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687B1 -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687B1
KR101123687B1 KR1020080118596A KR20080118596A KR101123687B1 KR 101123687 B1 KR101123687 B1 KR 101123687B1 KR 1020080118596 A KR1020080118596 A KR 1020080118596A KR 20080118596 A KR20080118596 A KR 20080118596A KR 101123687 B1 KR101123687 B1 KR 101123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dustrial
industrial water
val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134A (ko
Inventor
노창식
Original Assignee
노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창식 filed Critical 노창식
Priority to KR102008011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6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7Filter b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업용수(dust water)를 정화하는 정수장치에 있어서 공업용수(dust water)를 저장하는 공업용수저장조의 공업용수를 공업용수공급펌프의 펌핑에 의하여 공업용수급수관을 통해 저수조로 이동시키며, 상기 정수장치의 본체 내부에 공업용수공급펌프의 펌핑에 의해 공업용수를 상승시켜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를 통해 여과시키고, 정화수배수관을 통하여 정화된 물을 배수하는 정화장치와 상기 정수장치에 압력스위치를 포함하여 형성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수장치 및 이와 결합한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으로 효과적으로 슬러지를 걸러주어 폐수량감소, 폐기 비용 감축, 장비 수명 증가, 인건비 및 에너지 비용 감소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정수장치, 밸브, 파이프, 공업용수, 백필터(back filter), 압력계, 압력스위치, 필터 롤(filter roll)

Description

정수장치{A Apparatus for Purifing the water}
본 발명은 공업용수(dust water)를 정화하는 정수장치에 있어서 공업용수(dust water)를 저장하는 공업용수저장조의 공업용수를 공업용수공급펌프의 펌핑에 의하여 공업용수급수관을 통해 저수조로 이동시키며, 상기 정수장치의 본체 내부에 공업용수공급펌프의 펌핑에 의해 공업용수를 상승시켜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를 통해 여과시키고, 정화수배수관을 통하여 정화된 물을 배수하는 정화장치와 상기 정수장치에 압력스위치를 포함하여 형성한 정수장치 및 상기 정수장치에 압력스위치가 장착된 정수장치와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가 결합한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의 발생실태를 살펴보면 총량은 1993년을 정점으로 해서 다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서 1인당 생활쓰레기 발생량을 보면 1994년에 1일 1.3㎏이었으나, 1995년 쓰레기 종량제의 실시 이후 1998년 1일 0.96㎏으로 선진국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처럼 생활폐기물은 1990년대에 들어 점진적으로 줄어드나 사업장폐기물이 매년 10% 이상으로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사업장폐기물은 사업자의 책임하에 처리되고 있으며 사업장폐기물의 배출자는 사업장 안에서 발생하는 모든 폐기물을 스스로 처리하거나 폐기물처리업자에게 위탁하여 처리하는 배출자 처리를 원칙적으로 하여 사업장폐기물은 관리되고 있으며, 사업장폐기물처리시설 및 지정폐기물 공공처리시설은 점진적으로 확충되고 있다.
또한, 공장에서 사용하는 용수에는 각종 금속조각 예컨대 쇳가루, 철제조각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공업용수를 정화하지 않고 방출할 경우 치명적인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하며, 공업용수를 1회 사용하고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횟수를 거듭하여 재사용할 경우 공장 기계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기계설비의 수명을 단축하게 함은 물론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한 공업용수는 반드시 필터링 과정을 거쳐야만 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공업용 폐수를 단순히 수로에 필터를 장착하여 슬러지를 걸러주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를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다.
