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179B1 -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179B1
KR101118179B1 KR1020100047864A KR20100047864A KR101118179B1 KR 101118179 B1 KR101118179 B1 KR 101118179B1 KR 1020100047864 A KR1020100047864 A KR 1020100047864A KR 20100047864 A KR20100047864 A KR 20100047864A KR 101118179 B1 KR101118179 B1 KR 101118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ub
switching
un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426A (ko
Inventor
설경식
정동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비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비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비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0004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17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6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disposed in parallel 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8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organised in strings and incorporating parallel shu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6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E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e.g. for oper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품 전시장의 조명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발광소자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정류전압을 생성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 연결되되, 스위칭소자를 복수 개 포함하는 제1 스위칭부; 발광소자를 복수개 포함하는 서브발광부를 복수 개 포함하되, 상기 서브발광부 각각은 상기 제1 스위칭부에 포함된 상기 스위칭소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발광부; 및 상기 서브발광부에 각각 연결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류전압을 전압 크기에 따라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간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상기 스위칭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발광부 간 연결 상태를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발광부의 빛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Apparatus for Driving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품 전시장의 조명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발광다이오드(LED) 등의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를 설계함에 있어서 종래에서와 같은 DC/DC 변환기의 사용 없이 교류와 같이 넓은 범위의 입력 전원을 발광소자에 직접으로 인가하여 구동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는 전류가 통할 때만 발광하는 2극 소자로서, 빠른 응답속도와 낮은 전력소모 및 반영구적 수명 등의 특성으로 인해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LED 교통신호등 및 LED 조명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변환 또는 DC/DC 변환을 통한 정전압 구동과, 직류 전압의 레벨을 조정하는 DC/DC 변환을 통해 일정한 전류를 발생시키는 정전류 구동으로 LED를 구동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LED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LED 구동 장치는 정류 전압(Vin)의 레벨을 변환하기 위한 스위칭부(100, 110) 및 LED 발광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위칭부(100, 110)는 전파 또는 반파 정류되어 입력된 정류 전압(Vin)을 LED 구동에 필요한 레벨의 리플이 작은 DC 전압으로 정류하는 역할을 한다. 정류기로부터 나오는 부하 전압은 맥동적이다. 즉, 완전 평활 직류가 아니다. 따라서 스위칭부(100, 110)는 정류기로부터 출력된 부하 전압을 일정 전압으로 정류하여 제공한다.
LED 발광부(120)는 복수의 LED 소자들로 이루어지며, 제공되는 안정적인 출력 전압(Vout)에 따라 구동되어 발광하게 된다.
이러한 LED 구동 장치는 AC/DC 변환과 DC/DC 변환 후 정전류 혹은 정전압 방식으로 LED 소자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전압변환 장치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그만큼 LED 구동 장치의 가격과 부피가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류된 AC 전압을 DC 전압으로의 변환 없이 직접적으로 발광소자에 인가하여 구동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정류전압을 생성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 연결되되, 스위칭소자를 복수 개 포함하는 제1 스위칭부; 발광소자를 복수개 포함하는 서브발광부를 복수 개 포함하되, 상기 서브발광부 각각은 상기 제1 스위칭부에 포함된 상기 스위칭소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발광부; 및 상기 서브발광부에 각각 연결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류전압을 전압 크기에 