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390B1 - Nonvolatile memory, memory control unit, memory control system, and nonvolatile memory controlling method - Google Patents

Nonvolatile memory, memory control unit, memory control system, and nonvolatile memory controll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390B1
KR101125390B1 KR1020090119811A KR20090119811A KR101125390B1 KR 101125390 B1 KR101125390 B1 KR 101125390B1 KR 1020090119811 A KR1020090119811 A KR 1020090119811A KR 20090119811 A KR20090119811 A KR 20090119811A KR 101125390 B1 KR101125390 B1 KR 101125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loating gate
memory cell
sense amplifi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66376A (en
Inventor
가즈노리 가스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6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3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3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6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11C16/14Circuits for erasing electrically, e.g. erase voltage switch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data.

비휘발성 메모리(1)는 메모리 셀 어레이(2)와, 제1 센스 앰프(3)와, 제2 센스 앰프(4)와, 기록부(5)를 포함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2)는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포함한다. 제1 센스 앰프(3)는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메모리 셀의 기록 상태와 소거 상태를 식별하는 제1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한다. 제2 센스 앰프(4)는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한다. 기록부(5)는 제2 센스 앰프(4)에서, 제2 임계값이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재차 기록한다.The nonvolatile memory 1 includes a memory cell array 2, a first sense amplifier 3, a second sense amplifier 4, and a recording unit 5. The memory cell array 2 includes a plurality of memory cells having floating gates. The first sense amplifier 3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the first threshold value for identifying the write state and erase state of the memory cell. The second sense amplifier 4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larg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In the second sense amplifier 4, the recording unit 5 again writes data of the memory cell having the floating gate, which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threshold value is larg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Description

비휘발성 메모리, 메모리 제어 장치, 메모리 제어 시스템,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어 방법{NONVOLATILE MEMORY, MEMORY CONTROL UNIT, MEMORY CONTROL SYSTEM, AND NONVOLATILE MEMORY CONTROLLING METHOD}Nonvolatile Memory, Memory Control Device, Memory Control System, and Nonvolatile Memory Control Method {NONVOLATILE MEMORY, MEMORY CONTROL UNIT, MEMORY CONTROL SYSTEM, AND NONVOLATILE MEMORY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메모리 제어 장치, 메모리 제어 시스템,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비휘발성 메모리, 메모리 제어 장치, 메모리 제어 시스템,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volatile memory, a memory control device, a memory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a nonvolatile memor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volatile memory, a memory control device, a memory control system, and a nonvolatile memory.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최근, 대용량화 가능, 비휘발성, 저소비 전력 등의 이유에서,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나 플래시 메모리 카드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한 메모리 디바이스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Background Art In recent years, memory devices using nonvolatile memories such as USB (Universal Serial Bus) memories and flash memory cards have become widespread for reasons such as large capacities, nonvolatile and low power consumption.

이들 메모리 디바이스에는, 장기간에 걸쳐 데이터를 보존하는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These memory devices are required to have reliability for storing data for a long time.

또한, 화상이나 영상 등, 데이터의 대용량화에 의해, 보다 대용량의 메모리 디바이스가 필요해지고,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프로세스의 감축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capacity of data such as images and videos, a larger capacity memory device is required, and the reduction of processes for nonvolatile memories is being actively made.

도 33은 NAND형 비휘발성 메모리의 기본 셀 구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3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basic cell structure of a NAND type nonvolatile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90)는 NAND 셀 그룹(91)을 구성하는 복수의 NAND 셀(Cell)(메모리 트랜지스터)(92)을 직렬로 접속한 구성을 갖는다.The nonvolatile memory 9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NAND cells (memory transistors) 92 constituting the NAND cell group 91 are connected in series.

NAND 셀(92)의 지정은 선택 게이트(Select Gate)(93)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소거는 NAND 셀 그룹(91)마다 이루어진다. Designation of the NAND cell 92 is made by a select gate 93. In addition, erasing is performed for each NAND cell group 91.

각 NAND 셀(92)은 각각, 컨트롤 게이트(Control Gate)(92a)와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92b)를 포함한다. Each NAND cell 92 includes a control gate 92a and a floating gate 92b, respectively.

도 34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기록 및 소거의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4 is a diagram showing an aspect of data writing and erasing of the nonvolatile memory.

도 34의 (a)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기록의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34A is a diagram showing an aspect of data recording of the nonvolatile memory.

플로팅 게이트(92b)는 컨트롤 게이트(92a) 및 기판(Substrate)(92c)은 게이트 산화막(Gate oxide)(92d)에 의해 절연되어 있고, 전기적으로는 부상 상태이다. The floating gate 92b is insulated from the control gate 92a and the substrate 92c by a gate oxide 92d, and is electrically floating.

그러나, 컨트롤 게이트(92a)와 기판(92c)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FN(Fowler-Nordheim) 터널 현상에 의해 기판(92c)으로부터 게이트 산화막(92d)을 통해 플로팅 게이트(92b)에 전하를 주입할 수 있다. However,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control gate 92a and the substrate 92c, electric charge is injected from the substrate 92c to the floating gate 92b through the gate oxide film 92d by the Fowler-Nordheim (FN) tunnel phenomenon. can do.

플로팅 게이트(92b)는 전기적으로 부상 상태이기 때문에, 전원을 절단하여도 전하를 유지할 수 있다. 전하의 주입을 일반적으로 「기록」 또는 「프로그램(Program)」이라고 한다. Since the floating gate 92b is electrically floating, the electric charge can be retained even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The injection of electric charge is generally referred to as "write" or "program."

또한, 도 3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과는 역방향의 고전압을 인가하면, 마찬가지로 FN 터널 현상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92b)에 주입된 전하를, 게이 트 산화막(92d)을 통해 기판(92c)으로 해방할 수 있다. 전하의 해방을 일반적으로 「소거」 또는 「이레이즈(Erase)」라고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4B, when a high voltag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cording is applied, similarly, the charge injected into the floating gate 92b by the FN tunnel phenomenon is transferred through the gate oxide film 92d. The release can be performed at 92c. The release of electric charge is generally referred to as "erasing" or "erasing".

또한, 일반적으로 NAND형 비휘발성 메모리는 전하를 주입한 상태가 기록(논리 「0」), 전하를 해방한 상태가 소거(논리 「1」)이다. In general, in the NAND type nonvolatile memory, a state in which charge is injected is written (logical "0"), and a state in which charge is released is erased (logical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64937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7-164937

NAND형 비휘발성 메모리는 FN 터널 전류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기록과 소거를 수행하기 때문에, 기록과 소거를 수행할 때마다 메모리 셀이 열화된다. Since the NAND type nonvolatile memory performs the writing and erasing of data using the FN tunnel current, the memory cell is degraded every time the writing and erasing is performed.

도 35는 FN 터널 현상에 의한 게이트 산화막의 열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35 is a diagram illustrating deterioration of the gate oxide film due to the FN tunnel phenomenon.

FN 터널 현상은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게이트 산화막(92d)을 통해 전하를 이동시킬 수 있지만, 게이트 산화막(92d)에 약간의 전하가 트랩되는 경우가 있다. In the FN tunnel phenomenon, charge can be transferred through the gate oxide film 92d by applying a high voltage, but some charge is trapped in the gate oxide film 92d.

이 때문에, 재기록 횟수가 증가함으로써, 게이트 산화막(92d)의 열화와 누설 전류가 증가(Increase of Leak Current)한다. For this reason, as the number of rewrites increases, the degradation of the gate oxide film 92d and the leakage current increase (Increase of Leak Current).

이 게이트 산화막(92d)의 열화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92b)와 기판(92c) 간의 누설 전류가 증가하여 전하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gate oxide film 92d, the leakage current between the floating gate 92b and the substrate 92c increases, so that charge cannot be maintained.

이 현상에 의해, 일반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기록/소거 횟수(이하, 재기록 횟수라고 함)에 한계가 존재하고, 재기록 횟수에 비례하여 데이터 유지 능력이 감소한다. This phenomenon generally limits the number of times of write / er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number of rewrites) to the nonvolatile memory, and reduces the data holding capability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rewrites.

도 36은 경과 시간과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변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일례로서, NAND형 비휘발성 메모리의 소거 상태의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레벨은 4 V로, 기록 상태와 소거 상태를 식별하는 센스 앰프(SA)의 설정값은 1 V로 한다. 3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apsed time and the voltage change of the floating gate. As an example, the voltage level of the floating gate in the erased state of the NAND type nonvolatile memory is 4V, and the setting value of the sense amplifier SA for identifying the write state and the erased state is 1V.

전술한 바와 같이, 플로팅 게이트와 기판 간의 누설 전류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레벨은 점차 저하된다.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leakage current between the floating gate and the substrate, the voltage level of the floating gate gradually decreases with time.

도 36에 있어서, 센스 앰프는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이 1 V 이상인지의 여부에 따라 데이터의 논리 「1」, 「0」을 판정한다. 이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NAND 셀의 논리가 반전되어 버려, 판독 에러가 된다. In Fig. 36, the sense amplifier determines the logic "1" and "0" of the data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voltage of the floating gate is 1 V or more. For this reason, as time passes, the logic of the NAND cell is reversed, resulting in a read error.

도 37은 재기록 횟수와 데이터 유지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37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rewrites and the data holding time.

재기록 횟수가 1만회인 시점에서는, 데이터를 약 20년 유지할 수 있는 데 대하여, 재기록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데이터 유지 시간이 감소된다. 그리고, 10만회 재기록한 후에 약 10년간, 재기록 횟수가 100만회인 시점에서는, 데이터를 0.5년밖에 유지할 수 없다. When the number of times of rewriting is 10,000, the data holding time decreases as the number of times of rewriting increases, while the data can be held for about 20 years. After about 100,000 rewrites, the data can only be kept for 0.5 years when the rewrite frequency is 1 million times for about 10 years.

저가격화나 대용량화를 목적으로 하여 제조 프로세스는 미세화되어 있지만,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는 크게 변화하지 않고, 기록이나 소거에 필요한 전압도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Although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miniaturized for the purpose of low cost and high capacity, the thickness of the gate oxide film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and the voltage required for writing or erasing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이 때문에 게이트 산화막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프로세스의 미세화가 진행됨에 따라 열화가 현저해지며, 데이터 유지 능력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ltage applied to the gate oxide film becomes relatively high, deterioration becomes remarkable as the process becomes smaller, and the data holding capability deteriorates.

따라서, 염가?대용량?장기간 데이터 보존이 요구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에서는, 제조 프로세스를 미세화하는 것에 의한 데이터 보존 능력의 악화를 막아야 한다.Therefore, in a nonvolatile memory requiring low cost, large capacity, and long term data storage, the deterioration of the data storage capacity by miniaturiz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should be prevented.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메모리 제어 장치, 메모리 제어 시스템,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is poin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nonvolatile memory, a memory control device, a memory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a nonvolatile memory that can improve data reliab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메모리 셀의 기록 상태와 소거 상태를 식별하는 제1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하는 제1 센스 앰프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하는 제2 센스 앰프와, 상기 제2 센스 앰프에서,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재차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mory cell array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having a floating gate, and a magnitude between a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first threshold value for identifying a write state and an erase state of the memory cell are determined. A first sense amplifier to determine, a second sense amplifier to determin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second threshold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in the second sense amplifier. And a writing unit for rewriting data of the memory cell having the floating gate that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개시된 비휘발성 메모리, 메모리 제어 장치, 및 메모리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sclosed nonvolatile memory, memory control device, and memory control system, data reliability can be improved.

이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우선, 실시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 실시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First, the nonvolatile memory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nd then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실시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 nonvolatile memory of an embodiment.

도 1에 도시하는 비휘발성 메모리(1)는 메모리 셀 어레이(2)와, 제1 센스 앰프(3)와, 제2 센스 앰프(4)와, 기록부(5)를 포함한다. The nonvolatile memory 1 shown in FIG. 1 includes a memory cell array 2, a first sense amplifier 3, a second sense amplifier 4, and a recording unit 5.

메모리 셀 어레이(2)는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포함 한다. 제1 센스 앰프(3)는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메모리 셀의 기록 상태와 소거 상태를 식별하는 제1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한다. The memory cell array 2 includes a plurality of memory cells having floating gates. The first sense amplifier 3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the first threshold value for identifying the write state and erase state of the memory cell.

제2 센스 앰프(4)는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한다. The second sense amplifier 4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larg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또한,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1) 내부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may be input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 1, or may be generated inside the nonvolatile memory 1.

기록부(5)는 제2 센스 앰프(4)에서, 제2 임계값이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재차 기록한다. In the second sense amplifier 4, the recording unit 5 again writes data of the memory cell having the floating gate, which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threshold value is larg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1)에 의해, 제2 임계값보다 낮은 전압값을 갖는 메모리 셀의 기록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the nonvolatile memory 1, since the write state of the memory cell having a voltage value low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is maintained, the reliability of data can be improved.

이하, 실시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is described more concretely.

도 2는 실시형태의 모듈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module of the embodiment.

모듈(Module)(10)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11)에 의해 장치 전체가 제어된다. CPU(11)에는 칩세트(Chipset)(12)가 접속된다.In the module 10, the entire apparatus is controlled by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1. A chip set 12 is connected to the CPU 11.

칩세트(12)는 노스 브리지(North Bridge)(12a)와 사우스 브리지(South Bridge)(12b)를 포함한다. Chipset 12 includes a North Bridge 12a and a South Bridge 12b.

