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552B1 -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552B1
KR101120552B1 KR1020090078914A KR20090078914A KR101120552B1 KR 101120552 B1 KR101120552 B1 KR 101120552B1 KR 1020090078914 A KR1020090078914 A KR 1020090078914A KR 20090078914 A KR20090078914 A KR 20090078914A KR 101120552 B1 KR101120552 B1 KR 101120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wastewater
reducing
waste water
hydrogen per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243A (ko
Inventor
최병문
손기룡
강웅민
Original Assignee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5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6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2Oxidation by pe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6Oz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을 사용하는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미사용 오존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이하 "배오존가스"라 함)를 환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알칼리성 환원성 폐수와 접촉시켜 상기 배오존가스로부터 오존을 제거하고, 오존이 제거된 배기가스를 대기로 방출하는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배오존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수처리의 일부를 수행함으로써 폐수 처리비용을 동시에 줄일 수 있다.
오존, 배오존, 과산화수소, 알칼리성 환원성 폐수, 암모니아

Description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Method for Treatment of Discharged Ozone by Using Reductive Waste Water}
본 발명은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존을 사용하는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미사용 오존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이하 "배오존가스"라 함)를 환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알칼리성 환원성 폐수와 접촉시켜 상기 배오존가스로부터 오존을 제거하고, 오존이 제거된 배기가스를 대기로 방출함으로써 배오존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수처리의 일부를 수행함으로써 폐수 처리비용을 동시에 줄일 수 있는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존은 산화력이 강력한 물질로 용수처리나 살균 소독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된다. 오존은 기체상으로 이용하거나 적절한 방법으로 물에 용해하여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오존은 강력한 산화력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화합물로 분류되어 있고, 환경부에서는 대기 중 0.12ppm 이상의 오존이 존재할 때는 오존 주의보를, 0.3ppm 이상일 때는 오존 경보를 발령하여 국민의 건강을 지킬 수 있게 하고 있다.
오존은 다양한 방법으로 10% 내외의 고농도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오존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매우 낮은 편이라 할 수 있다. 오존의 용해도는 오존가스의 농도, 압력, 온도의 영향을 받는데 최대 용해도도 수십 ㎎/ℓ를 넘지 못한다. 또한 잘 설계된 오존 용해장치도 오존의 용해율이 90 % 내외에 머무르는 실정이다. 따라서, 물에 용해되지 못한 배오존은 수천 ppm 이상의 고농도로 배출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오존 용해 설비는 배오존 파괴기를 설치하게 된다.
오존은 자체로 불안정한 화합물로서 대기 중에서도 12시간 정도면 그 농도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물질이다. 하지만 빠른 시간에 오존을 파괴해야 하는 상업적 오존 이용 현장에서는 자연 분해를 기다릴 수는 없는 형편이다. 종래 오존을 파괴하는 기술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활성탄은 오존과 반응하여 아래와 같이 서서히 소모된다.
2 O3 + 2 C → 2 CO2 + O2
2 O3 + C → CO2 + 2 O2
2 O3 + C → C + 3 O2
특히 활성탄의 경우 고농도 오존을 처리할 때, 발열 관리를 잘못하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어 운전에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에는 폭발과 발화로부터 안전한 불연성 활성탄을 이용하는 기술도 개발되었으나 활성탄에 비해 효율이 낮고 가격이 비싼 문제가 있다.
300 ~ 340 ℃ 정도의 고온으로 오존을 분해하는 열분해법은 1초 이내에 오존을 99.9% 이상 분해할 수 있는 방법이다. 분해된 오존은 산소가 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공기를 가열하는 연료비 때문에 높은 배기가스의 열을 적절히 회수할 수 없다면 고열의 배기가스와 함께 높은 운전비의 부담을 가질 수 있다.
