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599B1 -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중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중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599B1
KR101125599B1 KR1020090108001A KR20090108001A KR101125599B1 KR 101125599 B1 KR101125599 B1 KR 101125599B1 KR 1020090108001 A KR1020090108001 A KR 1020090108001A KR 20090108001 A KR20090108001 A KR 20090108001A KR 101125599 B1 KR101125599 B1 KR 101125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w
measurement data
digital
weight
digital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429A (ko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주식회사 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주식회사 카스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090108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5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37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t least one swivelling wheel, e.g. cas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01G23/3728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with wireless means
    • G01G23/3735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with wireless means using a digital network
    • G01G23/3742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with wireless means using a digital network using a mobile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중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휠체어 프레임,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연결되고 회전가능한 한 쌍의 메인휠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휠로 이루어진 접이식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휠체어는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일측면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메인휠 중 어느 하나의 휠의 중심부인 제 1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1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로드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타측면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메인휠 중 다른 하나의 휠의 중심부인 제 2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2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2 로드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전방연결부와 상기 서브휠의 중심부인 제 3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3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3 로드셀;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로부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SigW3)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SigW3)에 대응하는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로 변환하는 A/D 컨버팅모듈 및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이용하여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연산하는 체중연산모듈을 포함하는 체중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이식 휠체어, 체중계, 로드셀, A/D 컨버터,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중 측정 방법 {SYSTEM FOR MEASUREMENT OF BODY-WEIGHT USING FOLDABLE WHEEL-CHAIR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중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이식 휠체어에 적용한 로드셀을 이용하여 체중을 측정하고, 정지상태 측정여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통해서 측정 오차를 줄여주는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중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은 휠체어에 탑승하여 이동한다. 휠체어는 크게 전동식 휠체어와 수동식 휠체어로 구별되는데, 전동식 휠체어의 경우 휠체어의 자체에 동력장치를 구비하여 탑승자나 외부의 동력제공이 없어도 이동할 수 있는 방식이고, 수동식 휠체어의 경우에는 탑승자나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해야만 이동할 수 있는 방식의 휠체어이다.
수동식 휠체어의 경우에는 휠체어의 차체를 접을 수 있는 것과 접을 수 없는 것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휠체어가 많이 이용되는데, 이는 장애인이 차량 등을 통한 이동하거나 가정 등에서 휠체어를 보관하고자 할 때 휩체어의 차체를 접어서 보관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은 대부분 단독으로 직립이 불가능하므로, 체중측정시 체중계에 올라서서 체중을 측정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장애인의 체중측정을 위해서는 외부의 도움이 필요하고, 외부 도움에 의해서 장애인의 체중을 측정할 경우에는 장애인의 체중분산으로 오차가 발생한다. 이런 오차 방지를 위해서, 일반 휠체어에 탑승한 채로 체중을 측정하거나 의자 등에 앉은 상태에서 체중을 측정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중계로는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 체중을 측정하는 것이 어려웠다.
휠체어를 이용한 체중 측정은 휠체어에 탑승한 사용자가 활동적일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측정값과 실제값 사이에 큰 오차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휠체어를 이용한 체중 측정에 신뢰성 문제가 있었다.
한편, 휠체어에 체중 측정 센서를 장착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휠체어 프레임의 중앙부에 측정판 형태로 체중 측정 센서를 형성하게 된다. 접이식 휠체어의 경우에 휠체어 프레임의 중앙부에 측정판 형태의 체중 측정 센서를 형성하게 되면, 휠체어 프레임이 접힘으로 인하여 체중측정센서가 파손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접이식 휠체어의 휠체어 프레임과 한쌍의 메인휠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액슬부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휠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액슬부를 관통하여 로드셀을 각각 삽입함으로써, 휠체어 프레임을 접더라도 센서부가 파손되지 않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중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로드셀로부터 발생된 아날로그측정신호가 활동상태에서 발생한 것인지 정지상태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정지상태측정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정지상태에 측정된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정결과데이터로 출력함으로써, 오차발생을 줄여주기 위한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중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은, 휠체어 프레임,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연결되고 회전가능한 한 쌍의 메인휠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휠로 이루어진 접이식 휠체어는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일측면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메인휠 중 어느 하나의 휠의 중심부인 제 1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1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로드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타측면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메인휠 중 다른 하나의 휠의 중심부인 제 2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2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2 로드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전방연결부와 상기 서브휠의 중심부인 제 3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3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3 로드셀;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로부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SigW3)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SigW3)에 대응하는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로 변환하는 A/D 컨버팅모듈 및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이용하여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연산하는 체중연산모듈을 포함하는 체중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은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이 빔형태의 스트레인 게인지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은 상기 센서부가 사용자의 온(On) 설정에 따라 측정개시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상기 측정개시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에서 측정된 상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SigW3)를 증폭하는 직류증폭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은 상기 체중연산모듈이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Figure 112009068932180-pat00001
에 대입하여 상기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은 상기 체중측정부로부터 상기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은 상기 체중측정부가 정지상태측정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정지상태측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은, 상기 정지상태측정모듈이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로써, 제 Tm 시간에 각각의 제 m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DigW3(Tm))를 수신하고, 상기 제 Tm 시간보다 이미 설정된 일정시간(Td)이 지연된 제 Tm +1 시간에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수신하는 신호기울기값연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은,상기 정지상태측정모듈이 상기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에 의해서 상기 각각의 제 m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DigW3(Tm))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Figure 112009068932180-pat00002