노스 브리지(12)에는 비교적 고속으로 동작하는 주변 기기가 접속되고, 이들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한다. 도 2에서는, 메모리(Memory)(13), PCI Express(14) 및 디스플레이(Display)(15)가 접속된다. The north bridge 12 is connected with peripheral devices operating at a relatively high speed, and exchanges data with these devices. In FIG. 2, a memory 13, a PCI Express 14, and a display 15 are connected.

메모리(13)는 CPU(11)에 실행시키는 OS(Operating System)의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한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13)에는 CPU(11)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The memory 13 temporarily stores at least a part of an OS (Operating System) program or an application program to be executed by the CPU 11. The memory 13 also stores various data necessary for processing by the CPU 11.

노스 브리지(12a)는 CPU(11)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화상을 디스플레이(15)의 화면에 표시하게 한다.The north bridge 12a causes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15 in accordance with an instruction from the CPU 11.

사우스 브리지(12b)에는 비교적 저속으로 동작하는 주변 기기가 접속된다. 도 2에서는 오디오 인터페이스(Audio I/F)(16), USB/PCI(17), BIOS(18), LAN 인터페이스(19) 및 비휘발성 모듈(Nonvolatile module)(20)이 접속된다. Peripheral devices operating at a relatively low speed are connected to the south bridge 12b. In Fig. 2, an audio interface (Audio I / F) 16, a USB / PCI 17, a BIOS 18, a LAN interface 19, and a nonvolatile module 20 are connected.

비휘발성 모듈(20)은 NAND 컨트롤러(NAND Controller)(21)와, NAND 컨트롤러(21)에 접속된 NAND형 비휘발성 메모리(NAND Flash Memory IC)(22)(이하, 간단히 「비휘발성 메모리」라고 함)를 포함한다. The nonvolatile module 20 is referred to as a NAND controller 21 and a NAND flash memory IC 22 connected to the NAND controller 21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nonvolatile memory"). It includes).

NAND 컨트롤러(21)는 비휘발성 메모리(22)의 임의의 영역을 선택하고, 그 영역의 데이터가 정확한 것인지 확인한다. 데이터가 정확한 것인지의 여부 확인에는, 선택한 영역에 연관된 관리 영역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ECC 정보를 사용한다. The NAND controller 21 selects an arbitrary area of the nonvolatile memory 22 and confirms that the data in that area is correct. For checking whether the data is correct, EC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of the management area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area is used.

비휘발성 메모리(22)에는, OS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22)에는 프로그램 파일이 저장된다. The nonvolatile memory 22 stores an OS and an application program. The nonvolatile memory 22 also stores program files.

또한, 도 2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노스 브리지(12a)와 사우스 브리지(12b)가 1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NAND 컨트롤러(21)와 비휘발성 메모리(22)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In addition, the north bridge 12a and the south bridge 12b may be comprised by one chip,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structure of FIG. The NAND controller 21 and the nonvolatile memory 22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또한, 비휘발성 모듈(20)과는 별개로, 도시하지 않는 HDD(Hard Disk Driver)가 설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hard disk driver (HDD) (not shown)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nonvolatile module 20.

이상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처리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By the hardwar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ing fun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realized.

도 3은 NAND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AND controller.

NAND 컨트롤러(21)는 호스트 인터페이스부(Host Interface Unit)(211)와, 컨트롤 레지스터(Control Register)(212)와, 전력 제어부(Power Management Unit)(213)와, 버퍼(Buffer)(214)와, ECC 처리부(215)와, NAND 인터페이스부(NAND Interface Unit)(216)를 포함한다. The NAND controller 21 includes a host interface unit 211, a control register 212, a power management unit 213, a buffer 214, And an ECC processing unit 215 and a NAND interface unit 216.

호스트 인터페이스부(211)는 CPU(11)와 통신한다. The host interface unit 211 communicates with the CPU 11.

컨트롤 레지스터(212)는 CPU(11)로부터의 명령을 유지하고, NAND 컨트롤러(21)의 상태를 나타낸다. The control register 212 holds the instruction from the CPU 11 and indicates the state of the NAND controller 21.

전력 제어부(213)는 NAND 컨트롤러(21) 전체에 전력을 공급한다. The power control unit 213 supplies power to the entire NAND controller 21.

버퍼(214)는 CPU(11)와 비휘발성 메모리(22)의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를 일시 기억한다. The buffer 214 temporarily stores data exchanged between the CPU 11 and the nonvolatile memory 22.

ECC 처리부(215)는 데이터로부터 ECC를 생성하고, ECC 부호의 인코드/디코드와 에러 정정 처리를 수행한다. The ECC processing unit 215 generates an ECC from the data and performs encoding / decoding of the ECC code and error correction processing.

NAND 인터페이스부(216)는 비휘발성 메모리(22)와 통신한다.The NAND interface unit 216 communicates with the nonvolatile memory 22.

도 4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nonvolatile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22)는 I/O 버퍼 회로(I/O Buffer Circuit)(221)와, 커맨드 레지스터(Command Register)(222)와, 제어부(Control Logic)(223)와, 어드레스 레지스터(Address Register)(224)와, NAND 플래시 어레이(NAND Flash Array)(225)와, X 디코더(X Decoder)(226)와, Y 디코더(Y Decoder)(227)와, 센스 앰프 회로(Sense Amp Circuit)(228)를 포함한다. The nonvolatile memory 22 includes an I / O buffer circuit 221, a command register 222, a control logic 223, and an address register. 224, a NAND Flash Array 225, an X Decoder 226, a Y Decoder 227, and a Sense Amp Circuit 228).

I/O 버퍼 회로(221)는 각종 커맨드, 어드레스 신호 및 NAND 플래시 어레이(225)에 기록될 데이터 등을 입력으로 하고, NAND 플래시 어레이(225)로부터 판독되어 래치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The I / O buffer circuit 221 receives various commands, address signals, data to be written to the NAND flash array 225, and the like, and outputs data read and latched from the NAND flash array 225.

커맨드 레지스터(222)는 입력된 커맨드를 래치하고, 입력된 신호의 내용으로부터 내부 동작을 결정한다. The command register 222 latches the input command and determines the internal operation from the contents of the input signal.

또한, Lo 액티브의 신호에는, 신호명 앞에 「/」를 붙이고 있다.In addition, "/" is attached to the signal of Lo active in front of the signal name.

신호 /CL은 커맨드 레지스터(222) 또는 제어부(223)를 선택하는 신호이다. The signal / CL is a signal for selecting the command register 222 or the controller 223.

신호 /AL은 비휘발성 메모리(22)의 어드레스 레지스터 또는 데이터 레지스터를 선택하는 신호이다. The signal / AL is a signal for selecting the address register or data register of the nonvolatile memory 22.

신호 /CE는 비휘발성 메모리(22)의 액티브 모드와 스탠바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이다. The signal / CE is a signal for selecting any one of an active mode and a standby mode of the nonvolatile memory 22.

신호 /RE는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신호이다. The signal / RE is a signal for outputting data.

신호 /WE는 리드/라이트 지정 신호이고, 액티브시에 라이트 모드가 된다. The signal / WE is a read / write designation signal, and becomes the write mode when it is active.

신호 /WP는 기록 및 소거 동작을 강제적으로 금지하는 신호이다. The signal / WP is a signal forcibly prohibiting write and erase operations.

신호 /SES는 후술하는 메인 센스 앰프와 서브 센스 앰프 중 어느 것의 출력을 유효로 할지를 제어하는 신호이다. The signal / SES is a signal that controls which of the main sense amplifier and the sub sense amplifier described later is valid.

제어부(223)는 입력된 각 신호에 기초하여, 비휘발성 메모리(22) 내의 각 메모리 셀의 판독, 기록, 소거 등을 수행한다. The controller 223 reads, writes, erases, etc. each memory cell in the nonvolatile memory 22 based on each input signal.

또한, 제어부(223)는 고전압 발생 회로(High Voltage Generator)(223a)를 포함한다. 이 고전압 발생 회로(223a)는 X 디코더(226) 및 NAND 플래시 어레이(225)에 구동용 전압을 공급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3 includes a high voltage generator 223a. This high voltage generation circuit 223a supplies driving voltages to the X decoder 226 and the NAND flash array 225.

또한, 제어부(223)는 그 제어부(223)의 내부 상태의 동작을 외부에 알리는 신호 R/B를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223 also outputs a signal R / B informing the outside of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state of the control unit 223.

어드레스 레지스터(224)는 입력된 어드레스 신호에 기초하여 판독?기록?소거하는 행 어드레스 및 열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페이지 모드시에는 어드레스를 자동 인크리먼트한다. The address register 224 generates a row address and a column address for reading, writing and erasing based on the input address signal, and automatically increments the address in the page mode.

X 디코더(226)는, 어드레스 레지스터(224)로부터 출력되는 행 어드레스를 디코드하여,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메모리 셀의 워드선(도시 생략)을 선택한다. The X decoder 226 decodes the row address output from the address register 224 to select a word line (not shown) of the memory cells of the NAND flash array 225.

Y 디코더(227)는 어드레스 레지스터(224)로부터 출력되는 열 어드레스를 디코드하여, 선택된 데이터선(도시 생략)을 통해,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기록 및 판독한다. The Y decoder 227 decodes the column address output from the address register 224, and writes and reads data into the memory cell through the selected data line (not shown).

센스 앰프 회로(228)는, 열 선택을 통해 선택되고, 행 선택된 워드선과의 교점에 있는 메모리 셀 내의 데이터를 후술하는 메인 센스 앰프로 수신하여, I/O 버퍼 회로(221)에 보낸다. 기록의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식으로 선택된 행의 워드선과, Y 디코더(226)에 의해 선택된 센스 앰프 회로(228)에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 셀이 선택되고, 데이터 입력 회로를 통해 그 데이터선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메모리 셀에 기록한다. The sense amplifier circuit 228 is selected through column selection, receives the data in the memory cell at the intersection with the row selected word line to the main sense amplifier described later, and sends it to the I / O buffer circuit 221. Also in the case of writing, the word line of the row select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and the memory cell connected to the sense amplifier circuit 228 selected by the Y decoder 226 are selected, and from the data line through the data input circuit. The received information is written to the memory cell of the NAND flash array 225.

도 5는 센스 앰프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nse amplifier circuit.

센스 앰프 회로(228)는 메인 기준 셀(Main Reference Cell)(2281)과, 서브 기준 셀(Sub Reference Cell)(2282)과, 메인 센스 앰프(제1 센스 앰프)(2283)와, 서브 센스 앰프(제2 센스 앰프)(2284)와, 논리 회로(Logic Circuit)(2285)를 포함한다. The sense amplifier circuit 228 includes a main reference cell 2231, a sub reference cell 2228, a main sense amplifier 2283, and a sub sense amplifier. (Second sense amplifier) 2284 and a logic circuit 2285 are included.

메인 기준 셀(2281)은 1 V의 전압을 메인 센스 앰프(2283)에 공급한다. The main reference cell 2231 supplies a voltage of 1 V to the main sense amplifier 2283.

서브 기준 셀(2282)은 2 V의 전압[메인 기준 셀(2281)이 공급하는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서브 센스 앰프(2284)에 공급한다. The sub reference cell 2228 supplies a voltage of 2 V (voltage higher than the voltage supplied by the main reference cell 2231) to the sub sense amplifier 2284.

메인 센스 앰프(2283)는 전류 검출형 센스 앰프이고, NAND 플래시 어레이(22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판독?기록?소거에 사용된다. 예컨대 데이터 판독 동작 시에,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출력 전류와 메인 기준 셀(2281)에 흐르는 전류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의 논리를 논리 회로(2285)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출력 전류가 크거나, 또는 각 전류가 동등하면 논리 「1」을 출력하고, 메인 기준 셀(2281)에 흐르는 전류가 크면 논리 「0」을 출력한다. The main sense amplifier 2283 is a current detection type sense amplifier and is used for reading, writing, and erasing data stored in the NAND flash array 225. For example, in the data read operation, the output current of the NAND flash array 225 is compared with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in reference cell 2231, and the logic of the comparison result is output to the logic circuit 2285. Specifically, if the output current of the NAND flash array 225 is large or each current is equal, the logic "1" is output. I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in reference cell 2231 is large, the logic "0" is output.

서브 센스 앰프(2284)는 전류 검출형 센스 앰프이고, 마진 측정에 사용된다. 이 서브 센스 앰프(2284)는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출력 전류와 서브 기준 셀(2282)에 흐르는 전류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의 논리를 논리 회로(2285)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출력 전류가 크거나, 또는 각 전류가 동일하면 논리 「1」을 출력하고, 서브 기준 셀(2282)에 흐르는 전류가 크면 논리 「0」을 출력한다. The sub sense amplifier 2284 is a current detection type sense amplifier and is used for margin measurement. The sub sense amplifier 2284 compares the output current of the NAND flash array 225 with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ub reference cell 2228 and outputs the logic of the comparison result to the logic circuit 2285. Specifically, if the output current of the NAND flash array 225 is large or each current is the same, the logic "1" is output. I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ub reference cell 2228 is large, the logic "0" is output.

