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731B1 -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 - Google Patents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731B1
KR101120731B1 KR1020050011359A KR20050011359A KR101120731B1 KR 101120731 B1 KR101120731 B1 KR 101120731B1 KR 1020050011359 A KR1020050011359 A KR 1020050011359A KR 20050011359 A KR20050011359 A KR 20050011359A KR 101120731 B1 KR101120731 B1 KR 101120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ble
service
network
driver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835A (ko
Inventor
아브히세크 아브히세크
안톤 더블유. 크란츠
프랜시스 두옹
지안동 루안
샤이 구데이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41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 H04L63/162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at the data link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가 제공된다.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는 등록 컴포넌트 및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를 가진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를 포함한다. 등록 컴포넌트는 무선 네트워크에 비표준(즉, 확장 가능)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한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들 및 확장가능 드라이버들을 등록한다.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은,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의 네이티브 컴포넌트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확장가능 드라이버는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매체 접근 제어 부계층을 구현하여 매체 접근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는 이용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이용가능시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결합할 것을 선택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확장가능 드라이버에게 자신의 매체 접근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에 통지한다.
확장 가능, 무선 프레임워크, 서비스 모듈, 비표준 기능들, 네이티브 컴포넌트

Description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EXTENSIBLE WIRELESS FRAMEWORK}
도 1은 일 실시예의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에 대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서의 벤더 프로파일 플러그-인 등록 및 그것의 프로파일 정보 설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프로파일을 구성할 때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서 기반 구조에 접속할 때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서 포트가 네트워크에 대해 인증할 때 송신되는 메시지들의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서 국이 기반 구조 네트워크 내에서 로밍할 때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
120 : EAP 프레임워크 컴포넌트
130 : 관리 컴포넌트들
140 : 벤더 프로파일 플러그-인 컴포넌트
150 : 프로파일 저장 장치
160 : NDIS 컴포넌트
210 : 사용자 모드 컴포넌트들
220 : 커널-모드 컴포넌트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여 그 내용이 포함되는, "Extensible Wireless Framework"라는 명칭으로 2004년 2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544,900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7-계층의 OSI 네트워크 모델은 데이터 링크 계층 및 물리적(PHY) 계층을 2개의 최하위 계층들로서 규정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패킷들을 비트들로 인코딩 및 디코딩하고 물리적 계층, 흐름 제어, 및 프레임 동기화에서의 오류들을 핸들링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논리적 링크 제어(LLC) 부계층 및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부계층으로 분할된다. LLC 부계층은 프레임 동기화, 흐름 제어, 및 오류 검사를 제어한다. 매체 접근 제어 부계층은, 네트워크상의 컴퓨터가 데이터로의 접근 및 전송 허가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어한다. 매체 접근 제어 부계층은, 전송 매체에 접근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판정하기 위한 한 세트의 규칙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물리적 계층은 데이터의 물리적 전송 및 수신을 담당한다.
