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243B1 -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243B1
KR101122243B1 KR1020100016070A KR20100016070A KR101122243B1 KR 101122243 B1 KR101122243 B1 KR 101122243B1 KR 1020100016070 A KR1020100016070 A KR 1020100016070A KR 20100016070 A KR20100016070 A KR 20100016070A KR 101122243 B1 KR101122243 B1 KR 101122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tator piece
impeller
brush
contac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694A (ko
Inventor
송병훈
이형수
권영민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16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243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03B13/083The generator rotor being mounted as turbine rotor ri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6Bear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1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내에 설치되어 배관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역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회전 전기자형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 흐름을 가급적 막지 않고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그 전체적인 구조가 중공(中孔)의 원통 형상인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는 내주면에 다수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코일; 상기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정류자편과 상기 코일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정류자편; 상기 제 1 정류자편 또는 상기 제 2 정류자편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 1 브러시와, 상기 제 1 브러시가 상기 제 1 정류자편과 접촉하면 상기 제 2 정류자편과 접촉하고 상기 제 1 브러시가 상기 제 2 정류자편과 접촉하면 상기 제 1 정류자편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 2 브러시; 상기 코일과 간격을 두고 있는 자석; 상기 임펠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 및 상기 임펠러와 상기 자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apparatus for harvesting pipe-energy}
본 발명은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관 내에 설치되어 배관을 통해 흐르는 유체(상수도, 가스, 냉난방 등)의 역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회전 전기자형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지하에는 상수도, 하수도, 가스, 냉난방 등의 다양한 지하 시설물이 존재한다. 이러한 시설물들은 도시의 중요한 기반 시설물이며 첨단 도시시설물 관제를 위해서는 지능화를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필수적인 시설물들이다. 최근 들어, USN(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융합 기술을 활용한 시설물의 지능화 기술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지만 신/구 시가지의 공동구나 맨홀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전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기존의 아날로그식 계측기들은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았고, 근래 들어 개발된 디지털 원격 검침 장치들은 유선 통신과 상시 전원을 활용하기 때문에 전원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지 않았다. 하지만, 무선을 기반으로 배터리로 동작하는 USN 융합 기기들에 있어서 전원 문제의 해결은 시설물 지능화의 우선적인 과제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는 지하 공동구나 맨홀 등의 열악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에너지를 획득하여 USN 시스템의 전원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공개특허공보 제2001-87812호 및 제2009-65502호 참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는 배관의 단면에 회전 날개를 설치하고 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돌리는 방식이다.
종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는 배관의 단면에 회전 날개를 설치함으로 인해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고 응력이 회전 날개의 중심축에 집중되어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가 고장 났을 경우 유체의 흐름을 막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 전체적인 구조가 중공(中孔)의 원통 형상인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는 내주면에 다수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코일; 상기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정류자편과 상기 코일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정류자편; 상기 제 1 정류자편 또는 상기 제 2 정류자편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 1 브러시와, 상기 제 1 브러시가 상기 제 1 정류자편과 접촉하면 상기 제 2 정류자편과 접촉하고 상기 제 1 브러시가 상기 제 2 정류자편과 접촉하면 상기 제 1 정류자편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 2 브러시; 상기 코일과 간격을 두고 있는 자석; 상기 임펠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 및 상기 임펠러와 상기 자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코일, 제 1, 2 정류자편은 상기 임펠러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임펠러가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는 회전자이다. 또한, 상기 자석, 제 1, 2 브러시는 상기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고정자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는, 다수의 상기 코일이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는, 다수의 상기 자석이 상기 다수의 코일을 둘러싸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는 상기 코일이 감겨있고, 상기 임펠러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코어; 및 상기 지지대에 상기 자석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임펠러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볼 베어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고리 형태이고, 상기 임펠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는 중공(中孔)의 원통 구조이다. 즉, 기존과 비교하여 중심축이 없다 할 것이다. 따라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고장이 나더라도 유체의 흐름을 막지 아니한다.
