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928B1 - 농수산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928B1
KR101121928B1 KR1020110068678A KR20110068678A KR101121928B1 KR 101121928 B1 KR101121928 B1 KR 101121928B1 KR 1020110068678 A KR1020110068678 A KR 1020110068678A KR 20110068678 A KR20110068678 A KR 20110068678A KR 101121928 B1 KR101121928 B1 KR 101121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dryer
frame
marine products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경
Original Assignee
이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경 filed Critical 이주경
Priority to KR1020110068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928B1/ko
Priority to PCT/KR2012/003985 priority patent/WO20130090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재그 형태로서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봉; 상기 프레임에 끼워져 다층의 선반을 형성하고, 상기 선반에 농수산물을 올려 놓아 건조시키는 건조망;을 포함하는 농수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가의 부품만을 이용하여 농수산물 건조기 제작이 가능하므로 고가의 열건조기에 비하여 제조원가 및 보급가가 매우 저렴하고, 다층으로 이루어진 선반에 건조물을 널어 건조시키므로 재래식 자연건조방법에 비하여 큰 설치 면적이 필요하지 않아 건조효율이 높으며, 주로 태양열을 사용한 자연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작동 유지비가 적게 들고 자연 건조에 의한 건조물의 맛과 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수산물 건조기{APPARATUS FOR DRYING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본 발명은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래식 자연건조방법보다 건조효율이 높고, 고가의 열건조기에 비해 매우 경제적인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벼, 보리, 밀, 깨, 콩, 고추, 곶감, 옥수수, 건포도 등의 농산물과, 명태, 가자미, 양미리, 오징어, 한치, 노가리, 멸치, 김, 미역 등의 수산물은 수확후 일정한 기간 동안 건조를 통해 수분 함량을 낮춤으로써 미생물의 발육과 성분의 변화를 억제시키고, 식품이 변질되지 않도록 하여 장기 보관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
이러한 농수산물의 종래의 건조 방법은 멍석 또는 돗자리를 땅바닥에 펴고 그 위에 농수산물을 널거나, 그물망이나 대나무에 농수산물을 끼워서 햇빛에 의해 자연건조시키는 재래식 자연건조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상기 재래식 자연건조방법은 햇빛에 자연건조하기 때문에 맛과 품질이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건조에 장시간을 요하고, 건조를 위한 넓고 평평한 건조장소가 필수적이며, 어두운 저녁이나 흐린 날에는 건조가 잘 이루어 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후나 온도 등에 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어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고, 조류, 쥐, 해충 등에 의해 건조물이 손실될 수 있으며, 건조과정 중에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부패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히터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송풍기로 순환시킴으로써 밀폐된 공간 내에서 열풍으로 농수산물을 인공 건조시키는 열건조기가 개발되었는 바, 상기 열건조기는 시간과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대량 건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그 제조, 가동 및 유지 비용이 매우 고가이고, 재래식 자연건조방법에 비하여 건조물의 맛과 품질이 떨어지며, 인공적인 열풍의 편중으로 인해 고른 맛과 품질이 지속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중량물이어서 이동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가의 부품만을 이용하여 농수산물 건조기 제작이 가능하므로 고가의 열건조기에 비하여 제조원가 및 보급가가 매우 저렴하고, 다층으로 이루어진 선반에 건조물을 널어 건조시키므로 재래식 자연건조방법에 비하여 큰 설치 면적이 필요하지 않아 건조효율이 높으며, 주로 태양열을 사용한 자연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작동 유지비가 적게 들고 자연 건조에 의한 우수한 맛과 품질을 갖는 건조물을 생산할 수 있는 농수산물 건조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그재그 형태로서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봉; 상기 프레임이 삽입되어 다층의 선반을 형성하고, 상기 선반에 농수산물을 올려 놓아 건조시키는 건조망;을 포함하는 농수산물 건조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은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다수의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수평부는 양단에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이 상기 체결구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지지봉의 길이 조절에 의해 수축 및 팽창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부는 중앙에 고정홀이 형성되고, 고정봉이 상기 고정홀에 볼트로 체결되어 양측의 상기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수직 하중을 지지해 주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양측의 상기 고정봉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거치봉이 더 포함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은,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삽입 결합된 너트; 상기 너트와 회동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팽창볼트;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망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상기 프레임이 삽입되는 터널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건조망은 각 선반의 양 단과 중앙을 폭방향을 따라 재봉하여 각 선반마다 2개의 주머니를 형성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주머니의 내부로 난방필름을 삽입 설치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난방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온도 조절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다수의 상기 지지봉을 대각선으로 가로 질러 V자 형상 또는 역 V자 형상을 이루는 대각봉이 결합되어 건조기의 균형을 유지해 주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대각봉은 건조기의 전?