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212B1 -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212B1
KR101121212B1 KR1020097021930A KR20097021930A KR101121212B1 KR 101121212 B1 KR101121212 B1 KR 101121212B1 KR 1020097021930 A KR1020097021930 A KR 1020097021930A KR 20097021930 A KR20097021930 A KR 20097021930A KR 101121212 B1 KR101121212 B1 KR 101121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lay
terminal
voic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729A (ko
Inventor
레나트 바핀
존나스 린드브롬
마르쿠스 바알가마
Original Assignee
스카이프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이프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카이프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03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G10L2025/783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based on threshold dec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 1 신호를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것과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출력하는 것 사이에 지연을 적용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분석된 제 1 신호의 특성 및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의 검출에 근거하여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네트워크가 제공되며,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는 두 개의 통신 단말기들을 함께 링크시킬 수 있어, 단말기들은 통화 혹은 다른 통신 이벤트를 통해 서로에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로는 음성, 문자, 이미지, 혹은 비디오가 있을 수 있다.
현대 통신 시스템은 디지털 신호의 전송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음성과 같은 아날로그 정보는 한쪽 단말기의 전송기에서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에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는 그 다음에 인코딩되어 채널을 통해 다른쪽 단말기의 수신기로의 전송을 위해 데이터 패킷의 형태가 된다.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데 적합한 통신 네트워크의 한가지 타입은 인터넷이다.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신호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VoIP(Voice over IP)로 언급된다. VoIP는 인터넷 혹은 임의의 다른 IP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대화의 라우팅이다.
데이터 패킷은 헤더 부분(header portion)과 페이로드 부분(payload portion)을 포함한다. 데이터 패킷의 헤더 부분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고 프로세싱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패킷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 번호 및 소스 어드레스, 프로세싱 에러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헤더 체크섬, 및 목적지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은 전송을 위한 디지털 신호로부터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음성 프레임과 같은 인코딩된 프레임으로서 페이로드에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프레임은 아날로그 신호의 부분을 나타낸다.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에서의 기능저하(degradations)가 수신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정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채널에서의 기능저하는 패킷 순서에서의 변경을 일으킬 수 있고, 수신기에서의 일부 패킷의 도착을 지연시키며, 다른 패킷의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저하는 채널 결함, 노이즈, 및 채널에서의 오버로드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이로 인해, 궁극적으로 수신 단말기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의 품질이 감소된다.
데이터 패킷들이 목적지 단말기에서 수신될 때, 각각의 패킷의 헤더에서 제공된 정보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올바른 순서로 정리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터 패킷들 내의 데이터가 목적지 단말기에서 연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것과 데이터를 패킷으로 출력하는 것 사이에 지연을 도입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단말기에 도착하는 패킷들 간의 지연에서의 임의의 변화를 극복하기 위함이다.
데이터 패킷을 올바른 순서로 정리하기 위해 그리고 데이터 패킷의 전파에서의 변화를 숨길 수 있도록 지터 버퍼(jitter buffer)가 수신 단말기에서 사용된다. 지터 버퍼는 단말기의 수신 경로 상에 놓이고 그리고 들어오는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다. 지터 버퍼는 패킷들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기 이전에 지연을 도입함으로써 들어오는 패킷들을 버퍼링한다. 전형적으로 지터 버퍼는, 패킷들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속도에 따라 지연을 조정한다. 지터 버퍼는 또한 순서를 벗어나 도착한 패킷들을 올바른 순서로 다시 정리하고, 올바른 순서로 포함되기에는 너무 늦게 도착한 패킷들은 버리도록 구성된다. 지터 버퍼에 의해 도입된 지연의 증가는 올바른 순서로 포함되기에는 너무 늦게 도착한 패킷들의 수를 감소시킨다. 지터 버퍼에 의해 도입된 지연의 증가는 또한 데이터 패킷들의 전파에서의 더 큰 지연들을 숨긴다.
