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420B1 - 국부압축력 현장재하 장치 - Google Patents

국부압축력 현장재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420B1
KR101125420B1 KR1020040108655A KR20040108655A KR101125420B1 KR 101125420 B1 KR101125420 B1 KR 101125420B1 KR 1020040108655 A KR1020040108655 A KR 1020040108655A KR 20040108655 A KR20040108655 A KR 20040108655A KR 101125420 B1 KR101125420 B1 KR 101125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building
local compression
local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0038A (ko
Inventor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8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420B1/ko
Publication of KR20060070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위에서 아주 작은 면적에만 국부적인 압축력을 가력할 수 있도록 하며, 재하시 가압자가 균형을 잃어 쓰러지지 않도록 하되, 가압 대상 면적 외에는 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현장 기술자가 손쉽게 건축물 바닥의 국부압축내력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같이 국부압축력 재하장치를 사용하여 중량의 적재하중에 의한 바닥 마감재의 손상 가능성에 대해 사전에 실험적인 검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축물 완공후 입주자에 의한 품질 불만이나 민원 제기를 방지하여 시공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건물, 압축력

Description

국부압축력 현장재하 장치{Loading system for local compression load in buildings}
도 1a은 본 발명 국부압축력 현장재하장치에 적용되는 가압 플레이트의 저면도,
도 1b는 본 발명 국부압축력 현장재하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1c는 본 발명 국부압축력 현장재하장치에 적용되는 균형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국부압축력 현장재하장치가 조립되어 건축물 바닥에 설치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국부압축력 현장재하장치의 재하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은 국부압축력 현장재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물 바닥에 국부적인 압축력 재하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건축물 현장 기술자 등이 중량의 적재하중에 의한 바닥 마감재의 손상 가능성에 대해 사전에 실험적인 검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축물 완공후 입주자에 의한 품질 불만이나 민원 제기를 방지하여 시공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국부압축력 현장재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동주택의 상하층간 소음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하면서 이같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바닥공법이 제안 및 적용되고 있다. 이같은 바닥공 법은 대부분 철근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와 바닥 마감재 사이에 완충재를 삽입하는 이른바 뜬바닥공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바닥슬래브 위에 또 하나의 바닥을 시공하여 그 사이에 공기층을 두는 이중바닥공법에 대한 적용도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이같은 바닥공법들은 기존의 습식공법에서 벗어나 현재 공동주택 대부분에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같은 바닥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건축물 바닥에 피아노나 냉장고, 대형 책장과 같은 중량 적재하중을 일으키는 가구가 설치된다든지 예기치 않은 충격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 바닥 마감에 국부적인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그 이유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바닥 마감재 사이에 강성이 작은 유연한 완충재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습식공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국부적인 압축력에 파손되기 쉬운 상태가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같은 건축물 바닥에 대해 사전에 국부압축 내력을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국부압축 현장재하를 위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하지만, 일반적인 건축물 현장의 재하실험과 달리 국부압축 재하장치는 아주 작은 면적에 대해서만 하중을 가력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즉 일반적인 재하실험에서는 등분포하중을 가력하기 때문에 모래주머니를 쌓는다든지 수조에 물을 채운다든지 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국부압축력 재하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단위체적당 중량이 가장 큰 강재를 쌍아서 압축력을 재하한다고 하더라도 아주 작은 면적에 가력하기 위해서는 균형을 잡기 어려워 무너지기 쉬우며 사실상 아주 작은 면적 (보통 20cm2 정도)에 강재를 쌍는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바닥 위에서 아주 작은 면적에만 국부적인 압축력을 가력할 수 있도록 하며, 압축력을 일으키는 재하물로는 강재나 모래주머니, 벽돌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가압자가 균형을 잃어 쓰러지지 않도록 하되, 가압 대상 면적 외에는 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현장 기술자가 손쉽게 건축물 바닥의 국부압축내력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은 적재물이 올려지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되 너트가공부 및 볼트가공부를 가지므로서 높이조정이 가능한 가압자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사방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균형봉과, 상기 균형봉이 상부로부터 장착되되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균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압축력 현장재하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적재물이 올려지는 가압플레이트(101)와, 상기 가압플레이트(101)의 하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볼트가공부(102)와 너트가공부(105)를 가지고 상기 볼트가공부(102)에 체결되어 높이조정이 가능한 가압자(104)와, 상기 가압플레이트(101)의 사방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균형봉(103)과, 상기 균형봉(103)이 상부로부터 끼워지고 상기 가압플레이트(101)를 지지하는 균형장치(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안출한 건축물 바닥에 대한 국부압축력 현장재하 장치의 구성부품과 조립방법은 도 1a,b,c와 같다. 도면과 같이 압축력을 일으키는 강판이나 모래주머니와 같은 재하물을 올려놓아 쌍을 수 있는 평평한 가압 플레이트(101)에, 실제 건축물 바닥에 접촉하여 접촉면에 압축력을 전달하는 가압자(104)를 볼트 체결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가압 플레이트(101) 중앙 하단에 볼트 가공부(102)가 구비된다. 여기에 가압자(104) 상부에 너트가공부(105)를 구비하여 상기 볼트 가공부(102)에 볼트 결합으로 가압 플레이트(101)에 조립된다. 이같이 가압 플레이트(101)와 가압자(104)를 볼트 결합하는 이유는 국부압축 재하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면적의 가압자(104)를 제작하여 바꿔 조립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다음은 가압 플레이트 균형장치(106)의 베어링이 설치된 원통 장치(107)에 가압 플레이트(101)의 균형봉(103)을 삽입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가압자의 길이는 반드시 가압 플레이트 균형봉(103)보다 길게 제작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국부압축력을 재하할 때 가압자(104)만이 건축물 바닥에 접촉하며, 균형봉(103)은 균형을 이루는 역할만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101)의 균형봉(103)은 균형 장치(106)에 구비된 원통 장치(107)에 끼워져 상하로 직선운동하며 전체 장치의 균형을 잡아주게 된다. 이때 원통 장치(107)에 구비된 베어링은 국부 압축력이 균형봉(103)의 마찰력에 의해 상쇄되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균형봉(103)이 마찰 없이 원통 장치(107)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상기한 국부압축 재하장치(201)의 각 부품을 조립하여 건축물의 바닥위에 설치한 예시도 이다. 도 2와 같이 예를 들어 모래주머니를 가압 플레이트(101) 위에 올려 쌓아 중량에 의한 국부압축력을 일으키고, 압축력은 가압자(104)를 통해 전달되어 건축물 바닥과 가압자(104)의 접촉면을 통해 가력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는 국부압축력이 재하되는 건축물 바닥단면도 예시했는데 그림과 같이 공동주택 건축물의 바닥은 철근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와 상부 마감 모르터 사이에 완충재가 삽입되어 있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삭제
삭제
삭제
도 3은 국부압축 재하장치의 재하원리를 알기 쉽게 도시한 것이다. 그림과 같이 가압 플레이트(101)의 균형봉(103)은 건축물 바닥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자(104)만이 건축물 바닥에 압축력을 전달하여 아주 작은 면적에만 재하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축물 바닥에 국부적인 압축력 재하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건축물 현장 기술자 등이 중량의 적재하중에 의한 바닥 마감재의 손상 가능성에 대해 사전에 실험적인 검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축물 완공후 입주자에 의한 품질 불만이나 민원 제기를 방지하여 시공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적재물이 올려지는 가압플레이트(101)와,
    상기 가압플레이트(101)의 하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볼트 가공부(102)에 너트가공부(105)를 가지고 체결되어 높이 조정이 가능한 가압자(104)와,
    상기 가압플레이트(101)의 사방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균형봉(103)과,
    상기 균형봉(103)이 상부로부터 끼워지며 상기 가압플레이트(101)를 지지하는 균형장치(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압축력 현장재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장치(106)에는 상기 균형봉(103)이 삽입되는 원통장치(10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압축력 현장 재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장치(107)에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상기 균형봉(103)이 마찰력 없이 끼워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압축력 현장재하 장치.
KR1020040108655A 2004-12-20 2004-12-20 국부압축력 현장재하 장치 KR101125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655A KR101125420B1 (ko) 2004-12-20 2004-12-20 국부압축력 현장재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655A KR101125420B1 (ko) 2004-12-20 2004-12-20 국부압축력 현장재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038A KR20060070038A (ko) 2006-06-23
KR101125420B1 true KR101125420B1 (ko) 2012-03-27