후방 측에 구비된 다수의 상기 지지봉을 대각선을 따라 가로 질러 설치되되, 한쪽은 V자 형상이고, 다른 쪽은 역 V자 형상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건조기를 덮는 투명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투명커버는, 바닥의 사각 프레임; 상기 사각 프레임이 하단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건조기를 덮어 온실을 형성하는 비닐;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투명커버는, 상부에 통풍을 위한 환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한편, 양측에 입설된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 하단과, 전방의 가장 하측에 결합된 지지봉의 중앙에 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가의 부품만을 이용하여 농수산물 건조기 제작이 가능하므로 고가의 열건조기에 비하여 제조원가 및 보급가가 매우 저렴하고, 다층으로 이루어진 선반에 건조물을 널어 건조시키므로 재래식 자연건조방법에 비하여 큰 설치 면적이 필요하지 않아 건조효율이 높으며, 주로 태양열을 사용한 자연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작동 유지비가 적게 들고 자연 건조에 의한 건조물의 맛과 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열과 전기를 병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기후 여건이나 주야 시간대에 구분받지 않고 24시간 내내 건조가 수행될 수 있어 건조시간이 절감되고, 건조물의 품질이 증대된다.
그리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부품 파손시 교환 및 수리가 편리하고, 농수산물을 건조하지 않을 때에는 농수산물 건조기를 쉽게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어 설치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무게가 가벼워 별도의 기구 없이도 사람의 힘만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편리하고 물류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조류, 쥐, 해충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건조물이 손실되거나 오염되지 않고, 위생성도 우수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기본 골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봉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팽창볼트, (b)는 지지봉 전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망의 선반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조망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전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100)는 저가의 부품만을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므로 고가의 열건조기에 비하여 제조원가 및 보급가가 매우 저렴하고, 다층으로 이루어진 선반에 건조물을 널어 건조시키므로 재래식 자연건조방법에 비하여 큰 설치 면적이 필요하지 않아 건조효율이 높으며, 주로 태양열을 사용한 자연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작동 유지비가 적게 들고 자연 건조에 의한 건조물의 맛과 품질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수산물 건조기(100)는 양측에 프레임(10)이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되, 상기 프레임(10)은 다수의 수평부(11)와 수직부(12)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0)은 지그재그 형태, 즉, S자가 반복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다수의 수평부(11)와 수직부(12)를 용접하여 연결하는 경우에는 작업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나, 본 발명에서는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10)을 유압 절곡기를 이용하여 절곡시켜 수평부(11)와 수직부(12)를 형성하므로 지그재그형 프레임의 형성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지그재그형으로 다수의 수평부(11)와 수직부(12)를 형성함으로써, 각 수평부(11) 마다 끼워진 건조망(30)에 의해 다수의 선반(31)이 생성되고, 이러한 선반(31)마다 농수산물을 올려 놓아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큰 설치 면적이 필요없고 건조효율이 우수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각 수평부(11)의 내측 양단에는 체결구(11a)가 형성되고, 각 수평부(11)의 외측 중앙에는 고정홀(11b)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봉(20)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지지봉(20)은, 내부가 중공 형성된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양단에 삽입 결합되는 너트(22)와, 상기 너트(22)와 회동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팽창볼트(2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봉(20)의 결합 방법은 상기 지지봉(20)을 상기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에 팽창볼트(23)의 머리부(23a)를 상기 수평부(11)의 체결구(11a)에 삽입시켜 고정한 다음, 너트(22)와 나사결합된 팽창볼트(23)의 나사부(23b)를 회전시켜 지지봉(20)의 전체 길이를 조정하게 되며, 이와 같이 지지봉(20)이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프레임(10)에 끼워진 건조망(30)의 각 선반(31)이 농수산물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탄성을 유지하거나 탄성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건조망(30)은 지그재그 형태의 상기 프레임(10)에 끼워져 다층의 선반(31)을 형성하고, 상기 선반(31) 위에 농수산물을 올려 놓아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망(30)은 검정색을 사용하여 투명커버(70)를 통해 투과된 햇빛의 복사열이나 난방필름(40)의 복사열이 외부로 발산되지 않고 농수산물 건조기(100)의 내부에 최대한 머무르도록 하여 건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망(30)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터널(33)이 형성되고, 상기 터널(33)의 내부로 상기 프레임(10)이 삽입된다. 또한, 각 선반(31)의 양 단과 중앙 부분에 선반(31)의 폭방향을 따라 재봉하여 재봉선(34)을 형성하고, 이로 인하여 건조망으로 이루어진 각 선반(31)의 내부에는 2개의 주머니(3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 선반(31)에 다수의 재봉선(34)과 주머니(35)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봉(20)의 팽창볼트(23)에 의해 팽창시 건조망(30)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선반(31)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머니(35)의 내부에 전기로 작동하는 난방필름(40)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난방필름(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조절기(41)를 설치하며, 이로 인하여 태양열과 전기를 병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기후 여건이나 주야 시간대에 구분받지 않고 24시간 내내 농수산물의 건조가 수행될 수 있어 건조시간이 절감되고, 건조물의 품질이 증대된다.