IEEE 802.11 스펙은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부계층 및 물리적 계층을 정의한다. 802.11 네트워크는 분배 시스템, 접근점들(access points), 무선 매체, 및 국들(stations)로 이루어져 있다. 랩탑 컴퓨터와 같은, 개개의 국은 (기반 구조 네트워크를 가정할 때) 접근점을 거쳐 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는 것에 의해 네트워크로의 접근을 획득한다. 분배 시스템은 접근점들을 하나가 되게 접속하여, 정보가 하나의 접근점과 통신 중인 국으로부터 다른 접근점과 통신 중인 국으로 흘러갈 수 있게 한다.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국은, 프로브(probe) 요청들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들을 능동적으로 스캔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국은 접근점 비컨(beacon)을 대기 중인 상이한 채널들에 수동적으로 튜닝할 수 있다. 그 다음, 국은 네트워크들의 리포트를 컴파일하고 네트워크들 중 하나와 연결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국이 네트워크와 연결하기로 결정하면, 국은 네트워크에 대해 스스로를 인증한 다음 네트워크의 접근점과 결합한다. (많은 802.11 네트워크들은, 네트워크로의 접근을 가진 임의의 국에게도, "개방 인증"이라고 하는, 결합 이전의 인증을 허용하지만, 예를 들어,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결합 이후에 추가적인 인증을 요 구한다.) 각각의 국은, 그것이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을 획득한 접근점과 "결합"된다. 결합 프로세스에서는, 국의 고유한 매체 접근 제어 어드레드가 접근점과 함께 기록되므로, 분배 네트워크는, 국으로 송신하기로 예정된 데이터를 임의의 접근점을 통해 라우팅할 것인지를 알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국들이 모바일일 수 있으므로, 국이 현재 결합되어 있는 접근점의 범위를 벗어나 이동할 경우(또는 다른 이유로 다른 접근점과 결합되기를 원할 경우), 국은 새로운 접근점과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국과 결합된 접근점의 범위를 벗어나 이동하는 국은 새로운 접근점과 결합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며 그에 대한 응답으로 결합된 새로운 접근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분배 시스템은, 국들이 새로운 접근점들과 재결합됨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끊김없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현재 하나 이상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802.11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들에 접속하기 위한 네이티브 무선 프레임워크(native wireless framework)를 제공한다. 네이티브 무선 프레임워크는 이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을 식별하고 연결하기에 적절한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기능들을 제공한다. 네트워크의 접근점과 결합되면, 네이티브 무선 프레임워크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가진 컴퓨팅 장치가 이곳에서 저곳으로 이동(즉, 로밍)할 경우, 네이티브 무선 프레임워크는 때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의 적절한 접근점과 연결합다. 여기에서 참조하고 있는, "Native WiFi Architecture for 802.11 Networks"라는 명칭으로 2002년 11월 27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10/306,169호에, 네이티브 무선 프레임워크가 설명되어 있다.
네이티브 무선 프레임워크 개발자는, 그때의 무선 네트워크 산업이 요구할 수 있는 많은 기능들을 포함하고자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 산업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새로운 표준들 또는 기술들에 의해 유도된 새로운 기능들이 IHV들(independent hardware vendors) 및 ISV들(independent software vendors)에 의해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개발들은,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새로운 버전들이 배포되는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벤더들이,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의해 현재 지원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 기능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벤더들은 통상적으로, 네이티브 무선 프레임워크 또는 임의의 다른 무선 프레임워크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모놀리식 구현(monolithic implementation)을 개발한다. 각각의 벤더가 자신만의 고유한 구현을 제공하기 때문에, 구현들은 종종 서로 불일치한다. 이러한 불일치로 인해, 사용자들은 이러한 새로운 기능들을 이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이러한 모놀리식 구현들은 네이티브 무선 프레임워크와 제대로 통합되지 않거나 전혀 통합이 안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진단과 같은, 네이티브 무선 프레임워크의 발전된 기능들은 모놀리식 구현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발전된 기능들은 사용자들에게 의도된 대로 동작하지 않거나 일관되거나 진단할 수 있는 방식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놀리식 구현들은 네이티브 무선 프레임워크의 기능들을 이용하지 않으며 이러한 기능들을 이중화할 수 있다.
벤더들이, 네이티브 무선 프레임워크의 전반적인 기능들을 방해하지 않으면 서, 그들만의 고유한 속도에서 새로운 기능들을 개발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워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가 제공된다.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는 등록 컴포넌트 및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를 제공할 수있다. 등록 컴포넌트는, 무선 네트워크에 비-표준(즉, 확장 가능)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한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들 및 확장가능 드라이버들을 등록하거나 다른 임의의 방식으로 식별한다.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은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의 네이티브 컴포넌트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확장가능 드라이버는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매체 접근 제어 부계층을 구현하며 매체 접근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는 이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을 식별하고, 이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할 것을 선택하며, 선택된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자신의 매체 접근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확장가능 드라이버를 요청하고, 확장가능 드라이버에 서비스들을 제공할 것을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에 통지한다.
