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799B1 -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 - Google Patents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799B1
KR100836799B1 KR1020080021782A KR20080021782A KR100836799B1 KR 100836799 B1 KR100836799 B1 KR 100836799B1 KR 1020080021782 A KR1020080021782 A KR 1020080021782A KR 20080021782 A KR20080021782 A KR 20080021782A KR 100836799 B1 KR100836799 B1 KR 100836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guide rod
support
candlestick
safety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7/00Details of lighting devices employing combustion as light sour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7/02Special adaptation for protection against draughts ; Draft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양초가 연소되는 동안 바람을 막아주면서 촛농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산소)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모할 수 있는 촛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촛대는 받침대위에 양초가 세워지고, 이 받침대의 일측에 가이드봉이 고정되며, 가이드봉에는 양초의 상부를 덮으면서 촛농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고안된 투명한 안전캡이 끼워지는 지지대가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대의 상측에는 지지대와 조절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면서 안전캡의 개방된 상부를 막는 덮개판이 형성된 공기량조절판이 설치되어 조절스크류의 조작에 의해 안전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봉은 신축되는 2단구조로 되어 양초가 연소되면서 작아지는 동안 가이드봉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Candlestick for incomplete combustion of candle}
본 발명은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초가 전부 연소되는 동안 바람을 막음과 동시에 촛농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며 연소에 공급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도록 하여 완전연소를 유도하고 화재 위험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파라핀(paraffin)을 원료로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심지가 매입되어 제작된다. 이러한 양초는 정전시 일반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조명용으로 사용하거나 종교적 의식이나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야외에서 야영을 할 때 또는 성모를 할 때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양초를 이용하여 촛불을 켰을 때 일반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는 접시나 대접 등과 같이 촛농을 받을 수 있는 소정의 받침용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종교적 의식이나 성묘 등과 같은 경우에는 별도로 제작된 촛대에 양초를 꽂아 두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촛대들은 양초를 세워 지지하는 기능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성묘라든지 야외에서 치러지는 종교적 의식에서 촛대에 양초를 꼽고 촛불을 밝히는 경우 바람에 의해 촛불이 쉽게 꺼지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양초에 여러 번 불을 다시 붙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일회용 종이컵의 바닥면을 열십자로 절개한 후 양초의 상부를 컵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바람을 차단하는 방법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 양초의 연소로 인해 양초의 길이 변화에 따라 종이컵을 계속해서 아래로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때, 종이컵을 제때 아래로 내리지 않으면 종이컵에 불이 옮겨 붙으면서 화재를 일으킬 우려도 있다.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다니는 공간에 켜진 촛불에 옷감 등과 같은 인화성 물질이 닿거나 야외에 켜 놓은 촛불에 낙엽 등과 같은 인화성 물질이 날아와 닿으면서 화재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바람 등으로 인해 촛불에 공기가 과도하게 공급되는 경우 양초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그을음이 발생할뿐더러 많은 양의 촛농이 흘러내려 양초의 연소시간이 대폭 줄어든다. 특히 사찰 등에서 종교의식을 위해 장시간 켜 놓은 촛불의 연소시간이 줄어드는 경우 양초를 자주 갈아주어야 함은 불완전 연소시 발생된 그을음이 사찰의 내부공간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촛불에 의해 종종 화재가 발생되기도 하는데, 촛불에 의한 화재의 대부분은 양초가 한 방향으로 연소되면서 흘러내리게 되어 발생된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초(1)의 내부에는 심지(2)가 구비되는데, 이 심지(2)는 양초(1)의 축방향 중심으로 연장되어야 정상적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심지(2)가 양초의 축방향 중심에서 이탈되어 양초의 외주면상 쪽으로 연장되는 경우도 있게 된다.