촉매를 이용하여 비교적 저온에서 오존을 분해하는 기술도 있다. 활성탄 탑의 1/40 정도의 적은 용적으로도 효율적인 오존 분해가 가능하지만 아직까지는 촉매의 비싼 가격과, 사용 후 촉매의 폐기, 수분 등 피독성 물질이 있을 때, 촉매의 수명 단축 등의 문제가 있어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공정상 배오존이 발생할 수 있는 곳은 다양하다. 특히 오존을 다량 사용하는 전자회사 등에서는 배오존 처리를 위한 설비의 설치와 운영에 막대한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배오존 처리 설비 중 촉매법이나 활성탄법 등의 경우 촉매나 활성탄의 교체 시기를 잘못 예측할 경우 배오존 파괴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비용을 들여 배오존을 파괴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고, 즉 배오존 처리비용을 줄이고, 또한 간단한 방법으로 폐수처리 장치에 배오존을 도입하여 폐수 중 환원성 물질을 전처리하여 줌으로 폐수의 처리 효율을 동시에 높이는 효과가 있는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은 오존을 사용하는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미사용 오존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이하 "배오존가스"라 함)를 환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알칼리성 환원성 폐수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배오존가스로부터 오존을 제거하는 단계, 및 오존이 제거된 상기 배기가스를 대기로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환원성 폐수에 포함되는 환원성 물질은 과산화수소이고, 상기 과산화수소의 질량은 공급되는 상기 오존의 질량에 대하여 0.5 내지 1000 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환원성 폐수는 환원성 물질로서 암모니아 또는 암모니아성 질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모니아 또는 암모니아성 질소의 질량은 공급되는 상기 오존의 질량에 대하여 1 내지 2000 배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알칼리성 폐수의 pH는 8 내지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암모니아나 과산화수소 등이 포함된 알칼리성 폐수를 이용하여 배오존을 파괴하면 기존의 오존 파괴기에 비해 상당한 운전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 오존 파괴기의 경우 활성탄이나 촉매를 보충해 주거나 온도를 높여 주는 등으로 인해 오존을 파괴하는 비용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오존 파괴 이상의 역할을 기대할 수 없는데 비해 본 방법은 배오존을 파괴하면서 폐수 중의 COD 유발 물질도 줄일 수 있고,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등의 장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배오존을 처리하는데 있어 오존 파괴기를 사용하지 않고, 폐수를 사용함으로 배오존을 파괴하는 비용을 절감하고, 동시에 폐수 처리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암모니아성 질소나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폐수는 산성 조건에서는 반응 속도가 느려 큰 반응기가 필요한 문제가 있지만 폐수가 알칼리성, 특히 pH 9 이상의 알칼리성일 때 오존과 폐수는 순간적으로 반응하여 오존을 파괴한다는 사실을 알고 이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배오존 파괴에 있어 중요한 것은 파괴 범위를 벗어난 오존의 유입으로 인한 오존 유출 문제이다. 오존의 발생량과 폐수 중 산화할 물질의 양론비, 오존의 반응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발명자는 반응조를 구상하고, 오존의 발생량과 폐수의 수량, 암모니아의 농도, 오존 농도 측정기 등을 이용하여 항상 안정적으로 오존을 파괴하여 배오존이 배출되지 않는 조건을 도출하였다.