공장기계와 관련된 공업용 폐수와 관련하여 일례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Roll Grinding Coolant의 경우에 유입되는 연삭 Chip 및 저석분 등 Sludge는 Coolant를 오염시켜 액의 부패를 촉진하고, 열화 및 악취를 유발하여 작업환경을 오염시킴은 물론, Coolant의 수명을 단축하고 Grinding 표면 조도 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며, Coolant의 청결성을 유지하는 것이 우선시 되는바 다량의 연삭 Chip의 분리 배출과 이물질에 대한 여과장치가 필요하며, 걸러진 슬러지의 자동배출기능과 장기간 사용시 오염으로 인한 장비의 성능 저하를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인 카트리지 휠타나 기타의 여과막을 이용한 막분리 여과 방식에서는 여과막표면에 집적되는 슬러지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여과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여과되어 나오는 유량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여과막에 집적된 슬러지가 필요한 유량을 통과시키지 못하는 상태가 되기 전에, 휠타 카트리지나 여과막을 교환하여 주거나 세척 등의 작업을 통하여 물의 흐름이 원활한 상태로 복원해 주어야 하지만, 액체 중에서 0.1 ~ 3 μ정도의 미립자는 조금만 집적되어도 여과압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여과유량이 현저히 감소하고 기계의 운전이 매우 어렵게 되며, 이때마다 카트리지나 여과막의 교환 또는 세척 등의 과다한 작업으로 매우 큰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것처럼 실질적으로 효율성과 신뢰성이 낮기 때문에 실용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공장에서 사용하는 용수에는 각종 금속조각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공업용수를 정화하지 않고 방출할 경우 치명적인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하며, 공업용수를 1회 사용하고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횟수를 거듭하여 재사용할 경우 공장 기계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기계설비의 수명을 단축하게 함은 물론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는바 정수장치를 통하여 물을 여과 및 정화시킴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카트리지 휠타나 기타의 여과막을 이용한 막분리 여과 방식에서는 여과막표면에 집적되는 슬러지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여과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여과되어 나오는 유량은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바, 여과막에 집적된 슬러지가 필요한 유량을 통과시키지 못하는 상태가 되기 전에, 제1압력계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스위치에 의해 정화수배수관을 제어하는 쿡밸브와 공업용수급수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업용수를 제어하는 제2공업용수급수밸브를 닫고, 배수관밸브을 개방한 후 펌프를 작동시킴으로서 백필터에 집적된 슬러지를 세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정수장치는 정수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백필터의 여과막 표면에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백필터의 수명을 연장하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으며, 백필터의 교환, 세척 등에 의한 시간 및 운전비용을 절감하고, 별도의 세척장치를 설치하여 세척하는 정수장치에 비하여 생산원가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정수장치 또는 압력스위치가 장착된 정수장치와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가 결합한 정수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에 의한 물의 여과시 적은 량의 페이퍼필터를 이용하게 함으로써 경제적 이점을 살리고, 또한 상기 압력스위치의 신호에 의한 배수관밸브의 개방에 따라 정수장치 및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에서 대량의 공업용수를 여과할 수 있으며, 상기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를 통하여 한번 더 여과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더욱 순도가 높은 물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공업용수(dust water)를 정화하는 정수장치에 있어서 공업용수(dust water)를 저장하는 공업용수저장조(2)의 공업용수를 공업용수공급펌프(13)의 펌핑에 의하여 공업용수급수관(11)을 통해 저수조(15)로 이동시키도록 형성하며, 상기 공업용수저장조(2)와 저수조(15) 사이에 제1공업용수급수밸브(12)와 제2공업용수급수밸브(14)를 위치시키고, 정수장치(10)의 공업용수가 임시저장되는 저수조(15) 하단부에 저수조관(25)을 연결시키며, 상기 저수조관(25)의 일측에 수량을 조절하는 저수조관밸브(26)을 형성하고, 상기 정수장치의 본체 내부에 공업용수공급펌프(13)의 펌핑에 의해 공업용수를 상승시켜 여과시키는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17)를 