실시예
제삼자 컴포넌트들이 네이티브 무선 컴포넌트들에 설치될 수 있게 하며 네이티브 무선 컴포넌트들과 통합될 수 있게 하는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가 제공된다.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는, 각각 LAN(Wi-Fi), PAN(USB), 및 MAN(Wi-Max) 통신들을 위한 무선 기술들을 정의하는 IEEE 802.11, IEEE 802.15.3a, 및 IEEE 802.16a와 같은 표준들을 지원할 수 있다.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는 벤더들에게 네이티브 무선 컴포넌트들의 핵심 기능들을 강화하며 새로운 기능들의 초기 구현들을 그들만의 고유한 속도에서 설치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가 제삼자 컴포넌트들과 통합되기 때문에,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는 제삼자 컴포넌트들의 프로세싱 및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로 인해, 벤더들이 자신들 고유의 커널-모드, 확장가능 드라이버들을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모드 플러그-인들을 설치할 수 있다. 플러그-인들은, 무선 네트워크의 비표준 프로파일들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예를 들어, 구성 및 인증 정보)를 구성하고 클라이언트 인증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펑크션들을 수행할 수 있다.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의 컴포넌트들은 벤더 플러그-인들의 구성 및 인증 정보의 저장,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의 선택, 및 접속 확립을 제어하고, 확장가능 드라이버들을 통해 진행 중인 통신들을 모니터링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로 인해, 확장가능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플러그-인들 및 드라이버들)은 무선 네트워크들의 비표준 프로토콜들을 핸들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는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110),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프레임워크 컴포넌트(120), 관리 컴포넌트들(130), 벤더 프로파일 플러그-인 컴포넌트(140), 프로파일 저장 장치(150), NDIS(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컴포넌트(160)를 포함한다. 컴포넌트들(110, 120, 130, 및 140)은 사용자 모드로 동작하고, 컴포넌트(160)는 커널 모드로 동작한다.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는 등록 컴포넌트 및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를 제공할 수 있다. 등록 컴포넌트로 인해, 확장가능 드라이버 및 확장가능 사용자 인터페이스들과 같은 벤더(즉, 제삼자) 프로파일 플러그-인들은 등록 컴포넌트에 등록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제삼자 컴포넌트는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클라이언트-측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제삼자 컴포넌트의 서비스들을 식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는 무선 네트워크의 룰-기반 선택(rule-base selection)을 제공하고, 확장가능 드라이버와 인터페이스하는 것에 의해,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로의 접속 확립을 제어하며,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가 비표준일 경우에는, 벤더, 비표준 EAP 플러그-인과 인터페이스하여 인증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참조하고 있는, "Network and Interface Selection on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Establishing Connections via Multiple Network Communications Media"라는 명칭으로 2003년 10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10/693,655호에, 룰-기반 로밍 기술이 설명되어 있다.
EAP 프레임워크 컴포넌트는 다양한 표준 EAP 컴포넌트들(121) 및 벤더, 비표준 EAP 플러그-인(122)을 포함한다. 표준 EAP 컴포넌트들은 원시적으로 구현되거나 EAP-SIM(EAP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같은 표준 EAP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제삼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표준 EAP 컴포넌트들은 (원시적으로 구현된 것이든 제삼자에 의해 구현된 것이든 관계없이) 표준 EAP 기능들만을 제공하며, 네 트워크 로밍 서비스는 이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인증 프로세스를 조정한다. 벤더, 비표준 EAP 플러그-인은, 플러그-인이 등록된 후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는 EAP 프레임워크에 비표준 EAP 기능들을 제공한다.
관리 컴포넌트들은, "Native WiFi Architecture for 802.11 Network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출원 제 10/306,169호에 설명되어 있는, 예비 컴포넌트(131), NLA API 컴포넌트(132), 그룹 폴리시 컴포넌트(133),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134)를 포함한다.
