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612B1 -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612B1
KR101122612B1 KR1020110147486A KR20110147486A KR101122612B1 KR 101122612 B1 KR101122612 B1 KR 101122612B1 KR 1020110147486 A KR1020110147486 A KR 1020110147486A KR 20110147486 A KR20110147486 A KR 20110147486A KR 101122612 B1 KR101122612 B1 KR 101122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ox body
lower support
pip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진
Original Assignee
(주)한양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양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한양기술단
Priority to KR1020110147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의 침하에 따라 화살표가 회전하여 침하 정도를 쉽게 알 수 있고, 연약지반에서 침하될 경우 하부지지체의 탄성박스체가 외부로 밀려나와 침하된 공간을 메우도록 구성된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며, 한쌍의 반원형몸체(11) 양단에 플랜지(12)가 형성되고, 반원형몸체(11)가 배관(1)을 감싼 상태에서 상부의 플랜지(12)에는 감지관(40)의 사각대(44-2) 하단과 같이 고정되며, 반원형몸체(11) 하부의 플랜지(12)에는 하부지지체(20)의 고정판(24)이 같이 고정되는 결합구(10); 사각 박스 형상의 박스체(21) 양측면 상부에 홀(23)이 형성되고, 박스체(21) 상면에 고정판(24)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결합구(10)의 플랜지(12)에 고정되며, 박스체(21) 외측면에 수평으로 저항판(22)이 돌출 형성되는 하부지지체(20); 하부지지체(20)의 홀(23)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하부지지체(20)를 연결 고정하는 수평연결봉(30); 단면이 원형으로 관체(41)가 형성되고, 관체(41)의 바닥면에 홀(41-1)이 형성되어 홀(41-1)을 통해 톱니대(44)의 하부가 관체(41) 외부로 노출되어 상하 운동 가능하게 결합구(10)의 플랜지(12)에 고정되며, 톱니대(44)는 사각대(44-2)의 일측 표면 일부에 톱니(44-1)가 형성되고, 톱니(44-1)와 맞물리도록 원형기어(45)가 회전가능하게 관체(41) 내측에 고정되되 원형기어(45)와 같은 회전을 하도록 일측 베벨기어(46)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베벨기어(46)는 원형기어(45)의 회전을 90도 바꾸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측 베벨기어(46)의 회전축에 회전봉(47)이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관체(41)의 상단에 투명창(42)이 고정되고, 관체(41)의 내측 상부에 숫자판(43)이 수평으로 고정되며, 회전봉(47)의 상단이 숫자판(43)을 관통하여 화살표(48)가 고정되고, 관체(41) 내부 일측에 수평으로 고정봉(47-1)이 고정되며, 고정봉(47-1)의 일측에 고정링(47-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봉(47)이 삽입되는 감지관(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 { A fixing structure for sensing of pipe's sink }
본 발명은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의 침하에 따라 화살표가 회전하여 침하 정도를 쉽게 알 수 있고, 연약지반에서 침하될 경우 하부지지체의 탄성박스체가 외부로 밀려나와 침하된 공간을 메우도록 구성된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 및 송전용 지중 배관은 전기를 수용가까지 공급 및 분배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면을 굴착한 다음에 매설하는 과정을 따르게 된다. 그런데 매설 후 그 지중관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해당 부분을 다시 굴착해야 하는 상황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지중관의 매설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렵거나 그 지중관의 상태, 예로써 비틀어졌는지 침하되었는지 등의 상태를 굴착 이전에는 알기 어려워 불필요하게 넓은 범위로 굴착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시간 및 비용 낭비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배전이나 송전을 위하여 지중에 배관이 매설되는 경우, 지중의 상태를 알 수없기 때문에 항상 문제가 발생하고 사후 처리를 하게 된다. 따라서 지중의 배관이 침하되는 경우 그 침하 정도를 체크하여 파손되기 전에 지반을 보강하는 공사를 하게 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이 없었다.
