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476B1 -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476B1
KR101124476B1 KR1020080102192A KR20080102192A KR101124476B1 KR 101124476 B1 KR101124476 B1 KR 101124476B1 KR 1020080102192 A KR1020080102192 A KR 1020080102192A KR 20080102192 A KR20080102192 A KR 20080102192A KR 101124476 B1 KR101124476 B1 KR 10112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heating
sensor
current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956A (ko
Inventor
김희섭
Original Assignee
김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섭 filed Critical 김희섭
Priority to KR1020080102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4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9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electric heat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8Storage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별 전열패드별로 인체감지센서 및 전열선을 구비하여, 인체 감지센서의 코드신호가 수신된 전열패드에만 전류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며, 각 전열패드간 접속구의 방수구조를 개선하여 전열패드간의 틈으로 수분이 유입되어도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한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실내 바닥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전열패드중에서 인체가 감지된 영역의 전열패드에만 전류를 투입하여 난방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각 전열패드간 접속구의 방수구조를 개선하여 전열패드간의 틈으로 수분이 유입되어도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하고, 물건이나 탁자의 다리 등을 난방대상에서 제외시키는 초기 설정을 실행하여 난방 대상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정확하게 인체가 위치된 영역만 난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체감지, 전열패드, 인체감지영역, 난방시스템.

Description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CONCENTRATING HEAT APPARATUS WITH AN HUMAN SENSING FUNCTION}
본 발명은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개별 전열패드별로 인체감지센서 및 전열선을 구비하여, 인체 감지센서의 코드신호가 수신된 전열패드에만 전류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며, 각 전열패드간 접속구의 방수구조를 개선하여 전열패드간의 틈으로 수분이 유입되어도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한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한국인의 가정용 난방은 온돌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한 온돌 시스템은 온기가 유입되는 위치의 영역이 제일 따뜻하므로 이런 영역을 아랫목이라고 일컬었다.
그러나, 이러한 온돌 시스템은 연료로 화목연료를 사용하지만, 그 연료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으면서 최근에는 보일러를 가동시켜 온돌 시스템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가정용 난방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반 보일러 난방 시스템의 경우에는 집을 지을 때, 실내 바 닥면에 미리 난방라인을 설치하고, 보일러 배관을 난방 라인과 연결하는 시공을 해야 되므로 그 비용이 매우 크고, 한번 설치하면 그 보일러 배관을 따로 떼어내어 위치를 이동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식당이나 노래방, 또는 기타 임대형 상가들은 많은 비용을 들이면서도 향후, 해당 난방 시스템을 수거해서 다른 건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보일러 난방 시스템의 설치를 지양하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열패드나 전열 필름 방식의 난방시스템을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열패드나 전열 필름 방식의 난방시스템은 인체가 위치하지도 않은 불필요한 영역까지 전류를 투입하여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다수의 전열패드가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되게 어느 한 실내 바닥면에 전열필름을 시공한 경우에는, 고객이 앉은 전열패드의 스위치를 주인이나 종업원이 일일이 켜줘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객이 나간 뒤에도 역시, 전류가 투입되던 전열패드의 스위치를 일일이 조작하여 전류투입을 차단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특히, 고객이 나간 후에 스위치 조작을 망각하여 지속적으로 전류가 투입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가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별 전열패드별로 인체감지센서 및 전열선을 구비하여, 인체 감지센서의 코드신호가 수신된 전열패드에만 전류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며, 각 전열패드간 접속구의 방수구조를 개선하여 전열패드간의 틈으로 수분이 유입되어도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한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전열선(12)이 구비된 개별 전열패드(6)가 상호 조립되어 실내의 바닥면을 점유하며 난방을 수행하는 전열패드(4)와; 상기 전열패드(4)의 내부에 다수개 구비되어, 인체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5)와; 상기 개별 전열패드(6)를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접속시키며, 상기 인체감지센서(5)의 감지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제 1 배선코드(14)와; 