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595B1 -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 - Google Patents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595B1
KR101120595B1 KR1020100030604A KR20100030604A KR101120595B1 KR 101120595 B1 KR101120595 B1 KR 101120595B1 KR 1020100030604 A KR1020100030604 A KR 1020100030604A KR 20100030604 A KR20100030604 A KR 20100030604A KR 101120595 B1 KR101120595 B1 KR 10112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storage unit
wick
cov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1177A (ko
Inventor
김보겸
Original Assignee
김보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겸 filed Critical 김보겸
Priority to KR1020100030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59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F21V35/003Special means for attaching the candle to the candle 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12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e.g. table lamp, floor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F21V35/006Drop catchers; Shade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양초의 상부에 끼워지는 기능성 양초덮개)에 있어서, 상기 양초덮개는 촛농저장부의 테두리에 촛농방지턱이 상기 촛농저장부 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촛농방지턱의 하부로 양초끼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촛농저장부의 중앙부에는 심지인출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심지인출홀의 주변에는 다수개의 산소공급홀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촛농이 양초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며, 양초가 다 타들어 갔을 때 본 발명의 양초덮개가 계속적으로 양초의 하단까지 내려와 자연적으로 춧불이 꺼지게 됨에 따라 촛불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양초의 상부와 하부의 미관이 돋보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ABILITY CANDLE COVER AND CANDLESTICK}
본 발명은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초의 상부에 양초덮개가 씌워지도록 하며, 양초의 하부에 촛대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양초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미관이 미려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양초의 심지가 타들어가는 과정에서 촛농이 양초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며, 아울러 양초가 다 타들어 갔을때 발생되는 촛불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중심에 심지를 박고, 그 주변으로 파라핀 왁스를 고형화시킨 것으로 근래에는 전기를 이용한 조명으로 인하여 양초의 용도는 조명보다는 정전된 가정에서의 비상 조명, 종교적 의식 행사의 소품 또는 실내의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양초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바람이나 진동에 의해 양초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촛대에 양초의 하부를 끼워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촛대는 면적이 넓은 받침대의 상부에 소정 길이 또는 높이를 갖는 로드의 하부가 직립되게 형성되어지고, 로드의 상부에 뾰족한 형태를 갖는 꽂이가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대 하부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양초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을 꽂이에 끼워서 고정시킨 후 심지에 불을 붙이면 점등된 촛불의 열에 의해 심지 주변의 파라핀이 녹아 촛불이 계속적으로 점등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고, 점등에 의해 사용되지 못한 파라핀은 양초의 외주면을 타고 지지대로 흐르게 된다.
그러나 꽂이에 양초의 하단 일부만이 고정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촛대나 양초가 인화물에 쓰러져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교의식에 양초가 사용되어지게 될 경우, 밤을 세워 예불을 올리거나 철야 기도가 장시간 계속되는 과정에서 피로에 지쳐 촛불의 소화를 잊어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촛불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필요없이 촛불이 계속 점등되기 때문에 파라핀액(촛농)이 양초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려 낭비되는 문제점과 흘러내린 촛농에 의하여 양초의 표면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촛불의 열에 의해 심지 주변의 파라핀이 녹은 상태에서 양초의 가장자리 부분이 불균일하게 녹아 산과 골처럼 됨으로써, 촛농이 양초의 표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가속화하여 양초가 낭비되어지면서 그을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양초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촛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문제점 이외에 양초가 거의 다 타들어 갔을때 용이하게 화재가 발생되어지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양초의 형태가 단순하게 됨에 따라 주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양초의 심지가 타들어가는 과정에서 촛농이 양초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며, 양초가 다 타들어 갔을때 본 발명의 양초덮개가 계속적으로 양초의 하단까지 내려와 자연적으로 촛불이 꺼지게 됨에 따라 촛불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아울러 양초의 상부와 하부의 미관이 돋보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초의 상부에 끼워지는 기능성 양초덮개(10)에 있어서, 상기 양초덮개(10)는 촛농저장부(110)의 테두리에 촛농방지턱(120)이 상기 촛농저장부(110) 