논리 회로(2285)는 신호 /SES의 입력에 따라서 메인 센스 앰프(2283)의 출력 신호와 서브 센스 앰프(2284)의 출력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신호 Data-0을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통상의 판독?기록?소거와, 마진 측정을 전환할 수 있다. 즉, 통상의 판독?기록?소거에는 메인 센스 앰프(2283)를 선택하고, 정기적으로 서브 센스 앰프(2284)를 선택하여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레벨을 체크한다.The logic circuit 2285 selects on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main sense amplifier 2283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ub sense amplifier 2284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signal / SES, and outputs the selected signal Data-0. As a result, normal reading, writing, erasing and margin measurement can be switched. That is, the normal sense amplifier 2283 is selected for normal read, write, and erase, and the sub sense amplifier 2284 is periodically selected to check the voltage level of the floating gate.

그리고,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레벨이 서브 기준 셀(2282)의 전압 2V보다 낮은 경우, 재기록함으로써 데이터를 유지한다.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floating gate is lower than the voltage of 2 V of the sub-reference cell 2228, data is retained by rewriting.

또한, 이러한 서브 센스 앰프(2284)의 처리는 후술하는 리프레시 처리에 의해 실행된다. In addition, the process of this subsense amplifier 2284 is performed by the refresh process mentioned later.

다음에, NAND 컨트롤러(21)가 구비하는 상태 레지스터(status register)의 설정예를 설명한다. Next, an example of setting a status register included in the NAND controller 21 will be described.

도 6은 상태 레지스터의 설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status register.

상태 레지스터(30)는 8 비트의 레지스터이다. 도 6에서는 상태 레지스터(30)의 제1 비트(REFR)에 리프레시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값이 설정(세팅)된다. 예컨대, REFR의 값이 「1」이면, 리프레시 처리가 실행되고 있다. 「0」이면, 리프레시 처리는 실행되고 있지 않다. Status register 30 is an 8-bit register. In FIG. 6, a value indicating that the refresh process is being executed is set (set) in the first bit REFR of the status register 30. For example, if the value of REFR is "1", the refresh process is executed. If it is "0", the refresh process is not performed.

또한, 제5 비트(DWF)는 비휘발성 메모리(22)에 대한 기록 에러가 생겼을 때에 「1」로 설정된다. In addition, the fifth bit DWF is set to " 1 " when a write error occurs in the nonvolatile memory 22. FIG.

다음에,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데이터 구성을 설명한다.Next, the data configuration of the NAND flash array 225 will be described.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내부는 복수의 블록 단위로 관리된다. 그리고 하 나의 블록은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한다. The interior of the NAND flash array 225 is managed in units of a plurality of blocks. And one block contains multiple pages.

도 7 및 도 8은 페이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a page.

비휘발성 메모리(22)의 기록 단위는 2 KByte이다. 이 기록 단위는 하나의 페이지가 528 바이트로 구성되는 4개의 페이지를 포함한다. 1 페이지는 512 바이트의 섹터(Sector)와 16 바이트의 스페어(Spare)를 포함한다. The recording unit of the nonvolatile memory 22 is 2 KBytes. This recording unit includes four pages in which one page consists of 528 bytes. One page includes 512 bytes of sector and 16 bytes of spare.

4개의 섹터 A, B, C, D가 모여 2 K 바이트의 데이터 필드(Data Field)를 구성한다. 또한 4개의 스페어 a, b, c, d가 모여 64 바이트의 스페어 필드(Spare Field)를 구성한다.Four sectors A, B, C, and D are assembled to form a data field of 2 K bytes. In addition, four spares a, b, c, and d are assembled to form a 64 byte spare field.

스페어 a는 섹터 A의 스페어 영역이고, 스페어 b는 섹터 B의 스페어 영역이며, 스페어 c는 섹터 C의 스페어 영역이고, 스페어 d는 섹터 D의 스페어 영역이다. Spare a is a spare area of sector A, spare b is a spare area of sector B, spare c is a spare area of sector C, and spare d is a spare area of sector D.

여기서, 데이터의 기록 시에는 섹터 A의 제1 바이트의 논리를 「0」으로 고정하는 식으로 기록한다. 제2 바이트~제512 바이트에는, 각각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다. 리프레시 처리는 섹터 A의 제1 바이트의 전압값을 체크함으로써 이루어진다.Here, at the time of data recording, the logic of the first byte of the sector A is recorded in a manner of fixing to "0". User data is recorded in the second to 512 bytes, respectively. The refresh process is performed by checking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byte of sector A.

이와 같이 제1 바이트의 논리를 「0」으로 고정함으로써, 이 위치의 셀이 안정적으로(일정 속도로) 열화된다. 이것에 의해, 보다 정밀도가 높은 마진을 측정할 수 있다. Thus, by fixing the logic of a 1st byte to "0", the cell of this position deteriorates stably (at constant speed). As a result, the margin with higher accuracy can be measured.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스페어(도 8에서는 스페어 a)에는 LSN(Logical Sector Number), DV(Data Validity), BBI(Bad Block Information), ECC(ECC Code for Data Field), ECCS(ECC Code for Spare Field), RSV(Reserved Area), RC(Refresh Counter) 등의 설정 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8, each spare (a spare a in Fig. 8) has a Logical Sector Number (LSN), Data Validity (DV), Bad Block Information (BBI), ECC Code for Data Field (ECC), and ECCS (ECC). Setting areas such as Code for Spare Field (RSV), Reserved Area (RSV), and Refresh Counter (RC) are included.

이 중 제8 바이트의 리프레시 카운터에는 리프레시 처리를 수행한 횟수가 저장된다. Among these, the refresh counter of the eighth byte stores the number of times the refresh processing is performed.

도 9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부여하는 커맨드 펑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9 is a diagram showing a command function to be given to a nonvolatile memory.

커맨드 펑션 테이블(40)에는, 기능(Function), 제1 사이클(1st Cycle) 및 제2 사이클(2nd Cycle)의 난이 설정되어 있다. 횡방향의 난에 있는 정보들은 서로 관련되어 있다. In the command function table 40, a column of a function, a first cycle (1 st cycle), and a second cycle (2 nd cycle) is set. The information in the transverse column is related to each other.

커맨드는 I/O 버퍼 회로(221)에 제1 사이클과 제2 사이클의 2회로 나눠 직렬 입력된다. I/O 버퍼 회로(221)에 직렬 입력된 커맨드는 커맨드 레지스터(222)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외부 단자에 입력 단자를 추가하지 않고, 메인 센스 앰프(2283)와 서브 센스 앰프(228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The command is input in series to the I / O buffer circuit 221 divided into two circuits, a first cycle and a second cycle. The command serially input to the I / O buffer circuit 221 is transferred to the command register 222. As a result, any one of the main sense amplifier 2283 and the sub sense amplifier 2284 can be selected without adding an input terminal to the external terminal.

구체적으로는, 메인 센스 앰프(2283)의 리드 동작(Read with Main SA)은, 제1 사이클에서 커맨트 코드 「00h」가 발행되고, 제2 사이클에서 커맨드 코드 「30h」가 발행됨으로써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the read operation of the main sense amplifier 2283 (Read with Main SA) is performed by the command code "00h" is issued in the first cycle and the command code "30h" is issued in the second cycle.

또한, 서브 센스 앰프(2284)의 리드 동작(Read with Sub SA)은, 제1 사이클에서 커맨드 코드 「00h」가 발행되고, 제2 사이클에서 커맨드 코드 「31h」가 발행됨으로써 이루어진다.The read operation (Read with Sub SA) of the sub sense amplifier 2284 is performed by issuing a command code "00h" in the first cycle and a command code "31h" in the second cycle.

또한, 커맨드 코드 「30h」, 「31h」는 일례이고, 상이한 코드를 할당할 수도 있다.The command codes "30h" and "31h" are examples, and different codes can also be assigned.

다음으로, NAND 컨트롤러(21)의 지시에 따라, 비휘발성 메모리(22)가 수행하는 리프레시 처리를 설명한다. Next,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NAND controller 21, the refresh process which the nonvolatile memory 22 performs is demonstrated.

도 10은 리프레시 처리 필요 여부 판단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0 is a flowchart showing a refresh process determination process.

우선, NAND 컨트롤러(21)가 CPU(11)의 클록 등에 의해 경과 시간을 측정한다(단계 S1). First, the NAND controller 21 measures the elapsed time by a clock or the like of the CPU 11 (step S1).

그리고, 미리 준비한 경과 시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리프레시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이 경과 시간은, 예컨대 이전회 리프레시 처리를 실행한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다.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elapsed time prepared beforehand (whether or not the refresh processing needs to be executed) is determined (step S2). This elapsed time is, for example, the elaps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previous refresh process is executed.

미리 준비한 경과 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단계 S2의 No), 단계 S1로 이행하고, 단계 S1 이후의 처리를 계속해서 수행한다. If the elapsed time prepared beforehand is not reached (No in step S2),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 and the process after step S1 is continued.

한편, 미리 준비한 경과 시간에 도달한 경우(단계 S2의 Yes), 상태 레지스터(30)의 「REFR」의 값을 「1」로 설정한다(단계 S3).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apsed time prepared beforehand is reached (Yes in step S2), the value of "REFR" of the status register 30 is set to "1" (step S3).

다음에, 리프레시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4). Next, a refresh process is performed (step S4).

리프레시 처리 종료 후, 상태 레지스터(30)의 「REFR」의 값을 「0」으로 설정한다(단계 S5). After completion of the refresh processing, the value of "REFR" in the status register 30 is set to "0" (step S5).

이상으로 리프레시 처리 필요 여부 판단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This concludes the description of the refresh processing determination process.

또한, 상기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CPU(11)가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서 리프레시 처리를 실행하도록 지시하여도 좋다. It is also possible to instruct the CPU 11 to execute the refresh processing at a predetermined timing without executing the above processing.

도 11 및 도 12는 리프레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1 and 12 are flowcharts showing a refresh process.

우선, 메인 센스 앰프(2283)를 사용하여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데이터 (예컨대 도 7 또는 도 8에 도시하는 데이터 구성의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11). First, data of the NAND flash array 225 (for example, data of the data configuration shown in Fig. 7 or 8) is read using the main sense amplifier 2283 (step S11).

다음에, 판독한 데이터로부터 ECC를 생성한다(단계 S12). Next, an ECC is generated from the read data (step S12).

다음에 ECC 에러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CC error has occurred (step S13).

ECC 에러가 발생한 경우(단계 S13의 Yes), 리드 에러 신호를 CPU(11)에 송신한다(단계 S14).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If an ECC error has occurred (Yes in step S13), a read error signal is sent to the CPU 11 (step S14). After that, the process ends.

한편,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단계 S13의 No), 서브 센스 앰프(2284)를 사용하여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15). On the other hand, when no error occurs (No in step S13), the data of the NAND flash array 225 is read out using the subsense amplifier 2284 (step S15).

다음에, 판독한 데이터로부터 ECC를 생성한다(단계 S16). Next, an ECC is generated from the read data (step S16).

다음에, ECC 에러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7).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CC error has occurred (step S17).

ECC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단계 S17의 No),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마진이 충분히 확보되었다고 판단하여)처리를 종료한다. If no ECC error occurs (No in step S17), the process ends (assuming that the voltage margin of the floating gate is sufficiently secured).

ECC 에러가 발생한 경우(단계 S17의 Yes), (마진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여)재차, 메인 센스 앰프(2283)를 사용하여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18). If an ECC error has occurred (Yes in step S17), the data of the NAND flash array 225 is read again using the main sense amplifier 2283 (assuming that the margin is insufficient) (step S18).

그리고, 판독한 데이터로부터 ECC를 생성한다(단계 S19). Then, an ECC is generated from the read data (step S19).

다음에, ECC 에러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CC error has occurred (step S20).

ECC 에러가 발생한 경우(단계 S20의 Yes), 단계 S14로 이행하고, 리드 에러 신호를 CPU(11)에 송신한다(단계 S14).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If an ECC error has occurred (Yes in step S2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4, and a read error signal is sent to the CPU 11 (step S14). After that, the process ends.

ECC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단계 S20의 No), 메인 센스 앰프(2283)로써 판독된 데이터를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이 어드레스의 블록에 재차 기록한다 (단계 S21). If no ECC error occurs (No in step S20), the data read out by the main sense amplifier 2283 is written again to the block at this address of the NAND flash array 225 (step S21).

다음에,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상태 레지스터(30)의 「DWF」의 값을 판독한다(단계 S22). Next, the value of "DWF" in the status register 30 of the NAND flash array 225 is read (step S22).

그리고, 기록 에러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Then,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recording error has occurred (step S23).

기록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단계 S23의 No), 처리를 종료한다. If no recording error occurs (No in step S23), the processing ends.

기록 에러가 발생한 경우(단계 S23의 Yes), 기록 에러 신호를 CPU(11)에 송신한다(단계 S24).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If a write error occurs (Yes in step S23), a write error signal is sent to the CPU 11 (step S24). After that, the process ends.

이상으로 리프레시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This is the end of the explanation of the refresh processing.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S2의 처리 후에 단계 S3의 처리를 수행하였지만, 단계 S3의 처리를 먼저 수행하고, 그 후 단계 S2의 처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process of step S3 was performed after the process of step S2, the process of step S3 may be performed first and the process of step S2 may be performed after that.

도 13은 리프레시 처리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ffect of a refresh process.