정화장치(10)의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17)를 통과한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계(23)와 상기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17)를 통과하는 수량을 조절하는 볼밸브(ball valve)(16)를 구비하여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17)를 통해 여과된 물을 임시저장하는 정화저수조(18)를 상기 정화저수조(18)의 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상판뚜껑(22)의 하단에 형성하며, 상기 정화저수조(18)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키는 정화수배수관(19)과 상기 정화수배수관(19)으로 배수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계(24)와 상기 정화수배수관(19)으로 배수되는 물을 제어하는 쿡밸브(cook valve)(20)를 정화저수조(18)의 일측에 형성하고, 상기 정화저수조(18)를 지지하는 중간지지대(27)와 상기 정수장치(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정수장치지지대(28)를 포함하여 형성한 정수장치(10)와 상기 정수장치(10)에 압력스위치(21)를 결합한 것과 이들에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가 결합한 정수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공장에서 사용하는 용수에는 각종 금속조각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공업용수를 정화하지 않고 방출할 경우 치명적인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하며, 공업용수를 재사용할 경우 공장 기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기계설비의 수명을 단축하게 함 은 물론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는바 정수장치(10)를 통하여 물을 효율적으로 여과시키고, 또한 제조, 건설, 정유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발생하는 폐수에 오일, 화학물질 등 다양한 오염물질이 함유될 수 있기에 효율적인 정수장치(10) 및 이와 결합한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으로 폐수량 감소, 폐기 비용 감축, 장비 수명 증가, 인건비 및 에너지 비용 감소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제1압력계(23)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스위치(21)에 의해 정화수배수관(19)을 제어하는 쿡밸브(20-1)와 공업용수급수관(11)을 통해 이동하는 공업용수를 제어하는 제2공업용수급수밸브(14)를 닫고, 배수관밸브(26-1)을 개방한 후 펌프(49)를 작동시킴으로써, 백필터(17)에 집적된 슬러지를 세정하여, 상기 정수장치(10)는 정수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백필터(17)의 여과막 표면에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백필터(17)의 수명을 연장하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으며, 백필터(17)의 교환, 세척 등에 의한 시간 및 운전비용을 절감하고, 별도의 세척장치를 설치하여 세척하는 정수장치에 비하여 생산원가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백필터(17)의 사용으로 인하여 정수장치(10)의 유지관리 및 필터의 교환이 용이하다.
상기 정수장치(10) 또는 압력스위치(21)가 장착된 정수장치(10)와 페이퍼필 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가 결합한 정수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에 의한 물의 여과시 적은 량의 페이퍼필터를 이용하게 함으로써 경제적 효율성을 살리고, 또한 상기 압력스위치(21)의 신호에 의한 배수관밸브(26)(26-1)의 개방에 따라 정수장치(10) 및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에서 대량의 공업용수를 여과할 수 있으며, 상기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를 통하여 한번 더 여과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더욱 순도가 높은 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는 페이퍼필터를 지속적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서 종래에서처럼 필터를 자주 교환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효율이 증가하며, 상기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를 정수장치(10)와 결합하여 공업용수를 여과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슬러지를 걸러줄 수 있으며, 공업용수의 량과 공업용수의 오염 정도를 미리 파악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페이퍼필터의 사용 예상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페이퍼필터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를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에 결합한 정수시스템의 결합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의 정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쿡밸브와 