벤더 프로파일 플러그-인은 플러그-인 등록 및, CCX(Cisco-compatible extensions), WAPI(Wired Authetication and Privacy Infrastructure) 등과 같은 비표준 네트워크 프로파일들에 대한 플러그-인의 프로파일 정보 설정을 제어한다. 벤더 프로파일 플러그-인은 사용자로부터 구성 및 인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플러그-인은 플러그-인의 구성 및 인증 정보를 비표준 무선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확립할 경우에 사용될 프로파일 정보로서 프로파일 저장 장치에 저장하기 위해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에 제공한다.
NDIS 컴포넌트는 네이티브 802.11 프레임워크(161), 상위 MAC 컴포넌트(162), 하위 MAC/PHY 인터페이스(163), 상위 MAC 인터페이스(164), W802.11 미니포트 드라이버(165)를 포함한다.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국상의 접근점으로서 동작할 수 있는) 네이티브 802.11 AP/STA 드라이버 및 원시적인 기능만을 그리고/또는 확장가능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는 확장가능 802.11 STA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네이티브 드라이버 또는 확장가능 드라이버 중 하나를 선택해 무 선 네트워크로의 접근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이티브 802.11 프레임워크는, 802.11 미니포트 드라이버의 802.11 연산들을 구동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중간 드라이버(intermediate driver)이다. 이것은 사용자-모드 컴포넌트들과 커널-모드 컴포넌트들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것은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와 상호작용하여 네트워크 포트-기반 접근 제어를 제공한다.
상위 MAC 인터페이스는 확장가능 802.11 STA 드라이버의 상위 MAC 연산들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것은 진단 데이터에 대한 상위 MAC 상태 관리 및 상위 MAC 절차들의 진행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하위 MAC/PHY 인터페이스는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 내에서 상위 MAC을 원시적으로 호스팅하는데 필요한 802.11 하위 MAC 및 PHY 연산들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이티브 802.11 AP/STA 드라이버는 하위 MAC/PHY 인터페이스 스펙들을 따른다. 이것은 AP 및 STA 인터페이스들 모두를 따를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이것은 AP 또는 STA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서브세트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네이티브 802.11 AP/STA 드라이버는,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의 네이티브 컴포넌트들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만을 필요로 하는 IHV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확장가능 802.11 STA 드라이버는,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의 네이티브 컴포넌트들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 기능들을 제공하고자 하는 벤더들에 의해 제공된다. 이 드라이버는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의 상위 MAC 인터페이스 스펙을 따른 다. 802.11 상위 및 하위 MAC 및 PHY 구현들은 확장가능 802.11 STA 드라이버에 의해 제공된다.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의 네이티브 컴포넌트들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 기능들을 필요로 하는 벤더는 확장가능 802.11 STA 드라이버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의 맥락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플러그-인 및 비표준 EAP 플러그-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는, 커널 모드의 새로운 기능들만을 제공하고자 하는 벤더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새로운 기능들은 802.11n과 같은 새로운 표준의 초기 구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더는 확장가능 적절한 802.11 STA 드라이버를 구현하고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벤더는, 비표준 EAP 플러그-인과 같은 프로파일 플러그-인 및 서비스 플러그-인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구현 기능들(예를 들어, 향상된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에 대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사용자 모드 컴포넌트들(210) 및 커널-모드 컴포넌트들(220)을 포함한다. 사용자-모드 컴포넌트들은, 각각이 별개의 프로세스들로서 실행될 수 있는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211), 네트워크 구성 사용자 인터페이스(212), 및 IHV 서비스(213)를 포함한다. 