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404B1 -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404B1
KR101120404B1 KR1020090071214A KR20090071214A KR101120404B1 KR 101120404 B1 KR101120404 B1 KR 101120404B1 KR 1020090071214 A KR1020090071214 A KR 1020090071214A KR 20090071214 A KR20090071214 A KR 20090071214A KR 101120404 B1 KR101120404 B1 KR 101120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sectional area
cross
open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656A (ko
Inventor
최덕호
Original Assignee
최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호 filed Critical 최덕호
Priority to KR102009007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4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2Mammary prostheses and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일단의 제1개구부의 단면적이 타단의 제2개구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관형상의 본체와, 이 본체 내에서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본체 내에 삽입된 보형물을 상기 단면적이 작은 제2개구부 쪽으로 밀어붙이도록 된 피스톤을 포함하여서, 시술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되어 착용자에게는 흉터의 발생이 대폭 감소되고 시술자는 불필요한 비용의 손실 없이 시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Apparatus for inserting prosthesis used in plastic operation}
본 발명은 성형수술시 특히 유방확대수술시 인체 내에 삽입되는 보형물을 삽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술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되어 착용자에게는 흉터의 발생이 대폭 감소되고 시술자는 불필요한 시간의 소요 및 비용의 손실 없이 시술할 수 있도록 된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가 빠른 속도로 다양화 및 다변화되면서 사람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과 가치기준이 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생활의 자신감을 회복하고 더욱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외과적 수술을 통해 외모를 변화시키고 보완하는 성형수술이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성형수술에는 가격이 저렴하고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성형수술 후에도 크기나 모양의 변화가 없는 각종 보형물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이러한 성형수술에 사용되는 보형물로는 실리콘 주머니 안에 생리식염수가 들어가는 형태가 있었다.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보형물을 삽입하는 성형수술의 한 예로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방확대수술에 사용되는 보형물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유방확대수술시 시술자는 메스를 사용하여 착용자의 겨드랑이나 유방(B) 밑을 약 3cm 정도 절개하여서 절개창(C)을 형성한다. 이어서, 유방확대에 사용되는 실리콘 주머니(1)를 여러 겹으로 접어 부피를 작게 한 후에 상기 절개창(C)을 통하여 유방(B) 안으로 삽입한다. 그 다음에 원하는 크기의 유방(B)을 만들기 위해서 상기 절개창(C)의 밖으로 돌출되어 나온 주입구(2)를 통하여 주사기(4)로 생리식염수를 주입하면서 그 양을 조절하게 된다. 주입이 완료된 후에는 주사관(3)을 잡아당겨 상기 주입구(2)에서 주사관(3) 및 주사기(4)를 제거한다.
이와 같은,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보형물은 가격이 저렴하여 일시적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내용물의 주입시 주사기를 사용하여 생리식염수의 양을 조절하기 때문에 인체를 절개한 상태에서의 시술시간이 길어지게 됨으로써 마취상태의 장기화 등 피시술자 즉 착용자의 건강 면이나 비용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보형물은 시술 후에도 내용물의 누출위험을 안고 있어서, 착용자는 누출에 대한 불안과 염려 속에서 생활하게 하고, 실제로 보형물의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으로 인한 피해 사례들이 알려지기도 하였다.
누출에 대한 스트레스를 해결하고자 다른 보형물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실리콘 주머니 안에 코헤시브 겔(cohesive gel)이 들어가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코헤시브 겔 백은 감촉과 인체 안정성에 있어서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 미국의 FDA 및 국내 식약청에서 승인을 얻은 상태에 있다.
이러한 코헤시브 겔 백으로 된 보형물을 유방확대수술에 사용하는 경우에, 시술자는 메스를 사용하여 착용자의 겨드랑이나 유방 밑을 약 9cm 정도 절개하여서 절개창을 형성하고 유방확대에 사용되는 코헤시브 겔 백을 상기 절개창을 통하여 유방 안으로 삽입하기만 하면 되었다.
