제2 내부지지대(252)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내부로 제2 하단기둥부(2581)의 너비와 같은 너비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제2 하단기둥부(2581)가 내부로 관통하여 제2 하단기둥부(2581)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2 하단보호부(25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지지대(251)는 양단이 중앙부보다 좁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지지대(2511)는 양단이 중앙부분보다 좁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앙지지대(251)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되어 비어 있는 내부에 상기 중앙지지대(251)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내부지지대(255)는 중앙지지대(251)의 내부 일단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중앙에 제1 삽입부(257)의 하단이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 제1 고정홈(2551)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내부지지대(252)는 중앙지지대의 내부 중앙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에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의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상기 제2 삽입부의 상단이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고정홈(2521, 252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3 내부지지대(256)는 중앙지지대(251)의 내부 타단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중앙에 제2 삽입부(258)의 상단이 내부로 관통하도록 제2 삽입부(258)의 상단 너비에 맞추어 제2 관통홈(256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스프링부(253) 중앙지지대(25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내부지지대(255)와 제2 내부지지대(252)의 사이에 존재할 수 있고,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스프링과 같은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스프링부(254)는 중앙지지대(25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내부지지대(252)와 제3 내부지지대(256)의 사이에 존재할 수 있고,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스프링과 같은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프링부(253) 및 제2 스프링부(254)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스프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하단고정부(230)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되 중앙의 일정한 길이는 양단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양단에는 고정지지부(250)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제1 관통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고정지지부(250)에 의해 상단고정부(270)의 하단에 서로 수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하단보호부(210)는 상단이 하단고정부(230)의 하단 중앙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하단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단 방향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화재방지부(290)는 하단보호부(210)의 비어 있는 내부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화재방지부(290)의 상단은 하단고정부(230)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하단보호부(210)의 내측면에 맞닿아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화재방지부(290)는 상단덮개부(291), 고정연결부(292), 상단탄성부(2921), 하단탄성부(2923), 상단외관부(295), 상부소화재(2952, 2954), 하부소화재(2956, 2958) 및 하단외관부(299)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지지부(296), 하단외관부(299), 소화재보호부(294) 및 하단부착부(29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단덮개부(291)는 원형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앙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연결부(292)에 의하여 하단고정부(230)의 하단에 맞닿아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연결부(292)는 하단고정부(230)의 하단으로부터 내부에 삽입하여 화재방지부(29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나사 또는 못과 같은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고, 부착함으로써 하단고정부(230)의 하단에 화재방지부(290)를 고정시키는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단외관부(295)는 상단덮개부(291)와 맞닿아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원형판의 형상으로 형성된 상단덮개부(291)의 지름과 동일한 너비를 가지며 상단덮개부(291)의 외측면을 따라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U'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상부소화재(2952, 2954)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하단외관부(299)는 상단외관부(295)의 하단과 맞닿아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외관부(295)보다 작은 너비와 긴 길이를 가지며 'U'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하부소화재(2956, 2958)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단외관부(295)와 하단외관부(299)의 중앙에는 상단외관부(295)와 하단외관부(299)를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내부지지부(296)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내부지지부(296)의 내부에는 상단에 'V'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덮개부(291)에 고정 연결되는 상단탄성부(2921) 및 상단탄성부(2921)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스프링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탄성부(2923)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단탄성부(2921) 및 하단탄성부(2923)는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한 스프링과 같은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스프링을 예로 들었을 뿐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내부지지부(296)는 상단 "G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상단으로는 상단탄성부(2921)가 관통하여 상단덮개부(291)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하단탄성부(2923)가 내부지지부(296)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경우 내부지지부(296)의 개방되어 있는 하단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내부지지부(296)는 화재방지부(290)의 내부에 마련되는 상단탄성부(2921) 및 하단탄성부(2923)를 상부소화재(2952, 2954) 및 하부소화재(2956, 2958)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지지부(296)의 하단에는 내부지지부(296)와 수직 방향으로 하단외관부(299)의 내측 너비에 맞춘 길이로 형성되어 하단외관부(299)의 내측 양단에 가로 방향으로 맞닿아 고정되어 있는 소화재보호부(294)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소화재보호부(294)는 중앙 부분에는 하단탄성부(2923)의 너비와 같은 너비로 형성되어 하단탄성부(2923)를 감싸는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소화재보호부(294)는 하단탄성부(2923)를 감싸고 있는 중앙 부분에 의하여 상단탄성부(2921) 및 하단탄성부(2923)가 수축함에 따라 소화재보호부(294)의 중앙 부분은 상단탄성부(2921) 및 하단탄성부(2923)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굽혀질 수 있고, 소화재보호부(294)의 양단은 반대로 상단탄성부(2921) 및 하단탄성부(2923)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소화재보호부(294)의 중앙 부분이 상단탄성부(2921) 및 하단탄성부(2923)의 이동 방향인 상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소화재보호부(294)의 양 끝 부분은 하단으로 굽어질 수 밖에 없고, 소화재보호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던 상부소화재(2952, 2954) 및 하부소화재(2956, 2958)가 하단 방향으로 쏟아질 수 있다.