도 13에 도시하는 그래프의 횡축은 경과 시간, 또는 기록 및 판독 사이클의 수를 나타내고, 종축은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을 나타낸다. The horizontal axis of the graph shown in FIG. 13 represents elapsed time or the number of write and read cycles,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또한, 도 13에서 「리프레시 처리」는 재기록이 필요한지의 여부가 판정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In addition, in Fig. 13, the "refresh process" shows the timing at which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rewriting is necessary.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레벨이 2 V 이상인 경우는, 충분한 마진이 있기 때문에 재기록하지는 않는다.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floating gate is 2 V or more, since there is sufficient margin, it is not rewritten.

한편,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레벨이 2 V 이하인 경우는 마진이 부족하기 때문에, 재기록하여 데이터를 유지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floating gate is 2 V or less, the margin is insufficient, so that data is rewritten to retain data.

이와 같이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이, 메인 기준 셀(2281)이 공급하는 1 V의 전압과 서브 기준 셀(2282)이 공급하는 2 V의 전압 사이에 위치할 때에 리프레시 처리를 수행하여 재기록함으로써,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마진이 충분히 확보될 때에 데이터를 재차 기록할 수 있다. Thus, whe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is located between the voltage of 1 V supplied by the main reference cell 2231 and the voltage of 2 V supplied by the sub-reference cell 2228, the floating gate is refreshed and rewritten to perform the rewriting. When the voltage margin of the gate is sufficiently secured, data can be recorded again.

또한, 서브 기준 셀(2282)의 전압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록하는 전압값보다 메인 기준 셀(2281)의 전압값에 가까워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재차 기록 횟수를 줄일 수 있어, 비휘발성 메모리(22)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The voltage value of the sub-reference cell 2228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set to be closer to the voltage value of the main reference cell 2231 than the voltage value to be written. As a result, the number of writes can be reduced again, and the life of the nonvolatile memory 22 can be extended.

이상 진술한 바와 같이, 모듈(10)에 의하면, 리프레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절연막의 열화에 의해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데이터 유지 성능이 열화된 경우라도, 데이터를 재기록함으로써 데이터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As stated above, according to the module 10, even when the data holding performance of the NAND flash array 225 is degraded by the deterioration of the insulating film by performing the refresh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continue the data by rewriting the data. .

또한, 섹터 A의 제1 바이트에, 반드시 기록 상태를 유지하는 바이트를 준비하고, 이 바이트를 마진 측정에 이용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정밀도가 높은 마진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byte which always maintains a recording state was prepared in the 1st byte of sector A, and this byte was used for margin measurement. This makes it possible to measure high-precision margins,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data.

또한, 미리 복수의 센스 앰프가 설치된 비휘발성 메모리이면, 본 실시형태의 구성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applied as long as it is a nonvolatile memor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nse amplifiers in advance.

그런데, 리프레시 처리가 현재 실행되고 있다는 것을 디스플레이(15)에 표시하여도 좋다. By the way, you may display on the display 15 that a refresh process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도 14는 리프레시 처리가 현재 실행되고 있다는 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4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when displaying on the display that the refresh processing is currently being executed.

CPU(11)가 NAND 컨트롤러(21)의 상태 레지스터(30)의「REFR」를 참조한다(단 계 S31). The CPU 11 refers to "REFR" in the status register 30 of the NAND controller 21 (step S31).

그리고, 「REFR」의 값이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2).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value of "REFR" is "1" (step S32).

「REFR」의 값이 「0」인 경우(단계 S32의 No), 처리를 종료한다. If the value of "REFR" is "0" (No in step S32), the processing ends.

한편, 「REFR」의 값이 「1」인 경우(단계 S32의 Yes), 리프레시 처리가 실행해되고 있기 때문에, CPU(11)에 통지한다. CPU(11)는 리프레시 처리를 실행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5)에 표시한다(단계 S33).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ue of "REFR" is "1" (Yes in step S32), since the refresh process is executed, it notifies the CPU 11. The CPU 11 displays a message on the display 15 indicating that the refresh processing is being executed (step S33). After that, the process ends.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리프레시 처리가 현재 실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grasp whether or not the refresh process is currently being executed.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22)의 교환을 재촉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5)에 표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screen for prompting replacement of the nonvolatile memory 22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5.

도 15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교환을 재촉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when displaying on the display a screen prompting replacement of the nonvolatile memory.

CPU(11)가 비휘발성 메모리(22)의 리프레시 카운터의 값 「C」를 참조한다(단계 S41). The CPU 11 refers to the value "C" of the refresh counter of the nonvolatile memory 22 (step S41).

그리고, 리프레시 카운터의 값 「C」와, 미리 준비한 값 「M」(예컨대 M=100)을 비교하여, 값 「C」가 값 「M」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2). Then, the value "C" of the refresh counter is compared with the value "M" (for example, M = 100) prepared in advance,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C" is larger than the value "M" (step S42).

값 「C」가 값「M」 미만인 경우(단계 S42의 No), 처리를 종료한다. If the value "C" is less than the value "M" (No in step S42), the process ends.

한편, 값 「C」가 값 「M」보다 큰 경우(단계 S42의 Yes), 비휘발성 메모리(22)의 교환이 필요하다고 판정하여 CPU(11)에 통지한다. CPU(11)는 비휘발성 메 모리(22)의 교환을 재촉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5)에 표시한다(단계 S43).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ue "C" is larger than the value "M" (Yes in step S42), it is determined that the nonvolatile memory 22 needs to be replaced, and the CPU 11 is notified. The CPU 11 displays a message on the display 15 prompting the exchange of the nonvolatile memory 22 (step S43). After that, the process ends.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비휘발성 메모리(22)의 교환 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nonvolatile memory 22.

<제2 실시형태>&Lt; Second Embodiment >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system of 2nd Embodiment is demonstrated.

이하, 제2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대해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시스템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같은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system of 2nd Embodiment is demonstrated centering on difference with the system of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bout the same matter.

제2 실시형태의 시스템은 센스 앰프 회로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의 센스 앰프 회로(228)와 상이하고, 그 이외는 제1 실시형태와 같다. In the system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e amplifier circui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nse amplifier circuit 228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도 16은 제2 실시형태의 센스 앰프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Fig. 1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nse amplifier circuit of the second embodiment.

센스 앰프 회로(228a)에는 논리 회로(2285)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대신에 메인 센스 앰프(2283) 및 서브 센스 앰프(2286)에 직접, 신호 Data-0을 출력하는 센스 앰프를 지정하는 신호 /SES가 입력된다. The sense amplifier circuit 228a is not provided with a logic circuit 2285. Instead, the signal / SES specifying the sense amplifier for outputting the signal Data-0 is directly input to the main sense amplifier 2283 and the sub sense amplifier 2286.

또한, 서브 센스 앰프(2286)에는 신호 /SES의 논리가 반전되어 입력되는 반전 입력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어느 한 쪽에는 논리가 「1」인 신호가 입력되고, 다른쪽에는 논리가 「0」인 신호가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선택된 한쪽 센스 앰프의 신호가 신호 Data-O으로서 출력된다. The subsense amplifier 2286 is provided with an inverting input terminal for inverting the logic of the signal / SES and inputting the same. Thereby, the signal whose logic is "1" is input to either one, and the signal which is "0" is input to the other. As a result, the signal of one selected sense amplifier is output as the signal Data-O.

이 제2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의 시스템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is second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제3 실시형태>&Lt; Third Embodiment >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system of 3rd Embodiment is demonstrated.

이하, 제3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대해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시스템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같은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system of 3rd Embodiment is demonstrated centering on difference with the system of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bout the same matter.

제3 실시형태의 시스템은 비휘발성 메모리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고, 그 이외는 제1 실시형태와 같다. The system of the thir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nonvolatile memory, and is otherwis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도 17은 제3 실시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onvolatile memory of the third embodiment.

제3 실시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22a)의 제어부(223)는 외부로부터 지정된 어드레스(이하, 「재기록 어드레스」라고 함)의 블록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I/O 버퍼 회로(221)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이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소거한 후에, I/O 버퍼 회로(221)에 기억된 데이터를 이 어드레스의 블록에 재기록하기 위한 재기록 회로(Rewrite Circuit)(223b)를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223 of the nonvolatile memory 22a of the third embodiment reads data of a block of an addr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write address") from the outside and stores it in the I / O buffer circuit 221. Then, after erasing data of the block of this address, a rewrite circuit 223b for rewriting the data stored in the I / O buffer circuit 221 into the block of this address is included.

도 18은 제3 실시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커맨드 펑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and function of the nonvolatile memory of the third embodiment.

커맨드 펑션 테이블(40a)에는, 재기록 어드레스의 블록에 대한 데이터를 재기록(Rewrite to Current Block)하기 위한 커맨드(리라이트 커맨드)가 추가되어 있다. In the command function table 40a, a command (rewrite command) for rewriting data for a block of a rewrite address is added.

재기록 어드레스의 블록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은, 제1 사이클에서 커맨드 코드 「50h」가 발행되고, 제2 사이클에서 커맨드 코드 「10h」가 발행됨으로써 이루어진다. Rewriting of data to a block of a rewrite address is performed by issuing command code "50h" in the first cycle and issuing command code "10h" in the second cycle.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의 리프레시 처리를 설명한다. Next, the refresh process of 3rd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 19는 제3 실시형태의 리프레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fresh process of the third embodiment.

이하, 제1 실시형태의 리프레시 처리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given of parts different from the refresh processing of the first embodiment.

ECC 에러가 발생한 경우(단계 S17의 Yes), (마진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여)비휘발성 메모리(22)에 리라이트 커맨드를 발행한다. 이것에 의해, 비휘발성 메모리(22)의 재기록 회로(223b)가 재기록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8a). If an ECC error occurs (Yes in step S17), a rewrite command is issued to the nonvolatile memory 22 (assuming that the margin is insufficient). As a result, the rewrite circuit 223b of the nonvolatile memory 22 performs a rewrite process (step S18a).

그 후, 단계 S22로 이행하고, 단계 S22 이후의 처리를 수행한다. Thereafter, the flow advances to step S22 to perform the processing after step S22.

다음으로, 단계 S18a의 재기록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rewriting process of step S18a is demonstrated.

도 20은 재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20 is a flowchart showing a rewrite process.

우선, 커맨드 레지스터(222)가 NAND 컨트롤러(21)로부터 제1 사이클의 리프레시 커맨드(81h)를 접수한다(단계 S51). First, the command register 222 receives the refresh command 81h of the first cycle from the NAND controller 21 (step S51).

다음에, 어드레스 레지스터(224)가 NAND 컨트롤러(21)로부터 재기록 어드레스를 접수한다(단계 S52). Next, the address register 224 receives the rewrite address from the NAND controller 21 (step S52).

다음에, 커맨드 레지스터(222)가 NAND 컨트롤러(21)로부터 제2 사이클의 리프레시 커맨드(10h)를 접수한다(단계 S53). Next, the command register 222 receives the refresh command 10h of the second cycle from the NAND controller 21 (step S53).

다음에, NAND 플래시 어레이(225)로부터 I/O 버퍼 회로(221)에 데이터를 독출한다(단계 S54). Next, data is read from the NAND flash array 225 to the I / O buffer circuit 221 (step S54).

다음에, I/O 버퍼 회로(221)에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소거한다(단계 S55). Next, in the state where data is held in the I / O buffer circuit 221, the data of the block of this address is erased (step S55).

다음에, 소거 에러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6). Next,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n erase error has occurred (step S56).

소거 에러가 발생한 경우(단계 S56의 Yes), 상태 레지스터(30)의 「DWF」에 에러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한다(단계 S57).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If an erase error occurs (Yes in step S56), a flag indicating that an error has occurred is set in "DWF" in the status register 30 (step S57). After that, the process ends.

한편, 소거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단계 S56의 No), I/O 버퍼 회로(221)가 유지하고 있는 데이터를 재기록 어드레스의 블록에 기록한다(단계 S58).On the other hand, when an erase error has not occurred (No in step S56), the data held by the I / O buffer circuit 221 is written to the block of the rewrite address (step S58).

다음에, 기록 에러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9). Next,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recording error has occurred (step S59).

기록 에러가 발생한 경우(단계 S59의 Yes), 단계 S57로 이행하고, 단계 S57 이후의 처리를 수행한다. If a recording error has occurred (Yes in step S59),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57 and the process subsequent to step S57 is performed.

한편, 기록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단계 S59의 No), 처리를 종료한다. On the other hand, if no recording error occurs (No in step S59), the processing ends.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S52에 나타내는 처리 후에 단계 S53에 나타내는 처리를 수행하였지만, 단계 S53에 나타내는 처리 후에 단계 S52에 나타내는 처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process shown by step S53 was performed after the process shown by step S52, you may perform the process shown by step S52 after the process shown by step S53.

이 제3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의 시스템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is third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s in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제4 실시형태>&Lt; Fourth Embodiment &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system of 4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이하, 제4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대해서, 전술한 제3 실시형태의 시스템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같은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system of 4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centering on difference with the system of 3rd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bout the same matter.

제4 실시형태의 시스템은 비휘발성 메모리의 구성이 제3 실시형태와 상이하고, 그 이외는 제3 실시형태와 같다. The system of the fourth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nonvolatile memory, and is otherwise the same as the third embodiment.

도 21은 제4 실시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Fig.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onvolatile memory of the fourth embodiment.