Family

ID=3716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655A KR101125420B1 (ko) 2004-12-20 2004-12-20 국부압축력 현장재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9029A (zh) * 2022-01-07 2022-05-06 山东农业大学 一种土木工程用混凝土组合地基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2986A (ja) 1996-10-16 1998-05-15 Ringyo Doboku Consultants 構造物の基礎地盤支持力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JPH10182077A (ja) 1996-12-20 1998-07-07 P S Co Ltd 載荷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2986A (ja) 1996-10-16 1998-05-15 Ringyo Doboku Consultants 構造物の基礎地盤支持力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JPH10182077A (ja) 1996-12-20 1998-07-07 P S Co Ltd 載荷試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038A (ko) 200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8122A (en) Pre-attached form system for insulated concrete wall panel
Mohammed et al. Prototype and model masonry behaviour under different loading conditions
CN102220789A (zh) 一种悬浮式浮置板隔振系统
KR101125420B1 (ko) 국부압축력 현장재하 장치
CN111561075A (zh) 一种预制混凝土剪力墙房建筑结构及其施工方法
JP2007070858A (ja) 建造物の免震構造および免震施工方法
Wanninger et al. Experimental analysis of a post-tensioned timber connection
US20170159314A1 (en) Formwork of reducing thickness due to loading of slab cast in-situ
KR102596627B1 (ko) 친환경 하이브리드 목재슬라브
Janardhana et al. Studies on the behavior of glass fiber reinforced gypsum wall panels
Monteiro et al. Seismic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an Old Masonry building
US2044382A (en) Masonry unit
KR102185549B1 (ko) 지진에 의한 균열 및 손상 방지를 위한 벽식아파트의 pc 비내력벽 내진보강구조
JP2007070860A (ja) 建造物の免震構造とその施工方法および保守方法
KR102189905B1 (ko) 하중전달 방지가 가능한 벽식구조물의 비내력벽 내진보강구조
Zhang Structural Performance of Mass Timber Panel-Concrete Composite Floors with Notched Connections
Lutman et al. In situ tests for the assessment of seismic strengthening historic brick masonry walls with carbon fiber fabric
JP5878665B1 (ja) 床の加圧構造
YAMAKAWA et al. Experimental and analytical investigation of seismic retrofit technique for a bare frame utilizing thick hybrid walls
Watanabe et al. Seismic strengthening using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braces
Mertens et al. Investigation of the vibration behaviour of timber-concrete composite floors as part of a performance evaluation for the Belgian building industry
JP7289489B1 (ja) 残存型枠
JP3989357B2 (ja) 床の施工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床パネル
Corradi et al. A new method for out‐of‐plane reinforcement of masonry walls using high strength steel strand
US11377838B2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