에 의해서 각각의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1) 내지 DSMAn(Tm +1))으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은,상기 정지상태측정모듈이 상기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에 의해서 상기 각각의 제 m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DigW3(Tm))를 산술평균하여 제 m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를 산출하고,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산술평균하여 제 m+1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1)를 산출하며, 상기 제 m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및 상기 제 m+1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1) 를
Figure 112009068932180-pat00003
에 의해서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1))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은, 상기 정지상태측정모듈이 상기 제 Tm +1 시간에 상기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에 의해서 연산된 상기 각각의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 +1) 내지 DSMA3(Tm +1))이 이미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상기 체중연산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 Tm +1 시간보다 상기 일정시간(Td) 지연된 제 Tm +2 시간에 각각의 제 m+2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DigW3(Tm +2))를 수신받도록 상기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로 회귀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정지상태판단모듈; 및 상기 정지상태판단모듈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상기 정지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상기 체중연산모듈로 출력하는 디지털측정데이터출력모듈;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은, 상기 정지상태측정모듈이 상기 제 Tm +1 시간에 상기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에 의해서 연산된 상기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1))이 이미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상기 체중연산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 Tm +1 시간보다 상기 일정시간(Td) 지연된 제 Tm +2 시간에 각각의 제 m+2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DigW3(Tm +2))를 수신받도록 상기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로 회귀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정지상태판단모듈; 및 상기 정지상태판단모듈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를 상기 정지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상기 체중연산모듈로 출력하는 디지털측정데이터출력모듈;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은, 휠체어 프레임,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연결되고 회전가능한 한 쌍의 메인휠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휠로 이루어진 접이식 휠체어에서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일측면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메인휠 중 어느 하나의 휠의 중심부인 제 1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1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로드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타측면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메인휠 중 다른 하나의 휠의 중심부인 제 2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2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2 로드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전방연결부와 상기 서브휠의 중심부인 제 3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3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3 로드셀,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로부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를 이용하여 체중결과데이터를 출력하는 체중측정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로부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SigW3)를 측정하는 제 1 단계(S100);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SigW3)를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단계(S210)를 거쳐서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산출하는 제 2 단계(S200); 및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이용하여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연산하는 제 3 단계(S300);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은, 상기 제 1 단계(S100)에서 사용자의 온(On) 설정에 의해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측정개시신호를 발생하는 측정개시신호 발생단계(S110); 상기 센서부가 상기 측정개시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에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전원 공급단계(S130); 및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발생된 각각 아날로그측정신호를 측정하는 아날로그측정신호 측정단계(S150);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은, 상기 제 2 단계(S200)에서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이용하여 정지상태판단을 수행하여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산출하는 정지상태측정단계(S23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은,상기 정지상태측정단계(S230)에서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로써, 제 Tm 시간에 각각의 제 m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DigW3(Tm))를 수신하고, 상기 제 Tm 시간보다 이미 설정된 일정시간(Td)이 지연된 제 Tm +1 시간에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1))를 수신하는 수신단계(S231);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제 m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DigW3(Tm))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Figure 112009068932180-pat00004
에 의해서 각각의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 +1) 내지 DSMAn(Tm +1))을 연산하는 연산단 계(S233);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 +1) 내지 DSMA3(Tm+1))이 이미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는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면 활동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정지상태판단단계(S235);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1))를 상기 정지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상기 제 3 단계로 출력하는 출력단계(S237); 및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상기 활동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가 수신된 상기 제 Tm +1 시간보다 이미 설정된 일정시간(Td) 지연된 제 Tm +2 시간에 제 m+2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DigW3(Tm+2))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단계(S231);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은, 상기 정지상태측정단계(S230)에서,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로써, 제 Tm 시간에 각각의 제 m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DigW3(Tm))를 수신하고, 상기 제 Tm 시간보다 이미 설정된 일정시 간(Td)이 지연된 제 Tm +1 시간에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1))를 수신하는 수신단계(S231);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제 m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DigW3(Tm))를 산술평균하여 제 m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를 산출하고,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산술평균하여 제 m+1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1)를 산출하며, 상기 제 m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및 상기 제 m+1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1)를
Figure 112009068932180-pat00005
에 의해서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1))을 연산하는 연산단계(S233);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1))이 이미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는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면 활동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정지상태판단단계(S235);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상기 정지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상기 제 3 단계로 출력하는 출력단계(S237); 및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 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상기 활동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가 수신된 상기 제 Tm +1 시간보다 이미 설정된 일정시간(Td) 지연된 제 Tm +2 시간에 제 m+2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DigW3(Tm +2))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단계(S231);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S300)에서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Figure 112009068932180-pat00006
에 의해서 상기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연산하는 측정결과데이터 연산단계(S31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S300) 이후에,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체중측정부로부터 상기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S40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 중 측정 방법은, 체중측정부에 다수의 디지털측정데이터가 활동상태에서 발생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정지상태측정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정지상태에 측정된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를 측정결과데이터로 산출함으로써, 오차 발생을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접이식 휠체어 프레임과 한 쌍의 메인휠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휠을 연결하는 각각의 액슬축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빔형태의 로드셀을 구성함으로써, 휠체어 프레임이 접힐 경우에도 로드셀의 파손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드셀이 구비된 접이식 휠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1b를 참조하면, 로드셀이 구비된 접이식 휠체어는 접이식 휠체어(100) 및 다수의 로드셀(200)을 포함한다.