하단부착부(298)는 하단보호부(210)의 내부에 맞닿아 하단보호부(21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하단보호부(210)를 분리함으로 인하여 하단부착부(298)도 제거될 수 있다.
하단보호부(210)는 사용자가 일정한 힘을 가하여 하단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 인하여 하단고정부(23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하단보호부(210)가 분리됨에 따라 하단부착부(298)도 화재방지부(29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단외관부(295) 및 하단외관부(299)도 분리되는 힘에 의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단탄성부(2921) 및 하단탄성부(2923)는 하단부착부(298)와 부착되어 있는 하단보호부(210)를 사용자가 분리함으로 인하여 상단외관부(295)와 하단외관부(299)가 하단보호부(210)의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고, 이 때 하단보호부(210)를 당기는 힘으로 인하여 상단외관부(295) 및 하단외관부(299)가 하단보호부(210)가 당겨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단고정부(230)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상단덮개부(291)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상단탄성부(2921)는 상단외관부(295) 및 하단외관부(299)의 이동으로 인한 반동으로 수축할 수 있고, 상단탄성부(2921)가 수축함에 따라 하단탄성부(2923)도 수축하여 소화재보호부(294)의 중앙 부분이 굽어져 상단외관부(295)와 하단외관부(299)의 내부에 존재하던 상부소화재(2952, 2954) 및 하부소화재(2956, 2958)가 외부로 분출될 수 있다.
화재방지부(290)는 터질 때 발생하는 반동이나 상단탄성부(2921) 및 하단탄성부(2923)가 수축할 때 발생하는 반동에 의해 화재방지부(290)로부터 분출되는 상부소화재(2952, 2954) 및 하부소화재(2956, 2958)는 보다 넓은 공간에 골고루 분출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

Claims (2)

  1. 중앙 서버; 및
    승무원 스케줄을 생성하여 상기 중앙 서버로 출력하는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은,
    각 항공사의 승무원 인력 요구 사항을 예측하고, 스케줄 및 상기 스케줄과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는 인력 요구 사항을 결정하는 전략관리부;
    동일한 승무원이 동일한 베이스에서 시작하여 종료하도록 할당하는 항공 경로 순서를 나타내고, 법률, 산업 및 회사 내규에 따른 총 비용이 최소화된 페어링을 생성하는 페어링부;
    승무원의 활동상황을 할당하고, 기 할당된 활동 상황 통합 및 할당 가능한 승무원의 명단을 산출하는 교번할당부; 및
    상기 페어링부에서 생성한 페어링과 상기 교번할당부에서 산출한 명단을 기반으로 하여 승무원의 이동 기록을 추적하고, 승무원에게 항공기 또는 항공 경로의 잠재적 문제를 예측하여 변경 가능성이 있는 사항을 전달하여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추적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략관리부는,
    장기간에 대한 인력 요구를 운영하는 항공기의 예상 대수의 다양한 요소를 적용하여 인력 요구 사항을 결정하고,
    상기 교번할당부는,
    캘린더를 기준으로 하여 명단을 산출하되, 기 설정된 기준을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전략관리부 또는 상기 페어링부에서 생성한 스케줄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승무원의 명단을 산출하고,
    상기 추적제어부는,
    항공기 일정의 지연, 조정, 취소, 추가 또는 승무원 변경과 같은 변경 가능성이 있는 사항에 의하여 상기 교번할당부에서 할당한 교번의 승무원에게 영향을 주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해당 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상기 페어링부를 통하여 재 페어링하거나 상기 교번할당부를 통하여 교번을 재할당하여 변경된 내용을 승무원에게 공유하고,
    상기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은,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에서 생성한 항공 스케줄 및 상기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에서 생성한 승무원 스케줄이 출력되는 스크린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화재 방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 방지 모듈은,
    상단에 상기 스크린과 부착하여 고정이 가능하고, 양단에 일정한 너비를 갖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고정부;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상단고정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삽입홈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단고정부의 상기 삽입홈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상단고정부에 고정되고, 하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지지부;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의 일정한 길이는 양단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상기 고정지지부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제1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지지부에 의해 상기 상단고정부의 하단에 서로 수평하게 마련되는 하단고정부;
    상단이 상기 하단고정부의 하단 중앙에 고정 연결되어 있고, 하단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단 방향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단보호부; 및
    상기 하단보호부의 비어 있는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화재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상단고정부의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는 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은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삽입부;
    상단이 상기 하단고정부의 상기 제1 관통홈으로 관통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삽입부;
    양단이 중앙부보다 좁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지지대;
    양단이 중앙부분보다 좁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지지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되어 비어 있는 내부에 상기 중앙지지대가 마련되는 외부지지대;
    상기 중앙지지대의 내부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에 상기 제1 삽입부의 하단이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고정홈이 마련되어 있는 제1 내부지지대;
    상기 중앙지지대의 내부 중앙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에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의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으로 상기 제2 삽입부의 상단이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내부지지대;
    상기 중앙지지대의 내부 타단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에 상기 제2 삽입부의 상단이 내부로 관통하도록 상기 제2 삽입부의 상단 너비에 맞추어 제2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3 내부지지대;
    상기 중앙지지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내부지지대와 상기 제2 내부지지대의 사이에 존재하고,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제1 스프링부; 및
    상기 중앙지지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내부지지대와 상기 제3 내부지지대의 사이에 존재하고,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제2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제1 삽입부는,
    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볼;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볼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단보다 상단의 두께가 더 두꺼운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고, 하단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단기둥부; 및
    상기 상단기둥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기둥부 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제3 내부지지대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상단보호부;를 포함하고,
    제2 삽입부는,
    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단볼;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단볼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 내측에는 일정한 길이 및 너비를 갖는 내부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하단기둥부;
    상기 제1 하단기둥부의 상기 내부홈에 고정 연결되어 있고,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하단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하단기둥부;
    상기 제1 하단기둥부의 너비와 같은 너비로 형성되고, 내부로 상기 제2 하단기둥부의 너비와 같은 너비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하단기둥부가 내부로 관통하여 상기 제2 하단기둥부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1 하단보호부; 및
    상기 제2 내부지지대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내부로 상기 제2 하단기둥부의 너비와 같은 너비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하단기둥부가 내부로 관통하여 상기 제2 하단기둥부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2 하단보호부;를 포함하는, 항공 정보 관리 시스템.