또한, 기존의 기술은 응력이 중심축에 집중되는 것인 반면, 본 발명은 응력이 임펠러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날개에 골고루 분산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기존과 비교하여 발전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과 달리, 발전기(고정자와 회전자)와 임펠러가 일체화되어 모듈이기 때문에, 부가 설비 없이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일체화 모듈은 배관 내부에 병렬로 설치 가능하다. 따라서, 유연하게 발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코일과 정류자편의 연결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의 설치 환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가 설치 가능한 플랜지의 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코일과 정류자편의 연결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100)는 임펠러(110), 코일(120), 코어(130), 제 1 정류자편(140), 제 2 정류자편(150), 고정부(160), 자석(170), 베어링(180), 지지대(190), 제 1 브러시(200) 및 제 2 브러시(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임펠러(110)는 그 내주면에 다수의 날개(1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가운데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멍을 통해 유체가 임펠러(110)를 관통한다.
코일(120)은 임펠러(11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임펠러(110) 회전시 같이 회전하게 되는 회전자이다. 특히, 다수의 코일(120)이 임펠러(110)를 둘러싸고 있다.
코어(130)는 코일(120)이 감겨 있는 것이다. 또한, 임펠러(11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임펠러(110) 회전시 같이 회전하게 되는 회전자이다.
제 1 정류자편(140)은 임펠러(11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임펠러(110) 회전시 같이 회전하게 되는 회전자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1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제 2 정류자편(150)은 임펠러(11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임펠러(110) 회전시 같이 회전하게 되는 회전자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1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고정부(160)는 핀 형태로서, 자석(170)을 지지대(19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자석(170)은 고정자로서, 코일(120)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이다. 특히, 다수의 자석(170)이 회전자인 다수의 코일(120)을 둘러싸고 있다. 또한, 자석(170)에는 고정부(160) 즉, 핀이 끼워지는 끼움공(171)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180)은 임펠러(110)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볼 베어링으로서 임펠러(110)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한다.
지지대(190)는 임펠러(110)와 자석(170)을 지지하는 것이다. 즉, 자석(170)을 고정시키는 기능 및 임펠러(110)의 회전축 기능을 하는 것이다. 특히, 지지대(190)는 고리 형태이고, 임펠러(110)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며, 고정부(160)가 끼워지는 끼움공(191)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어링(180) 즉, 볼 베어링이 삽입되는 삽입홈(19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 1 브러시(200)는 고정자로서 원호(圓弧) 형태이며, 제 1 정류자편(140) 또는 제 2 정류자편(150)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예컨대, 임펠러(110) 상부에 위치한 지지대(19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 2 브러시(210) 또한 고정자로서 원호 형태이며, 제 1 브러시(200)가 제 1 정류자편(140)과 접촉하면 제 2 정류자편(150)과 접촉하고 제 1 브러시(200)가 제 2 정류자편(150)과 접촉하면 제 1 정류자편(140)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즉, 제 2 브러시(210) 또한 지지대(190)에 부착되되, 제 1 브러시(200)가 부착되어 있는 부위의 맞은편에 부착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의 설치 환경을 보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가 설치 가능한 플랜지의 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는 상시 전원을 공급받기 어려운 지하시설물용 USN 융합기기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상수도 유량계의 전원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신규/기설 공동구 및 맨홀 환경에서 배관의 유체 흐름을 이용해서 상시 에너지를 획득하여 USN 융합기기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중심축이 없는 임펠러 방식을 사용함에 있다. 따라서, 응력이 골고루 분산되어 기존의 장치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유체의 흐름을 적게 방해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발전기와 회전 날개가 일체화된 모듈 구조이므로 부가 설비 없이 사용 가능하며,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을 병렬화하여 유연하게 발전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110: 임펠러
120: 코일
130: 코어
140: 제 1 정류자편
150: 제 2 정류자편
160: 고정부
170: 자석
180: 베어링
190: 지지대
200: 제 1 브러시
210: 제 2 브러시

Claims (7)