그러나, 지터 버퍼의 기능은 단말기들 간의 통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지터 버퍼에 의해 도입된 지연이 너무 크다면, 이것은 실시간 통신의 상호작용도(interactivity)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더욱이, 지터 버퍼에 의해 도입된 지연을 조정함으로써, 수신된 신호의 부분들을 더 빠르게 혹은 더 느리게 재생할 수 있고, 이것은 출력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비록 들어오는 신호 상에서 음성 동작이 검출되지 않는 기간 동안 지터 버퍼의 지연을 조정함으로써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지만, 지터 버퍼의 지연이 조정될 수 있는 범위는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된 신호의 지각 품질(perceived quality)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잡한 컴퓨팅 방법을 사용함이 없이, 수신된 신호의 품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 1 신호를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복수의 데이터 요소(data element)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audio activity)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것과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출력하는 것 사이에 지연을 적용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분석된 제 1 신호의 특성 및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의 검출에 근거하여 상기 지연을 조정(adjust)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 1 신호를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입력에 대해 음성 비동작 상태(voice inactivity condition)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제 1 신호의 특성에 근거하여, 요구된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것과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출력하는 것 사이에 지연을 적용하는 단계와, 그리고 만약 상기 음성 비동작 상태가 존재한다고 결정된다면 상기 지연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 1 신호를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신호에서 오디오 동작이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적어도 상기 제 1 신호의 일부에 프로세싱 단계를 적용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 1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단말기가 제공되며, 상기 단말기는,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수신기와, 상기 제 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제 1 분석 유닛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2 수신기와,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제 2 분석 유닛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것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하는 것 사이에 지연을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분석된 제 1 신호의 특성 및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의 검출에 근거하여 상기 지연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지연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 1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단말기가 제공되며, 상기 단말기는,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수신기와, 상기 제 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분석 유닛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제 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2 수신기와,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 2 수신기에 대해 음성 비동작 상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기와, 그리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것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하는 것 사이에 지연을 적용하고, 그리고 만약 상기 음성 비동작 상태가 존재한다고 결정된다면 상기 지연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지연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 1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단말기가 제공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수신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2 수신기와,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분석 유닛과, 상기 제 2 신호에서 오디오 동작이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적어도 상기 제 1 신호의 일부에 프로세싱 단계를 적용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와, 그리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이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이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신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및 송신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수신 및 송신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수신 및 송신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수신 및 송신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네트워크(104)에 연결된 단말기(100)와 단말기(112)가 도시된다. 단말기(100)는 통신 네트워크(104)를 통해 단말기(112)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에 의해 제공되는 VoIP 네트워크이다. 이해해야만 하는 것으로, 비록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고 도시되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이 용어 VoIP 네트워크를 사용하지만,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은 데이터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네트워크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혹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일 수 있다.
단말기(100 및 112)는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게임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적절히 사용가능한 모바일 폰, 텔레비젼 혹은 네트워크(104)에 연결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112)에서의 수신 회로(10)의 예를 나타낸다. 다음의 설명은 단말기(112)의 지터 버퍼에 의해 도입된 지연을 고려한다. 따라서 단말기(112)는 근단 단말기(near end terminal)(112)로 언급될 수 있고, 단말기(100)는 원단 단말기(far end terminal)(100)로 언급될 수 있다. 원단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패킷들을 포함하는 신호는 원단 신호(far end signal)로 언급된다.
수신 회로는 지터 버퍼 블럭(12), 디코터 블럭(14), 디지털 대 아날로그 컨버터(16) 및 음성 동작 검출기(18)를 포함한다. 지터 버퍼 블럭(12)은 네트워크(104)를 통해 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다. 지터 버퍼 블럭(12)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된 지터 버퍼 저장소를 포함하고, 순서를 벗어나 도착한 패킷들을 다시 정리하고 늦게 도착한 패킷들은 버리도록 구성된 지터 버퍼 관리자를 포함한다. 패킷들의 페이로드에 제공되는 데이터는, 접속(2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스트림의 형태로 디코더 블럭(14)에 출력된다.
지터 버퍼 관리자는 또한 근단 단말기(112)의 사용자에게 데이터가 출력되기 이전에 데이터에 적용되어야하는 지연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연은, 데이터 패킷들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속도에 근거를 둘 수 있으며 그리고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코더 블럭(14)에서의 데이터에 이전에 적용된 지연에 근거를 둘 수 있다. 이렇게 계산된 지연은 접속(2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 블럭(14)에 보고된다.
디코더 블럭(14)은 지터 버퍼 블럭(12)으로부터 출력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한다. 디코더 블럭은 또한 음성 동작 검출기(18)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한다. 디코더 블럭(14)은,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해 원단 단말기에 의해 사용된 인코딩 방식에 따른 패킷들을 디코딩하는 디코더(14A)를 포함한다. 디코더 블럭(14)은 또한, 신호를 분석하고 이러한 신호에 지연을 적용하는 손실 및 지터 숨김(Loss-and-Jitter Concealment, LJC) 유닛(14B)을 포함한다. 디코더(14A) 및 LJC 유닛(14B)은 디코더 블럭(14)의 혼합 부분으로서 도시되어 있는데, 왜냐하면 LJC 유닛(14B)은 디코더(14A)와 통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LJC 유닛(14B)에 의해 신호에 적용된 지연은, 접속(22)을 통해 지터 버퍼 블럭으로부터 제공되는 지연에 따라, 증가 혹은 감소한다. LJC 유닛은 지연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전 프레임의 복제물을 삽입하거나 또는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 프레임을 스킵핑(skipping)함으로써 지연을 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LJC 유닛은 각각의 프레임의 플레이 아웃 구간(play out duration)을 조정함으로써 지연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프레임 길이가 20 ms라면, LJC 유닛은 프레임을 30 ms까지 늘려 지연을 10 ms만큼 증가시킬 수 있거나 혹은 프레임을 10 ms까지 압축하여 지연을 10 ms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지터 버퍼 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요구된 지연에 따라 LJC 유닛(14B)이 신호 를 늘리고 압축할 수 있는 정도는 신호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LJC 유닛은 음성 동작 검출기(18)에 의해 검출된 침묵의 기간 동안 신호를 늘리거나 압축할 수 있다.