도 1은 오존을 파괴하기 위한 오존 파괴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수를 수집한 폐수 집수조로부터 폐수가 공급된다. 공급되는 폐수는 가압 펌프에 의하여 가압된 후 오존 용해조로 공급된다. 한편 오존을 사용하는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미사용 오존을 포함하는 배기가스(배오존가스)는 공기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된 후에 오존용해조로 공급되어 폐수와 함께 혼합된다. 본 발명에서 배오존가스는 오존용해조에서 폐수와 혼합되어 반응함에 의하여 짧은 시간 내에 순간적으로 파괴된다. 그러나 오존용해조에서 폐수와 배오존의 짧은 접촉시간으로 인하여 배오존이 완전히 파괴되지 않고 남는 경우에는 접촉시간을 더욱 늘리는 방식으로 배오존의 잔존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시간을 더욱 늘리는 방법으로는 오존용해조의 용량을 더욱 크게 하는 방법도 있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존용해조의 후단에 더욱 용량이 큰 용해탱크를 두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용해탱크는 임의적인 것이며, 오존과 폐수의 완전한 혼합이 일어날 수 있다면 배오존을 완전히 파괴하는데 반응조의 모양이나 형식은 덜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오존 용해 반응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용해탱크로부터 배출되는 폐수에는 배오존이 용존되어 있지 않으며, 그 폐수는 아직도 배오존을 파괴할 능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그 폐수는 순환하여 다시 배오존을 파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탱크를 나온 폐수는 폐수 집수조로 다시 순환되어 새롭게 유입되는 폐수와 혼합되어 배오존가스를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이 때 순환하는 폐수와 새롭게 유입되는 폐수의 혼합비는 혼합 폐수 중의 과산화수소의 농도에 의하여 조절될 수도 있고, 배오존가스를 처리한 후의 폐수로부터 오존이 검출되는지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다. 이 때 필요한 경우 용해탱크로부터 나온 폐수의 일부는 배출되어 본격적인 폐수처리 공정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폐수가 배오존과 접촉하여 순간적으로 배오존을 파괴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폐수는 알칼리성이어야 하고, 오존에 의하여 산화될 수 있는 환원성 물질을 포함하여야 하며 또한 환원성 물질을 특히 과산화수소를 공급되는 오존의 양에 대하여 적정한 양으로 포함하여야 한다.
오존은 강력한 산화제로 환원성 물질을 만나면 쉽게 반응을 하여 파괴가 된다. 이러한 오존의 성질을 이용하여 악취의 제거나 물속의 난분해성 COD, 색도물질 등을 제거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존에 의한 폐수의 정화 공정에 의해서도 대기로 배출되어야 하는 배오존가스가 발생하므로 배오존가스로부터 배오존을 파괴하여 대기로 오존이 방출되지 않게 한다는 목적 달성을 위하여 폐수를 이용할 수 있다는 착상은 쉽게 도출되지 않는다. 폐수의 정화에 오존을 사용하는 관점이 아니라 각종 공정에서 배출되는 배오존가스에서 배오존을 파괴하여 대기로 오존이 방출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는 관점에서는 폐수 내에 오존의 용존이 관찰되지 않을 정도로 빠른 오존의 파괴 반응이 요구된다. 이러한 빠른 오존 파괴 반응은 오히려 오존의 산화력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오존에 의한 폐수의 정화 관점에서는 타당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배오존가스로부터 배오존을 파괴하는데 폐수를 이용한다는 관점에 있으며 매우 빠른 오존 파괴 반응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건을 찾아내었다.
그러한 요건으로서, 먼저 폐수는 오존에 의하여 산화될 수 있는 환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환원성 폐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환원성 물질로는 특히 암모니아 또는 암모니아성 질소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암모니아성 질소란 암모니아 또는 암모니아와 대등한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을 말하며, 대표적인 유기 화합물로는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대표적인 무기 화합물로는 암모늄 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암모니아는 환원성 물질로서 물속에서 오존과 반응하여 아래와 같이 질산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2 NH3 + 4 O3 → NH4NO3 + 4 O2 + H2O