하지만, 코헤시브 겔 백으로 된 보형물을 이용한 성형수술에서는 전술한 생리식염수를 이용할 때보다 절개창이 약 3배 이상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절개창이 3배 이상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코헤시브 겔 백으로 된 보형물을 절개창에 삽입할 때에는 거의 쑤셔넣듯이 해서 여전히 시술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코헤시브 겔 백으로 된 보형물을 무리하게 삽입하여 상기 절개창 주변의 조직이 괴사하게 됨으로써 시술 후 흉터가 크게 남게 됨은 물론, 상당히 고가(高價)인 보형물이 시술 중에 파손되어 비용 손실이 커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는 시술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되어 착용자에게는 흉터의 발생이 대폭 감소되고 시술자는 불필요한 시간의 소요 및 비용의 손실 없이 시술할 수 있도록 된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의 제1개구부의 단면적이 타단의 제2개구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관형상의 본체와, 이 본체 내에서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본체 내에 삽입된 보형물을 상기 단면적이 작은 제2개구부 쪽으로 밀어붙이도록 된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술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되어 코헤시브 겔 백으로 된 보형물을 이용한 성형수술에서 절개창의 크기가 대폭 줄어듦과 더불어, 절개창 주변의 조직이 괴사하게 될 우려가 전혀 없어 시술 후 흉터가 남지 않게 되며, 시술시간이 짧고 고가인 보형물이 파손되지 않아 불필요한 비용손실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 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100)는 일단의 제1개구부(11)의 단면적이 타단의 제2개구부(12)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관형상의 본체(10)와, 이 본체(10) 내에 삽입되고 미끄럼이동되어 상기 본체(10) 내에 넣어진 보형물(30)을 상기 단면적이 작은 제2개구부(12) 쪽으로 밀어붙이도록 된 피스톤(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되, 예컨대 가볍고 강도가 크며 내열?내식성이 뛰어난 티타늄 합금 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보형물(30)의 단면형상과 유사하게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것이 좋고, 제1개구부(11)에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형성되고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제1연장부(13) 및 제2개구부(12)에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형성되고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제2연장부(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다각형의 단면을 갖고서 연속적으로 단면적이 변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대적으로 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제1연장부(13)와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제2연장부(14)의 사이에는 단면적이 점차 변화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중간부(15)가 있어서, 보형물(30)이 제1연장부(13)에서 제2연장부(14)로 이동됨에 따라 조금씩 조여들면서 상기 단면적이 작은 제2개구부(12)를 원활히 관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단면적이 작은 제2개구부(12)는 대략 3cm 정도의 직경 또는 폭을 갖는 것이 좋다.
상기 본체(10)의 전체 내주면은 거의 유리면과 같이 매끄럽게 가공처리되어 있는데, 예컨대 초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공구와 공작물 사이에 숫돌 입자와 가공액을 혼합하여 넣고서 상기 입자의 충돌에 의해 공작물을 다듬질하는 초음파 가공기를 사용하여 표면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그 내주면이 매끄럽게 되어 있어야 보형물(30)을 인체 내에 삽입할 때 보형물(30)이 본체(10) 내에서 마찰되거나, 본체(10)와 피스톤(20) 사이에 끼이는(jam)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100)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본체(10)의 내주면에다 윤활기능을 하도록 항생제 연고 등을 추가로 발라주어, 보형물(30)이 본체(10) 내를 더욱 원활히 미끄럼이동되게 하여도 된다.
상기 본체(10)의 제1개구부(11)의 주변 선단은 라운딩처리되거나 방사상으로 절곡되게 하여서, 후술하는 피스톤(20)이 제1개구부(11)를 통해 용이하게 본체(10)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피스톤(20)은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21)와, 이 손잡이(21)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손잡이(21)로부터 뻗어 있는 지지대(22) 및, 이 지지대(22)에서 손잡이(21)의 반대쪽에 장착되고서 상기 제1연장부(13)의 단면적보다 다소 작은 단면적을 갖는 머리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머리부(23)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사상 선단에 지지대(22) 쪽으로 절곡되어 뻗어 있는 플랜지를 갖출 수 있다. 또, 상기 머리부(23)의 전방, 즉 손잡이(21) 및 지지대(22)의 반대쪽을 향한 선단은 굴곡지게 라운딩처리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머리부(23)의 단면적은 본체(10)에 있는 제1연장부(13)의 단면적보다 다소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너무 작게 되면 본체(10)의 내주면과 피스톤(20)의 머리부(23) 사이에 보형물(30)이 끼일 수 있는 반면에, 단면적이 거의 동일하면 본체(10)의 내주면을 아주 매끄럽게 가공처리하였다 하더라도 마찰이 증대되어 머리부(23), 궁극적으로는 피스톤(20)의 원활한 미끄럼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적절한 치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머리부(23)의 단면 형상은 본체(10)의 단면 형상과 상응하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예컨대 원형 단면 또는 다각형 단면 등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20)은 손잡이(21)와 지지대(22) 및 머리부(23)가 동일한 재질, 예를 들면 상기 본체(10)와 마찬가지로 티타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일체 성형되어도 좋고, 각 부재가 서로 상이한 재질로 되어도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100)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되, 유방확대수술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유방확대수술시 먼저 시술자는 메스를 사용하여 착용자의 겨드랑이나 유방(B:도 1 참조) 밑을 약 3cm 정도 절개하여서 절개창(C:도 1 참조)을 형성한다. 이어서, 유방확대에 사용되는 보형물(30)이 넣어진 본 발명의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100)를 준비하고서, 본체(10)의 단면적이 작은 제2개구부(12)를 상기 절개창(C) 속에다 넣는다.