따라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간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상기 스위칭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발광부 간 연결 상태를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발광부의 빛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는 정류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류부; N개 서브 발광부가 간격을 두어 배치되며, 제1 번째 서브 발광부의 일측은 상기 정류부의 전원전압에 접속하는 발광부; 상기 N개 서브 발광부 중 동일 극성을 갖는 제2 내지 제N 번째 서브 발광부의 일측과 상기 정류부의 기저전압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N-1)개의 제1 스위칭 소자; (N-1)번째 서브 발광부의 타측과 N번째 서브 발광부의 일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N-1)번째 서브 발광부와 상기 N번째 서브 발광부가 직렬 연결되도록 하는 (N-1)개의 제2 스위칭소자; 및 동일 극성을 갖는 상기 N개 서브 발광부의 타측과 상기 기저전압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기저전압을 상기 N개 서브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발광부로 제공하는 N개의 제3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는 정류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류부; N개 서브 발광부가 간격을 두어 배치되며, 제1 번째 서브 발광부의 일측은 상기 정류부의 전원전압에 접속하는 발광부; 상기 N개 서브 발광부 중 동일 극성을 갖는 제2 내지 제N 번째 서브 발광부의 일측과 상기 정류부의 기저전압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N-1)개의 제1 스위칭 소자; (N-1)번째 서브 발광부의 타측과 N번째 서브 발광부의 일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N-1)번째 서브 발광부와 상기 N번째 서브 발광부가 직렬 연결되도록 하는 (N-1)개의 제2 스위칭소자; 동일 극성을 갖는 상기 N개 서브 발광부의 타측에 일측 단자가 각각 접속하는 N개의 저항 소자; 및 상기 N개의 저항소자의 타측 단자와 상기 기저전압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기저전압을 상기 N개 서브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발광부로 제공하는 N개의 제3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서와 같이 LED 발광부를 구동하기 위한 평활회로 및 안정기 등을 포함하는 전압변환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LED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도 2의 스위칭부, 발광부 및 기저전압 연결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2의 정류부의 출력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의 기저전압 연결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3의 스위칭부, 발광부 및 기저전압 연결부가 도 4의 Ⅰ 구간에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3의 스위칭부, 발광부 및 기저전압 연결부가 도 4의 Ⅱ 구간에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3의 스위칭부, 발광부 및 기저전압 연결부가 도 4의 Ⅲ 구간에서 동작하는 상태를 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도 2의 스위칭부, 발광부 및 기저전압 연결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정류부의 출력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기저전압 연결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구동 장치는 정류부(200), 스위칭부(210), 기저전압 연결부(220), 제어부(230) 및 발광부(240)를 포함한다.
정류부(200)는 110 V 또는 220 V의 상용 AC 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전파 또는 반파 정류하여 정류 전압을 생성한 후 출력한다. 정류부(200)는 반파 정류기, 전파 정류기 또는 브리지 정류기(bridge rectifie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여기서, 브리지 정류기는 4개의 다이오드를 연결한 브리지 회로로서, 고가의 중간탭 트랜스가 아닌 저가의 일반탭 트랜스를 이용한 전파 정류에 사용된다. 전파 정류의 예를 들면, 정류부(200)를 통해 전파 정류된 정류 전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전압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Ⅰ 구간에서는 발광부(240)를 이루는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가 전체적으로 병렬 구동하고, Ⅱ 구간에서는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 중 적어도 2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가 직렬 연결되어 구동하며, 이때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의 병렬 구동 개수는 Ⅰ 구간에 비해 적다. 또한, Ⅲ 구간에서는 발광부(240)를 이루는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 전체가 직렬 연결되어 구동한다.
스위칭부(210)는 제1 및 제2 스위칭부(211, 213)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스위칭부(211, 213)는 각각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S2, S4, S6; S1, S3, S5)로 이루어지며, 스위칭 소자(S1 ~ S6)로는 트랜지스터(TR),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다이오드 등이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부(211) 및 제2 스위칭부(213)는 각각 스위칭 소자(S2, S4, S6; S1, S3, S5)의 개수가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의 개수(N)보다 하나 적은 (N-1)개로 이루어진다.