음성 동작 검출기(18)는 지터 버퍼 블럭(12)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음성 동작 검출기(18)에 제공된 정보는 전형적으로, 디코더 블럭(14)에 제공된 비트 스트림과 동일한 비트 스트림을 포함한다. 음성 동작 검출기는 비트 스트림에서의 정보를 분석하여 원단 신호에서의 음성 비동작의 간격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음성 비동작의 기간은 음성 동작 검출기(18)에 의해 디코더 블럭(14)의 LJC 유닛(14B)에 보고된다. LJC 유닛(14B)은, 지터 버퍼 관리자에 의해 계산된 시간 지연을 음성 비동작의 기간 동안 적용하기 위해 신호를 압축하거나 늘려, 이러한 지연 변경은 신호에서 덜 들릴 수 있다.
때때로, 음성 동작의 기간 동안 지연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LJC 유닛은 음성 동작의 기간을 결정하기 위해 신호를 분석할 수 있고, 이 기간 동안 상당한 양의 청취 왜곡(audible distortion)을 일으킴이 없이 지연이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원단 신호의 특성이, 신호에서의 음성의 타입을 결정하기 위해 LJC 유닛(14B)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는, 'kid'에서 'k' 음과 같은 파열음 동안이 아닌, 'sing'에서 's' 음 혹은 'car'에서 'a' 음과 같은 안정된 음성 동안 늘려질 수 있다.
데이터에 적용된 실제 지연은, 접속(24)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 블럭(14)에 의해 지터 버퍼 블럭(12)에 보고된다.
디코딩된 데이터가 디코더 블럭(14)으로부터 디지털 대 아날로그 컨버터(16) 에 디지털 신호로서 출력된다. 디지털 대 아날로그 컨버터(16)는 디코딩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 신호는 그 다음에 라우드스피커(loudspeaker)와 같은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근단 단말기(112)로부터 전송될 신호(혹은 근단 신호로 언급됨)에서의 오디오 동작의 검출에 기반하여 원단 신호에 도입되는 지연을 제어하는 것이 이롭다는 것을 확인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단 신호에서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출력하는 것 사이에 근단 단말기(112)에서 도입된 지연이 근단 신호의 특성에 응답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근단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은 음성 동작에 관한 것이다.
근단 신호에 관한 정보에 응답하여 지연을 제어함으로써, 지연은 근단 사용자의 음성 동작에 근거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특히, 원단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근단 단말기(112)의 사용자 간의 대화 중 음성의 전송에 적용될 때 유리하다.
예를 들어, 만약 근단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침묵하고 있다면, 근단 단말기(112)에 의해 원단 신호에 도입된 지연은 지터 버퍼 관리자에 의해 계산된 것보다 더 길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것은 단말기(112)에 늦게 도착한 패킷들의 양을 최소화시킨다. 역으로, 만약 단말기(112)의 사용자가 대화 중이라면, 단말기(112)에 의해 원단 신호에 도입되는 지연은 지터 버퍼 관리자에 의해 계산된 것 보다 더 작아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근단 신호에 근거하여 지터 버퍼 지연을 조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은 긴 시간 말하는 선생님과 드물게 말하는 학생의 예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생의 단말기가 수신하는 데이터에 도입된 지연은 증가할 것이다. 이것은 선생님으로부터 전송된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선생님의 단말기가 수신하는 데이터에 도입된 지연은 학생의 단말기가 수신하는 데이터에 도입된 지연보다 더 낮아진다. 이것은 또한 학생이 빠르게 선생님을 인터럽트(interrupt)할 수 있게 한다.
학생이 말할 때, 학생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에서 음성이 검출되고, 학생의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적용된 지연은 감소한다. 이처럼, 선생님이 학생의 질문에 응답할 때, 선생님의 응답은 커다란 지연을 일으킴이 없이 학생의 단말기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근단 단말기에서 도입된 지연은 근단 신호 상에서의 음성 비동작의 구간에 비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근단 단말기의 사용자가 최근 활성화되지 않았다고 검출된다면, 원단 신호 상에서의 지터 버퍼에 의해 도입된 지연은 임계치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역으로, 만약 근단 단말기의 사용자가 최근 활성화되었다고 검출된다면, 원단 신호 상에서의 지터 버퍼에 의해 도입된 지연은 임계치 이하로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방식이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단 단말기(112)의 수신 회로(10')와 송신 회 로(15)를 나타낸다.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수신 회로에서의 컴포넌트들이 도 3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언급된다. 쉽게 알 수 있는 것으로,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수신 회로 및 송신 회로는 원단 단말기(100)와 근단 단말기(112) 양쪽 모두에 존재할 수 있다.
송신 회로(15)는 근단 단말기(112)에서 입력된 근단 신호를 원단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회로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와 같은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45)와, 그리고 근단 신호를 전송 전에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회로(15)는 음성 동작 검출기(28)를 포함한다. 음성 동작 검출기는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45)로부터 수신되는 근단 신호 상에서의 음성 동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음성 동작 검출기(28)는 음성이 근단 신호 상에 존재하는지 여부의 표시를 디코더 블럭(14)에 출력한다.