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촛농방지턱(120)의 하부로 양초끼움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중앙부에는 심지인출홀(1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심지인출홀(111)의 주변에는 다수개의 산소공급홀(113)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산소공급홀(113)의 외측 주변에는 다수개의 촛농넘침홀(11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촛농저장부(110)는 상기 심지인출홀(111)을 향하여 오목하게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산소공급홀(113)은 중앙부의 심지인출링(114)과 상기 심지인출링(114)을 연결하는 연결편(115)에 의하여 형성되어지고, 상기 연결편(115)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심지인출홀(111)이 촛농넘침홀(112)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산소공급홀(113)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촛농방지턱(120)과 양초끼움부(130)의 외부는 라운드부재(140)에 의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양초끼움부(13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장식보강테(131)가 돌출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초의 상부에 양초덮개(10)가 끼워지고, 양초의 하부에 덤빙(20)이 끼워지는 기능성 촛대에 있어서, 상기 양초덮개(10)는 촛농저장부(110)의 테두리에 촛농방지턱(120)이 상기 촛농저장부(110)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촛농방지턱(120)의 하부로 양초끼움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중앙부에는 심지인출홀(1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심지인출홀(111))의 주변에는 다수개의 산소공급홀(11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덤빙(20)은 받침판(210)의 테두리 상부로 양초지지부(22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받침판(210)의 중앙부에는 초꽂이핀(211)이 상부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양초지지부(22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보강장식테(221)가 돌출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210)의 하부에는 디스크형태를 갖는 웨이트부재(23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웨이트부재(230)의 지름은 상기 받침판(210)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초덮개(10)와 덤빙(20)은 열전도성을 갖는 금속재(주로 알루미늄재)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판(210) 하부의 웨이트부재(230)는 상기 받침판(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웨이트부재(230)를 결합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양초의 심지가 타들어 갈때 양초덮개도 계속적으로 양초의 하단까지 내려가게 되어 자연적으로 촛불이 꺼지게 됨에 따라 화재예방이 가장 큰 효과라 할 것이다. 또한 양초의 상부에 양초덮개가 씌워지도록 하고, 양초의 하부에 덤빙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양초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촛불의 열이 양초덮개에 전도되어 양초의 상단이 균일하게 녹아 내리도록 하여 양초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심지가 타들어가는 과정에서 양초덮개에 의하여 촛농이 양초의 외측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양초의 외측면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양초의 상부와 하부에 있는 양초덮개와 촛대에 의하여 미관이 돗보이게 됨에 따라 주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양초가 다 타들어 갔을때 촛대에 의하여 인화성이 있는 주변과 차단되어지게 됨에 따라 화재발생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가 양초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가 양초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내부 절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가 양초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를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양초덮개(10)와 기능성 촛대는 양초(30)의 상부와 하부에 동시에 끼워지거나 별도로 분리된 상태로 끼워질 수 있는 것으로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초덮개(10)는 심지(310)가 중앙에 박혀지도록 파라핀이 경화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양초(30)의 상부에 끼워져 심지(310)에 불이 붙은 촛불의 열이 주변으로 전도되어 양초(30)의 상부가 균일하게 녹을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촛불이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양초덮개(10)는 열전도성을 갖는 금속재로 형성되어진 것으로 촛농저장부(110)의 테두리에 촛농방지턱(120)이 상기 촛농저장부(110) 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되어 촛불의 열과 양초덮개(10)로 전도된 열에 의하여 녹은 촛농이 항상 일정하게 저장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촛농방지턱(120)의 하부로는 양초(30)의 상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양초끼움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중앙부에는 링형태를 갖는 심지인출홀(1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촛농넘침홀(112)이 형성되어 양초덮개(10)의 하부에서 녹은 촛농이 상부로 유입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심지인출홀(111) 주변에는 다수개의 산소공급홀(113)이 형성되어 산소공급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산소공급홀(113)은 중앙부의 심지인출링(114)과 상기 심지인출링(114)을 연결하는 연결편(115)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연결편(115)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심지인출홀(111)이 촛농넘침홀(112)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산소공급홀(113)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심지(310) 주변으로 항상 일정량의 