제1 스위칭부(211)는 정류부(200)의 전원 전압원(Vdd)과 발광부(240)의 일측 사이에 구비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스위칭부(211)를 이루는 각각의 스위칭 소자(S2, S4, S6)의 일단은 전원 전압원에 접속하고, 타단은 각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의 일측, 즉 각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를 이루는 LED 소자의 애노드 단자에 접속한다. 그 결과, 각각의 스위칭 소자들(S2, S4, S6)은 전원 전압원과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 각각에 접속하여 전원 전압원을 제공한다. 예컨대, 제1 스위칭부(211)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를 각각 병렬 구동시킨다. 또한, 제1 스위칭부(211)는 제2 스위칭부(213)와 연동하여 스위칭 동작함에 따라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 중 적어도 2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가 직렬 연결되도록 하여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가 복수의 그룹으로 나뉘어 병렬 구동되도록 한다.
제2 스위칭부(213)는 스위칭 소자들(S1, S3, S5)을 동작시켜 예를 들어 제1 서브 발광부(240_1) 및 제2 서브 발광부(240_2), 또는 제(N-1) 서브 발광부(240_(N-1)) 및 제N 서브 발광부(240_N)와 같이 인접하는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가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2 스위칭부(213)를 이루는 스위칭 소자들(S1, S3, S5)의 일단은 홀수번째 서브 발광부(240_1, 240_(N-1))의 타측, 즉 LED 소자의 캐소드 단자에 접속하고, 스위칭 소자들(S1, S3, S5)의 타단은 짝수번째 서브 발광부(240_2, 240_N)의 일측, 즉 LED 소자의 애노드 단자에 접속한다. 그 결과, 제2 스위칭부(213)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 중 적어도 2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를 서로 직렬 연결하여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제1 스위칭부(211)의 스위칭 소자들(S2, S4, S6)을 모두 턴오프(Turn Off)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2 스위칭부(213)의 스위칭 소자들(S1, S3, S5)을 모두 턴온(Turn On) 시키면,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는 모두 직렬 연결되어 구동한다.
기저전압 연결부(220)는 발광부(240)의 타측, 즉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를 이루는 LED 소자의 캐소드 단자와 접지 사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기저전압 연결부(220)는 도 5의 (a)에서와 같이,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에 각각 직렬 연결되는 저항 소자를 갖는 전압 강하부(511)를 이루거나, 도 5의 (b)에서와 같이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에 각각 직렬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들로 이루어져 제1 및 제2 스위칭부(211, 213)에 더하여 제3 스위칭부(513)를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기저전압 연결부(220)는 도 5의 (c)에서와 같이 전압 강하부(511)의 저항 소자와 제3 스위칭부(513)의 스위칭 소자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구동장치의 초기 설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가령 저항 소자로 이루어지는 전압 강하부(511)는 발광부(240)를 이루는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를 모두 병렬로만 구동시키고자 할 때, 또는 서로 직렬 연결되는 LED 소자들의 개수를 가능한 적게 제한하고자 할 때 전압 강하를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3 스위칭부(513)는 발광부(240)를 이루는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를 직?병렬로 혼합하여 구동시키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저항 소자 및/또는 스위칭 소자들의 개수는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의 개수(N)와 동일한 개수를 갖는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저전압 연결부(220)가 N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스위칭 소자들은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제1 및 제2 스위칭부(211, 213)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다시 말해, 발광부(240)를 이루는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 각각을 모두 병렬 구동시키기 위하여 기저전압 연결부(220)는 각각의 스위칭 소자를 모두 턴온시킨다. 그 결과, 기저전압 연결부(220)는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 각각을 기저전압원(GND)에 접속시켜 LED 소자들이 발광되도록 한다. 반면,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 각각을 모두 직렬 연결시켜 구동하고자 할 때, 기저전압 연결부(220)는 제1 내지 제(N-1) 번째 스위칭 소자들을 모두 턴오프시키고, N번째 스위칭 소자만을 턴온시켜 LED 소자들을 기저전압원에 접속시킨다.