디코더 블럭(14)은 또한 지터 버퍼 유닛으로부터 접속(20)으로 표시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그리고 지터 버퍼 유닛으로부터 접속(22)으로 표시된 계산된 지연을 수신한다. 계산된 지연은 원단 신호 전파 지연에 근거하여 지터 버퍼 관리자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 블럭(14)의 LJC 유닛(14B)은 근단 신호 상에서 검출된 음성 동작에 따라 원단 신호에 적용되는 지연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음성 동작 검출기(28)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하여, LJC 유닛(14B)은 지터 버퍼 유닛(12)의 지터 버퍼 관리자로부터 출력된 계산된 지연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만약 근단 단말기의 사용자가 최근에 비활성화되었다고 검출되면, 원단 신호에 적용되는 지연은 지터 버퍼 유닛에 의해 계산된 값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역으로, 만약 근단 단말기의 사용자가 최근에 활성화되었다고 검출되면, 원단 신호에 적용되는 지연은 지터 버퍼 유닛에 의해 계산된 값 이하로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정된 지연은 원단 신호 상에서의 음성 비동작의 기간 동안 적용된다. 음성 동작 검출기(18)는 또한 원단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표시를 디코더 유닛(14)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조정된 지연은 원단 신호 상에서의 음성 비동작의 기간 동안 원단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수신 회로(10") 및 송신 회로(15)를 나타낸다.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수신 회로에서의 컴포넌트들이 도 4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언급된다.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컴포넌트들에 추가하여, 도 4에 도시된 수신 회로(10")는 이후 더 상세하게 설명될 상호작용도 분석 블럭(interactivity analysis block)(2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송신 회로(15)에서의 근단 신호 음성 동작 검출기(28)는 근단 신호 상에 음성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표시를 상호작용도 분석 블럭(26)으로 출력한다.
원단 신호 음성 동작 검출기(18)는 원단 신호 상의 음성을 검출하고 원단 신호 상에 음성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표시를 상호작용도 분석 블럭(26)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작용도 분석 블럭(26)은, 최근 통신 기간 동안 대화의 상호작용도를 결정하기 위해 원단 신호와 근단 신호 상에서의 음성 동작의 기간의 총 수 혹은 '스피치 턴(speech turns)'의 총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스피치 턴의 총수가 임계치보다 더 크다면, 이것은 대화의 상호작용도가 높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호작용도 분석 블럭(26)은 원단 신호에 적용되는 지연이 감소되어야 한다는 표시를 디코더 블럭(14)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만약 스피치 턴의 수가 임계치보다 더 적다면, 이것은 대화가 특별히 상호작용적이지 않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호작용도 분석 블럭(26)은 원단 신호에 적용되는 지연이 증가되어야 한다는 표시를 디코더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호작용도 분석 블럭은 대화의 상호작용도를 결정하기 위해 근단 및 원단 신호 특성의 최근 이력을 고려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호작용도 분석 블럭(26)은 일 기간 동안의 스피치 턴의 총 수를 이전 기간 동안의 스피치 턴의 총 수와 비교하여 대화의 상호작용도가 시간이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제1의 기간 동안의 스피치 턴의 수가 이전 기간 동안의 스피치 턴의 수와 비교하여 증가되었다면, 지연은 감소될 수 있다.
상호작용도 분석 블럭(26)으로부터 지연 증가의 표시를 수신하는 경우, 디코더 블럭(14)은 신호에 적용될 지연을 지터 버퍼 관리자에 의해 계산된 지연보다 더 큰 지연까지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지연은 사전에 결정된 양만큼 증가될 수 있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지연은 기간들 간의 음성 동작에 비례하는 변화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이것은 상호작용도 분석 블럭(26)에 의해 디코더 블럭(14)에 표시될 수 있다.
역으로, 상호작용도 분석 블럭(26)으로부터 지연 감소의 표시를 수신한 경우, 디코더 블럭(14)은 신호에 적용될 지연을 지터 버퍼 관리자에 의해 계산된 지연보다 더 적은 지연까지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지연은 사전에 결정된 양만큼 감소될 수 있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지연은 기간들 간의 음성 동작에 비례하는 변화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상호작용도 분석 블럭(26)에 의해 디코더 유닛에 표시될 수 있다.
음성 동작 검출기(18)는 또한 원단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표시를 디코더 유닛(14)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조정된 지연이 원단 신호 상에서의 음성 비동작의 기간 동안 원단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LJC 유닛(14B)은 수신된 원단 신호 상에서의 음성 동작 검출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된다.