촛농(파라핀)이 공급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촛농방지턱(120)과 양초끼움부(130)의 외부는 라운드부재(140)에 의하여 라운드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양초(30)의 상부 가장자리가 전도된 열에 의하여 녹으면서 녹은 촛농이 라운드부재(140)를 따라 양초(30)의 상부 중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초끼움부(13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장식보강테(131)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하는 과정에서 양초끼움부(130)의 일부가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미관이 미려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능성 촛대는 양초(30)의 상부에 양초덮개(10)가 끼워지고, 양초(30)의 하부에 덤빙(20)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양초(30)가 거의 다 타들어 갔을 때 인화성 물질로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양초덮개(10)는 열전도성을 갖는 금속재로 형성되어진 것으로 촛농저장부(110)의 테두리에 촛농방지턱(120)이 상기 촛농저장부(110)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촛농방지턱(120)의 하부로 양초끼움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중앙부에는 심지인출홀(11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촛농넘침홀(11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덤빙(20)은 받침판(210)의 테두리 상부로 양초지지부(2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양초(30)의 하부가 용이하게 삽입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지고, 상기 받침판(210)의 하부에는 디스크형태를 갖는 웨이트부재(230)가 결합되어 무게중심이 최하단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양초(3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웨이트부재(230)의 지름은 받침판(21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덤빙(20) 역시 양초덮개(10)와 같이 열전도성을 갖는 금속재(주로 알루미늄재)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양초지지부(22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보강장식테(221)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양초지지부(220)의 일부가 내측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형성되어지고, 외부가 미려하게 보여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덤빙(20)의 중앙부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초꽂이핀(211)이 상부로 직립되게 형성되어 양초(30)에 중앙에 형성된 통공(320)이 용이하게 삽입 또는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기능성 양초덮개(10) 및 기능성 촛대는 먼저, 양초(30)의 상부에 양초덮개(10)가 씌우진 상태에서 촛대의 덤빙(20)에 양초(30)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양초(30)의 상부로 노출된 심지(310)는 심지인출홀(111)을 통해 인출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다음, 심지(310)에 불을 붙임과 동시에 촛불의 열이 심지인출링(114)과 연결편(115)과 촛농저장부(110) 및 라운드부재(140)를 포함하는 양초덮개(10)의 전체로 전도되어지게 된다.
다음, 양초덮개(10)로 전도되어진 열에 의하여 양초(30)의 상부가 녹으면서 발생된 액체상태의 촛농(파라핀)은 양초끼움부(230)의 상부에 형성된 라운드부재(140)에 의하여 양초(30)의 상부 중앙으로 모이게 되면서 양초(30)의 상부 가장자리가 균일하게 녹을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촛농넘침홀(112)을 통해 넘친 촛농은 촛농저장부(110)에 저장되어지게 됨에 따라 촛농이 양초(30)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심지인출홀(111)을 통해 용융된 파라핀액 또는 촛농이 심지(310)로 계속 공급되어지게 됨에 따라 촛불이 꺼지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다음, 촛불이 켜진 상태가 계속 유지되어지게 됨에 따라 양초(30)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짧아지게 됨과 동시에 양초끼움부(130)의 하부가 기능성 촛대의 덤빙(20)을 구성하는 양초지지부(220)의 상단에 맞대어지게 된다.
그리고 양초지지부(220)와 받침판(210)의 내부 공간에 감싸여져 있는 양초(30)의 하부가 모두 녹아 심지(310)를 통해 연소되어진 후에는 파라핀 또는 촛농의 공급이 중단됨에 따라 촛불이 꺼져 촛불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양초덮개 20:덤빙
110:촛농저장부 111:심지인출홀
112:촛농넘침홀 113 :상소공급홀
120:촛농방지턱 130:양초끼움부
210:받침판 220:양초지지부
230:웨이트부재

Claims (6)

  1. 양초의 상부에 끼워지는 기능성 양초덮개(10)에 있어서,
    상기 양초덮개(10)는 촛농저장부(110)의 테두리에 촛농방지턱(120)이 상기 촛농저장부(110) 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촛농방지턱(120)의 하부로 양초끼움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중앙부에는 심지인출홀(1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심지인출홀(111)의 주변에는 다수개의 산소공급홀(113)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산소공급홀(113)의 외측 주변에는 다수개의 촛농넘침홀(11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촛농저장부(110)는 상기 심지인출홀(111)을 향하여 오목하게 라운드지며,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산소공급홀(113)은 중앙부의 심지인출링(114)과 상기 심지인출링(114)을 연결하는 연결편(115)에 의하여 형성되어지고, 상기 연결편(115)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심지인출홀(111)이 상기 촛농넘침홀(112)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산소공급홀(113)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초덮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촛농방지턱(120)과 양초끼움부(130)의 외부는 라운드부재(140)에 의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양초끼움부(13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장식보강테(131)가 돌출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초덮개.