그리고 연약지반의 경우 지반이 침하되면 그 부분의 배관이 아래로 내려와 배관 연결부가 파손되거나 배관 자체가 파손되는데, 이러한 파손 정도를 어느 정도 감소할 수 있게 하는 구조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송전과 배전을 위한 배관이 설치된 곳의 지면에 투명창이 노출되도록 감지관을 설치하고, 감지관은 배관과 연결하여 배관이 침하하면 그 정도를 쉽게 알 수 있어 침하 정도를 체크하도록 하는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배관의 하부에 하부지지체를 설치하여 수평연결봉으로 인접한 하부지지체와 서로 연결하고, 일측 하부지지체가 침하하더라도 수평연결봉에 의해 침하가 저지되며, 침하가 저지되어 하부지지체의 아래에 공간이 발생하면 탄성박스체가 밀려 나와 그 공간을 메우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또한 투명창을 통해 화살표의 회전 정도만 보면 쉽게 침하 정도를 알게 하여 점검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쌍의 반원형몸체(11) 양단에 플랜지(12)가 형성되고, 반원형몸체(11)가 배관(1)을 감싼 상태에서 상부의 플랜지(12)에는 감지관(40)의 사각대(44-2) 하단과 같이 고정되며, 반원형몸체(11) 하부의 플랜지(12)에는 하부지지체(20)의 고정판(24)이 같이 고정되는 결합구(10); 사각 박스 형상의 박스체(21) 양측면 상부에 홀(23)이 형성되고, 박스체(21) 상면에 고정판(24)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결합구(10)의 플랜지(12)에 고정되며, 박스체(21) 외측면에 수평으로 저항판(22)이 돌출 형성되는 하부지지체(20); 하부지지체(20)의 홀(23)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하부지지체(20)를 연결 고정하는 수평연결봉(30); 단면이 원형으로 관체(41)가 형성되고, 관체(41)의 바닥면에 홀(41-1)이 형성되어 홀(41-1)을 통해 톱니대(44)의 하부가 관체(41) 외부로 노출되어 상하 운동 가능하게 결합구(10)의 플랜지(12)에 고정되며, 톱니대(44)는 사각대(44-2)의 일측 표면 일부에 톱니(44-1)가 형성되고, 톱니(44-1)와 맞물리도록 원형기어(45)가 회전가능하게 관체(41) 내측에 고정되되 원형기어(45)와 같은 회전을 하도록 일측 베벨기어(46)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베벨기어(46)는 원형기어(45)의 회전을 90도 바꾸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측 베벨기어(46)의 회전축에 회전봉(47)이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관체(41)의 상단에 투명창(42)이 고정되고, 관체(41)의 내측 상부에 숫자판(43)이 수평으로 고정되며, 회전봉(47)의 상단이 숫자판(43)을 관통하여 화살표(48)가 고정되고, 관체(41) 내부 일측에 수평으로 고정봉(47-1)이 고정되며, 고정봉(47-1)의 일측에 고정링(47-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봉(47)이 삽입되는 감지관(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부지지체(20)는 박스체(21)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승강판(25)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판(25)의 상면과 박스체(21)의 내측 상면에 스프링(26)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승강판(25)에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며, 승강판(25)의 저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탄성박스체(27)가 힌지(27-1)로 고정되고, 탄성박스체(27)는 일측이 개방된 박스체에 사각박스(28)가 스프링(29)으로 탄력지지되되 한쌍의 사각박스(28)가 서로 맞닿아 서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하부지지체(20) 하부를 감싸면서 초기고정끈(50) 양단이 수평연결봉(30)에 고정되어 스프링(26)의 탄력을 억제한 채로 지중에 설치되고, 초기고정끈(50)은 식물성 섬유로 이루어져 지중에서 썩게 구성되며, 하부지지체(20)의 저부 지반이 아래로 침하하면 압력 저하로 인해 탄성박스체(27)가 하부로 밀려 내려와 빈 공간을 메우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송전과 배전을 위한 배관이 설치된 곳의 지면에 투명창이 노출되도록 감지관을 설치하고, 감지관은 배관과 연결하여 배관이 침하하면 그 정도를 쉽게 알 수 있어 침하 정도를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관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지지체는 수평연결봉으로 인접한 하부지지체와 서로 연결되어 일측 하부지지체가 침하하더라도 수평연결봉에 의해 침하가 저지되는 효과가 있고, 하부지지체의 아래에 공간이 발생하면 탄성박스체가 밀려 나와 그 공간을 메워 배관이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지관은 기계적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전원없이 작동하므로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의 하부지지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의 감지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의 하부지지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의 하부지지체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를 지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결합구(10)로 송전과 배전을 위한 배관(1)을 감싸 고정하되, 결합구(10)의 상부에 감지관(40)을 연결하고, 결합구(40)의 하부에 하부지지체(20)를 연결하여 설치하며, 인접한 다수개의 하부지지체(20)는 수평연결봉(30)으로 서로 연결하여 침하시 1차 저항을 받고 침하에 의해 하부지지체(20)의 저부에 작용하는 지반의 압력이 감소하면 탄성박스체(27)가 스프링(26)의 힘에 의해 밀려 나와 빈 공간을 메우도록 구성된 것이다.