이처럼 심지가 바같쪽으로 벗어나게 내장되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초(1)가 타 들어가다가 잘못 내장된 심지(2)부분에서는 한쪽으로 치우쳐 연소되게 되고, 이 같은 연소가 계속되면 양초가 빗면으로 뾰족하게 타 들어가면서 수많은 촛농(3)이 흘러내리고 결국에는 쓰러지게 되어 화재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양초에 안전캡을 씌워 양초가 전부 연소되는 동안 양초와 함께 하강하여 외부와 차단시키면서 촛농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캡의 위에 공기량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양초의 완전연소를 유도하면서 연소시간을 늘릴 수 있는 촛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초가 올려져 세워지는 받침대;
받침대의 어느 일측에 고정되는 가이드봉;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양초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링을 갖는 지지대;
끼움링에 상부가 끼워지면서 그 하부가 양초의 상부를 감싸도록 올려지는 상하 개방된 안전캡;
지지대의 상측에서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며, 끼움링의 상부를 막 는 덮개판이 형성되고, 지지대와 조절스크류로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승하강되는 공기량조절판;을 포함하여 양초의 불완전연소를 방지하고 양초의 연소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안전캡의 하부 내측에는 양초의 상단부를 감싸면서 상부가 방사상 오므라들게 형성된 내캡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봉은 하측이 상측속으로 삽입되는 상하 2단으로 구성되며, 상부가이드봉의 상단에는 마감캡이 장착되어 양초가 연소되면서 가이드봉이 점차 줄어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는 안전캡이 양초가 연소되는 동안 함께 이동되면서 바람을 막아주고, 또한, 촛농의 흘러내림을 방지해주며, 공기량조절판에 의해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봉이 양초가 연소되면서 작아질때에 함께 줄어들도록 구성되어 미관상이나 안정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촛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촛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100)는 먼저, 양초(1)가 올려지는 받침대(110)를 구비한다. 받침대(110)는 지면이나 또는 테이블 위에 올려지는 것으로, 양초(1)가 올려지도록 오목한 받침판(112)이 받침대(110)의 상부면상에 장착된다. 이때, 받침판(112)은 세척 등과 같은 관리상의 편리를 위해 분리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받침대(110)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 목적에 따라 특수한 모양을 갖춘 보조받침대(120)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순 형태의 보조받침대가 사용될 수도 있고, 불교에서는 연꽃 장식이 형성된 보조받침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받침대(110)는 기존에 사용되던 촛대위에 올려져 사용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보조받침대(120)와 함께 사용되기 위해 받침대(110)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공(114)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114)으로 스크류(116)가 삽입되어 하측의 보조받침대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받침대(110)의 상부면상 어느 일측에는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봉(130)이 결합된다. 가이드봉(130)은 최소 한개 또는, 두개가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봉(130)에는 수평한 판 형상의 지지대(140)가 승하강되도록 결합된다. 지지대(140)는 수직한 가이드봉(130)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승하강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가이드봉(130)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공(142)이 천공된다. 그리고 지지대(140)의 타측에는 끼움링(144)이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대(140)는 받침대(110)에 세워진 양초(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끼움링(144)의 중심은 양초(1)의 축방향과 동선상에서 만나도록 구성된다.
한편, 지지대(140)의 끼움링(144)에는 상단부가 끼움링(144)에 삽입되도록 안전캡(150)이 구비된다. 안전캡(150)은 연소되는 양초(1)의 바람막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하부가 개방된 투명재질의 유리캡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안전캡(150)은 상단부가 끼움링(144)에 삽입되도록 끼움링(144)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하단부는 점점 넓어져 고깔 같은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전캡(150)의 하단부는 받침판(112)위에 세워진 양초(1)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양초(1)의 굵기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안전캡(150)은 양초(1)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사이즈로 구비된다. 즉, 여러 종류의 안전캡(150)은 상단부는 항상 끼움링(14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규격을 가지며, 하단부만 종류가 다른 양초에 적용되도록 변화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비된 안전캡(150)은 단독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지만, 편리한 관리를 위해 내캡(155)을 함께 구비하여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즉, 단독으로 사용될때에는 양초(1)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촛농이 안전캡(150)에 직접 닿게 되어 촛농이 굳게 되면 안전캡(150)이 양초로부터 탈리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캡(155)은 양초의 상단부만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부싱과 같은 것으로, 내캡(155)은 양초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내캡(155)의 상단은 양초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방사상 오므라들게 축경부(156)가 일체로 형성된다. 축경 부(156)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캡(155)이 양초에 걸쳐지도록 하는 역할외에도 양초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촛농이 흘러 넘치지 않도록 물막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내캡(155)의 외측에 전술한 안전캡(150)이 감싸지면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촛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캡(150)에 의한 바람막이 기능 뿐만 아니라 안전캡(150)내로 유입되는 공기(산소)의 량을 조절하여 양초의 연소시간을 늘리고 완전연소되도록 할 수 있는 공기량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
대부분 양초의 연소가 불완전되는 요인은 과다한 산소공급으로 인해 발생된다. 즉, 대기중에 양초가 그대로 노출되면, 심지의 화력에 의해 끊임없이 촛농이 공급되고, 외부의 산소는 최대한으로 유입되어 심지에서는 불꽃이 높아지고 ,그을음이 많이 발생하며, 연소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140)의 상측에 일정간격 거리를 두고 공기량조절판(160)이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량조절판(160)은 지지대(140)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지지대(140)와 마찬가지로 가이드봉(130)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승하강되도록 공기량조절판(160)의 어느 일측에 슬라이딩공(162)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량조절판(160)의 타측은 지지대(140)의 끼움링(144)에 삽입된 안전캡(15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덮개판(164)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량조절판(160)에는 수직한 조절스크류(170)가 지지대(140)까지 연장되도록 체결된다.