커널-모드 컴포넌트들은 802.11 프레임워크(221) 및 미니포트 드라이버(222)를 포함한다. IHV UI DLL(215)은 네트워크 구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세스 내에 동적인 링크 라이브러리로서 로딩된다. IHV 서비스는, 벤더에 의해 제공되는 IHV 모듈 및 네이티브 환경에 의 해 제공되는 클라이언트-측 라이브러리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측 라이브러리는, 벤더-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IHV 모듈이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를 우회하는 802.11 프레임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는 표준 EAP 펑크션들을 제공하며 IHV UI DLL, IHV 서비스, 및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간의 상호작용을 조정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서의 벤더 프로파일 플러그-인의 등록 및 그것의 프로파일 정보 설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벤더 프로파일 플러그-인이 처음으로 설치될 때, 그것은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에 등록한다(301). 벤더 프로파일 플러그-인은 비표준 EAP 플러그-인을 등록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는, 플러그-인이 이러한 플러그-인의 요구 사항들을 따른다는 것을 보장하며 플러그-인의 등록을 확인한다(302). 그 다음, 사용자는 벤더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벤더 프로파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303).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존의 무선 속성 페이지들에 대한 추가적 속성 페이지로서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인은, 구성 및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한다(304). 플러그-인은 프로파일 정보를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로 송신하는데(305),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는 프로파일 정보를 프로파일 저장 장치에 저장한다(306). 정보가 저장된 것을 프로파일 저장 장치가 확인할 경우(307),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는, 정보가 저장된 것을 플러그-인에 확인한다(308).
도 4 내지 도 7은, 네트워크가 기반 구조 모드일 경우,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와 IHV 컴포넌트들간의 상호작용 순서들을 도시한다. 당업자는, 네트워크가 특 별한 모드일 경우에 수행될 순서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프로파일을 구성할 경우에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처음에 802.11 프레임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로부터의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에 표준 구성 설정들(예를 들어, 네트워크 유형 및 네트워크 SSID(service set identifier))을 제공한다(401). IHV 모듈이 설치되었다면,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는 프로파일 저장 장치로부터 IHV 모듈을 위한 구성 데이터를 검색하며 구성 데이터를 IHV 서비스에 제공한다(402). IHV 서비스는 적절한 IHV 구성 설정을 식별하여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에 제공한다(403). 그 다음,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는 식별된 IHV 구성 설정들을 802.11 프레임워크를 통해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에 제공한다(404). 이로 인해,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IHV-특정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 다음,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는 추가적인 표준 구성 설정들(예를 들어, 암호화로부터 소정 유형의 패킷들을 면제하기 위한 패킷 면제 리스트)을 802.11 프레임워크를 통해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에 제공한다(405).
도 5는, 일 실시예에서 기반 구조 네트워크의 접근점과 결합될 경우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는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에 결합 요청을 제공한다(501). 그에 응답하여,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에 접속 시작 메시지를 제공한다(502).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후보 접근점들의 리스트를 형성하며 리스트의 접근점과 결합을 시도한다.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에, 접근점과의 결합을 시도하고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메시지를 제공한다(503). 그 다음,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결합이 완결되었을 때,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에, 결합을 완결지었다는 것을 가리키는 메시지를 제공한다(504).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결합이 성공적이지 못할 경우 실패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다른 접근점을 선택하며, 드라이버가 결합을 시도하고 있다는 또 하나의 메시지를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에 제공한다. 성공적인 결합시에,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는 IHV 서비스에,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의 포트가 업(up)이라는 것을 가리키는 메시지를 제공한다(505). 접속이 완결되었을 때,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완결을 가리키는 메시지를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에 제공한다(506).