접이식 휠체어(100)는 휠체어 프레임(110), 한 쌍의 메인휠(131, 133), 적어도 하나의 서브휠(135,13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다수의 로드셀이 구비된 3륜 접이식 휠체어를 도시하고 있다.
휠체어의 프레임(110)은 접이식 휠체어로 형성된다. 한 쌍의 메인휠(131, 133)중 어느 하나의 휠(131)은 바람직하게는 휠체어의 프레임(110)의 일측면연결부와 한 쌍의 메인휠(131, 133) 중 어느 하나의 휠(131)의 중심인 제 1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1 액슬축에 의해 연결되고, 휠체어의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전체하중 중 분산된 일부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한 쌍의 메인휠(131, 133) 중 다른 하나의 휠(133)은 휠체어의 프레임(110)의 타측면연결부와 한 쌍의 메인휠 중 다른 하나의 휠(133)의 중심인 제 2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2 액슬축에 의해 연결되고, 휠체어의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전체하중 중 분산된 일부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휠(135)은 휠체어의 프레임(110)의 전방연결부와 서브휠(135)의 중심인 제 3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3 액슬축에 의해서 휠체어의 프레임(110)과 연결되고, 휠체어의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전체 하중 중 분산된 일부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휠체어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 1 액슬축 내지 제 3 액슬축에 균등하게 분산되어 가해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로드셀(200)은 제 1 로드셀(210), 제 2 로드셀(230) 및 제 3 로드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로드셀(210)은 바람직하게는 휠체어의 프레임(110)의 일측면연결부와 한쌍의 메인휠(131, 133)중 어느 하나의 휠(131)의 중심부인 제 1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1 액슬축을 관통하여 빔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로드셀(230)은 휠체어의 프레임(110)의 타측면연결부와 한쌍의 메인휠(131, 133)중 다른 하나의 휠(133)의 중심부인 제 2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2 액슬축을 관통하여 빔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로드셀(250)은 휠체어의 프레임(110)의 전방연결부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휠(135)의 중심부인 제 3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3 액슬축을 관통하여 빔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휠체어 프레임(110)에 전체하중이 가해지면, 제 1 로드셀(210) 내지 제 3 로드셀(250)에 전체하중이 분산되어 가해진다. 분산된 하중은 제 1 로드셀(210) 내지 제 3 로드셀(250)의 표면에 부착된 제 1 스트레인게인지 내지 제 3 스트레인게인지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킨다.
후술하는 전원공급장치(330)가 제 1 로드셀(210) 내지 제 3 로드셀(250)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면 제 1 로드셀(210)에서는 제 1 아날로그신호(Sig1), 제 2 로드셀(230)에서는 제 2 아날로그신호(Sig2) 및 제 3 로드셀(250)에서는 제 3 아날로그신호(Sig3)가 발생하게 된다.
도 1b는 다수의 로드셀이 구비된 4륜 접이식 휠체어를 도시하고 있다.
한 쌍의 메인휠(131, 133)의 구성은 도 1a에서 설명한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 쌍의 서브휠(135, 137)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휠체어 프레임(110)의 전방연결부는 제 1 전방연결부와 제 2 전방연결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휠체어 프레임(110)의 전방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 1 전방연결부와 제 2 전방연결부에서 균일하게 분산되는 지점으로 설계한다.