즉, 조절스크류(170)를 선택적으로 풀고 조여서 지지대(140)와 공기량조절 판(160)의 간격을 조정하여 끼움링(144)에 삽입된 안전캡(150)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절스크류(170)는 일자(-)나 십자(+) 드라이버 공구를 이용하는 스크류로 사용될 수도 있고, 공구가 없을 때를 대비하여 나비볼트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100)의 사용방법 및 작동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은 공기량조절수단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지지대(140) 및 공기량조절수단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받침대(110)의 받침판(112)위에 양초(1)를 올려놓고 세운다.
세워진 양초(1)에 불을 붙이고, 양초(1)의 상단에 내캡(155)을 씌운다.
내캡(155)에 안전캡(150)의 하부를 삽입하고, 안전캡(150)의 상부에 지지대(140)의 끼움링(144)이 삽입되도록 끼운다.
양초의 종류(굵기)에 따라서 공기량조절수단을 조절한다. 즉, 얇은 양초의 경우에는 조절스크류(170)를 조여서 덮개판(164)과 안전캡(150)의 간격을 좁힘으로 공기의 유입량을 적게 한다. 반대로 굵은 양초의 경우에는 조절스크류(170)를 풀어서 덮개판(164)과 안전캡(150)의 간격을 넓힘으로 공기의 유입량을 많게 한다.
이와 같이 세팅해 두면 양초(1)가 연소되면서 양초의 길이가 작아지면, 지지대(140)가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양초를 따라 내려가게 된다.
이때, 양초의 연소부에는 많은 촛농이 발생되는데, 이 촛농들은 내캡(155)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양초의 외부로 흘러 내리지 않게 된다.
또한, 양초를 제작할때에는 착오로 인해 간혹 심지가 두개씩 내장된 경우도 있게 된다. 이처럼 심지가 두개씩 내장되면 화력이 좋아져 불꽃 높이가 커지고 불완전 연소를 유발하며, 양초의 비정상적 연소에 의해 양초가 넘어져 화재가 발생될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촛대(100)는 내캡(155)에 의해 양초의 상부가 막혀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량조절수단에 의해 일정한 공기량을 유입시키기 때문에 여러 개의 심지가 내장되어도 불꽃이 커지거나 불완전 연소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해소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촛대(100)는 크기가 다른 양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봉(130)의 길이를 최대로 높여서 제작한다. 또한, 양초의 위에 안전캡(150)이 올려지기 때문에 가이드봉(130)의 길이는 (가장 큰 양초의 길이) + (가장 큰 안전캡의 길이) 만큼의 길이로 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이드봉(130)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게 되어 보기에도 안좋고 너무 돌출되어 간섭을 받게 되며, 안전성에도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봉(130)을 2단으로 구성 할 수도 있게 하였다.
도 4 및 도 5는 가이드봉을 2단으로 구성하여 작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가이드봉(13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이드봉(130a) 및 하부가이드봉(130b)으로 구성하되, 하부가이드봉(130b)이 상부가이드봉(130a)에 삽입되도록 작은 직경으로 설계하여 상부가이드봉(130a)이 하부가이드봉(130b)을 타고 슬라이 딩되어 승하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부가이드봉(130a)에 설치된 지지대(140)는 양초(1)가 연소되어 작아질때에 먼저 상부가이드봉(130a)이 하부가이드봉(130b)을 타고 1차 하강하고, 상부가이드봉(130a)의 하단이 받침대(110)에 맞닿으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이드봉(130a)을 타고 지지대(140)가 2차 하강하도록 된다.