제어부(230)는 제1 스위칭부(211) 및 제2 스위칭부(213), 더 나아가서는 제3 스위칭부(513)를 포함하는 기저전압 연결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부를 제어한다. 제어부(320)는 정류부(200)에서 제공된 정류 전압의 Ⅰ~ Ⅲ 구간에 해당되는 전압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비교기(611, 613, 615)와 같은 비교 회로 등을 이용해 판별해 내고, 판별 결과에 따라 제1 스위칭부(211) 및 제2 스위칭부(213), 기저전압 연결부(220)의 스위칭 소자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Ⅰ 구간에서는 제1 스위칭부(211) 및 기저전압 연결부(220)의 스위칭 소자들을 제어하여 발광부(240)를 이루는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가 서로 병렬 구동되도록 하고, Ⅱ 구간에서는 제1 및 제2 스위칭부(211, 213), 기저전압 연결부(220)의 스위칭 소자들을 제어하여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 중 복수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직렬 연결됨과 동시에 그룹간 병렬 구동되도록 하며, Ⅲ 구간에서는 제1 및 제2 스위칭부(211, 213), 기저전압 연결부(220)의 스위칭 소자들을 제어하여 발광부(240)를 이루는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가 모두 직렬 연결되어 구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Ⅰ 구간에서 병렬 구동되는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의 병렬 구동 개수가 가장 많고, Ⅲ 구간으로 갈수록 병렬 구동되는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의 병렬 구동 개수가 적거나 전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비교기(611, 613, 615) 및 제어신호 생성부(62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서는 제어신호 생성부(620)의 제어 신호들을 제1 및 제2 스위칭부(211, 213)와 기저전압 연결부(220)의 스위칭 소자들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CPU(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교기(611)는 정류부(200)에서 제공된 정류 전압의 I 구간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제어신호 생성부(620)에 제공한다. 제2 비교기(613)는 정류 전압의 Ⅱ 구간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제어신호 생성부(620)에 제공하며, 제3 비교기(615)는 정류 전압의 Ⅲ 구간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제어신호 생성부(62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비교기(611, 613, 615)는 입력된 정류 전압을 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입력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클 때 논리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을 때 논리 로우(Low)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신호 생성부(620)는 제1 내지 제3 비교기(611, 613, 615)에서 제공한 판별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제1 및 제2 스위칭부(211, 213), 그리고 기저전압 연결부(220)의 스위칭 소자들을 제어하기 위한 서로 다른 제어 방식의 제어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가동시켜 제1 스위칭부(211), 제2 스위칭부(213) 및 기저전압 연결부(220)의 스위칭 소자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240)는 이미 충분히 언급된 바 있지만,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를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는 하나의 LED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2개 이상의 LED 소자가 직렬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자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면,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 각각은 동일한 색의 LED 소자들을 직렬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컬러 또는 백색광을 구현시키기 위해 적색(R), 녹색(G), 청색(B)의 LED 소자들을 혼합하여 직렬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 각각은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N-1)번째 서브 발광부(240_(N-1))가 R, G, B의 LED 소자들을 혼합하여 10개의 소자를 직렬 연결하여 구성된다면, N번째 서브 발광부(240_N)도 (N-1)번째 서브 발광부(240_(N-1))와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는 발광부(240)의 설계시 정류 전압의 어느 구간에서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가 구동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가에 관계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발광부(240)에서 제공하는 빛의 양이나 밝기에 관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에서 N = 4이고,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가 10개의 LED 소자를 직렬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된다고 가정하면, 정류부(200)에서 제공된 정류 전압의 Ⅰ 구간에서는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가 각각 구동하여 전체 100 %의 광량 중 대략 25 %씩을 각각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각각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는 직렬 연결된 10개의 LED 소자들로 이루어지므로 10개의 LED 소자들을 통해 25 %씩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Ⅱ 구간에서는 인접하는 서브 발광부(240_1 및 240_2; 240_(N-1) 및 240_N)를 서로 직렬 연결시켜 구동하므로 그룹화된 2개의 서브 발광부(240_1 및 240_2; 240_(N-1) 및 240_N)는 직렬 연결된 20개의 LED 소자들을 통해 대략 50 %씩의 광량을 각각 제공함으로써 100 %의 광량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서, Ⅲ 구간에서는 4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 모두가 직렬 연결되어 구동하므로 40개의 LED 소자를 통해 대략 100 %의 광량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발광부(240)는 정류 전압의 Ⅰ~ Ⅲ 구간에 걸쳐 어느 구간에서도 균일에 가까운 광량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정류 전압의 I, Ⅱ 및 Ⅲ 구간에서의 회로 동작 상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때, 기저전압 연결부의 동작은 제1 및 제2 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충분히 예측되므로 별도의 제어 방법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굵은 실선(-)의 표기는 기저 전압원이 제공되는 경로를 나타낸다. 또한, 스위칭소자로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예로 들어 살펴본다.