  1. 내주면에 다수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코일;
    상기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정류자편과 상기 코일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정류자편;
    상기 제 1 정류자편 또는 상기 제 2 정류자편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 1 브러시와, 상기 제 1 브러시가 상기 제 1 정류자편과 접촉하면 상기 제 2 정류자편과 접촉하고 상기 제 1 브러시가 상기 제 2 정류자편과 접촉하면 상기 제 1 정류자편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 2 브러시;
    상기 코일과 간격을 두고 있는 자석;
    상기 임펠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 및
    상기 임펠러와 상기 자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코일이,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자석이,
    상기 다수의 코일을 둘러싸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이 감겨있고, 상기 임펠러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코어; 및
    상기 지지대에 상기 자석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임펠러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볼 베어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고리 형태이고, 상기 임펠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러시와 상기 제 2 브러시는,
    상기 지지대에 부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KR1020100016070A 2010-02-23 2010-02-23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KR101122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070A KR101122243B1 (ko) 2010-02-23 2010-02-23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070A KR101122243B1 (ko) 2010-02-23 2010-02-23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694A KR20110096694A (ko) 2011-08-31
KR101122243B1 true KR101122243B1 (ko) 2012-03-20

Family

ID=4493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070A KR101122243B1 (ko) 2010-02-23 2010-02-23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2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155B1 (ko) * 2012-11-19 2014-04-21 최두호 관체 발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9014A (ja) 2005-01-07 2006-07-20 Kawasaki Heavy Ind Ltd 水力発電装置
KR20080020180A (ko) * 2006-08-31 2008-03-05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톱핑 노이즈가 예방되는 스타트모터
KR20090045919A (ko) * 2006-07-14 2009-05-08 오픈하이드로 그룹 리미티드 조력발전 터빈
KR20090104059A (ko) * 2007-01-04 2009-10-05 씨-파워 리미티드 조력 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9014A (ja) 2005-01-07 2006-07-20 Kawasaki Heavy Ind Ltd 水力発電装置
KR20090045919A (ko) * 2006-07-14 2009-05-08 오픈하이드로 그룹 리미티드 조력발전 터빈
KR20080020180A (ko) * 2006-08-31 2008-03-05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톱핑 노이즈가 예방되는 스타트모터
KR20090104059A (ko) * 2007-01-04 2009-10-05 씨-파워 리미티드 조력 발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694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6053C (en) In-pipe turbine and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JP5809126B2 (ja) マイクロ水力発電機
CN105658953B (zh) 用于管道系统的电流生成设备
CN103397974B (zh) 磁悬浮水轮发电机
KR101465584B1 (ko) 관로 일체형 소수력 발전기 및 이를 이용하는 배수관 발전 시스템
WO2013050295A1 (en) Power harvesting bearing configuration
KR20110096693A (ko)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JP5759618B2 (ja) 水力発電装置
US20110210557A1 (en) Compact wind and water turbine systems
US10544775B2 (en) Hydroelectric energy system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RU2453725C2 (ru) Электрогене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1122243B1 (ko) 배관 에너지 획득 장치
KR101772017B1 (ko) 무축 배관형 발전기
JP5556563B2 (ja) 回転電機、風力発電システムおよび回転電機に用いる回転検出器
KR101028033B1 (ko) 풍력발전기
JP4535753B2 (ja) 発電システム
WO2010101796A2 (en) Compact wind and water turbine systems
KR20110015334A (ko) 수력 발전장치
KR101256297B1 (ko) 조류 발전기
US20230358202A1 (en)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 current in a fluid flow circuit
CN210460936U (zh) 一种基于永磁转子水力发电装置
KR20120043559A (ko) 블레이드 일체형 소수력 발전설비
CN219366213U (zh) 一种流体发电装置
CN207989220U (zh) 一种电能与管内流体动能的转换装置
KR100870231B1 (ko) 풍력을 이용한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