  5. 삭제
  6. 양초의 상부에 양초덮개(10)가 끼워지고, 양초의 하부에 덤빙(20)이 끼워지는 기능성 촛대에 있어서,
    상기 양초덮개(10)는 촛농저장부(110)의 테두리에 촛농방지턱(120)이 상기 촛농저장부(110) 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촛농방지턱(120)의 하부로 양초끼움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중앙부에는 심지인출홀(1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심지인출홀(111)의 주변에는 다수개의 산소공급홀(113)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산소공급홀(113)의 외측 주변에는 다수개의 촛농넘침홀(11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촛농저장부(110)는 상기 심지인출홀(111)을 향하여 오목하게 라운드지며,
    상기 촛농저장부(110)의 산소공급홀(113)은 중앙부의 심지인출링(114)과 상기 심지인출링(114)을 연결하는 연결편(115)에 의하여 형성되어지고, 상기 연결편(115)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심지인출홀(111)이 상기 촛농넘침홀(112)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산소공급홀(113)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덤빙(20)은 받침판(210)의 테두리 상부로 양초지지부(22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받침판(210)의 중앙부에는 초꽂이핀(211)이 상부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양초지지부(22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보강장식테(221)가 돌출형성되어지며,
    상기 받침판(210)의 하부에는 디스크형태를 갖는 웨이트부재(23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웨이트부재(230)의 지름은 상기 받침판(21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촛대.
KR1020100030604A 2010-04-02 2010-04-02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 KR101120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604A KR101120595B1 (ko) 2010-04-02 2010-04-02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604A KR101120595B1 (ko) 2010-04-02 2010-04-02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177A KR20110111177A (ko) 2011-10-10
KR101120595B1 true KR101120595B1 (ko) 2012-03-09

Family

ID=4502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604A KR101120595B1 (ko) 2010-04-02 2010-04-02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706B1 (ko) * 2011-09-22 2013-08-02 주식회사 태극 연소보조판이 설치된 양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704Y1 (ko) * 1999-12-21 2000-08-16 곽성신 양초용 유리호롱 받침대
KR200373678Y1 (ko) 2004-11-08 2005-01-21 장계선 양초용 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704Y1 (ko) * 1999-12-21 2000-08-16 곽성신 양초용 유리호롱 받침대
KR200373678Y1 (ko) 2004-11-08 2005-01-21 장계선 양초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177A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5611B2 (en) Safety candle
JPH11511234A (ja) パラフィンランプ
US9745542B2 (en) Burner cup
KR101158787B1 (ko) 양초의 완전연소 및 촛불흐름 방지용 양초캡
KR100953687B1 (ko) 개량 양초
KR101120595B1 (ko) 기능성 양초덮개 및 촛대
US6929380B2 (en) Candle holder adapter for an electric lighting fixture
KR100925263B1 (ko) 화재 방지용 촛대
JP6556729B2 (ja) 液体キャンドルシステム
JP2003304967A (ja) 灯明台
JP3193106U (ja) ローソク立て
KR100836799B1 (ko)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
CN208186291U (zh) 一种可回收蜡液的陶瓷烛台
JP5113561B2 (ja) 燭台
JP3793526B2 (ja) ろうそく
KR200399382Y1 (ko) 개량 양초
CN209445335U (zh) 一种环保的新型烛台
KR101093167B1 (ko) 안전 촛대
KR101314074B1 (ko) 안전 양초
KR200493582Y1 (ko) 표면에 장식 인쇄층이 형성된 일체형 기능 통합 구조 의식용 파라핀 오일 램프 조립체
KR200445045Y1 (ko) 칠성등
KR200376132Y1 (ko) 장식용 촛대
KR100654578B1 (ko) 양초 자동 촛대
KR200352943Y1 (ko) 안전구조를 갖춘 양초
KR20110119102A (ko) 양초의 불완전 연소 및 촛농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초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