배수관밸브를 배수관밸브연결관으로 연결한 정수장치를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에 결합한 정수시스템의 결합도이고, 도 6은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압력스위치를 장착한 정수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압력스위치를 장착한 정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공업용수(dust water)를 정화하는 정수장치에 있어서 공업용수(dust water)를 저장하는 공업용수저장조(2)의 공업용수를 공업용수공급펌프(13)의 펌핑에 의하여 공업용수급수관(11)을 통해 저수조(15)로 이동시키도록 형성하며, 상기 공업용수저장조(2)와 저수조(15) 사이에 제1공업용수급수밸브(12)와 제2공업용수급수밸브(14)를 위치시키고, 정수장치(10)의 공업용수가 임시저장되는 저수조(15) 하단부에 저수조관(25)을 연결시키며, 상기 저수조관(25)의 일측에 수량을 조절하는 저수조관밸브(26)을 형성하고, 상기 정수장치의 본체 내부에 공업용수공급펌프(13)의 펌핑에 의해 공업용수를 상승시켜 여과시키는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17)를 정화장치(10)의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17)를 통과한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계(23)와 상기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17)를 통과하는 수량을 조절하는 볼밸브(ball valve)(16)를 구비하여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17)를 통해 여과된 물을 임시저장하는 정화저수조(18)를 상기 정화저수조(18)의 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상판뚜껑(22)의 하단에 형성하며, 상기 정화저수조(18)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키는 정화수배수관(19)과 상기 정화수배수관(19)으로 배수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계(24)와 상기 정화수배수관(19)으로 배수되는 물을 제어하는 쿡밸브(cook valve)(20)를 정화저수조(18)의 한 부분에 형성하고, 상기 정화저수조(18)를 지지하는 중간지지대(27)와 상기 정수장치(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정수장치지지대(28)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공업용수(dust water)를 정화하는 정수장치에 있어서 공업용수(dust water)를 저장하는 공업용수저장조(2)의 공업용수를 공업용수공급펌프(13)의 펌핑에 의하여 공업용수급수관(11)을 통해 저수조(15)로 이동시키며, 상기 저수조관(25)의 일측에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저수조관밸브(26)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정수장치의 본체 내부에 공업용수공급펌프(13)의 펌핑에 의해 공업용수를 상승시켜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17)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된 물은 상기 정화저수조(18)에 임시로 저장되며, 상기 정화수배수관(19)을 통하여 정화된 물을 배수하게 된다.
일반적인 카트리지 휠타나 기타의 여과막을 이용한 막분리 여과 방식에서는 여과막표면에 집적되는 슬러지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여과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여과되어 나오는 유량은 급격히 감소하게 되며, 여과막에 집적된 슬러지가 필요한 유량을 통과시키지 못하는 상태가 되기 전에, 휠타 카트리지나 여과막을 교환하여 주거나 세척 등의 작업을 통하여 유량이 원활한 상태로 복원해 주어야 하지만, 액체 중에서 0.1 ~ 3 μ정도의 미립자는 조금만 집적되어도 여과압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여과유량이 현저히 감소하고 기계의 운전이 매우 어렵게 되며, 이때마다 카트리지나 여과막의 교환 또는 세척 등의 과다한 작업을 요한다.
그러나 상기 정수장치(10)의 경우 백필터(back filter)(17)의 여과막 표면에 슬러지가 집적되어 슬러지 양이 증가하면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의 수치는 제1압력계(23)에 나타나는바 이러한 상태에 놓이게 되면 쿡밸브(cook valve)(20)와 제2공업용수급수밸브(14)를 닫고 배수관밸브(26)를 개방한 후 펌프(49)를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정수장치(10)의 정화저수조(18)에서 정화수배수관(19)을 통해 배출되지 않은 여과된 물은 백필터(17)를 통해 저수조(15)측으로 하향 이동하게 되고, 정수된 물의 하중과 펌프(49)의 펌핑에 의하여 백필터(17)의 여과막 표면에 집적되어 있는 슬러지는 정수된 물과 함께 저수조관(25)을 통해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정수장치(10)는 정수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백필터(17)의 여과막 표면에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백필터(17)의 수명을 연장하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으며, 백필터(17)의 교환, 세척 등에 의한 시간 및 운전비용을 절감하고, 별도의 세척장치를 설치하여 세척하는 정수장치에 비하여 생산원가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정수장치(10)에서처럼 정수장치(10)의 내부에 