암모니아는 물속의 산소를 소모하여 질산성 질소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산소를 요구하는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이 매우 큰 물질이며 영양 염류로서 배출이 규제되는 물질이다. 암모니아성 질소는 폐수처리과정에서 질산성 질소(NO3-N)로 전환되었다가 미생물에 의해 탈질화 반응이 일어나 폐수에서 제거되게 된다. 배오존으로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전환시킬 수 있다면 폐수처리장의 부하를 낮추어 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환원성 폐수에서 환원성 물질, 특히 암모니아 또는 암 모니아성 질소의 질량은 공급되는 오존의 질량에 대하여 1 내지 2000 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0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에서는 폐수에 오존이 용존되는 즉시 환원성 물질을 산화시키면서 자신은 파괴된다. 환원성 물질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오존이 용존되는 즉시 반응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폐수에 용존하는 오존 양이 증가하고 결국 용존 오존이 다시 기화됨으로써 오존이 대기 중으로 방출하게 된다. 반면에 환원성 물질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높은 점도, 악취 등의 문제로 처리가 곤란하므로 폐수처리를 위해서는 먼저 희석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폐수처리의 곤란성이 없다면 폐수에서의 환원성 물질의 농도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위 범위라면 높은 점도 등의 원인으로 폐수처리가 곤란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 다른 환원성 물질인 과산화수소도 오존과 반응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는 화학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산화제로 사용되지만 어떤 공정에서 환원제로도 사용되는 화합물이다. 또한 COD를 측정하는 과망간산칼륨과 반응하여 COD로 검출되기도 한다. 이 과산화수소는 오존과 반응하여 수산화라디칼(OH?)을 형성하는 반응을 한다. 수산화라디칼은 반응성이 매우 빠른 물질로 오존에 의한 폐수의 정화공정에서는 오존의 반응력을 높여주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생성된 수산화라디칼은 다른 물질과 반응하거나 자신끼리 반응하여 과산화수소를 형성할 수도 있다.
2 O3 + H2O2 → 2 OH? + 3 O2
폐수의 정화공정에서 사용되는 오존의 반응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과산 화수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존의 질량에 대하여 소량 사용되며 많아도 위 화학반응식의 화학양론비에 미치지 못한다. 과산화수소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폐수정화에 대한 오존의 반응력을 저해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폐수에 포함되는 과산화수소의 질량은 공급되는 배오존의 질량에 대하여 0.5 내지 1000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 배 정도로 과량이 투입된다. 본 발명에서는 과산화수소의 양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오존이 용존되는 즉시 반응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폐수에 용존하는 오존 양이 증가하고 결국 용존 오존이 다시 기화됨으로써 오존이 대기 중으로 방출하게 된다. 과산화수소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폐수에 부담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과산화수소나 암모니아성 질소는 오존과 반응은 하지만 오존 파괴를 위해서는 매우 빠른 반응 속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빠른 반응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폐수는 알칼리성이어야 한다. 폐수가 산성인 경우에는 폐수에 과산화수소 및 암모니아가 적정량으로 포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오존의 분해반응은 빠르게 진행되지 않는다. 반면에 폐수가 알칼리성인 경우에는 과산화수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에 의하여 오존의 분해반응은 매우 빠르게 진행된다. 빠른 반응을 위해서는 특히 폐수의 pH는 8 내지 13, 더욱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1일 수 있다.