도 7은 도 3의 스위칭부, 발광부 및 기저전압 연결부가 도 4의 Ⅰ 구간에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N = 4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구동 장치는 정류부(200)에서 제공된 정류 전압을 제어부(230)를 통해 판별한 후, I 구간으로 판별될 때, 예컨대 기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1 및 제2 스위칭부(211, 213)로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도 7의 (a)에서와 같이 제1 스위칭부(211)의 제2, 제4 및 제6 스위칭소자(S2, S4, S6)는 턴온시키고, 제2 스위칭부(213)의 제1, 제3, 제5 스위칭소자(S1, S3, S5)는 턴오프시킨다. 그 결과, 기저전압 연결부(220)는 4개의 경로를 모두 오픈, 즉 스위칭 소자를 턴온시켜, 도 7의 (b)에서와 같이 4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3, 240_4)에 기저전압을 제공하게 된다. 이의 경우 발광부(230)는 각각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3, 240_4)를 구동시켜 전체적으로는 4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3, 240_4)를 병렬 구동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I 구간에 해당되는 전압이 0 ~ 60 V이고, 제1 내지 제4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3, 240_4)는 각각 10개의 LED 소자가 직렬 연결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30 V를 예로 들면 제1 내지 제4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3, 240_4)의 각각을 구성하는 LED 소자의 양단 전압은 3 V가 된다. 따라서, 각각의 LED 소자는 양단에 인가된 3 V의 전압에 해당되는 전류를 발생시키고, 그 전류량에 비례하는 빛을 제공한다. 이의 결과로서 제1 내지 제4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3, 240_4) 각각에서 제공되는 광량은 거의 동일하게 된다. 즉, 발광부(240)로부터 제공되는 광량을 100 %라 할 때, 4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3, 240_4)는 각각 25 % 정도에 해당되는 빛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도 3의 스위칭부, 발광부 및 기저전압 연결부가 도 4의 Ⅱ 구간에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구동 장치는 정류부(200)에서 제공된 정류 전압을 제어부(230)에서 판별 결과, Ⅱ 구간으로 판별될 때, 제어부(230)는 예컨대 기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신호를 제1 및 제2 스위칭부(211, 213)로 제공하여, 도 8의 (a)에서와 같이 제1, 제4, 제5 스위칭소자(S1, S4, S5)는 턴온시키고, 제2, 제3 및 제6 스위칭소자(S2, S3, S6)는 턴오프시킨다. 그 결과, 발광소자 구동 장치는 도 8의 (b)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서브 발광부(240_1, 240_2)를 서로 직렬 연결시켜 기저전압 연결부(220)를 통해 하나의 경로로 기저전압을 제공하고, 제3 및 제4 서브 발광부(240_3, 240_4)를 서로 직렬 연결시켜 기저전압 연결부(220)를 통해 다른 하나의 경로로 기저전압을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두 개의 그룹을 서로 병렬 구동시킨다.