백필터(17)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 외에도, 큰 유량의 액체 여과가 가능하고 높은 효율로 이물질을 포집하는 펠트 백이나, 이러한 펠트 백에 긴 사용수명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 표면에 특수한 열처리를 한 펠트 백, Needle felt 백, 기름과 다른 탄수화물 들을 잘 흡수하는 Melt-blown non-woven 필터 백 등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수장치 내부에 백필터(17) 및 다양한 펠트 백 등을 설치함으로써, 제조, 건설, 정유,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폐수에는 오일, 화학물질 등 다양한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물을 여과할 수 있고, 효율적인 필터시스템으로 폐수량 감소, 폐기 비용 감축, 장비 수명 증가, 인건비 및 에너지 비용 감소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 정화장치(10)의 하단부에 구비된 저수조(15)는 원뿔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세척된 슬러지가 중앙으로 모여 저수조관(25)을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압력스위치(21)를 포함하여 형성된 정수장치(10)에 관한 작동 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정수장치(10)의 경우 백필터(back filter)(17)의 여과막 표면에 슬러지가 집적되어 슬러지 양이 증가하면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의 수치는 제1압력계(23)에 나타나게 되는바 이러한 상태에 놓이게 되면 상기 백필터(17)의 막힘 정도를 감지한 상기 제1압력계(23)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스위치(21)에 의해 자동으로 정수장치(10)의 각 자동제어밸브들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10)의 작동관계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백필터(17)의 막힘 정도를 감지한 상기 제1압력계(23)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스위치(21)에 의해 정화수배수관(19)을 제어하는 쿡밸브(20)와 공업용수급수관(11)을 통해 이동하는 공업용수를 제어하는 제2공업용수급수밸브(14)를 닫고, 배수관밸브(26)을 개방한 후 펌프(49)를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정수장치(10)의 백필터(17)의 여과공정에서 다량의 슬러지가 백필터(17)의 여과막 표면에 부착되면 제1압력계(23)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따라서 임의로 설정된 설정치에 따른 압력스위치(21)는 상기 정수장치(10)의 여과공정에서의 밸브가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작동하게 한다.
이하, 본인의 특허등록 제10-0478820호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에 관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는 채널(40)을 조립하여 몸체틀을 구성하고, 상단에 용수탱크(41)를 얹힌 형태로 장착하며, 상기 채널(40)의 하단 일측에는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펌프(49)를 장착하고, 상기 용수탱크(41)의 상단 일측에는 필터 롤(31a)을 굴대 장착하며, 상기 용수탱크(41)의 상측에는 한쌍의 가이드바(47a)(47b)를 베어링(34)에 의해 굴대 장착하되 수평방향으로 이격시켜 장착하고, 상기 용수탱크(41)의 상단 타측에는 가이드바(48)를 베어링(34)에 의해 굴대장착하며, 상기 용수탱크(41)의 외측 측면에는 스크러버(43)를 굴대장착하고, 용수탱크(41)의 외측 측면하단에는 회수되는 필터 롤(31b)을 구동하는 구동모터(32)를 장착하고, 상기 용수탱크(41)의 상단 중앙에는 실린더(36)에 의해 승하강 구동하는 그물망(33)을 실린더(36)의 로드에 도립장착하며, 그물망(33)에는 펌프(49)와 연결된 파이프(52)를 배관하여 펌프(49)에서 펌핑된 공업용수가 그물망(33)의 상측에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그물망(33)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47a)(47b)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그물망(33)의 아래쪽으로 사각틀(38)을 고정시켜 준다.
상기 스크러버(43)의 하측으로는 슬러지탱크(42)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모 터(32)는 복수개의 기어(44)를 장착하여 기어(44)에 구동력을 전달시키도록 하며, 상기 용수탱크(41)의 전후방 측면에는 배출관(41a)을 형성하여 정화된 용수를 배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공급되는 필터 롤(31a)에는 로터리 인코더(46)를 굴대장착하여 필터 롤(31a)에서 페이퍼필터가 풀려져 나간 길이를 알 수 있도록 하고, 로터리 인코더(46)에 의해 구동모터(32)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로터리 인코더(46)에 의해 구동모터(32)를 제어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실린더(46)는 통상의 에어실린더로서 공압에 의해 구동되며, 미설명부호 50은 솔레노이드 밸브(50)로서 파이프(52)를 통해 전달한 공업용수를 배출시키거나 또는 폐쇄시켜 공업용수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이고, 미설명부호 51은 필터 레귤레이터(filteragulator)(51)로서 필터를 조정한다.