다수개의 상기 제 1 배선코드(14)를 접속시키며, 벽 모서리부에 배설된 제 2 배선코드(16)와; 상기 제 2 배선코드(16)와 케이블(8)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개별 전열패드(6)로부터 전송된 인체감지신호를 통해, 인체가 감지된 개별 전열패드(6)의 전열선(12)으로만 선택적으로 전류를 투입하여 난방이 이루어지게 제어하는 제어패널(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열패드(4)는 최하층에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인 하부 방수층(18)과; 상기 하부 방수층(18)의 상면에 도포되어 단열 및 내열을 수행하는 단열 지지층(20)과; 상기 단열 지지층(20)에 지그재그로 포설되어, 전류를 투입받아 발열하는 전열선(12)층과; 상기 전열선(12)층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되게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5)층과; 상기 전열선(12)의 상면에 직선으로 배치되는 데이터선(22)과; 상기 인체감지센서(5)간의 이격틈과, 상기 데이터선(22)의 상면에 도포되어 쿠션력을 발생시키는 쿠션층(24)과; 상기 쿠션층(24)의 상면에 도포되어 방수 및 외피 기능을 수행하는 코팅층(2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체감지센서(5)는 압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열선(12) 및 인체감지센서(5)별로 각 고유코드가 부여되며, 상기 개별 전열패드(5)별로 고유코드가 각각 매칭되게 상기 전열선(12) 및 인체감지센서(5)의 고유코드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배선코드(14)는 그 외표면 소정부에 돌출되게 구성되어 전류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단자(30)가 구성되며, 상기 개별 전열패드(6)의 소정부에는 그 연결단자(30)와 결합되는 연결슬롯(44)이 구성되고, 그 연결슬롯(44)을 수용하는 슬롯 수용홈(40)이 개별 전열패드(6)의 소정부에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연결슬롯(44)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한 슬롯 하우징(42)이 연결슬롯(44)의 주변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단자(30)는 그 내부에 전원단자(36)와 데이터 단자(38)를 가지며, 상기 제 1 배선코드(14)의 외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단자 하우 징(34)과; 상기 단자 하우징(34)의 외부에 씌워진 방수고무(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단자(30)는 상기 제 1 배선코드(14)의 측면 또는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그 연결단자(30)와 접속되는 연결슬롯(44)은 상기 개별 전열패드(6)의 측면이나 하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패널(10)은 버튼 조작정보 및 난방 상태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표시창(50)과; 인체 감지의 대상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초기설정부(52)와; 일반 모드 및 인체 감지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54)와; 기본 실내온도 및 인체감지 영역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설정부(60)와; 상기 전열선(12)으로의 전류 투입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82)와; 상기 전열선(12)으로 투입된 전류값을 조절하기 위한 전류조절부(80)와; 상기 전열선(12)의 고유코드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5)의 고유코드를 매칭되게 저장하며, 상기 초기설정부(52)의 조작으로 인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인체감지센서(5)의 고유코드를 난방대상 영역에서 제외할 수 있게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84)와; 상기 초기설정부(52)의 조작신호를 발생시, 상기 인체감지센서(5)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통해 난방 대상영역을 설정하고, 인체감지센서(5)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센서의 고유코드와 매칭되는 전열선(12)에 전류를 스위칭 제어하는 제어부(8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86)는 기설정된 난방 대상영역을 벗어난 영역의 인 체감지센서(5)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해당 영역의 인체감지센서(5)와 매칭되는 전열선(12)에는 전류를 스위칭하지 않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는 실내 바닥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전열패드중에서 인체가 감지된 영역의 전열패드에만 전류를 투입하여 난방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각 전열패드간 접속구의 방수구조를 개선하여 전열패드간의 틈으로 수분이 유입되어도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하고, 물건이나 탁자의 다리 등을 난방대상에서 제외시키는 초기 설정을 실행하여 난방 대상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정확하게 인체가 위치된 영역만 난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서 개별 전열패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2)는 개별 전열패드별로 인체감지센서 및 전열선을 구비하여, 인체 감지센서의 코드신호가 수신된 전열패드에만 전류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며, 각 전열패드간 접속구의 방수구조를 개선하여 전열패드간 의 틈으로 수분이 유입되어도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2)에는 내부에 전열선(12)이 구비된 개별 전열패드(6)가 상호 조립되어 실내의 바닥면을 점유하며 난방을 수행하는 전열패드(4)가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개별 전열패드(6)는 다수의 규격 크기를 갖는 패드이지만, 실내의 면적이 각 건물마다 다르므로, 실내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될 개별 전열패드(6)는 다양한 크기로 별도 준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별 전열패드(6)는 내부에 전열선(12)이 구비되어져 전류 투입시 발열하여 난방을 수행한다.