상기 농수산물 건조기(100)의 프레임(10)에는 고정봉(50)이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는 바, 상기 고정봉(50)은 상기 프레임(10)의 각 수평부(11)에 형성된 고정홀(11b)에 볼트(51)로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설됨으로써 농수산물 건조기(100)와 건조되는 농수산물의 수직 하중을 받쳐 지지해 준다.
이때, 양측의 상기 고정봉(50)의 상단은 거치봉(52)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거치봉(52)은 후술할 투명커버(70)의 비닐(72)이 하측으로 내려 앉지 않도록 지지해 줌으로써 건조물과 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다수의 상기 지지봉(20)에는 건조기의 균형을 유지해 주는 대각봉(60)이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는 바, 상기 대각봉(60)은 다수의 지지봉(20)을 대각선으로 가로 질러 V자 형상 또는 역 V자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과 지지봉(20)을 지지하여 각 선반(31)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대각봉(60)은 농수산물 건조기(100)의 전?후방측에서 설치되되, 한쪽은 V자 형상이고, 다른 쪽은 역 V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건조기의 균형 유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양측의 상기 프레임(10)의 하단의 역 V자형 대각봉(60)이 설치된 부분과 고정봉(50)이 결합되는 부분의 사이에는 바퀴(80)가 설치되고, V자형 대각봉(60)이 볼트 결합되는 제일 하단에 설치되는 지지봉(20)의 중앙에도 바퀴(8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로써 사용자가 농수산물 건조기(100)를 굳이 힘들여 옮길 필요가 없이 하단부에 설치된 바퀴(8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수산물 건조기(100)는 농수산물 건조기(100)를 덮는 투명커버(7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투명커버(70)는 사각 프레임(71), 비닐(72) 및 환기구(7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사각 프레임(71)은 상측의 비닐(72)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투명커버(70)를 바닥에 밀착시키고, 비닐(72)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며, 이로 인해 상기 비닐(72)은 농수산물 건조기(100)를 덮어 온실을 형성하여 태양의 복사열 또는 난방필름의 복사열을 계속적으로 가둘 수 있으므로 건조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비닐(72)의 상부에는 통풍을 위한 환기구(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커버(70)의 비닐(72)은 태양의 햇빛을 농수산물 건조기(100)의 내부로 그대로 투과시키고, 건조기(100)를 덮어 온실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투명커버(70)의 내부에서 태양의 복사열에 의하여 농수산물을 자연 건조시키거나, 온도조절기(41)를 컨트롤하여 난방필름(40)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난방필름(40)의 복사열에 의하여 농수산물을 건조시킴으로써, 건조효율이 높고, 작동 유지비가 적게 들며, 건조물의 맛과 품질이 우수하다.
또한, 농수산물 건조기(100)를 투명커버(70)로 덮어 사용하므로, 조류, 쥐, 해충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건조물이 손실되거나 오염되지 않고, 위생성도 우수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100)의 제조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유압 절곡기를 이용하여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10)이 다수의 수평부(11)와 수직부(12)를 갖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 형성하고, 건조망(30)은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선(34)을 형성함으로써 프레임(10)이 삽입될 공간인 터널(33)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건조망(30)의 터널(33)에 삽입되었을 때 생성될 각 선반(31)의 양 단과 중앙이 될 위치를 미리 파악하여 그 위치에도 선반(31)의 폭방향을 따라 재봉하여 재봉선(34)을 형성함으로써 각 선반(31)마다 2개의 주머니(35)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지그재그 형태의 2개의 프레임(10)을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입설시키고, 양측에 입설된 상기 프레임(10)에 미리 재봉되어 준비된 상기 건조망(30)을 상기 프레임(10)의 지그재그 형태를 따라 끼운다.