상기 스크러버(43)는 페이퍼필터에 밀착되어 페이퍼필터를 긁는 형태로 슬러지와 페이퍼필터를 분리시키게 되고 분리된 슬러지는 그대로 떨어져 슬러지 탱크(42)에 모아지게 되며, 모아진 금속 성분의 슬러지는 폐기물 처리장치에 의해 재처리 되며, 상기 페이퍼필터에 의해 정화된 용수는 용수탱크(41)에 저장되고, 전후방에 형성한 배출관(41a)을 통하여 배출시켜 공업용수로 재사용하게 된다.
이하 상기 정수장치(10) 또는 압력스위치가 장착된 정수장치(10)와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가 결합된 정수시스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정수장치(10)의 저수조(15)에 연결된 저수조관(25)이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의 몸체틀의 하단에 구비하여 그물망(33)의 상측에 파이프(52)로 연결하여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펌프(49)와 연결된 정수시스템은 배수관밸브(26)의 개방에 따라 정수장치(10) 및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에서 대량의 공업용수를 여과할 수 있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정수장치(10)에 상기 제1압력계(23)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스위치(21)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압력스위치(21)의 신호에 의하여 쿡밸브(20)와 제2공업용수급수밸브(14)가 닫히고 정화저수조(18)의 물에 의해 백필터(17)가 세정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수조(15)에 저장되는 공업용수의 경우 공업용수로써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아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에 의한 물의 여과시 적은 량의 페이퍼필터를 요하는 바 경제적으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압력스위치(21)의 신호에 의한 배수관밸브(26)의 개방에 따라 정 수장치(10) 및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에서 대량의 공업용수를 여과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정수장치(10)는 정수장치(10)의 T자형의 쿡밸브(20-1)와 배수관밸브(26-1)를 연결하는 배수관밸브연결관(29)을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배수관밸브연결관(29)과 결합하여 저수조관(25)으로 이동하는 공업용수를 조절하는 배수관밸브(26-1)를 포함하여 형성하며, 상기 정수장치(10)의 저수조관(25)이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의 몸체틀의 하단에 구비하여 그물망(33)의 상측에 파이프로 연결하여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펌프(49)와 연결하여 형성한다.
상기 쿡밸브(20-1)와 배수관밸브(26-1)가 배수관연결밸브연결관(29)으로 연결된 정수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의 몸체틀의 하단에 구비하여 그물망(33)의 상측에 파이프(52)로 연결하여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펌프(49)와 연결된 정수시스템의 경우 상기 백필터(17)를 통해 여과된 물을 쿡밸브(20-1) 및 배수관밸브(26-1)의 조절을 통하여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로 이동하여 한번 더 여과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더욱 순도가 높은 물을 얻을 수 있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쿡밸브(20-1)와 배수관밸브(26-1)가 배수관연결밸브연결관(29)으로 연결된 정수장치(10)에 상기 압력스위치(21)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압력스위치(21)의 설정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쿡밸브(20-1)가 배수관밸브연결관(29)으로 여과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배수관밸브(26-1)의 경우 저수조(15)에서 이동하는 물은 막고 배수관밸브연결관(29)을 통해 흐르는 여과된 물이 상기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의 몸체틀의 하단에 구비하여 그물망(33)의 상측에 파이프(52)로 연결하여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펌프(49)쪽으로 이동하게 자동제어하고, 상기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로 이용하여 한번 더 여과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더욱 순도가 높은 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쿡밸브(20-1)와 배수관밸브(26-1)가 배수관연결밸브연결관(29)으로 연결된 정수장치(10)에 상기 압력스위치(21)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쿡밸브(20-1)와 배수관밸브(26-1)의 형상을 T자형을 취함으로 인하여 상기에 설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스위치(21)의 신호에 의하여 쿡밸브(20-1)와 제2공업용수급수밸브(14)가 닫히고 정화저수조(18)의 물에 의해 백필터(17)가 세정 되는 과정을 이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를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에 결합한 정수시스템의 결합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의 정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쿡밸브와 배수관밸브를 배수관밸브연결관으로 연결한 정수장치를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에 결합한 정수시스템의 결합도.