한 쌍의 서브휠(135, 137)중 어느 하나의 서브휠(135)은 제 1 전방연결부와 한 쌍의 서브휠(135, 137) 중 어느 하나의 서브휠(135)의 중심인 제 3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3 액슬축에 의해서 휠체어 프레임(110)과 연결되고, 휠체어의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전체 하중 중 분산된 일부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한 쌍의 서브휠(135, 137)중 다른 하나의 서브휠(137)은 제 2 전방연결부와 한 쌍의 서브휠(135, 137) 중 다른 하나의 서브휠(137)의 중심인 제 4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4 액슬축에 의해서 휠체어 프레임(110)과 연결되고, 휠체어의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전체 하중 중 분산된 일부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휠체어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 1 액슬축 내지 제 4 액슬축에 균등하게 분산되어 가해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륜 접이식 휠체어에 구비되는 다수의 로드셀(200)은 3륜 접이식 휠체어에 구비되는 다수의 로드셀(200)인 제 1 로드셀(210) 내지 제 3 로드셀(250) 이외에 제 4 로드셀(2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4륜 접이식 휠체어의 경우, 휠체어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하중은 제 1 로드셀(210) 내지 제 4 로드셀(270)에 분산되어 가해진다. 상술한 바대로 제 1 로드셀(210) 내지 제 4 로드셀(270)에서는 역시 제 1 아날로그신호(Sig1) 내지 제 4 아날로그신호(Sig4)가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의 센서부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부(300)는 스위치(310), 전원공급장치(330) 및 직류증폭장치(3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바람직하게는 휠체어 프레임(110)에 추가적으로 설계되는 손잡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계되거나, 손잡이부의 외부에 부착되어 설계될 수 있다.
스위치(310)는 휠체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온(On) 또는 오프(Off) 설정을 할 수 있는 기계식 또는 전기식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온(On)설정에 의해서 스위치(310)는 측정개시신호를 발생하고, 측정개시신호를 전원공급장치(330)에 전달한다.
전원공급장치(330)는 스위치(310)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310)의 측정개시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직류 또는 교류전압을 발생하는 배터리(Batte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310)으로부터 측정개시신호를 수신하면 10 volt 내외의 정밀한 동작전원을 다수의 로드셀(200)로 공급하게 된다.
직류증폭장치(350)는 로우 레벨의 직류전압을 하이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증폭하는 OP Amp등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증폭기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로드셀(210) 내지 제 3 로드셀(250)에서 발생된 제 1 아날로그신호(Sig1) 내지 제 3 아날로그신호(Sig3)는 로우 레벨의 전압이다. 4륜 접이식 휠체어의 경우에는 제 4 로 드셀(270)에서 발생된 제 4 아날로그신호(Sig4)는 역시 로우 레벨의 전압이다.
직류증폭장치(350)가 제 1 아날로그신호(Sig1) 내지 제 3 아날로그신호(Sig3)를 하이 레벨의 제 1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제 3 아날로그측정신호(SigW3)으로 증폭하여 체중측정부(400)로 전달하게 된다. 4륜 접이식 휠체어의 경우에는 제 4 로드셀에서 발생된 제 4 아날로그신호(Sig4)를 역시 증폭하여 체중측정부(400)로 전달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의 체중측정부(4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체중측정부(400)는 A/D컨버팅모듈(410), 정지상태측정모듈(430) 및 체중연산모듈(450)을 포함할 수 있다.
체중측정부(400)는 바람직하게는 휠체어 프레임(110)에 추가적으로 설계되는 손잡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계되거나, 손잡이부의 외부에 부착되어 설계될 수도 있다.
A/D 컨버팅모듈(410)은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제 1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제 3 아날로그측정신호(SigW3)를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팅을 수행하여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로 변환한다. 4륜식의 경우에는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제 4 디지털측정데이 터(DigW4)로 변환된다.
정지상태측정모듈(430)은 신호기울기연산값모듈(431), 정지상태판단모듈(433) 및 디지털측정데이터출력모듈(435)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431)이 제 Tm 시간에 제 m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를 수신하고, 제 Tm 시간보다 이미 설정된 일정시간(Td) 지연된 제 Tm +1 시간에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를 수신한다.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431)이 제 Tm 시간에 수신된 제 m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와 제 Tm +1 시간에 수신된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를 다음 수학식 1에 의해서 제 1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1))으로 산출하게 된다.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제 m 번째 제 2 디지털측정데이터(DigW2(Tm)) 및 제 m+1 번째 제 2 디지털측정데이터(DigW2(Tm+1))을 이용해서 제 2 개별신호기울기값(DSMA2(Tm+1))으로 산출한다. 또한, 제 m 번째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및 제 m+1 번째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을 이용해서 제 3 개별신호기울기값(DSMA3(Tm +1))으로 산출한다.
Figure 112009068932180-pat00007
(여기서 n은 자연수이고,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n 은 3으로 3륜식 휠체어의 경우를 나타낸다.)
정지상태판단모듈(433)이 제 1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 +1)) 내지 제 3 개별신호기울기값(DSMA3(Tm+1))을 이미 설정된 임계치와 개별적으로 비교하여 정지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 1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 +1)) 내지 제 3 개별신호기울기값(DSMA3(Tm +1))이 임계치 이하이면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는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를 디지털측정데이터출력모듈(435)로 전달한다.
반면, 제 1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 +1)) 내지 제 3 개별신호기울기값(DSMA3(Tm +1))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는 활동상태에서 측정된 것 으로 판단하고,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431)이 제 Tm +1 시간보다 일정시간(Td) 지연된 제 Tm +2 시간에 제 m+2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2))를 수신한다.