위의 예에서와 같은 식으로 Ⅱ 구간에 해당되는 전압을 60 ~ 90 V라 가정하자. 60 V를 예로 들어 보면,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서브 발광부(240_1)와 제2 서브 발광부(240_2), 그리고 제3 서브 발광부(240_3)와 제4 서브 발광부(240_4)의 양단에는 각각 60 V의 전압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직렬 연결된 제1 서브 발광부(240_1)와 제2 서브 발광부(240_2)는 20 개의 LED 소자가 직렬 연결되는 형태이므로 각각의 LED 소자 양단에는 3 V의 전압이 걸린다. 따라서, 각각의 LED 소자는 3 V에 해당되는 전류를 발생시키고 그 전류량에 해당되는 빛을 제공한다. 발광부(240)로부터 제공되는 광량을 100 %라 할 때, 하나의 경로로 제공되는 기저전압과 다른 하나의 경로로 제공되는 기저전압을 통해서는 각각 50 % 정도에 해당되는 빛을 제공하게 된다.
도 9는 도 3의 스위칭부, 발광부 및 기저전압 연결부가 도 4의 Ⅲ 구간에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구동 장치는 정류부(200)에서 제공된 정류 전압을 제어부(230)에서 판별 결과, Ⅲ 구간으로 판별될 때, 제어부(230)는 예컨대 기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신호를 제1 및 제2 스위칭부(211, 213)로 제공하여, 도 9의 (a)에서와 같이 제1, 제3, 제5 스위칭소자(S1, S3, S5)는 턴온시키고, 제2, 제4 및 제6 스위칭소자(S2, S4, S6)는 턴오프시킨다. 그 결과, 발광소자 구동 장치는 도 9의 (b)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4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3, 240_4)를 모두 직렬로 연결시켜 기저전압을 하나의 경로로 제공하여 발광부(240)를 구동시킨다.
위의 예에서와 같은 식으로 Ⅲ 구간에 해당되는 전압이 90 ~ 110 V라 가정하자. 이 경우 90 V를 예로 들면, 제1 내지 제4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3, 240_4)는 총 40개의 LED 소자들이 직렬 연결된 상태를 이루므로 각각의 LED 소자 양단에는 90 V를 40개의 LED 소자의 수만큼 분압한 2.25 V의 전압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LED 소자는 2.25 V에 해당되는 전류를 발생시키고, 발광부(240)는 그 전류량에 해당되는 만큼의 빛을 제공한다.
결국, 상기한 내용들에 근거해 볼 때 정류부(200)에서 출력되는 정류 전압의 크기가 시간에 가변적이라 하더라도 발광부(240)의 외부에서 볼 때 정류된 전압의 I, Ⅱ 및 Ⅲ 구간에서 발생되는 빛의 양을 거의 일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설혹 미묘한 광량의 차이가 있더라도 인간의 눈이 시각적으로는 변화의 움직임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범위 내를 유지하게 된다. 다만, 발광부(240)의 내부적으로는 N개의 서브 발광부(240_1, 240_2, 240_(N-1), 240_N)들이 병렬, 직?병렬 혼합, 직렬 구동을 번갈아 함으로써 휘도의 변화가 거의 없는 균일한 양의 빛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위칭소자들은 MOS FET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접합형 FET,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ied Gate Bipolar Transistor), JFET(Junction gate FET),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FET 계열 소자의 게이트 또는 BJT, IGBT 계열 소자의 베이스는 스위칭소자의 구동단으로 통칭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FET 계열 소자의 드레인 또는 BJT, IGBT 계열 소자의 컬렉터는 스위칭소자의 전류 인입단이라 지칭될 수 있으며, FET 계열 소자의 소스 및 BJT, IGBT 계열 소자의 에미터는 전류 인출단이라 지칭될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상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200: 정류부 210: 스위칭부
211: 제1 스위칭부 213: 제2 스위칭부
220: 기저전압 연결부 230: 제어부
240: 발광부 511: 전압 강하부
513: 제3 스위칭부 611: 제1 비교기
613: 제2 비교기 615: 제3 비교기
620: 제어신호 생성부

Claims (15)

  1.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정류전압을 생성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 연결되되, 스위칭소자를 복수 개 포함하는 제1 스위칭부;
    발광소자를 복수개 포함하는 서브발광부를 복수 개 포함하되, 상기 서브발광부 각각은 상기 제1 스위칭부에 포함된 상기 스위칭소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발광부; 및
    상기 서브발광부에 각각 연결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류전압을 전압 크기에 따라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간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상기 스위칭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발광부 간 연결 상태를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발광부의 빛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발광부는 N개(N은 양의 정수), 상기 제1 스위칭부에 포함된 상기 스위칭소자는 (N-1)개, 상기 제2 스위칭부에 포함된 상기 스위칭소자는 (N-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에 포함된 상기 스위칭소자는 (N-1)개의 상기 서브발광부의 애노드(anode)에 연결되고, 제2 스위칭부에 포함된 상기 스위칭소자는 (N-1)개의 상기 서브발광부에서 인접한 서브발광부의 애노드와 캐소드(cathode)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이루는 상기 (N-1)개 스위칭소자가 모두 턴오프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이루는 상기 (N-1)개 스위칭소자가 모두 턴온될 때,