  2. 삭제
KR1020200162124A 2020-11-27 2020-11-27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 KR102224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124A KR102224958B1 (ko) 2020-11-27 2020-11-27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124A KR102224958B1 (ko) 2020-11-27 2020-11-27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958B1 true KR102224958B1 (ko) 2021-03-08

Family

ID=7518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124A KR102224958B1 (ko) 2020-11-27 2020-11-27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048A (ko) 2021-10-21 2023-04-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항공기 운행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920B1 (ko) 2010-05-06 2012-03-20 인천국제공항공사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17037631A (ja) * 2015-05-14 2017-02-16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The Boeing Company 乗務員ペアリング信頼性分析器
KR101943368B1 (ko) * 2018-09-14 2019-01-30 (주)한신이앤씨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JP6483552B2 (ja) * 2014-07-18 2019-03-13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The Boeing Company 近接乗り物データ送信
KR102045759B1 (ko) * 2019-07-26 2019-11-18 남숙희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920B1 (ko) 2010-05-06 2012-03-20 인천국제공항공사 항공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일리 스케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6483552B2 (ja) * 2014-07-18 2019-03-13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The Boeing Company 近接乗り物データ送信
JP2017037631A (ja) * 2015-05-14 2017-02-16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The Boeing Company 乗務員ペアリング信頼性分析器
KR101943368B1 (ko) * 2018-09-14 2019-01-30 (주)한신이앤씨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102045759B1 (ko) * 2019-07-26 2019-11-18 남숙희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048A (ko) 2021-10-21 2023-04-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항공기 운행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stan et al. An evolutionary outlook of air traffic flow management techniques
Atkin et al. On-line decision support for take-off runway scheduling with uncertain taxi times at London Heathrow airport
KR20180052072A (ko) 항공기 정비 방법 및 이의 편성시스템과 계산장비
KR102224958B1 (ko) 승무원 스케줄링 시스템
KR102224957B1 (ko) 항공 스케줄링 시스템
Hillestad et al. Models and techniques for recoverable item stockage when demand and the repair process are nonstationary: Part I: Performance measurement
KR102222513B1 (ko) 룰 관리 시스템
Smith et al. Strategies for designing distributed systems: case studies in the design of an air traffic management system
Villa Computational Modeling of Monitoring within Human-Autonomy Teams with Novel Delegations of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Fernandes et al. Human-centered design to support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in airport surface management
Smith et al. Distributed work in the National Airspace System: Traffic flow management and airline operations control
Stankevich A Model for the Operating Management of the Aircraft Maintenance Composition
Simons A functional analysis of integrated arrival, departure, and surface operations in NextGen
Leftwich et al. Advancing Combat Support to Sustain Agile Combat Employment Concepts: Integrating Global, Theater, and Unit Capabilities to Improve Support to a High-End Fight
Smith et al. Distributed Work in the National Airspace System
Prevot et al. Functional Allocation for Ground-Based Automated Separation Assurance in NextGen
Tripp et al. A conceptual framework for more effectively integrating combat support capabilities and constraints into Contingency Planning and Execution
Paladugu et al. Evaluating Envisioned Air Mobility Architectures Using Computational Simulations of Work
Smith et al. Airport surface management as a distributed supervisory control task
Lyle The effect of air traffic control intervention on reported altitude deviations during optimized profile descent arrival procedures
Simons et al. A high-level architecture framework for Air Traffic Management (ATM) Operations
Tripp et al. DESIGN OF A CONTROL ROOM FOR THE AIR FORCE LOGISTICS COMMAND lpar; AFLC) COMMAND, CONTROL, AND COMMUNICATION AND INTELLIGENCE (C3I) SYSTEM
Adams et al. Modeling Alternative Air Traffic Flow Management Concepts
Krozel et al. On-Demand Special Use Airspace
Martin et al. Impact of Individual Augmentation Policy on Navy Reserve Force Readi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