신호기울기연산값모듈(431)이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와 제 m+2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를 상술한 수학식 1 에 의해서 제 Tm +2 시간에 제 1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2))를 산출하고, 제 m+2 번째 제 2 디지털측정데이터(DigW2(Tm +1)) 및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에 대해서도 동일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제 Tm +2 시간에 제 2 개별신호기울기값(DSMA2(Tm +2)) 및 제 3 개별신호기울기값(DSMA3(Tm+2))을 산출한다.
제 Tm +2 시간에 제 1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 +2)) 내지 제 3 개별신호기울기값(DSMAn(Tm+2))이 임계치 이하이면 제 m+2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2))가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 m+2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2))를 디지털측정데이터출력모듈(435)로 전달한다.
만일, 제 Tm +2 시간에 제 1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 +2)) 내지 제 3 개별신호기울기값(DSMAn(Tm+2))이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 Tm +3 시간에 제 1 개별신호 기울기값(DSMA1(Tm +3)) 내지 제 3 개별신호기울기값(DSMAn(Tm+3))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다시 수행하여 이를 임계치와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만일 제 Tm +1 시간에 수신된 디지털측정데이터가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디지털측정데이터출력모듈(435)은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된 제 Tm +1 시간에 수신된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1))를 후술하는 체중연산모듈(450)으로 출력하게 된다.
또 다른 방식의 정지상태판단 알고리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431)이 제 Tm 시간에 수신한 제 m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를 산술평균하여 제 m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를 산출하고, 제 Tm +1 시간에 수신한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를 산술평균하여 제 m+1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1)를 산출한다.
상기 제 m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및 상기 제 m+1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1)를 다음 수학식 2 에 의해서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1))로 산출한다.
Figure 112009068932180-pat00008
정지상태판단모듈(433)이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1))를 이미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정지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즉,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1))이 임계치 이하이면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는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를 디지털측정데이터출력모듈(435)로 전달한다.
반면,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1))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는 활동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431)이 제 Tm +2 시간에 제 m+2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2))를 수신한다.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431)이 제 m+2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2))를 산술평균하여 제 m+2 번 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2)를 산출하고, 제 m+1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1)과 제 m+2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2)를 수학식 2 에 의해서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 +2))으로 산출하고 이를 정지상태판단모듈(433)이 다시 판단하게 된다.
이때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2))이 임계치 이하이면 제 m+2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2))가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 m+2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2))를 디지털측정데이터출력모듈(435)로 전달한다.
만일,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2))이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431)이 제 Tm +3 시간에 제 m+3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3))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3))를 수신하고 이를 산술평균하여 얻은 제 m+3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3)와 제 m+2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2)를 이용하여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3))을 새롭게 산출하여 이를 임계치와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즉, 평균신호기울기값(DSMA)이 임계치 이하가 될 때까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디지털측정데이터출력모듈(435)은 정지상태판단모듈(433)이 정지상태에서 측정한 것으로 판단한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 지털측정데이터(DigW3(Tm+1))를 후술하는 체중연산모듈(450)으로 출력하게 된다.
체중연산모듈(450)은 정지상태측정모듈(430)에서 산출된 제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를 다음 수학식 3에 의해서 산술평균하여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연산한다.
Figure 112009068932180-pat00009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를 경우에는 수학식 3은 3개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DigW3(Tm +2))를 산술평균하도록 처리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만일 3개 이상의 n개의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제 n 디지털측정데이터(DigWn)를 측정한 경우에는 다음 수학식 3에 의해서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연산한다.
Figure 112009068932180-pat0001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5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500)는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510), 제어모듈(530), 저장모듈(550), LCD모듈(570) 및 유무선통신모듈(59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510)이 체중연산모듈(450)로부터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수신받고, 제어모듈(5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저장모듈(550)에 저장하게 된다. 제어모듈(530)은 출력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LCD모듈(57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500)는 유무선통신모듈(590)을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휴대 단말기(미도시)와 bluetooth, Zigbee등의 무선통신방식으로 측정결과데이터(Weight)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센서부(300)가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를 측정하는 제 1 단계(S100), 체중측정부(400)가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를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로 산출하는 제 2 단계(S200), 체중측정부(400)가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정결과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3 단계(S300) 및 디스플레이부(500)가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디스플레이창에 출력하는 제 4 단계(S400)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센서부(300)가 상기 휠체어 프레임(110)에 하중이 가해지면 제 1 로드셀(210) 내지 제 3 로드셀(250)로부터 제 1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제 3 아날로그측정신호(SigW3)를 측정하는 제 1 단계(S100)를 수행한다.
체중측정부(400)가 제 1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제 3 아날로그측정신호(SigW3)를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로 변환하여 산출하는 제 2 단계(S200)를 수행한다.
체중측정부(400)가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를 이용하여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 3 단계(S300)를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500)가 체중측정부(400)로부터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수신받아서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S400)를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의 구체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제 1 단계(S100)는 측정개시신호 발생단계(S110), 동작전원 공급단계(S130) 및 아날로그측정신호 측정단계(S150)를 더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부(300)가 사용자의 온(On) 설정에 의해서 제 1 로드셀(210) 내지 제 3 로드셀(25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측정개시신호를 발생하는 측정개시신호 발생단계(S110)를 더 수행한다.