LJC 유닛(14B)은 접속(3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동작의 표시를 상호작용도 분석 블럭(26)에 보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개별적인 원단 신호 음성 동작 검출기(18)가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근단 단말기(112)는, 어떠한 정보도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입력될 수 없도록, 단말기의 사용자가 마이크로폰을 묵음화(mute)시킬 수 있게 하는 묵음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만약 근단 단말기(112)의 사용자가 전화 회의(conference call)에서의 참석자라면, 이러한 전화 회의의 사회자는 근단 단말기를 묵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원단 단말기에 적용되는 지연은 근단 단말기에서의 묵음화 상태의 검출에 근거하여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묵음화 상태는 근단 신호 음성 동작 검출기(28)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근단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음성 동작 검출기는 신호 상에 어떠한 정보도 존재하지 않은 지를 검출할 수 있어, 마이크로폰의 묵음화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 또는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호작용도 블럭(26) 혹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디코더 블럭(14)으로의 음성 동작 검출기(28)의 출력은 근단 신호 상에 어떠한 음성도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지연은 앞서 설명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연은 지터 버퍼 관리자에 의해 계산된 지연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묵음화 상태는 디코더 블럭(14)에 직접 보고될 수 있다. 묵음화 특징이 활성화되자마자, 단말기에서의 중앙 프로세서는 묵음화 상태를 디코더에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묵음화 특징이 비활성화될 때까지 근단 신호에는 어떠한 음성 동작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LJC 유닛은 원단 신호에 적용되는 지연을 바로 증가시킬 수 있다. 묵음화 상태가 비활성화될 때, 혹은 묵음화 상태가 비활성화되었다는 표시가 존재할 때, LJC 유닛은 지터 버퍼에 의해 계산된 지연을 원단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근단 신호 및 원단 신호 상의 음성 동작의 상대적인 구간은 근단 단말기에서 원단 신호에 도입되는 지연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근단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기간이 원단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기간보다 더 크다면, 지터 버퍼에 의해 원단 신호 상에 도입되는 지연은 임계치 이하로 낮아질 수 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즉 만약 근단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기간이 원단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기간보다 더 적다면, 지터 버퍼에 의해 원단 신호 상에 도입되는 지연은 임계치 이상으로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근단 신호 및 원단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 정보는 지터 버퍼 블럭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터 버퍼 관리자는, 앞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네트워크에서의 신호의 전파 지연과 그리고 근단 및 원단 신호 상의 음성 동작 정보로부터 원단 신호에 적용될 지연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말기로부터 수신 및 전송되는 정보는 음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음성 통신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들(100과 112) 간에 음악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확인한 바로는, 수신 신호의 지각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신호 프로세싱 단계는 근단 신호 상의 음성 동작의 기간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근단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러한 음성 동작의 기간 동안 신호 왜곡을 덜 지각하기 때문이다.
특히, 본 발명자는, 근단 신호에 관한 정보에 응답하여 지연을 제어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으로서, 단말기(112)의 사용자가 말하고 있는 동안, 즉 단말기에서 수신된 신호 상의 음성이 존재하는 동안, 지연이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단말기(112)의 사용자가 말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단말기(11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의 왜곡을 덜 깨달을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12)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속도 변화는 단말기(112)의 사용자에게 그다지 차이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 블럭(14)에 의해 근단 신호 음성 동작 검출기(28)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은 원단 신호에서 지연이 언제 조정될지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LJC 유닛(14B)은 음성 동작이 근단 신호 상에서 검출될 때 신호에서의 지연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LJC 유닛은 추가적으로, 원단 신호 상의 음성 비동작 기간 동안 그리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안정된 소리가 있는 동안 원단 신호에서의 지연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원단 신호에 적용되는 지연 조정은 근단 신호 상에서 검출된 파워에 비례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파워가 낮을 때, 예를 들어 임계치 이하일 때, 단말기의 사용자는 침묵하고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고, 그리고 수신기에 적용되는 지연 조정은 감소될 수 있다. 역으로, 만약 파워가 증가하면, 원단 신호에 적용되는 지연 조정은 그 비례하는 양만큼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원단 신호 상의 다른 프로세싱 동작이 근단 신호 상의 음성 동작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 시예에서,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디코딩된 신호에 적용되는 포스트 프로세싱 방법(post processing method)이 근단 신호 상에서 검출되는 음성 동작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6은 PSTN 네트워크(104)에 연결된 단말기의 수신 회로(10'"), 송신 회로(15'),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200)를 나타낸다. 수신 회로(10'")는 포스트 프로세싱 기술을 사용하여 신호의 지각 품질을 증가시키기 위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다. 포스트 프로세싱 기술은 대역폭 확장(bandwidth extension), 수신기 기반의 노이즈 감소(receiver-based noise reduction), 혹은 포스트 필터링(post filtering)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지만, 이러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CPU는,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에 전송된 신호 상에서의 음성 동작의 표시에 응답하여 수신 회로에서 구현되는 포스트 프로세싱 기술을 일시정지(suspend)하도록 구성된다. 음성 동작의 표시는 송신 회로(15')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스트 프로세싱 방법에 의해 요구되는 추가적인 프로세싱 파워는, 단말기의 사용자가 말하고 있어 수신 신호의 품질을 덜 지각하는 동안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해해야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 및 세부적 사항에서 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1)