도 6은, 일 실시예에서 포트가 결합 후의 네트워크에 대해 인증할 때 송신되는 메시지들의 순서도이다. IHV 서비스에 포트 업 메시지가 제공될 경우(601), IHV 서비스는 결합된 접근점과 보안 패킷들을 교환하는 것에 의해 통상적인 보안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IHV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측 라이브러리를 통해 직접적으로 802.11 프레임워크와 보안 패킷들을 송수신한다(602). 이러한 메시지 교환은,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의 네이티브 컴포넌트들에 대한 보안 기능들을 확장하고자 하는 IHV에 의해 정의된다. 포트 인증이 완결된 후, IHV 서비스는, 결합된 접근점으로 송신된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로 송신된 암호화 키들을 제공한다(603). 그 다음, IHV 서비스는, 포트가 개방되어 있다는 것을 네이티브 802.11 프레임워크에 통지한다. 포트가 개방되고 나면, 네이티브 802.11 프레임워크는 보통의 데이터 패킷들(normal data packets)을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로 통과시키는데,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에서 보통의 데이터 패킷들은 암호화되며 접근점으로 포워딩된다. 포트가 포트에 관한 임의의 상태 정보를 소거하기 위해 아래로 내려갈 경우,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는 IHV 서비스에 포트 다운(port down)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서 국이 기반 구조 네트워크 내에서 로밍할 경우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가 로밍을 판정할 경우,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에 메시지를 제공한다(701).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후보 접근점들의 리스트를 형성하며 리스트의 접근점과 결합을 시도한다.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에, 접근점과의 결합을 시도하고 있음을 가리키는 메시지를 제공한다(702). 결합이 완결될 경우,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에, 결합이 완결되었음을 가리키는 메시지를 제공한다(703). 성공적인 결합시에,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는 IHV 서비스에,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의 포트가 업이라는 것을 가리키는 메시지를 제공한다(704). 로밍이 완결되었을 때, IHV 미니포트 드라이버는 네트워크 로밍 서비스에, 완결을 가리키는 메시지를 제공한다(705). 포트 업 메시지의 수신시에, IHV 서비스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인증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가 구현되는 컴퓨팅 장치는 CPU, 메모리, 입력 장치들(예를 들어, 키보드 및 포인팅 장치들), 출력 장치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들), 및 저장 장치들(예를 들어, 디스크 드라이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 리 및 저장 장치들은,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를 구현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이다. 또한, 데이터 구조들 및 메시지 구조들은, 통신 링크상의 신호와 같은, 데이터 전송 매체를 통해 저장되거나 전송될 수 있다. 인터넷, LAN, WAN, 또는 점-대-점 다이얼-업 접속과 같은, 다양한 통신 링크들이 사용될 수 있다.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설명된 환경은 적당한 동작 환경의 일례일 뿐이며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의 사용 또는 기능 범위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는다.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주지의 다른 컴퓨팅 시스템들, 환경들, 및 구성들로는 퍼스널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장치들,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시스템, 프로그램 가능한 사용 전자 장치,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상기 시스템들 또는 장치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 등을 들 수 있다.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 또는 다른 장치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들과 같은,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한 태스크들을 수행하거나 특정한 추상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오브젝트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의 기능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필요에 따라 조합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의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들 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한정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라, 벤더들이, 네이티브 무선 프레임워크의 전반적인 기능들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그들만의 고유한 속도에서 새로운 기능들을 개발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워크가 제공된다.