비휘발성 메모리(22b)는 재기록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I/O 버퍼 회로(221)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I/O 버퍼 회로(221)와는 별개로, 외부에서 지정된 이 어드레스와는 상이한 어드레스(이하, 「치환 어드레스」라고 함)의 블록에 데이터를 재기록하기 위한 치환 레지스터(Replace Resister)(229)를 포함한다. The nonvolatile memory 22b reads the data of the block of the rewrite address and stores it in the I / O buffer circuit 221. In addition to the I / O buffer circuit 221, a replacement register 229 for rewriting data in a block having an address different from this externally designated addr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bstitution address") is provided. Include.

도 22는 제4 실시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커맨드 펑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and function of the nonvolatile memory of the fourth embodiment.

커맨드 펑션 테이블(40b)에는, 치환 어드레스의 블록에 데이터를 재기록하는(Rewrite to Replacement Block) 커맨드(리플레이스 커맨드)가 추가되어 있다. In the command function table 40b, a command (replace command) for rewriting data in a block of replacement addresses is added.

치환 어드레스의 블록에 대한 데이터의 재기록은, 제1 사이클에서 커맨드 코드 「83h」가 발행되고, 제2 사이클에서 커맨드 코드 「10h」가 발행됨으로써 이루어진다. Rewriting of data for a block of replacement addresses is performed by issuing command code "83h" in the first cycle and issuing command code "10h" in the second cycle.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의 리프레시 처리를 설명한다. Next, the refresh process of 4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제4 실시형태의 리프레시 처리는 도 19에 나타내는 단계 S18a에서의 재기록 처리에 있어서 제3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The refresh process of the fourth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third embodiment in the rewrite process in step S18a shown in FIG.

이하, 제4 실시형태의 재기록 처리를 설명한다. The rewrite process of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3은 제4 실시형태의 재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23 is a flowchart showing the rewrite process of the fourth embodiment.

우선, 커맨드 레지스터(222)가 NAND 컨트롤러(21)로부터 제1 사이클의 리플레이스 커맨드(83h)를 접수한다(단계 S61). First, the command register 222 receives the replace command 83h of the first cycle from the NAND controller 21 (step S61).

다음에, 어드레스 레지스터(224)가 NAND 컨트롤러(21)로부터 재기록하는 어 드레스를 접수한다(단계 S62). Next, the address register 224 receives the address to be rewritten from the NAND controller 21 (step S62).

다음에, 치환 레지스터(229)가 NAND 컨트롤러(21)로부터 치환 어드레스를 접수한다(단계 S63). Subsequently, the substitution register 229 receives the substitution address from the NAND controller 21 (step S63).

다음에, 커맨드 레지스터(222)가 NAND 컨트롤러(21)로부터 제2 사이클의 리플레이스 커맨드(10h)를 접수한다(단계 S64). Next, the command register 222 receives the replace command 10h of the second cycle from the NAND controller 21 (step S64).

다음에,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지정된 재기록 어드레스의 블록으로부터 I/O 버퍼 회로(221)에 데이터를 독출하여, I/O 버퍼 회로(221)에 데이터를 유지시킨다(단계 S65). Next, data is read into the I / O buffer circuit 221 from the block of the designated rewrite address of the NAND flash array 225, and the data is held in the I / O buffer circuit 221 (step S65).

다음에, 제어부(223)가 어드레스를 치환 어드레스로 전환하고, I/O 버퍼 회로(221)가 유지하고 있는 데이터를 치환 어드레스의 블록에 기록한다(단계 S66).Next, the control unit 223 switches the address to the replacement address, and writes data held by the I / O buffer circuit 221 into the block of the replacement address (step S66).

다음에, 기록 에러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7). Next,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recording error has occurred (step S67).

기록 에러가 발생한 경우(단계 S67의 Yes), 상태 레지스터(30)의 「DWF」에 에러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한다(단계 S68).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If a write error occurs (Yes in step S67), a flag indicating that an error has occurred is set in "DWF" in the status register 30 (step S68). After that, the process ends.

한편, 기록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단계 S67의 No), 재기록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소거한다(단계 S69). On the other hand, when no write error occurs (No in step S67), the data of the block of the rewrite address is erased (step S69).

다음에, 소거 에러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0). Next,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n erase error has occurred (step S70).

소거 에러가 발생한 경우(단계 S70의 Yes), 단계 S68로 이행하여, 단계 S68 이후의 처리를 수행한다. If an erase error has occurred (Yes in step S70), the flow advances to step S68 to perform the processing after step S68.

한편, 소거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단계 S70의 No), NAND 컨트롤러(21) 의 지시에 기초하여, 논리 어드레스와 물리 어드레스의 관계를 기재한 맵핑 테이블을 갱신한다(단계 S71).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an erase error has not occurred (No in step S70), the mapping table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gical address and the physical address is updated based on the instruction of the NAND controller 21 (step S71). After that, the process ends.

이하, NAND 컨트롤러(21)가 실행하는 맵핑 테이블의 갱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updating process of the mapping table which the NAND controller 21 performs is demonstrated.

도 24는 맵핑 테이블의 갱신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24 is a flowchart showing an update process of a mapping table.

우선, 비휘발성 메모리(22)에 리플레이스 커맨드를 송신하여 상태 레지스터(30)의 비트 내용을 판독한다(단계 S81). First, a replace command is sent to the nonvolatile memory 22 to read the bit contents of the status register 30 (step S81).

다음에, 기록 에러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2). Next,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recording error has occurred (step S82).

기록 에러가 발생한 경우(단계 S82의 Yes), 기록 에러를 CPU(11)에 송신한다(단계 S83).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If a write error occurs (Yes in step S82), a write error is sent to the CPU 11 (step S83). After that, the process ends.

기록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단계 S82의 No), 맵핑 테이블을 갱신한다(단계 S84). 구체적으로는, 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물리 어드레스를, 데이터가 판독된 어드레스로부터 치환 어드레스로 치환한다.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If no recording error occurs (No in step S82), the mapping table is updated (step S84). Specifically, the physical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logical address is replaced with the replacement address from the address from which data is read. Thereafter, the processing ends.

이 제4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제3 실시형태의 시스템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is fourth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s in the system of the third embodiment can be obtained.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22)는 동일한 어드레스의 블록에 기록?소거를 반복하면 열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전체 어드레스의 재기록 횟수가 평균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since the deterioration proceeds when the nonvolatile memory 22 repeatedly writes and erases the same address block, it is preferable that the rewrite times of all addresses be averaged.

제4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데이터가 판독된 어드레스와는 상이한 어드레스의 블록에 데이터를 재차 기록함으로써 재기록 횟수를 평균화할 수 있다. 이 것에 의해, 비휘발성 메모리(22)의 수명이 길어지고,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number of rewrites can be averaged by rewriting the data in a block of an address different from the address from which the data is read. As a result, the lifespan of the nonvolatile memory 22 is long, and reli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제5 실시형태> Fifth Embodiment

다음으로, 제5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system of 5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이하, 제5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대해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시스템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같은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system of 5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centering on difference with the system of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bout the same matter.

제5 실시형태의 시스템은 NAND 컨트롤러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고, 그 이외는 제1 실시형태와 같다. In the system of the fifth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NAND controlle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도 25는 제5 실시형태의 NAND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FIG. 2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NAND controll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IG.

NAND 컨트롤러(21a)는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이 CPU(11)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리프레시 간격 레지스터(Refresh Interval Register)(217)를 포함한다. The NAND controller 21a includes a refresh interval register 217 in which a threshol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has been exceeded can be set by the CPU 11.

또한, NAND 컨트롤러(21a)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미리 정해진 위치(후술)에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해 판독?소거?기록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 횟수를 액세스 횟수 정보로서 기록한다. The NAND controller 21a also records, as access count information, the number of times any one of read, erase, and write is performed on the nonvolatile memor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described later) of the nonvolatile memory.

그리고, NAND 컨트롤러(21a)는 비휘발성 메모리(22)로부터 판독된 액세스 횟수 정보가 리프레시 간격 레지스터(217)에 설정된 수치를 초과한 경우에 리프레시 처리를 수행한다. Then, the NAND controller 21a performs the refresh process when the access count information read from the nonvolatile memory 22 exceeds the value set in the refresh interval register 217.

도 26은 액세스 횟수 정보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ccess count information.

스페어 a, b, c, d의 제15 바이트 및 제16 바이트에, 액세스 횟수 정보를 기록하는 액세스 카운터(AC: Access Counter)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26에서는 일례로서 스페어 a의 설정예를 나타내고 있다.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bytes of the spares a, b, c, and d, an access counter (AC) for recording access count information is set. 26 shows an example of setting spare a as an example.

다음으로, 제5 실시형태의 리프레시 처리 필요 여부 판단 처리를 설명한다. Next, the refresh process necessity determination process of 5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 27은 제5 실시형태의 리프레시 처리 필요 여부 판단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 27 is a flowchart showing the refresh process necessity determin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우선,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액세스 카운터를 참조하여, 액세스 횟수 정보를 판독한다(단계 S91). First, the access count information is read with reference to the access counter of the NAND flash array 225 (step S91).

다음에, 액세스 횟수 정보값 「A」와 미리 준비한 값 「N」(예컨대 N=1000)을 비교하여, 액세스 횟수 정보값 「A」가 값 「N」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2). Next, the access count information value "A"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prepared value "N" (for example, N = 100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ccess count information value "A" is larger than the value "N" (step S92). .

값 「A」가 값 「N」 미만인 경우(단계 S92의 No), 처리를 종료한다. If the value "A" is less than the value "N" (No in step S92), the process ends.

한편, 값 「A」가 값 「N」보다 큰 경우(단계 S92의 Yes), 상태 레지스터(30)의 「REFR」의 값을 「1」로 설정한다(단계 S93).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ue "A" is larger than the value "N" (Yes in step S92), the value of "REFR" of the status register 30 is set to "1" (step S93).

다음에, 리프레시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94). 또한 리프레시 처리의 내용은 도 11에 나타내는 리프레시 처리와 같다. Next, a refresh process is performed (step S94). In addition, the content of a refresh process is the same as that of the refresh process shown in FIG.

리프레시 처리의 종료 후, 상태 레지스터(30)의 「REFR」의 값을 「0」으로 설정한다(단계 S95).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efresh processing, the value of "REFR" in the status register 30 is set to "0" (step S95).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After that, the process ends.

이상으로 리프레시 처리 필요 여부 판단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This concludes the description of the refresh processing determination process.

이 제5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의 시스템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is fifth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s in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그리고, 제5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실제 액세스 횟수에 기초하여 리프레시 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fifth embodiment, since the refresh process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actual number of times of access, the reliability of data can be further improved.

<제6 실시형태>Sixth Embodiment

다음으로, 제6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system of 6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이하, 제6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대해서, 전술한 제5 실시형태의 시스템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같은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system of 6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centering on difference with the system of 5th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bout the same matter.

제6 실시형태의 시스템은 CPU(11)의 기능이 제5 실시형태와 상이하고, 그 이외는 제5 실시형태와 같다. In the system of the sixth embodiment, the function of the CPU 11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fth embodiment, except for the same as in the fifth embodiment.

제6 실시형태의 CPU(11)는 비휘발성 메모리(22)로부터 리프레시 카운터의 카운터값을 판독하여, 그 값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한 경우, NAND 컨트롤러(21a) 의 리프레시 간격 레지스터(217)의 값을 변경한다. The CPU 11 of the sixth embodiment reads the counter value of the refresh counter from the nonvolatile memory 22, and when the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refresh interval register 217 of the NAND controller 21a. Change the value.

도 28은 리프레시 간격 변경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28 is a flowchart showing a refresh interval changing process.

우선, NAND 플래시 어레이(225)의 리프레시 카운터를 참조하여, 카운터값을 판독한다(단계 S101). First, the counter value is read with reference to the refresh counter of the NAND flash array 225 (step S101).

다음에, 리프레시 카운터의 카운터값 「Co」와 미리 준비한 값 「P」(예컨대 P=10)를 비교하여, 카운터값 「Co」가 값 「P」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2). Next, the counter value "Co" of the refresh counter and the previously prepared value "P" (for example, P = 10)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unter value "Co" is larger than the value "P" (step S102).

카운터값 「Co」가 값 「P」 미만인 경우(단계 S102의 No), 처리를 종료한다. If the counter value "Co" is less than the value "P" (No in step S102), the processing ends.

한편, 카운터값 「Co」가 값 「P」보다 큰 경우(단계 S102의 Yes), NAND 컨 트롤러(21)의 리프레시 간격 레지스터(217)의 값 「I」를 판독한다(단계 S103).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unter value "Co" is larger than the value "P" (Yes in step S102), the value "I" of the refresh interval register 217 of the NAND controller 21 is read (step S103).

다음에, 리프레시 간격을 변경한다(단계 S104).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X=0.5」 로 설정함으로써, 판독한 값 「I」를 절반으로 한다. Next, the refresh interval is changed (step S104). Specifically, for example, by setting "X = 0.5", the read value "I" is made into half.

다음에, 단계 S104에서 변경한 레지스터의 값을 리프레시 간격 레지스터(217)에 기록한다(단계 S105).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Next, the value of the register changed in step S104 is written to the refresh interval register 217 (step S105). After that, the process ends.

도 29는, 리프레시 간격 변경 처리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ffect of the refresh interval changing process.

리프레시 간격 변경 처리가 수행됨으로써, 2회째부터 3회째 및 3회째부터 4회째의 리프레시 처리가 수행되는 타이밍이 1회째부터 2회째의 절반으로 되어 있다. By performing the refresh interval changing process, the timing at which the refresh processing for the second to third and third to fourth times is performed is made half of the first to second times.