도 6은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압력스위치를 장착한 정수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압력스위치를 장착한 정수장치의 정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정수시스템 2 : 공업용수저장조 10 : 정수장치
11 : 공업용수급수관 12 : 제1공업용수급수밸브
13 : 고업용수공급펌프 14 : 제2공업용수급수밸브 15 : 저수조
16 : 볼밸브(ball valve) 17 : 백필터(back filter) 18 : 정화저수조
19 : 정화수배수관 20, 20-1 : 쿡밸브(cook valve)
21 : 압력스위치 22 : 상판뚜껑 23 : 제1압력계
24 : 제2압력계 25 : 저수조관
26, 26-1 : 배수관밸브 27 : 중간지지대
28 : 정수장치지지대 29 : 배수관밸브연결관
30 :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 31a, 31b : 필터 롤(filter roll)
32 : 구동모터 33 : 그물망(mesh) 34 : 베어링
35:가이드롤러 36 : 실린더
37 : 가이드 베어링 38 : 사각 틀(square pipe) 39 : 지지대
40 : 채널(channel) 41 : 용수탱크(water tank)
42 : 슬러지 탱크(sludgd tank) 43 : 스크러버(scrubber)
44 : 기어 45 : 베어링
46 : 로터리 인코더(rotary encoder) 47a,47b, 48 : 가이드바
49 : 펌프 50 : 솔레노이드 밸브
51 : 필터 레귤레이터(filter regulator) 52 : 파이프

Claims (4)

  1. 공업용수(dust water)를 정화하는 정수장치에 있어서;
    공업용수(dust water)를 저장하는 공업용수저장조(2)와;
    상기 공업용수저장조(2)의 공업용수를 펌핑에 의하여 공업용수급수관(11)을 통해 저수조로 이동시키는 공업용수공급펌프(13)와;
    상기 공업용수저장조(2)와 공업용수공급펌프(13) 사이에 위치한 제1공업용수급수밸브(12)와;
    상기 공업용수공급펌프(13)와 저수조(15) 사이에 위치한 제2공업용수급수밸브(14)와;
    상기 공업용수공급펌프(13)에 의하여 공업용수가 주입되어 임시저장되는 원뿔형태의 저수조(15)와;
    상기 저수조(15)에 하단부에 연결된 저수조관(25)과;
    상기 저수조관(25)의 수량을 조절하는 저수조관밸브(26)와;
    상기 공업용수공급펌프(13)에 의하여 상승하는 공업용수를 통과시켜 여과시키는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17)와;
    상기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17)를 통과한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계(23)와;
    상기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17)를 통과하는 수량을 조절하는 볼밸브(ball valve)(16)와;
    상기 다수개의 백필터(back filter)(17)를 통해 상승하여 여과된 물이 임시저장되는 정화저수조(18)와;
    상기 정화저수조(18)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키는 정화수배수관(19)과;
    상기 정화수배수관(19)으로 배수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계(24)와;
    상기 정화수배수관(19)으로 배수되는 물을 제어하는 쿡밸브(cook valve)(20)와;
    상기 정화저수조(18)의 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상판뚜껑(22)과;
    상기 정화저수조(18)를 지지하는 중간지지대(27)와;
    상기 정수장치(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정수장치지지대(28)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치(10)의 T자형의 쿡밸브(20-1)와;
    상기 쿡밸브(20-1)와 배수관밸브(26-1)을 연결하는 배수관밸브연결관(29)과;
    상기 배수관밸브연결관(29)과 결합하여 저수조관(25)으로 이동하는 공업용수를 조절하는 배수관밸브(26-1)와;