Claims (31)

  1. 하나 이상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경우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무선 프레임워크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 및 확장가능 드라이버를 등록하는 등록 컴포넌트 -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은 상기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의 네이티브 컴포넌트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는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매체 접근 제어 부계층을 구현하며 매체 접근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함 - ; 및
    이용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을 식별하고, 이용가능시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선택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확장가능 드라이버에게 상기 매체 접근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에 통지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컴포넌트는,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하는 데 사용하도록 확장가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등록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워크는,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와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 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중간 드라이버, 및 네이티브 프레임워크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이티브 프레임워크 컴포넌트는, 확장가능 드라이버의 상위 매체 접근 제어(MAC)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와 상호작용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5.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도록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확장가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 및 확장가능 드라이버를 등록하는 등록 컴포넌트 -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은 상기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의 네이티브 컴포넌트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확장가능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일부를 구현함 - ; 및
    이용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고, 이용가능시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선택하며, 선택된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에게 요청하고,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에 통지하며, 상기 확장가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에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802.11 네트워크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은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에 통지되면,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은 상기 서비스 제공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를 우회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에 통지될 때,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를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와의 통신을 위한 매개자로서 이용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컴포넌트는,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상기 확장가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컴포넌트는,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가 사용하도록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하나의 미니포트 드라이버가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 및 네이티브 드라이버를 제공하고,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 또는 상기 네이티브 드라이버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3.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컴포넌트 및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는 사용자 모드에서 실행되고,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는 커널 모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와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 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이티브 프레임워크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은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확장가능 드라이버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에 통지되면, 상기 확장가능 서비스 모듈은 상기 서비스 제공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컴포넌트를 우회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802.11 네트워크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050011359A 2004-02-13 2005-02-07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 KR101120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490004P 2004-02-13 2004-02-13
US60/544,900 2004-02-13
US10/930,684 US7426550B2 (en) 2004-02-13 2004-08-31 Extensible wireless framework
US10/930,684 2004-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835A KR20060041835A (ko) 2006-05-12
KR101120731B1 true KR101120731B1 (ko) 2012-03-26

Family

ID=3484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359A KR101120731B1 (ko) 2004-02-13 2005-02-07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26550B2 (ko)
EP (1) EP1564932B1 (ko)
JP (1) JP4833559B2 (ko)
KR (1) KR101120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8550B2 (en) * 2002-11-27 2010-04-13 Microsoft Corporation Native wi-fi architecture for 802.11 networks
WO2005091926A2 (en) * 2004-03-04 2005-10-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obility enabled system architecture software architecture an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US20100161958A1 (en) 2005-06-22 2010-06-24 Seok-Heon Cho Device for Realizing Security Function in Mac of Portable Internet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Using the Device
JP4866620B2 (ja) * 2006-02-06 2012-02-01 株式会社リコー ドキュメン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26391A (ja) * 2006-02-22 2007-09-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US7908659B2 (en) * 2006-11-10 2011-03-15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ble framework for system security state reporting and remediation
US8176427B2 (en) * 2006-12-21 2012-05-08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configuring a device using simple pictograms
US20090193247A1 (en) * 2008-01-29 2009-07-30 Kiester W Scott Proprietary protocol tunneling over eap
US20090204725A1 (en) * 2008-02-13 2009-08-13 Microsoft Corporation Wimax communication through wi-fi emulation
US8826307B2 (en) 2008-04-18 2014-09-02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ble private driver interface
CN101577905B (zh) 2009-02-27 2011-06-01 西安西电捷通无线网络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以分离mac模式实现会聚式wapi网络架构的方法