이 제6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제5 실시형태의 시스템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is sixth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system of the fifth embodiment can be obtained.

그리고, 제6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또한 기록 횟수가 증가하여, 절연막의 열화에 의해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이 감소한 경우라도, 리프레시 처리를 수행하는 간격을 짧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sixth embodiment, even when the number of writes increases and the period in which the data can be retained due to deterioration of the insulating film is shortened, the reliability of data is further improved by shortening the interval for performing the refresh process. Can be.

<제7 실시형태> Seventh Embodiment

다음으로, 제7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system of 7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이하, 제7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대해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시스템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같은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system of 7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centering on difference with the system of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bout the same matter.

제7 실시형태의 시스템은 NAND 컨트롤러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고, 그 이외는 제1 실시형태와 같다. The system of the seventh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NAND controller, and is otherwis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도 30은 제7 실시형태의 NAND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3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AND controll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NAND 컨트롤러(21b)는 또한 모듈(10)이 구비하는 리얼타임 클록 IC(도시 생략)로부터 현재 일시(日時) 정보를 취득하는 I2C 인터페이스부(I2C Interface Unit)(218)를 포함한다. The NAND controller 21b also includes an I2C interface unit 218 for acquiring current date / time information from a real-time clock IC (not shown) included in the module 10.

NAND 인터페이스부(216)는 I2C 인터페이스부(218)가 취득한 현재 일시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22)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설정한다.The NAND interface unit 216 sets the current date and tim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2C interface unit 218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nonvolatile memory 22.

도 31은 비휘발성 메모리의 현재 일시 정보의 설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3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etting of current date and time information in a nonvolatile memory.

스페어 a, b, c, d의 제15 비트 및 제16 비트에, 마지막으로 리프레시 처리를 수행한 일시를 기억하는 LRD(Latest Refresh Date)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31에서는 일례로서 스페어 a의 설정예를 나타내고 있다.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bits of the spares a, b, c, and d, a LRD (Latest Refresh Date) for storing the date and time of the last refresh processing is set. 31 shows an example of setting spare a as an example.

다음으로, 제7 실시형태의 리프레시 필요 여부 판단 처리를 설명한다. Next, the refresh necessity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sev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32는 제7 실시형태의 리프레시 처리 필요 여부 판단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32 is a flowchart showing a refresh process determin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우선, I2C 인터페이스부(218)가 리얼타임 클록 IC로부터 현재 일시 정보 「Cu」를 판독한다(단계 S111). First, the I2C interface unit 218 reads the current date / time information "Cu" from the real-time clock IC (step S111).

다음에, LRD에 저장되어 있는 일시 정보 「L」을 판독한다(단계 S112). Next, the date and time information "L" stored in the LRD is read (step S112).

그리고, 현재 일시 정보 「Cu」로부터 일시 정보 「L」을 감산한 값 「Cu-L」과, 미리 정한 값 「Q」(예컨대 Q=7일)를 비교하여, 값 「Cu-L」이 값 「Q」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3). Then, the value "Cu-L" obtained by subtracting the date and time information "L" from the current date and time information "Cu" is compared with the predetermined value "Q" (for example, Q = 7 days), and the value "Cu-L" is a value.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is larger than "Q" (step S113).

값 「Cu-L」이 값 「Q」 미만인 경우(단계 S113의 No), 처리를 종료한다. If the value "Cu-L" is less than the value "Q" (No in step S113), the process ends.

한편, 값 「Cu-L」이 값 「Q보다 큰 경우(단계 S113의 Yes), 상태 레지스터(30)의 「REFR」의 값을 「1」로 설정한다(단계 S114).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ue "Cu-L" is larger than the value "Q (Yes in step S113), the value of" REFR "of the status register 30 is set to" 1 "(step S114).

다음에, 리프레시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15). 또한 리프레시 처리의 내용은 도 11에 도시하는 리프레시 처리와 같다. Next, a refresh process is performed (step S115). In addition, the content of a refresh process is the same as that of the refresh process shown in FIG.

리프레시 처리의 종료 후, 상태 레지스터(30)의 「REFR」의 값을 「0」으로 설정한다(단계 S116).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efresh processing, the value of "REFR" in the status register 30 is set to "0" (step S116).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After that, the process ends.

이상으로 리프레시 처리 필요 여부 판단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This concludes the description of the refresh processing determination process.

이 제7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의 시스템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is seventh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s in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그리고, 제7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데이터 액세스가 없어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전위가 하강하고, 논리가 반전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seventh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potential from falling and the logic being reversed as time passes even without data access. This can further increase the reliability.

이상, 본 발명의 비휘발성 메모리, 메모리 제어 장치, 메모리 제어 시스템, 및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어 방법을, 예시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부분의 구성은 같은 기능을 갖는 임의의 구성의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임의의 구성물이나 공정이 부가될 수도 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ontrol method of the nonvolatile memory, the memory control apparatus, the memory control system, and the nonvolatile memory of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based on embodiment illustrat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structure of each part May be replaced with any configuration having the same function. In addition, other arbitrary components or processes may be added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 중, 임의의 2 이상의 구성(특징)을 조합한 것이어도 좋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bination of any two or more configurations (characteristic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을 휴대 전화나 PDA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demonstrated using the computer system,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such as a mobile telephone and a PDA.

이상의 제1~제7 실시형태에 관해서, 이하의 부기를 더 개시한다. Regarding the abov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the following bookkeeping is further disclosed.

(부기 1) (Book 1)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A memory cell array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having a floating gate;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메모리 셀의 기록 상태와 소거 상태를 식별하는 제1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하는 제1 센스 앰프와, A first sense amplifier for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first threshold value for identifying a write state and an erase state of the memory cell;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하는 제2 센스 앰프와, A second sense amplifier for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second threshold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상기 제2 센스 앰프에서,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재차 기록하는 기록부 In the second sense amplifier, a recording unit for rewriting the data of the memory cell having the floating gate determined that the second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comprising a.

(부기 2) (Book 2)

상기 제2 센스 앰프의 판정은 상기 제1 센스 앰프에서, 상기 제1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비휘발성 메모리. The determination of the second sense amplifier is made after the first sense amplifier determines that the first threshold value is larg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부기 3) (Supplementary Note 3)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스 앰프의 출력과 상기 제2 센스 앰프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비 휘발성 메모리. The nonvolatile memory according to Appendix 1, wherein one of the output of the first sense amplifier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sense amplifier is selected based on the input selection signal.

(부기 4) (Note 4)

상기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스 앰프의 출력과 상기 제2 센스 앰프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된 비휘발성 메모리. And a selection circuit for selecting any one of an output of said first sense amplifier and an output of said second sense amplifier based on said selection signal.

(부기 5) (Note 5)

커맨드를 접수하고, 상기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커맨드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 또는 3에 기재된 비휘발성 메모리. And a command register for receiving a command and outputting said select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said command.

(부기 6) (Note 6)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지정된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A data reading unit which reads data of a block of a specified address of the memory cell array;

판독된 상기 데이터를 일시(一時) 기억하는 일시 기억부를 더 포함하며, A temporary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the read data;

상기 데이터 판독부는,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판독하여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The data reading unit reads the data, which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in units of blocks, and stores the data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상기 기록부는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소거한 후에,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에 재차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비휘발성 메모리. The recording unit erases the data of the block of the address, and then writes th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to the block of the address again.

(부기 7) (Appendix 7)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지정된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 터 판독부와, A data reading unit which reads data of a block of a specified address of the memory cell array;

판독된 상기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일시 기억부를 더 포함하며, A temporary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the read data;

상기 데이터 판독부는,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판독하여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The data reading unit reads the data, which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in units of blocks, and stores the data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상기 기록부는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소거한 후에,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과는 상이한 어드레스의 블록에 재차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비휘발성 메모리. The recording unit erases the data of the block of the address, and then writes th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gain to a block of an address different from that of the block of the address.

(부기 8) (Appendix 8)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어드레스의 블록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상기 블록의 미리 정해진 메모리 셀은 데이터를 항상 기록하는 기록 위치로 설정되어 있고, When writing data to a block of addresses of the memory cell array, the predetermined memory cell of the block is set to a write position which always writes data,

상기 제2 센스 앰프는 상기 기록 위치의 메모리 셀의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제2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비휘발성 메모리. And the second sense amplifier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of the memory cell at the write position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부기 9)(Note 9)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메모리 셀의 기록 상태와 소거 상태를 식별하는 제1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하는 제1 센스 앰프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하는 제2 센스 앰프와, 지시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하여, 상기 제2 센스 앰프에서,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 고 판정된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 기록을 상기 기록부에 지시하는 기록 지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장치. A memory cell array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having a floating gate, a first sense amplifier for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a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first threshold value for identifying a write state and an erase state of the memory cell; A non-volatile memory having a second sense amplifier for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a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second threshold value larg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a recording unit for writing the indicated data to the memory cell, And a write instruction instructing, in the second sense amplifier, data writing of the memory cell having the floating gate, the second threshold value being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to the recording unit. Memory control unit.

(부기 10)(Book 10)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지정된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지정된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일시 기억하는 일시 기억부를 더 포함하며, The nonvolatile memory further includes a data reading unit reading data of a block of a designated address of the memory cell array, and a temporary storage unit reading and temporarily storing data of a block of a designated address of the memory cell array,

상기 기록 지시부는,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판독부로 판독시켜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소거한 후에, 상기 기록부로 하여금,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에 재차 기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에 기재된 메모리 제어 장치. The write instruction section reads the data of the block of the address including the data determined that the second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in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to read the data of the block of the address. The memor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ppendix 9, wherein after the data is erased, the recording unit causes th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to be written again into the block of the address.

(부기 11) (Note 11)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지정된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지정된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일시 기억하는 일시 기억부를 더 포함하며, The nonvolatile memory further includes a data reading unit reading data of a block of a designated address of the memory cell array, and a temporary storage unit reading and temporarily storing data of a block of a designated address of the memory cell array,

상기 기록 지시부는,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판독부로 판독시켜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소거한 후에, 상기 기록부로 하여금,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어드 레스의 블록과는 상이한 어드레스의 블록에 재차 기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에 기재된 메모리 제어 장치. The write instruction section reads the data of the block of the address including the data determined that the second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in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to read the data of the block of the address. After erasing the data, the recording unit causes th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to be written again to a block having an address different from that of the address block.

(부기 12)(Appendix 12)

상기 블록의 논리 어드레스와, 상기 논리 어드레스에 대한 물리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테이블을 더 포함하며, And a table for managing a logical address of the block and a physical address for the logical address,

상기 기록 지시부는, 상기 기록부로 하여금,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에 재차 기록시키고, 상기 테이블의 상기 데이터의 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재차 기록된 물리 어드레스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메모리 제어 장치. The recording instruction unit causes the recording unit to writ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gain to the block of the address, and to update the recorded physical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logical address of the data in the table again. The memor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ppendix 11.

(부기 13) (Appendix 13)

상기 기록 지시부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지정된 어드레스의 블록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상기 블록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에 기재된 메모리 제어 장치. And the write instructing unit instructs the recording unit to write data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lock when writing data to a block of a specified address of the memory cell array.

(부기 14) (Book 14)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미리 정해진 일시(日時)가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일시 경과 판단용 임계값이 설정된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The nonvolatile memory further includes a register in which a temporary elapsed time threshold for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date and time has elapsed is set,

상기 기록 지시부는, 상기 제2 센스 앰프가 판정 처리를 수행할 때마다, 상기 판정 처리를 수행한 일시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에 지시하고, The recording instruction unit instructs the recording unit to record the date and time when the determination process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nonvolatile memory each time the second sense amplifier performs the determination process,

현재의 일시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기록된 일시와의 차분이 상기 일시 경과 판단용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제2 센스 앰프의 판정 처리를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에 기재된 메모리 제어 장치. The memory control according to Appendix 9, wherein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of the second sense amplifier is perform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date and time and the date and time record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exceeds the temporary elapsed time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Device.

(부기 15) (Supplementary Note 15)

상기 메모리 셀의 액세스 횟수를 판단하는 액세스 횟수 판단용 임계값이 설정된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And a register in which an access count determination threshold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accesses of the memory cell is set.

상기 기록 지시부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 횟수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에 지시하고, The recording instruction unit instructs the recording unit to record the number of times of access to the nonvolatile memor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nonvolatile memory,

상기 액세스 횟수가 상기 액세스 횟수 판단용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제2 센스 앰프의 판정 처리를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에 기재된 메모리 제어 장치. The memor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ppendix 9, wherein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of the second sense amplifier is performed when the number of accesses exceeds the threshold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accesses.

(부기 16) (Appendix 16)

상기 제2 센스 앰프가 처리를 수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에 기재된 메모리 제어 장치. The memor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note 9, further comprising a register for setting a flag indicating that the second sense amplifier is performing processing.

(부기 17) (Note 17)

상기 기록 지시부는, 상기 기록 지시부가 상기 기록부에 기록을 지시한 횟수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에 기재된 메모리 제어 장치. And the recording instructing unit instructs the recording unit to record the number of times the recording instruction unit instructs the recording in the recording uni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nonvolatile memory.