센서부(300)가 측정개시신호에 의해서 제 1 로드셀(210) 내지 제 3 로드셀(25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전원 공급단계(S130)를 더 수행한다.
센서부(300)가 제 1 로드셀(210) 내지 제 3 로드셀(25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발생된 제 1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제 3 아날로그측정신호(SigW3)를 측정하는 아날로그측정신호 측정단계(S150)를 더 수행한다.
제 2 단계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단계(S210) 및 정지상태측정단계(S230)를 더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체중측정부(400)가 제 1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제 3 아날로그측정신호(SigW3)를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로 변환하는 제 2 단계(S210)를 더 수행한다.
체중측정부(400)가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를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경우인지 판단하여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를 산출하는 정지상태측정단계(S230)를 더 수행한다.
정지상태측정단계(S230)는 디지털측정데이터 수신단계(S231), 신호기울기값 연산단계(S233), 정지상태 판단단계(S235) 및 디지털측정데이터 출력단계(S237)를 더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체중측정부(400)가 제 Tm 시간에 제 m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를 수신하고, 제 Tm 시간보다 이미 설정된 일정시간(Td)이 지연된 제 Tm +1 시간에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를 수신하는 디지털측정데이터 수신단계(S231)를 더 수행한다.
체중측정부(400)가 제 m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와 이에 대응하는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데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를 도 1에서 설명한 수학식 1에 의해서 제 1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 +1)) 내지 제 3 개별신호기울기값(DSMA3(Tm +1))으로 연산하는 신호기울기값 연산단계(S233)를 더 수행한다.
체중측정부(400)가 제 1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 +1)) 내지 제 3 개별신호기울기값(DSMA3(Tm+1))를 임계치와 비교하고, 임계치 이하이면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는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임계치를 초과하면 활동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 하는 정지상태 판단단계(S235)를 더 수행한다.
체중측정부(400)가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를 정지상태로 판단하면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를 제 3 단계로 출력하는 디지털측정데이터 출력단계(S237)를 더 수행한다.
만일 체중측정부(400)가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활동상태로 판단하면 제 Tm +2 시간에 제 m+2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DigW3(Tm +2))를 수신하는 디지털측정데이터 수신단계(S231)를 수행하게 된다.
정지상태측정단계(S230)의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체중측정부(400)가 제 Tm 시간에 제 m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를 수신하고, 제 Tm 시간보다 이미 설정된 일정시간(Td)이 지연된 제 Tm+1 시간에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를 수신하는 디지털측정데이터 수신단계(S231)를 수행한다.
체중측정부(400)가 제 m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를 산술평균하여 제 m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를 산출하고,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를 산술평균하여 제 m+1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1)를 산출하며, 제 m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및 제 m+1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1)를 도 1에서 설명한 수학식 2에 의해서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1))을 연산하는 연산단계(S233)를 수행한다.
체중측정부(400)가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1))이 이미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는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임계치를 초과하면 활동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정지상태판단단계(S235)를 수행한다.
체중측정부(400)가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를 정지상태로 판단하면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를 제 3 단계로 출력하는 출력단계(S237)를 수행한다.
만일, 체중측정부(400)가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를 활동상태로 판단하면, 제 Tm +2 시간에 제 m+2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2))를 수신하는 디지털측정데이터 수신단계(S231)를 수행하게 된다.
제 3 단계는 체중측정부(400)가 디지털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연산하는 측정결과데이터 연산단계(S310)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체중측정부(400)가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된 제 m+1 번째 제 1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제 3 디지털측정데이터(DigW3(Tm +1))를 도 2에서 설명한 수학식 3에 의해서 산술평균하여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연산하는 측정결과데이터 연산단계(S300)를 수행한다.