CN101577978B (zh) 2009-02-27 2011-02-16 西安西电捷通无线网络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以本地mac模式实现会聚式wapi网络架构的方法
CN101577916B (zh) * 2009-02-27 2011-07-06 西安西电捷通无线网络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以本地mac模式实现wapi与capwap融合的方法
CN101577904B (zh) 2009-02-27 2011-04-06 西安西电捷通无线网络通信股份有限公司 以分离mac模式实现会聚式wapi网络架构的方法
CN101527908B (zh) * 2009-04-08 2011-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终端的预鉴别方法及无线局域网系统
US8897772B2 (en) * 2009-06-26 2014-11-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ell searching thereof
US10592660B2 (en) 2016-11-22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pability access management
CN112805691A (zh) 2018-11-19 2021-05-14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一种异常处理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280A (ko) * 2001-12-22 2003-06-28 주식회사 케이티 공중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망접속 및 서비스 등록 방법
US20030177267A1 (en) 2002-01-18 2003-09-18 Nokia Corporation Address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20030236982A1 (en) 2002-06-20 2003-12-25 Hsu Raymond T. Inter-working function for a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6736A (en) * 1993-10-07 1995-08-29 Ast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node to a wireless network using a standard protocol
US5872956A (en) * 1997-04-24 1999-0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sign methodology for device drivers supporting various operating systems network protocols and adapter hardware
US6295645B1 (en) * 1997-12-22 2001-09-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wnloadable functionality to an embedded coprocessor
JP3692844B2 (ja) 1998-07-24 2005-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界発光素子、及び電子機器
US20020078365A1 (en) * 2000-12-15 2002-06-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securely enabling an application to impersonate another user in an external authorization manager
US6947736B2 (en) * 2001-11-20 2005-09-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niversal broadband home network for scalable IEEE 802.11 based wireless and wireline networking
KR20040073562A (ko) * 2002-01-11 2004-08-19 시에라 와이어리스 인코포레이티드 호스트 확장형 무선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US7448068B2 (en) * 2002-10-21 2008-11-04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client authentication for a wireless network protected by PEAP, EAP-TLS, or other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s
US7698550B2 (en) * 2002-11-27 2010-04-13 Microsoft Corporation Native wi-fi architecture for 802.11 networks
US20040185845A1 (en) * 2003-02-28 2004-09-23 Microsoft Corporation Access point to access point range extension
US7275157B2 (en) * 2003-05-27 2007-09-25 Cisco Technology, Inc. Facilitating 802.11 roaming by pre-establishing session keys
US7353381B2 (en) * 2003-06-03 2008-04-01 Microsoft Corporation Supplicant and authenticator intercommunication mechanism independent of underlying data link and physical layer protocols
US7363379B2 (en) * 2003-09-30 2008-04-22 Intel Corporation Access point association history in wireless networks
US7269653B2 (en) * 2003-11-07 2007-09-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s methods, communications device operational methods, wireless networks, configuration devices, communications system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280A (ko) * 2001-12-22 2003-06-28 주식회사 케이티 공중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망접속 및 서비스 등록 방법
US20030177267A1 (en) 2002-01-18 2003-09-18 Nokia Corporation Address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20030236982A1 (en) 2002-06-20 2003-12-25 Hsu Raymond T. Inter-working function for 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4932A2 (en) 2005-08-17
JP2005229605A (ja) 2005-08-25
EP1564932A3 (en) 2009-11-04
US20050182830A1 (en) 2005-08-18
KR20060041835A (ko) 2006-05-12
JP4833559B2 (ja) 2011-12-07
US7426550B2 (en) 2008-09-16
EP1564932B1 (en)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731B1 (ko) 확장가능 무선 프레임워크
EP15897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US7362722B2 (en) Radio station, operation control program,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US10091826B2 (en) Wireless LAN connection handover by docking system and generic network device driver
US8848915B2 (en) Method for automatic WLAN connection between digital devices and digital device therefor
EP2460373B1 (en) Diagnosing and resolving wireless network malfunctions
US7277547B1 (en) Method for automated security configur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874435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7518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performed by image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product,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20090300722A1 (en) Support for integrated wlan hotspot clients
US9191771B2 (en) Convenient use of push button mode of WPS (Wi-Fi protected setup) for provisioning wireless devices
US20090254924A1 (en) Operating system interfaces for virtual wifi and softap capable drivers
US8984287B2 (e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access method based on primitive
WO2006135872A2 (en) Establishing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wusb) connection via a trusted medium
US20120059945A1 (en) Data-Transfer Method and Terminal
US20100124881A1 (en) Database Based Connectivity For Secure SSID
EP1947818B1 (en)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munication method
US8533781B2 (en) Access method suitable fo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EP2713672B1 (en) Wireless slave devices configuration and communication therewith
JP4856700B2 (ja) トラステッド媒体を介した無線ユニバーサルシリアルバス(wusb)接続の確立
CN100550797C (zh) 可扩展的无线架构
JP2013066001A (ja) 無線通信装置
JP2009034868A (ja) 通信装置、プリンタ、プログラム
JP2022164459A (ja)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1184579A (ja) 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