(부기 18) (Note 18)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상 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메모리 셀의 기록 상태와 소거 상태를 식별하는 제1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하는 제1 센스 앰프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하는 제2 센스 앰프와, 지시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A memory cell array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having a floating gate, and a first sense amplifier for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a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first threshold value for identifying a write state and an erase state of the memory cell; And a non-volatile memory having a second sense amplifier for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second threshold value larg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a recording unit for writing the indicated data to the memory cell.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하여, 상기 제2 센스 앰프에서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 기록을 상기 기록부에 지시하는 기록 지시부를 갖는 메모리 제어 장치와, A write instruction unit for instructing, in the recording unit, data writing of the memory cell including the floating gate, wherein the second threshold is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in the second sense amplifier. Having a memory control device,

상기 메모리 제어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A display control unit which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memory control device on a display devic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시스템. Memory control system comprising a.

(부기 19) (Note 19)

상기 메모리 제어 장치는 상기 기록 지시부가 기록을 지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The memory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 register for setting a flag indicating that the write instruction unit is instructing recording,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레지스터에 설정된 플래그를 판독하고, 상기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록 지시부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논리를 유지하는 기록의 지시를 행하고 있는 것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에 기재된 메모리 제어 시스템. The display control unit reads a flag set in the register, and if the flag is set, displays on the display device that the write instruction unit is instructing recording to maintain the logic of the floating gate. The memory control system described in annex 18.

(부기 20) (Note 20)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기록 지시부가 상기 기록부에 기록을 지시하는 횟수를 저장하는 부위를 포함하며, The nonvolatile memory includes a portion for storing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recording instruction instructs the recording in the recording unit,

상기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2 센스 앰프의 이전회의 판정 처리를 수행한 시간부터 이번 판정 처리를 수행할 때까지의 시간의 간격보다 이번 판정 처리를 수행하는 시간부터 다음번 이후의 판정 처리를 수행하는 시간의 간격을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에 기재된 메모리 제어 시스템. When the number of times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time after the next time from the time of performing this determination processing, rather than the time interval from the time of performing the previous determination processing of the second sense amplifier to the time of performing this determination processing, The memor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ppendix 18, wherein the interval of time for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process is shortened.

(부기 21) (Book 21)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기록 지시부가 상기 기록부에 기록을 지시하는 횟수를 저장하는 부위를 포함하며, The nonvolatile memory includes a portion for storing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recording instruction instructs the recording in the recording unit,

상기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교환을 재촉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에 기재된 메모리 제어 시스템. The memor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ppendix 18, wherein the screen for prompting replacement of the nonvolatile memory is displayed when the number of times exceed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부기 22) (Supplementary Note 22)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제1 센스 앰프와, 제2 센스 앰프와, 기록부를 구비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A memory cell array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having a floating gate, a first sense amplifier, a second sense amplifier, and a recording unit, comprising:

상기 제1 센스 앰프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메모리 셀의 기록 상태와 소거 상태를 식별하는 제1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하는 단계와, Determining, by the first sense amplifier, a magnitude between a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first threshold value for identifying a write state and an erase state of the memory cell;

상기 제2 센스 앰프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과의 대소를 판정하는 단계와, Determining, by the second sense amplifier, a magnitude between a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second threshold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상기 기록부가, 상기 제2 센스 앰프에서,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상기 메모리 셀 의 데이터를 재차 기록하는 단계Rewriting, by the writing unit, data of the memory cell including the floating gate in which the second sense amplifier determines that the second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a nonvolatile memory, comprising a.

도 1은 실시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 nonvolatile memory of an embodiment.

도 2는 실시형태의 모듈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example of a module of the embodiment.

도 3은 NAND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NAND controller.

도 4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nonvolatile memory.

도 5는 센스 앰프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nse amplifier circuit.

도 6은 상태 레지스터의 설정예를 도시하는 도면.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setting example of a status register.

도 7은 페이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age.

도 8은 페이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age.

도 9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부여하는 커맨드 펑션을 나타내는 도면.9 is a diagram showing a command function to be given to a nonvolatile memory.

도 10은 리프레시 처리 필요 여부 판단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10 is a flowchart showing a refresh process determination process.

도 11은 리프레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11 is a flowchart showing a refresh process.

도 12는 리프레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12 is a flowchart showing a refresh process.

도 13은 리프레시 처리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Fig. 13 shows the effect of the refresh processing.

도 14는 리프레시 처리가 현재 실행되고 있는 것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when displaying on the display that a refresh processing is currently being executed;

도 15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교환을 재촉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when displaying on the display a screen prompting exchange of nonvolatile memory.

도 16은 제2 실시형태의 센스 앰프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Fig. 1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nse amplifier circuit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7은 제3 실시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도시하는 블록도. Fig.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onvolatile memory of the third embodiment.

도 18은 제3 실시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커맨드 펑션을 나타내는 도면. Fig. 18 shows the command function of the nonvolatile memory of the third embodiment.

도 19는 제3 실시형태의 리프레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19 is a flowchart showing a refresh process of a third embodiment;

도 20은 재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20 is a flowchart showing a rewrite process;

도 21은 제4 실시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도시하는 블록도. Fig.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onvolatile memory of the fourth embodiment.

도 22는 제4 실시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커맨드 펑션을 나타내는 도면. Fig. 22 is a diagram showing a command function of the nonvolatile memory of the fourth embodiment.

도 23은 제4 실시형태의 재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Fig. 23 is a flowchart showing the rewrite process of the fourth embodiment.

도 24는 맵핑 테이블의 갱신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24 is a flowchart showing an update process of a mapping table.

도 25는 제5 실시형태의 NAND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2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NAND controll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도 26은 액세스 횟수 정보의 설정예를 도시하는 도면. Fig. 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tting example of access count information.

도 27은 제5 실시형태의 리프레시 처리 필요 여부 판단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Fig. 27 is a flowchart showing a refresh process need determin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도 28은 리프레시 간격 변경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28 is a flowchart showing a refresh interval changing process.

도 29는 리프레시 간격 변경 처리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29 is a diagram showing the effect of a refresh interval changing process;

도 30은 제7 실시형태의 NAND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3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NAND controll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도 31은 비휘발성 메모리의 현재 일시 정보의 설정을 설명하는 도면. Fig. 31 is a diagram explaining setting of current date and time information of a nonvolatile memory.

도 32는 제7 실시형태의 리프레시 처리 필요 여부 판단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32 is a flowchart showing a refresh process need determination process in the seventh embodiment;

도 33은 NAND형 비휘발성 메모리의 기본 셀 구조를 도시하는 회로도. 3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basic cell structure of a NAND type nonvolatile memory.

도 34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기록 및 소거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 34 is a diagram showing an aspect of data writing and erasing of a nonvolatile memory.

도 35는 FN 터널 현상에 의한 게이트 산화막의 열화를 도시하는 도면. 35 is a diagram illustrating deterioration of a gate oxide film due to the FN tunnel phenomenon.

도 36은 경과 시간과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변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36 is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elapsed time and a voltage change of a floating gate.

도 37은 재기록 횟수와 데이터 유지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Fig. 37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rewrites and the data holding time;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비휘발성 메모리 2: 메모리 셀 어레이1: non-volatile memory 2: memory cell array

3: 제1 센스 앰프 4: 제2 센스 앰프3: first sense amplifier 4: second sense amplifier

5: 기록부 10: 모듈5: register 10: module

11: CPU 12: 칩세트11: CPU 12: chipset

12a: 노스 브리지 12b: 사우스 브리지12a: North Bridge 12b: South Bridge

13: 메모리 15: 디스플레이13: memory 15: display

20: 비휘발성 모듈 21, 21a, 21b: NAND 컨트롤러20: nonvolatile module 21, 21a, 21b: NAND controller

22: NAND형 비휘발성 메모리(비휘발성 메모리)22: NAND type non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30: 상태 레지스터 40, 40a, 40b: 커맨드 펑션 테이블30: Status register 40, 40a, 40b: command function table

211: 호스트 인터페이스부 212: 컨트롤 레지스터211: host interface unit 212: control register

213: 전력 제어부 214: 버퍼213: power control unit 214: buffer

215: ECC 처리부 216: NAND 인터페이스부215: ECC processing unit 216: NAND interface unit

217: 리프레시 간격 레지스터 218: I2C 인터페이스부217: refresh interval register 218: I2C interface unit

221: I/O 버퍼 회로 222: 커맨드 레지스터221: I / O buffer circuit 222: command register

223: 제어부 223a: 고전압 발생 회로223: control unit 223a: high voltage generation circuit

223b: 재기록 회로 224: 어드레스 레지스터223b: rewrite circuit 224: address register

225: NAND 플래시 어레이 226: X 디코더225: NAND Flash Array 226: X Decoder

227: Y 디코더 228, 228a: 센스 앰프 회로227: Y decoder 228, 228a: sense amplifier circuit

229: 치환 레지스터 2281: 메인 기준 셀229: substitution register 2281: main reference cell

2282: 서브 기준 셀 2283: 메인 센스 앰프2282: sub reference cell 2283: main sense amplifier

2284, 2286: 서브 센스 앰프 2285: 논리 회로2284, 2286: subsense amplifier 2285: logic circuit