또한, 각 개별 전열패드(6)마다 그 내부에 다수개의 인체감지센서(5)가 구비되는 바, 그 인체감지센서(5)는 압전센서로서, 상면에 일정량의 중량이 감지되면 일정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센서이다.
각 개별 전열패드(6)는 제 1 배선코드(14)를 통해 상호 접속되는 바, 제 1 배선코드(14)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그 양측에 상기 개별 전열패드(6)를 결합시켜 실내 바닥면을 모두 덮을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제 1 배선코드(14)는 상기 개별 전열패드(6)를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접속시키며, 상기 인체감지센서(5)의 감지신호를 제어패널(10)로 인터페이스한다.
또한, 실내 바닥면에 다수개가 설치된 상기 제 1 배선코드(14)와 접속되어 그 제 1 배선코드(14)로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하며, 제 1 배선코드(14)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제어패널(10)로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상기 제 1 배선코드(14) 와 접속되면서, 그 종단부에는 케이블(8)을 매개하여 제어패널(10)과 접속된 제 2 배선코드(16)가 구비되는 바, 제 2 배선코드(16)는 벽 모서리부를 따라서 설치되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2)에는 상기 제 2 배선코드(16)와 케이블(8)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개별 전열패드(6)로부터 전송된 인체감지신호를 통해, 인체가 감지된 개별 전열패드(6)의 전열선(12)으로만 선택적으로 전류를 투입하여 난방이 이루어지게 제어하는 제어패널(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 포함된 전열패드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 포함된 전열패드(4)는 최하층에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인 하부 방수층(18)이 구성되며, 상기 하부 방수층(18)의 상면에 도포되어 단열 및 내열을 수행하는 단열 지지층(20)이 구성되어져 있다.
하부 방수층(18)은 실내 바닥면과 밀착되어, 바닥면에 노출되기 쉬운 수분과 물 등이 전열패드(4)의 내측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층이며, 상기 단열 지지층(20)은 상면에 구성된 전열선(12)의 열이 하부 바닥면방향으로 전달되어 난방 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부의 전열선(12)에 과전류 및 돌입전류 등의 이상전류 유입시 전열패드(4)가 연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 지지층(20)이다, 그 단열 지지층(20)은 내연성이 있으며,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 지지층(20)에는 전열선(12)을 지그재그 형태로 포설시켜, 전류를 투입받아 발열하도록 하며, 상기 전열선(12)층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5)층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전열선(12)의 상면에 직선으로 배치되는 데이터선(22)을 더 구성하는 바, 상기 전열선(12)과 인체감지센서(5)와 데이터선(22)의 사이에는 별도의 보호층(미도시)을 더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인체감지센서(5)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전열패드(4)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 각 인체감지센서(5)의 이격틈과, 데이터선(22)과 다른 층간의 이격 공간을 메워주는 쿠션층(24)이 구비되는 바, 그 쿠션층(24)은 각 층간의 이격공간을 메워줌으로써 전열패드(4)의 하방 압력을 흡수하면서,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에 안락감을 제공하기 위한 층이다.
또한, 상기 쿠션층(24)의 상면에는 코팅층(26)이 도포되는 바, 그 코팅층(26)은 방수 및 외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열패드(4)의 내부에 구성되는 모든 층들은 가요성 재질로 구성되어 예컨대, 장판처럼 잘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 포함된 전열패드와 배선코드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 포함된 전열패드와 배선코드의 다른 결합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 도 6은 도 5를 정면에서 바라 본 요부 확대 정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1, 2, 3을 통해 미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배선코드(14)는 실내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미리 설치되고, 각 제 1 배선코드(14)의 양측에는 개별 전열패드(6)가 각각 반복적으로 접속되어, 실내 바닥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전열패드(4)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1 배선코드(14)는 각 개별 전열패드(6)를 상호 반복적으로 연결시켜 실내 바닥면을 덮을 수 있는 전열패드(4)를 형성하기 위한 기능도 수행하면서, 상기 개별 전열패드(6)로 전류를 투입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을 이루고, 각 개별 전열패드(6)로부터 전송된 인체 감지신호를 외부로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접속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배선코드(14)는 그 외표면 소정부에 돌출되게 구성되어 전류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단자(30)가 구성되며, 상기 개별 전열패드(6)의 소정부에는 그 연결단자(30)와 결합되는 연결슬롯(44)이 구성된다.