그리고, 지지봉(20)을 상기 프레임(10)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결합시키되, 양측의 팽창볼트(23)를 회전시켜 지지봉(20)을 팽창시키고 이에 따라 건조망(30)에 탄성을 줌으로써 다층의 선반(31)을 형성하고, 프레임(10)의 외측 중앙에 고정봉(50)을 수직방향으로 결합시켜 수직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거나, 다수의 지지봉(20)을 따라 가로질러 V자형 또는 역 V자형의 대각봉(60)을 결합시켜 농수산물 건조기의 균형을 유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주머니(35)의 내부로 난방필름(40)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난방필름(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온도조절기(41)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농수산물 건조기(100)를 투명커버(70)로 덮어 온실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농수산물 건조기(100)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부품 파손시 교환 및 수리가 편리하고, 농수산물을 건조하지 않을 때에는 건조기를 분해하여 따로 보관할 수 있어 설치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무게가 가벼워 사람의 힘만으로도 조립 및 설치된 상태에서 충분히 이동이 가능하여 편리하고 물류비가 절감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 관계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100)를 햇빛이 비치는 외부에 설치하며, 건조망(30)의 각 선반(31)에 건조할 농수산물을 널고, 난방필름(40)의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에 접속시켜 상기 난방필름(40)에 전기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비닐(72)로 이루어진 투명커버(70)를 씌우고, 사각 프레임(71)으로 상기 비닐(72)이 지지되도록 한다.
낮에는 태양의 햇빛이 투명커버(70)의 비닐(72)을 투과하여 태양의 복사열에 의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따라서 난방필름(40)의 온도조절기(41)를 오프(OFF)로 컨트롤하여 태양의 복사열에 의한 자연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반면에, 햇빛이 비치지 않는 기후가 좋지 않은 날이나 저녁, 또는 습도가 높아 건조될 농수산물이 수분을 많이 함유한 때에는 난방필름(40)의 온도조절기(41)를 온(ON)하여 상기 난방필름(40)의 복사열에 의해서 농수산물이 건조되도록 하거나 수분을 제거하도록 한다.
따라서, 태양열과 전기를 병용하여 사용하여 기후 여건이나 주야 시간대에 구분받지 않고 24시간 내내 건조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건조시간이 절감되고, 건조효율이 높으며, 건조물의 품질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 프레임 11. 수평부
11a. 체결구 11b. 고정홀
12. 수직부
20. 지지봉 21. 몸체
22. 너트 23. 팽창볼트
23a. 머리부 23b. 나사부
30. 건조망 31. 선반
33. 터널 34. 재봉선
35. 주머니 40. 난방필름
41. 온도조절기 50. 고정봉
51. 볼트 52. 거치봉
60. 대각봉 70. 투명 커버
71. 사각 프레임 72. 비닐
73. 환기구 80. 바퀴
100. 농수산물 건조기

Claims (16)

  1. 지그재그 형태로서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봉;
    상기 프레임이 삽입되어 다층의 선반을 형성하고, 상기 선반에 농수산물을 올려 놓아 건조시키는 건조망;을 포함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다수의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양단에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이 상기 체결구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지지봉의 길이 조절에 의해 수축 및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중앙에 고정홀이 형성되고,
    고정봉이 상기 고정홀에 볼트로 체결되어 양측의 상기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수직 하중을 지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양측의 상기 고정봉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거치봉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삽입 결합된 너트; 상기 너트와 회동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팽창볼트;를 포함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망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상기 프레임이 삽입되는 터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망은 각 선반의 양 단과 중앙을 폭방향을 따라 재봉하여 각 선반마다 2개의 주머니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의 내부로 난방필름을 삽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온도 조절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11.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지지봉을 대각선으로 가로 질러 V자 형상 또는 역 V자 형상을 이루는 대각봉이 결합되어 건조기의 균형을 유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봉은 건조기의 전?후방 측에 구비된 다수의 상기 지지봉을 대각선을 따라 가로 질러 설치되되, 한쪽은 V자 형상이고, 다른 쪽은 역 V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를 덮는 투명커버를 더 포함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커버는, 바닥의 사각 프레임; 상기 사각 프레임이 하단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건조기를 덮어 온실을 형성하는 비닐;을 포함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커버는, 상부에 통풍을 위한 환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양측에 입설된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 하단과, 전방의 가장 하측에 결합된 지지봉의 중앙에 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KR1020110068678A 2011-07-12 2011-07-12 농수산물 건조기 KR101121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678A KR101121928B1 (ko) 2011-07-12 2011-07-12 농수산물 건조기