결합구(10)는 한쌍의 반원형몸체(11) 양단에 플랜지(12)가 형성되고, 반원형몸체(11)가 배관(1)을 감싼 상태에서 상부의 플랜지(12)에는 감지관(40)의 사각대(44-2) 하단과 같이 고정된다. 그리고 반원형몸체(11) 하부의 플랜지(12)에는 하부지지체(20)의 고정판(24)이 같이 고정된다.
하부 지지체(20)는 사각 박스 형상의 박스체(21) 양측면 상부에 홀(23)이 각각 형성되고, 이 홀(23)을 관통하여 수평연결봉(30)이 설치된다.
하부지지체(20)의 박스체(21) 상면에 고정판(24)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결합구(10)의 플랜지(12)에 고정되고, 박스체(21) 외측면에 수평으로 저항판(22)이 돌출 형성되어 지중에서 하향 이동하는 힘에 대항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연결봉(30)은 하부지지체(20)의 홀(23)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하부지지체(20)를 연결 고정하는데, 인접한 하부지지체(20)들이 하나로 연결되므로 일측에서 침하가 일어나더라도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하부지지체(20)는 박스체(21)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승강판(25)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판(25)의 상면과 박스체(21)의 내측 상면에 스프링(26)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승강판(25)에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된다. 승강판(25)의 단부 일측과 박스체(21) 내측면에 각각 가이드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하 이동할 때 가이드 되거나 완전한 이탈을 방지하여 준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이므로 상세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승강판(25)의 저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탄성박스체(27)가 힌지(27-1)로 고정되고, 탄성박스체(27)는 일측이 개방된 박스체에 사각박스(28)가 스프링(29)으로 탄력지지되되 한쌍의 사각박스(28)가 서로 맞닿아 서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한쌍의 탄성박스체(27)는 하부지지체(20)의 박스체(21) 내벽면에 지지되어 힌지(27-1)에 의한 회전이 되지 않고 있다가, 도 8과 같이 박스체(21)의 외부로 탄성박스체(27)가 노출되면 힌지(27-1)에 의해 회전된다.
이와 같은 하부지지체(20)는 최초에 설치할 때 초기고정끈(50)으로 하부지지체(20) 하부를 감싸면서 초기고정끈(50) 양단을 수평연결봉(30)에 고정한다. 이러한 초기고정끈(50)에 의해 스프링(26)의 탄력이 억제된 채로 지중에 설치되고, 초기고정끈(50)은 식물성 섬유로 이루어져 지중에서 썩게 되어 그 억제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초기고정끈(50)이 썩어서 없어진 후 주위에 둘러싼 지중의 압력에 의해 고정상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하부지지체(20)의 저부 지반이 아래로 침하하면 압력 저하로 인해 탄성박스체(27)가 하부로 밀려 내려와 빈공간을 메우도록 구성된다.
감지관(40)은 단면이 원형으로 관체(41)가 형성되고, 관체(41)의 바닥면에 홀(41-1)이 형성되어 홀(41-1)을 통해 톱니대(44)의 사각대(44-2) 하부가 관체(41) 외부로 노출되어 상하 운동 가능하게 결합구(10)의 플랜지(12)에 고정된다. 톱니대(44)가 결합구(10)의 플랜지(12)에 고정되므로 배관(1)이 침하하면 같이 톱니(44)는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감지관(40)의 관체(41)는 지중에 고정되어 있므로 톱니대(44)만 하향 이동한다.
톱니대(44)는 사각대(44-2)의 일측 표면 일부에 톱니(44-1)가 형성되고, 톱니(44-1)와 맞물리도록 원형기어(45)가 회전가능하게 관체(41) 내측에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기어(45)의 일측 회전축은 관체(41) 내벽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원형기어(45)와 같은 회전을 하도록 일측 베벨기어(46)가 원형기어(45)와 일체로 형성된다. 편의상 90도로 회전력의 방향을 바꾸는 한쌍의 기어로 이루어진 베벨기어(46)를 각각 일측 베벨기어와 타측 베벨기어로 지칭한다.