그리고 1차 하강할때에 상부가이드봉(130a)이 하부가이드봉(130b)을 타고 그냥 하강하지 않도록 상부가이드봉(130a)의 상단에는 장식용 마감캡(180)이 장착되어 마감캡(180)이 공기량조절판(160)에 걸쳐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촛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촛대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양초가 연소되는 동안 지지대가 가이드봉을 타고 하강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안전캡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는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가이드봉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로서 양초가 연소되는 동안 가이드봉이 하강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가이드봉이 하강된 후에 2차로 지지대가 하강하는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불량난 양초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그리고
도 7은 불량난 양초에 의해 불안전하게 연소되는 양초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Claims (3)

  1. 양초가 올려져 세워지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어느 일측에 고정되는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양초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링을 갖는 지지대;
    상기 끼움링에 상부가 끼워지면서 그 하부가 상기 양초의 상부를 감싸도록 올려지는 상하 개방된 안전캡;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서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며, 상기 끼움링의 상부를 막는 덮개판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와 조절스크류로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승하강되는 공기량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캡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양초의 상단부를 감싸면서 상부가 방사상 오므라들게 형성된 내캡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은 하측이 상측속으로 삽입되는 상하 2단으로 구성되며, 상부가이드봉의 상단에는 마감캡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
KR1020080021782A 2007-06-13 2008-03-10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 KR100836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837 2007-06-13
KR20070057837 2007-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799B1 true KR100836799B1 (ko) 2008-06-11

Family

ID=3977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782A KR100836799B1 (ko) 2007-06-13 2008-03-10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7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965B1 (ko) * 2012-09-12 2014-01-02 변종복 연 문양 촛대 세트
KR101356704B1 (ko) 2011-09-22 2014-02-03 주식회사 태극 잔여물을 최소화 하는 양초
KR101395939B1 (ko) * 2012-05-23 2014-05-16 정헌구 촛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510Y1 (ko) * 1999-08-25 2000-03-15 전광일 바람막이 기능을 갖는 촛대
KR200208325Y1 (ko) * 2000-07-27 2000-12-15 한천수 촛대
KR200215685Y1 (ko) * 2000-09-22 2001-03-15 조정석 양초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510Y1 (ko) * 1999-08-25 2000-03-15 전광일 바람막이 기능을 갖는 촛대
KR200208325Y1 (ko) * 2000-07-27 2000-12-15 한천수 촛대
KR200215685Y1 (ko) * 2000-09-22 2001-03-15 조정석 양초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704B1 (ko) 2011-09-22 2014-02-03 주식회사 태극 잔여물을 최소화 하는 양초
KR101395939B1 (ko) * 2012-05-23 2014-05-16 정헌구 촛대
KR101340965B1 (ko) * 2012-09-12 2014-01-02 변종복 연 문양 촛대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799B1 (ko)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
KR101158787B1 (ko) 양초의 완전연소 및 촛불흐름 방지용 양초캡
KR200492665Y1 (ko) 불꽃의 크기 제어 및 안정화가 가능한 양초
KR200436959Y1 (ko) 유리보호관을 구비한 양초
KR200436958Y1 (ko) 유리보호관을 구비한 양초
KR200496474Y1 (ko) 카드꽂이홈이 구비된 촛대
KR20080080054A (ko) 촛대
KR20100054296A (ko) 파라핀으로 구성된 조명 겸용 양초
KR200355918Y1 (ko) 방풍 촛대
KR200215685Y1 (ko) 양초등
CN220892194U (zh) 一种具有防风功能的玻璃烛台
KR20110119102A (ko) 양초의 불완전 연소 및 촛농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초캡
KR200316338Y1 (ko) 양초대
KR101093167B1 (ko) 안전 촛대
KR200352943Y1 (ko) 안전구조를 갖춘 양초
KR200425307Y1 (ko)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등잔
CN201715402U (zh) 适于社区用的景观灯
CN2839829Y (zh) 多用蜡烛台
KR20230011730A (ko) 액상의 식물성 초의 구조체
JP2004327140A (ja) 灯火照明用の芯体保持具
CN106369568A (zh) 一种水晶蜡烛台
KR200320052Y1 (ko) 양초 자동 촛대
CN2546749Y (zh) 油灯、烛芯辅助定位装置
KR20160115203A (ko) 촛불 바람막이용 캡
KR200292138Y1 (ko) 초롱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