PCT/KR2012/003985 WO2013009002A1 (ko) 2011-07-12 2012-05-21 농수산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678A KR101121928B1 (ko) 2011-07-12 2011-07-12 농수산물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1928B1 true KR101121928B1 (ko) 2012-03-13

Family

ID=4614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678A KR101121928B1 (ko) 2011-07-12 2011-07-12 농수산물 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1928B1 (ko)
WO (1) WO20130090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2853A (zh) * 2014-12-31 2015-04-22 重庆倍精科技研发有限公司 直接式风脱水架
CN117441910A (zh) * 2023-12-26 2024-01-26 福建傲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热膜加热器的去皮核桃加工用低温烘干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2383A (zh) * 2013-02-03 2013-05-08 新疆农业科学院园艺作物研究所 一种悬柱挂竿晾制葡萄干的方法及采用的装置
KR102170262B1 (ko) * 2013-12-20 2020-10-26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프로브 및 초음파 프로브의 제조방법
CN104930826A (zh) * 2015-06-30 2015-09-23 遵义市郎笑笑食品有限责任公司 金银花旋转收缩晾晒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313A (ko) * 2003-03-08 2004-09-18 이예순 농수산물 건조대
KR20040086014A (ko) * 2003-03-31 2004-10-08 이예순 절첩형 농수산물 건조대
KR20040086013A (ko) * 2003-03-31 2004-10-08 이예순 사다리형 농수산물 건조대
KR200371814Y1 (ko) 2004-10-12 2005-01-10 김재만 농산물 건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313A (ko) * 2003-03-08 2004-09-18 이예순 농수산물 건조대
KR20040086014A (ko) * 2003-03-31 2004-10-08 이예순 절첩형 농수산물 건조대
KR20040086013A (ko) * 2003-03-31 2004-10-08 이예순 사다리형 농수산물 건조대
KR200371814Y1 (ko) 2004-10-12 2005-01-10 김재만 농산물 건조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2853A (zh) * 2014-12-31 2015-04-22 重庆倍精科技研发有限公司 直接式风脱水架
CN117441910A (zh) * 2023-12-26 2024-01-26 福建傲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热膜加热器的去皮核桃加工用低温烘干设备
CN117441910B (zh) * 2023-12-26 2024-04-26 福建傲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热膜加热器的去皮核桃加工用低温烘干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9002A1 (ko)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928B1 (ko) 농수산물 건조기
Pangavhane et al. Review of research and development work on solar dryers for grape drying
Koyuncu An investigation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greenhouse-type agricultural dryers
JP2011244705A (ja) 植物栽培方法
WO2009018618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of capturing sunlight
KR20130030158A (ko) 태양전지 및 이를 활용한 면상 발열체와 엘이디 조명을 갖는 비닐하우스
KR200473960Y1 (ko) 조립식 다용도 육묘장치
Paul et al. A review of solar dryers designed & developed for chilli
CN205389956U (zh) 一种山林放养鸡房
CN209314403U (zh) 一种果树种植用便于调节光照的育苗棚
KR200424159Y1 (ko) 농수산물 건조기
CN109362576A (zh) 一种养猪场用猪圈保温系统
JP2011244706A (ja) 植物栽培方法
CN209234823U (zh) 一种鱼干烘烤房
CN108029587A (zh) 一种家禽养殖大棚
KR20110115458A (ko) 원적외선 및 전열 난방방식 실내 다층 재배장치
CN209151823U (zh) 一种农场香菇养殖柜
CN107361017A (zh) 光伏大棚立体生态系统及林蛙养殖与种植相结合的应用
CN217217596U (zh) 一种用于玉米育种的温室大棚
JP2002345343A (ja) 高設栽培装置
CN207911646U (zh) 一种具备保护效果的水培有机蔬菜大棚种植装置
KR20210108218A (ko) 가변형 접이식 농작물 건조기와 원격제어시스템
CN207802982U (zh) 一种地被植物防冻装置
KR20110066986A (ko) 다목적 저온저장고 및 건조기
CN2048280U (zh) 多功能组装式植物微型立体培育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