상기 연결슬롯(44)을 수용하는 슬롯 수용홈(40)이 개별 전열패드(6)의 소정부에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연결슬롯(44)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한 슬롯 하우징(42)이 연결슬롯(44)의 주변에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30)는 그 내부에 전원단자(36)와 데이터 단자(38)를 가지며, 상기 제 1 배선코드(14)의 외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단자 하우징(34)과; 상기 단자 하우징(34)의 외부에 씌워진 방수고무(32)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배선코드(14)와 상기 개별 전열패드(6)간의 접속 구조는 도 4와, 도 5의 예를 통해, 서로 다른 구조를 갖게 구성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 도 4 및 도 5는 공히, 상기 제 1 배선코드(14)는 실내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미리 설치되고, 각 제 1 배선코드(14)의 양측에는 개별 전열패드(6)가 각각 반복적으로 접속되어, 실내 바닥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전열패드(4)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구조라고 봐야할 것이다.
다만, 도 5와 도 6으로 나타내어지는 접속 구조의 경우에는 제 1 배선코드(14’)와 개별 전열패드(6’)간 접속으로 바닥면에 설치된 이후, 각 개별 전열패드(6’)와 상기 제 1 배선코드(14’)간의 연결틈(46)으로 물이 흘러들어오더라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배선코드(14’)의 상면에 방수고무(32)가 구성되고, 그 방수고무(32)가 내부에 구성된 전원단자(36)와 데이터 단자(38)가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방지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보다 우수한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별 전열패드(6’)의 하면에 구성된 연결슬롯(44)도 상기 개별 전열패드(6’)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거리 내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구성됨으로써 상기 연결틈(46)을 통해 물이 유입되더라도 그 물이 연결슬롯(44)으로 흘러들어가지 않게 된다.
더불어, 도 6의 접속 구조는 어느 한 상기 개별 전열패드(6’)의 전열선(12)이나 데이터선(22)이 절단되어 고장이 발생한 경우라면, 실내 바닥면에 설치된 상기 제 1 배선코드(14’)에 대해 고장이 발생된 개별 전열패드(6’)만을 들어 올려 분리시키고 다른 개별 전열패드(6’)를 결합시키면 되므로, 쉽게 개별 전열패드(6 ’)를 교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 포함된 제어패널의 외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 포함된 제어패널(10)은 그 전면에 버튼 조작정보 및 난방 상태정보, 전원투입 상태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표시창(50)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하부에는 인체 감지의 대상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초기설정부(52)가 구성된다.
초기 설정부(52)는 인체 감지 대상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이다. 또한, 상기 제어패널(10)의 전면에는 일반 모드 및 인체 감지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5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모드 선택부(54)는 일반모드 선택버튼(56)과, 인체감지모드 선택버튼(58)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일반모드 선택버튼(56)을 조작하면, 일반 난방 모드로 전환되어, 인체 감지신호가 인가되어도 무시하고 전체 전열패드(4)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또한, 상기 제어패널(10)의 전면에는 기본 실내온도 및 인체감지 영역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설정부(60)가 구비되는 바, 그 온도설정부(60)는 실내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기본 실내온도 설정버튼(62)과, 인체 감지영역에 대한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인체영역 온도설정버튼(64)으로 구분된다.
또, 상기 제어패널(10)의 전면에는 온도 조절키(66)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전원투입 명령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키(68)가 구비되어져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의 초기세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2)에 포함된 상기 전열선(12) 및 인체감지센서(5)는 각각 고유코드가 부여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전열선(12)에 부여된 고유코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5)에 부여된 고유코드를 각각 1조로 매칭되어진 상태로, 상기 제어패널(10)에 저장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패널(10)에 포함된 제어부(도 9참조: 86)는 어느 한 인체감지센서(5)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어떠한 전열선(12)에 전류를 투입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2)는 초기에 인체감지 대상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바, 정확히 인체의 존재가 감지된 영역만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포함된 상기 전열패드(4)를 실내의 바닥면에 포설하여, 도 8과 같은 형태로 구성했다고 가정하면, 수납대를 위치시키는 위치영역(70)이나 탁자를 위치시키는 위치영역, 즉 탁자의 경우에는 다리가 점유하는 영역(74)의 하부에 위치된 인체감지센서(5)들은 상부 중량에 의해 감지신호를 발생시킬 것이다.