타측 베벨기어(46)는 원형기어(45)의 회전을 90도 바꾸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측 베벨기어(46)의 회전축에 회전봉(47)이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된다.
관체(41)의 상단에 투명창(42)이 고정되고, 관체(41)의 내측 상부에 숫자판(43)이 수평으로 고정되며, 회전봉(47)의 상단이 숫자판(43)을 관통하고, 그 상단에 화살표(48)가 고정된다. 따라서 베벨기어(46)의 회전에 의해 회전봉(47)이 회전하고, 회전봉(47) 상단에 고정된 화살표(48)가 회전하게 된다.
관체(41) 내부 일측에 수평으로 고정봉(47-1)이 고정되고, 고정봉(47-1)의 일측에 고정링(47-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봉(47)이 삽입된다. 고정링(47-2)에 삽입된 회전봉(47)은 고정링(47-2) 내부에서 수직을 유지한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배관(1)이 침하하면 톱니대(44)가 하향 이동하고, 톱니대(44)의 이동에 의해 원형톱니(45)가 회전면서 베벨기어(46)가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봉(47)이 회전하여 그 침하 정도에 따라 화살표가 회전하므로 투명창(42)을 통해 쉽게 점검할 수 있다.
1 : 배관 2 : 지면
10 : 결합구 11 : 반원형몸체
12 : 플랜지 20 : 하부지지체
21 : 박스체 22 : 저항판
23 : 홀 24 : 고정판
25 : 승강판 26 : 스프링
27 : 탄성박스체 27-1 : 힌지
28 : 사각박스 29 : 스프링
30 : 수평연결봉 40 : 감지관
41 : 관체 41-1 : 홀
42 : 투명창 43 : 숫자판
44 : 톱니대 44-1 : 톱니
44-2 : 사각대 45 : 원형기어
46 : 베벨기어 47 : 회전봉
47-1 : 고정봉 47-2 : 고정링
48 : 화살표

Claims (2)

  1. 한쌍의 반원형몸체(11) 양단에 플랜지(12)가 형성되고, 반원형몸체(11)가 배관(1)을 감싼 상태에서 상부의 플랜지(12)에는 감지관(40)의 사각대(44-2) 하단과 같이 고정되며, 반원형몸체(11) 하부의 플랜지(12)에는 하부지지체(20)의 고정판(24)이 같이 고정되는 결합구(10);
    사각 박스 형상의 박스체(21) 양측면 상부에 홀(23)이 형성되고, 박스체(21) 상면에 고정판(24)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결합구(10)의 플랜지(12)에 고정되며, 박스체(21) 외측면에 수평으로 저항판(22)이 돌출 형성되는 하부지지체(20);
    하부지지체(20)의 홀(23)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하부지지체(20)를 연결 고정하는 수평연결봉(30);
    단면이 원형으로 관체(41)가 형성되고, 관체(41)의 바닥면에 홀(41-1)이 형성되어 홀(41-1)을 통해 톱니대(44)의 하부가 관체(41) 외부로 노출되어 상하 운동 가능하게 결합구(10)의 플랜지(12)에 고정되며, 톱니대(44)는 사각대(44-2)의 일측 표면 일부에 톱니(44-1)가 형성되고, 톱니(44-1)와 맞물리도록 원형기어(45)가 회전가능하게 관체(41) 내측에 고정되되 원형기어(45)와 같은 회전을 하도록 일측 베벨기어(46)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 베벨기어(46)는 원형기어(45)의 회전을 90도 바꾸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측 베벨기어(46)의 회전축에 회전봉(47)이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관체(41)의 상단에 투명창(42)이 고정되고, 관체(41)의 내측 상부에 숫자판(43)이 수평으로 고정되며, 회전봉(47)의 상단이 숫자판(43)을 관통하여 화살표(48)가 고정되고, 관체(41) 내부 일측에 수평으로 고정봉(47-1)이 고정되며, 고정봉(47-1)의 일측에 고정링(47-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봉(47)이 삽입되는 감지관(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지지체(20)는
    박스체(21)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승강판(25)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판(25)의 상면과 박스체(21)의 내측 상면에 스프링(26)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승강판(25)에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며, 승강판(25)의 저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탄성박스체(27)가 힌지(27-1)로 고정되고, 탄성박스체(27)는 일측이 개방된 박스체에 사각박스(28)가 스프링(29)으로 탄력지지되되 한쌍의 사각박스(28)가 서로 맞닿아 서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하부지지체(20) 하부를 감싸면서 초기고정끈(50) 양단이 수평연결봉(30)에 고정되어 스프링(26)의 탄력을 억제한 채로 지중에 설치되고, 초기고정끈(50)은 식물성 섬유로 이루어져 지중에서 썩게 구성되며, 하부지지체(20)의 저부 지반이 아래로 침하하면 압력 저하로 인해 탄성박스체(27)가 하부로 밀려 내려와 빈 공간을 메우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
KR1020110147486A 2011-12-30 2011-12-30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 KR101122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486A KR101122612B1 (ko) 2011-12-30 2011-12-30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486A KR101122612B1 (ko) 2011-12-30 2011-12-30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612B1 true KR101122612B1 (ko) 2012-03-06