Claims (10)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A memory cell array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having a floating gate;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메모리 셀의 기록 상태와 소거 상태를 식별하는 제1 임계값의 대소를 판정하여 상기 메모리 셀이 기록 상태인지 소거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스 앰프와, A first sense amplifier configured to determine a magnitude of a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first threshold value for identifying a write state and an erase state of the memory cell and output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memory cell is in a write state or an erase state;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메모리 셀의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마진을 식별하는 제2 임계값의 대소를 판정하여 상기 메모리 셀의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마진이 확보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센스 앰프와,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larg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identifying the voltage margin of the floating gate of the memory cell are determined to indicate whether the voltage margin of the floating gate of the memory cell is secured. A second sense amplifier for outputting a signal, 상기 제2 센스 앰프에서,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재차 기록하는 기록부와,A recording unit for rewriting the data of the memory cell including the floating gate, wherein the second sense amplifier has determined that the second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지정된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A data reading unit which reads data of a block of a specified address of the memory cell array; 판독된 상기 데이터를 일시(一時) 기억하는 일시 기억부Temporary storag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read data 를 포함하고, Including, 상기 데이터 판독부는,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판독하여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The data reading unit reads the data, which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in units of blocks, and stores the data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상기 기록부는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소거한 후에,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과는 상이한 어드레스의 블록에 재차 기록하며,The recording unit erases the data of the block of the address, and then writes th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gain to a block of an address different from that of the block of the address, 상기 기록부에 의한 재차 기록의 횟수가 저장되며, 상기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2 센스 앰프의 이전회의 판정 처리를 수행한 시간부터 이번 판정 처리를 수행할 때까지의 시간의 간격보다 이번 판정 처리를 수행하는 시간부터 다음번 이후의 판정 처리를 수행하는 시간의 간격이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The number of times of recording by the recording unit is stored again, and when the number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 interval of time from the time of performing the previous determination processing of the second sense amplifier to the time of performing this determination processing A nonvolatile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time of performing the next determination processing from the time of performing this determination processing becomes shor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스 앰프의 판정은, 상기 제1 센스 앰프에서 상기 제1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The nonvolatile memo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ation of the second sense amplifier is performed after the first sense amplifier determines that the first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어드레스의 블록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상기 블록의 미리 정해진 메모리 셀은 데이터를 항상 기록하는 기록 위치로 설정되어 있고, The memory cell of claim 1, wherein when data is written to a block of addresses of the memory cell array, the predetermined memory cell of the block is set to a write position to always write data, 상기 제2 센스 앰프는 상기 기록 위치의 메모리 셀의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의 대소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And the second sense amplifier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of the memory cell at the write position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메모리 셀의 기록 상태와 소거 상태를 식별하는 제1 임계값의 대소를 판정하여 상기 메모리 셀이 기록 상태인지 소거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스 앰프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메모리 셀의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마진을 식별하는 제2 임계값의 대소를 판정하여 상기 메모리 셀의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마진이 확보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센스 앰프와, 지시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지정된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판독된 상기 데이터를 일시(一時) 기억하는 일시 기억부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하여, 상기 제2 센스 앰프에서,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의 기록을 상기 기록부에 지시하는 기록 지시부를 포함하고,A memory cell array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having a floating gate, and a magnitude of a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first threshold value for identifying a write state and an erase state of the memory cell are determined so that the memory cell is in a write state. Determine a magnitude of a first sense amplifier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signal is in an erase state or a second threshold value for identifying a voltage margin of the floating gate of the memory cell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the first threshold value; A second sense amplifier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whether a voltage margin of the floating gate of the memory cell is secured, a recording unit for writing the indicated data to the memory cell, and data of a block at a specified address of the memory cell array. A data reading section for reading the data, and a temporary storage se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the read data. For the nonvolatile memory, a write instruction unit for instructing, in the second sense amplifier, writing of data of the memory cell including the floating gate, the second threshold being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to the recording unit. Including, 상기 기록 지시부는,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판독하여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하도록 상기 데이터 판독부에 지시하며, The write instructing unit instructs the data reading unit to read, in units of blocks, data determined that the second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to store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상기 기록 지시부는,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소거한 후에,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과는 상이한 어드레스의 블록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에 지시하며,The write instructing unit instructs the recording unit to writ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into a block having an address different from that of the address block after erasing data of the block of the address;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상기 기록 지시부가 상기 기록부에 기록을 지시하는 횟수가 저장되고, The nonvolatile memory stores a number of times that the recording instruction unit instructs recording in the recording unit, 상기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2 센스 앰프의 이전회의 판정 처리를 수행한 시간부터 이번 판정 처리를 수행할 때까지의 시간의 간격보다 이번 판정 처리를 수행하는 시간부터 다음번 이후의 판정 처리를 수행하는 시간의 간격을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장치. When the number of times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time after the next time from the time of performing this determination processing, rather than the time interval from the time of performing the previous determination processing of the second sense amplifier to the time of performing this determination processing, The memory control apparatus characterized by shortening the interval of time for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proces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미리 정해진 일시(日時)가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일시 경과 판단용 임계값이 설정된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The memory device of claim 5, wherein the nonvolatile memory further includes a register in which a temporary elapsed time threshold for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date and time has elapsed is set. 상기 기록 지시부는, 상기 제2 센스 앰프가 판정 처리를 수행할 때마다, 상기 판정 처리를 수행한 일시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에 지시하고, The recording instruction unit instructs the recording unit to record the date and time when the determination process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nonvolatile memory each time the second sense amplifier performs the determination process, 현재의 일시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기록된 일시의 차분이 상기 일시 경과 판단용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제2 센스 앰프의 판정 처리를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장치. And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second sense amplifier is performed when a difference between a current date and time and a date and time record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exceeds the temporary elapsed time determination threshold value.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메모리 셀의 액세스 횟수를 판단하는 액세스 횟수 판단용 임계값이 설정된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And a register in which an access count determination threshold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accesses of the memory cell is set. 상기 기록 지시부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 횟수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에 지시하고, The recording instruction unit instructs the recording unit to record the number of times of access to the nonvolatile memor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nonvolatile memory, 상기 액세스 횟수가 상기 액세스 횟수 판단용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제2 센스 앰프의 판정 처리를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장치. And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second sense amplifier is performed when the number of accesses exceeds the access number determination threshold.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메모리 셀의 기록 상태와 소거 상태를 식별하는 제1 임계값의 대소를 판정하여 상기 메모리 셀이 기록 상태인지 소거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스 앰프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메모리 셀의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마진을 식별하는 제2 임계값의 대소를 판정하여 상기 메모리 셀의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마진이 확보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센스 앰프와, 지시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지정된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판독된 상기 데이터를 일시(一時) 기억하는 일시 기억부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A memory cell array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having a floating gate, and a magnitude of a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first threshold value for identifying a write state and an erase state of the memory cell are determined so that the memory cell is in a write state. Determine a magnitude of a first sense amplifier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signal is in an erase state or a second threshold value for identifying a voltage margin of the floating gate of the memory cell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the first threshold value; A second sense amplifier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whether a voltage margin of the floating gate of the memory cell is secured, a recording unit for writing the indicated data to the memory cell, and data of a block at a specified address of the memory cell array. A data reading section for reading the data, and a temporary storage se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the read data. And non-volatile memory,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하여, 상기 제2 센스 앰프에서,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의 기록을 상기 기록부에 지시하는 기록 지시부를 갖는 메모리 제어 장치와, Writing to the recording unit instructing, in the second sense amplifier, writing of data of the memory cell including the floating gate tha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threshold is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with respect to the nonvolatile memory. A memory control device having an indicator, 상기 메모리 제어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A display control unit which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memory control device on a display device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기록 지시부는,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판독하여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하도록 상기 데이터 판독부에 지시하며,The write instructing unit instructs the data reading unit to read, in units of blocks, data determined that the second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to store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상기 기록 지시부는,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소거한 후에,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과는 상이한 어드레스의 블록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에 지시하고,The recording instruction unit instructs the recording unit to write th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into a block of an address different from that of the block of the address after erasing data of the block of the address;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기록 지시부가 상기 기록부에 기록을 지시하는 횟수를 저장하는 부위를 포함하며, The nonvolatile memory includes a portion for storing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recording instruction instructs the recording in the recording unit, 상기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2 센스 앰프의 이전회의 판정 처리를 수행한 시간부터 이번 판정 처리를 수행할 때까지의 시간의 간격보다 이번 판정 처리를 수행하는 시간부터 다음번 이후의 판정 처리를 수행하는 시간의 간격을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시스템. When the number of times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time after the next time from the time of performing this determination processing, rather than the time interval from the time of performing the previous determination processing of the second sense amplifier to the time of performing this determination processing, A memory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by shortening the interval of time for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process. 삭제delete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제1 센스 앰프와, 제2 센스 앰프와, 기록부와, 데이터 판독부와, 일시 기억부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A control method of a nonvolatile memory including a memory cell array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having a floating gate, a first sense amplifier, a second sense amplifier, a recording unit, a data reading unit, and a temporary storage unit. 상기 제1 센스 앰프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메모리 셀의 기록 상태와 소거 상태를 식별하는 제1 임계값의 대소를 판정하여 상기 메모리 셀이 기록 상태인지 소거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The first sense amplifier determines a magnitude of a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first threshold value for identifying a write state and an erase state of the memory cell, and output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memory cell is in a write state or an erase state. Steps, 상기 제2 센스 앰프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과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메모리 셀의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마진을 식별하는 제2 임계값의 대소를 판정하여 상기 메모리 셀의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 마진이 확보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The second sense amplifier determines a magnitude of a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and a second threshold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and identifies a voltage margin of the floating gate of the memory cell, thereby determining a voltage margin of the floating gate of the memory cell.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is is secured, 상기 기록부가, 상기 제2 센스 앰프에서,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하는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재차 기록하는 단계와,Rewriting, by the writing unit, data of the memory cell including the floating gate in which the second sense amplifier determines that the second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상기 데이터 판독부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지정된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와,The data reading unit reading data of a block at a designated address of the memory cell array; 상기 일시 기억부가 판독된 상기 데이터를 일시(一時) 기억하는 단계Temporarily storing the read data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데이터 판독부는, 상기 제2 임계값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값보다 크다고 판정된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판독하여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시키고,The data reading unit reads the data, which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floating gate, in units of blocks, and stores the data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상기 기록부는,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의 데이터를 소거한 후에, 상기 일시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어드레스의 블록과는 상이한 어드레스의 블록에 재차 기록하며,The recording unit erases the data of the block of the address, and then again records th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in a block of an address different from that of the block of the address, 상기 기록부에 의한 재차 기록의 횟수가 저장되며, 상기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2 센스 앰프의 이전회의 판정 처리를 수행한 시간부터 이번 판정 처리를 수행할 때까지의 시간의 간격보다 이번 판정 처리를 수행하는 시간부터 다음번 이후의 판정 처리를 수행하는 시간의 간격을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어 방법. The number of times of recording by the recording unit is stored again, and when the number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 interval of time from the time of performing the previous determination processing of the second sense amplifier to the time of performing this determination processing A control method of a nonvolatile memory, characterized by shorte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time of performing the next judgment process and the time of performing the next judgment process.
KR1020090119811A 2008-12-08 2009-12-04 Nonvolatile memory, memory control unit, memory control system, and nonvolatile memory controlling method KR1011253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11999A JP5422984B2 (en) 2008-12-08 2008-12-08 NONVOLATILE MEMORY, MEMORY CONTROL DEVICE, MEMORY CONTROL SYSTEM, AND NONVOLATILE MEMORY CONTROL METHOD
JPJP-P-2008-311999 2008-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376A KR20100066376A (en) 2010-06-17
KR101125390B1 true KR101125390B1 (en) 2012-03-27

Family

ID=4223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811A KR101125390B1 (en) 2008-12-08 2009-12-04 Nonvolatile memory, memory control unit, memory control system, and nonvolatile memory controlling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91067B2 (en)
JP (1) JP5422984B2 (en)
KR (1) KR101125390B1 (en)
CN (1) CN10175199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908B1 (en) 2010-07-09 2012-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of dc link pre-recharge for plug-in hybrid vehicle
JP2012069199A (en) * 2010-09-22 2012-04-05 Toshiba Corp Semiconductor memory
US8656086B2 (en) * 2010-12-08 2014-02-18 Avoc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NAND refresh
KR101889857B1 (en) * 2011-01-24 2018-08-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Lighting device and attachment board for lighting device
CN102855934B (en) * 2012-08-23 2016-09-28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Nonvolatile memory system and method for deleting thereof
JP5853906B2 (en) * 2012-08-24 2016-02-09 ソニー株式会社 Storage control device, storag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control method
JP2014067224A (en) * 2012-09-26 2014-04-17 Nec Corp Information processor,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437273B2 (en) * 2012-12-26 2016-09-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102020975B1 (en) * 2013-07-30 2019-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Current sense amplifying circuit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087569B2 (en) * 2013-11-26 2015-07-21 Lenovo (Singapore) Pte. Ltd. Non-volatile memory validity
CN105005450B (en) * 2014-04-25 2018-11-02 群联电子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writing data, memory storage apparatus and memorizer control circuit unit
CN105068965A (en) * 2015-08-13 2015-11-18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Inter-integrated circuit (I2C) bus based NAND Flash storage method and system
US10199115B2 (en) * 2016-06-20 2019-02-05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refresh for flash memory
US10262728B2 (en) * 2016-10-07 201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pping bits to memory cells using sector spreading
CN107341075B (en) * 2017-08-28 2023-12-15 北京世通凌讯科技有限公司 Power-down protection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00078047A (en) * 2018-12-21 2020-07-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Memor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086389B2 (en) * 2019-10-29 2021-08-1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visualizing sleep mode inner state processing
TW202324112A (en) * 2021-12-09 2023-06-16 韓商愛思開海力士有限公司 Method for dynamically managing host read operation and read refresh operation in a storage device, storage device,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4019B1 (en) * 1999-07-01 2003-06-24 Micron Technology, Inc. Leakage detection in flash memory cell
KR20050062384A (en) * 2003-12-19 2005-06-23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764748B1 (en) * 2006-09-19 2007-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Flash memory device with improved refresh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4578A (en) * 1983-09-30 1985-04-26 Toshiba Corp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0011670A (en) * 1998-06-25 2000-01-14 Canon Inc Apparatus having nonvolatile memory
JP3653248B2 (en) * 1999-08-23 2005-05-25 マイクロン・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Leak detection and repair method by external trigger
JP3812933B2 (en) * 2001-04-19 2006-08-23 シャープ株式会社 Fil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3313747A (en) * 2002-04-25 2003-11-06 Diatex Co Ltd Synthetic resin sheet
JP2004296012A (en) * 2003-03-27 2004-10-21 Denso Corp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JP2005252068A (en) * 2004-03-05 2005-09-15 Sony Corp Storage device
CN101819555B (en) 2005-07-06 2011-11-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Access control device, access control integrated circuit, and access control method
JP4336342B2 (en) 2005-12-16 2009-09-30 シャープ株式会社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R2901035B1 (en) * 2006-05-11 2008-07-11 St Microelectronics Sa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 TABLE OF CORRESPONDENCE OF ACCESS TO A MEMORY
US7511646B2 (en) * 2006-05-15 2009-03-31 Apple Inc. Use of 8-bit or higher A/D for NAND cell value
JP4813264B2 (en) * 2006-06-14 2011-11-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Storage system
KR100799018B1 (en) 2006-12-27 2008-01-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self compensation the same
JP4679528B2 (en) * 2007-01-30 2011-04-27 株式会社東芝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fresh trigger
US8059457B2 (en) * 2008-03-18 2011-11-15 Anobit Technologies Ltd. Memory device with multiple-accuracy read commands
US20100195393A1 (en) * 2009-01-30 2010-08-05 Unity Semiconductor Corporation Data storage system with refresh in pl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4019B1 (en) * 1999-07-01 2003-06-24 Micron Technology, Inc. Leakage detection in flash memory cell
KR20050062384A (en) * 2003-12-19 2005-06-23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764748B1 (en) * 2006-09-19 2007-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Flash memory device with improved refresh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51996A (en) 2010-06-23
JP5422984B2 (en) 2014-02-19
JP2010135036A (en) 2010-06-17
KR20100066376A (en) 2010-06-17
US20100142276A1 (en) 2010-06-10
US8391067B2 (en) 2013-03-05
CN101751996B (en)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390B1 (en) Nonvolatile memory, memory control unit, memory control system, and nonvolatile memory controlling method
US11150808B2 (en) Flash memory system
KR101126006B1 (en) Controlling a memory device responsive to degradation
KR100926195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80180996A1 (en) Flash Memory With Improved Programming Precision
US20080189473A1 (en) Mlc selected multi-program for system management
JP2003217288A (en) Flash memory in which read-disturbance is relaxed
KR20180024615A (en) Method of managing power and performance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for supplying auxiliary power
US11630726B2 (en)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275934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cache read method using the same
US11315650B2 (en) Memory system, memory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memory system
US11216208B1 (en) Memory system, memory controller, and operation method of memory system
US20160350191A1 (en) Memory management method, memory storage device and memory control circuit unit
US8014208B1 (en) Erase verification for flash memory
JP2004030849A (en) Semiconductor nonvolatile memory having rewritable function for part of data
JP2005316793A (en) Flash memor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flash memory
US11544204B2 (en) Memory system, memory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memory controller
US11087858B1 (en) In-place refresh operation in flash memory
JP4332108B2 (en) Memory controller, flash memory system, and flash memory control method
JP2008103076A (en) Semiconductor nonvolatile memory having partial rewrite function of data
CN115346584A (en) NAND flash memory, writing and rea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2008171565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7220486A (en) Semiconductor nonvolatile mem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