  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 1 신호를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데이터 요소(data element)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audio activity)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것과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출력하는 것 사이에 지연을 적용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분석된 제 1 신호의 특성 및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의 검출에 근거하여 상기 지연을 조정(adjust)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동작은 음성 동작과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제 1 신호의 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음성 비동작의 구간을 결정하는 것과, 그리고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음성 비동작의 구간에 근거하여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음성 비동작의 구간이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상기 지연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은 상기 제 2 신호에서 음성 동작이 검출될 때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는, 통신 기간 동안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 기간의 제1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과, 그리고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 기간의 제1의 개수에 근거하여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8. 제3항을 인용하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간 동안 상기 제 1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 기간의 제2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음성 동작 기간의 제1의 개수 및 상기 음성 동작 기간의 제2의 개수에 근거하여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음성 동작 기간의 제1의 개수가 사전에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상기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음성 동작 기간의 제2의 개수와 결합된 상기 음성 동작 기간의 제1의 개수가 사전에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상기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음성 동작 기간의 제1의 개수가 사전에 결정된 임계치 아래에 떨어진다면 상기 지연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음성 동작 기간의 제2의 개수와 결합된 상기 음성 동작 기간의 제1의 개수가 사전에 결정된 임계치 아래로 떨어진다면 상기 지연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1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구간을 결정하는 것과, 그리고 상기 지연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구간에 근거하여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14. 제3항을 인용하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구간을 결정하는 것과, 그리고 상기 제 1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구간과 상기 제 2 신호에 서의 음성 동작의 구간의 비교에 근거하여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 1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구간이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구간을 사전에 결정된 양만큼 초과한다면 상기 지연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구간이 상기 제 1 신호에서의 음성 동작의 구간을 사전에 결정된 양만큼 초과한다면 상기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신호 상의 음성 동작의 기간이 상기 제 1 신호 상의 음성 동작의 기간에 의해 인터럽트(interrupt)되는 빈도를 결정하는 것과, 그리고 상기 결정된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은, 상기 제 2 신호에서 음성 동작이 존재할 때, 상기 제 1 신호에 음성 동작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을 조정함으로써 수행되는 지연 조정은,
    요구된 지연 조정을 상기 분석된 제 1 신호의 특성으로부터 결정하고;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으로부터 지연 조정 허용한계(delay adjustment tolerence)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요구된 지연 조정 및 상기 지연 조정 허용한계로부터 상기 지연 조정을 결정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된 지연 조정은 지터 버퍼 유닛(jitter buffer unit)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조정 허용한계는 상기 단말기의 손실 및 지터 숨김 유닛(loss and jitter concealment unit)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조정은 상기 손실 및 지터 숨김 유닛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신호의 파워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24.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신호의 파워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지연 조정은 상기 제 2 신호의 파워에서의 변화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25.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 1 신호를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입력에 대해 음성 비동작 상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제 1 신호의 특성에 근거하여, 요구된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것 과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출력하는 것 사이에 지연을 적용하는 단계와; 그리고
    만약 상기 음성 비동작 상태가 존재한다고 결정된다면 상기 지연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비동작 상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제 2 신호를 상기 입력에서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음성 비동작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과, 그리고 만약 상기 검출된 음성 비동작이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음성 비동작 상태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비동작 상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입력에 대해 묵음화 상태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묵음화 상태가 비활성화되었다고 검출된다면 상기 지연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묵음화 상태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30.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통신 이벤트에 관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묵음화 상태는 상기 통신 이벤트를 제어하는 당사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3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 1 신호를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적어도 상기 제 1 신호의 일부에 프로세싱 단계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프로세싱 단계는 상기 제 2 신호에서 오디오 동작이 검출될 때 일시정지되며; 그리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단계는, 상기 제 1 신호의 대역폭 확장, 상기 제 1 신호에서의 노이즈 감소, 또는 상기 제 1 신호의 포스트 필터링(post filtering) 중 하나에 관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34.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로서,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기와;
    상기 제 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제 1 분석 유닛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제 2 수신기와;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제 2 분석 유닛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것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하는 것 사이에 지연을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분석된 제 1 신호의 특성 및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의 검출에 근거하여 상기 지연을 조정하는 지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5.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로서,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기와;