그러나, 이런 감지신호는 인체가 존재함으로써 발생된 감지신호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2)는 인체 감지대상영역을 설정하는 초기 설정을 실행한다.
초기 설정은 상기 전열패드(4)를 바닥면에 시공한 다음, 상기 제어패널(10)에 구성된 초기설정버튼(52)을 통해 실시하는 바, 상기 전열패드(4)를 바닥면에 시공한 다음 수납대나 탁자들을 모두 배치하고, 상기 초기설정버튼(52)을 가압하면, 그때 인체감지센서(예컨대, 5a, 5b, 5c,...5i)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된 센서의 고유코드를 저장하고, 차후 해당 인체감지센서(예컨대, 5a, 5b, 5c,...5i)로부터 발생된 인체감지신호는 무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2)는 다수의 인체감지센서(예컨대, 5a, 5b, 5c,...5i, 5j)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될 경우, 인체감지 대상영역에 포함되지 않도록 미리 등록된 인체감지센서(예컨대, 5a, 5b, 5c,...5i)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는 무시하고, 인체 감지대상영역에 포함된 인체감지센서(예컨대, 5j)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의 경우에는 그 인체감지센서의 코드와 매칭되는 전열선(12)에 전류를 투입하여 해당 영역에만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개별 전열패드(5)별로 고유코드가 각각 매칭되게 상기 전열선(12) 및 인체감지센서(5)의 고유코드가 저장되어져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2)는 그 내부에 키조작부(51)가 구성되어져 있는 바, 그 키조작부(51)는 인체 감지의 대상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초기설정부(52)와; 일반 모드 및 인체 감지모 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54)와; 기본 실내온도 및 인체감지 영역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설정부(6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2)에는 상기 전열선(12)으로의 전류 투입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82)가 각 전열선(12)마다 전류 투입을 단속하기 위해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전열선(12)으로 투입된 전류값을 조절하기 위한 전류조절부(80)가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전류조절부(80)는 온도설정부(60)의 설정값과 매칭되어 제어부(86)의 전류 제어신호에 의해 전류량이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2)에는 상기 전열선(12)의 고유코드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5)의 고유코드를 매칭되게 저장하며, 상기 초기설정부(52)의 조작으로 인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인체감지센서(5)의 고유코드를 난방대상 영역에서 제외할 수 있게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84)가 구성되며, 상기 초기설정부(52)의 조작신호를 발생시, 상기 인체감지센서(5)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통해 난방 대상영역을 설정하고, 인체감지센서(5)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센서의 고유코드와 매칭되는 전열선(12)에 전류를 스위칭 제어하는 제어부(86)가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86)는 기설정된 난방 대상영역을 벗어난 영역의 인체감지센서(5)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해당 영역의 인체감지센서(5)와 매칭되는 전열선(12)에는 전류를 스위칭하지 않게 설정되어져 있다.
미설명부호 86a는 타이머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2)의 제어패널(10)에 전류투입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패널(10)이 동작 가능하게 구동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패널(10)에 구비된 제어부(86)는 초기 설정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여, 초기 설정신호가 수신된 경우라면 다수의 상기 인체감지센서(5)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감지신호를 발생한 인체감지센서(5)를 인체 감지대상 영역에서 제외되도록 등록하고, 나머지 인체감지센서(5)의 고유코드를 인체감지 대상영역으로 설정한다.
즉, 인체감지대상 영역에서 제외된 영역은 물건이 놓여져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부분이므로, 차후 해당 인체감지센서(5)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어도 해당 영역의 전열선(12)에는 전류를 투입하지 않는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86)는 상기 모드 선택부(64)로부터 인체감지 모드의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고, 인체 감지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일반 모드로 전환시켜 일반 난방을 수행한다. 일반 난방이란 온도 설정값에 따라 모든 전열선(12)에 일정한 전류를 투입하는 난방 모드이다.