다음으로, 시술자는 한 손으로는 본체(1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피스톤(20)의 손잡이(21)를 파지한 후 피스톤(20)을 제2연장부(14) 및 제2개구부(12) 쪽으로 밀어붙인다.
이로써, 상기 보형물(30)이 본체(10) 내를 아주 원활히 미끄럼이동하여 인체 내에 삽입되게 되며, 이에 따라 시술시간이 대폭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코헤시브 겔 백으로 된 보형물을 이용한 성형수술에서 절개창의 크기가 대폭(약 ⅓로) 줄어듦과 더불어, 절개창 주변의 조직이 괴사하게 될 우려가 전혀 없어 시술 후 흉터가 남지 않게 되며, 고가인 보형물이 파손되지 않아 불필요한 비용손실이 없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보형물을 삽입하는 성형수술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Claims (5)

  1. 일단의 제1개구부의 단면적이 타단의 제2개구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그 내주면은 매끄럽게 표면 처리되어 있는 관형상의 본체와,
    이 본체 내에서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본체 내에 삽입된 보형물을 상기 단면적이 작은 제2개구부 쪽으로 밀어붙이도록 된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개구부에서부터 연장형성되고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개구부에서부터 연장형성되고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단면적이 점차 변화되게 형성된 중간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은 초음파 가공에 의해 표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손잡이와, 이 손잡이에 연결되어 뻗어 있는 지지대 및, 이 지지대에서 손잡이의 반대쪽에 장착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피스톤은 티타늄 합금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KR1020090071214A 2009-08-03 2009-08-03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KR101120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214A KR101120404B1 (ko) 2009-08-03 2009-08-03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214A KR101120404B1 (ko) 2009-08-03 2009-08-03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56A KR20110013656A (ko) 2011-02-10
KR101120404B1 true KR101120404B1 (ko) 2012-03-15

Family

ID=4377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214A KR101120404B1 (ko) 2009-08-03 2009-08-03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4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692B1 (ko) 2014-03-12 2014-10-10 김일구 성형 수술용 보형물 주입 장치
KR20190012904A (ko) 2017-07-31 2019-02-11 심형보 가슴 성형을 위한 보형물 삽입용 견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187B1 (ko) * 2013-12-04 2014-06-13 최덕호 유방확대 수술용 보형물 삽입기
TR201808209T4 (tr) * 2015-04-30 2018-07-23 Leonard Anthony Spronken Caius Göğüs implantı yerleştiric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5906A (en) * 1989-01-12 1990-09-11 Coggins Peter R Mammary prosthesis inj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5906A (en) * 1989-01-12 1990-09-11 Coggins Peter R Mammary prosthesis inj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692B1 (ko) 2014-03-12 2014-10-10 김일구 성형 수술용 보형물 주입 장치
KR20190012904A (ko) 2017-07-31 2019-02-11 심형보 가슴 성형을 위한 보형물 삽입용 견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56A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41496A1 (en) Subcutaneous delivery tool
US10478334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utting lenticular tissue
US977574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he removal of lenticular tissue
CN107530190B (zh) 眼部递送系统及方法
US9649223B2 (en) Inserter for tubular medical implant devices
JP6253652B2 (ja) 調節可能フィラメントを伴う眼科外科手術用デバイス
EP2111197A2 (en) Corneal endothelial tissue inserter
CN113855385A (zh) 用于治疗剂的脉络膜上施用的方法和设备
WO2008027829B1 (en) Tissue ex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60025867A1 (en) Lip implant, instrumentation and method for insertion
KR101120404B1 (ko) 성형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US10639070B2 (en) Implant needle and method for production
JP7079732B2 (ja) デバイスおよび水晶体組織を切断する方法
MX2011003215A (es) Cuchilla de trocar micro-vitreorretinal.
US20100185223A1 (en) Switching stick with hooded blade
KR101407187B1 (ko) 유방확대 수술용 보형물 삽입기
US20130296876A1 (en) Cystotome device
KR20200065485A (ko) 곡면 경사 절개부를 갖는 의료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5907B1 (ko) 소형 유방 보형물 삽입기
RU144605U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фиксации глазного яблока при наложении швов
RU2529396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зажим-игла для лигатурной герниорафии
KR101448692B1 (ko) 성형 수술용 보형물 주입 장치
RU76215U1 (ru) Адгезиотом
CN112754553A (zh) 一种内扩张套管
RU240551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интрастромальной кератопласти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