    상기 N개 서브 발광부는 서로 직렬 연결되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구동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이루는 상기 (N-1)개 스위칭소자가 모두 턴온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이루는 상기 (N-1)개 스위칭소자가 모두 턴오프될 때,
    상기 N개 서브 발광부는 서로 병렬 연결되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이루는 상기 (N-1)개 스위칭소자 중 홀수번째 스위칭소자가 턴오프되고, 짝수번째 스위칭소자가 턴온되며,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이루는 상기 (N-1)개 스위칭소자 중 홀수번째 스위칭소자가 턴온되고, 짝수번째 스위칭소자가 턴오프될 때,
    상기 N개 서브 발광부는 직렬 및 병렬을 혼합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압은 상용교류전압이고, 상기 정류전압은 상기 상용교류전압의 전파정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은 상기 전파정류 전압의 한 주기를 전압 크기에 따라 다섯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유기발광소자(OLED)인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는 기저전압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전압 연결부는 상기 서브발광부와 접지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전압 연결부는 전압 강하부 및 제3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강하부는 일측 단자가 상기 서브발광부의 캐소드에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저항소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스위칭부는 상기 저항소자 각각의 타측 단자와 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칭부, 상기 제2 스위칭부 및 상기 제3 스위칭부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전압을 제공받아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14. 정류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류부;
    N개 서브 발광부가 간격을 두어 배치되며, 제1 번째 서브 발광부의 일측은 상기 정류부의 전원전압에 접속하는 발광부;
    상기 N개 서브 발광부 중 동일 극성을 갖는 제2 내지 제N 번째 서브 발광부의 일측과 상기 정류부의 기저전압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N-1)개의 제1 스위칭 소자;
    (N-1)번째 서브 발광부의 타측과 N번째 서브 발광부의 일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N-1)번째 서브 발광부와 상기 N번째 서브 발광부가 직렬 연결되도록 하는 (N-1)개의 제2 스위칭소자; 및
    동일 극성을 갖는 상기 N개 서브 발광부의 타측과 상기 기저전압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기저전압을 상기 N개 서브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발광부로 제공하는 N개의 제3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15. 정류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류부;
    N개 서브 발광부가 간격을 두어 배치되며, 제1 번째 서브 발광부의 일측은 상기 정류부의 전원전압에 접속하는 발광부;
    상기 N개 서브 발광부 중 동일 극성을 갖는 제2 내지 제N 번째 서브 발광부의 일측과 상기 정류부의 기저전압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N-1)개의 제1 스위칭 소자;
    (N-1)번째 서브 발광부의 타측과 N번째 서브 발광부의 일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N-1)번째 서브 발광부와 상기 N번째 서브 발광부가 직렬 연결되도록 하는 (N-1)개의 제2 스위칭소자;
    동일 극성을 갖는 상기 N개 서브 발광부의 타측에 일측 단자가 각각 접속하는 N개의 저항 소자; 및
    상기 N개의 저항소자의 타측 단자와 상기 기저전압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기저전압을 상기 N개 서브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발광부로 제공하는 N개의 제3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KR1020100047864A 2010-05-24 2010-05-24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KR101118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864A KR101118179B1 (ko) 2010-05-24 2010-05-24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864A KR101118179B1 (ko) 2010-05-24 2010-05-24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426A KR20110128426A (ko) 2011-11-30
KR101118179B1 true KR101118179B1 (ko) 2012-03-12

Family