    상기 제 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분석 유닛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기와;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 2 수신기에 대해 음성 비동작 상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그리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것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하는 것 사이에 지연을 적용하고, 그리고 만약 상기 음성 비동작 상태가 존재한다고 결정된다면 상기 지연을 증가시키는 지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6.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제 1 신호를 처리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제 2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제 2 수신기와;
    상기 제 2 신호에서의 오디오 동작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2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는 분석 유닛과;
    적어도 상기 제 1 신호의 일부에 프로세싱 단계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프로세서와, 여기서 상기 프로세싱 단계는 상기 제 2 신호에서 오디오 동작이 검출될 때 일시정지되며; 그리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KR1020097021930A 2007-03-20 2007-12-20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121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705329.1A GB0705329D0 (en) 2007-03-20 2007-03-20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GB0705329.1 2007-03-20
PCT/IB2007/004505 WO2008114087A2 (en) 2007-03-20 2007-12-20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729A KR20100003729A (ko) 2010-01-11
KR101121212B1 true KR101121212B1 (ko) 2012-03-22

Family

ID=3800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930A KR101121212B1 (ko) 2007-03-20 2007-12-20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385325B2 (ko)
EP (1) EP2130203B3 (ko)
KR (1) KR101121212B1 (ko)
AT (1) ATE531029T1 (ko)
AU (1) AU2007349607C1 (ko)
GB (1) GB0705329D0 (ko)
WO (1) WO200811408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705325D0 (en) * 2007-03-20 2007-04-25 Skype Lt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GB0705329D0 (en) 2007-03-20 2007-04-25 Skype Lt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90043577A1 (en) * 2007-08-10 2009-02-12 Ditech Networks, Inc. Signal presence detection us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ata
US8281369B2 (en) * 2008-03-12 2012-10-02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secure write-enabled web pages that are associated with active telephone calls
US9525710B2 (en) * 2009-01-29 2016-12-20 Avaya Gmbh & Co., Kg Seamless switch over from centralized to decentralized media streaming
US8879464B2 (en) 2009-01-29 2014-11-04 Avay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placement packet
US8238335B2 (en) 2009-02-13 2012-08-07 Avaya Inc. Multi-route transmission of packets within a network
US7936746B2 (en) * 2009-03-18 2011-05-03 Avaya Inc. Multimedia communication session coordination across heterogeneous transport networks
US20100265834A1 (en) * 2009-04-17 2010-10-21 Avaya Inc. Variable latency jitter buffer based upon conversational dynamics
US8094556B2 (en) * 2009-04-27 2012-01-10 Avaya Inc. Dynamic buffering and synchronization of related media streams in packet networks
US8553849B2 (en) 2009-06-17 2013-10-08 Avaya Inc. Personal identification and interactive device for internet-based text and video communication services
US8620653B2 (en) * 2009-06-18 2013-12-31 Microsoft Corporation Mute control in audio endpoints
US8800049B2 (en) * 2009-08-26 2014-08-05 Avaya Inc. Licensing and certificate distribution via secondary or divided signaling communication pathway
GB2495927B (en) 2011-10-25 2015-07-15 Skype Jitter buffer
US9087516B2 (en) * 2012-11-19 2015-07-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leaving voice commands for electronic meeting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9566A (en) 1993-08-27 1997-04-08 Motorola, Inc. Voice activity detector for an echo suppressor and an echo sup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3853A (en) 1995-01-19 1996-08-06 At&T Corp. Encoder/decoder buffer control for variable bit-rate channel
US6366959B1 (en) 1997-10-01 2002-04-02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time communication system buffer size and error correction coding selection
US6826177B1 (en) * 1999-06-15 2004-11-30 At&T Corp. Packet telephony appliance
US6980569B1 (en) 1999-10-18 2005-12-27 Siemens Communic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packet length in ToL networks
AU1359601A (en) * 1999-11-03 2001-05-14 Tellabs Operations, Inc. Integrated voice processing system for packet networks
FI107680B (fi) 1999-12-22 2001-09-14 Nokia Oyj Menetelmä videokuvien lähettämiseksi, tiedonsiirtojärjestelmä, lähettävä videopäätelaite ja vastaanottava videopäätelaite
FI108692B (fi) * 1999-12-30 2002-02-28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e datapakettien prosessoinnin ajoittamiseksi
US7058568B1 (en) * 2000-01-18 2006-06-06 Cisco Technology, Inc. Voice quality improvement for voip connections on low loss network
US6754342B1 (en) * 2000-07-31 2004-06-22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ealing mute in an IP-based telephony system
DE10041512B4 (de) * 2000-08-24 2005-05-0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ünstlichen Erweiterung der Bandbreite von Sprachsignalen
US6829244B1 (en) * 2000-12-11 2004-12-07 Cisco Technology, Inc. Mechanism for modem pass-through with non-synchronized gateway clocks
US7167451B1 (en) 2000-12-21 2007-01-23 Cisco Technology, Inc. User controlled audio quality for voice-over-IP telephony systems
FI118830B (fi) 2001-02-08 2008-03-31 Nokia Corp Tietovirran toisto
US20040204935A1 (en) * 2001-02-21 2004-10-14 Krishnasamy Anandakumar Adaptive voice playout in VOP
US6904059B1 (en) 2001-03-06 2005-06-07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queuing
US6820054B2 (en) * 2001-05-07 2004-11-16 Intel Corporation Audio signal processing for speech communication