제 4 단계는 디스플레이부(500)가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전송받아서 이를 LCD모듈(570)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S400)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500)가 체중측정부(400)로부터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수신받아서 이를 저장모듈(550)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500)가 저장된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LCD모듈(570)로 디스플레이하게 되며, 디스플레이부(500)가 저장된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유무선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 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륜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의 로드셀 구조 도시.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4륜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의 로드셀 구조 도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의 센서부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도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의 체중측정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도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도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 중 체중 측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 중 체중 측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접이식 휠체어 110 : 휠체어 프레임
131,133 : 한쌍의 메인휠 135,137 : 적어도 하나의 서브휠
200 : 다수의 로드셀 210 : 제 1 로드셀
230 : 제 2 로드셀 250 : 제 3 로드셀
270 : 제 4 로드셀 300 : 센서부
310 : 스위치 330 : 전원공급장치
350 : 직류증폭장치 400 : 체중측정부
410 : A/D 컨버팅모듈 430 : 정지상태측정모듈
431 :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 433 : 정지상태판단모듈
435 : 디지털측정데이터출력모듈 450 : 체중연산모듈
500 : 디스플레이부 510 :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
530 : 제어모듈 550 : 저장모듈
570 : LCD모듈 590 : 유무선통신모듈

Claims (18)

  1. 휠체어 프레임,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연결되고 회전가능한 한 쌍의 메인휠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휠로 이루어진 접이식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휠체어는,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일측면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메인휠 중 어느 하나의 휠의 중심부인 제 1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1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로드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타측면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메인휠 중 다른 하나의 휠의 중심부인 제 2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2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2 로드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전방연결부와 상기 서브휠의 중심부인 제 3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3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3 로드셀;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로부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SigW3)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SigW3)에 대응하는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로 변환하는 A/D 컨버팅모듈 및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이용하여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연산하는 체중연산모듈을 포함하는 체중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 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은,
    빔형태의 스트레인 게인지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온(On) 설정에 따라 측정개시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상기 측정개시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에서 측정된 상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SigW3)를 증폭하는 직류증폭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연산모듈은,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Figure 112009068932180-pat00011
    에 대입하여 상기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은,
    상기 체중측정부로부터 상기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측정부는,
    정지상태측정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정지상태측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상태측정모듈은,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로써,
    제 Tm 시간에 각각의 제 m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DigW3(Tm))를 수신하고, 상기 제 Tm 시간보다 이미 설정된 일정시간(Td)이 지연된 제 Tm +1 시간에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수신하는 신호기 울기값연산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상태측정모듈은,
    상기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이 상기 각각의 제 m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DigW3(Tm))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Figure 112009068932180-pat00012
    에 의해서 각각의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 +1) 내지 DSMAn(Tm +1))으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상태측정모듈은,
    상기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이 상기 각각의 제 m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DigW3(Tm))를 산술평균하여 제 m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를 산출하고,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를 산술평균하여 제 m+1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1)를 산출하며, 상기 제 m 번째 디 지털산출정보(Digm) 및 상기 제 m+1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1)를
    Figure 112009068932180-pat00013
    에 의해서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1))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상태측정모듈은,
    상기 제 Tm +1 시간에 상기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에 의해서 연산된 상기 각각의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1) 내지 DSMA3(Tm+1))이 이미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상기 체중연산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 Tm +1 시간보다 상기 일정시간(Td) 지연된 제 Tm +2 시간에 각각의 제 m+2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2) 내지 DigW3(Tm +2))를 수신받도록 상기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로 회귀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정지상태판단모듈; 및
    상기 정지상태판단모듈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상기 정지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상기 체중연산모듈로 출력하는 디지털측정데이터출력모듈;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상태측정모듈은,
    상기 제 Tm +1 시간에 상기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에 의해서 연산된 상기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1))이 이미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1) 내지 DigW3(Tm +1))를 상기 체중연산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 Tm+1 시간보다 상기 일정시간(Td) 지연된 제 Tm+2 시간에 각각의 제 m+2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2) 내지 DigW3(Tm+2))를 수신받도록 상기 신호기울기값연산모듈로 회귀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정지상태판단모듈; 및
    상기 정지상태판단모듈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를 상기 정지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를 상기 체중연산모듈로 출력하는 디지털측정데이터출력모듈;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12. 휠체어 프레임,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연결되고 회전가능한 한 쌍의 메인휠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휠로 이루어진 접이식 휠체어에서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일측면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메인휠 중 어느 하나의 휠의 중심부인 제 1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1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로드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타측면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메인휠 중 다른 하나의 휠의 중심부인 제 2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2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2 로드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전방연결부와 상기 서브휠의 중심부인 제 3 중심부를 연결하는 제 3 액슬축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3 로드셀,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로부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를 이용하여 체중결과데이터를 출력하는 체중측정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로부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SigW3)를 측정하는 제 1 단계(S100);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아날로그측정신호(SigW1 내지 SigW3)를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단계(S210)를 거쳐서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산출하는 제 2 단계(S200); 및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이용하여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 3 단계(S300);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S100)는,