만약, 인체 감지모드가 선택된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86)는 전체 제어패 널(4)에 대한 난방 온도값(실내 온도값)과, 인체 감지영역의 설정온도값을 수신받아 등록시킨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86)는 인체감지신호와 무관하게 상기 제어패널(4)에 일정한 전류를 투입하여 기본 실내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86)는 특정 인체감지센서(5)로부터 인체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여, 인체 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라면 해당 인체감지 센서(5)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인체감지센서(5)가 난방 대상 영역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물건이 놓여져서 난방 대상영역에서 제외된 영역으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86)는 해당 영역의 전열선(12)에 전류를 투입하지 않는다. 반면에, 난방 대상으로 등록된 영역에 존재하는 인체감지센서(5)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86)는 해당 인체감지센서의 코드와 매칭되는 전열선(12)에 전류를 투입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땅히, 상기 제어부(86)는 전열선(12)에 전류가 투입되어 난방되는 영역에서의 인체감지신호가 제거되면, 상기 전열선(12)으로 투입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해당 영역의 난방을 중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2)는 매번 상기 난방 대상영역을 설정하는 초기 설정을 실행하는 것이 아니고, 새로운 탁자를 배치했거나, 새로운 물건을 실내에 배치한 경우에만 초기 설정을 다시 실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는 단 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서 개별 전열패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 포함된 전열패드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 포함된 전열패드와 배선코드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 포함된 전열패드와 배선코드의 다른 결합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
도 6은 도 5를 정면에서 바라본 요부 확대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에 포함된 제어패널의 외형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의 초기세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전열패드, 5:인체감지센서,
6:개별 전열패드, 10:제어패널,
12:전열선, 14:제 1배선코드,
16;제 2배선코드, 30:연결단자,
32;방수고무, 34:단자하우징,
36;전원단자, 38:데이터단자,
44:연결슬롯.

Claims (9)

  1. 내부에 전열선(12)이 구비된 개별 전열패드(6)가 상호 조립되어 실내의 바닥면을 점유하며 난방을 수행하는 전열패드(4)와;
    상기 전열패드(4)의 내부에 다수개 구비되어, 인체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5)와;
    상기 개별 전열패드(6)를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접속시키며, 상기 인체감지센서(5)의 감지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제 1 배선코드(14)와;
    다수개의 상기 제 1 배선코드(14)를 접속시키며, 벽 모서리부에 배설된 제 2 배선코드(16)와;
    상기 제 2 배선코드(16)와 케이블(8)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개별 전열패드(6)로부터 전송된 인체감지신호를 통해, 인체가 감지된 개별 전열패드(6)의 전열선(12)으로만 선택적으로 전류를 투입하여 난방이 이루어지게 제어하는 제어패널(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열선(12) 및 인체감지센서(5)별로 각 고유코드가 부여되며, 상기 개별 전열패드(5)별로 고유코드가 각각 매칭되게 상기 전열선(12) 및 인체감지센서(5)의 고유코드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패드(4)는 최하층에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인 하부 방수층(18)과;
    상기 하부 방수층(18)의 상면에 도포되어 단열 및 내열을 수행하는 단열 지지층(20)과;
    상기 단열 지지층(20)에 지그재그로 포설되어, 전류를 투입받아 발열하는 전열선(12)층과;
    상기 전열선(12)층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5)층과;
    상기 전열선(12)의 상면에 직선으로 배치되는 데이터선(22)과;
    상기 인체감지센서(5)간의 이격틈과, 상기 데이터선(22)의 상면에 도포되어 쿠션력을 발생시키는 쿠션층(24)과;
    상기 쿠션층(24)의 상면에 도포되어 방수 및 외피 기능을 수행하는 코팅층(2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코드(14)는 그 외표면 소정부에 돌출되게 구성되어 전류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단자(30)가 구성되며, 상기 개별 전열패드(6)의 소정부에는 그 연결단자(30)와 결합되는 연결슬롯(44)이 구성되고, 그 연결슬롯(44)을 수용하는 슬롯 수용홈(40)이 개별 전열패드(6)의 소정부에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연결슬롯(44)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한 슬롯 하우징(42)이 연결슬롯(44)의 주변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30)는 그 내부에 전원단자(36)와 데이터 단자(38)를 가지며, 상기 제 1 배선코드(14)의 외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단자 하우징(34)과; 상기 단자 하우징(34)의 외부에 씌워진 방수고무(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
  7. 제 5항 내지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30)는 상기 제 1 배선코드(14)의 측면 또는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그 연결단자(30)와 접속되는 연결슬롯(44)은 상기 개별 전열패드(6)의 측면이나 하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10)은
    버튼 조작정보 및 난방 상태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표시창(50)과;