US7697447B2 (en) 2001-08-10 2010-04-13 Motorola Inc. Control of jitter buffer size and depth
US20040233931A1 (en) 2001-09-12 2004-11-25 Ron Cohen Method for calculation of jitter buffer and packetization delay
US7251241B1 (en) 2002-08-21 2007-07-31 Cisco Technology, Inc. Devices, softwares and methods for predicting reconstruction of encoded frames and for adjusting playout delay of jitter buffer
US7269141B2 (en) * 2002-09-24 2007-09-11 Accton Technology Corporation Duplex aware adaptive playout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US7289451B2 (en) * 2002-10-25 2007-10-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lay trading between communication links
CN1751518B (zh) 2003-02-18 2010-12-01 诺基亚有限公司 图像编码方法
CA2489268C (en) 2003-05-10 2008-10-14 Hwan-Joon Kw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verse traffic rat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2004301258B2 (en) 2003-07-16 2007-04-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er-to-peer telephone system and method
GB2405773B (en) 2003-09-02 2006-11-08 Siemens Ag A method of controlling provision of audio communication on a network
US20050201471A1 (en) 2004-02-13 2005-09-15 Nokia Corporation Picture decoding method
EP1754327A2 (en) 2004-03-16 2007-02-21 Snowshore Networks, Inc. Jitter buffer management
US7676722B2 (en) 2004-03-31 2010-03-09 Sony Corporation Multimedia content delivery using pre-stored multiple description coded video with restart
DE102004039186B4 (de) 2004-08-12 2010-07-01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mpensation von Laufzeitschwankungen von Datenpaketen
EP2189978A1 (en) * 2004-08-30 2010-05-26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De-Jitter Buffer for voice over IP
US20060080436A1 (en) 2004-10-07 2006-04-13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streaming using interleaved packetization
US8218439B2 (en) 2004-11-24 2012-07-1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buffering
US20060218636A1 (en) * 2005-03-24 2006-09-28 David Chaum Distributed communication security systems
US7743183B2 (en) 2005-05-23 2010-06-22 Microsoft Corporation Flow control for media streaming
US20070133405A1 (en) 2005-12-08 2007-06-14 Microsoft Corporation Congestion controller for network transmissions
US7787377B2 (en) 2006-02-03 2010-08-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ive redundancy for Voice over Internet transmissions
US20090016333A1 (en) * 2006-06-14 2009-01-15 Derek Wang Content-based adaptive jitter handling
US7680099B2 (en) 2006-08-22 2010-03-16 Nokia Corporation Jitter buffer adjustment
US20080101398A1 (en) 2006-10-31 2008-05-01 Nokia Corporation Transmission scheme dependent control of a frame buffer
US8279884B1 (en) 2006-11-21 2012-10-02 Pico Mobile Networks, Inc. Integrated adaptive jitter buffer
GB0705329D0 (en) 2007-03-20 2007-04-25 Skype Lt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936542B2 (ja) 2007-08-14 2012-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001260B2 (en) 2008-07-28 2011-08-16 Vantrix Corporation Flow-rate adaptation for a connection of time-varying capacity
JP5482178B2 (ja) 2009-12-16 2014-04-23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受信装置および方法
US9686570B2 (en) 2010-02-12 2017-06-20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synchronized content playback
US8633963B2 (en) 2010-04-27 2014-01-21 Lifesize Communications, Inc. Determining buffer size based on retransmission latency
US8693355B2 (en) 2010-06-21 2014-04-08 Motorola Solutions, Inc. Jitter buffer management for power saving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253105B2 (en) 2010-12-30 2016-02-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determination of a state of a receiver buffer
GB2492830B (en) 2011-07-14 2018-06-27 Skype Correction data
GB2495929B (en) 2011-10-25 2014-09-03 Skype Jitter buffer
GB2495928B (en) 2011-10-25 2016-06-15 Skype Jitter buffer
GB2495927B (en) 2011-10-25 2015-07-15 Skype Jitter buff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9566A (en) 1993-08-27 1997-04-08 Motorola, Inc. Voice activity detector for an echo suppressor and an echo sup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14087A2 (en) 2008-09-25
KR20100003729A (ko) 2010-01-11
ATE531029T1 (de) 2011-11-15
EP2130203B3 (en) 2015-04-22
EP2130203A2 (en) 2009-12-09
AU2007349607B2 (en) 2011-10-20
WO2008114087A3 (en) 2009-01-08
US20130163588A1 (en) 2013-06-27
EP2130203B1 (en) 2011-10-26
AU2007349607A1 (en) 2008-09-25
AU2007349607C1 (en) 2012-11-29
GB0705329D0 (en) 2007-04-25
WO2008114087A4 (en) 2009-03-05
US20080232353A1 (en) 2008-09-25
US8385325B2 (en) 2013-02-26
US9437216B2 (en)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21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Janssen et al. Assessing voice quality in packet-based telephony
EP2140637B1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JP5268952B2 (ja) データパケットのシーケンスを伝送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データパケットのシーケンスをデコードするためのデコーダおよび装置
US20080049795A1 (en) Jitter buffer adjustment
US6697342B1 (en) Conference circuit for encoded digital audio
EP3513406B1 (en) Audio signal processing
US20050114118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latency in an automated speech recognition system
KR101002405B1 (ko) 오디오 신호의 타임-스케일링 제어
US8358600B2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29037A1 (en) Mu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70133589A1 (en) Mu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40108119A (ko) 음성 복호 장치
EP2200025A1 (en) Bandwidth scalable codec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2200349A1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056447B2 (ja) デジタル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