Family

ID=4614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486A KR101122612B1 (ko) 2011-12-30 2011-12-30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6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2943A (zh) * 2014-11-12 2015-03-25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应力扩散装置及其安装方法
KR101991503B1 (ko) * 2018-11-19 2019-10-01 주식회사 무진이엔씨 지반 침하 예측을 위한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성 평가방법
KR102674169B1 (ko) 2023-12-12 2024-06-13 심성구 상수관의 위치변위정보 수집이 가능한 신축관이음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032B1 (ko) * 2005-11-24 2006-07-03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상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KR100676681B1 (ko) * 2005-11-19 2007-02-01 (주)화신엔지니어링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747622B1 (ko) * 2007-05-18 2007-08-08 (주)창민기술단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침하표시장치
KR20110059095A (ko) * 2009-11-27 2011-06-02 현종돈 수문의 개폐 상태 확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681B1 (ko) * 2005-11-19 2007-02-01 (주)화신엔지니어링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596032B1 (ko) * 2005-11-24 2006-07-03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상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KR100747622B1 (ko) * 2007-05-18 2007-08-08 (주)창민기술단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침하표시장치
KR20110059095A (ko) * 2009-11-27 2011-06-02 현종돈 수문의 개폐 상태 확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2943A (zh) * 2014-11-12 2015-03-25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应力扩散装置及其安装方法
CN104452943B (zh) * 2014-11-12 2016-08-24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应力扩散装置及其安装方法
KR101991503B1 (ko) * 2018-11-19 2019-10-01 주식회사 무진이엔씨 지반 침하 예측을 위한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성 평가방법
KR102674169B1 (ko) 2023-12-12 2024-06-13 심성구 상수관의 위치변위정보 수집이 가능한 신축관이음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612B1 (ko) 송전용 배전선을 보호하는 배관의 침하감지가 가능한 고정구조
CN107386342B (zh) 海上风电单桩基础桩监测装置
KR102167874B1 (ko) 내진성능을 갖는 배전용 지중 전력케이블 구조
KR20140131125A (ko) 매립형 변위계를 이용한 터널변위 측정방법
CN103115721B (zh) 一种盾构管片外侧渗压计的埋设装置及其安装方法
CN106638729A (zh) 一种新型钢板桩测斜管安装保护装置
CA28131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fluid storage tank
BR112021001732B1 (pt) Conjunto de antepoço com cavidades de poço alternadas em placa e método para uso do mesmo
CN104501772B (zh) 水工结构土石结合区域不均匀沉降组合监测装置及方法
KR100911901B1 (ko) 송전선로 철탑의 기울기 측정장치
KR101586067B1 (ko) 단지내 전력 지중케이블 방호구조
KR101615545B1 (ko) 층별 침하계
KR100948657B1 (ko) 상수도 관로용 관리 표시못
KR100998766B1 (ko) 배전 및 송전용 지중관 고정장치
CN206814151U (zh) 一种带观察孔手摇式线缆收放器
KR100673549B1 (ko) 연약지반 침하 계측구조
KR102422360B1 (ko) 공동주택용 지중 배전선로 보호장치
CN104390041A (zh) 地埋阀门连接装置
JP5065311B2 (ja) 埋設筐
CN110440696B (zh) 一种边坡深部连续位移监测装置和方法
CN203612774U (zh) 施工升降机电缆防盗储仓
JP7005025B2 (ja) 埋設電路設備の管路材用取付装置
CN204420245U (zh) 地埋阀门连接装置
KR100919501B1 (ko) 제수 밸브 보호 장치
KR101047498B1 (ko) 공동구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댐퍼식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