각종 공정에서 배출되는 배오존은 발생원에 따라 10~200 g/N㎥ 정도의 농도로 배출되게 된다. 본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5 Kg/㎠의 압력을 가지는 펌프를 이용 하여 암모니아나 과산화수소 등이 포함된 폐수를 압력 용해조로 순환시키고, 공기압축기를 통해 5 Kg/㎠ 이상으로 압축된 오존을 주입, 용해하여, 폐수 중 암모니아, 과산화수소 등과 오존이 반응하여 순간적으로 오존이 파괴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배오존가스와 폐수를 접촉시키는 다른 방법으로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존 용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즉, 오존 용해 장치에 배오존가스와 폐수를 공급하면 장치의 펌프의 회전축에 의하여 배오존가스와 폐수가 혼합되고 배오존가스의 기포가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형성되어 폐수에 용해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발명자들은 56g/N㎥의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와 수도물, 산성 암모니아성(NH3-N 4,500㎎/ℓ, pH 3) 폐수, 과산화수소(H2O2 150 ㎎/ℓ)가 포함된 알칼리성 암모니아 폐수(NH3-N 500 ㎎/ℓ, pH 10.3)를 준비하였다. 오존 발생기의 오존 농도는 미국 INUSA사의 오존 농도 측정기 H1-LR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용존 오존 농도는 일본 TOA DK 사의 OZ 21-P 모델을, 대기로 배출되는 배오존의 농도는 aeroQual 사의 500 series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비교예 1. 오존 파괴 속도 실험
수도물을 분당 40ℓ의 속도로 4Kg/㎠의 압을 가지는 160ℓ용적의 용해조를 통과시키며 분당 오존이 1.5ℓ(80㎎)가 투입될 수 있게 오존 주입량을 결정하였다. 용해탱크를 거쳐 나오는 물은 2㎎/ℓ의 오존을 함유하게 된다. 이 오존은 물속에서 스스로 분해될 수도 있지만 반응에 의해 그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비교 예에서는 물과 산성 암모니아성(NH3-N 4,500㎎/ℓ, pH 3) 폐수를 이용하여 잔류되는 오존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산성 암모늄 폐수와 접촉한 오존은 암모늄 이온이 없을 때에 비해서는 현저하게 빠른 속도로 파괴되었으나 파괴되는 속도가 느려 큰 반응조 용량이 필요하여 상업적으로 활용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Figure 112009052136639-pat00001
실시예 1. 알칼리성 암모니아 폐수의 오존 파괴 실험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과산화수소(H2O2 150 ㎎/ℓ)가 포함된 알칼리성 암모니아 폐수(NH3-N 500 ㎎/ℓ, pH 10.3)를 반응시킨 결과 압력탱크를 거친 물속의 오존 농도는 전혀 감지되지 않았다.
비교예 2. 미용해 오존 농도 실험
도 1과 같이 장치된 설비의 집수조(200ℓ 용량)에 수도물을 채우고 가압펌프와 오존용해탱크 대신에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존용해 장치를 부착하여 물을 순환시킨다.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존 용해 장치는 펌프의 유입구 쪽으로 물과 공기를 흡입하여 펌프의 회전축에 의해 공기와 물이 급속히 혼합되고, 기포가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쪼개어져서 물에 잘 용해되게 하는 장비이다. 이 장비를 통해 52 g/N㎥의 농도를 가지는 오존을 분당 0.6ℓ의 속도로 주입하였다. 시간에 따르는 용존 오존의 농도를 측정하고 배출되는 오존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09052136639-pat00002
시간이 지날수록 배오존의 물속의 용존 오존의 농도가 높아지고 배출되는 오 존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실시예 2. 미용해 오존 농도 실험
비교예 2의 장치가 운전되는 상태에서 과산화수소(H2O2 250 ㎎/ℓ)가 포함된 알칼리성 암모니아 폐수(NH3-N 500 ㎎/ℓ, pH 10.3) 5 ℓ를 투입하여 용존 오존 농도와 배출되는 오존 농도를 측정하였다. 혼합된 물의 pH는 9.2 였고,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6 ㎎/ℓ,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는 13 ㎎/ℓ가 된다. 용존 오존 농도는 폐수가 혼합되는 즉시 0 ㎎/ℓ로 사라졌고, 10분간 반응을 지속했을 때에도 배출되는 오존의 농도나 용존 오존의 농도가 감지되지 않았다.
실시예 3. 과산화수소와 오존의 반응비 실험
비교예 2의 장치 집수조에 100ℓ의 수도물을 채우고, 40g/N㎥의 농도를 가지는 오존을 분당 0.8ℓ의 비율로 투입할 수 있게 장치하였다. 이 장치는 분당 28 ㎎의 오존을 투입한다. 별도로 30% 농도인 시약 과산화수소 15 ㎖(비중 1.1)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500㎖로 만든 다음 10 ㎖를 상기 100ℓ 물에 투입하였다. 물속의 과산화수소량은 99 ㎎이 된다. 이 물에 오존을 투입하며 용존 오존 농도를 측정하였다.