    사용자의 온(On) 설정에 의해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측정개시신호를 발생하는 측정개시신호 발생단계(S110);
    상기 센서부가 상기 측정개시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에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전원 공급단계(S130); 및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 1 로드셀 내지 상기 제 3 로드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발생된 각각 아날로그측정신호를 측정하는 아날로그측정신호 측정단계(S150);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S200)는,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이용하여 정지상태판단을 수행하여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산출하는 정지상태측정단계(S230);를 더 수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상태측정단계(S230)는,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로써,
    제 Tm 시간에 각각의 제 m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DigW3(Tm))를 수신하고, 상기 제 Tm 시간보다 이미 설정된 일정시간(Td)이 지연된 제 Tm+1 시간에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를 수신하는 디지털측정데이터 수신단계(S231);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제 m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DigW3(Tm))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를
    Figure 112011075298782-pat00014
    에 의해서 각각의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1) 내지 DSMAn(Tm+1))을 연산하는 신호기울기값 연산단계(S233);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개별신호기울기값(DSMA1(Tm+1) 내지 DSMA3(Tm+1))이 이미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는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면 활동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정지상태 판단단계(S235);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를 상기 정지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를 상기 제 3 단계로 출력하는 디지털측정데이터 출력단계(S237); 및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를 상기 활동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디지털측정데이터 수신단계(S231)로 리턴하여 상기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가 수신된 상기 제 Tm+1 시간보다 이미 설정된 일정시간(Td) 지연된 제 Tm+2 시간에 제 m+2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2) 내지 DigW3(Tm+2))를 수신하고, 상기 S233 내지 S237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상태측정단계(S230)는,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로써,
    제 Tm 시간에 각각의 제 m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DigW3(Tm))를 수신하고, 상기 제 Tm 시간보다 이미 설정된 일정시간(Td)이 지연된 제 Tm+1 시간에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를 수신하는 디지털측정데이터 수신단계(S231);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제 m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 내지 DigW3(Tm))를 산술평균하여 제 m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를 산출하고,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를 산술평균하여 제 m+1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1)를 산출하며, 상기 제 m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 및 상기 제 m+1 번째 디지털산출정보(Digm+1)를
    Figure 112011075298782-pat00015
    에 의해서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1))을 연산하는 신호기울기값 연산단계(S233);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평균신호기울기값(DSMA(Tm+1))이 이미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는 정지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면 활동상태에서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정지상태 판단단계(S235);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를 상기 정지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를 상기 제 3 단계로 출력하는 디지털측정데이터 출력단계(S237); 및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를 상기 활동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디지털측정데이터 수신단계(S231)로 리턴하여 상기 제 m+1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1) 내지 DigW3(Tm+1))가 수신된 상기 제 Tm+1 시간보다 이미 설정된 일정시간(Td) 지연된 제 Tm+2 시간에 제 m+2 번째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Tm+2) 내지 DigW3(Tm+2))를 수신하고, 상기 S233 내지 S237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S300)는,
    상기 체중측정부가 상기 각각의 디지털측정데이터(DigW1 내지 DigW3)를
    Figure 112009068932180-pat00016
    에 의해서 상기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S300) 이후에,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체중측정부로부터 상기 측정결과데이터(Weight)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S40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방법.
KR1020090108001A 2009-11-10 2009-11-10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중 측정 방법 KR101125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001A KR101125599B1 (ko) 2009-11-10 2009-11-10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중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001A KR101125599B1 (ko) 2009-11-10 2009-11-10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중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429A KR20110051429A (ko) 2011-05-18
KR101125599B1 true KR101125599B1 (ko) 2012-03-28

Family

ID=4436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001A KR101125599B1 (ko) 2009-11-10 2009-11-10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중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10B1 (ko) * 2018-11-21 2019-08-28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배회 감지기를 구비한 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5575B1 (en) 1999-10-04 2001-05-01 Jefford C. Hoyland Mobile weighing apparatus
WO2005080927A1 (en) 2004-02-13 2005-09-01 Innovative Assistive Technology, Inc. Weight measurement and support apparatus for a human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5575B1 (en) 1999-10-04 2001-05-01 Jefford C. Hoyland Mobile weighing apparatus
WO2005080927A1 (en) 2004-02-13 2005-09-01 Innovative Assistive Technology, Inc. Weight measurement and support apparatus for a human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429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5932B2 (en) Portable patient weighing device
US5414225A (en) Mobility-disabled portable weighing device
JP4002905B2 (ja) 荷重スケ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荷重スケールシステム
US6201195B1 (en) Patient hoist and scale
US6329771B1 (en) Lightweight motorized wheelchair
US201302986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ree dimensional calibration of force plates
KR101125599B1 (ko) 접이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중 측정 방법
US20030111275A1 (en) Portable, adjustable bed weighing system
CN104434432A (zh) 起立辅助装置和方法
JP2004275280A (ja) 重心位置測定装置
GB2467318A (en) Self-weighing suitcase with two-part handle wherein weight is measured by relative movement of one portion of the handle with respect to the other
US6225575B1 (en) Mobile weighing apparatus
WO2002084568A1 (en) Electronic weight scale, weight management system and weight management method
US20160370248A1 (en) Mobility assistance vehicle stability assessment
JP7484932B2 (ja) 排尿量測定装置、排尿量管理システム、排尿量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215132028U (zh) 一种床上气压体重仪及系统
KR20190102568A (ko) 체중계를 구비하는 방석
GB2484721A (en) Luggage with integral weighing device
CN208537012U (zh) 一种医疗称重设备
CN202086408U (zh) 马桶座称重器
CN219460732U (zh) 可测量重量的坐垫
Stefanov et al. A novel system for wheelchair stability assessment design and initial results
KR20110051426A (ko) 전동식 휠체어 기반의 체중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213431151U (zh) 一种电动病床磅秤机构
CN214909525U (zh) 一种可进行压力检测的承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