    인체 감지의 대상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초기설정부(52)와;
    일반 모드 및 인체 감지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54)와;
    기본 실내온도 및 인체감지 영역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설정부(60)와;
    상기 전열선(12)으로의 전류 투입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82)와;
    상기 전열선(12)으로 투입된 전류값을 조절하기 위한 전류조절부(80)와;
    상기 전열선(12)의 고유코드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5)의 고유코드를 매칭되게 저장하며, 상기 초기설정부(52)의 조작으로 인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인체감지센서(5)의 고유코드를 난방대상 영역에서 제외할 수 있게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84)와;
    상기 초기설정부(52)의 조작신호를 발생시, 상기 인체감지센서(5)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통해 난방 대상영역을 설정하고, 인체감지센서(5)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센서의 고유코드와 매칭되는 전열선(12)에 전류를 스위칭 제어하는 제어부(8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6)는 기설정된 난방 대상영역을 벗어난 영역의 인체감지센서(5)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해당 영역의 인체감지센서(5)와 매칭되는 전열선(12)에는 전류를 스위칭하지 않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
KR1020080102192A 2008-10-17 2008-10-17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 KR10112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192A KR101124476B1 (ko) 2008-10-17 2008-10-17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192A KR101124476B1 (ko) 2008-10-17 2008-10-17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956A KR20100042956A (ko) 2010-04-27
KR101124476B1 true KR101124476B1 (ko) 2012-03-15

Family

ID=4221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192A KR101124476B1 (ko) 2008-10-17 2008-10-17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777B1 (ko) * 2014-01-08 2015-11-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방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466B1 (ko) * 2014-07-18 2015-02-11 길종진 볼 진동센서를 이용한 온도조절 장치 및 방법
CN106907759A (zh) * 2017-04-26 2017-06-30 河北富瑞慈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光伏发电供能式的碳纤维地热采暖方法及设施
CN110307586A (zh) * 2019-08-01 2019-10-08 上海德青科技有限公司 一种定制型电热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0849A (ja) * 1999-05-13 2000-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採暖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0849A (ja) * 1999-05-13 2000-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採暖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777B1 (ko) * 2014-01-08 2015-11-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방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956A (ko) 201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5528U (ja) 省エネコンセント
US7175098B2 (en) Removable programmable thermostat for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systems
KR101124476B1 (ko) 인체 감지기능이 구비된 집중 난방장치
KR100633779B1 (ko) 그린 콘센트
US20010030186A1 (en) Heater with electrical heating elements for waterbeds
ITMI20121058A1 (it) Apparecchio termico migliorato e metodo di utilizzo
US20070029298A1 (en) Temperature sensor and heating system using same
KR101936734B1 (ko)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구비한 비데
KR20050057890A (ko) 난방용 온수순환 매트
KR102504060B1 (ko) 복수개 센서에 의한 사용상태 인지식 온열매트 온도컨트롤 자동 안전장치
KR200386789Y1 (ko) 액자형 난방장치
KR102247373B1 (ko) 결로방지 기능을 갖춘 콘센트 커버기구
KR20170002156A (ko) 황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온열도자를 구비한 온열뜸기
KR102340730B1 (ko) 사용상태 인지 방식의 온열매트의 온도컨트롤 자동 안전 시스템
KR200180833Y1 (ko) 가정용 온열 혈액촉진/통증치료기의 제어장치
KR20140120208A (ko) 조립식 온열매트
US20150208465A1 (en) Electric Heating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ic Heating of a Load, and Electronic Temperature Sen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968683B1 (ko) 온수매트에서의 자동접지회로
JP6240894B2 (ja) 電気採暖具のコントローラ
KR102619915B1 (ko) 사우나 온열 매트의 온도제어장치
KR20060097446A (ko) 액자형 난방장치
JP6045619B2 (ja) 電源プラグの温度検知回路
JP5966153B2 (ja) 電気採暖具
JP2010060269A (ja) 床暖カーペット
KR200315769Y1 (ko) 전열식매트의 온도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