    상기 정수장치(10)의 저수조관(25)은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30)의 몸체틀의 하단에 구비되는 펌프(49)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계(23)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스위치(21)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KR1020080118596A 2008-11-27 2008-11-27 정수장치 KR101123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596A KR101123687B1 (ko) 2008-11-27 2008-11-27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596A KR101123687B1 (ko) 2008-11-27 2008-11-27 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134A KR20100060134A (ko) 2010-06-07
KR101123687B1 true KR101123687B1 (ko) 2012-03-16

Family

ID=4236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596A KR101123687B1 (ko) 2008-11-27 2008-11-27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201B1 (ko) * 2012-02-10 2013-11-28 주식회사 심스바이오닉스 급수용기용 정수기
KR101632736B1 (ko) 2015-11-05 2016-06-22 민강식 지속적인 여과가 가능한 여과장치
CN112697674B (zh) * 2020-12-21 2024-03-22 新疆碧水源环境资源股份有限公司 一种污水净化性能检测装置
KR102375042B1 (ko) * 2021-05-06 2022-03-15 김동현 폐황산구리용액 필터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7604A (ja) * 1999-09-27 2001-04-03 E & E:Kk 簡易型濾過装置
KR200297576Y1 (ko) 2002-09-17 2002-12-11 임승영 용수 정화장치
KR20040025790A (ko) * 2002-09-17 2004-03-26 임승영 용수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20040095923A (ko) * 2003-04-29 2004-11-16 노창식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7604A (ja) * 1999-09-27 2001-04-03 E & E:Kk 簡易型濾過装置
KR200297576Y1 (ko) 2002-09-17 2002-12-11 임승영 용수 정화장치
KR20040025790A (ko) * 2002-09-17 2004-03-26 임승영 용수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20040095923A (ko) * 2003-04-29 2004-11-16 노창식 페이퍼필터 이동형 용수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134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382B2 (en) Gravity type fiber filter
CN201002082Y (zh) 具有过滤功能的轴承清洗装置
CN109078383B (zh) 一种切削液连续过滤回用系统
JP2007289794A (ja) 洗浄水リサイクル装置
KR101123687B1 (ko) 정수장치
JP2013512771A (ja) 水平棒支持式空隙制御型繊維ろ材フィルターおよび水平棒支持式繊維ろ過装置
JP2011011205A (ja) 磁気フィルタ装置および工作機械のクーラント浄化装置
KR101359340B1 (ko)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세척수의 칩 여과장치
CN102887597A (zh) 一种轧钢碱洗液过滤与回收系统装置
CN207237393U (zh) 一种带反冲洗功能的水处理系统
CN203043659U (zh) 一种自动反清洗装置
KR101745687B1 (ko) 상·하향류식 비점 오염 저감 장치
CN202936268U (zh) 一种轧钢碱洗液过滤与回收系统装置
KR20190081454A (ko) 여재 세정형 다단 습지여상
JP5756578B1 (ja) 切削液浄化装置
CN108144347B (zh) 一种快速处理污水的方法
CN201304286Y (zh) 自流型转鼓精密过滤机
CN117756360B (zh) 一种齿轮生产车间用集成化污水处理系统及其使用方法
CN213699078U (zh) 一种浮动式过滤器滤网
CN204973191U (zh) 一种多级布水多仓室连续流砂过滤装置
JP3157177U (ja) ろ過装置
CN213171849U (zh) 一种智能洗车用的污水循环装置
KR20040070365A (ko) 간이상수도 복합 정수장치
RU219456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KR0142996B1 (ko) 역 세척이 가능한 폐수의 여과 처리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