오존투입량(mg) 용존 오존(㎎/ℓ)
0 0
28 0
56 0
84 0
112 0
140 0
168 0
196 0
224 0
252 0
280 0.04
308 0.06
과산화수소 1g은 약 2.5g의 오존을 파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오존을 파괴하기 위한 오존 파괴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Claims (4)

  1. 오존을 사용하는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미사용 오존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이하 "배오존가스"라 함)를 환원성 물질이 포함된 알칼리성 환원성 폐수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배오존가스로부터 오존을 제거하는 단계, 및 오존이 제거된 상기 배기가스를 대기로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성 물질은 과산화수소이고, 상기 폐수에 포함되는 상기 과산화수소의 질량은 공급되는 상기 오존의 질량에 대하여 0.5 내지 1000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성 폐수는 환원성 물질로서 암모니아 또는 암모니아성 질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모니아 또는 암모니아성 질소의 질량은 공급되는 상기 오존의 질량에 대하여 1 내지 2000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 폐수의 pH는 8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처리방법.
KR1020090078914A 2009-08-25 2009-08-25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 KR101120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914A KR101120552B1 (ko) 2009-08-25 2009-08-25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914A KR101120552B1 (ko) 2009-08-25 2009-08-25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243A KR20110021243A (ko) 2011-03-04
KR101120552B1 true KR101120552B1 (ko) 2012-03-09

Family

ID=4393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914A KR101120552B1 (ko) 2009-08-25 2009-08-25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411B1 (ko) 2023-03-22 2024-02-13 주식회사 그린기술 난류형성 및 교반 기능이 구비된 라인믹서와 이를 포함하는 기체정화장치와 수질정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048B1 (ko) * 2014-05-08 2015-06-19 오조니아코리아(주) 오존처리수 내의 잔류용존오존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411B1 (ko) 2023-03-22 2024-02-13 주식회사 그린기술 난류형성 및 교반 기능이 구비된 라인믹서와 이를 포함하는 기체정화장치와 수질정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243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nning The chemical reduction of nitrate in aqueous solution
Ma et al. Degradation of 4-nitrophenol using the Fenton process
Alnaizy et al. Oxidative treatment of high explosives contaminated wastewater
Petrier et al. The sonochemical degradation of aromatic and chloroaromatic contaminants
Njoyim-Tamungang et al. Pollution control of surface waters by coupling gliding discharge treatment with incorporated oyster shell powder
Ku et al. Effect of hydrogen peroxide on the decomposition of monochlorophenols by sonolysis in aqueous solution
KR100808935B1 (ko) 플라즈마 및 광촉매를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
KR101131074B1 (ko) 알칼리성 환원성 수용액을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
KR101120552B1 (ko) 환원성 폐수를 이용한 배오존 처리방법
WO2015186590A1 (ja) アミン系有機化合物を含む液体の処理方法
JPH07116650A (ja) 高濃度アンモニア含有水からアンモニアをガス状で分離、処理する方法
KR101011205B1 (ko) 방사성 액상폐기물의 포화증기에 함유된 유기물 및질소산화물을 산화·환원 촉매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
US10493423B2 (en) Purification treatment method of liquid containing harmful substance, and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of liquid containing harmful substan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Smirnov et al. Development of a new technological scheme for water purification from iron
JP2001137888A (ja)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
US10947137B2 (en) Process for treatment of mine impacted water
TWI706919B (zh) 混成式有機廢水處理設備
CN112456723B (zh) 混成式有机废水处理设备
JP2002192175A (ja) 有機物の分解処理法とその分解処理装置
Hitchman et al. A feasibility study of the destruction of chemical weapons by photocatalytic oxidation
WO2019109168A1 (en) Process for treatment of mine impacted water
Irvine et al. Combining SBR systems for chemical and biological treatment: the destruction of the nerve agent VX
JP3495904B2 (ja) Tmah廃液の超臨界水酸化処理方法
KR20140064383A (ko) 난분해성 물질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분해성 물질 제거방법
CA2988187C (en) Process for treatment of mine impacted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