ID=4539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864A KR101118179B1 (ko) 2010-05-24 2010-05-24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000B1 (ko) * 2012-05-08 2014-01-09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반도체 조명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WO2015020265A1 (ko) * 2013-08-06 2015-02-12 (주)바롬코리아 Led 조명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5117A (ko) * 2012-02-17 2013-08-2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소자 구동장치
KR101175934B1 (ko) * 2012-04-02 2012-08-22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그를 이용한 교류 다이렉트 방식의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KR101298486B1 (ko) * 2012-05-31 2013-08-21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어 회로
KR101521644B1 (ko) 2013-01-11 2015-05-19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전압 에지 검출부를 이용한 교류 led 조명장치
US9572212B2 (en) 2014-05-21 2017-02-14 Lumens Co., Ltd. LED lighting device using AC power supply
US9414453B2 (en) 2014-05-21 2016-08-09 Lumens Co., Ltd. Lighting device
KR102305838B1 (ko) * 2015-06-11 2021-09-28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 소자 구동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276A (ko) * 2006-11-10 2009-07-29 필립스 솔리드-스테이트 라이팅 솔루션스, 인크.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장치 및 자동차 조명 장치
KR20090092215A (ko) * 2008-02-26 2009-08-31 심현섭 교류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및 구동회로의 배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276A (ko) * 2006-11-10 2009-07-29 필립스 솔리드-스테이트 라이팅 솔루션스, 인크.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장치 및 자동차 조명 장치
KR20090092215A (ko) * 2008-02-26 2009-08-31 심현섭 교류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및 구동회로의 배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000B1 (ko) * 2012-05-08 2014-01-09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반도체 조명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WO2015020265A1 (ko) * 2013-08-06 2015-02-12 (주)바롬코리아 Led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426A (ko)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179B1 (ko)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KR101164250B1 (ko) 조명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US9018856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er having phase control mechanism
US9560704B2 (en) LED driving device and LED lighting apparatus
US8339064B2 (en) LED lamp
US9345085B2 (en) Illumination apparatus includ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s
US20130169160A1 (en) Led driver circuit and light apparatus having the same in
US20130307423A1 (en) Led lighting apparatus driven by alternating current
KR101825213B1 (ko) Led 구동 장치
KR20110013167A (ko) Led 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16115685A (ja) 交流駆動方式のled照明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9999104B2 (en) Lighting device and luminaire
CN103379706B (zh) 驱动电路
KR101400606B1 (ko) 엘이디 조명 구동회로
US8796942B2 (en) LED circuit
KR101282074B1 (ko) 발광소자의 구동 장치
KR101970818B1 (ko) 다채널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20090117855A (ko)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모듈
KR20160001498A (ko) 전압 강하에 따른 그룹단위의 병렬 구동이 가능한 led 구동장치
KR20140084732A (ko) Led 모듈용 전원 공급 장치
KR20140135453A (ko) 다수의 led 모듈을 구동하는 전원 공급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 장치
KR101587540B1 (ko) 엘이디 장치
KR100907993B1 (ko) 엘이디 구동 회로
CN201821557U (zh) 多通道定电压与定电流控制的发光二极管灯具
CN105323911A (zh) 发光二极管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9